Тёмный

니체의 철학은 나를 망칠 수 있다 - 윌리엄 제임스 

충코의 철학 Chungco
Подписаться 187 тыс.
Просмотров 119 тыс.
50% 1

니체는 최고의 인기를 누리는 철학자이고 훌륭한 작업을 많이 남겼습니다. 하지만 역설적으로 니체는 남의 사상에 도전하는 인간상을 추구했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니체를 '믿기'보다는 니체에게 도전하는 정신을 가져야 할 겁니다. 그게 그의 사상을 더 존중하는 길이라고 생각합니다. 특히 종교에 대해 니체가 가한 비판을 너무 무비판적으로 수용해서, 모든 종교적 정신은 나쁘다는 식의 사고를 하는 건 저는 문제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종교적 정신에는 다양한 면모가 있으며, 그런 모습들을 포괄적으로 살피고자 노력해야 할 것입니다.

Опубликовано:

 

28 сен 2024

Поделиться:

Ссылка:

Скачать:

Готовим ссылку...

Добавить в:

Мой плейлист
Посмотреть позже
Комментарии : 579   
@Hippocratesoath
@Hippocratesoath Год назад
윌리엄 제임스와 니체에겐 공통점이 있었습니다. 라고 하셨을 때 '멋진 수염이 있다?'라고 생각한 제 자신을 반성합니다.
@정현우-d8k9g
@정현우-d8k9g Год назад
저는 이 사람도 루 살로메하고 엮인 사람인가 했습니다
@태형-f3b
@태형-f3b Год назад
​@@정현우-d8k9g 실제 그렇다고 해도 별로 놀랍지도 않을 듯
@JOUOii
@JOUOii Год назад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flyingcat7797
@flyingcat7797 Год назад
“사실 제임스와 니체 사이에는 아주 중요한 공통점이 있습니다.“ *“수염”* ㅋㅋㅋㅋㅋㅋㅋ진지한 와중에 갑자기 터졌네요😂
@syul4133
@syul4133 Год назад
수염 특징: 저들에겐 어울리지만 우리에겐 아님
@yoplait_protein
@yoplait_protein Год назад
사회 전반적으로 니체를 그렇게 잘 이해하고 소비하는거 같지도 않다는 생각입니다. 그냥 명언 몇 개 짜깁기해서 각자 자기가 하고 싶은 이야기에 갖다 붙히는 정도... 최근에 퍼지는 알파메일 담론에 니체의 말들이 등장하는것을 보고 사람들은 저마다 적당히 자기한테 편리한 수준에서만 철학을 이해하려 하는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어요.
@정현우-d8k9g
@정현우-d8k9g Год назад
그렇습니다. 다른 한편으로는, 고통을 즐겁게 긍정해야 니체적인 것입니다. 뭐라 해야 하나, 고통 속에서 염세적으로 몸부림치면서 그 와중 니체를 자신들의 정신적 지주로 광고하다시피하는 계정들이 인스타그램에서 이따금 보입니다. 니체보다 쇼펜하우어와 연합해야 할 것 같은 분들이 말입니다. AC/DC의 It’s a Long Way to the Top이 올라가고자 하는 산이 있는 사람이 그 등반 과정에서 타격을 입으며 이에 불구하고 웃으며 계속 나아가는 정신을 담은 니체적인 곡이라고 저는 느끼는데, 이분들에게 들려주고 싶기도 합니다. 이래서 강한 철학이라고 하는 겁니다. 아픈데 웃고 있어요. 근데 이게 또 반동형성의 방어기제적 웃음도 아닙니다. 별 거 없고, 근육의 통각을 환영하는 헬창들 생각하면 편합니다. 정신의 헬창이 되자는 겁니다 니체는.
@ghdjdeqkfheheh
@ghdjdeqkfheheh Год назад
정말 공감합니다. 사실 철학은 공부하면 할수록 그냥 내가 모르는게 너무 많아서 암말도 못하게 되던데, 그냥 문장 하나 띡 퍼와서 인용하는 모습이 참 아쉽긴하죠.. 말 할 수 없는 것엔 침묵해야한다. 신은 죽었다. 등등 대표적인 오남용 문구.. ㅋㅋ
@ねこおうじょ
@ねこおうじょ Год назад
제일 속이기 쉬운애들이 mz 남자들 ㅋㅋ 얘네 수능은 뚜둘겨맞고 와서는 자기들이 뭐라도 아는줄 아니 참 불쌍해
@pokegenstein
@pokegenstein Год назад
​@@ねこおうじょ "가치관도 없고 현실대신 환상만 좇으며 그저 무비판적으로 권위만 찬양하며 온갖 타로 사주 점성술에 속는 mz 여성분들만 할까요?" 백래쉬 좀 했는데 어떤가요? 이런 식으로 남녀 갈라치기하면 갈등이 끝도 없이 재생성 될 겁니다. 니체와 제임스가 일치하듯 다원주의적인 태도로 서로 이해해야 하지 않을까요.
@ねこおうじょ
@ねこおうじょ Год назад
@@pokegenstein 갈라치기 제일많이하는게 mz남자일텐데..? 그리구 수능2등급이랑 9등급 차이보다 수능 100점과 2등급 차이가 더 크고 국민대부분은 정상적 사고가 불가능해요;;
@비한-m1g
@비한-m1g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니체의 사상을 비판의 시선으로도 볼 수도 있어야 니체을 정말로 존중하는게 아닐까 라는 말이 저에겐 아주 깊은 통찰을 가져다 주네요 좋은 영상 정말 감사합니다!!!
@itzimotal9298
@itzimotal9298 Год назад
윌리엄 제임스의 비판은 니체의 철학에 대해 얕게 그리고 단순하게 이해(오해)하는 계층들이 빠질 수 있는 위험을 대비한 가이드(? ) 또는 브레이크 정도로 보입니다.
@DongwonJeong
@DongwonJeong Год назад
철학을 취미로 배우고 있습니다. 타인을 어떻게 대해야 할 지, 어떻게 행복을 찾아야 할 지, 성공이란 무엇인지 등의 인생의 방향에 대해 생각하고 수정합니다. 니체는 인상에 남는 말을 많이 남겼고 찾아보기도 어렵지 않아서 제가 고민이 있을 때 많이 참고하였습니다. 그렇게 고민이 해결되면 주로 '스트롱맨이 되어야겠다.' 식으로 답이 내려졌던 것 같습니다. 남들의 눈치를 덜 보고, 모든 사건을 흑백으로만 보아선 안되고, 나만의 길을 가고, 옳지 않다고 생각하는 이념에 반기를 들 수 있어야 한다는 식의 답이었습니다. 스스로 우선 강하고 곧은 사람이 되고 싶었습니다. 하지만 가끔은 길을 혼자 걷는 느낌이 들고 외롭기도 했습니다. 그래서 요즘은 오히려 기독교에 대해 공부하고 있습니다. 그들은 검소, 타인을 자신처럼 사랑하는 것 등 니체의 말과는 다른 가치를 높게 평가하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종종 가치관에 혼동이 오기도 합니다. 문득 느낀 흥미로운 점은 기독교에 대해 공부하기 전에 저의 삶의 가치가 차갑고 고독하게 느껴지는 것이었습니다. 저는 항상 누구에게도 의지하지 않고 스스로 서려고 노력했습니다. 하지만 성경은 계속 저에게 의지하라고 합니다. 따뜻함이 느껴지지만 그게 저를 약하게 만들까봐 걱정이 됩니다. 그러는중 이 영상을 보게 되었고 성인의 덕에 대해 말하는 윌리엄 제임스에 흥미가 생깁니다. 니체의 '스트롱맨'과 반대되는, 더 깊은 윌리엄 제임스에 대한 충코님의 생각을 듣고싶습니다.
@whatsoeverwhatever3003
@whatsoeverwhatever3003 8 месяцев назад
탄성이 강력할수록 더 잘 부러진다는 법칙이 있지요. 강한것은 어찌보면 굉장히 약한 것입니다. 제일 강한것은 갈대와 같이 유연한 존재라고 생각하네요.
@정현우-d8k9g
@정현우-d8k9g Год назад
니체를 신으로 만들어 섬기고 그러면 안 돼… 계속해서 니체의 텍스트를 맛보고 니체의 삶을 알고 니체에 대한 평가를 섭렵해 자연인으로서 못난 부분도 많이 보고 결국엔 이 양반이 ‘병신같지만 멋있는’ 동네 형처럼 다가올 때가지 가는 게 모든 자칭 니체 팬들의 의무입니다.
@언어는인격
@언어는인격 3 месяца назад
오 이거 좋다
@pjw2101
@pjw2101 27 дней назад
아는 척 ㄴ
@KSKang-ry3le
@KSKang-ry3le Год назад
울림이 있는 글이네요. 요즘 들어 다양한 사람을 만나고 다양한 책을 보는 것이 중요하구나라는 생각이 많이 듭니다. 절대적으로 옳은 사상이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대부분 그때 그때의 상황이나 관계에 따라 생각하고 행동하죠. 자기의 머리로 생각하면서 옳다고 처신하겠지만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고 접하면서 생각을 교류하지 않는다면 자기도 모르게 외골수가 되어 버리겠죠. 집 근처 강아지나 고양이처럼요(이 애들은 귀엽기나 하지). 좋은 글 감사합니다.
@Orange-kt3gy
@Orange-kt3gy Год назад
요새 저도 니체에대해 갖고있던 문제의식과 비슷한점이 있어서 공감했습니다. 니체에 대해 비판의식이 없어지면 매우 이상한 우월주의나 다른사람에 대한 경멸로도 빠지는것같습니다. 우버멘쉬는 다시 비판받아야 합니다.
@gnsdl116
@gnsdl116 Год назад
여기 구독자들은 똑똑해서 마냥 맹목적인 신뢰를 하지 않아서 좋네요. 영상도 영상이지만 항상 댓글에서도 배우고 가는 것 같습니다
@josephk4633
@josephk4633 Год назад
정말 많이 배우고 갑니다 두번째 책도 정말 좋습니다. 잘 읽고있어요!
@Jorip_pong
@Jorip_pong Год назад
하긴 뭐든 적당해야죠 니체와 반대됨을 주장하는 사회에서 니체가 영향을 주는게 좋은 방향이긴하지만 니체가 강해지는 순간 그에 반하는것이 무조건 존재해야하죠. 세상은 항상 중심을 유지하려고하고 해야하죠그렇지 않으면 파멸됩니다.
@moviefightclub
@moviefightclub Год назад
ㅋㅋ제임스 말대로 니체가 사회적인 인간의 본능대러 강한 리더상에 끌린거라면, 제임스 역시 전형적인 미국식 카톨릭에 영향을 받은 면이 없지 않아보이는데?
@friedrich520
@friedrich520 Год назад
재미있게 잘 봤습니다. 책을 쓰셔서 그런가 언변이 뛰어나십니다. 근데 니체가 언제 어디서 성인의 덕이 약한 것 병든 것이라고 그랬나요? 제임스의 단순한 추측일까요? 너무 극단적인 해석이라 좀 놀랬습니다.
@kkkkk-x5v
@kkkkk-x5v Год назад
니체는 기독교적 미덕, 특히 겸손이나 순종, 인내, 희생 등이 노예적인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겸손이나 희생은 노예적인 굴종을 미덕으로 포장해낸, 노예의 도덕이라는 것이지요. 노예들이 질투심으로 인해 강자들을 (요즘 용어로 말하면) "가스라이팅"해서 가치 체계를 뒤집어 놨고, 기독교가 이런 노예적 시스템을 긍정하고 강화시킴으로써 서구의 도덕적 역사 자체가 병들어 버렸다는 겁니다. 제가 니체를 잘 아는 건 아니지만 제가 아는 한에서 딱히 극단적인 해석같지는 않네요. 니체가 위에 말한 의미나 다른 이유들에서 기독교에 대한 노골적 혐오감을 반복해서 드러낸 것은 뭐 말할 것도 없구요
@oklu_
@oklu_ Год назад
좋은 영상 감사드립니다.
