Тёмный
스토리텔링 우동이즘 (이야기 작법)
스토리텔링 우동이즘 (이야기 작법)
스토리텔링 우동이즘 (이야기 작법)
Подписаться
자기계발 목적으로 채널 운영중입니다.

◎ 웹툰 [탐정은 개뿔]-카카오 페이지 연재,
◎ 웹툰 [단톡] - 미스터 블루, 카카오페이지, 레진코믹스 비독점 연재
-한국 콘텐츠 진흥원 - 연재만화제작 지원사업 선정
◎ 게임제작, 일러스트레이터, 출판, 강연, 콘텐츠 제작 겸업 작가.
◎ 한국영상대학교 초빙교수.

탈플랫폼 디지털 노마드를 향하여...

-----------------------------------------
특강/광고문의 -아래 링크를 활용해 주세요
naver.me/xTbwEn4n

기타 이메일 문의
📧 E-Mail : hyory486@naver.com
-----------------------------------------
Which choice is the right choice?
5:28
21 день назад
Let's read this book recommendation!!!
3:58
2 месяца назад
3 differences between pros and amateurs
5:55
3 месяца назад
The 3 best things about being a writer
8:12
4 месяца назад
Let’s read this how-to book~
4:37
4 месяца назад
설날특집 1시간 반 연강
1:29:45
4 месяца назад
Let's learn about antiheroes
4:40
5 месяцев назад
Комментарии
@user-jc3ek2qj9w
@user-jc3ek2qj9w 8 часов назад
데이비드 하워드의 <시나리오마스터>, 로버트 맥기 <시나리오 어떻게 쓸 것인가> 등도 얘기했죠.
@user-qo3kl4rp1h
@user-qo3kl4rp1h 14 часов назад
0:30 아니 이거는 너무 하잖아욬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Pomi_05
@Pomi_05 15 часов назад
우동님도 아실테지만 저는 중3부터 만화학,스토리 같은걸 공부해 왔습니다. 그걸 배운 이후로 옛날에 봤던 애니나 게임을 보고나니 옛날엔 눈치채지 못했던 개연성, 빌드업 같은게 눈에 뻔하게 들어오더군요.
@hwang_mess
@hwang_mess 20 часов назад
다들 클리셰 클리셰 해서 그러는 경향이 있지만 사실 그만큼 클리셰가 보장된 소스라는 것을 이해하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그래야 이 클리셰를 활용하기도 하고 한번씩 비틀어보기도 하는걸로 성장하는 거죠
@알뜰지식
@알뜰지식 20 часов назад
제 뇌는 오늘 뭐먹지만 생각하다 보니 제가 멍청해진 것 같아요😢
@storymake
@storymake 17 часов назад
자학은 하지 마셔용
@IcandoEverythingMust
@IcandoEverythingMust День назад
최근에 원고지 500매 분량 소설... 을 써봤는데 저와 비슷한 문제를 공유하는 것 같습니다. 그냥 하기 싫은 거에요. 이게 무슨 이야기냐면 소설로서 길게 쓰기 싫다, 묘사를 하기 싫다-> 싸움만 계속 하고 감성팔이를 하며 하이라이트 부분만 중요시 한다. 스토리를 쓰면서 중요 캐릭터에게 두, 세가지 특징을 부여해 이해하기 어렵게 만든다 -> 서사보다는 캐릭터의 감성, 서사에 맞춘다. 한 캐릭터에게 스포트라이트를 비추는데 서사가 진행이 안 되니 서브 캐릭터를 수십명씩 둔다. 뭐, 이런 부분이 사도... 라고 할 수 있고, 실제로 저는 이 소설을 쓴 이후로는 글이 잡히지 않습니다. 그러나 이런 부분이 되려 소설가가 되자는 처음(?)과 맞닿아 있다, 성장시킬 수 있다라고 생각합니다. 뭐, 말려도 이런 건 조절이 안 될게 뻔하거든요.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거죠. 안 되는 게 아니라.
