Тёмный

[건들건들]66. 6 25 특집 '총대총' 국군무기 M1 개런드 vs 적성무기 M189130 모신나강 2편 with 전쟁기념관 

건들건들
Подписаться 263 тыс.
Просмотров 185 тыс.
50% 1

Опубликовано:

 

28 окт 2024

Поделиться:

Ссылка:

Скачать:

Готовим ссылку...

Добавить в:

Мой плейлист
Посмотреть позже
Комментарии : 426   
@military_history
@military_history 3 года назад
전쟁기념관과 건들건들 콜라보의 첫시작을 알리는 총성 ru-vid.com/video/%D0%B2%D0%B8%D0%B4%D0%B5%D0%BE-ggFMLDfWSKg.html 여기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길천사
@길천사 3 года назад
틀무관이노
@englishan
@englishan 3 года назад
@@길천사 ㅇㅇ
@김론즈
@김론즈 3 года назад
좀 재미있는 얘기로 2차대전 당시 '베테랑'군인 경험담으로 M1 클립 소리를 역이용해 상대방이 장전 중 역습 시도 할 때를 이용해 전투를 이긴 이야기도 있다하네요
@釜山マルチ
@釜山マルチ Год назад
⁰p
@WUS2718
@WUS2718 3 года назад
그 당시 싸우셨던 분들 모두 감사합니다. 덕분에 후손이 이렇게 편하게 영상으로 접할 수 있게 되었네요.
@kanghyunyoo6690
@kanghyunyoo6690 3 года назад
맞습니다.
@Ths106
@Ths106 3 года назад
조상님들을 생각하면 그분들 처럼 이 나라를 위해 목숨을 걸수 있는데 윗대가리 정치가년들 중에 욕심있는 새끼들이 너무 많아서 고민된다
@엘제이-m8y
@엘제이-m8y 3 года назад
맞아요..만약 북한한테 졌다면 지금 우리는 김정은만세를 외치고 있을지도....
@길천사
@길천사 3 года назад
@김성현-q4h5v
@김성현-q4h5v 2 года назад
@@길천사 니하오?
@손석현-f7j
@손석현-f7j 3 года назад
9:39 할아버지가 해주셨던 이야기네요 하루에 몇 번 씩 바뀌기도 했다고 하셨어요
@whatever-it-takes
@whatever-it-takes 3 года назад
ㅠㅠㅠ
@Um-1-Ym
@Um-1-Ym 3 года назад
할어버지 잘 계시나요
@손석현-f7j
@손석현-f7j 3 года назад
@@Um-1-Ym 시골에 농사지으시면서 잘 계십니다.
@헿힣핳-n4p
@헿힣핳-n4p 3 года назад
@@손석현-f7j 영웅의 자랑스러운 말년이네요 존경스럽군요
@정이지-r8e
@정이지-r8e 3 года назад
어우...
@isuy7892
@isuy7892 3 года назад
얼마나 파파샤가 인상깊었는지 아직도 연사되는 총이면 죄다 따발총으로 부르는거보면ㅋㅋ 하기야 볼트액션이고 나발이고 자동화기가 최고긴 하지ㅋㅋ
@mx6296
@mx6296 3 года назад
개인적으로 볼트액션을 상당히 좋아하긴 하지만, 애초에 실용적으로 볼트액션이 반자동에 어케 비빔ㅋㅋㅋ
@정이지-r8e
@정이지-r8e 3 года назад
ㄹㅇㅋㅋ
@이호정-s8w
@이호정-s8w 3 года назад
@@hongsjjai 정답
@PikaPi678
@PikaPi678 3 года назад
@@hongsjjai ㅋㅋㅋ 일반 보병한테 장거리 명중률이 무슨 소용임 미군도 저격수 필요하면 스프링필드 지급하는데 걍 내가 M1 들고있는데 상대가 M16 들고있다고 생각하면 편하지 ㅋㅋ M16보다 M1이 명중률 좋은데 님은 M1 쓰겠음? 비교 자체가 성립이 안됨
@blackcow_two_plus
@blackcow_two_plus 3 года назад
@@hongsjjai 2:27
@blackcow_two_plus
@blackcow_two_plus 3 года назад
@@hongsjjai 확실히 볼트액션이 노리쇠 후퇴전진에 의한 반동이 적은건 사실이지유 껄껄 하지만 모신나강이랑 M1 개런드의 사거리 위력 명중률은 큰 차이가 없다네유
@조원우-i6q
@조원우-i6q 3 года назад
M1은 좋은 총인거는 이견이 없는데 한국군은 저걸 70년대까지 굴렸다는게 안타깝기도 함
@bulletguy8287
@bulletguy8287 3 года назад
근데 뭐 자유진영권에서는 전설로 등극한 AK를 제외하면 전부다 고만고만했죠 FN FAL이나 G3같은 명품들이 나오기는 했지만 자동사격에서는 탄구경이 커서 반동제어가 잘안되는지라 당장 사야될거 투성이인 국군입장에서는 개런드를 계속 굴리는게 맞는선택이죠
@포리스트캠프
@포리스트캠프 3 года назад
@@bulletguy8287 걍 돈이 없어서 굴렸던 게 큼.. 60년대 윗동네 ak 도입했다는데 대응책이 마땅치 않으니 궁여지책으로 기존 카빈용 탄창과 파우치를 30발들이로 개조하라고 했었다니..
@kkw2401
@kkw2401 3 года назад
미군은 m1a랑 m14로 개조해서 써먹고있었지만 한국군은 그럴 여유가 없었으니까요. 베트남전되서야 미군이 신규도입한 m16 공여받으면서 그나마 새총받은거지
@pujamsoren
@pujamsoren 3 года назад
교련용까지 포함하면 80년대까지죠
@탐조등-y3y
@탐조등-y3y 3 года назад
M16 도입 전까지 보유 중인 M1 카빈을 전자동 M2 카빈으로 개수를 많이 했다고 하죠. 탄창과 장구류까지 기존 20발 들이에서 30발 들이로 바꾸고요.
