Тёмный

야생동물 겨울나기 고군분투기! / 환경스페셜 ‘얼음왕국의 생존자’ / KBS 20080402 방송 

환경스페셜
Подписаться 197 тыс.
Просмотров 1,5 млн
50% 1

국내 최초 환경 전문 다큐멘터리, 환경스페셜 공식채널입니다.
구독/좋아요/알림설정!
▶구독:url.kr/ikg6th
▶방송다시보기(홈페이지):
program.kbs.co.kr/2tv/culture/...
▶ 야생이 살아있는 태백산맥 끝자락의 화산분지. 겨울이 되면 이곳에는 살을 에는 칼바람과 눈보라, 영하 10도의 추위가 찾아온다. 춥고 배고픈 생존조건, 인간의 총구는 야생동물들을 향한다. 이곳의 동물들은 혹독한 겨울에 살아남기 위해 독특한 생존법을 익힌다. 야행성인 수달은 한낮에 얼음 위에서 사냥을 하고 멧돼지와 고라니는 사냥꾼의 총구를 피해 해발 1,000미터의 설산으로 향한다. 환경스페셜 [얼음왕국의 생존자]는 먹이를 찾아, 혹은 인간의 총구를 피해 칼바람 부는 설산에서, 혹은 꽁꽁 언 얼음 위에서 처절하게 겨울을 나는 야생동물들의 감동적인 이야기다.
▶ 얼음왕국의 사냥꾼, 수달
수달이 국내에 마땅한 천적이 없다는 생태교란 침입외래종인 황소개구리를 한낮에 얼음 위에서 사냥하는 장면을 최초로 카메라에 포착했다. 호수에 얼음이 얼면 물고기는 얼음 속으로 숨어버린다. 사냥이 힘들어진 수달은 독특한 생존법을 익혔다. 물 대신 얼음, 밤이 아닌 한낮에 사냥을 하는 것이다. 해가 뜨면 수달은 얼음 위에서 이리저리 뒹굴며 그림자로 물고기를 놀라게 해 얼음 밖으로 몰아 사냥을 한다. 부모와 새끼 2마리, 4마리의 수달 가족이 겨울에 살아남기 위해 얼음을 깨고 잉어와 황소개구리를 사냥하는 모습은 자연의 위대함을 느끼게 한다.
▶ 의문의 죽음, 무엇이 고라니를 사냥했나?
먹이를 구하기 힘든 겨울에는 야생의 가장 극적인 순간이 펼쳐진다. 눈 위에 찍혀진 동물들의 발자국은 야생의 먹이사슬을 엿볼 수 있는 흔적이다. 제작진은 우리나라의 최상위 포식자 중 하나인 담비가 토끼와 고라니를 사냥한 흔적을 발견했다. 그리고 사냥당한 지 얼마 되지 않은 고라니 사체를 발견했다. 단숨에 목을 물어 숨통을 끊었고 가슴을 뜯어 내장을 파먹었다.
고라니 사체 주변에는 고양이과 동물의 발자국이 선명히 찍혀있었다. 수렵전문가들은 3년생 추정 고라니를 사냥할 수 있는 포식자는 납딱발이라 불리는 대형고양이과 동물뿐이라고 한다. 의문의 죽음을 당한 고라니는 누가 사냥을 했을까? 혹시 국내에서 멸종된 것으로 알려진 표범이나 스라소니 같은 상위 포식자가 사냥하지는 않았을까? 만약 표범이 존재한다면 국내 생태계의 희소식이 될 것이다.
▶ 총구에 쫓기는 처절한 야생동물들
면봉산-보현산-화산으로 이어지는 태백산맥 끝자락은 야생이 살아있는 생태의 보물창고다.
매년 겨울, 수렵이 허가나면 전국의 사냥꾼들이 이곳으로 몰려든다. 춥고 배고프고, 인간의 총구와 사냥개에 쫓기게 된 멧돼지, 고라니 무리들은 먹이활동이 쉬운 야산 대신 해발 1,000미터의 설산으로 이동한다. 동물의 발자국을 쫓는 사냥꾼. 총구와 사냥개를 피해 눈 덮인 산으로 향하는 멧돼지의 처절한 생존경쟁을 추적했다.
▶ 군인들의 친구가 된 고라니
총구와 사냥개에 내몰린 야생동물들이 모여드는 곳이 해발 900미터의 화산분지다.