@unknown46890
@unknown46890 5 месяцев назад
니체에 대한 비판 및 부정적인 해석을 용납치 않는 지금같은 시대에는 이 영상이 귀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니체사상의 의의와 긍정적인 면모를 접하며 니체가 대단한 사람인 줄은 알게 되었지만 그 찬양의 정도가 좀 과하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철학 특성상 진입장벽이 워낙 높다보니 의문을 제기하기가 어려웠는데 이렇게 충코님이 대신 의견을 내어주신 점이 대단하다고 생각합니다.
@홍성보-o6z
@홍성보-o6z Год назад
포스트 모더니즘 현상을 대표하는 역할을 했던 철학같습니다. 충코님 마지막 멘트에 니체 철학의 장단점이 함축된것 같네요.
@도련님-f1x
@도련님-f1x Год назад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많은 것들을 생각하게 됩니다. 니체는 자신의 도전적인 철학을 통해, 그간 숙고되지 않고 맹목적으로 받아들여졌던 전통적 혹은 보편주의적 가치관을 해체함으로써, 전체주의로 가려졌던 '개인의 삶', 교조로 인해 잊혀졌던 '개인의 도덕성'을 다시금 포착하여 길어 올리려고 했던 점에서, 그의 철학적 의도가 무엇이었는지를 다시금 살펴보게 됩니다. 그러나 이러한 니체의 사상은, 오늘날 그의 고유한 철학적 의도와 목적에서 벗어나, '개인주의'의 바탕으로써, 아니면 더 나아가 적극적인 형태로 '반지성주의'의 '교조'로 사용되고 있는 것은 아닌지 돌이켜 보게 됩니다. 그의 철학적 핵심 기조인 '해체'는 인류애의 해체도 아닌, 인류의 도덕적 가치 체계에 대한 해체를 통한 파편화된 사회질서/개인을 목적으로 한 것 또한 아니었을 것입니다. 오히려 무작정 되물림 된 폐습으로 인해 그간 잊혀졌던 우리의 본연적 삶, 실존을 바라보도록 이끌어 개인적 삶의 긍정성을 통찰할 수 있도록 그 토대를 마련하고자 했던 철학적 사유였을 것입니다. 그러나 오늘날 오히려 니체의 해체주의 사상이 그 맥락을 벗어나 현대판 '교조주의'로 재탄생된 것은 아닐까 싶습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윌리엄 제임스와의 비교를 통해, 도덕적 삶과 사유에 대한 필요성을 제기한 것이 꽤 흥미롭네요! 덧붙여, 저는 이 영상을 보며, 찰스 테일러의 니체 철학에 대한 평가가 자연스레 떠올랐네요. 니체가 발견하려 했던 개인의 고유성과 개인적 삶의 긍정성이, 타자와의 건강한 공존을 기초로 해야 그 '자기진실성'의 철학이 보다 더 성숙하게 뿌리 내릴 수 있다는 관점이 떠올랐습니다. 오늘날 어떤 분야든, 해체가 너무 극단에 치다른 것은 아닐까 싶습니다. 당연히 철학은 물론, 현대 미술과 건축 등, 인간의 사유와 손이 닿는 그 어떤 것이던, '해체'의 정점에 다다르는 것 같습니다. 이로 인해, 어떤 분야던, 해체가 그 도를 넘어, 자폐적으로 나아가고 있는 것은 아닐까 조금 우려스럽습니다. 반대로 이 해체에 대한 반발로 정치적으로는 'nationalism'이 더 강해지고 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역사가 늘 그래왔듯, 앞으로 이런 해체의 말로가 다시금 다른 방법과 양식으로의 종합으로 나아갈지,, 궁금하네요. 앞으로 어떤 새로운 종합이 나올지 궁금합니다. 다들 이렇게 개인과 사회가 파편화 되고 해체됨으로써, 세상의 말로가 어떻게 될지 직감적으로 어떤 우려심이나 두려움을 갖고 있는 것은 분명하나, 이 관성을 막기는 참 쉽지 않은 것 같습니다. 인류 역사 안에 어떤 큰 이벤트가 있어야 바뀔지,, 미지수네요. 이 해체의 관성이, 이제 역으로 개인의 이기심을 향해서, 더불어 집단주의와 nationalism을 향해 방향을 잡아, 타자와의 공존, 공동체의 필요성을 사유할 수 있는 반성적 계기를 마련했으면 하는 작은 소망과 바램을 읖조려봅니다. 이번 영상을 통해서도, 사유할 수 있는 좋은 기회 마련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임고은-x1d
@임고은-x1d Год назад
글이 되게 깔끔하고 정리가 잘 되있어서 정말 쉽게 읽었습니다!! 어떤 핵심을 베이스로 두고 어떤 부분에서 다시 사유해보셨는지 바로 이해할 수 있어서 정말 잘 읽었습니다 ㅎ 그런데 질문이 있습니다! 글을 쓰신 분도 정말로 니체가 극단의 해체주의를 주장했다고 생각하시나요? 저는 니체의 주장에 대해 오늘날의 너무 극단적인 해석이라 생각하거든요..
@도련님-f1x
@도련님-f1x Год назад
@@임고은-x1d 좋게 봐주심에 감사합니다^^. 저는 기본적으로 한 철학자의 '사상'을 살펴 보려거든 크게 두 가지 원칙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1) 첫째는, 하나의 철학이 탄생하게 된 시대 맥락을 고려하며, 그 맥락 안에서 '그 철학적 사상의 목적과 방향성'을 먼저 고려해야 한다. 2) 둘째는 앞서 고려된 '철학적 사상'을, 오늘날 어떻게 바라볼 수 있는지, 성찰해보고 그 철학과 대화해보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 오늘날 현 상황에 대입해서, 철학적 사고를 비교 분석하고 의의를 찾는 과정이겠지요. 이런 두 가지 원칙에서, 니체의 주장을 굉장히 rough 살펴보는 동시에, 그의 철학에 대한 평가와 오늘날 해체주의의 흐름과 앞으로의 방향성에 대해 굉장히 투박하게 정리해보자면, 1) 니체의 사상이 탄생하게 된 맥락을 보면, 전체주의, 민족주의, 보편주의가 만연했던 시대상입니다. 개인의 삶의 가치와 상대성보단, 종교적 혹은 전통적 가치체계를 개인으로 하여금 숙고 없이 무작정 복종시키고 따를 것을 강권하는 시대임을 보게 됩니다. 그러면서 한편으론, 저변에선, 개인의 가치와 개인적 삶의 생동성이 활발하게 추구되는 시기였기도 하지요. 이 시대에 탄생한 음악과 예술만 보더라도 이를 엿볼 수 있습니다. 이 시대 속에서, 니체가 목표한 바는, 해체를 통한 전체주의에 가려진, 개인의 실존과 상대주의적 가치관을 재발견하는 것이었다라 요약할 수 있겠네요. 2) 앞서 본 니체의 철학적 사유의 도구는 '해체'입니다. 이 '해체'를 오늘날의 맥락 안에서 어떻게 사용하고 바라봐야 할지 흥미로운 주제입니다. 우리가 자주 들어 아는 현대철학자들 대부분은 니체의 '해체'를 바탕으로, 현대 사회를 진단했습니다. 이를테면, 대표적으로 구조주의 철학자로 알려진 미쉘 푸코를 들 수 있겠네요. 그의 여러 철학적 저서들을 보면, 현대의 '전체주의적 내지 구조주의적 관점'에서 잊혀지고 상처 받은 존재들에 대한 사유를 우리들에게 보여줍니다. 이를테면, 그의 저서 '정신의학의 권력'을 통해, 어떻게 이 세상에 '정상과 비정상'의 구별이 생기게 됐는지, 이 구별의 권력의 정점이 바로 '의사'들이고, 이것이 바로 지식권력의 한 축이 됐다라는 것을, 현상학/해석학적 관점으로 분석하지만, 이 사유의 핵심은 '해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이를 통해, 우리로 하여금 무조건적인 당대 사회의 사고 관습과 전통에, 반성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3) 한편, 위에서 푸코를 예를 들었지만, 푸코도 오늘날 비교해보면, 꽤나 시대가 지난 철학자?일 수도 있습니다. 지금 우리가 발 딛고 있는 이 세상 안에서, 직접적으로 '니체의 해체주의'를 직/간접적으로 사용한 대표적인 철학자로 든다면, 이탈리아 생명정치 철학자인 '아감벤'이라는 철학자를 들 수 있습니다. 이 사람은 '호모 사케르'라는 이론을 바탕으로 해서, 오늘날 재기되는 '난민 문제'를, 국제 정치와 법의 사각지대에 의해 탄생한 현대적 문제임을 제기하며, 현대의 nationalism을 해체하고자 시도합니다. 이밖에도, 굳이 꼽자면 '한병철'도 여기에 속할 수 있습니다. 현대 사회의 폐단을 꼬집고 해체하며, 우리에게 생각해볼거리를 준다는 것이죠. 4) 제가 위 글에서 언급한 무반성? 내지 반성 없이 극단적으로 '해체주의'를 수용한 폐단을, 저는 '개인주의 그리고 더 나아가 반지성주의'로 꼽았습니다. 이유는, 우리 인간 실존은 타자 없이, 순수히 개인적 삶으로만 영위될 수 없습니다. 그러나 오늘날 너무나도 극단적인 이기주의와 개인주의를 보게 됩니다. 그 바탕엔, 집단과 전통에 대한 회의감과 염증을 느낀 개인들이 개인주의를 조장하는 것은 아닐까 조심스레 판단 해봅니다.. 더 나아가 전세계적으로 유행하는 반지성주의는, '교육에 대한 부정과 더 나아가 진리는 없으며, 지성적 활동은 무익하다'고 조금 격하게 정의내릴 수 있겠습니다. 이 역시도 그 저변엔 교육과 전통에 대한 해체임을 주창하지만, 실은 개인의 이기심을 바탕으로 하는 것임을 엿보게 됩니다. '반지성주의'는 대표적으로 어떤 누군가로부터 주창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는 시대적 기운이나 흐름으로 보입니다.(저도 이건 연구 주제라, 아직 정확히 개념화 시키기 어렵네요) 이런 개인주의/이기주의와 반지성주의는 극단적 해체주의의 말로로 보입니다. 결국 인간을 원초적인 동물상태로, 인간 자신을 격하시키는 형태로, 자가당착에 빠지게 하는 움직임이라 생각이 되네요. 5) 결론적으로, 어떤 철학적 사상이던, '극단'에 빠지면 안 된다고 생각됩니다. 니체의 '해체주의'의 핵심은, 극단적 교조주의로부터 잊혀진 개인성과 상대성에 대한 회복입니다. 반대로 '개인성과 상대주의'가 극단주의로 나아가, '파편화'가 된다면, 이또한 역으로 다시금 '해체'가 필요하겠지요. 이렇듯 결국 철학은 시대의 흐름을 읽고, '인간과 인간 공동체'에 대한 균형감 있는 시선과 사랑을 찾는 학문이 아닐까 조심스레 결론 내려봅니다. 하나의 사상에 너무 빠져, 그것이 정답이라고 하는 것은, 또다른 교조주의나 다름없겠죠? 글이 너무 길었네요.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vinci7804
@vinci7804 Год назад
​@@도련님-f1x 니체가 해체주의라는 말에 동의하지 않습니다. 니체의 핵심은 창조이고, 파괴가 오히려 그 도구적 역할이라 봅니다. 니체는 '생성철학'의 일종인 거라 봅니다. 초인사상이 그걸 단적으로 보여주는 거라 생각하고요. 초인사상에서 사자조차도 단순히 해체주의자가 아닙니다. 사자는 용의 명령 즉 '너는 ~해야한다'라는 걸 거부하고, '나는 ~하겠다'라고 합니다. 의지를 창조한 것입니다. 낙타는 무거운 짐을 지고 기뻐하는 존재입니다. 왜 기쁜가 하면, 내가 이렇게 무거운 걸 짊어질 수 있다니, 하면서 자신의 힘에 기뻐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더욱 무거운 걸 달라고 하는 것입니다. 아이는 당연히 창조하는 존재입니다. 이 초인사상을 해체주의로 보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봅니다. 힘에의 의지도 마찬가지입니다. 다 부숴버리겠어! 그것이 힘을 뜻한다고 니체가 이야기한 적이 없는 걸로 압니다. 그 힘은 건강에의 의지이고, 생명의 에너지인 거라 저는 생각합니다. 니체를 해체주의로 보는 것은 딱 니체를 마음대로 이용해먹으려는 '포스트모더니즘'으로 주로 일컬어지는 사람들의 해석일 거라 생각합니다. 그리고 니체는 온갖 것들을 다 비판했습니다. 전체주의와 기독교만 비판한게 아닙니다. 허무주의와 염세주의도 비판하고, 평등주의도 비판한 거라 알고 있습니다. 영국, 프랑스, 독일에 대해서도 비판을 했죠. 여러 철학자들에 대해서도 비판을 했습니다. 특히 가장 강하게 비판한 건 소크라테스였던 거라 생각하고요. 비판을 넘어서 비난인 것 같기도 하지만요. 니체는 적이 많고, 적에 의해서 왜곡된 게 상당히 있는 거라 생각합니다.
