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건 몰라도..... 최근에 4060ti 와 vega FE 를 머신러닝용도로 세팅해서 돌려보려다 (1대에서) 실패한 결과로는.... 그냥 4060ti 를 권장하고 싶습니다. 3팬이고 뭐고... AMD 는 전력소모량이 지나칩니다.... 결과적으로는 여분으로 가지고 있던 1000W PSU 를 넣어서 테스트를 했는데... 기존에 4060ti 를 쓸때는 500W PSU 로도 동작에 문제가 없었는데.. 이후 테스트를 하다보니... 1개만 물린다고 했을때..(물론 VEGA 가 처묵처묵 라인업이라는건 참고하고 있습니다만) VEGA 는 500W PSU 로는 부족하더라구요... 영상 초반에도 쓰셨다시피 650W PSU 를 권장해야 하는 수준이라면... 저라면 5만원 더 쓰고 4060ti 를 쓰는게 결과적으로는 합리적인 선택일거라 생각합니다.
afmf1은 시기상조 afmf2야 말로 진정한 게임체인저 입니다. afmf1은 렉땜시 한템포 늦게 움직이더라구요 afmf2는 적어도 1의 빠른 이동시의 꺼짐이라던가 동작않하는 액정 화면등 버그 많이 수정 했더군요. 정말 기대 중입니다. 특히 umpc 사용하는 재 입장에서는 너무 좋은 기능이네요
AMD 다 좋은데, 명목상 표기스펙과 벤치성능은 좋은데... 그놈의 소프트웨어 불안정으로 충돌나는 것 정말 개같음. 어떤건 전원부나 메모리 열설계 미스로 튕기기도 하고... 1950XTX 당시 하이엔드에 가까웠던 것 샀다가 한 번 데이고(이것도 사제 쿨러 달아서 발열 잡음) 지금은 4년전에 맞춘 RX 5700XT쓰는데 또 발열 뿔딱에 튕김오류, 블랙스크린으로 매우 분개하는 중임. 이게 그 메모리 열설계 미스라서 강제로 언더볼팅에 전압 낮추고 쓰는중 ㅋㅋㅋ
아니 구입을해도.... 안좋을 시기만 골라서 ... hd7850 rx470 rx6600 rx6800 구입한 것들... 중고로 산것도 있고 새것으로 산것도 있고. 다들 가성비 전성비 좋을때만 구매..... amd는 x xt를 사느니 상위 non x 를 가는게 물론 가성비가 좋을때.
난 그냥 초기에샀던 5600x 에다가 rx6800쓰는데... 만족한다. rtx3070급으로 업글생각하고있었지만, 이것이 더 좋은것같다. rtx 4060ti보다도 더좋은것같은데? rtx4070급이라해도 되지않나?(안써봐서리..) 난 그냥 am4로 쭉 존버할거라서 나중에 게임재대로 하고싶으면 5700x3d정도만 조합해줘도 충분할것같은데?? 아직은 게임이 눈에 안띄어서...
@@eodyd55 퀘이사존 은 그냥 벤치마크 참고만 하면됨 해외 비교영상에서도 7900xtx 랑 4090 비교 영상 있는데 4090이 좋은건 맞음 근데 사람들이 30프레임 더 올려 보자고 2배의 돈을 투자 하는건 꺼려진다 는 말이 괜히 있는게 아님 엔비디아가 라데온을 신경도 안쓰면 슈퍼 각라인별 추가도 안함 애초에 4090 쓰는 유저보다는 60,70 라인 이 많고 간혹 80도 보임 90은 소수임
@@hanakiriko 소수든 아니든 엔비디아 라데온 사용비율 평균 뽑은 것도 그렇고 라데온 비율이 10% 채 안됩니다. 그렇게 만든 것도 러데온 즉 AMD고 개같은 가격 적챙 때문에 사기 싫어도 대부분의 사람들이 사는 글카도 엔비디아가 된겁니다. 당장에 라데온 그래픽카드가 4080s보다 깡 스펙 좋고 메모리 좋고 램 좋고 하더라도 4080s가 판매율이 훨씬 높습니다. 즉 엔비디아가 LG전자라면 라데온은 한성입니다. 성능이 좋으면 뭐합니까 뭘 믿고 살 수가 있어야지..
