Тёмный
오래된 미래
오래된 미래
오래된 미래
Подписаться
Комментарии
@user-hw4qy2vh2d
@user-hw4qy2vh2d 16 часов назад
천주교 의식은 불교의식에서 나온갑니다. 상식적으로 먼저 있던걸 보고 따라 하는게 많잖아요. 불교가 기원전 500년전에 발생했고 서양종교에도 영향을 주었으니 당연히 불교의식에 영향을 받습니다. 교황의 지팡이는 큰스님들께서 들고 다니시는 주장자이구요. 지금도 일반 천주교신도들은 모르겠지만 신부님들이 불교 경전 공부를 많이하고 그걸로 종종 설교를 하는데 마치 천주교 교리인것처럼 이야기를 해서 아니다 싶을때가 있어요. 그래서 천주교랑 불교가 비슷한 분위기가 느껴지는겁니다. 예수님께서도 청년기에 인도에 가서 불법을 공부하고 오셨지요 바티칸교황청에 자료가 있는걸 보고 오신 장로님이 이야기해주었습니다. 왜 공개적으로 밝히지 않고 예수님의 청년기를 쏙 뺏는지. 이제라도 교황이 용기를 내어 진실을 밝히는게 예수님에 대한 도리라고 생각합니다.!!!!!!
@kim-jm4wm
@kim-jm4wm 24 минуты назад
유저ㅡh ...예수님이언제어디서 불교 공부를했는지.청년기언제 확실근거를 대세요? 기독교인으로서 매우 감정이 상하네요. 그러면 불.부처는 인간이고 예수님은 독생자 여호와 하나님의 아들 즉 신 입니다. 싯타르타는 왕자였고예수님은 신 입니다..여기에 답변하세요..기독교에서성자로모시는 예수님을 부처의제자로 짜맞추어 마치기독교가불교보다500 년 뒤진것처럼 간주하여 불교눈 기독교보다 한수 위에 있다는걸 강조하려는 의도 입니까?
@user-yp1fj5ku8u
@user-yp1fj5ku8u 6 дней назад
찬미예수님 하느님 아빠 아버지 하느님은 영원토록 찬미와 영광 받으옵소서 🌈 🏳️‍🌈 🌈 🏳️‍🌈 🌈 🏳️‍🌈 🌈 🏳️‍🌈 🌈 🏳️‍🌈 🌈 🏳️‍🌈 🌈 🏳️‍🌈
@JAN_BEER
@JAN_BEER Месяц назад
부자(기와집)는 춥게살고~~ 가난한자(초가)는 따뜻하게 살고~~
@user-ur8vz9cf1x
@user-ur8vz9cf1x Месяц назад
무슨불교. 건축 나누지마라 인도에 있냐 중국에있냐 유불선 모두 뿌리가 여기다 외래좋아하네 과거칠불 모르면 공부하던지 말을 말던지
@우리미술과문화
@우리미술과문화 Месяц назад
많은 공부가 되었습니다.
@-fz2oi
@-fz2oi Месяц назад
잘봤습니다.
@user-le1pp1bq6e
@user-le1pp1bq6e 2 месяца назад
전통종교와 외래종교로 구분하셨는데, 구분이 가능한가요? 언제 들어오면 전통인가요? 도교는 중국, 유교도 중국, 불교도 중국, 기독교도 중국을 통해서 들어 왔지요. 불교도 유교도 외래종교지요. 뭐가 외래고 전통인가요?
@nolsong3729
@nolsong3729 2 месяца назад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user-yu1rk6pz4u
@user-yu1rk6pz4u 2 месяца назад
네 참고로 보토에 석회다짐은 한옥의 전통 기법이 아닙니다. 한국전쟁 이후 보수에 쓰인 기와의 품질이 일정치 못한 데다 그마저도 부족한 상황이라 동파 되거나 사용 한계를 넘은 고재기와를 재사용 한 지붕의 방수를 위한 것으로 나중에 시멘트 기와가 보급되던 시기에는 석회다짐 대신 시멘트가 사용되기도 했습니다.