@삼성아이폰-y5h
@삼성아이폰-y5h 2 года назад
고한빈 학예사님!ㅋㅋㅋ 과거에 11사단에서 많이 챙겨주셨던 장교 동기분을 여기서 뵙네요ㅎㅎ 특유의 말빨과 끼가 있었어서 보자마자 알아봤습니다ㅋㅋ 개인화기에 사비로 산 도트사이트 달고 사격훈련에서 만발쏘던 밀덕이었는데 전쟁박물관에서 근무하시다니 성공한 덕후가 되셨네요 ㅎㅎ
@mogamduk2357
@mogamduk2357 2 года назад
부럽소
@minkikim2513
@minkikim2513 4 месяца назад
진짜 총에 관심 1도 없는 일반 민간인인 나도 이렇게 재밌게 볼 수 있도록 잘 만들다니... 게다가 전쟁의 아픔과 역사까지도 많이 배워갑니다. 감사합니다.
@KawasakiJM
@KawasakiJM 3 года назад
이 나라를 구해놓으신 참전용사분들이 받는 돈은 월 22만원.. 이제 몇년 뒤면은 살아계시기만해도 다행인데 돌아가시기전에 혜택 더 많이 받으셨으면....
@어에-r7y
@어에-r7y 2 года назад
혜택
@KawasakiJM
@KawasakiJM 2 года назад
@@어에-r7y ㄱㅅ
@jisigiyoutube
@jisigiyoutube 8 месяцев назад
미국: 와 용맹한 영웅이십니다! 한국: 뭔데이 할배는
@MornigBellyFat
@MornigBellyFat 3 года назад
항상 퀄리티 높은 영상을 올려 주셔서 감사합니다. 건들건들 제작진 여러분, 항상 건강 조심하세요.
@레이오트
@레이오트 3 года назад
여담이지만 원 오브 사우전드라는 도시전설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소련이 모신-나강 소총 중 정밀도 높은 총을 골라내어 장전손잡이를 스코프에 충돌하지 않는 버전으로 교체해서 운용한 것에서 나왔다고 하죠.
@sungminhwang1700
@sungminhwang1700 3 года назад
모든 전쟁은 항상 지휘력과 병사숙련도, 사기 그리고 보급과 국력이죠드뎌 PPSh-41와 그리스건도 나오겠죠? 그나마 소련 폐급 중고가 나았지 북한이 자체생산한건 질적 수준이 떨어졌죠. M3에 이어 국군도 쓴 톰쓴 이야기와 기관총도 보고프네요 항상 좋은 지식 감사드립니다! 또한 호국선열들에게 감사드립니다 ㅜㅜ
@nang-in
@nang-in 3 года назад
볼트액션 과 반자동 소총의 차이는 제압사격이 되냐 안되냐 힘드냐 차이 이게 엄청난 차이 입니다
@최태욱-s7q
@최태욱-s7q 3 года назад
어떤 총이든, 젊은 날 나라의 자유와 평화 후손들의 미래를 위해 피를 흘린 국군과 UN 참전 용사들은 지금의 한국에게 있어 위대한 '영웅'이십니다
@나만악에서구하소-j7c
@나만악에서구하소-j7c 3 года назад
대한민국과 우리 동대를 수호한 M1 개런드 한표
@whatever-it-takes
@whatever-it-takes 3 года назад
미군총은 못참아..헤으ㅇ♥️ 핑소리까지..
@cindy2756
@cindy2756 3 года назад
@@whatever-it-takes 음...
@윤도훈-b3k
@윤도훈-b3k 3 года назад
탄약 노획 가능하고 저격 똥쟁이 짓 가능한 모신나강 한표
@김시성-b7p
@김시성-b7p 3 года назад
@@윤도훈-b3k 같은 이유 +조작이 쉽고 튼튼하다는 점에서 모신한표
@Jdjsajicbs
@Jdjsajicbs 3 года назад
청명한 핑소리에 홀려 개런드 한표
@кировкироф
@кировкироф 3 года назад
한국군인들에게 경의표합니다... 나라를 위해 목숨을 걸고 지켜주셨어 감사합니다
@탐조등-y3y
@탐조등-y3y 3 года назад
저격 성능을 언급하면서 급탄 방식 차이로 인한 스코프 장착 위치 차이를 언급하지 않는 건 좀 의외였습니다. 모신나강은 저격 용도로 활용 시 조준경과의 간섭을 피해 스트리퍼 클립 급탄을 포기하고 단발 급탄 하는 대신, 스코프가 총열 바로 위에 올라오니까 영점을 잡아 놓으면 거리에 따른 상하 편차만 보정해 주면 됐습니다. 반면 M1은 엔블록 클립 방식이라 장전 시 조준경과의 간섭을 피하려면 조준경이 총열의 왼쪽 대각선 위에 위치해야 했습니다. 이러면 영점을 잡아도 거리 별로 상하 편차와 함께 좌우 편차도 생기게 되죠.
@ssbadboyKAIZER
@ssbadboyKAIZER 2 года назад
그래서 본영상에 저격용도로는 모신나강의 손을 들어주지 않습니까. 세세한 스펙들이나 전훈들까지 다 다루려면 이 짧은 시간내에 가능하겠습니까?. 님이 영상을 만들어서 이 영상보다 재밌고 쉽게 이해가 되면 인정해드리겠습니다. 책만 줄줄 외운다고 접근성 좋은 영상을 잘 만들수 있는건 아니죠. ㅍ
@한입먹힌피카츄돈까스
@한입먹힌피카츄돈까스 2 года назад
@@ssbadboyKAIZER 그냥 추가적인 설명을 하는건데 왜 이렇게 뭐라하세요;;
@ssbadboyKAIZER
@ssbadboyKAIZER 2 года назад
@@한입먹힌피카츄돈까스 다시 들여다보니 뭔가 다른 뜻이 담긴게 아닌가 넘겨짚었던듯 싶습니다. 전영호님에겐 사과를 드립니다.