@slj4784
@slj4784 День назад
0:38 이거 못하는 인성 꽝 지능 꽝 애들 실제로 봄 🤦 자기객관화 시키는 강사 고소 넣는다 쓰레기짓 하는거 보면서 와 진짜 ㅋㅋㅋ
@cd-xi3sb
@cd-xi3sb День назад
일단 머리 속의 이야기를 1차적으로 문서화가 가능해야 이론을 써먹을 수 있을텐데 그게 참 어렵단 말이죠
@storymake
@storymake 17 часов назад
문서화까지도 필요없고 간략 각1줄 기승전결 정도만으라도 표현할 수 있으면 좋죠~
@moviefightclub
@moviefightclub День назад
뼈맞고 갑니다. 잊고 있던 중요한 지점들을 다시 되뇌이게 되는 것 같음. 그래도 저 내용들을 피상적이 아니라 진짜 씁쓸하게 공감할 수 있다는 것 자체가 시작은 한거라 생각하고 파이팅
@user-xe4ob8ih7cma
@user-xe4ob8ih7cma День назад
얼마 전에 처음으로 공모전에 도전을 해봤는데 처음 말씀해 주신 내용들이 너무 공감이 되네요ㅜ 잘봤습니다
@storymake
@storymake 17 часов назад
응원하겠습니다!
@user-of6mi7gg8u
@user-of6mi7gg8u День назад
ㅇㄷ 4:20
@wjs12345
@wjs12345 День назад
뼈를 부수네ㅋㅋ
@user-wy2qp1qf7m
@user-wy2qp1qf7m День назад
이렇게 꿀팁을 마구 주셔도 될까요. 남는 장사? 가 아닌데
@storymake
@storymake День назад
이번 영상은 그냥 잔소리 같은 느낌이에영ㅠㅠ
@user-wy2qp1qf7m
@user-wy2qp1qf7m 18 часов назад
@@storymake 제가 몇달만 선생님 께 배웠는데 느낀게 그냥 잔소리를 하시는게 아니라 진짜 진심으로 생각하는 분이구나 느꼈죠 혼내셔도 도움이 되는 이야기를 하시는거 보면서 아! 젊은 이분에게 배울게 참 많았다 라고 생각 했어요
@Deadlineinsane
@Deadlineinsane День назад
아.... 괜히봤다... 마감하러 가야지...
@user-dl6rw5oz9z
@user-dl6rw5oz9z 18 часов назад
왜 여기계십니까 형님 ㅋㅋㅋㅋㅋ
@dmh2848
@dmh2848 День назад
나중에 영상올리실때 열린결말중 허무한 엔딩과 만족스런 엔딩의 차이점도 알려주세요 열린결말중 대놓고 궁금증을 내놓게 해놓고 끝내버리는 경우가 있는데 좀 짜증나서요 예시) "내가 좋아하는 사람은 ..."끝
@rusia7612
@rusia7612 19 часов назад
이미 있어용
@Pomi_05
@Pomi_05 День назад
독자들에게 재미를 발생 시키는데는 공감, 감정이입만한게 없죠
@Pomi_05
@Pomi_05 День назад
전문대 웹툰학과에 다니고 시나리오와 콘티 짜는법도 배우는데 교수님이 저의 창작 콘티는 재미가 있을것 같다고는 하셨습니다. 그런데 글로만 봤을때 재미가 있으면 안되죠. 글이 재밌어도 완성본이 노잼이면 끝난거죠.
@kansel34
@kansel34 День назад
클리셰 많은 작품이라도 잘 쓰고 싶네요…
@user-iu5bl6dt2k
@user-iu5bl6dt2k День назад
전에는 원피스가 압도적 원탑이라 생각했는데 지금 보면 작품성으로는 인기만화중에서 최하급수준
@user-iu5bl6dt2k
@user-iu5bl6dt2k День назад
나루토랑 원피스 정주행해보면 안다. 나루토가 곁가지가 많아서 산만해지긴 했지만 메인스토리 줄기는 예정대로 쭉 진행됨. 급하게 끼어넣은 캐릭터들이 아니라 다 설계가 되어있던 느낌이라면 원피스는 그때그때 급조해낸 캐릭터들 마구잡이로 끼워넣는 느낌이 있음. 그리고 매번 유치한 소년만화 대결구도 유지해서 꼭 멤버별로 격투씬을 넣는게 거의 강박적인 패턴임. 게다가 원피스는 예측당하는게 싫다고 스토리의 기본인 빌드업 과정을 생략하고 그냥 뇌절로 밀어붙임.