@Myunglee-vd7ul
@Myunglee-vd7ul 2 месяца назад
일본 너무 원시적이네요. 난로를 만들지 ㅋ
@nolsong3729
@nolsong3729 2 месяца назад
저도 답사를 많이 다니는데 너무 도움이 되는 정보를 많이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dy5hxf7yw3
@dy5hxf7yw3 3 месяца назад
5:43 경복궁 근정전 외목도리 밖은 세로개판, 안쪽은 가로개판을 사용한 것이 “덜 중요한 부분은 과감하게 생략했다”는것과 무슨 관련이 있나요? 5:48 문화재청이 제공하는 경복궁 사정전 실측도면을 보면 좌우 대칭 잘 맞습니다. 서까래도 중도리에 잘 걸려있고요. 영상에 사용한 저 엉성한 그림의 출처는 무엇인가요?
@old_futures
@old_futures 2 месяца назад
보의 윗면이나 서까래 윗면같이 감추어진 부분의 마감이 생략되는 경향을 설명하려는 뜻이 였습니다. 개판을 받치는 서까래를 예시로 참고로 사진을 사용했습니다^^
@dy5hxf7yw3
@dy5hxf7yw3 2 месяца назад
​@@old_futures 저 서까래가 정확하게 어떤 작업이 생략 됐다고 말씀하시는 거예요? 그리고 사정전 단면 그림은 출처가 어떻게 되나요?
@dy5hxf7yw3
@dy5hxf7yw3 3 месяца назад
5:26 일본이 하면 “우와 젠 스타일이다~” 서양이 하면 “우와 미니멀리즘이다~” 한국이 하면 “세상 단출하고 소박하기 그지없네..” 차별도 이런 차별이 없네요
@user-fc4zy6rc9v
@user-fc4zy6rc9v 3 месяца назад
부처님의. 유언기록을 확인하였더니 말씀이 우리가 쓰고있는. 말로 기록되어 있답니다 물론 기록은 산스크리트어로 쓰여 있지만 글을 읽으면 우리가 쓰는 말이더랍니다, 그런데 불교가 외래종교라구요 , 산스크리트어 사전은 영국이 100년걸쳐 만들었고 동서언어의 뿌리라고 사전서문에. 밝히고 있으니. 우리말이 동서언어의. 뿌리임을 증 명 하였답니다,
@user-pl5pu6it5x
@user-pl5pu6it5x 3 месяца назад
서양 르네상스와 공통점이 있다기보다, 서양의 르네상스에서 계몽주의로 연결되는 시점에 유교가 유럽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user-xb7qw3uu8m
@user-xb7qw3uu8m 3 месяца назад
척추측만증. 자신의 체중이 누르는 중력 때문이다. 척추 측만증은 척추 뼈가 정상적으로 발달이 되지 않고, 좌우 옆으로 휘어진 상태로 된 것을 말합니다. 왜 그런 증상이 발생할까요? 과잉 영양 섭취와 오랜 시간 책상에 많이 앉아 공부하다 보니 운동량은 부족하여 척추 주변 근육이 약해져 발생하게 됩니다. 이에 체중이 누르는 중력을 감당하지 못하고 척추 뼈가 휘어진 상태로 성장하는 것입니다. 예방 및 교정 사람은 누구나 중력의 영향을 받는데, 누구는 척추가 휘고, 누구는 정상적으로 발달합니다. 평소의 운동으로 허리 주변 근육이 발달한 사람은 주로 정상형태이고 , 휘어진 사람은 자신의 체중이 누르는 중력을 이길 만큼 허리 주변근육을 단련하는 운동을 하지않았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우선 의자등에 장시간 고정 자세로 의자에 앉아 있는 것을 피하는 것입니다. 다음은 걷기. 달리기. 윗몸 일으키기,등산.역도.철봉. 평행봉에 매달리기 등의 운동으로 단련을 하면 예방 및 교정이 될 것입니다. 특히 매달리기. 윗몸 일으키기 운동기구에 변화를 주며 매달리는 동작을 자주 하면 교정이 됩니다. 단.한 번 휘어진 척추 뼈가 교정되려면 참을성을 가지고 꾸준히 오래 운동해야 합니다. 