논란이 많이 됐던 말인데 저는 확실히 느껴서 라데온만 씁니다 카메라 영상 사진 무손실본으로 촬영해서 편집 또는 게임을 방송하려고 시스템 구성을 했던게 있는데 8코어 16 cpu에 베가 56 지포스 1070ti를 한개 컴에 다넣어서 원컴 송출을 했었는데 저급한 패널 모니터에선 그렇게 티가 나지 않았지만 밝고 색 표현이 높은 모니터에서 지포스 계열이 유독 다이나믹 레인지가 떨어지는걸 느꼈습니다.. 암부가 뭉게지는거 게임 탓이 아니라 정말 지포스가 표현을 잘 못했었습니다 그뒤로 지금까지 pc는 라데온만 씁니다 뭐 작업은 이제 맥으로 하지만요
@@lakc1545 제가 rx570이랑 4070ti 있는데 rx570이 색감이 더 이쁩니다. 제주위에 편집하는애들도 인정한부분이고 유튜브 검색해보면 엔비디아 색설정 으로 좀 고생해야 거의 비슷하게 만들 수 있다고 고고싱컴퓨터인가 찍은영상도 있습니다. 색감은 주관적이라서.. 근대 좀더 진하고 화사한건 맞음 전 이쪽 취향
나도 요즘 라데온 7900XTX 사용중인데 8K 티비로 물려봤는데 게임이 가능했음 물론 8K해상도를 다채울려고 풀로드 걸려서 400W이상 찍던데 한세대 더 발전하면 8K도 정복 가능한 시대같네요 결론 1번 값을 대폭 인하하여 시장에서 AMD점유율을 끌어올리면 2번 각 게임사들이 드라이버 최적화를 해주지 않을까 하네요 3번 무조건 점유율 끌어올리는게 핵심같네요
라데온 괜찮음 단 국산 온라인겜에선 마이 떨어지는데 이유는 개발사들때문 ㅡ 개발때 부터 신경도 안씀 이유는 국내 점유율이 9할이 지포스기 때문 근데 국산게임들 구세대게임들사양 안높으니 6800정도면 떡을 칠정도 될꺼고ㅡ마이크로 스터터링 ㅡ 사양높은 외국 AAA게임은 제성능 나옴
라데온은 프레임 때문에 안쓰는게 아닙니다. 어디서 튀어나오는 오류 와 각 게임마다 다른 프레임 등락폭 , 일부 세부셋팅값 설정이 기본 , 구형 특정모니터와 호환성 껌벅임 증상 , FPS 게임에 스타터링 현상 , 드라이버마다 다른 게임 안정성및 오류현상 , LED 컨트롤 어플과 충돌 , 어플 충돌, 드라이버 언인스톨 및 업데이트 등이 문제입니다. 지네꺼 스스로도 드라이버가 꼬이고 충돌나는 증상도 발생하며 업뎃시 잘못하면 드라이버 충돌 현상으로 성능하락 이런 셋팅은 모든 유져사용자 셋팅에 수십개 어플과 각 보안어플등이 완료된 상태에서 어디서 튀어나와서 해결할수 없는 피드백없는 드라이버 오류는 그냥 지포스를 쓰는게 맘 편하지요 내꺼만 라데온 쓰는걸로 하는게 좋습니다. 남에꺼 컴맹 은 라데온은 원래 추천하는거 아님 본인은 원래 라데온 신봉자 였음 레이지, 7200,r9200,R9500/9550 XT1950 등 부터 시작햇음 고질적인 라데온만에 호환성 부족현상과 드라이버에 최적화는 최신겜에 대한 늦장 피드백으로 일반 고객한테는 파는거 금물 , 애써 지포스로 치면 한참 설명해야 된다는거 부터 애러
R9 290썼는데 마지막으로 지포스에 프레임으로 비비거나 이길 수 있던 라인업이였죠. 근데 당시 피파15하는데 분명 여유 넘치는 사양인데도 버벅 거리는 구간 있어서 아드레날린 깔아서 설정 찾아서 그대로 해주고 나아졌던 경험이 있습니다.... 신기하게도 드라이브 업데이트 되어가면서 3~4년 지나고 나니까 동급이였던 gtx970 한등급 위의 성능이 되어 있던데 그건 곧 드라이버가 원래 별로였다는걸로 보여서 참 찝찝했죠... 저도 그냥 속편하게 지포스 쓰는데 독점으로 인해 미친 가격으로 파는거 보면 제발 라데온도 많이 올라왔으면 합니다
글고 AFMF 는 화면전환 많은 국산 온라인 게임류는 안맞음. 글고 이게 1080서는 50프레임이면 따불되지만 해상도 높을수록 원래 프레임이 더 높아야 자연스러움 사실상 외산 대작게임용.. 앨런웨이크 2 같은 고사양.최신기술 만땅에. 화면 움직임이 급격한게 적은류에 적합 또 글고 4k라면 fsr보단 rsr이 더 나은거 같은 느낌이 있슴.. AMD는 fsr or rsr 과 afmf를 함께 쓸수있는게 장점
amd 최적화느림 dx11이 특히 최적화가 잘 안되서 출시되는데....pc온라인게임이 대부분dx11 그래서 출시후 벤치 재성능 발휘못해서항상 저평가됨. 라데온은 2~3년된 제품 가성비 전성비 좋은걸 구입하는게 라데온 6000 출시 3년만에 최근 드라이버 패치로 베그 15%성능 향상... 베그가 그렇게 인기 없는 게임이냐.