@roughkim2576
@roughkim2576 День назад
컨텐츠 제작자한테 정말 필요한 이야기네요
@user-pn7mw7jv9f
@user-pn7mw7jv9f День назад
주인공이 나쁜짓을 저질렀으면 결말을 어떻게 풀어야할지가 관건임... 사소한 악행이면 몰라도 심각한 악행이면 참 어려움... 그래서 나쁜 짓을 저지른 캐릭터들은 대부분 마지막에가서 죽는 경우가 많은데, 이게 서브주인공 또는 조연 캐릭터면 죽이는게 쉬운데 메인주인공이면 죽였다고 독자들이 난리치니까.. 더군다나 이 메인주인공한테 사랑하는 존재가 있으면 더욱 난관 ㅎ 근데 이 주인공을 죽이지 않고 처벌받는걸로 끝내면 악행에 비해 약한 처벌을 받는다고 하고... 하 지금 스토리 짜는데 너무 어려움ㅎ
@frieden520
@frieden520 2 дня назад
어느 플렛폼이든 일단 연재라도 해봐야 뭐라도 된다 가 핵심인듯 N사만 바라보다가 아무것도 못하네
@duckgood6419
@duckgood6419 2 дня назад
알고리즘을 타고 왔는데, 정말 공감합니다. 나만의 이야기가 스스로 쉽게 느껴지는 건, 작가 머리 속에 해설집이 있기 때문이죠. 뻔한 이야기는 제목을 훑어보기라도 하지만, 스스로의 세계관에 갇힌 이야기는 선택도 못받으니까요. 재미있는 중심 키워드를 강조하고 마케팅할 수 있는 작가의 작품을 보게 되는 것은 필연적인 것 같습니다. 재미의 정답은 정해져 있고, 창작을 하면서 내가 해야 할 것은 그곳으로 향하는 길을 선택하는 것임을... 아무도 봐주지 않는 글을 1년 동안 쓰면서 겨우 알게 된 것 같습니다.
@jyanlee6810
@jyanlee6810 2 дня назад
😂다들 미쿠나오는 거에 웃음 타지지 않았나유? 잼나는데
@user-yq7rx1tp4q
@user-yq7rx1tp4q 2 дня назад
그래서 윤회가 있을 수 없는 것
@youdieee
@youdieee 2 дня назад
아마추어인줄 알았는데 프로처럼 고민하고 있었네 어째서지?
@user-gc4ot2sm9h
@user-gc4ot2sm9h 3 дня назад
안녕하세요! 작법서 구매해서 보고있는데 작품기획서 파일은 어떻게 다운받으면 되는걸까요?
@user-jk8yb2mf2t
@user-jk8yb2mf2t 3 дня назад
감사합니다
@sonnybonnie
@sonnybonnie 4 дня назад
이 영상 굉장히 좋네요. 나중에 실제 작품 하나를 예시로 구조를 낱낱이 해체하면서 설명해주시면 좋을거 같아요.
@2xbadory
@2xbadory 4 дня назад
취미로 세계관 설정 짜고 글 쓰고 있었는데 정말 공감이 가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혹시 '파워 인플레이션' 다뤄주실 수 있나요? 파워 인플레가 없어도 문제겠지만 심해서 욕을 먹은 경우도 많이 봐서...
@user-yg8qp4ft1w
@user-yg8qp4ft1w 4 дня назад
루피는 조현병 환자임
@MMOO801
@MMOO801 4 дня назад
궁긍적인 목표...!
@user-jo1tq2on7c
@user-jo1tq2on7c 4 дня назад
철골과 시멘트 없이 어째서 건물을 지으려 하는가....