@김민수-s4p
@김민수-s4p 2 года назад
개런드 모신나강 너무 좋아요 ㅠ ㅠ 이분들이 있어 지금의 우리가 있습니다 저희나라 지켜 주셔서 감사함니다
@정현-v7c3l
@정현-v7c3l 3 года назад
당시 A특공대라고 해서 지게(미군이 보기에 지게가 A자 모양이었음)부대들이 능선으로 보급품을 져 날랐죠. 제가 오래전에 본 다큐가 기억나네요
@ssonsang1
@ssonsang1 3 года назад
목숨이란게.. 생명이란게... 얼마나 소중한가.. 그런 소중한것을 나라를 위해 기꺼이 던지신 분들에게 진심으로 고맙고 감사하단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더불어 그렇게 가족을 친구를 지인을 보내시고 지금까지 그리워 하는 많은 분들에게도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영웅들 덕분에 제가 이 시대를 누리고 있음을..
@ytghdrrt8096
@ytghdrrt8096 3 года назад
3:37 바실리 자이체프 등장
@sdda1985
@sdda1985 3 года назад
열악하고 아무 보상도 없는데 나라를 위해 희생하신 모든분들께 감사드립니다
@whatever-it-takes
@whatever-it-takes 3 года назад
미군총은 킹정이지 ㅋㅋ M1개런드 최고♥️
@cindy2756
@cindy2756 3 года назад
-와 미국 천조국 뽕에 취한다-
@Тычистка
@Тычистка 3 года назад
퉁! 퉁! 퉁! 퉁! 퉁! 퉁! 퉁! 퉁팅!~~~♡
@어에-r7y
@어에-r7y 3 года назад
@@Тычистка 찐
@정이지-r8e
@정이지-r8e 3 года назад
ㄹㅇㅋㅋ
@sunnybang4575
@sunnybang4575 3 года назад
전 M1 개런드보단 M1A(M-14)가 더 좋아요. 한국 전쟁 후 개발이 되었으나 20발 탄창에다가 위력도 거의 차이가 안 나며 오히려 저격총으로 쓸 시에 M1 개런드보다 사거리, 반동 제어, 명중률과 정확도가 좀 더 좋다고 하네요.
@rp6583
@rp6583 3 года назад
에초에 화력이든 뭐든 그때당시 방탄복도 제대로 지급 안됬고 그때 당시 맞으면 생사가 오갔는데 6.25 당시 최고의 총은 그때 남북한 평균키 고려해서 들기 쉬운총 인거같네요
@user-gk1dt5gs4r
@user-gk1dt5gs4r 3 года назад
뻬뻬샤가 그래서.....
@최현성-b2b
@최현성-b2b 3 года назад
그래서 국군들 사이에선 개런드보단 카빈을 더 선호했다는 말도 있어요
@님조랄
@님조랄 3 года назад
M12 방탄복은 대전 후반기에 많이 지급됨.
@asooiso
@asooiso 3 года назад
K2 들고 k2전차 뒤에서 싸우라고 해도 못싸우겠는데 총으로 전차 잡을려했던 6.25 를... 존경합니다
@이태영-j5u
@이태영-j5u 3 года назад
잘봤습니다 ~~~
@Jk-hk5wu
@Jk-hk5wu 3 года назад
돌아가신 할아버지께서 육군 일등중사로 백마고지 전투에 참여 하셨는데.... 야간 경계작전 하기전에는 최대한의 수류탄과 지뢰를 지게에 짊어지고 고지에 오르셨다고 말씀해주신 기억이 나네요...
@pujamsoren
@pujamsoren 3 года назад
일등중사이셨으면 지금으로 치면 하사셨겠네요 그때는 상병을 하사라 부르고 병장을 이등중사로 부르는 등 계급 명칭과 마크가 달랐죠
@부군코코
@부군코코 3 года назад
군필로써, 총은 가볍고 닦기좋고 잘맞는게 최고다.
@moblepolice
@moblepolice 3 года назад
간편한 조작성과 편리함 정답!
@카레라면-o4e
@카레라면-o4e 3 года назад
그래서 M1 카빈도 좋다고 들었어요 ㅎㅎ
@nang-in
@nang-in 3 года назад
@Unknown_Account 그총이 가볍운 총도 총기수입이 편한 총도 아닙니다... 잘 맞는 총에는 들어갈지는...
@이정민-d2n8z
@이정민-d2n8z 3 года назад
그 당시 동양인 신체에 m1카빈이 딱이죠
@nanokim6766
@nanokim6766 3 года назад
우리것이 좋은것이여 🇰🇷
@헿힣핳-n4p
@헿힣핳-n4p 3 года назад
미제임
@k.forsthia6787
@k.forsthia6787 3 года назад
K2 딱대 ㅋㅋㅋ
@U-dong
@U-dong 3 года назад
우리것 찾기 Lv99
@magicalconch
@magicalconch 3 года назад
라고 말하는 아헤가오 프사의 한사람.. 당신은 도덕책..
@하와이인천
@하와이인천 3 года назад
군대에서 유해발굴 했을때 저 총알들 많이 나왔었는데 신기방기
@pujamsoren
@pujamsoren 3 года назад
아 유해발굴단에서 군복무 하셨나봐요
@dolezhang9265
@dolezhang9265 3 года назад
평야에서 장거리 교전할때는 큰 치이 없을지도몰지만 시가전이나 숲이나 산지 언덕등등이 복잡지형 같은 시계가 제한된곳에서는 M1이 월등히 앞섰을게 확실하군요
@q1w21
@q1w21 3 года назад
개런드는 클립이 없으면 단발총이 돼버리는 특성상 스코프를 기울이거나 일반적인 총보다 앞쪽에 달아야 해서 여기서도 저격 점수가 깎이지 않았나 싶네요
@lfktrkrzkx8162
@lfktrkrzkx8162 3 года назад
빨리 담편 올려줘용.
@jaeminryou9831
@jaeminryou9831 2 года назад
시모 하이하는 사실 저격수라기보단 람보나 사신에 가까웠던 사람인게 설원에서 며칠이고 존버하다가 악천후 타이밍에 맞춰서 수십명씩 사살한 후 다른 포인트로 옮기는 방식을 썼음. 일반적인 저격수와는 완전히 다른사람이더군요.
@성병일-w2f
@성병일-w2f 3 года назад
돌아가신 우리 외할아버지. 625때 입은 총상이 옆구리에 있으셨지. 625에 대해서 별 말씀은 안해주셨음. 그냥 아무 말씀도 안해주셨음. 말하기도 생각하기도 싫으셨던 기억이었는가봄
@HK-oe7zz
@HK-oe7zz 3 года назад
6.25때 참전 용사시군요.. 삼가 고인의명복을빕니다...