제3사관학교 유격훈련장이 있는 화산은 군사지역으로 민간인의 출입이 통제되어 야생동물들에게 안전한 피난처 역할을 한다. 인간의 위협을 본능적으로 알고 있는 야생동물들도 이곳에서는 인간을 피하지 않는다. 경계근무를 서는 초병들은 가까이 다가오는 고라니와 멧돼지를 보며 추운 겨울밤의 무료함을 달랜다. 고라니 가족과 친구가 된 오하사의 따뜻한 사연을 담았다.
※ 이 영상은 환경스페셜 345회 ‘얼음왕국의 생존자’ (2008년 4월2일 방송)
입니다. 일부 내용이 현재 시점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참조 바랍니다.

Развлечения

Опубликовано:

 

15 июн 2021

Поделиться:

Ссылка:

Скачать:

Готовим ссылку...

Добавить в:

Мой плейлист
Посмотреть позже
Комментарии : 550   
@whitepang777
@whitepang777 3 года назад
황소개구리가 씨가 말라간다더만 이유가 있었군요 맛있는 큰 먹이였을뿐
@user-zp1gb6ps9s
@user-zp1gb6ps9s 2 года назад
이 좋은 영상을 찍기위해 수고를 한 촬영진에 감사~~~!
@jacob_jaidee
@jacob_jaidee 2 года назад
맞아요. 생태계 자체의 모습 보다도 저걸 찍은 사람들이 더 대단하죠... ^^
@user-dr4ym6bd3o
@user-dr4ym6bd3o Год назад
KBS는 이런 방송을 할 때에 정말 대단하고 자랑스럽다. 쓸데없는 정치색을 띄지말고 방송 본연의 자세를 지켜주기를 바란다
@lattecream3104
@lattecream3104 2 года назад
이런 자연다큐 한 편 보면 마음이 평화로워짐.
@qwertyu6744
@qwertyu6744 Год назад
황소개구리 찢껴 먹히는데 마음이 평화롭냐?
@wow1_wow1_wow1
@wow1_wow1_wow1 Год назад
@@qwertyu6744 자연의 이치
@user-vy6hf8wh6n
@user-vy6hf8wh6n Год назад
me too..
@user-kz5dv2gq2x
@user-kz5dv2gq2x Год назад
황소개구리가 아니라 고양이였다면??
@lattecream3104
@lattecream3104 Год назад
@@user-kz5dv2gq2x 오히려 좋아.😘
@user-hx9ie7uv4i
@user-hx9ie7uv4i Год назад
천연기념물 수달을 먹여 살린 황소개구리가 고맙네요. 건강하고 활기차게 이나라의 자연생태계를 지켜줬으면 좋겠습니다. 세상에는 필요없는 동물이 없다더니.. 인간이나 동물이나 가족이 최고고 자연.환경은 지켜지고 많이 보호 되어지면 좋겠습니다 감사히 잘 보고 갑니다 추운겨울 날 고생 하셨습니다
@Behieiiwoo1j2
@Behieiiwoo1j2 Год назад
쓸모없는 버러지 인간은 있습니다.
@doglus123
@doglus123 Год назад
@@Behieiiwoo1j2 반박을 할 수 없는 댓글
@Chonghyeon-fw1kz
@Chonghyeon-fw1kz 4 месяца назад
​@@doglus123😂😢 Yessss AAAgree!!!
@user-si5id9hc9j
@user-si5id9hc9j 2 года назад
추운겨울에 먹고 살겠다고 야생동물들이 고생하네. 특히 수달은 황소개구리를 잡아먹으니 기특하네.
@user-ro76vzr3v
@user-ro76vzr3v 2 года назад
우리나라에 사는 수달종은 참 예쁘게 생겼어
@thereddesign7954
@thereddesign7954 2 года назад
건강하고 활기차게 이나라의 자연생태계를 지켜다오~~~~^^
@user-js7lq8bs4b
@user-js7lq8bs4b 2 года назад
예쁘고 사랑스러운 수달이네요 ....^^
@user-gn4ul4hn3c
@user-gn4ul4hn3c Год назад
야생에 사는 동물들이 먹이가 풍부했으면 좋겠어요 ~ 저들도 우리와 함께 공존해야해야 하는 생명체니까요~~ 다들 예쁘네요 수달도 까치도 족제비도 강한 아이들이네요~ 고난을 안겪어본 온실속 아이처럼 자란 인간은 너무나 연약한데 새끼수달 감동적입니다~ 제작진분들 수고 하셨어요!!~~
@user-wh2gt5zb6v
@user-wh2gt5zb6v 2 года назад
인간이나 동물이나 가족이 최고고 자연.환경은 지켜지고 많이 보호 되어지면 좋겠습니다 감사히 잘 보고 갑니다 추운겨울 날 고생 하셨습니다
@user-ik7jt4rm6k
@user-ik7jt4rm6k 3 года назад
한국의 자연 생태계에서 처음보는 황소개구리에 적응을 못했을뿐, 자연은 언제나 그렇듯, 결국 해답을 찾는다..