@도련님-f1x
@도련님-f1x Год назад
@@MJ-gx1nf 좋게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개인적으로, 철학을 통해 우리가 배울 수 있는 것은 다양한 '사고 유형들 내지 사고 모델들'이라고 생각합니다. 한 철학자의 '주장'은 여러 조건들의 영향 속에서 탄생하게 됩니다. 특별히 '시대'라는 조건에 가장 영향을 많이 받겠지요. 그 시대 속에서 '언어/역사/당시 사상과 분위기 등등'의 영향 속에서, 하나의 철학이 복합적인 조건과 요소 속에서 탄생하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철학자들의 주장은 어느 정도 시대적 한계를 품고 있겠지요. 그러면서 한편, 오늘날에도 우리에게 귀감을 주는 철학적 요소들이 분명히 있습니다. 시대 초월적인 요소들도 있기에, 오늘날에도 과거의 철학자들의 책들이 계속 읽히는 것이겠지요. 그 이유는, 철학의 시발점으로 여겨지는 고대 자연철학자(데모크리토스, 파르메니데스 등등)의 시대와, 지금 오늘날의 시대와, 현재 우리 '인간'은 어떤 종적 변화가 있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여전히 그때나 지금이나 진화생물학적으로 구분된 현생 인류는 '호모사피엔스'라는 것입니다. 그렇기에 인간의 본질은 바뀌지 않았습니다. 다만 환경과 여러 물리적 조건들이, '다양한 사유'를 하게끔 만들어준다는 것이겠지요. 그래서 긴 역사 속에서 탄생한 여러 철학적 사고 유형들을 배움으로써, 우리는 무엇이 맞고 틀리다라는 것을 배우는 것이기보단, 다양한 사고 유형들을 유연하게 배우는 것이 목적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그리고 각 철학자들이 사유를 통해, 우리가 바라보지 못한 것을 바라보며, 우리에게 남겨 놓은 여러 숙제들이 있습니다. 그 숙제들을, 우리들 또한 물려 받아, 사유를 통해, 풍요롭게 만들어 나가는 것도 좋겠지요. 한편, 어떤 분들은 단순히 '철학'을 공상이나 탁상공론으로 여기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이 관점에는 여러 이견이 있겠지만, 저는 오늘날 과학적 실증주의를 바탕으로한 유물론적 사고로 인해 생겨난 철학에 대한 오해라고 생각이 됩니다. 다시 말해, '사고가 먼저냐 물질이 먼저냐?'라는 질문에, 오늘날 사람들은 '물질'이 먼저라고 답합니다. 물질의 발전이 곧 사고의 발전을 이룬다고 생각하는 것이지요. 그러나 엄연히 '인간의 사고'가 먼저 앞선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철학사만 검토하더라도, 과학의 발전은 철학적 사고에 기초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를테면, 고대 철학자 데모크리토스가 먼저 '원자론'을 제시하며, 이 세상의 가장 근본 구성 요소는 '원자'임을 이야기하지요. 당시엔 현미경도 없었고, 이를 증명할 수 있는 어떤 과학적 도구가 없었습니다. 이 철학적 성찰이 눈으로 가시적으로 증명되는 것은, 근대 과학혁명을 통한, 현미경 발전으로 입증됩니다. 아울러 아인슈타인의 블랙홀 존재 증명에 대한 것도 예가 될 수 있겠네요. 아인슈타인은 먼저 여러 가정을 통해, 블랙홀이 존재할 수밖에 없음을 제시하죠. 그리고 실제로 몇 년 전에 우주망원경을 통해, 블랙홀 존재가 입증되었지요? (이를 가지고, 이건 철학적 사고가 아닌 과학적 사고라고 이야기하는 분들이 없으시길 바랍니다^^;;ㅋㅋ) 이처럼 철학적 사고는 그저 탁상공론이나 공상이 아닐 수 있습니다. 우리 문명을 이끌어가는 어떤 초월적 정신일 수 있는 것이지요. 유아론적 관념론이라 쉽게 치부되곤 하는, '헤겔'이 여전히 읽혀지는 이유는, 우리 인간 역사가 어떤 절대정신에 의해 인도되고 있음을, 우리는 직접적이진 않지만, 거시적인 차원에서 이에 동의할 수 있기 때문이지요. 각 시대의 천재적인 철학자들이 절대정신을 읽고 우리에게 예언해주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이렇게 말하면, 철학적 태도이기보단 조금 종교적으로 보일 수 있겠지만요^^ 결론적으로 제가 하고 싶은 이야기는, 하나의 철학적 사고 유형이 절대 정답일 수는 없다는 것입니다. 균형감을 가지고, 바라볼 필요가 있다는 것입니다. 그럼에도 의견이 갈리는 부분이 있습니다. 형이상학적 분야든가, 윤리학적 분야에서는 특히 그렇습니다. 철학 자체가 사고의 근간으로부터 시작하기에, 철학자들마다 자신의 주장에는 각자의 세계관에서 시작하기 때문입니다. 이를 철학적으로 입증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각자 철학자들의 논리가 있기 때문입니다. 이를테면, 윤리학에는 '덕론'과 '칸트의 의무론'이 있습니다. '덕론'은 아리스토텔레스-토마스 아퀴나스 철학을 바탕으로 합니다. 인간의 윤리적 삶은 '행복을 위한 것'이다. 그리고 이 행복은 최고선에 바탕을 두고, 이 최고선은 형이상학적으로 최고 존재'다는 밝히는 것이 덕론입니다. 윤리학과 형이상학이 같이 함께 가는 것이지요. 이런 사고를 아리스토텔레스가 기초 바탕을 둔 것을, 토마스 아퀴나스가 '최고 존재'를 절대자 그리스도교적 차원에서 '하느님'으로 정초 짓습니다. 이런 덕론은 토마스 아퀴나스 학풍, 바로 토미즘이라는 학풍에서 잘 볼 수 있습니다. 오늘날 대표적인 학자로는 맥킨타이어, 찰스테일러를 들 수 있겠네요. 이들은 대놓고 그리스도교적 신을 이야기하지 않지만, 그들 사고 유형 안에는, 서구의 전통적인 사고 유형인, 그리스도교적 철학의 분위기가 섞여 있습니다. 한편 칸트 의무론은, 도덕적 삶은 행복이기보단, 정언명령에 의한 것임을 밝힙니다. 선한 의지로, 보편적인 차원에서, 도덕적 선택을 수행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지요. 여기에도 윤리학적 토대로, 형이상학적 바탕이 개입됩니다. 실천이성비판이란 책을 통해, 윤리적 행위의 가치를 보증해주는 것은 결국 '신의 존재'라고 칸트는 가설을 제기합니다. 만약 신이 없을 경우, 인간의 윤리적 행위에 대한 보답은 없을 것이라는 것이죠. 칸트 또한 엄밀한 의미에선 그리스도교적 영향을 받은 부분도 있겠지만, 앞서 살펴본 아리스토텔레스/토미즘에 비해선, 상대적으로 '신'으로부터 한 발자국 떨어져, 사유를 시도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결국 철학 공부를 조금 더 하시다보면, 어떤 철학자의 세계관이 '더 건강하고 건전하느냐'가 관건입니다. 여러 사고 모델들을 비교하면서도, 끝내는 우리에게 더 근본적으로 '어떤 사고 유형'을 선택하길 종용합니다. 이런 선택의 기로에서, 결국 개인의 체험과 판단에 의해서, 자신의 철학적 세계관이 성립되는 것이겠지요? 끝으로, 한 때 뛰어난 수학자였다 철학으로 뛰어든 에드문트 후설이라는 현상학 창시자는, 우리의 모든 사고와 생활은 결국 Doxa(그리스 말로, 믿음)에 근거한다고 말합니다. 이를 원문 안에서 ‘일상지식'이라고 번역할 수 있지만, 근본적으로 후설이 주장하는 바는, 우리 사고 심연엔, 종교적 색채가 아닌, 근본적인 차원에서 사고 근간이 존재한다는 맥락에서 이를 '믿음(doxa)'이라고 번역하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참고로 종교적 형태의 믿음이 아닙니다) 19세기에 오스트리아 빈 학파가 찾고자 했던 '공리는 증명 가능한가?'라는 물음에서 끝내, 인간 사고 안에 그 자체로 증명이 필요하지 않고 확신할 수 있는 '공리'가 있다는 결론을 내리게 되는데, 이와 같은 맥락일 수 있습니다. 결국 인간 사고의 심연에는, 우리의 사고를 가능케하는 어떤 믿음의 형태의 기초가 있다는 것입니다. 이것을 찾아가는 것이 철학의 목적이라 할 수 있겠네요. 글이 너무 길었습니다 ^^;; 생각을 함께 나눌 수 있음에 기쁘네요.
@란-d7b
@란-d7b Год назад
이정도 지식과 자신의 관점을 가지셨다면 자신의 채널을 통해 재능기부를 하는 것도 덕을 쌓는 길이라 생각해봅니다^^
@정코스모스-b8n
@정코스모스-b8n Год назад
아마도 니체 사상은 도덕과 윤리를 따르지 말라는 게 아니라 인간의 삶을 두고 크고 깊게 통찰해 볼 때 단 한 번 주어진 생명체라 한 개인의 독립적이며 주체적이고 강한 개인주의 삶이 허무주의를 극복하는 유일한 길이며 죽음의 최후의 순간 후회 없는 삶으로 더 살고 싶거나 다시 태어나고 싶은 인간의 어리석은 미련을 버리지 않는 삶을 설파한 것인데 해석하는 사람들이 잘못 분석한 것이 아닌가라는 생각을 해봅니다 우리도 우리의 내면이 시키는 일이 어떤 마음에서 일었는지 자기 자신 스스로도 모르고 행할 때가 많이 있는 착각에 능한 그런 불완전한 인간의 내면을 심오하게 찿아낸 그런 천재 철학자가 니체 아닌가 싶네오 인간의 이기주의와도 관련이 있죠 자기 자신에게 솔직해진다는게 얼마나 힘든 작업인지~인간의 본성 이기주의에 기인한 과대망상이 우리의 안식처 피신처로서 있는그대로의 사실을 보려하지 않는 자기 정당화를 신랄하고 적나라하게 파헤친 위대한 사상가로 인간의 내면이 이보다 더 잘 파헤친 사람은 과거에도 현재에도 미래도 없을 것이다 왜냐고요?니체가 그 작업을 이미 120년 전에 위대한 작업을 해놨기 때문 이고 진리는 하나이지 둘이 될 수가 없다
@XC10N
@XC10N Месяц назад
니체에 따르면 이게 옳은 일이라면 충코 채널이 아닌 다른 채널에서 니체를 분석한 영상을 봐야겠습니다.. 충코 영상은 너무 편안합니다. 다른 유튜버들의 니체에 관한 영상과 그 댓글을 보면 분노와 고통을 느끼고..
