Тёмный

배터리화재 '열폭주'가 문제…전기차 괜찮을까/[이슈플러스]/한국경제TV뉴스 

Korea Business News
Подписаться 132 тыс.
Просмотров 2,2 тыс.
50% 1

이번 주 경기도 화성 1차전지 공장에서 큰 화재가 났죠. 현재까지 23명이 사망한 것으로 확인돼 역대 최악의 배터리 공장 사고로 기록될 전망입니다. 배터리와 워낙 광범위하게 쓰여 소비자 불안도 커지고 있는데요, 산업1부 강미선 기자와 살펴보겠습니다.
#배터리 #화성공장화재 #전기차
[기사원문보기]
www.wowtv.co.kr/NewsCenter/Ne...
△대한민국의 경제를 보세요!
△구독과 좋아요 그리고 알람설정하세요!
#한국경제TV뉴스 #뉴스플러스 #경제 #투자 #한경
△'한국경제TV 뉴스' 유튜브 구독
bit.ly/3nlLPEu

Опубликовано:

 

25 июн 2024

Поделиться:

Ссылка:

Скачать:

Готовим ссылку...

Добавить в:

Мой плейлист
Посмотреть позже
Комментарии : 25   
@user-uu1nr6td6o
@user-uu1nr6td6o 2 дня назад
요즈음 방송하실때 공부하시고 방송하세요 이차전지 주주들은 공부가 되어있어가지고 바로 틀린부분 잡아냅니다 섣불리 거짓 뉴스 내시면 망신당하십니다 개인 주주들이 아주 똑똑해요
@user-bm4fw5jm1z
@user-bm4fw5jm1z 2 дня назад
LG가 올해 4680 원통형 양산화 하고 SK는 아직 원통형 양산화 못하는데.. 이 뉴스가 씨발 정보도 다 틀리 2차전지 뉴스보면 거짓 뉴스가 너무 많은게 진짜 문제다..으이구
@tooltalk
@tooltalk 2 дня назад
중국인들이 너무 많아서.
@BYTR-to8cs
@BYTR-to8cs 2 дня назад
강미선 기자님. LFP, NCM 배터리를 좀 더 제대로 조사하시고 뉴스 보도를 하셨으면 좋겠습니다. 말씀하신것처럼 화학적 특성은 LFP가 안전합니다. 그런데 전기차로 넘어 오면 상황이 다릅니다. LFP는 원래는 자동차에 적합하지 않은 배터리 입니다. 에너지 밀도가 낮아 2C-rate이상의 고출력 고방전 상황에서 배터리 수명 저하가 심해지며 화재의 위험도 NCM보다 오히려 몇배로 커지게 됩니다.(LFP를 쓰는 대부분의 중국의 전기차 화재가 수도없이 발생하는 이유). 국내에서도 LFP를 장착한 레이EV 주행시 시속40km의 저속에서도 전압이 불안정하여 배터리 수명에 악영향을 주는 모습을 볼수 있습니다. 테슬라 LFP장착 차량과 비야디의 차량이 2~3년만에 10% 이상의 배터리수명 저하가 나타나고 있으나 현대 EV6 같은 NCM차량은 31만km를 타도 3%정도 하락할 정도로 고출력 방전을 요구하는 전기차에는 결국 NCM 배터리가 현재로써는 가장 나은 배터리 입니다. 중국산 LFP차량이 십만대당 8건의 배터리 화재사고가 발생하고 있으나 현대의 NCM차량의 화재는 자채 발화로 인한 화재건은 몇년전 전기차 초기 시장에서 배터리 불량 1건 후에는 단 한건도 없습니다. 나머지 화재는 불량 충전기, 사고로 인한 배터리 손상으로 인한 사고 입니다. 결론은 자체 발화로 인한 화재는 LFP, NCM 모두 생각보다 확률이 적습니다. 그런데 이번 영상에서 화두인 전기차에서는 위에 설명드린대로 실질적으로 LFP가 들어가는 전기차가 화재 위험이 훨씬 크며, 통계적으로도 LFP 배터리 장착 전기차의 화재가 매우 빈번하며, NCM 배터리 장착 전기차의 화재는 상대적으로 굉장히 낮습니다.
@followurbliss1010
@followurbliss1010 2 дня назад
이정도는 조사해야 기자라고 할수있지않을까..
@saskyi3296
@saskyi3296 День назад
기자수준이 덜떨어졌네요
@cychoi3363
@cychoi3363 7 часов назад