@hooongjun4476
@hooongjun4476 2 года назад
중국매미도 첨엔 천적없었는데 최근엔 안보이더라고요 다 자연의섭리인거 같네요
@user-qu9xn3vy9n
@user-qu9xn3vy9n 2 года назад
못찾을때가 더 많음. 외래종이 그래서 무서운거. 토착종이 하나의 외래종에 적응되려면 적어도 한세기 이상은 적응기가 필요하고 특히나 그 들여온 외래종이 포식의 최상위권에 위치하고 그를 견제할 다른 토착종이 없다면 그냥 망하는거. ex:일본의 몽구스같은것들. 일본이 오키나와에 하도 반시뱀이 많아가지고 이걸 인위적으로 해결하는게 아니라 자연경쟁으로 몰아가서 개체수 조절을 하려고 몽구스를 들였는디 이 몽구스놈이 잡으라는 빈사뱀은 안잡아먹고 더 잡기 쉬운 곤충이나 다른 먹잇감은 잡아먹고 특히나 민가에 침입해서 병아리,달걀을 날도둑질? 해먹고 하니까 개체수가 날로 번식하고 반시뱀은 반시뱀대로 늘고 몽구스는 몽구스대로 늘어나버려서 쌉망함. 결국 일본은 몽구스도 잡고 반시뱀도 잡아야할 처지가 되어버림.
@user-ik7jt4rm6k
@user-ik7jt4rm6k 2 года назад
@@user-qu9xn3vy9n 망한다는 기준은 사람의기준이겠죠^^? 자연과 야생의 기쥰에선 언제나 답을 찾죠~^^ 한세기든 두세기든 결국 그렇게 되겠죠. 고로 그냥 가만히 놔두는게 정답에 가까워요~
@user-jf3nf3fx7e
@user-jf3nf3fx7e 2 года назад
처음 개구리 들왔을때 골치였는데 요즘 동네에 황소개구리 울음소리 못듣네요 천척을 만난듯합니다
@user-xe3je5sk7o
@user-xe3je5sk7o 2 года назад
화산 유격장 삼사관 학교 군복무 시절 1년에 한번씩 10월 전병력 유격 훈련을 가고 했던 곳이죠 행군은로 훈련장 도착후 일주일간 유격훈련 빡시게 받고 는 했죠 유격 훈련 받을때는 저녁 점호가 없어서 계곡에 목욕하면 ㅎㅎㅎ 완전히 얼엄물이죠 유튜브로 방송 보니까 옛 군대 추억이 새롭습니다
@user-dq1xc6rq3r
@user-dq1xc6rq3r 3 месяца назад
님 같은 분들이 계셔서 우리가 무탈 합니다 감사 합니다 ^^
@user-tp3rs5ry3o
@user-tp3rs5ry3o 2 года назад
목소리 들으면 잠도오고 너무 좋아요 평생 듣고싶은 목소리
@Allin7days
@Allin7days 2 года назад
결혼해, 결혼해! 농담이고, 목소리 좋은 사람과 결혼하라는 옛말이 있지요. ㅋ
@user-tp3rs5ry3o
@user-tp3rs5ry3o 2 года назад
@@Allin7days 전 ㄱㅔ이가 아니에유
@user-vd3fe6bj7y
@user-vd3fe6bj7y 2 года назад
@@user-tp3rs5ry3o 여동생이나 누나헌테 소개해주렴... 😳...
@user-ug6zu6pr8n
@user-ug6zu6pr8n Год назад
이걸 촬영하신분들이 정말 존경스럽네요!!!
@user-jh2nr9ww9p
@user-jh2nr9ww9p 4 месяца назад
마자요 퓰리쳐상을 받아 마땅
@user-vn1vs7cr6g
@user-vn1vs7cr6g 2 года назад
우리나라 군인들은 나라도 지키고 야생동물도 지키네요. 감사합니다.
@sjn7694
@sjn7694 2 года назад
수초가 시든 얕은곳은 수초의 잔해가 썩으면서 열을 발생시킵니다. 그래서 수온이 다른곳보다 높아 물고기나 개구리가 뭉쳐있죠. 그래서 얼음이 얼지 않은 깊은곳보다 물고기가 많은 얕은곳에서 저렇게 사냥하는것입니다.
@jjjeee333
@jjjeee333 Год назад
황소개구 없어져야?
