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0~3:20에 저음 관련해서 성능 비교해 주실 때 자막 또 같이 써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 물론 화면에 나오는 스피커를 보고 알 수 있었지만 저 같은 막귀들은 처음에 뭐지 하고 잘 몰랐다가 돌려보면서 깨달음과 동시에 화면에 보이는 스피커 인터페이스로 알았네요 ㅎㅎ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많은 영상 찾다가 덕분에 티비 사운드바 장만했네요!!
현실적으로 도움이 되는 알찬 리뷰입니다. 덕분에 저도 구입 결정하고 주문 들어갑니다...^^ 기왕 사는 김에 한번에 가자...라고 생각해서 1300을 이리저리 알아봤지만 거주지의 공간 제약과 층간 소음 등 과소비성 선택이 될 확률이 거의 100%라서 주변 소음 신경 안써도 되는 단독 주택을 이사가거나 방음 장치를 한 후에 상위 모델을 선택해야겠다는 합리적인 결정을 오랜만에 해냈습니다...!!! 고맙습니다...^^
도움되셨다니 다행입니다. 한가지 그래도 조언을 첨언하자면... 일단 모든 전자제품이 가장 끝판왕 하이엔드급을 본 이상 아랫 등급의 제품을 구매하면 그게 궁금해서 이중 투자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사운드야말로 대표적인 그런 전자제품이기도하구요 그래서 다들 우리나라 분들이 하이엔드로 결정을 많이하시는데... 그렇게 구매를하고 또 우퍼는 소리를 많이 줄이시거나 저녁에는 완전끄고 사용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러니 주거지의 환경과 이웃간의 이해 관계 등 이런걸 충분히 고려하는게 좋긴합니다... 말하다보니 장황하네요 ㅋㅋ 그래서 결론은 이거 사면 또 상위 등급이 궁금하고 그게 더 좋을것 같지만 적당히 만족하면서 쓰시다가 주택가시면 끝을 경험하시는게 가장 좋을것 같습니다 ㅋㅋㅋ(그냥 계속 눈에 아른 거릴 수 있다는 말을 해드리는겁니다 ㅋㅋㅋ)
영상 놀리신지는 좀 되셨지만 제가 이 제품을 어제 사고 테스트를 잠깐 해보고 여쭙니다.. Lg oled g2 티비 쓰고있는데 어제 300 사서 넷플릭스 돌비 시험테스트 했는데 듣고 좀 이거 머지….? 딱요느낌이였습니다… 1.액션이나 배경이 좀 크다싶은 영화는 목소리가 묻힘 추가로 여러명에서 말을하면 어느 사람은 목소이라 크고 어느사람은 좀 작고 .. 굉장히 어색하게 들림 2.전체 적으로 소리가 먹먹함 느낌 요느낌입니다.. 물론 기본 내장형 보단 좋겠지만 이돈 주고 소리를 들어보고 결정하는거라면 이제품은 안 샀을거란 결론입니다.. 혹시 설정의 문제가 있는걸가요 .. 설정이래봐야 별로 있지도 않은데.. 아쉽네요
컨텐츠 제작자의 촬영 볼륨을 높게 잡아서 영상 업로드 하면 어쩔 수 없어요. 또 다른 예로 케이블 채널에서 방송 보다가 지역 방송 (지역 맛집 광고나 전립선에 좋다는 영양제 광고, 헬스 도구 광고 따위) 딱 바뀌면 소리가 갑자기 커져서 놀란 적 있으실 겁니다. 공식 방송사나 일류 컨텐츠 제작사에선(넷플, 디즈니 같은) 시청자가 듣기 편한 볼륨의 수치를 어느 정도 규약을 짓고 제작을 하는데, 지역 방송 광고나 유트브 같은 개인 채널에서 볼륨 차이는 어느 정도 감안하고 사용해야겠습니다.