@shin8302
@shin8302 4 дня назад
편집자 피드백 세상 쓸모없는게 그말듣고 고쳐봐야 망할건망함. 잘된건 그냥 원래 잘될거였고. 작가는 자기 고집이 있어야함. 오직 연독률과 구매수 두개만 보면됨
@user-id8jq2wt7w
@user-id8jq2wt7w 4 дня назад
일단 혼자서 상상의 나래를 펼치면서 그려보는 게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다른 사람의 생각에 영향을 받기 이전, 즉 나만의 고유의 화풍 같은 걸 만들어낼 수 있는 기회라고 생각해요. 예를 들어, 저는 '김락희의 인체드로잉'을 통해 엄청난 인체묘사의 성장을 이뤄냈는데, 만약 나만의 그림체가 없이 처음부터 김락희의 인체드로잉으로 배웠다면, 지금 아무런 화풍도 없이 인체묘사만 잘하는 그저 그런 그림쟁이가 됐을 거예요. 복근이 12개여도 좋고 손가락이 6개여도 좋으니 처음에는 무조건 혼자서 그려보세요. 그리고 만화대학을 진학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대학에서 체계적으로 배우는 게 정말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참고로 학원은 비추예요. ----------------------------------- 실제로 그림을 못그리는 강사도 태반이고요, 연출이나 웹툰툴을 배우는 데는 어느 정도 실효성이 있지만, 회화적 측면 다시 말해 그림실력은 절대 늘 수가 없습니다. 우동이즘님 말씀처럼 만화대학 졸업장이 다른 데서는 쓸모없을지 몰라도, 같은 대중미술업계(웹툰, 게임그래픽, 영화C.G 등)에서는 정말 유용합니다. ----------------------- 게임회사에 가보면요, 처음부터 3D그래픽을 접한 디자이너들이 정말 많습니다. 쉽게 말해 그림을 한 번도 그려본 적 없이 3D그래픽을 배운 사람이 많다는 얘기예요. -------- 그런 사람들이 만든 3D캐릭터와, 만화를 그려봤던 사람이 만든 3D캐릭터는 느낌부터가 완전 달라요. 예를 들어, 에르매스 명품백이나 동대문시장표 백이나, 얼핏보면 비슷한 것 같지만 작은 디테일에서 상품의 가치와 아우라가 큰 차이를 나타내는 것처럼요. ------------ 만화를 그려봤던 사람들이 만드는 3D캐릭터는 진짜 '명품' 같은 느낌이 납니다. *****글이 너무 길었죠? 눈 아프실까 봐 '-----'을 집어넣었습니다.
@RNrenner
@RNrenner 5 дней назад
지금도 이 방법으로 이야기를 만들고 있습니다, 나이를 먹을수록 느끼지만 너무 좋은 방법이네요
@user-yo2gm7ns2r
@user-yo2gm7ns2r 5 дней назад
우동이즘님 저 같은 왕 초보 지망생도 알기 쉽게 잘 설명해주시고 정말 많은 도움이 되고 있어요 책도 샀고요 ㅎㅎ 역대 가이드북 중 가장 알아보기 쉽게 설명되어있어서 책도 유용하게 잘 보고 있습니다 언제나 응원합니다 번창하세요!!
@user-xd5bu7jz2p
@user-xd5bu7jz2p 5 дней назад
초보 몇년동안은 있는것을 조합하는 것이 맞지만 시장에서 살아날려면 최대한 빨리 유니크한것을 만드는게 중요한듯합니다.이미시장에서는 그냥그런것은 사람들이 첫장보고 뻔하면 안보는듯합니다. 게임 영화 애니메이션 등등 너무많은 컨텐츠들이 많은데 뻔한것을 사람들이 볼지는 의문입니다.
@user-dv9zo3px1g
@user-dv9zo3px1g 6 дней назад
결국 이 모든것은 내가 직접 부딫히고 깨져봐야만 알수있는 것 같습니다.. 나만의 것,독자들의 심금을 울리는 스토리,기승전결, 클리셰 파괴 등.. 그것이 하루 이틀만에 만들어지는것은 결코 아니니까요
@jyanlee6810
@jyanlee6810 6 дней назад
좋은 영상 보고 구독 누르고 갑니다~!
@알뜰지식
@알뜰지식 6 дней назад
설날은 지났지만, 오늘도 잘배워 갑니다.😂
@limll3872
@limll3872 7 дней назад
스토리 작법은 좋은 아이디어를 여러 갈래로 뻗어나가고 그 중에서 가장 좋은 것을 고른다는 점에서 일러스트 작업과 비슷하네용 창작 분야에서의 공통점인 것 같기도 합니다
@Shionne357
@Shionne357 7 дней назад
정말 좋은 영상입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Shionne357
@Shionne357 7 дней назад
도움돼서 구독 좋아요 누르고 갑니다 귀중한 영상들 잘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abcqweqwe
@abcqweqwe 7 дней назад
저도 최근 비슷한걸 느껴요. 옛 고전부터 지금까지 만들어진 이야기들은 다 영웅적이거나 용서 사랑같은 뻔한것들이 주가되죠. 그것을 벗어난 무언가가 있지 않을까 생각했는데, 애초에 그런것들은 의미도 재미도 없더군요. 어찌보면 "뻔한것"은 동시에 "이것만큼 재밌는게 없다"는 얘기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