@hoyounglee3050
@hoyounglee3050 Год назад
@@jjjeee333 3
@user-dq1xc6rq3r
@user-dq1xc6rq3r 3 месяца назад
오우 ! 그렇군요 첨 알았어요 고마워요
@rowing2193
@rowing2193 3 месяца назад
​@@jjjeee3332:11
@user-rk4nl4gk4k
@user-rk4nl4gk4k 3 месяца назад
😂🎉🎉🎉🎉🎉🎉🎉🎉🎉🎉🎉🎉🎉😂😂😂​@@jjjeee333
@jbkim7569
@jbkim7569 Год назад
황소개구리를 쓸어버리는 사랑스런 우리 토종 동물이군요
@user-eo2zh2vi3v
@user-eo2zh2vi3v 3 года назад
다큐 영상 좋습니다.
@alicep.7712
@alicep.7712 Год назад
아이고.. 다들 힘든 겨울 잘 이겨내고 다음 봄에 보자! 먹이감이 된 우리 동물들도 좋은 곳으로 가길
@wow1_wow1_wow1
@wow1_wow1_wow1 Год назад
오우예~
@frankismet
@frankismet 2 года назад
지금은 수달이 다큐에 나오지만 7~80년대만해도 수달나오면 신문1면에 9시뉴스까지 나오시는 귀하신몸이였음. 표범이 멸종되어 생태계 최상위 포식자라 앞으로 정점에서 기상이변에 적응만 잘하면 과잉번식하겠지만 수달은 과잉번식한다 하더라도 수렵허가 하는순간 다큰수달은 가죽용으로 아기수달들은 애완용으로 순식간에.
@user-ud9so7ld6m
@user-ud9so7ld6m 2 года назад
수달에게 황소개구리란 사람에게 국밥과 같은것. 추운겨울 한마리면 배가 든든
@user-jc1xk9mv5z
@user-jc1xk9mv5z 2 года назад
로드킬 심각함 산과산을 연결하는 통로를 많이 만들어줘야함
@user-eb7fl6nz6e
@user-eb7fl6nz6e Год назад
매서운 추운겨울날 영상 담으시느라 고생많으셨습니다 영상잘보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musicchannel3045
@-musicchannel3045 3 года назад
와 3사교 출신 입니다. 화산은 국내 손꼽히는 악명높은 유격 훈련장입니다. 추억이네요
@user-cb7rl2pd3m
@user-cb7rl2pd3m 4 месяца назад
나는 이 장엄한 생물들을 보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
@user-ig7pk9eg8z
@user-ig7pk9eg8z Год назад
쉴때, 할일없을때 보기 좋은 다큐멘터리. 자연의 신비를 느끼며 최상위포식자는 역시 사람이란걸 다시금 느끼네요. 사람이 파괴하고 사람이 복구하는 자연...지구입장에선 병주고 약주기 같을듯한..?
@jonnylee6505
@jonnylee6505 3 года назад
족제비 수달 둘다 귀엽네 ㅋ
@user-lx8zp1mt4n
@user-lx8zp1mt4n 2 года назад
족제비하고 수달 귀엽죠? 수달이 육지에서 살면 족제비로, 족제비가 물로 가 진화하면 수달이 되는 듯^^;;; 옛날 시골에서 초교 다닐 때 운동장을 막 달리던 족제비가 생각나네요...
@user-gp9pe1cz7m
@user-gp9pe1cz7m 2 года назад
수달 족제비구엽죠? 근데 성격은ㅂ통아니라고... ㅎ 근데 담비성격은 더귀여운듯하지만 한수위라고들은거같아요 ^^
@rokmc454
@rokmc454 3 года назад
아‥영천 화산 유격장이 여기구나.3사출신 조카애가 말한ㆍ(현 육군대위) 화질좋고 내용좋코ㆍ 잘보고갑니다~^^..
@user-yv1pk4mx9u
@user-yv1pk4mx9u 3 года назад
ㅋ3사관
@hooongjun4476
@hooongjun4476 2 года назад
이런 다큐 넘 좋아요
@user-cy7vp3fg9v
@user-cy7vp3fg9v Год назад
수달 개체수를 유지해야 황소개구리 번식을 막습니다
@user-ji5ix4bc7u
@user-ji5ix4bc7u 4 месяца назад
😅
@justinhongkukkim4743
@justinhongkukkim4743 4 месяца назад
수달 개체수가 많으면 안됩니다
@nockx2
@nockx2 4 месяца назад
pòb​@@user-ji5ix4bc7u
@doomock80
@doomock80 3 месяца назад
​@@justinhongkukkim4743 왜 죠??