@ilyylm9134
@ilyylm9134 Год назад
이렇게 듣고나니 니체는 관심이 필요한 사람이었을까? 생각해봅니다. 주어진 것을 받아들임과 일부만 받아들이고 사는것에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조건없이 선을 행하는 약자에게도 의지대로 살아가는 것은 중요할텐데요. 그렇게도 방어하면서 지키고 싶은 자신의 세계로 누가 와주길 바랬을까요? 겁이났을까요. 니체가 오히려 인간적으로 느껴지네요. 영상마다 넘 좋아요~
@kikihaha5879
@kikihaha5879 Год назад
니체의 사상이 선을 비판하고 악을 옹호하는 것이라고 해석하는건 코끼리의 꼬리만 만지는 격입니다. ( 니체는 자신의 가치가 이분법적으로 해석되는걸 제일 경계한 사람입니다 ) 니체의 말 속에서 중요한 것은 선이냐 악이냐가 아닌 본인의 철학과 사유로 선이나 악을 행했느냐, 남의 말에 따라 주체성 없이 선을 행했냐의 차이입니다. 남이 만들어준 도덕이 아닌 스스로의 철학과 사유로 행동한다면 악하게 행동할 수밖에 없다고 간주하는 것 자체가 인간을 격이 떨어지고 악한 존재로 치부하는 것이죠. 위버맨시는 남들에게 민폐를 끼치는 존재가 아닙니다. 니체의 말을 인용하자면 "병든 이기심" 일 뿐이죠.
@goowabagoowaba5399
@goowabagoowaba5399 Месяц назад
니체는 그 주체성이 허상이란걸 버리지 못했죠 신이 인간에대한 연민으로 죽었다며 도덕을 부셨지만 니체는 시간에대한 연민으로 이데올로기가 가진 불가역적을 버리지못해 죽었다고 봐야죠 그의 인생을 돌아봐도 그는 조금도 주체적이지못했고 그저 병든채 신음하며 사랑하는이들에게 배신당하고 죽어서도 자신이 혐오하는이들의 칼자루가되서 수많은 학살만 남긴 그저 병든자였습니다 어쩌면 니체즘은 그의 병든삶에서 벗어나고싶은 열망이남긴 껍데기에 불과할지 모르겠네요
@warigari-h8c
@warigari-h8c Месяц назад
그 사회는 당연하고 니체는 사회부적응 자이며 그게 당연하다고 애기 잘들었네요 그 누구를 위한책이 아닌데 잘보고 갑니다
@99gt4-y8e
@99gt4-y8e Год назад
타인의 선함을 위선이라고 혐오하는 사람들 중에는 사패, 쏘패, 나르가 있다고 하더군요. 사람들이 하도 니체니체 해서 뭣모르고 저도 들어봤는데 충코님이 말씀하신 이기주의, 약자멸시가 포함되서 너무 놀랐습니다. 불건강하고 병적이란게 느껴졌어요. 기존의 질서와 사상에 망치를 후려쳤지만 자신 또한 자신만의 이데아에 메달린 느낌이랄까. 아무리 매력적이고 강력한 사상이라해도 치명적 약점이 분명해 위험했죠. 그런데 이런 약점을 알면서도 모르는 척하는 건지 문제없다고 생각하는 건지 전도자와 찬양자가 많아 혼란스러웠는데 충코님이 이렇게 분명히 좋은점과 경계할 점을 짚어주니 체한게 내려가는 기분입니다. 그리고 니체수염 싫어요.
@softhwarangpark870
@softhwarangpark870 Год назад
이 영상을 보고 니체를 오해하실까 걱정되네요. 쉽게 말해 니체처럼 사는 사람을 콕집어 이런 사람이다 라고 할수 있는 연예인이 기안입니다. 기안이 싸패나 쏘패 같던가요? 기안이 남의 말을 듣던가요? 기안은 자기가 하고 싶은데로 삽니다. 남들처럼 살기도 거부하고 어떤 삶에 의지가 매우 강한 사람이죠. 고통속에서 맨날 외롭다고 얘기하면서도 누구보다 삶에 강한 의지를 가지고 있죠. 니체처럼 살게 되면 필연적으로 찌질해질수 밖에 없습니다. 남을 속이고 어떤 사람처럼 보여진다 뭐 이런건 니체 아닙니다. 싸패 쏘패 나르는 기본적으로 남과 자신을 속여야 살수 있는 애들이죠. 사회인이 되면 다 가면쓰고 살지 않습니까? 그런걸 비판하는겁니다.
@찢죄명
@찢죄명 Год назад
니체에 대해 뭔지도 모르면서 이렇게 욕하는거 더 병적인것같은데 니체는 약자를 멸시하는게 아니라 자신이 약자인것만으로 본인들을 선하다고 규정한 채, 열심히 노력해서 강자가 된 사람들에게 강제로 호의를 배풀게 억지하는 노예도덕을 비판한건데 싸이코는 무슨ㅋㅋㅋ 이딴식으로 본인이 니체를 논파했다고 믿는 안티니체들이 내가 보기에 더 싸이코같다. 니체를 빠는사람들은 최소한 자신의 나약함을 남탓이 아닌 자기탓으로 돌리며 끊임없이 정진하는데, 니체 욕하는사람들 보면 오히려 노력하는 사람들을 싸이코나 악인으로 규정하니ㅋㅋ
@shinichishin7345
@shinichishin7345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선하기 위한 선함은 위선이라고 봅니다 애초에 선악은 주관이니까요
@shinichishin7345
@shinichishin7345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똑같이 자비를 배풀어도 그것이 선이어서 행하였다면 위선이고 본인이 원해서 즐겁게 행했다면 위선이 아닌겁니다
@atman-y4n
@atman-y4n 6 месяцев назад
철학자들도 별점을 받는 시대로다 실속은 파악하지 아니하고, 외견과 감고만을 핥는 소믈리에의 득세.
@길위의인생-o7v
@길위의인생-o7v Месяц назад
어떤 철학사상은 다른 철학사상 혹은 지적, 사회적 체계를 비판하기위한 도구로 사용하면 그만이죠. 그런 측면에서 니체의 사상은 아주 훌륭한 망치입니다.
@neuromencer0000
@neuromencer0000 Год назад
니체를 너무나 좋아했고 그 초인의 의지에 따라 살기를 젊을때는 희망했지만 나중에 정신분석을 배우고나서 니체가 자기 동생인 엘리자베스 니체와 근친상간을 고백하는 책을 출판할려고 했고 동생을 그걸 니체가 죽기전까지 막았다는 사실을 알고 사상의 모든게 이해가 가면서 색깔이 바랜 내 젊은 한 날의 철학자...
@주훈김-k1h
@주훈김-k1h Год назад
그 책 위작이에요
@paulk2216
@paulk2216 9 месяцев назад
개인적으로 니체의 사상은 그 끝이 극복이라는 점에서 강자들을 위한 사상이라 생각합니다. 약자들의 시점에서 세상의 부정적인 면을 강조하는 도입부는 동질감을 줄 수 있지만, 스스로 가치를 창조하는 사람이 되어라는 결론을 들었을 때는 그저 막막하고 더이상 내가 참고할수 없다는 생각부터 드니까요. 초인에 이르기위한 감정적 원동력이나 부정적인 면을 직시하고 변화하는 과정을 오롯이 개인이 감당해야 한다는 점에서 모두에게 보편적으로 다가오지 않습니다. 반면에 기독교적 성인이 무한한 아가페적 사랑을 가지게 된 배경에는 신의 사랑이 선행되고, 그렇게 변화하는 과정도 사랑의 실천을 통해 이루어지죠. 이 사람들은 자신만의 가치를 우선시하지 않고 실천을 통해 신이 제시하는 가치의 순기능을 깨달아 변화된 사람입니다. 성인의 삶은 약자들이 섣불리 따라할 수 없지만, 그런 약자들을 품어주는 것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성경에 의하면 그렇게 포용된 약자들은 받는 사랑을 통하여 성장하고 주는 사랑을 하게되는 성화의 과정을 겪게 된다고들 하죠. 하지만 그 과정에서 스스로 모든것을 감당하는 것은 오만이고 되려 신과 다른 교인들에게 의자할 것을 권고합니다. 저는 성화의 과정을 겪어보진 못한지라 사실여부를 확언할 수 없지만, 변화의 과정에서 개인이 부담해야 할 짐이 적다는 것은 세상에 많은 약자들에게 더 매력적으로 느껴질 수 밖에 없는것 같습니다. 종교와 성인이 진화인류학적으로 필요에 의해 생겨났든, 아니면 진짜 신이 인간을 구원하기 위해 준 것이든, 현재 인류에게 성인의 기치가 필요하다는 것을 영상에서 잘 담아주신 것 같습니다.
@parkjun8009
@parkjun8009 Год назад
난 아마 니체같은 자유주의자 철학을 좋아하는 것 같다.
@whatsoeverwhatever3003
@whatsoeverwhatever3003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애초에 인생 자체가 정신병원에 갇혀 중년에 비명횡사한 사람임. 흥미로운 주제가 많지만 별로 본받을만한 사람은 아님.
@최승현-l1o
@최승현-l1o Год назад
8:55 여기서 니체와 전통 기독교 가치관의 대립이 나오죠. 니체는 "오른뺨을 맞거든 상대의 뺨을 후려쳐라" 라고 주장하죠 ㅋㅋㅋㅋㅋㅋㅋㅋ
@DIY-vj1uo
@DIY-vj1uo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윌리엄 제임스 - 실용주의 . 이게 훨씬 더 나랑 맞음
@냐옹스
@냐옹스 Год назад
르네 지라르도 니체가 약자를 폄훼한다고 비판했던 것이 생각납니다.
@djrojun
@djrojun Год назад
왜 니체를 스트롱맨에 집착하는 사람으로 규정하시나요? 니체가 말한 궁극적인 모습은 사자가 아닌 아기였습니다. 스트롱맨이 아닌 자연 그대로의 순수하고 천진난만한 솔직한 모습이요. 니체는 자신이 병약했기에 항상 약자 편에서 싸웠어요. 고통 받고 있는 약자들에게 일어날 용기를 주었어요. 니체의 철학 한계는 거기에 있어요. 철학이 아닌 약자들을 위한 문학 작품을 썼다는 점이요.
@LSangChul
@LSangChul Месяц назад
니체와 제임스의 사상이 충분히 공존할 수 있는 것처럼 보이네요.
@성이름-c1q1e
@성이름-c1q1e Год назад
이 영상보고 충코님 팬 됐습니다 ㅎㅎ
@minhyeokkim1949
@minhyeokkim1949 Год назад
7:00 이부분은 정확히 니체가 한 말입니다만..? 니체의 가장 중요한 철학중 하나가 삶의 고통을 부정 없이 그 자체로 받아들이고 그 속에서 한 인간으로써 추구해야할 선을 추구하고 책임을 다하므로써 의미와 가치로써 살아가라는 건데 이건 동의 그 자체로 보입니다
@browne7682
@browne7682 Год назад
니체를 좋아하면서도 막연히 불편했던 느낌의 실체를 알게 되었습니다. 부정성에 대한 부정~
@asadhal
@asadhal Год назад
감사합니다.
@iphuck22
@iphuck22 Месяц назад
차라투스트라는 자신의 추종자를 바라지 않고, 오히려 자신과 같은 높이에 이르러 자신을 비판하고, 극복하길 원했습니다. 그런 점에서 이 영상은 니체가 즐거이 여길 영상이네요!