@영선-d8q
@영선-d8q 3 года назад
히틀러와 독일군의 전기톱 MG42도할수있나요??
@bangdoll4500
@bangdoll4500 3 года назад
연사가 가능한 개런드의 집단전 이점이 전혀 고려되지 않은점. 실제로 전쟁 에서는… 보병의 소총에 맞아죽는 사상자 보다도, 포격과 폭격에 죽는 사상자가 압도적으로 많다는 점. 그리고, 이보다 앞서, 진지에 설치된 기관총의 위력과 저지력이 소총 보다도 더 크다는 점. 일반 병사 데려다 놓고, 명중률은 비슷한데… 단발 볼트액션 소총과, 가스작동식 연발소총 중에, 뭘 선택할지 물어보면.. 지나가는 바보라도 연발소총을 선택함. 명중률, 내구성, 조작성등 모든걸 다 떠나서… 장전손잡이 땡기다가 디지는거 보다는 나으니까..
@astrojo6868
@astrojo6868 3 года назад
안전한 쾡이로 밭 갈래, 좀 위험(?)한 트랙터로 밭 갈래 묻는 개삽질
@레이오트
@레이오트 3 года назад
태평양 전쟁 당시 미군 1개 분대가 담당하고 있는 지역으로 일본군 1개 중대가 야간 대규모 병력 돌격을 시전했는데 이 때 참호 안의 병사가 자신과 전사한 동료의 M1 개런드 소총(과 탄약)으로 수 시간 동안 총격전을 벌여 못해도 1개 소대를 전투 불능으로 만든 일이 있습니다.
@님조랄
@님조랄 3 года назад
다부동 전투때는 포탄으로 인한 사상자보다 총으로 인한 사상자가 더 많았음
@어에-r7y
@어에-r7y 2 года назад
@@astrojo6868 전혀 다른데
@astrojo6868
@astrojo6868 2 года назад
@@어에-r7y ㅇㅇ 달라. 바보 눈으로 보면
@긴들매
@긴들매 3 года назад
뻬뻬샤에 맞선 국군 총이라면 이미 자료화면에 나왔지만 그리스건인가 보네요. 저거 웬만한 서방 국가에서 1980년대까지 다들 썼다던데... 아니 1990년대까지 쓴 나라도 많았다고 들어봤지만.
@에덴동산-m6s
@에덴동산-m6s 3 года назад
드디어 그리스건 얘기를 건들건들의 손을 거쳐서 들어 볼 수 있겠다 어예
@usergwhsj1
@usergwhsj1 3 года назад
현충원에 잠들어곈 참전용사 할아버지 보고싶네요.
@피카츄-d4e
@피카츄-d4e 3 года назад
한국전쟁 SMG대결은 어떻게되나요?
@12xxrcn85
@12xxrcn85 3 года назад
그리스건 vs 파파샤 대결이 되겠죠?
@whatever-it-takes
@whatever-it-takes 3 года назад
@@12xxrcn85 그렇겠네요
@피카츄-d4e
@피카츄-d4e 3 года назад
톰슨이 그리스건 보다 좋데요
@12xxrcn85
@12xxrcn85 3 года назад
@@피카츄-d4e 톰슨이 더 좋긴하지만 비싸고 해서 보급 문제 해결하고자 프레스공법으로 찍어만든 값싼 그리스건이 한국전에 보급이 많이된거로 알고있습니다. 그래서 톰슨 vs 파파샤보단 그리스건 vs 파파샤 구도가 되지않을까 생각해본 거구요.
@pujamsoren
@pujamsoren 3 года назад
아군은 M3와 극소수의 M1A1톰슨을, 적군은 PPSH41을 썼죠
@외밤톨이
@외밤톨이 3 года назад
스파이크형 총검의 위력은 찌르면 출혈이 더 심하고 지혈이 힘들다는 거죠.
@sonhuengmin1
@sonhuengmin1 3 года назад
길쭉한 원뿔 모양인가요?
@외밤톨이
@외밤톨이 3 года назад
@@sonhuengmin1 삼각별 모양입니다.사각별 모양도 있지만 대부분 삼각별 모양이입니다.
@user-oksh
@user-oksh 3 года назад
Thank for your service
@포도팩토리
@포도팩토리 3 года назад
드디어어어ㅓㅓㅓㅓ
@찬우정
@찬우정 3 года назад
다음에는 태극기 휘날리며,포화속으로,고지전에서 나온 총기들 비교도...
@이상혁-n5j
@이상혁-n5j 3 года назад
그건 빨강도깨비님이 하지 않을까요..ㅋㅋㅋㅋㅋ
@mixedcountry785
@mixedcountry785 6 месяцев назад
다만 그때당시의 필요한 연사력을 고려했을땐 아무래도 반자동인 m1 개런드가 조금더 유리하다고 볼수있겠는데요. 그이유는 간단합니다. 전차가 발전하면 참호전이 많이 사라졌는데요. 그래서 보병이 들고다니면서 사거리가 긴연발총기가 필요했던 시기였기 때문인데요.(기존의 소총은 사격속도가 너무느리고 권총탄의 기관단총은 사거리가 너무짧고 기관총은 무게가 너무 무거워 총기의 혁신이 일어났기 때문입니다.) 이로인해서 2차세계대전때 stg 44라는 돌격소총이 등장한것도 이런이유 때문이라고 합니다.
@영진박-y1k
@영진박-y1k 3 года назад
2:30 M1 개런드는 회전노리쇠가 아니었던가? 싶어서 찾아보니, 가스압 회전노리쇠가 맞네요, 손으로 꺽어잠그는거랑 같은 약실폐쇄일테고... 조건이 별다를바없으니 여기에 총열 제조기술까지 비등하면 단발사격 명중률이 거의 같아야 정상아닌가싶네요
@황정호-j9g
@황정호-j9g 3 года назад
다음은 전차대결(셔먼vs t-34/85)해주세요
@돌아에몽-p5j
@돌아에몽-p5j 3 года назад
이전에 최초의 대한식 소총은 볼트액션이지 않았나요. 신뢰도나 내구성은 볼트 액션이 유리하다 보는데 아닌가보군요. 나중에 대한식 소총 리뷰를 보고 싶네요 부산진 권총 리뷰도 언젠가는 나오겠지요.