@user-vd9do6qn9h
@user-vd9do6qn9h 2 месяца назад
와 이런 다큐를 유튜브로 볼 수 있다니 .. 촬영하신분들 대단합니다 !! 감사합니다 !!
@user-if3vr3wl4g
@user-if3vr3wl4g Год назад
우리 수달이가... 아구 이뻐라.
@user-gg8fc3yf1j
@user-gg8fc3yf1j Год назад
요즘엔 눈이안와요. 눈많은 설악산대관령강릉왕산에도 눈구경하기힘들어요
@GO00365
@GO00365 2 года назад
찍으시는분........진짜.....고생....많으셨네요..........ㅠㅠ 추우신데............ㅠㅠ
@user-qu8hh9qn4o
@user-qu8hh9qn4o 2 года назад
수달 챱챱챱 먹는너 넘 귀엽
@wjdqnsms
@wjdqnsms 2 года назад
몸집 작다고 무시하기엔 봄 여름 가을 겨울이 또렷한 빡센 한반도에서 살아남은 아이들
@seokjoo220
@seokjoo220 4 месяца назад
잘 잡는다 수달이👍❤ 황소개구리 많이 먹어~~^^
@user-fl1jz8fy6e
@user-fl1jz8fy6e 3 года назад
촬영하시는분들 얼마나 추웠을까
@FreeTalk119
@FreeTalk119 Год назад
에고 유격받으면서 더덕 많이 캐먹은곳이네 어쩌면 야생동물이 참 살기좋은곳...
@korea_cbum
@korea_cbum 3 года назад
13:26 피디님 심장이 쫄깃 하셨겠는데...
@Awesome-im1sf
@Awesome-im1sf 3 года назад
ㄹㅇ 멧돼지 고기보다 쫠깃
@kangwoodaddy7577
@kangwoodaddy7577 3 года назад
수달도 저리 열심히 사네
@user-dl1sc9zs6g
@user-dl1sc9zs6g Год назад
우리 부대다 기억이 새록새록 나네 너무 방갑네요
@myl117
@myl117 3 года назад
환경스페셜 좋아요
@user-hw5zq6ov7y
@user-hw5zq6ov7y 3 года назад
사단법인 한국환경운동본부 임형성 총재 입니다. 추운날씨에 수고하셨습니다. 즐감합니다
@user-gy7ln2tp4i
@user-gy7ln2tp4i 3 года назад
베스나 황소개구리가 갑자기 생태계에 등장하니 포식자들도 낯설어서 건들질 못했었죠. 지금은 적응이 끝나고 얘네들은 맛있는 먹이라고 인지해서인지 황소개구리는 몸집이 커서 느리니 진짜 수달이나 왜가리가 보이는 족족 먹어버리더라고요.
@noguzzi
@noguzzi 2 года назад
황소개구리 불쌍ㅠ
@user-gy7ln2tp4i
@user-gy7ln2tp4i 2 года назад
@@noguzzi 생태계에서의 훌륭한 단백질 공급원이죠 ㅋㅋㅋㅋ
@user-sx1el5lx2s
@user-sx1el5lx2s 2 года назад
황소개구리 ㅈㄴ 빠르다.
@jinuk8611
@jinuk8611 2 года назад
수달도 배스는 잡아봤자 내장만 파먹거나 재미로 사냥만 합니다 정말 배고프지 않은이상 배스는 잘 안먹습니다
@Deadmanwalking03
@Deadmanwalking03 Год назад
ㄹㅇ 어느순간 씨가 말랐음..
@Kitty4485
@Kitty4485 2 года назад
수달이 개구리를 맛있게 먹는것을 보고 있자니 배가 고프네요
@user-li6vq5jz4y
@user-li6vq5jz4y 2 года назад
U
@TV-vb7rq
@TV-vb7rq 3 года назад
좋아요 환경스페셜
@user-md5jv1pi7h
@user-md5jv1pi7h 2 года назад
성우님 짱 ㅎ 목소리 좋아욤
@Pinetree4405
@Pinetree4405 3 месяца назад
우리는 참 재미있는 영상인데, 추운 날씨에 촬영하느라 고생 많으셨습니다.
@hunhwang
@hunhwang 2 года назад
수달: 황소개구리요? 저에겐 좋은 단백질 공급원일 뿐이죠.
@jinuk8611
@jinuk8611 2 года назад
사실상 수달은 무적이네요 다른 동물들은 겨울에 먹이구하기도 힘든데 수달은 비교적 쉽게 얻고, 천연기념물이라 사냥도 안당하고 유일한 천적은 로드킬정도인듯 합니다. 생긴것도 귀여워서 좋습니다.