@Writion
@Writion 13 дней назад
도덕이나 이념을 내세워봐야 결국은 이익에 따라 움직이죠 니체가 이런 것을 파괴한 것은 솔직한 자기 이해를 위한 것이었겠지요 니체가 약자를 비판하는 것은 약자들이 사회 전체의 생산성을 크게 저해시키기 때문일지도 모르지요 여튼 약자들은 강자, 혹은 위버멘쉬가 존재할 수 있는 한계가 존재하니 사회가 이를 정당화시킨 것이고 니체는 이를 부정하려 한 것으로 보입니다 그렇지만 개인적으로 아모르 파티같이 고통 속에서도 긍정적으로 살아가는 것을 제외하고 니체에게서 가장 배울 만한 점은 진리란 없다입니다 논리, 고민, 정반합 등의 과정 없이 그냥 기존의 것이 이유가 되어 기존의 것이 긍정되는 순환논증의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해 기존의 체계를 계속 깨부수라고 했고 그것이 필요합니다 사회는 기존의 이권을 챙기려고, 개인은 기존의 신념을 지키려고 부정하곤 하지만 완벽한 사상과 이론은 없으니 늘 겸손하게 배우고 다양한 관점에서 보려고 시도하는 게 그나마 성공률을 높일 최선의 방책이죠 그리고 인간인 이기적인 존재가 맞습니다 왜 공동체에서 이타심을 내세우곤 했을까요? 자기들이 약자가 됐을 때 똑같이 도움을 받고 싶었을 수도 있고 아니면 버림받지 않을 거라는 믿음을 줘서 노동에 동기부여를 하려는 목적이었을지도 모르죠 적어도 확실한 것은 선악도 결국 이해관계에서 비롯된 것이지 통상적으로 생각하는 그런 선악은 없습니다 단지 가정환경이나 교우관계 혹은 뇌에 문제가 생겨서 공감이나 충동 조절 따위에도 문제가 생겨 범죄를 일으키는 것이죠 그렇다고 해서 꼭 형량이 전부 낮아야 한다는 이야기는 아니지만, 다시 돌아와서 니체가 위버멘쉬라는 긍정적 존재를 언급하긴 했으나 깨부술 수 있도록 가능성을 열어둔 것이겠지요 그런데 제임스도 자신이 희생하며 살지 않을 것이면서 누군가는 해야한다고 주장하지는 않았겠지요? 그랬다면 니체를 공격한 것이 대신 의무를 짊어질 사람이 사라져 자신의 이익이 줄어들까 비난하고 힐난한 것에 그치겠죠 그리고 약자를 계속해서 지원하며 역차별을 이어온 결과가 어떻습니까? 그 약자들이 패악질을 부리기 시작해 을질이나 전장연, 역차별 등의 문제가 조명되고 있습니다 이건 그냥 강자를 약자로, 약자를 강자로 바꾸는 정신병입니다 약자들이 스스로 노력해서 쟁취해내더라도 제도적으로는 기회가 공평하기 때문에 거기에 밀린 강자가 재기하려 할 수도 있고 약자는 지키기 위해 노력하겠죠 그런데 그냥 지원만 해주니 약자는 호의를 권리로 알고 이제는 오히려 일반인이 피해를 입고 강자는 어디 숨어서 또 몰래 이득을 챙기고 있습니다 여튼 늘 의심하는 자세만큼은 부정할 수 없는 니체 철학의 가치죠
@fatboyslim2172
@fatboyslim2172 Год назад
니체한테 200배 더 끌림
@롤로토마시-n7e
@롤로토마시-n7e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구독하고 말았습니다. 많은 부분 동감합니다.
@BrightVivianhealingmusic
@BrightVivianhealingmusic Год назад
선악의 저편에서 나온 말은 나쁜자와 포악한 사람들은 누구나 사회에서 위험하다고 판단할수 있고 드러나있지만 약자들이라고 말한 병든자들은 요새 칼부림 난동을 부리고 길가는 사람을 이유없이 폭행하고 죽이는 사람들이 약자입니다. 이들은 병이 들었지만 낮은곳에 있기에 보이지 않습니다.
@leehelena1477
@leehelena1477 Год назад
니체가 선과 악의 이분법을 부정했던 걸로 아는데요 본인도 아이러니하게 약자멸시,약육강식을 선호 하였군요, 여하튼 한쪽으로 치우치지 말고 균형 있게 다양성을 존중해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JS-tu3lu
@JS-tu3lu Год назад
다시 들어봐도, 니체의 궁극적인 논지를 왜곡하는 것 아닌가 하는 생각, 니체를 부정으로 재단하고 그를 공격하는 요지 그 자체가 니체의 논리적 결과일 수도,, 파생되는 논리적 결과를, 모든 것을 세상 끝까지 서술하지 않았다고 해서, 그것으로 당초의 본질을 흐리지 말아야, 어떤 사상가들은 처음부터 틀을 만들고 거기에 끝까지 짜 맞추는 사람들도 있겠지만 어떤 사상가들은 그 때 그 때 자기 생각을 메모한 것을 후세 사람들이 책을 내는 경우도 있음. 최근 속세가 니체를 잘못 인용하는 것이 아니라 저명하시다는 제임스 자체도 니체의 궁극적인 논지를 왜곡하고 잘못 인용하는 듯 한편 제임스가 니체의 공격성을 비판하지만 제임스도 못지 않은 공격성을 적나라하게 보여줌, 사상에 대한 비판은 이롭겠지만 인격적공격. 니체의 부족하다고 일컫는 내용을 비판하다기 보다 니체의 기존 체계를 무조건 순응하는 것에 대한 강력한 비판을 제임스 자체가 수용하지 못해서 생기는 반감? 니체의 아로르 파티의 잠언 등 니체의 생각들을 맥락상, 집합론적으로 볼 때 제임스의 니체에 대한 공격이 어느 정도 타당할가요
@MoongTang22
@MoongTang22 Год назад
니체가 원하는게 이런거입니다. 자기의 철학과 생각을 사람들이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기를 원하지 않았어요. 오히려 비판적으로 수용받길 원했죠. 니체의 철학은 ‘신은 죽었다’로 정리 할 수 있는 것 처럼 고지 곧대로 받아드리는게 아닌 눈앞에 놓여있는, 모두가 맞다고 하는 것도 맞는지 옳은지 생각해보라는 의미지요. 니체는 오히려 대중들이 자신을 철학자가아닌 광대가 되길 원했을 것 같아요.
@user-imzerogod
@user-imzerogod Год назад
소수가 정답이다. 그런 면에서 니체의 시대와 제임스의 시대는 다른환경에 있었다고 니체는 그런 상황전체를 이해하고 있는 사람이다. 다만 니체가 강조한 얘기들은 니체가 살아가는 사화에서 대변되는 말이지.
@rokabye
@rokabye Год назад
진정한 의미의 자유로운 사고를 할 수 있기를
@문질moonjil
@문질moonjil Год назад
재일 중요한건 삶은 변화무쌍하고 내 생활의 경험이 나의 모든것이다
@JHS-gu4lw
@JHS-gu4lw Год назад
니체의 철학이 독일 사회에 나치가 등장하는 사상적 바탕이 되었을 것 같네요. 강한 리더 약육강식의 사회
@냥뭉이-e8w
@냥뭉이-e8w Год назад
거의 학부 교양수준으로도 이해 못 하시는 거 같은데
@kwangyeolpak2157
@kwangyeolpak2157 Год назад
요즘같은 혼란시기엔 성장을 중시하는 니체사상이 분배,다양성을 중시하는 제임스사상보다 인기를 끌수밖에. 타인은 승자인 부자들말만 들음. 패자인 빈자는 무시당함. 남을 위해 희생하라고?이용만당함 😂
@rheekay
@rheekay Год назад
"The mood of a Schopenhauer or a Nietzsche, - and in a less degree one may sometimes say the same of our own sad Carlyle, - though often an ennobling sadness, is almost as often only peevishness running away with the bit between its teeth. The sallies of the two German authors remind one, half the time, of the sick shriekings of two dying rats. They lack the purgatorial note which religious sadness gives forth. … Poor Nietzsche’s antipathy is itself sickly enough, but we all know what he means, and he expresses well the clash between the two ideals. The carnivorous-minded “strong man,” the adult male and cannibal, can see nothing but mouldiness and morbidness in the saint’s gentleness and self-severity, and regards him with pure loathing. The whole feud revolves essentially upon two pivots: Shall the seen world or the unseen world be our chief sphere of adaptation? and must our means of adaptation in this seen world be aggressiveness or non-resistance? " - “The Varieties of Religious Experience" (1902)
@manrico736
@manrico736 9 месяцев назад
대자연은 인간이 필요없지만 인간은 대자연이 필요합니다..
@o359
@o359 Год назад
맞습니다, 나를 망칠 수 있습니다 그것도 영구적으로.ㅋㅋㅋㅋ 19~20살 때 니체 철학과 프로이트는 저를 생각하는 인간으로 만들어준 스승입니다. 그덕에 제 인생에는 ”왜?“ ”그냥“ 그런것은 없습니다. 스스로의 동기와 이유가 명확하지 않은것은 남들이 한다는 이유로 하지않아요 그래서 기본적으로 투쟁적이고 고달파요 인생이 ㅋㅋㅋㅋㅋ 진짜로. 대신, 외부에서 불어오는 여러 영향들이 좀 우습죠 ㅋㅋㅋㅋㅋ
@이하늘-j3u
@이하늘-j3u Год назад
그런데 충코님은 종교를 가지고 계신가요?
@adriant3488
@adriant3488 9 месяцев назад
도덕이 아니라 관습과 습관의 순종이 얼마나 어리석은 지를 말하는 거 아닌가요?
@dfefdf9211
@dfefdf9211 3 месяца назад
현저히 불완전한, 미성숙한 니체를 향한 편협적인 비판
@user-soosookkang
@user-soosookkang Год назад
아. 윌리엄 제임스....
@adequate135
@adequate135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중2철학이 정신건강에 좋을리가
@booktube_afternoon
@booktube_afternoon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윌리엄 제임스의 비판도 일리가 있지만, 그건 싯다르타의 문화적 배경과 니체의 문화적 배경이 다르기 때문일거에요. 기독교의 초월적 유일신관과 더불어 인간의 가치를 아무리 높게 하더라도 결국 피조물에 불과한 존재인 원죄론적 인간론의 문제이기도 했습니다. 근대와 현대, 니체를 통과해 현대철학과 과학에 이르기까지 내내 서구 지성사에는 기독교의 인간론에 대한 반항이 드러납니다. 기독교의 성인은 예수를 넘어 서지 못합니다. 싯다르다가 말한 불성은 그 자체가 온전함입니다. 영원히 완전할 수 없는 피조물과 본래 존재 자체인 불성의 차이. 그래서 니체의 기독교 비판은 과격하고 거칠고 시끄러울 수 밖에 없었을 거에요. 그럼에도 지금까지도 여전히 기독교의 그림자가 너무 짙어서, 담론의 주제가 내내 그 범주안에서 챗바퀴를 도는 것 같습니다. 아마도 니체가 지금 다시 태어나도 여전히 소리쳐야하는 상황에 당황할 것 같다는 생각도 드네요. 그리고 니체의 글은 짧막한 아포리즘으로 되어 있으니 그런 과격한 표현은 시적인 표현으로 이해하면 어떨까해요. 니체도 자신의 사상을 부정이든 긍정이든 각자 입맛대로 해석하고 끌어다 쓰는 건 달가워하지 않을테니까요. 충코님 오늘도 깊은 이해를 더해주셔서 고맙습니다.^^
@야터젠
@야터젠 5 месяцев назад
니체 쇼펜하우어 아인슈타인 테슬라 혈액형 B형
@anetteseong987
@anetteseong987 Год назад
니체와 비르켄슈타인은 왜 유명하고 책들이 많은가요?
@태화리버
@태화리버 2 месяца назад
니체는 망치를 깨어 기존 사회 체계를 무너뜨리려 했습니다.그러나 정작 그래서 뭘 어떻게 해야 할지는 제대로 얘기하지 않았죠. 다 해체해버리고 조립은 너희들이 알아서 해라 - 이런 식이 아닌지. 그러다 보니 ㅡ모든 사상이 그러하듯‘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이런 저의 견해는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오해일 수 있습니다.)
