Тёмный

영등포 지난 120년 이야기ㅣ20세기를 지나 21세기 초반까지 변화 

대한여지도 Korean Geographic
Подписаться 94 тыс.
Просмотров 66 тыс.
50% 1

Опубликовано:

 

28 окт 2024

Поделиться:

Ссылка:

Скачать:

Готовим ссылку...

Добавить в:

Мой плейлист
Посмотреть позже
Комментарии : 146   
@강정숙-w1e
@강정숙-w1e Год назад
영등포 마을기록 활동을 하는 한국근현대사연구자에요. 늘 자료 감사해요. 이번엔 영등포라서 더더욱
@킹애드락
@킹애드락 Год назад
저도요. 돌아가신 할아버지 1910년생이시고 아버지 1945년생이신데 6.25때 개성에서 피난내려와서 영등포에 자리잡고 쭉 사셔서 그동안 해주신 얘기가 많아 이 영상이 정말 생생하게 느껴지네요.
@Goriginal2
@Goriginal2 Год назад
정숙씨 근현대사연구자는 어떤 일을 하나요? 궁금하네요
@강정숙-w1e
@강정숙-w1e Год назад
@@Goriginal2 늦게 보았네요. 계속 몸이 좋지 않아서요. 전 한국근현대 특히 일본군 성노예제 연구자에요. 근현대라고 하는 것은 시대구분을 이야기하는 것인데 나라에 따라 연구자에 따라 구분이 조금씩 다르지만 저는 한국 근대 시점을 1860년부터로 생각하고 현대는 해방 이후로 본답니다. 역사연구자는 인간 활동을 중심으로 하지만 인간의 활동 영역만이 아니라 자연이나 재해 등 인간에 영향을 주는 것들도 함께 연구하지요. 근현대 역사가 이러하다고 정의하기보다 역사가가 역사적 자료와 관계 속에서 해석하며 역사를 매개로 다양한 논의를 이어가는 열린 학문이고 연구자는 시대의 영향을 받으면서 스스로 과제를 설정하고 연구하지요. 제가 공부가 짧아서 적절한 답을 하였는지....
@Goriginal2
@Goriginal2 Год назад
@@강정숙-w1e 아주 구체적이고 훌륭하고 세심한 답변입니다 ^^ 우리가 흔히 알고있는 학예사인가요 !!??^^
@무적엘지-p4v
@무적엘지-p4v Год назад
영등포에서 태어나 한번도 영등포를 떠나지않고 살고있네요~ 김안과 정문자리가 딱 저희집 자리였네요... 국민학교 4학년쯤 김안과 새로 생긴다고 집헐고 근처로 이사갔는데.. 기억이 새록새록 합니다~^^ 집앞으로 기차가 다녔고 기생집(방석집?) 들이 줄지어 있던곳이었죠..ㅎㅎㅎ
@Xaaa-c4m
@Xaaa-c4m Год назад
01년생 영등포 터줏대감입니다 잘 보고갑니다
@ky4286
@ky4286 Год назад
6:54 영등퍼 김안과 80년대에도 있네요ㅎㄷㄷ
@아롱범-w4j
@아롱범-w4j Год назад
영등포여고 (방아곶이)에서 대신시장 가기전에 진로 소주 공장이 매우 컷었습니다. 어린 시절 대방동과 신길1동 지역들에는 미군캠프 공군본부 해군본부 등 주요 군사시설들이 대부분이었죠
@신용종-o3x
@신용종-o3x Год назад
제 본적이 영등포역 우측 건너 바로입니다. 어렸을때 역앞 광장에서 뛰어놀았습니다.^^ 영상을 보니 감개무량입니다. 감사합니다.~~
@코스모스-m5m
@코스모스-m5m Год назад
감사합니다. 건강하십시요🌹
@gomdorij3213
@gomdorij3213 Год назад
와 대한여지도님 대단하시네요^^* 귀한 사진 구하고 복원하고, 그 지역의 역사를 알아내는 게 쉬운 일이 아닌데.... 정말 고생하셨습니다 ^^* 고맙습니다 ^^* 대성연탄 자리(지금은 영등포구와 붙은 구로구)는, 주상복합 건물과 D-CUBE 빌딩(지금은 현대백화점)이 되었지요