@jacob_jaidee
@jacob_jaidee 2 года назад
생긴 게 귀염성있어서 그렇지 수달은 생태계 상위 포식자예요... ^^
@jinuk8611
@jinuk8611 2 года назад
@@jacob_jaidee 맞죠 상위포식자죠. 한반도 상위포식자 대부분이 멸종위기종이구요. 다만 육상 상위포식자 중에서 수달과 반달곰만 천연기념물로 지정이 되어있는건 아시나요? 과연 수달이 담비나 반달곰만큼 개체수가 적은가요? 수달은 개체수가 천연기념물 급으로 적은 동물이 아니예요.. 생각보다 쉽게 만날 수 있어요
@jinuk8611
@jinuk8611 2 года назад
@@jacob_jaidee 수달이 무적이라고 한 이유도 사실상 사고사(로드킬)이외엔 딱히 건들만한 대상도 없으니까 그런거예요. 수달 잡아먹을만한 한반도 생물중에 물까지 들어오는건 표범 호랑이 정도인데 이미 멸종된지 오래니까요. 다만 반달곰이나 담비같은 상위포식자는 수달에 비해서 사고위험이 월등히 높잖아요... 반달곰이야 개체수가 워낙 적고 자연종이라고 보기엔 방사되어 정착한지 오래된거구요
@user-ze7iq4zy4z
@user-ze7iq4zy4z Год назад
수달 무슨 맛일지 궁금하네
@gjun3371
@gjun3371 Год назад
독수리,매,수리부엉이 등이 천적으로 볼수 있겠네요.
@user-yo7cj8gm2z
@user-yo7cj8gm2z 2 месяца назад
부산 강서구 근처에 일하러 자주 다니면서 겨울 철새들 자주 봄 쟤들도 피가 흐르고 뼈가 있는 생물들인데 저 차가운 물속에서 어떻게 견딜까 생각은 자주 함..ㅎㅎ
@richardkang777
@richardkang777 3 года назад
천연기념물 수달을 먹여 살린 황소개구리가 고맙네요. 세상에는 필요없는 동물이 없다더니..
@user-jc2eu8rb5q
@user-jc2eu8rb5q 2 года назад
인간말곤 다 필요한듯해요..인간이 제일 골치거리
@chjoon3722
@chjoon3722 2 года назад
이유 공감되네요
@user-hw2qp8zk5i
@user-hw2qp8zk5i 2 года назад
모기는 전혀 필요없는 생물
@jameslee10137
@jameslee10137 2 года назад
@@user-jc2eu8rb5q 너무 많아서 그렇지 꼭 인간이 문제인건 아니죠
@user-uw5yn6lt2w
@user-uw5yn6lt2w 2 года назад
지구는 자기몸에 기생하는 것들 싹다 죽이고 자멸할 생물을 만들었는데 이것들이 일을 안한다
@user-jj5zp9ih9o
@user-jj5zp9ih9o 2 года назад
멧돼지는 유해 동물 이라서 어느정도 인간들이 개체 조절해야 한다.
@ajibeagle5778
@ajibeagle5778 2 года назад
사람이 제일 유해동물인데 그럼 개체 조절 해야 할까요?
@naver324
@naver324 2 года назад
@@ajibeagle5778 너부터 하자
@user-no3jl8sc6i
@user-no3jl8sc6i 3 года назад
멧돼지 고라니 너무 불쌍해
@i_joara
@i_joara 3 месяца назад
우리 수달이 잘한다~
@user-yx7fj4hx3x
@user-yx7fj4hx3x 3 года назад
수달들아 베스 블루길 황소개구리를 부탁해
@rokmc454
@rokmc454 3 года назад
수달이 잘한다‥ㆍ토종물고기등 천적 황소개구리 ㆍ다먹어치워라‥
@user-lx3rw4nk6j
@user-lx3rw4nk6j 2 года назад
요즘.. 이런게 없어
@kanglee8722
@kanglee8722 3 года назад
황소개구리는 냉혈동물인데 어떻게 동면을 안하고 겨울에 나대는것인지 의아합니다.
@user-gu7eo6js7g
@user-gu7eo6js7g Год назад
사십년전 화산 유격대 그립네요. 언졘가 다시 보고 싶습니다. 84년 제대 했는데 위병소 건물이 그대로 이네요
@user-vg7jc7hy6z
@user-vg7jc7hy6z 3 года назад
먹는 소리까지 선명하네 10:00 9:49
@naver582
@naver582 Год назад
족제비 너무 귀엽다 😍 💕
@user-vo9km2mf8c
@user-vo9km2mf8c Год назад
족제비가 아니라 담비입니다.