@어에-r7y
@어에-r7y 2 года назад
혼자 딴소리 하는중
@돌아에몽-p5j
@돌아에몽-p5j 2 года назад
@@어에-r7y 먼소리 딴소리 ??????
@luansen0
@luansen0 3 года назад
내가 저 상황이라면 모신나강을 선택합니다 하얀사신이 사용한 총을 언제 또 써볼까요? 적어도 모신나강을 쓰면 장비탓하기 어려워지겠죠?
@namgun18
@namgun18 3 года назад
울 할머니가 전쟁때 군인들이 죽창같은거 엮어서 바리케이드 만들고 총도 없는지 그거 들고 싸웠다고 하심 그리고 사시사철 두꺼운 목화이불을 덮고 자는데 자다가 총소리나면 그거라도 덮어서 총알막으려고 했다고 함 그리고 우리는 모신나강이라고 하지만 할머니는 그걸 딱콩총이라고 말하심 총알이 날아가면서 벽에 부딪칠때 딱콩소리나 난다고 해서
@MoNo0615
@MoNo0615 3 года назад
모신의 장점 총 잃어버리면 땅파면 나옴 창으로 사용가능 개머리판과 수류탄으로 야구를 할수있음 과거 러시아 제국국,소련군,현 러시아의 농부들의 필수아이템
@ginrei2305
@ginrei2305 3 года назад
좋은 영상에 그저 캄사를 드립니다 ㅠ.ㅠbbbbbb
@bartkim6448
@bartkim6448 3 года назад
전쟁은......전쟁은 결코 변하지 않아
@kelsen1975
@kelsen1975 3 года назад
어....시모헤이웨는 저격하지 않았다고 하던데요. 그는 그냥 기다렸다가 마치 맹수가 먹잇감을 사냥하듯 스나이핑이 아닌 헌터킬러를 했다고 합니다. 그 당시에 턱이 부서진 것도 포격에 의한 것이 아니라 총알에 의한 것이라고 하더군요. 저도 스나이핑한 걸로 알았는데, 애초에 시모헤이웨에겐 스코프가 필요없었던 이유도 바로 이런 식의 공격법 때문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원래 쓸줄도 몰랐다고 하더군요. 누가 감히 건들건들의 강연에 토를 달겠느냐마는....옆동네 국방티비에서 존남님이 그러셔서요. 흥정과 싸움은 붙이는게 맛이라니까....자...줄을 서시오! 누구에게 돈을 걸겠소....저는 붙인 쪽이니, 존남님한테 100원....
@이상혁-n5j
@이상혁-n5j 3 года назад
얼마전 국방티비서 전쟁기념관 수장고 나오던데 ㅎㄷㄷㄷ함... 외국 총기수집가들 눈뒤집어 질만한 거 꽤 많아보이던데...ㅋㅋㅋ
@kryptoman_mask
@kryptoman_mask 3 года назад
저라면 주저도 안하고 개런드 택합니다. ㅎㅎ 기관총, 볼트액션 조합보다 기관총, 반자동 조합의 화력이 압도적이니까요. 그나저나 미국이 만든 것 중에 진짜 대단한 총은 1911 권총~ 이건 디자인부터 지금봐도 촌티가 안나요.
@어에-r7y
@어에-r7y 2 года назад
1911은 많이 바뀜
@manen0
@manen0 3 года назад
드디어나왔군
@김태윤-p3b
@김태윤-p3b 3 года назад
8:55 왜 그림에 ak소총이 나오지?
@ikida6739
@ikida6739 3 года назад
그전 그림엔 m16 나오니까 곧 m16이랑 ak47 비교 다시하실듯 ㄹㅇ루 ㅋㅋ
@be734
@be734 3 года назад
베트남전?
@김태윤-p3b
@김태윤-p3b 3 года назад
@@ikida6739 그전 그림은 월남전이 맞는것 같네요 근데 그 그림엔 북한 국기가 있네요
@MusiciansofBuremen
@MusiciansofBuremen 3 года назад
합성하면서 생긴 실수거나 아니면 6.25때 전투를 재연하던 공연(?)등의 장면에서의 캡쳐같아 보이네요. 그렇다면 공연연출의 소품 오류라고 생각되네요
@김태윤-p3b
@김태윤-p3b 3 года назад
@@MusiciansofBuremen 오 감사합니다
@HSM544
@HSM544 3 года назад
반자동vs볼트액션
@dolezhang9265
@dolezhang9265 3 года назад
대량생산된 모신나강은 따발총 파파샤의 대량 생산이 가능하게 된데에도 절대적인 기반이 되었습니다
@韓國한국
@韓國한국 Год назад
모신나강은 러시아(소련)에서 만든 소총이구요 M1 개런드는 미국에서 만든 소총으로 알고 있습니다
@hedgehog92
@hedgehog92 3 года назад
모신나강은 볼트액션 소총이라 한 발 사격하고 다음 탄을 사격할때 다시 노리쇠 후퇴전진을 시키게 되는데 그때 혹시 접용접이 떨어진다거나 틀어지지는 않나요?
@이병훈-x7r
@이병훈-x7r 3 года назад
사실 모신나강이 좋을이유 전혀 없지 디자인이야 볼트액션이면 고만관한거지만 2차대전당시까지 소련의 공업기술력에서 정밀성은 많이 부족했음 그리고 디자인도 모신은 스프링필드 1903형 보다 나을게 없고 모신나강 저격수가 전설같지만 실은 레닌그라드 전투경우 건물안에서 30cm 안에 들어가는 사수있음 저격수 시켰음 건물크기가 뭐 얼만한지 뻔할거고 백메터 안될것이었음 저격수라고 뽑아놓으면 적들이 최대안 가까이 올때까지 매복했다 원샷에 한명죽이면 성공 인구수로 보면 일대일 전비 나오면 백프로 이기는거지 그리고 고질적인 소비엣의 부식성뇌관은 좀 쏘고난 소총의 총열을 망가드렸음 근데 이걸 뭐 명중율의 전설 운운하는것은 넌센스 하기사 워낙 많이 생산되다 보니 그중 가끔은 명중율 괜찮앗을수도 있지만 글쎄?