@JS-tu3lu
@JS-tu3lu Год назад
21세기 니체는 말했다, 미치도록 사색하라 듣기를 거부하라 또한 보기도 거부하라 대신 미치도록 사색하라 ( 충코의 유튜브를 듣고 반격하는 것이 아니고 이미 전에 발로했던 메세지임)
@waterexisting9651
@waterexisting9651 Год назад
니체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고나면 그는 철학적으로 사기캐일수밖에 없습니다. 다른 어느 분의 댓글처럼 “병신같지만 멋진” 형입니다.
@hacker-fp4bf
@hacker-fp4bf Год назад
남자는 강해져야 합니다
@chung485
@chung485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각자의 생각이
@땡땡땡국가데퍼
@땡땡땡국가데퍼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확실한 것은 인간은 죽는다는 것인데 .안전빵으로 신을 믿고 사후세계까지 준비하는게 지혜로운 거 같습니다.신이 존재하지 않을수도 있지만 존재할 수도 있죠.짜라투르트스가 산속에서 10년간 도를 닦았는데 아무것도 없더라 이거 아닙니까.저는 방구석에서 철학유튜부를 보면서 생각했어요.플라톤의 이데아는 아직 미완성일 수 있다.그래서 껌껌하게 보인다.그러나 설계는 되어있다.단테의 신곡에서처럼 니체는. 마르크스는 .실존주의자들은 어느 단계에 있는가. 신도 인격적이라는데.신이 존재한다고 믿으면 존재하는 것이요.부정하면 존재하지 않는 것이다.카-- 근데 기도하면 이루어지는 확신은 분명 있는 거 같아요
@구래형
@구래형 Год назад
니체 사후 120년이 지났습니다만 그를 비판 할 수록 결국 니체의 생각에 동의 하게 될 뿐입니다. 반그리스도였고 인간 개인의 보다 디오니소스적인 선택을 권장했었죠? 결국 같은 인간은 앞으로도 그 이전에도 없었죠. 당신의 말도 맞지만 참 공허한 얘기일 뿐입니다. 물론 제 의견도 또한 공허합니다.
@yjh4723
@yjh4723 Год назад
니체 본인도 막판 10년은 본인이 그렇게 깔보던 병자였군ㅋㅋ
@dal5796
@dal5796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우주먼지 인간의 선, 악? 우주는 그런데 관심없습니다
@samki530
@samki530 Год назад
저사람들의 수염은 다듬은거 아닐까요..그래서 저렇게 보이는걸수도있죠
@탁한광베쇼니
@탁한광베쇼니 Год назад
어떤사상이든 전체를 아우르는 진리는 없읍니다. 주장하는 사고가 필요한 배경과 보편성이 어는정도 인가만을 고려대상으로 할것이니
@이창연-l6d
@이창연-l6d Год назад
니체를 읽되 니체를 통과해야 한다.
@iphuck22
@iphuck22 Месяц назад
그것이 니체가 바라는 길이다.
@blackswan6881
@blackswan6881 Год назад
모든 철학은 학문의 탈을 쓴 사견이다.
@언어는인격
@언어는인격 3 месяца назад
맞습니다. 학문이라고 하면 틀이 있어야 하는데 철학은 틀이 없습니다. 단지 철학하는 법을 배우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척해봅니다.
@와룡제
@와룡제 15 дней назад
그 누구의 철학도 완전무결한 정답이 아닌것
@yesno9065
@yesno9065 Год назад
매우 공감 기독교 비판적 시각은 훌륭하지만 초인에 이르는 방법이 지나치게 억지고 위선적임
@lux2gg752
@lux2gg752 Год назад
최근 커뮤니티 등에서도 니체의 발언들이 취사선택해서 현대인들 입맛에 맞게 가공되어서 올라오곤 하는데(그래서 인기가 많더군요, 쇼펜하우어도 자주 올라옵니다) 충코님 덕분에 니체의 비판점을 보면서 역시 완전무결한 철학은 없구나 이생각 다시하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machienshock
@machienshock Год назад
그것들은 그냥 유튜브 공장의 인스턴스 식품일뿐입니다. 무당집에 찾아가서는 애매모호한 점술에 심취하는 호갱 손님이 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배우고 싶으면 유튜브가 아니라 제발! 책좀 보라고 권해주고 싶습니다. 책이 없다면 세상의 주먹에 쳐맞으면서도 견디며 배우라고 권하고 싶은 요즘 시대입니다.
@luxxost798
@luxxost798 Год назад
니체는 천재였지만 인간적으론 미성숙한 인물이였습니다 미성숙한 인물이 만든 철학이라서 위험성이 크죠 그건 니체를 이해하면 이해할수록 느낄수있습니다 니체는 패션으로 접했을때가 가장 좋죠 ㅋㅋ
@dschai0220
@dschai0220 Год назад
노자의 경우에는 노자의 말이 아닌 것들이 포장되어 퍼지고 있습니다. 수학적 논리적 해석이 아닌 경우 다 엉터리라고 보시면 됩니다.
@g4df74g1h
@g4df74g1h Год назад
철학을 완전무결함으로이해하는거는 철학을 한국식 수양으로 잘못 이해하고 있는겁니다. 득도라든지 어떤 경지에 이른다는 한국적인 한심한 권위 지향적인 이상성으로 도피하기 위해 철학을 위장술로 이용하는거죠. 너는 착한 애인 줄 알았는데 나쁜 애구나 식의 한심한 원망이고 힐난입니다 그리고 이 채널도 니체나 다른 철학잘들을 그저 선입견에 기대서 표층적으로만 이해하고 있어요. 그저 채널용 속성 아는 척 소개를 위해서요. 니체가 약자라고 말할 때 실재 사회적 약자를 지칭하는 게 아니라 부정적인 권력의지에 따르는 반동적임 힘에 복속된 사람을 일컷는 거에요. 물론 니체 스스로도 초기에 그걸 구분 못하기도 했지만 점차 인간 그 자체보다는 인간안에서 벌어지는 권력현상 힘들의 작용에 포커싱을 하고 인간의 주체성과 구분을 하기 시작해요. 니체가 주체적 인간성을 강조했다고 하는 건 이 채널이 니체를 잘모르고 콘텐츠용으로 부분부분의 인상만 주의해서 읽어서 그래요. 니체는 말년에 채찍 당하는 말을 보고 눈물을 흘리며 말을 끌어 안았습니다. 니체가 말하는 건 우리가 말하는 선이나 도덕이 그 자체 절대적인게 아니라 연원을 가지고 있으며 주로 인간에게 죄의식과 가책을 심는 방법으로 인간을 부정과 원한으로 살게 만든 역사를 분석하고 있는거에요. 니체는 그리스도를 십자가에 박힌 디오니소스라고 하며 고귀하고 높게 평가했습니다.
@g4df74g1h
@g4df74g1h Год назад
덧붙이면 니체는 고통을 부정하지 않았어요. 니체는 고통과 위험과 함께하고 기꺼이 그것들을 받아들이고 같이 그 운명을 기뻐하기를 주장했습니다. 니체가 비판하는건 no pain no gain식의 고통과 구원의 교환, 고통과 이익의 교환, 고통과 신성의 교환같은 인간들의 자기 기만이었습니다. 너가 용서받기를 원해? 그럼 고통을 통해 그 자격을 증명해봐. 너의 죄를 고통으로 속죄해라. 너의 욕망을 이루고 싶어? 그럼 참고 견뎌. 정성을 보여, 그 정성을 고통으로 증명해. 너가 어떤 경지에 이르고 싶어? 고통없이 불가능하다. 뼈를 깍는 고통으로 도를 닦을 수 있고 열반의 경지에 이를 수 있다. 이런 부채로서 고통을 지불할것을 요구하는 사고 방식. 그리고 고통을 지불한자가 이번에는 타인에게 나도 어렵게 한거 너가 쉽게 얻으면 안되지라면서 타인에게 고통을 증명하기를 요구하는 저열함을 비판한 거였어요. 한국에도 많죠? 수양이니 수행이니 고행이니 그 자기 절제와 인내와 고통을 통해 인간이 다음 단계에 도달할 수 있다는 불교적 또는 한국적 시기심과 사기꾼 도사, 스승과 제자의 도제심보. 너의 고통은 너의 책임이며 너가 마땅히 감내해야 할 인과응보식의 사고. 니체는 이런 고통을 요구하는 부정적 사고방식의 역사를 추적하고 비판한 거에요. 니체는 그래서 짐을 나르는 당나귀에 대한 비유로 가책, 관습과 굴레를 벗어던지라고 한거고요. 니체에게 있어서 고통은 운명애에 가깝고 디오니소스의 고통이에요. 긍정하는 인생으로서 고통이죠.
@siamesecat-ic7xt
@siamesecat-ic7xt Год назад
니체 철학책을 25,6년전에 완전 빠져서 봤었고 지금은 잘 기억이 안나지만 저는 이렇게 기억하고있습니다 니체의 여러 책들이있는데 니체도 나이가 들면서 책내용들도 점점 성숙해간단 생각이 들었고 불안정하고, 도전적이고 반항적인 청춘의 이야기부터.. 완전히 해탈한 성인의 이야기까지 다이야기하고있어서 개인적으로 방황하던 대학생시절 너무 인간적으로 공감이 가서 니체에게 빠졌던 기억이 있네요.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에서였던가...사자처럼 강인한정신을 가져야되지만 궁극적으로는 어린아이처럼 순수한 마음을 가져야된다고 했던 내용이 기억나는데 니체의 중심사상을 잘 표현한내용이라고 생각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리고 니체는 사상도 사상인데.. 철학책이 참 읽기 힘든책인데.. 니체책은 한번빠져들면 헤어나올수없게 만드는 엄청난 매력을 가지고 있었던것같네요. 문장표현들이 시적이고 독창적이어서 철핵책이면서 동시에 예술작품을 보는것같은느낌 40대가된 지금 읽으면 어떻게 다가올지 꼭 시간내서 니체책을 다시 한번 읽어봐야겠네요.
@atozzao
@atozzao Год назад
@user-js2ml1yn2b똑같은 댓글 좀 그만
@kanghunahn5839
@kanghunahn5839 Год назад
너무 쉽게 철학에 대한 가치 판단을 하시는 것 같아요 그것도 충분한 이해가 부족한 상태로 말이에요 쇼펜하우어가 칸트의 순수이성비판을 마구잡이로 비판하는 사람들에게 남긴 말이 있죠 이해는 어렵고 비판은 쉽다 새겨주셨으면 합니다
@wms4336
@wms4336 Год назад
맞습니다 변두리 내용도 아니고 가장 핵심적인 주장들을 정반대로 이해하고 있는상태로 영상을 만든 느낌이 듭니다
@Peegasis
@Peegasis Год назад
공감합니다! 텍스트의 문맥적 한계로 구현되는거 같아 아쉬움이 많이 듭니다
@찢죄명
@찢죄명 Год назад
물리학에서도, 열역학을 전공했느냐 전자기학을 전공했느냐 등 전공한 분야에 따라서, 물리학 박사더라도 특정 분야에 대해서는 학부생보다 못한 지식을 갖는 경우가 많은데, 철학은 더욱이 전공자냐 아니냐가 더 크게 작용하는 학문임에도 불구하고 이런식으로 철학 전반을 다루는 유튜버들은 기껏해야 대학원생일텐데 자기가 관련 전공자라는 이유만으로 너무 쉽게 철학을 단정짓는것같아서 조금 보기가 역함. 니체 연구만으로 박사학위를 딴 사람들도 조심스럽게 말하는게 니체의 철학인데, 중요한 부분에 대한 이해가 떨어진 채 “대중적인 철학”인 니체의 철학을 욕하면 이에 거부감을 가지고 있던 홍대병 힙스터들이 보면서 지적 우월감을 느끼며 본인들이 저런 다수의 니체빠돌이와 다르다는 착각을 하는 이 사태도 답이 없다
@wms4336
@wms4336 Год назад
@@찢죄명 전공한 분야에 따라 당연히 특정 분야에 대해 잘 모른다는 것과 잘 모르는 분야에 대해 완전히 잘못된, 반대된 이야기를 하는 건 다른 얘기라고 생각하는데 어떻게 생각하신가요? 너무 쉽게 철학을 단정짓는건 충코님이 아닌가요? 니체 연구만으로 박사학위 딴 사람들도 조심스럽게 말하는데, 충코님의 영상이 오히려 제대로 된 근거 없이 대중적인 니체 철학을 까는 홍대병 힙스터들의 지적 우월감에 더 가까운 것 아닌가요? 실제로 충코님을 이렇게 생각하지는 않지만 댓글 작성자님의 모든 말이 오히려 충코님에게 더 적합해 보이는데...