사고로 인한 화재는 중국산이 더 안전하다구~ 애초에 쓰는 소재가 달라. 근데 도찐개찐인게 열폭주에 대한 배터리 안전성이 100%아니잖아 전문가들이 진짜 확신하는건가
@user-dk4jz4ic3k
@user-dk4jz4ic3k 2 дня назад
전기차가 더 성공할려면 열폭주의 위험성 감축과 충전시간의 단축이 해결되어야 한다.
@Zuilietzhan
@Zuilietzhan 2 дня назад
앞으로 밧데리 공장 이랑 전기차 차체는 모조건 세라믹 코팅 필수네
@Lee-pj2um
@Lee-pj2um 2 дня назад
어디 회사 무슨 제품이냐?
@followurbliss1010
@followurbliss1010 2 дня назад
Lfp 열폭주 못봤소? 중국이 뉴스틀어막아도 이정돈데 ㅋㅋ
@meguru420
@meguru420 2 дня назад
중국전기차 불나서 난리난 영상이 숱하다 LFP배터리가 화재가 덜하다는건 낭설이다
@user-ij5km2ef4d
@user-ij5km2ef4d 2 дня назад
중국 전기차 불나는건 NCM인 경우가 많습니다 중국이라고 NCM 안쓰고 전부 LFP라는 착각은 안하시는게 좋아요 지금 SK나 LG도 그래서 LFP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saskyi3296
@saskyi3296 День назад
​@@user-ij5km2ef4dㅋㅋ 진실인것마냥얘기하네..짱개냐?
@dmkim78
@dmkim78 3 дня назад
졔조사는요? 사용되는 제품은?
@user-mu3tt3jy5d
@user-mu3tt3jy5d 2 дня назад
현재 상업화 양산기준 삼성sdi 각형 원통형 bmw Sk온 파우치만 포드 현대친 Lg엔솔 원통형 파우치형 gm 테슬라 폭스바겐
@user-uu1nr6td6o
@user-uu1nr6td6o 2 дня назад
똑똑하심​@@user-mu3tt3jy5d
@old-car-artist-tivema
@old-car-artist-tivema День назад
썸넬 포드 머스탱인디 전기차 아닌디
@sakui83
@sakui83 2 дня назад
중국돈 받았냐? lfp가 더 안전하다는 건 중국애들이 주장하는거고. sne리서치에서 나온 ’중국 LFP 배터리 발화 위험성 대두‘ 보고서나 좀 읽고 기사내라
@nelkim6944
@nelkim6944 2 дня назад
2차전지 주식에 물렸나? 논문과 관련 연구 찾아 보면 LFP가 열폭주 현상이 적고 에너지 밀도가 낮아 열폭주 강도도 훨씬 약하고 구조적으로 열확산 또하 낮아서 상대적으로 화재 문제에서는 NCM에 비해 안전하다는건 상식인데 개소리를 하네... LFP가 에너지밀도가 낮아서 단점이 많은것도 사실이고 반면 그걸로 인해 화재는 상대적으로 덜 위험한 것 역시 사실
@user-qc7be6xx1w
@user-qc7be6xx1w 2 дня назад
@@nelkim6944 니가 말하는 논문과 관련연구에서 "LFP가 열폭주 현상이 적고" 한 때의 배터리 씨레이트 0.5 씨레이트다 그런데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씨레이트가 0.5 씨레이트냐? BYD의 LFP 배터리의 씨레이트가 얼마인지 확인해 보고 이런 개소릴 해라 니 말하는 건 마치 막걸리 한 병의 알콜도수가 소주 한 병의 알콜도수 보다 낮다는 조사결과를 가지고 막걸리 한 말을 먹어도 소주 보다 덜 취한다고 말하는 꼬라지 인 거다 0.5씨레이트에서는 LFP배터리의 안정성이 삼원계배터리 보다 안정성이 높은 건 맞지만 배터리 온도관리를 감안한다고 해도 1.5 씨레이트 이상에서는 오히려 LFP배터리의 열폭주 위험성이 더 높다
@user-ev6bf3ko3o
@user-ev6bf3ko3o 2 дня назад