어떤 분은 수영이 척추측만증을 예방 및 교정할 수 있다고 합니다. 그러나 수영은 전신운동으로 건강에는 좋으나 철봉에 매달리거나 윗몸 일으키기 기구에 매달리는 것보다는 효과가 적습니다. 수년 전 어느 중앙 일간지 신문 기사 내용 중, 학생들의 책가방이 자기 체중의 10분지 1을 초과하면 척추측만증에 걸릴 위험이 높다는 기사를 본 일이 있습니다. 이에 동의합니다.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척추측만증이 많이 걸린다고 합니다. 그 이유는 아마도 여학생들은 아무래도 남학생에 비해 활동량이 적기 때문에 허리주변 근육이 덜 발달되어 그런 것 같이 보입니다. 어떤 분은 책가방의 무게와 측만증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고 주장하는 분도 있습니다. 물론 신체가 발달한 건강한 학생의 경우에는 책 가방이 무겁다고 하더라도 별로 영향이 없을 것입니다. 그러나 어린 학생의 경우에는 아직 허리 뼈 등 신체가 충분히 발달되지 않았기 때문에 책가방 무게가 5 kg이라고 하면 약간 힘들 수 있겠지만 7 kg 이라고 하면 몸의 균형이 어긋나지 않을까요? 건강한 고등학생은 어느 정도 무거운 책가방을 메고 다니는 것이 허리 건강에 더 좋을 것입니다. 몸이 약한 학생도 가방의 무게를 처음에는 아주 가볍게 그리고 점차적으로 무게를 늘리면서 메고 다니면 근육이 강화되어 척추측만증 등 허리건강에 더 유익할 것입니다. 제가 수십 년간 척추관련 통증으로 고통을 당하고 극복하며 철저히 검증한 결과입니다. 사람은 왜 목.허리.무릎이 아플까? 저자 법무사 이희숙 010 5250 4802 Hie-Sook Lee Author of the book “Why do people have neck, back, and knee pain?” 이 글은 WHO. 로마교황청.하바드대 의과대학장.주한 독일, 벨기에,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스웨덴 등 외국대사관에 보낸것입니다.
@user-jz1ri2ep6p
@user-jz1ri2ep6p 3 месяца назад
억불 정책 펴던 조선에서 저렇게까지 원대한 불탑 건축됐다는 게 놀랍네요. 태조 세종 세조 문정왕후 정도만 불교를 존중했지 대체로 억제했을 텐데 의외네요.
@old_futures
@old_futures 3 месяца назад
맞습니다. 의외라서 더 소중한 유산인 거 같습니다
@user-jz1ri2ep6p
@user-jz1ri2ep6p 3 месяца назад
건축물의 단층화에는 목재 부족도 있지 않았나 추측됩니다. 한반도는 땅이 남북으로 길어서 은근히 위도에 따른 온도차가 있습니다. 겨울이 길고 건조해서 나무가 빨리 자라기 좋지 않은 환경이라 건축에 소모되는 목재량을 줄이기 위해 일부러 법과 관념으로 강제했던 것 같습니다. 땅 크기로 보면 일본보다도 작고, 날씨로 보면 일본이나 중국남부에 비해 상당히 건조한 편이죠.
@old_futures
@old_futures 3 месяца назад
건축부재로는 불리한 면이 꽤 있다고 보입니다. 우리나라 목재가 질긴 면은 있지만 잘터지고, 변형도 심해 대목들이 애를 많이 먹는 측면이 있는 것 같습니다
@user-pl5pu6it5x
@user-pl5pu6it5x 3 месяца назад
일본이 한반도보다 넓은 영역을 갖게 된건 1800년대 후반부터 입니다. 일본의 원래 영토는 혼슈 중남부이죠.
@ViktorLi0621
@ViktorLi0621 3 месяца назад
조선시대에 오면서 유교 이전의 사상을 보여주는 것들은 다 부셔버린거 같아요. 유교가 청렴한 생활을 최고의 가치로 여겼지만 인간이란게 원래 욕망의 존재라 제가 보기엔 공산주의와 비슷한 점이 있는 거 같습니다.