@nicoscramble5343
@nicoscramble5343 3 года назад
아니 나는 총기니 무기니 관심 1도 없는데 왜여기서 이렇게 재미보고있지잉
@임호현-x4q
@임호현-x4q 3 года назад
안녕하세요 항상 영상잘보고있는 초등학생 구독자입니다. 제가이번에 국어숙제로 영상발표자료를 만들어야되는데 제가 아무래도 총과 전쟁역사를 좋아하다보니 이영상이 생각나더군요 그래서 이동영상을 발표자료 참고영상으로 쓰고싶습니다. 제가 유난떠는것같지만 그래도 말씀드려야될것같아서;; 이렇게 댓글로씁니다. 마지막으로 영상항상잘보고있습니다. 앞으로도 재미있고좋은영상 많이만들어주세요^^ 감사하고 죄송합니다.
@Elaina-Riviere
@Elaina-Riviere 3 года назад
다음판 PPSH41 VS M3A1 ㄱㄱ
@lee112u
@lee112u 3 года назад
모시나강이 QC가 제대로 않되서, 미국에서 중고품을 Garbage Rod, 쓰레기 막기라고 불리지요
@sunghwankim9552
@sunghwankim9552 3 года назад
달리며 싸워야 했던 환경이였기에 연사가 무조건 중요했겠지 그래서 나온게 돌격소총이기도 하고
@양씨형
@양씨형 3 года назад
👍👏🙏
@jeanw1877
@jeanw1877 3 года назад
어릴때 비비탄 가지고 놀때 생각하면 m1이지 한번 쏘고 장전한다는게 얼마나 사람을 초초하게 만드는지
@nwt9655
@nwt9655 3 года назад
XB소총도 부탁드려요
@Firebat337
@Firebat337 3 года назад
어릴때 비비탄총 가지고 놀아본 사람들이라면 당연히 m1을 선택하지 않을까 싶음. 볼트액션 엄청 불편해요
@이정민-d2n8z
@이정민-d2n8z 3 года назад
공감합니다 볼트액션은 화력이 너무 빈약해져요 그리고 소총이 관리가 잘 안되면 볼트를 작동하다 탄이 걸릴수있고..
@kik310
@kik310 3 года назад
개런드는 연사가 되는거부터 일단 강력
@kangaroojack4277
@kangaroojack4277 3 года назад
미국아 야드법좀 그만써라.
@남형주-j3x
@남형주-j3x 3 года назад
제발 미터법 좀 써줬으면....
@정이지-r8e
@정이지-r8e 3 года назад
ㅋㅋㅋㅋ
@ShPlum
@ShPlum 3 года назад
이미 항공에서는 야드파운드법이 기본..
@탐조등-y3y
@탐조등-y3y 3 года назад
@@ShPlum ???: 요즘 산업계 전반에서 미터법이 많이 쓰이더라만, 영국 단위계는 인류를 달에 보냈다. 니들이 항공 우주를 계속 할 거면 영국 단위계에 익숙해지고, 그렇지 않으면 러시아로 가라.
@ShPlum
@ShPlum 3 года назад
@@탐조등-y3y 결과:화성 궤도선 추락 ㅋㅋ
@user-nasanato
@user-nasanato 3 года назад
다음 주제는 M3그리스건?
@IIIIIIlIIIlllllII
@IIIIIIlIIIlllllII 3 года назад
양측 진영 모두 산악지형에서 보급에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면 총알 떨어지는건 다반사이고 이것때문에 백병전도 자주 일어났고 이때 근접전에서 위력을 발휘하는 따발총이 국군 입장에서는 악몽과도 같았다는거네.
@님조랄
@님조랄 3 года назад
북한군이 목표를 공격할 시 주로 백병전을 선호 했습니다. 먼저 북한군의 전술 교리를 보자면 보병 소대는 목표지점으로 이동하기 위해 지형지물과 위장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이동을 하고 이후 적의 화선으로 도착한다면 소대는 그곳에서 참호를 파 대기를 하면서 상부에서 정해놓은 돌격선으로 진출하기 위해 소대장은 분대들에게 돌격선으로 전진하라는 명령을 내립니다. 이렇게 하여 명령을 받은 분대들은 그 즉시 돌격선으로 진출하고 적 진지와 매우 가까운 돌격선에서 포병의 사격지원을 받으면서 소대장의 돌격신호를 기다려야 합니다. 그렇게 시간이 좀 지나 소대장이 '돌격 앞으로'라는 명령을 내리면 각 분대들은 적 진지를 향해 총돌격을 감행하죠. 여기서 분대는 적진 40m-50m 내에 접근하는데 성공한다면 반드시 *"만세!"* 라는 함성을 지르면서 돌격을 하며 적진 25m-30m 내에 접근 시에는 미리 준비한 수류탄을 던지면서 '만세!' 라는 함성과 동시에 그들과 백병전을 펼쳐 격파해야 합니다. 그 후 적을 격파하는데 성공한다면 소대는 만세를 부르면서 진지를 차지하고 적의 반돌격을 격퇴할 준비를 한채 방어태세를 갖춰야만 하죠. 이때 만약 진지 내에 적이 남아 있다면 소대는 조를 편성해 그들을 사살하거나 또는 포로로 붙잡아야 합니다. 즉 전술부터 백병전 교리였죠.
@은하건설중기
@은하건설중기 3 года назад
산에서 625때 사용한 M1 8발탄창 주웠었는데.