@별빛나그네-c3u
@별빛나그네-c3u Год назад
본인은 니체가 되고싶고 친구나 주위사람은 자신을위해 희생하는 고생하는 엄마같은 성자가 되길 바라는거지
@sonatano2958
@sonatano2958 Год назад
니체의 철학은 때려부수는 철학이라고 불리는 만큼 도덕이나 체계에 대한 믿음에서 벗어나 의심해보게 만드는 점에서 대단하지만, 그 이후의 삶에 대해서는 평범하고 나약한 개인들에게 충분히 해답을 제시하지 못했다는 생각도 듭니다.. 기존 체계를 의심한 이후에 어떤 규칙들로써 살아갈 것인지, 나만의 규칙들로 살아갈 때 과연 진정으로 외롭지 않고 행복할 수 있는지를 고민했을 때 저는 결국 사회의 기존 가치 체계를 따라가게 되었다는 점에서 니체 철학은 잠시의 일탈이라고 느껴질 때도 있어요.
@이동건-u7c
@이동건-u7c 6 месяцев назад
저도 공감합니다
@hhlim8532
@hhlim8532 Год назад
니체는 모두가 자신의 삶의 주인이 되기를 바랐을 겁니다.
@ShallSetmefree
@ShallSetmefree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그러기엔 니체의 글은 읽을 수 있는 사람만 읽을 수 있게 썼습니다. 피로 쓴 글이라고 스스로 부르잖아요
@JOUOii
@JOUOii Год назад
니체를 굉장히 좋아하는 사람입니다. 니체를 또 다른 관점으로 볼수있게 되어서 좋습니다. '어떤 인간상이 바람직한 인간상인지는 관계와 상황에 따라 달라진다' 이 문장이 시사하는 바가 크다는 생각이 듭니다. 감사합니다.
@arashiyama-0
@arashiyama-0 Год назад
저는 니체가 기존의 가치 체계를 부정하는 것 만큼이나 새로운 가치 체계를 세우는 것을 강조했다고 생각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망치로 기존의 질서를 파괴할 생각만 하고 그 자리를 대체할 새로운 가치 체계를 세우려 하지는 않는 것 같아 씁쓸합니다.
@vinci7804
@vinci7804 Год назад
니체가 혐오할만한 사람들이 오히려 니체를 왜곡하고 이용하여 자기 주장을 하고 있는 경우들이 많은 거라 봅니다. 그리고 그에 대한 반발로 니체를 혐오하는 사람들이 있는 거라 봅니다. 왜곡과 오해가 많은 것으로, 이는 니체의 텍스트가 난해하니, 자기 입맛대로 왜곡해서 써먹기가 좋기 때문인 것이라 봅니다. 히틀러와 관련해서도 니체 철학을 히틀러와 연결시키려 했던 적이 있고, 사실인지 아닌지 모르겠지만, 그의 여동생이 이에 가담했다는 얘기를 들었습니다. 그런데 히틀러의 전체주의와 니체의 철학은 완전히 반대죠. 니체는 '개체주의'라고도 말할 수 있는 거라 봅니다. 그렇다고 니체가 '완전히 고립적이고, 세상은 어찌되든 말든 상관없고, 오로지 자기만 생각하는 이기주의이고' 이런게 아니라고 봅니다. 에서 니체는 자꾸 세상에 뭔가 퍼주려고 하는 걸 볼 수 있습니다. 아낌없이 낭비하면서 퍼주는 그 장면을 미적 비유로 표현한 것이라 해석되는 부분도 있었고요. 그리고 니체를 선해한다면, '개체의 가치를 극히 끌어올려서, 고귀한 인간을 만들어내고, 그 고귀한 인간들이 세상을 밝게 만들면 된다.' 이런 식으로 생각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봅니다. 그건 선생님이 갖는 태도죠.
@정현우-d8k9g
@정현우-d8k9g Год назад
니체 철학은 변화의 철학입니다. 챔피언이 된 후 어떻게 하느냐면, 방어전을 나름대로 치르다가 다른 사람에게 벨트를 뺏기고, 자신은 또 그에 재도전하고… 하는 모든 과정을 있는 그대로 긍정하는 게 니체의 입장인 것으로 압니다. 승리 후 계속 그렇게 변화를 마주하며 춤을 추면 되는 건데 그걸 받아들일 사람이 많지 않겠습니다.
@arashiyama-0
@arashiyama-0 Год назад
⁠​⁠​⁠@@정현우-d8k9g 그렇다면 니체의 세계관으로 바라본 세상은 모든 것의 흥망성쇠가 마치 톱니바퀴처럼 맞물리는 현장이겠군요 :) 그리고 그것을 있는 그대로 관조하고 또 그 과정의 일원이 되는 것이 니체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삶이 아닐까 싶습니다 :)
@박재순-v3x
@박재순-v3x Год назад
7:38 니체에게 부정성을 진지하게 마주하며 자신의 삶을 통합시키려는 자세가 부족하다니.. 윌리엄 제임스는 니체의 글을 제대로 읽어보기나 한 건가요? 죽기 전까지 니체가 한 것이 바로 저런 것들이었는데.. 자신의 운명을 고통마저 긍정하며 받아들여라 08:07 또 안티크리스트를 읽어보면 예수를 데카당이긴 하지만 성스러운 사람이었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합니다 오히려 예수의 삶과 다른 방향으로 전개된 기독교를 위선이라며 비판하는데
@Daniel-ew5qf
@Daniel-ew5qf Год назад
"이제 너희에게 말하니, 나를 버리고 너희를 찾도록 해라. 그리고 너희가 모두 나를 부인할 때에야 나는 너희에게 돌아오리라." - 니체, 에서
@ShallSetmefree
@ShallSetmefree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완전 도마복음인데 이거
@softhwarangpark870
@softhwarangpark870 Год назад
니체를 제대로 비판하려면 니체가 진짜로 추구했던게 뭔지 깊게 파고 들어야겠죠. 그런점에서 영상의 비판은 너무 얕아서 굳이 고려해야되나 싶은 수준이네요. 영상의 논리가 사실상 니체의 초인사상을 잘못 인용해 갖다쓴 나치의 논리였죠. 하지만 니체를 연구한 사람들이 그게 니체가 원레 추구했던것과 다르다는걸 말하고 있죠. 니체가 말하는 약자란 실제 열악한 조건에 있는 약자를 말하는게 아니라고 봅니다. 삶을 살아갈 의지가 매우 약한 사람들을 지칭하는거죠. 부자라도 자.살 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니체의 입장에선 이사람도 약자인겁니다. 나쁜놈들이 낫다는건 약자에 비하면 이사람들이 살아갈 의지를 매우 강하게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기 때문이지 선악의 입장에서 바라본게 아닙니다. 당연히 싸패나 쏘패는 쳐맞아야죠. 하지만 싸패 쏘패 개인의 입장에서는 자신에게 매우 충실한 삶을 살았던겁니다. 가장 이상적인건 자신의 이익을 극대화 시켰을때 타인에게 좋은 영향력을 줄수 있을때입니다. 이게 어떻게 가능하냐고 생각한다면 기존 기독교적 발상에서 벗어나질 못해서 그렇습니다. 인간은 신의 존재 없이는 착한짓을 못한다고 하는 발상이죠. 하지만 인간은 신없이도 충분히 서로 돕고 살았습니다. 인간 dna 자체가 친화성을 가지고 있기 떄문이죠. 타인에게 도움을 주는것이 자신에게 행복이라는걸 사람들은 이미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시스템이 그걸 방해하죠. 분명히 서로 좋아하고 있음에도 여러 조건때문에 같이 어울리지 못하는 사람들 처럼요. 여튼 이번 영상은 좀 실망했습니다.
@chungco_phil
@chungco_phil Год назад
제임스도 니체만큼이나 훌륭한 학자인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제임스의 주장이 일리 있을 수도 있다는 가능성도 한번 생각해보려고 시도해보는 건 어떨까요?
@softhwarangpark870
@softhwarangpark870 Год назад
@@chungco_phil 아뇨 전 이미 판단을 내려서요. 종교가 인간에게 좋은 대안이었다는건 인정합니다. 뭐랄까 술이나 마.약으로 밖에 위안받지 못하는 상황에 있는 사람이라면 그거라도 해야하지 않겠어요? 근데 어느순간부터 종교는 그런 힘을 잃었습니다. 사람들은 이제 더이상 진지하게 신을 믿지 않죠. 더이상 신이 없다면 이제 사람들은 뭘 의지해 살아야 할까요? 그게 니체의 원점입니다. 제임스는 뭐랄까 그 원점 조차도 넘어서지 못한 사람이라고 봅니다... 걍 올드맨이죠. 조던 피터슨이 약간 이런 포지션이긴한데 그 사람도 니체를 아예 부정하진 않습니다. 조던 피터슨은 이렇게 말했죠. 신은 존재하지 않는다. 하지만 난 신이 존재하는것 처럼 생각하고 행동할것이다. 라구요. 이것도 나쁘지 않은 발상입니다. 니체의 가장 큰 단점은 약자를 위한 철학은 아니라는 점입니다. 누구나 다 니체처럼 살수있는건 아니니까요. 니체가 고통을 회피하려 한다는건 정말 큰 오해구요. 오히려 적극적으로 받아들여서 그걸 극복함으로써 삶의 의지를 놓지 않을수 있다는 관점입니다. 전 불교적 관점도 괜찮다고 생각해요. 고통의 존재를 아예 외면해버리는거죠. 걍 좀 러프하게 말하자면 정신승리 하겠다는게 불교입니다. 모든 사상과 철학이 의미 있다고 생각 안하구요. 나한테 옳은 철학과 아닌것들이 있을뿐이라고 생각합니다.
@조과스키
@조과스키 Год назад
니체가 실제로는 약자를 위한 철학이라서 독재자와 싸우다 죽은 공산당원들이 니체 구절을 외우고 다녔죠 그래서 서양권에서 니체 비판에 자금을 대고 그런 역사가 있습니다 이미 나치즘에 세뇌당한 사람들에게 무슨 말을 해도 소용없습니다 이미 세뇌 당해서
@조과스키
@조과스키 Год назад
이래서 연구가 아니라 암기하는 사람들이 무섭습니다 A책 읽으면 A 주장하고 B 책 읽으면 B 주장하고 자기 생각은 하나도 없고요
@mindisnoting
@mindisnoting Год назад
충코님은 지금 삶의 이유를 찾고 싶은듯 하네요 니체를 아직 다 이해한것이 아닌듯 불교도 고통의 외면이 아니라 고통은 허상일때가 많고 가짜 고통에서 벗어나는게 핵심인데 고통을 직시하지 않으면 고통의 실체를 알수 있을까요
@Vulcanus.
@Vulcanus. Год назад
우울과 허무주의에 빠졌을 때, 니체의 책을 잔뜩 읽으면서 극복했습니다. 근데 건강한 정신이 되어서 니체를 다시 읽어보니 거부감이 느껴졌었는데, 이 영상을 통해서 그 느낌의 이유를 찾게 되어 소름이 돋습니다! 이번에는 윌리엄 제임스의 책을 읽어 봐야겠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hrj2153
@hrj2153 Год назад
전 오히려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건강하지 못할 땐 니체철학이 역겹거나 버겁게 느껴지는데, 신체적 건강도 회복하고 즐거운 기분을 되찾으면 다시 니체의 말들에 끄덕이게 되더군요.
@BSA21M
@BSA21M Год назад
@wojciech4112 ㅇㅈ 깨달음의 결론은 순수로 귀결됨
@leageoflegeondkoreang6146
@leageoflegeondkoreang6146 Год назад
​@user-js2ml1yn2b낙타.