@@nelkim6944 반은 맞고 반은 틀렸습니다. lfp배터리가 에너지 밀도가 낮은 저준위 배터리이기에 열폭주 강도나 확산력이 낮은 건 맞지만 화재 가능성이 제로인 건 아닙니다. 전극간의 접촉이나 마찰등 불상의 사유로 인한 화재 위험성은 당연히 존재합니다. NCM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을 뿐이죠. 문제는 catl의 신기술 배터리 셀 제조 방식입니다. lfp는 높은 정밀도를 요구하는 생산 공정이 필요치 않기에 높은 기술력이 요구되지 않는 제조공정과 이로 인한 제조단가의 잇점때문에 중국이 선호하고 있는 배터리 플랫폼이지만 낮은 에너지 밀도는 lfp의 치명적인 단점이지요. 문제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catl이 개발했다고 자랑하는 신기술입니다. 그런데 그 기술은 그리 대단한 기술이 아닙니다. 오히려 매우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 기술이죠. 흔히들 catl의 신기술을 lfp배터리의 에너지 밀도를 끌어 올린 걸로 착각들 하시는 경우가 많은데, catl의 신기술이라는 건 배터리 셀간의 차폐를 위한 차폐막이나 격벽을 제거한 것에 불과 합니다. 셀들의 전극이나 단자 사이의 접촉과 마찰을 막고 열폭주도 어느 정도 차단하기 위한 격막(간단히 말하면 배터리 셀을 둘러 싼 포장 박스)이 반드시 필요한데 이 격벽과 격막을 제거 한 것입니다. 포장 박스를 제거해 버리면 포장 박스가 차지하던 공간을 추가로 확보할 수 있게 되고, 여기서 확보된 유휴공간을 활용해서 더 많은 셀들을 집어 넣는 기술에 불과합니다. 안정성에 대한 우려가 당연히 클 수 밖에 없는 기술이고 이에 대해 catl측은 자신들만의 독자적인 특수(?) 기술때문에 충분히 안전하다고 광고 하고 있지만 ... 중국의 더우인이나 위쳇 빌리빌리만 봐도 lfp 배터리 차량들의 화재 사고가 심심치 않게 올라오고 있습니다.(물론 금방 삭제 되긴 하지만요) 통상적인 lfp 배터리 제조방식이라면 ncm에 비해 걸레 빤 물 수준에 그치는 lfp의 에너지 밀도 준위때문에 그렇게 많은 화재 사고가 발생 할 수 없습니다. 결국 catl 기술 혹은 제조 공정 상 하자나 흠결이 있다는 말인데 .. 중국제 차량이나 배터리의 lfp배터리가 에너지 밀도가 낮은 저용량 배터리이긴 하지만 배터리 내부 셀들 사이의 격벽과 격막 차폐막을 다 제거한 제조방식때으로 인해 안전에 대한 보장을 전혀 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이번 화재 사고 현장 동영상 클립에서도 확인 가능한데, 매우 안전하다고 평가되는 원통형 배터리들입니다. 문제는 배터리 안정성이 높다 보니 방치 수준으로 쌓아 올려 놓은 듯 한데, 마찬가지로 아무리 lfp가 에너지 밀도가 낮은 똥터리라고 해도 catl 에서 제조한 배터리는 안전격벽이나 차단맏 없이 배터리 셀만 꾹꾹 눌러서 가득 쌓아 놓은 형국이기때문에 이번 사고 현장과 하등 다를 바 없습니다. lfp배터리가 안전한 건 맞지만 중국 제조기술이 들어 간 lfp배터리는 안전하지 않습니다. 상식적이고 정상적인 방식으로 배터리 안정성을 확보한 제조 방식에 따라 제조한 배터리라면, 아무리 모델라이징된 환경에서 테스팅이 진행되더라도 lfp배터리로는 절대 주행거리 800km가 나올 수 없습니다. 격벽 다 없애고 셀들만 꾹꾹 눌러 담아서 셀 개수만 잔뜩 늘려 놓은 배터리입니다. 저는 안탈뿐더러 중국제 전기차가 아무리 가격 메릿이 있다고 해도 주변에 타지 말라고 권고 할 겁니다.
@user-ev6bf3ko3o
@user-ev6bf3ko3o 2 дня назад