@rebuildingham2934
@rebuildingham2934 3 года назад
에휴 한국전이후 시간이 얼마나 지났는데 배달의 기수 같은 체제선전용 찌라시 영화만 찍어낼생각만했지 사용무기 고찰은 영상은 안만들었으니 건들건들팀이 열일합니다
@김규태-s9e
@김규태-s9e 3 года назад
저격수라는 게 나중에는 SVD를 지급받은 지정사수를 말하는 건가요
@anathema_priest
@anathema_priest 3 года назад
소련군 편제의 영향을 받은 구 공산권의 보병 분소대에는 저격수라는 보직이 있었는데 (지금도 존재하기는 합니다만...) 이 저격수가 실제 스나이퍼(저격수)를 의미하는 것인지 단순히 샤프슈터, 막스맨(지정사수)의 개념인지는 정확히 알기 어렵다고 영상에서는 말하고 있습니다. 지금에 와서는 서로의 역할이 완전히 분리되어 있으나 2차대전과 한국전이 일어날 당시에는 두 경계선이 상당히 모호하고 저격수이지만 분소대에 배치되어 지정사수역할을 하는 경우도 있고 지정사수들이 팀단위로 움직이며 작전을 주도하는 경우도 있었으니 명확히 당시 구 소련군 편제에 영향을 받았던 저격수 보직이 실제 저격수인지 지정사수인지는 확실치 않다고 보여집니다.
@dscrites8143
@dscrites8143 3 года назад
모신나강은 m1903 스프링필드랑 비교해야 하는거 아닌가 같은 5발 볼트액션 저격용으로 운용됐는데
@cindy2756
@cindy2756 3 года назад
아니지 북한군이 모신나강 m1891들고 나왔는데 우리 국군은 m1 카빈이나 m1개런드 들고 싸웠으니 비교할만하지
@PikaPi678
@PikaPi678 3 года назад
당시 미군 보병 편제에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곤 스프링필드가 없었음. 국군도 마찬가지고, 그러니 현실적으로 마주치는건 모신나강든 북한/중국 보병과 M1든 국군/미군 보병간의 교전이 일반적이었고.
@Jefferson-tl2oo
@Jefferson-tl2oo 3 года назад
러시아탄은 지금도 현역이죠. 드러구나 이후 저격총들이 죄다 저걸쓰니... 30은 7.62 나토 이후에 군용에서는 활약이...
@elvenisar
@elvenisar 3 года назад
안 쓰는데 어떻게 활약함^^;;;; 성능이 떨어져서 안쓰나? 대체규격 나와서 싹 바꿨으니 안 쓰는거지... 7.62*54R은 좋아서 쓸남유? 대체품이 없으니 아직도 쓰는 것 뿐. 정확히는 소련이 잘 한건 맞음. 2차대전 교훈을 받아들여서 7.62*39탄 도입, 이후 베트남전 교훈을 받아들여 5.45*39탄 도입. 역할이 겹치지 않는 7.62*54R탄 아직도 퇴역없이 사용중. 미국은? 2차대전 발발 이전에 이미 중간탄 개념으로 .270탄 도입시도->이 탄을 사용하는 신형 반자동소총 도입사업->M1개런드 채택(10발들이 클립, 3Kg초반대 무게)->맥아더 장군이 거부->30-06탄 사용하도록 M1개런드 마개조(8발들이 클립, 4kg대 무게)->2차대전의 교훈을 받아들여 중간탄 재도입 논의->군 장성들이 극렬히 반대하여 7.62*51mm 나토탄 도입&M14 제식소총 채택->베트남전에서 개같이 깨지고 m1카빈 다시 꺼내들었다가 공군부대에서 기지 방어용으로 쓰던 M16을 날림으로 신형제식소총 채택->일선 지휘관들이 자기가 그 총에 대해서 공부도 안하고, 그렇다고 "잘 모른다"고 도 자존심 상해서 이야기 못 하는 바람에 병사들이 총기수입 하는 방법을 몰라서 탄매가 쌓인 총 들고 다니다가 기능고장나서 청문회 까지 함->신형소총 도입 시도 꾸준히 했으나 아무것도 채택 안 하면서 총기회사 여럿 도산시킴->95년경 아부다비카빈(M4)의 개량형인 M4A1카빈을 전군 제식소총으로 도입->26년째 제자리걸음. 7.62*51mm탄과 역할이 겹치는 30-06탄은 돌아오지 못하고 끝남.
@푸우푸우-s7v
@푸우푸우-s7v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총검 대결을 할때는 총알이 남아 있는 사람이 이기죠
@SkunkWorks901
@SkunkWorks901 3 года назад
근데 왜 북한군하면 모신나강 보단 따발총 PPSh가 먼저 생각날까요??
@wbinzester2721
@wbinzester2721 3 года назад
떼삼사도
@cindy2756
@cindy2756 3 года назад
그리고 소련무기란 무기는 다 들고옴 ㅋㅋ
@pastatuna2557
@pastatuna2557 3 года назад
양민 학살할때 애용되던 무기같잖아요
@유사인류조센진
@유사인류조센진 3 года назад
돌격해온 적병이 참호에 뛰어들어서 막 갈겨대는게 그거니까. 눈앞에 바로 보이는 공포가 압도적이지
@hongkim3855
@hongkim3855 2 года назад
저 대결구도에서 대부분 우리나라 무기 손을 들어준 바람에 총은 우리가 전부 다 나았으니 결국 패전이나 희생이 발생하는 것은 부족한 사람이 문제였다로 결론이 나오는 기괴한 시리즈.
@하늘에서뷔가내려-l3j
@하늘에서뷔가내려-l3j 2 года назад
한국에서태어나서자랑스럽다
@남자탁용삼
@남자탁용삼 3 года назад
다음주에는 국군의 북한군 따발총 ppsh41기관단총대응한 기관단총은 무엇일까,,,,??? 우리국군톰슨 M1928 M1A1&M3 기관단총으로 대응했는지??? 스프링필드 소총 리엔필드 소총 스텐기관단총 PPSH-43 기관단총도 사용했는지 ^&*^~?!
@닉네임-z9y
@닉네임-z9y 3 года назад
모신나강에 총검을 단다면 진짜 누구보다 긴 죽창 가능 아임까ㅋㅋㅋㅋ
@junesix2501
@junesix2501 3 года назад
오늘 알게된 사실인데. 국방부 군사편찬위원회에서 올해 3월에 6.2 5전쟁에 사용된 육.해.공군의 무기들을 국군, UN군 북한군 중공군 가릴 것 없이 총망라하여 2권에 걸쳐 담아 발간하였습니다. 국방부 군사편찬위원회 홈페이지에서 PDF로 공개하고 있으니 관심 있으신 전우님께서는 꼭 읽어보시길 바랍니다.