@jooyo6541
@jooyo6541 2 года назад
오늘 출근길에 까마귀가 날라가더니 족제비를 공격했어요! 족제비는 잽싸게 돌틈으로 피했구요! 족제비 화이팅!
@francisjin8947
@francisjin8947 3 года назад
황소개구리는 수달의밥일뿐.
@user-zx8re9ri2g
@user-zx8re9ri2g 2 года назад
수달이 사람 근처에서도 먹이를 먹는건 배고픔이 우선이라서 우선 먹고보자는 뜻이 아니라 수달들도 이제는 눈치가 빠꼼이라 천연기념물이니 뭐니 해서 못잡게 하니 사람들이 자기를 해치지 않는다는걸 알기 때문에 경계를 안해서 그런거 같음 낚시좋아 하는 사람들은 알텐데 낚시 가보면 수달 정말 흔하게봄 또 자기들 못건드리는거 아니까 사람이 바로 옆에 있어도 첨벙첨벙 거리며 사냥하고 먹이 먹고 도망도 안가고 자기 영역안에 들어오면 아주 난리치고 밤에 보면 개 만한데 오히려 사람이 쫄을 때도 있음
@user-pl4us4gv8q
@user-pl4us4gv8q Год назад
💔🍓♥️🌹💗💕💝💖💞💛🌲⭐️🌴🎉🍃👍🏻👍🏻👍🏻👍🏻👍🏻
@younggeuncho5400
@younggeuncho5400 Год назад
0p]p
@inyong174
@inyong174 Год назад
낚지는 생존활동임?취미활동임?
@badaidea
@badaidea 2 года назад
한식도 좋지만 가끔은 양식도 좋음
@songsunchoi1035
@songsunchoi1035 2 года назад
몇해전 삼척 장호항.바다사냥 중이었던 수달.그때 바다에서도 서식한다는걸 처음 알았죠.
@syntaxerrorrvg3087
@syntaxerrorrvg3087 Год назад
한반도만큼 생존에 혹독한 환경도 참 드물것이다. 시베리아의 혹한과 아프리카 만큼 뜨거운 뙤약볕 아래에서 다 살아남아야 하니까
@node763
@node763 Год назад
야생수달 넘 귀엽다. 쟤네는 필사적으로 사는거지만
@user-qc5kx1lw1e
@user-qc5kx1lw1e Год назад
마죠마죠 족제비보다 쪽제비라고해야 제맛이지 자장면=짜장면 소주.쏘주
@roylee9706
@roylee9706 2 года назад
수달이 생선, 황소개구리 뜯어먹는것을 보니, 왠지 맛있어 보임
@user-ik2vy6qf9w
@user-ik2vy6qf9w 3 месяца назад
황소개구리가 좋은 먹이감이 되어 주네요. 수달이 많이 부활한 듯...
@user-fj6en1ii6y
@user-fj6en1ii6y 4 месяца назад
수달 귀여워
@anilevol
@anilevol Год назад
소리 경후 현장소리 그대로 치고는 엄청 생생한데 혹시 뒤에 따로 효과음 인위적으로 녹음한걸까요? 기술적으로 너무 신기하네요
@shaft_jb
@shaft_jb 7 месяцев назад
불과 마주한 남자, 두려움 때문에 아무나 불과 마주할 수 없다. 그는 불 속으로 걸어 들어갔다. 우리 모두 마지막엔 불속으로 걸어 들어간다. 불은 우리의 마지막 집이다. 그래서 다들 등불을 켜놓고 소원을 빈다. 잘 가시게 상남자여. You are Fire!
@leeoyat8179
@leeoyat8179 3 года назад
한국에 사는 애들은 다 귀엽네 ㅋㅋ
@zztop2034
@zztop2034 2 года назад
너 빼고.....
@leeoyat8179
@leeoyat8179 2 года назад
@@zztop2034 부모님 인증받았습니다
@user-mv1uu9bp4k
@user-mv1uu9bp4k 2 года назад
멧돼지도 귀여움
@user-tm5rc4mo5q
@user-tm5rc4mo5q 2 года назад
@@user-mv1uu9bp4k 그건 쫌...