@dy5hxf7yw3
@dy5hxf7yw3 3 месяца назад
화엄사 각황전 : 조선시대 건물 금산사 미륵전 : 조선시대 건물 법주사 팔상전 : 조선시대 건물 무량사 극락전 : 조선시대 건물 마곡사 대웅보전 : 조선시대 건물 불국사 대웅전 : 조선시대 건물 통도사 대웅전 : 조선시대 건물 송광사 대웅전 : 조선시대 건물 선암사 대웅전 : 조선시대 건물 지금 보실 수 있는 대한민국 내로라 하는 사찰 건물들 절대다수가 조선시대에 지어진 것 입니다 이전시대 사찰건물들을 파괴한건 전쟁(거란, 몽골, 임진정유왜란, 정묘병자호란, 한국전쟁)이지 조선이 아니에요
@user-nw5uc7ll3q
@user-nw5uc7ll3q 3 месяца назад
구독합니다
@old_futures
@old_futures 3 месяца назад
네, 감사합니다
@user-mb1et1oy5t
@user-mb1et1oy5t 3 месяца назад
잘 보고 갑니다. 흥미로운 영상 재밌게 보고 갈께요
@old_futures
@old_futures 3 месяца назад
네, 감사합니다
@Jeong-eun
@Jeong-eun 3 месяца назад
경주 신라를 만든게 우리 풍습을 모른 것들이란 거네
@Jeong-eun
@Jeong-eun 3 месяца назад
멍청아 원래 우리처럼 온돌 난방하가 인구 촉발 서양놈들 이주가 잦았고 나무가 부족하니ㅡ기계 발명후 주식읕 말가루 난방은 난로로 바꾼거 같은데 우라나라는 산이 70% 나무가ㅡ픙족하나ㅡ난방을 바꿀 이유가ㅡ없었던거지
@churlkoh8053
@churlkoh8053 3 месяца назад
불교에 비하면 유교는 쓰레기이다....조선, 인도는 불교를 쫓아내고 유교, 힌두교가 들어오면서 노비제도가 강화되었다. 불교를 간직했으면 북한이 저지경으로 되지 않았을 것이다. 방송에서 유교가 대단한 동양사상인냥 강의하는 것은 어처구니 없는 일이다.
@taekanghwang
@taekanghwang 3 месяца назад
지식브런치님 다른 채널 파신 건가요?
@old_futures
@old_futures 3 месяца назад
아닙니다. 유투브 처음하고 있습니다.
@user-co3lj7wn4z
@user-co3lj7wn4z 3 месяца назад
유교는 없어저야하다 모든 차별을 만들었다 그래서 사화가 많이 발생했다 빈부차별 남여 차별!적서차별!병패가 심하다
@user-rk5sw8fz1
@user-rk5sw8fz1 3 месяца назад
그럼 모든 종교가 사라져야 겠네요 종교자체가 차별아닌가요? 차별의 근본은 나와 다름입니다
@user-pl5pu6it5x
@user-pl5pu6it5x 3 месяца назад
근대 유럽에 유교가 얼마나 큰 영향을 줬는지 공부나 하고 얘기하쇼.
@user-qs3ms6dw4u
@user-qs3ms6dw4u 3 месяца назад
공자가 죽어야 대한민국이 산다.
@dokpark5547
@dokpark5547 3 месяца назад
오클랜드에서 취미로 한,일,중국 비교문화 연구하는데 불교는 일본 중국에 비해서 석탑들이 규모가 작아 실망, 건축물이 시대에 따라 진화하지 못했고 유교 건물도 우중충하게 특징이 없는 멋없는 건물에, 목재색갈 마저 불교의 단청과 다를바 없어요
@old_futures
@old_futures 3 месяца назад
네 그런 측면이 있습니다.