@iiiiiii-sd9bd
@iiiiiii-sd9bd Год назад
각자의 상태에 따라서 적절한 처방이 필요한 것 나한테도 지금은 니체가 필요할 것 같다
@user-ne9ezsiy3fl
@user-ne9ezsiy3fl Год назад
저 또한 '어떤 인간상이 바람직한 인간상인지는 관계와 상황에 따라 달라진다' 이 문장에 공감하는 바이고, 철학은 어디까지나 스스로 사고하는 사고력이 핵심이지 다른 것이 중요하다 생각지 않습니다. 어디까지나 다양한 그들의 철학이고, 생각이고, 그들이 발견해낸 그들의 지혜니까요. 어느 한 생각에 갇힌다면 그것이 철학의 퇴보라고 생각합니다.
@gnsdl116
@gnsdl116 Год назад
동감합니다. 사람들은 정답을 찾기 위해 철학을 공부하지만 철학은 정답을 잘 찾을 수 있게 도움을 주는 학문일 뿐 하나의 철학을 맹신하면 안되는 것 같습니다
@김태곤-c6p
@김태곤-c6p Год назад
니체가 주장했던 사상들을 제대로 보려면 그 문자적인 해석보다는 니쳬가 살았던 시대적인 배경과 그가 만났던 위선으로 가득한 사람들을 살펴볼 필요가 있어요. 그러면 니체의 사상이 단순히 부정과 어떤 염세적인 색체를띄는것이 아니라 실체에대한 어떤 확신같은 믿음의 힌트를 제공해주는 것을 볼수 있어요.
@끼기-x4g
@끼기-x4g Год назад
성인들은 고통을 참은 것이 아니라 모든 고통에서 벗어난 것이다.
@jupiterwi3845
@jupiterwi3845 Год назад
게임 이론에 대한 게 생각나네요. 기버 테이커 매처의 균형이 계속 변화하죠. 이는 생물계에서도 그렇죠. 포식자와 피식자 중 한 쪽 만이 우세한 상태로 지속되지 않죠. 성인과 같은 사람이 많은 사회는 문제를 방치하게 되고 이는 초인과 같은 사람이 해결하게 될 것입니다. 역시 반대로도 초인이 많은 사회에서는 서로의 싸움으로 피폐해져 덕을 논하는 성인이 추앙받는 시대가 오겠죠. 인간은 불완전하여 어떤 사상도 완벽할 수는 없을 것입니다. 그저 인간 존재 여부와 상관 없는 이 세상의 원리만이 완벽에 가깝겠죠. 잘 봤습니다.
@cjdixjdnjsn334
@cjdixjdnjsn334 Год назад
누군가 소크라테스와 대화 할 수 있다면 전재산이라도 받치겠다고 하던데, 두철학자가 대담을 하게 만든다면 저도 그럴듯합니다. 니체를 좋아하고 사랑하는 사람으로서 새로운면을 볼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감사합니다. 그러한 취약점을 재임스는 "약한 사람들 악마가 되게 선동질 하지마!" 라고 하는듯 합니다. 21세기 다양성에서 오는 갈등과 약자의 왜곡된 권위가 만연란 지금 두 철학자의 쓴소리가 필요합니다.
@generosoj6201
@generosoj6201 Год назад
전재산 100원인데 개꿀 ㅋ
@niniano1157
@niniano1157 Год назад
자신을 채찍질할때는 니체를,다른 사람을대할때는 윌리엄 제임스를 떠올리면 좋을거 같기도 하네요.니체의 책은 어려워서 얼마 못 읽었고 해설만 읽어봤지만 그의 정신승리에 기대지 않고 자신을 더 강하게 만드는 말들에 저는 깊은 공감을 느꼈어요 하지만 절대로 그것을 남한테 강요하면 안된다고 생각하는 바입니다,니체의 사상에서 나올수 있는 위험성이 그런게 아니가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fargo90
@fargo90 Год назад
처음 니체를 읽었을 때는 그 글들이 애초에 이론적으로 설득력을 가지는 스타일의 글이 아니어서 이해도 되지 않았고 마음이 가지도 않았었던 기억이 있는데, 그 이후에 니체의 삶을 조금 알고 다시 그의 사상을 접해봤을 땐 뭔가 공감이 되는 부분이 많았던 기억이 남. 영상에서 이야기 하는 니체를 비판하는 부분에 동의하지만, 그럼에도 학부에서 공부를 하면서 계속해서 남아있던 니체의 문장들을 떠올려보면 아무래도 니체가 이야기 하는 그 밑도 끝도 없는 긍정과 엇나갈 수도 있을 것 같은 기존 체계에 대한 비판이 단순히 그의 사색에서 도출 되어 우리에게 전해지는 귀감이 아니라, 자신을 부정하는 것들에 맞서 어떻게든 삶을 긍정해야 했던 처절한 싸움의 결과에 가깝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듦. 아마 니체도 조금 평안한 시간을 가졌다면, 그래서 조금 더 삶을 누렸다면 그의 생각도 얼마든지 더 많이 바뀔 수 있었다고 생각하고 그걸 읽는 우리도 니체의 생각이 완결 된 끝이 아니라 허무에서 딛을 수 있는 첫 걸음이라고 생각하면 아직 충분한 가치가 있는 철학이 아닐까 생각함.
@samuelyoo8464
@samuelyoo8464 Год назад
니체에 대한 제 생각과 정확히 일치하네요.
@kim-lg7rc
@kim-lg7rc Год назад
아마 니체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을걸요
@littleblackCS
@littleblackCS Год назад
공감합니다
@purehbk
@purehbk Год назад
전혀 공감 할수 없는 피상적인 너무나 피상적 이해네요 … 강육강식의 진화론을 역겨워 한것, 성인의 전형이라고 할수 있는 “예수”를 높이 평가하며 ‘전형으로서의 예수‘ 문제에 깊이 심취해 있었던것 …등등 맘 먹고 이야기 하자면 위 내용을 반박할수 있는 것은 차고 넘칩니다~ .. 니체 형님이 그렇게 허접한 내용으로 깔일수 있는 분이 아닙니다 ㅎ … 더군다나 실용주의 철학자한테는 더더욱 아닙니다 .
@samuellee6735
@samuellee6735 Год назад
기독교인으로 니체가 말하는 기독교적 비판이 솔직히 옳다고 느낍니다. 의심하지 않고 맹목적으로 믿는건 삶에 도움이 안되죠. 단계별로 의심하면서 성장해가면서 믿음이 강해진다고 생각합니다. 이렇게 니체는 대부분 깊은 생각없이 종교를 믿고 따르는 어떻게 보면 조금 안일한 믿음을 비판하는데 저도 동의합니다. 신은 죽었다라는 니체의 말에서는 그가 정말 기독교에 대한 관심이 깊었기 때문에 깊은 생각후 나온 결론이라는게 느껴집니다. 니체의 기독교적 비판은 저는 동의 하지 않지만 그의 깊은 생각의 노력과 접근 방식은 배울점이 많다고 생각합니다.그리고 서울대 선정 인문고전 42 화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를 볼때 그 책의 내용만이 아니라 니체의 전체적인 인생을 돌아보면서 설명하는데, 거기서 배울점은 자신을 믿고 사랑하면서 긍정적으로 삶을 살아 가는 정신을 얻는것인거 같습니다. 영상의 내용처럼 니체를 완전히 응호하고 자신의 입맛대로 니체의 말을 갖다 붙이는 사람들도 니체가 비판하는 맹목적인 믿음의 기독교인들과 다름없는 수준이라고 생각합니다. 또 영상에서 다루는 니체의 문제점들이 어느정도 맞다고 생각하는데 니체가 말하는 위버멘쉬 는 성인의 성품이 있는 사람들을 인정하지 않는 그런 말에 동의합니다. 니체가 소펜하우어의 철학, 그저 끝없이 욕망이 낳는 고통 속에서 살아가다 죽는다에서, 그 고통도 삶에 일부로 취급하고 우린 성장해야 한다 라는 긍정적인 사상을 품은것 처럼 저도 니체가 조금 비판적인 기독교적 사상에도 깊은 가치와 긍정적인 이유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폭풍의전사
@폭풍의전사 Год назад
귀하는 혹시 짝퉁 기독교인입니까 귀하가 기독교인이라면 니체를 볼때 백두산만한 구렁이가 보여야됩니다 노름에 미친놈 술에 미친놈 낚시에 미친놈 아편에 미친놈이 있는데 니체는 도가도 비상도의 해방과 자유라고 하는 노자의 똥구멍을 빠는 똥벌레인데 이똥벌레에 미친 하이데꺼 데리다 라깡들이 있어요 물고기는 물속에서만 자유가 있고 기차는 선로 위에서만 자유가 있습니다 하이데꺼나 니체의 자유는 사탄의 자유입니다 위버맨쉬는 하늘을 나는 도가의 자유요 성경적으로 표현하자면 루시퍼천사의 자유입니다 서울대학교의 최고의 엘리트들이 뱀새끼 문재인을 대통령으로 찍었고전라도는 거의가 뱀새끼 문재인을 대통령으로 찍었는데 세계의유명인들 하바드대학의 석박사들도 니체를 좋아하고 있습니다 그대가 니체의 생성소멸의 환상을 아시나요 니체의 사상은 석양노을 보다 천배나 아름답고 황홀한데 루시퍼 천사의 황홀함입니다 그래서 니체의 환상속에 하바드 총장놈들이 미치고 환장하는것입니다 니체는 가진자들의 도덕을 철저히 반대했습니다 니체는 그당시의 신부 추기경 목사 수녀 청교도들을 악인으로 분류하고 어거스틴 칼빈 루터 데카르트 칸트의 사상을 반대한 악마놈입니다 개는짖어도 기차는 달립니다 니체가 그토록 기독교를 저주했지만 미국의 청교도들은 찬란한 문명을 이루었습니다
@kkkagakko
@kkkagakko Год назад
기독교야 말로 사람은 원죄, 즉 짊어진죄를 가지고 태어났다 라는 이 말도 안되는 대전제 속에 현세가 허무적이며 부정적이라고 인식되게끔 하는걸 니체가 까는겁니다. 불교 또한 현세는 고통에 찼다라는 것으로 출발하여 자기내면으로의 도피안을 추구하는것을 보는것도 니체가 까는겁니다. 스트롱맨의 진정한 의미는 현세가 고통이다. 죄를 짊어지고 태어났다 이 근원적 종교에서 추구하는 인격신, 천국, 도피안같은것을 부정하며 자신의 의지의 힘을 증대하여 정신이든 물질이든 자신 스스로 통제하고 지배할수 있는 힘을 기르라는 것입니다. 궁극적으로 니체가 추구하는 것은 그것이 도덕적으로 선이냐 아니냐, 종교에 기대지 않고 자신의 힘으로 우뚝서 삶과 인생을 의연하게 긍정하는 강건한 정신력이 최대의 덕이며 그러한 삶이 건강한 삶이다. 라는 메시지를 던지는거죠. 밝고 쾌활함을 니체는 얘기하는건데 견해의 차이가 극명하긴 하지만 어찌보면 종교를 긍정하냐 부정하냐의 차이지 삶의 긍정을 이야기하는건 같다고 봅니다. 근데 니체가 까긴 많이 깠죠. 부정적 어조로... 아마 니체가 살아생전 몸이 좀 덜 아팠다면 실연을 덜 당했다면 제임스가 니체를 깔 일은 많이 없었을것 같단 생각이 드네요.
@jhpark7826
@jhpark7826 Год назад
니체는 삶의 부정성을 외면하지 않았다. 그의 긍정철학을 오해한 듯.
Далее
Редакция. News: 136-я неделя
45:09
Просмотров 648 тыс.
ПОЮ ВЖИВУЮ🎙
3:19:12
Просмотров 875 тыс.
니체가 말하는 진정한 삶의 자세
17:10
Просмотров 624 тыс.
카뮈 : 이 모든 것이 대체 무슨 의미인가
1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