@sonjho
@sonjho 2 года назад
@@user-mv1uu9bp4k 졷또모르는게 검수완박 반대? ㅋㅋ
@chanpark9466
@chanpark9466 3 года назад
멧돼지는 천적이 없으니 뭐 사람이 해야지
@user-zzangzzang
@user-zzangzzang 3 года назад
5개월이라 살려주자나요. ㅋㅋ
@user-gu2oe6gc2j
@user-gu2oe6gc2j 2 года назад
견훤: 감격의 눈물 ㅠ
@user-xr9tf9ly6l
@user-xr9tf9ly6l Год назад
잘한다 !! 수달 !! 황소개구리 다 먹어버려~~
@user-uk7ox6xh1w
@user-uk7ox6xh1w Год назад
2008년방송이네.. 06군번인데 ptsd오네
@user-vr3lo4kx7h
@user-vr3lo4kx7h Год назад
배고픔의 해결은 목숨보다 중요하다 배고픔의 해결이 문화적 기반이다 여유없는 문화는 없다 오로지 먹을것만 생각하는 비참함에서 벗어난 지금의 대한민국을 깊은 생각을 하게된다 문득
@user-ol1zg4zr9f
@user-ol1zg4zr9f 3 года назад
요즘 환경프로 방영 잘 안하죠~
@samryong2012
@samryong2012 2 года назад
재밌게 잘보고 갑니다 영상 고맙습니다
@ToTolo7777
@ToTolo7777 2 года назад
황소개구리 겨울철 꿀양식
@user-be1nv3qt7c
@user-be1nv3qt7c 3 года назад
요즘엔 황소개구리 씨가말라 구경하기도 힘듦
@user-mv4fz3zx6t
@user-mv4fz3zx6t 3 года назад
전혀요 ㅋㅋ 웅덩이마다 황소개구리 올챙이들이 지천인데 황소개구리도 엄청 많습니다
@user-nf8wv8vk2z
@user-nf8wv8vk2z 2 года назад
아직도 쉽게 볼수 있어요ㅋㅋ
@user-vr4xs1mw6c
@user-vr4xs1mw6c 2 года назад
족제비도 귀엽네.
@kruni8452
@kruni8452 3 года назад
어렸을 때는 그 더러운 쥐보다 족제비가 훨씬 무섭고 혐오스러운 느낌이었는데, 이 영상에선 이쁘게 보이네.
@swiminmer
@swiminmer 3 года назад
아 썸네일 못참지 ㅋㅋㅋㅋㅋㅋ
@user-eu5ig4fo4u
@user-eu5ig4fo4u 2 года назад
썸네일 ? 뭔 개소리야
@user-xp5gv9xp2h
@user-xp5gv9xp2h 2 года назад
이쯤이면 황소개구리가 수달 개쳬수 늘리는데 한몫한듯
@user-jj5zp9ih9o
@user-jj5zp9ih9o 3 года назад
황소개구리를 잡아먹는 수달 이군요. 환경파괴범 황소개구리를 처단해 주네요. ㅎㅎㅎ
@doroshi99
@doroshi99 3 месяца назад
요즘은 황소개구리도 먹이로 인식되서 여러 포식자분들이 맛있게 드신다고 알고 있습니다. 식용으로 들여온건데 동물들이 포식하겠네요 ㅎㅎ
@user-qs7hm4mc9j
@user-qs7hm4mc9j Год назад
눈밭이라 차도 느리게 갔을텐데 로드킬이 나네...
@mydailylife9579
@mydailylife9579 Год назад
강가가 아니라 일반 하천에도 종종 왜가리 사냥하는 것 보는데, 물고기 맛 있는 부분만 먹고 팽개친 부분이 거의 월척 수준이더군요^^;; 핸폰 카메라로 사진찍는데 사람 겁내지 않고 3미터 4미터 앞까지 들이대는데 솔직히 겁이났던 기억 납니다 ㅎㅎ
@user-ip2we7mt4y
@user-ip2we7mt4y Год назад
고라니를 물어 뜯은 고양이과 동물은 과연 무엇이었을까?
@TV-oe4fy
@TV-oe4fy 4 месяца назад
이 성우님 목소리 너무좋으심ㅜ 역시다큐는 이 성우님이 정석
@Tradershigh
@Tradershigh Год назад
황소개구리는 더 이상 생태 교란종이 아니라던데 먹이로 인식하기 시작한 천적들이 많이 생겨서 근데 한겨울에 저렇게 잠수하고나면 젖은몸은 어떻게 되나 추운데 견뎌지는게 신기하네
@nemopictures
@nemopictures 2 года назад
화산, 유격훈련때문에 세 번이나 갔었는데 경치는 좋죠,
Далее
когда повзрослела // EVA mash
00:40
Просмотров 1,6 млн
это самое вкусное блюдо
00:12
Просмотров 2 млн
КОГДА БАТЕ ДАЛИ ОТПУСК😂#shorts
0:59
Не плавайте тут!😨🌊
0:26
Просмотров 4,4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