@user-rk5sw8fz1
@user-rk5sw8fz1 3 месяца назад
거꾸로 생각하면 한국이 더 오래된아닌가? 건축물특= 최근일수록 크고 웅장하다=아파트 대중교통 오래될수록 작다= 한옥 계르 ... 한국=전통을 고수한다 중국=전통을 불태웠다 일본=전통을 부정한다
@user-pl5pu6it5x
@user-pl5pu6it5x 3 месяца назад
취미로 연구하신다는 분이, 건축문화에서 ‘규모’, ‘우중충함’ 같은 기준에 천착하시네요. 부끄러운줄 아십시오.
@user-fi8kp6sd6c
@user-fi8kp6sd6c 4 месяца назад
6분 정도의 영상(?)이 '대학 한옥 강의 1학기 분량' 정도 되는 알찬 내용입니다.
@old_futures
@old_futures 3 месяца назад
감사합니다, 좋은 컨텐츠로 찾아뵙겠습니다
@TV-sx7eb
@TV-sx7eb 4 месяца назад
덕분에 잘 보았습니다. 성업하기 바랍니다_(*)_ 아파트, 주택. 한옥.세컨하우스(전원주택, 농막, 농가주택, 황토방, 사무실(이동식 포함) 등)는 수맥과 살기는 피하고 터(필지) 안에 명당 혈(穴)을 찾아 혈자리에 자리하면 좋으며 음택(묏자리, 납골묘, 납골당, 수목장, 평장묘, 이장, 등)은 수맥과 살기는 피하고 터(필지) 안에 명당 혈(穴)을 찾아 혈자리에 자리하면 좋습니다.
@old_futures
@old_futures 3 месяца назад
네 잘알겠습니다
@user-je2hq5tk2r
@user-je2hq5tk2r 4 месяца назад
경복궁 기둥보면 한개로 지붕끝까지 만든건가요?아니면 기둥을 연결한건가요?나무끼리 기둥을 연결연결해서 높게 만들수있나요?
@old_futures
@old_futures 4 месяца назад
목재기둥은 이어서 공사할 수 있습니다. 근정전과 같은 중층건물 고주는 이어서 공사합니다. 잇는 부분은 평방이나 포작에서 많이 하는 편입니다. 중층 건물에 대한 컨텐츠도 준비하겠습니다.
@dy5hxf7yw3
@dy5hxf7yw3 3 месяца назад
@@old_futures근정전의 고주는 이어서 만들지 않았습니다. 바닥 주춧돌부터 지붕을 바치는 대들보까지 하나의 나무로 사용하지요 설마 하층 외진주 상부 공포단에 내진고주와 연결되는 툇보를 설치하고 그 상부에 상층 외진주를 올리는걸 ‘이어서 공사‘했다고 말한거라면 질문을 잘못 이해하신거예요. 그게 기둥을 연결연결해서 길다란 기둥을 만든 게 아니잖아요
@우리미술과문화
@우리미술과문화 Месяц назад
경복궁 근정전의 고주는 하나의 나무로 지붕 끝까지 만든겁니다. 그런데 그렇게 큰 기둥이 될만한 소나무를 구하는게 조선시대에도 어려웠나봅니다. 나중에 근정전을 수리하려고 해체해보니 소나무가 아니라 전나무였다고 하죠. 지금도 그만한 나무를 구하기 어려워서 하는 수 없이 캐나다산 소나무로 바꾸었다네요. 조선시대 사찰 같은 경우는 재정적으로 어려웠다보니 높은 기둥을 사용할때 여러개의 나무를 이어서 사용한 흔적이 있습니다. 법주사 팔상전 같은 높은 건물을 보시면 알 수 있어요.
@RW.MOMOON
@RW.MOMOON 4 месяца назад
유익한 영상 잘 보고 갑니다😊
@old_futures
@old_futures 4 месяца назад
감사합니다🙂
@user-us5bz5wi7s
@user-us5bz5wi7s 6 месяцев назад
재미있어요! 😆
@memorial_place
@memorial_place 6 месяцев назад
감사합니다
@memorial_place
@memorial_place 6 месяцев назад
조만간 가보겠습니다
@old_futures
@old_futures 6 месяцев назад
감사합니다
@user-wu2lr2sf2x
@user-wu2lr2sf2x 6 месяцев назад
잘 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