@@nelkim6944 반은 맞고 반은 틀렸습니다. lfp배터리가 에너지 밀도가 낮은 저준위 배터리이기에 열폭주 강도나 확산력이 낮은 건 맞지만 화재 가능성이 제로인 건 아닙니다. 전극간의 접촉이나 마찰등 불상의 사유로 인한 화재 위험성은 당연히 존재합니다. NCM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을 뿐이죠. 문제는 catl의 신기술 배터리 셀 제조 방식입니다. lfp는 높은 정밀도를 요구하는 생산 공정이 필요치 않기에 높은 기술력이 요구되지 않는 제조공정과 이로 인한 제조단가의 잇점때문에 중국이 선호하고 있는 배터리 플랫폼이지만 낮은 에너지 밀도는 lfp의 치명적인 단점이지요. 문제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catl이 개발했다고 자랑하는 신기술입니다. 그런데 그 기술은 그리 대단한 기술이 아닙니다. 오히려 매우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 기술이죠. 흔히들 catl의 신기술을 lfp배터리의 에너지 밀도를 끌어 올린 걸로 착각들 하시는 경우가 많은데, catl의 신기술이라는 건 배터리 셀간의 차폐를 위한 차폐막이나 격벽을 제거한 것에 불과 합니다. 셀들의 전극이나 단자 사이의 접촉과 마찰을 막고 열폭주도 어느 정도 차단하기 위한 격막(간단히 말하면 배터리 셀을 둘러 싼 포장 박스)이 반드시 필요한데 이 격벽과 격막을 제거 한 것입니다. 포장 박스를 제거해 버리면 포장 박스가 차지하던 공간을 추가로 확보할 수 있게 되고, 여기서 확보된 유휴공간을 활용해서 더 많은 셀들을 집어 넣는 기술에 불과합니다. 안정성에 대한 우려가 당연히 클 수 밖에 없는 기술이고 이에 대해 catl측은 자신들만의 독자적인 특수(?) 기술때문에 충분히 안전하다고 광고 하고 있지만 ... 중국의 더우인이나 위쳇 빌리빌리만 봐도 lfp 배터리 차량들의 화재 사고가 심심치 않게 올라오고 있습니다.(물론 금방 삭제 되긴 하지만요) 통상적인 lfp 배터리 제조방식이라면 ncm에 비해 걸레 빤 물 수준에 그치는 lfp의 에너지 밀도 준위때문에 그렇게 많은 화재 사고가 발생 할 수 없습니다. 결국 catl 기술 혹은 제조 공정 상 하자나 흠결이 있다는 말인데 .. 중국제 차량이나 배터리의 lfp배터리가 에너지 밀도가 낮은 저용량 배터리이긴 하지만 배터리 내부 셀들 사이의 격벽과 격막 차폐막을 다 제거한 제조방식때으로 인해 안전에 대한 보장을 전혀 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이번 화재 사고 현장 동영상 클립에서도 확인 가능한데, 매우 안전하다고 평가되는 원통형 배터리들입니다. 문제는 배터리 안정성이 높다 보니 방치 수준으로 쌓아 올려 놓은 듯 한데, 마찬가지로 아무리 lfp가 에너지 밀도가 낮은 똥터리라고 해도 catl 에서 제조한 배터리는 안전격벽이나 차단맏 없이 배터리 셀만 꾹꾹 눌러서 가득 쌓아 놓은 형국이기때문에 이번 사고 현장과 하등 다를 바 없습니다. lfp배터리가 안전한 건 맞지만 중국 제조기술이 들어 간 lfp배터리는 안전하지 않습니다. 상식적이고 정상적인 방식으로 배터리 안정성을 확보한 제조 방식에 따라 제조한 배터리라면, 아무리 모델라이징된 환경에서 테스팅이 진행되더라도 lfp배터리로는 절대 주행거리 800km가 나올 수 없습니다. 격벽 다 없애고 셀들만 꾹꾹 눌러 담아서 셀 개수만 잔뜩 늘려 놓은 배터리입니다. 저는 안탈뿐더러 중국제 전기차가 아무리 가격 메릿이 있다고 해도 주변에 타지 말라고 권고 할 겁니다.
@Leo-hr5tp
@Leo-hr5tp 2 дня назад
평소에 비상 탈출 훈련 해라. 이유는 화재 시 문 안 열리면 그자리에서 화마에 휩싸여 목숨 보장 못한다.
@dadary499
@dadary499 2 дня назад
기름은 지금 화재 안나나 라는걸 묻고싶다 2차전지 그만 까대라 눈에 보인다
Далее
Ummmm We "HAIR" You!
00:59
Просмотров 3,8 млн
촛불집회 생중계(2024.06.29)
Просмотров 58
Ummmm We "HAIR" You!
00:59
Просмотров 3,8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