이전에 5.0 사용자인데 중고로 팔고 새로 하나 들일까 하는데요.. 혹시 퓨어보이스(?) 대사 잘 들리게 하는 기능이 있다고 봤는데 그 옵션 키고 안 키고에 따라 대사 전달력 차이가 있을까요? 이전 제품은 넷플 돌비앳모스 작품 보면 주변 배경 효과음은 미친듯이 커서 소리를 낮추면 대사는 쥐죽은듯 말소리가 나서 알아듣기가 어려워서 아쉬웠거든요 ㅠㅠ 요 기능에 따른 차이 경험하셨다면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
추천해주신 영상보고 jbl300 구매했는데요 성능은 매우 만족스러운데 영화시청이나 노래를 들을때 베이스3 음량10정도로 놓고 들어도 우퍼가 있는 거 마냥 많이 울리더군요 그래서 베이스를 낮췄더니 너무 밋밋해지고 실사용 후기를 좀 더 들어 보고싶습니다 평소에 베이스와 음량은 어느정도로 사용하시는지요 ㅎㅎ 이게 우퍼가 없으니까 베이스가 크게 들려도 저만 진동을 느끼는거라 음량10,베이스3 정도로 두고 사용해도 되는건지.. 층간소음 때문에 우퍼 없는 걸 샀는데 성능이 좋아서 고민입니다
안녕하세요 유튜버님~ 해당제품을 영상보고 구매하려다가 쿠팡리뷰를 보니 상시전원이 안된다고하더라구요 ㅠㅠ 음성으로 기가지니로 음악들을 때도 있어서 상시전원 (자동 stanby)가 필요한데 1. 상시전원이 되는 사운드바 비슷한 가격대나 너무 비싸지않은 선에서 추천부탁드려도 될까요?? 2. 그리고 해당제품 tv켤때마다 재부팅해야된다는데 안 불편하신가요??
무선 연결이 삼성의 문제라고만 생각하시나요? 삼성이 유독 문제가 있었던거지 타제품들도 문제가 발생합니다 야마하나 보스 다 그렇죠 결국 블루투스나 와이파이로 연결되는데 이게 신호간섭이 안생길수없습니다 주변환경이 쾌적하다면 큰 문제없겠지만 간헐적으로 발생합니다 가정집이야 그런 문제가 생겨도 괜찮으니 무선으로 사용하는거지 안정성이 중요한 장치나 제대로된 세팅을 하신다면 절대 무선으로 연결하지 않죠 ㅋㅋㅋ
@@ddongcan 그리고 가정집이야 그런문제가 생겨도 괜찮다는건 무슨말인지?? 제대로된 셋팅은 무선을 하지 않는다는건 또 무슨 말인가요;;; JBL300에 매우 만족 하시는건 알겠습니다만 써보지도 않으신 제품들을 전체적으로 싸 잡아서 문제가 있다는듯 말하는건 아닌것 같습니다
그리고 10년? 전쯤 hifi로 홈시어터 구성할때도 리어 무선구성이 가능했어요 끊김이나 이상없이 사운드바로 바꾸기 전까지 아주 잘 사용했습니다. 음질도 유선이랑 차이를 못느꼈구요. 지금 사운드바 무선기능의 문제라기 보다는 기능이 많아지니 불량이 많다라고 보는게 맞을것 같습니다. 그중 삼성제품이 심하다는거구요. 하만, JBL 전부 삼성인데 그중 삼성 제품만 리어 무선 연결이슈가 많다는건 무선 성능의 문제가 아닌 특정제품의 불량으로 보는게 맞을것 같습니다.
지금 싸잡아서 제가 뭐라는게 아니고 시장반응이 그렇습니다 저만의 의견이 아니고 해외 사용자들의 반응 국내 사용자들의 반응이 그래요 생각보다 신호 대역대가 겹쳐서 집에 와이파이나 블루투스 신호와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많구요 예민한 분들은 100번에 한번 끊겨도 불편함을 느낄수있는거니 유선으로 애초에 매립하시는 분들도 많죠 화이트팡님이 괜찮다고 다 괜찮다는건 아닙니다 그리고 가정집은 그런 문제가 생겨도 그나마 간혹 그러면 참는다는 말입니다 영화관이나 상업적 장소에서 그러면 안되겠죠 그말을 하는거에요
JBL사운드바 300을 삼성전자 홈피에서 구매했습니다. 막귀에 기능상 상향편중화 되어있어 그냥 AS가 잘 되는 것을 골랐는데 삼성은 판매만 하고 AS는 수원에 한 곳 뿐인 하만에서 한다고 합니다. TV에 HDMI로 패스쓰루 방식으로 연결하였고 블루투스로 노트북 연결해서 사용중에 연결이 되었다 안되었다 합니다. 노트북의 다른 블루투스 연결에 끊어짐은 없기에 하만에 전화를 했더니 블루투스 끊김현상은 AS대상이 아니고 영상과 소리를 함께 지원 시 그런 현상이 있을 수 있다고 하네요. 해서 예전에 구입한 5만원짜리 탁상용 스피커도 멀쩔했는데 왜 그러냐고 했습니다. 그래도 굳이 접수를 원하면 동영상을 찍어보내면 참고하겠다고 합니다. 궁금한것은 하만 상담원의 말대로 원래 사운드바는 선연결에 특화되어있어 블루투스 기능은 약한게 맞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