@님조랄
@님조랄 3 года назад
오류도 꽤 있더군요.
@junesix2501
@junesix2501 3 года назад
@@님조랄 그런가요... 그래도 6.25만 콕 찝어서 정리한 자료는 원채 드문데다, 무엇보다 공개자료라는 점에서 나름 의미는 있다고 생각합니다.
@님조랄
@님조랄 3 года назад
@@junesix2501 그쵸. 다만 오류가 너무 많습니다. 특히 공산군 무기 편에서 대전차소총 편은 도저히 말이 안나올 지경이고 이외에도 자잘한 오류가 너무 많이 있기에 개인적으로 매우 아쉽다고 생각합니다.
@junesix2501
@junesix2501 3 года назад
@@님조랄 그정도 인가요ㄷㄷㄷ 심각한가 보군요,,,
@님조랄
@님조랄 3 года назад
@@junesix2501 너무 심각합니다. 아예 없는 부대까지 나와요
@McDonaldKetchupThief
@McDonaldKetchupThief 3 года назад
근데 백병전이면 모신나강이 유리할듯 옛날 화약이 없었던 시대에선 창이 최강이 중근접 무기 였으니 그 이유가 기본 아무리 짧아도 창은 1미터가 너므니 리치의 우위 그리고 베는것 보단 뚫는게 더 유리하고 전쟁터에서 절단이란 것보다 벤 상처를 낸다가 더 가깝지 모신나강은 길이랑 착검이 길어서 창의 형태를 뛰고있음 조금의 힘으로도 치명상을 입힐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된 창과 외형적으로도 같으니 칼 모양 개런드보단 창 모양 모신나강이 맞을듯
@곡서-q5b
@곡서-q5b 2 года назад
M1 carbine은 백병전에 적합하지 않는 무기입니다
@김희민-r3k
@김희민-r3k 3 года назад
k2 소총 다뤄줘... 차세대 한국 소총도 좋고
@Famaji
@Famaji 3 года назад
음... 숙련도가 중요하겠구나. 당시 체격으로는 M1개런드가 엄청 컸다고 하더라구요.
@부군코코
@부군코코 3 года назад
당시분들은 키 170넘는분들도 많이 안계셨는데 저 큰 엠원을 들면 어깨에 걸었을때 발목에서 개머리판이 딸랑거렷다고..
@Famaji
@Famaji 3 года назад
@@부군코코 네! 맞아요...잘 아시네요
@cindy2756
@cindy2756 3 года назад
m1개런드가 4.5kg정도니 들고 뛰기 어려움 그래서 총을 카빈으로 쓴거 ㅇㅇ
@남자탁용삼
@남자탁용삼 3 года назад
6.25 한국전쟁때 북한군은 저격수를 운용했는데 우리 한국군은 저격수는 없었나요 🤔😠😡??!
@님조랄
@님조랄 3 года назад
당연히 있었음요
@무하-e1s
@무하-e1s 3 года назад
언제 한국군은 저격수가 없다고 했냐 당연히 있었겠죠....
@pujamsoren
@pujamsoren 3 года назад
있긴 있었을텐데 미국처럼 1903썼겠지만
@hjh214
@hjh214 3 года назад
병사전원이 훈련이 아주 잘되어있다면 개런드겠지만 걍 아무나 막 집어서 내보내는거면 모신나강이겠지. 어차피 그냥 내보내는 징집병한테 뭐 명중률을 기대하는것도 아닐테고
@님조랄
@님조랄 3 года назад
실제로 낙동강 전역에서는 북한군, 한국군 전부가 개판이어서. 방아쇠 당길줄도 모르는 병사가 많았음.
@현-p8n
@현-p8n 3 года назад
하지만 핑 소리로는 개런드를 이길수 없다...
@whatever-it-takes
@whatever-it-takes 3 года назад
발사속도로도
@cindy2756
@cindy2756 3 года назад
@@whatever-it-takes 근데 정작 발사속도는 모신나강이 더 빠른게 ㅋㅋ
@태사다르-o9j
@태사다르-o9j 3 года назад
@@cindy2756 연사속도를 잘못말한듯
@sunnybang4575
@sunnybang4575 3 года назад
@@whatever-it-takes 연사력이 M1 개런드가 더 좋지 발사 속도는 모신나강이 좀 더 좋아요...
@루카치-u3m
@루카치-u3m 3 года назад
호국보훈의 달을 기념으로 장진호 전투를 상세히 다음 영상도 추천해 올려드립니다.. ru-vid.com/video/%D0%B2%D0%B8%D0%B4%D0%B5%D0%BE-IsnvMeUzPhY.html
@11_Gaius_Julius_Caesar
@11_Gaius_Julius_Caesar Год назад
개인적으로 내 생각인데 2차세계대전 당시 총기를 게임에서 제대로 표현하려면 노리쇠 후퇴와 전진을 장전키로 매번 수동으로 누르게 하게 해야 진짜 제대로 경험한다고 생각한다. 이걸 자동으로 해주니깐 볼트액션총과 자동총의 차이를 몰라요.
@limdongwhoan
@limdongwhoan 3 года назад
우리국군도 dm지정사수 운용하나요???
@JuaneeGhim
@JuaneeGhim 3 года назад
없을걸요? 기관총사수에 포반이 운용됨
@limdongwhoan
@limdongwhoan 3 года назад
여전한 포방부 똥포쓰라그러네
@PikaPi678
@PikaPi678 3 года назад
독일 보병분대도 기관총만 잡히면 개런드에 일방적으로 사냥당했다는거 생각해보면 ㅋㅋㅋ 볼트액션은 집에 갈때 됬지 게다가 미군은 기관단총에 BAR, M1919까지 분대에 지급되는데 총대총 비교가 좀 의미없긴 함.
Далее
Только ЕМУ это удалось
01:00
Просмотров 2,9 млн
ДУБАЙСКАЯ ШОКОЛАДКА 🍫
00:55
Просмотров 2,6 млн
Только ЕМУ это удалось
01:00
Просмотров 2,9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