amd 가이드 라인에는 5200까지 지원된다고 나와있습니다. 그러니 6000이 보증은 아닙니다. 하지만 많은 메모리 회사가 qvl로 지원 되는지 보증하고 판매를 하고있습니다. expo 메모리를 사야합니다. 똑같은 지스킬 메모리도 xmp 모델이있고 neo버젼(expo버젼을 요렇게표기함) 이 있습니다. 참고로 6000넣었을때 인식되도 보통 인식이 안된다기 보다 느려지는 증상이 생깁니다.
FSP게임류 빠른 움직임에 민감한 게임 국산게임 = 지포스 적당한 움직임,프레임빨이 중요한 게임 VGA 램이 중요한게임, 스팀게임 = 지포스 라데온 지포스는 둘다 가능하네? YES ! 지포스가 좋음 대신 돈을 더주면 됨.. rx7800xt rtx4070s 비슷한 성능 가격은 약 20만원차이.. rx7600 rtx4060 비슷한 성능 가격은 6~10만원차이.. 총알이 많으면 망설이지 말고 지포스가 최고! 예산에 한계가 있고. FSP게임류를 하지 않음. 이러면 라데온을 고려해볼만함. 단 라데온 설정이런거 몰라! 만지기도 싫고 그냥 귀찮아 이러면 돈더주고 지포스사면됨. 저렴하게 사서 열심히 꿀빨면 그걸로 끝.. 하지만 단점도 중고처분시 쉽지가 않음.
.... 엔비디아 DX11 DX12 최적화 잘되 있어 재성능 나옴. AMD 라데온 DX11 신경 안씀. 최적화 느림. rx6000 3년만에 베그15~20% 드라이버 최적화 성능 향상 DX12 콘솔 게임 AAA게임 주력이기에 최적화 잘해놓음. 그런데 pc온라인 게임 대부분 DX11
@@MONSTARPC 20년전에는 ATI와 NVIDIA하고 색감차이가 엄청났습니다. 그 당시 게임 '카드라이더'를 나란히 켜보면 엔비디에에서는 디지니와 다오의 색깔이 빛바랜 파랑과 빨강이었지요. 지금도 배그나 사이버펑크같은 게임 할 거 아니면 플루이드 모션기능이 있는 저렴한 AMD나 APU 계열이 더 낫다고 봅니다
컴에 대해서 좀 안다 . 문제 발생시 본인이 대처 가능하다 ... 그러면 라데온 사용해도 됨 컴맹 모른다 . 지인 부탁으로 조립 해준다...혹시라도 문제가 생기면 본인이 해결이 안됨 . 그러면 지포스 그래픽카드를 넣어주는 게 답임 즉 이말은 드라이버 안정성이 엔비디아가 좋다는 말
드라이버가 엔비디아에 비해 안정적인가? No 프레임 뻥튀기 기술인 AFMF가 DLSS 보다 나은가? No 레이트레이싱 성능이 엔비디아 보다 좋은가? No 그래픽카드 기본 성능이 엔비디아 보다 좋은가? No 그래픽 카드 가격이 엔비디아 보다 합리적인가? Yes 선택은 구매자의 몫
엔당 하는짓 거지같아서 970 쓰다가여기 영상 보고 rx6800 으로 넘어왔는데 게임 프레임은 125 130프레임 나오는데 화면은 멈칫 멈칫 한 1분에 한두번씩 한 3프레임 1프레님 나오는건 왜 그러는걸까요..드러이저 다 설치 새로하고 싹다 지우고 포맷 해고 그러고 그냥 새로운 스스디로 새로운 윈도우를 설치해도 그러고 미치겠어요 이거때문에.. 주말 다쓰고 윈도랑 드라이버 새로설치 다 하고 겜키면 겜들마다 다그런건 아닌데 레식이랑 롤 칼바람 옵치랑 명조 뭐 하는것마다 70프로 이상은 다 저래요....ㅠ
안녕하세요 rx6800 구매자입니다 그래픽카드 전원포트가 8x2 로 구성되어있는데 두개 다 꽂아줘야하는거 맞나요? 영상에는 두개 다 각각의 케이블로 꽂혀있는데 제 파워는 한 케이블에 주(6+2) + 보조로 6+2 포트로 총 16개가 있습니다 지금은 선 하나로 다 연결했지만 이런 방식은 좋지않다고 들어서 댓글남겨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