@가짜왕의원들천국
@가짜왕의원들천국 Год назад
경주에도 원숭이가 열대 과일이? ㅡ 다음 검 색
@issyoTV
@issyoTV Год назад
어릴때(80년대)도림동에 살았습니다. 그때 당시 신도림역 맞은편에 큰 공장이 2개 있었는데, 미원 공장과 철강공장이 있었던 걸로 기억합니다. 미원은 불이 난 후 코오롱하늘채아파트와 현대아이파크로 바뀌었고, 철강공장은 도림청구아파트와 쌍용플래티넘 아파트로 바뀌었네요. 그리고 제 기억엔 구로구이지만 80년대 당시 기아철강 공장이 있었던 걸로 기억나네요. 그 부지는 지금 신도림태영 혹은 신도림현대 아파트였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도림동에서 태어나 40년을 살았고 외가가 영등포시장에 있어서 영등포 여기저기 많이 돌아다니기도 했었네요. 이제는 다른 구에 살고 있지만 어릴적 눈에 보았던 것들을 보게되니 이상하게 눈물이나네요.. 저때가 참 그립습니다.
@issyoTV
@issyoTV Год назад
@@Fire-v7l 아! 맞아요!! 감사합니다^^
@kkumaddi
@kkumaddi Год назад
현대아이파크 사는 사람인데 옛날에 택시기사분께 옛날 미원자리 가자고 하면 잘 아셨어요. 지금은 잘 모르지만..^^
@jamwondong_jiujiteiro
@jamwondong_jiujiteiro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미원 공장 불 직관한 일인입니다 ^^::
@jy118
@jy118 Год назад
재밉게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황해만-t8q
@황해만-t8q Год назад
양평동에 해태제과,롯데제과 공장이 있었지요 롯데제과는 아직 남아있고 해태제과자리는 한신아파트가 들어섰습니다
@야빠아빠
@야빠아빠 Год назад
제가 나고 자란 고향 영등포 7.80년대를 영등포 시장통에서 보내며 자랐는데 해당시기 영상과 설명 나올때마다 조금 먹먹하네요 그시절 동네 형.친구.동생들이랑 한강 둔치 개발전 놀러가서 송사리도 잡고 비교적 출입이 수월했던 영보극장이나 남도극장 가서 19금도 보고 부모님 모임 따라갔다 금마차 극장식 쇼도 보고 영등포 교회 주차장이나 직업학교 운동장에서 동네야구 하다 매번 쫓겨나고 그랬었는데 아련합니다 지금은 영등포와 멀지 않은 고척동에 사는데 눈때문에 정기적으로 김안과 방문할땐 빼고 잘안가게 되더군요 내가 자랄때 항상 생기돌고 활기가 넘쳐 사람들로 넘쳐났던 영등포 시장도 이젠 유령시장 같고 너무나 변해버린 모습 적응이 잘안돼서 그런거 같아요
@경화김-m6n
@경화김-m6n Год назад
아``! 황량했던 목동 끗자락에있던 3류 남도극장...너무오랜만에 들어보는 이름이네요(영등포고향사람)
@겨루-r9v
@겨루-r9v Год назад
지금 영등포구민인데 재밌네요.. 잘봤습니다 ❤
@bychoi1681
@bychoi1681 Год назад
영등포 신길동 토박이 입니다.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이 영상을 보고 옛날을 회상해 봅니다.
@레이너특공대
@레이너특공대 Год назад
제가 아는 것 한 가지. 70년대에 삼립빵 광고 만화가 어린이 잡지에 매월 실렸던 게 기억납니다. 신문수 화백님이 그리셨고요. 그 만화에서 본 게 영등포에 삼립빵 공장이 있었다는 겁니다. 검색해보니 지금의 가산동 두산위브 자리라고 합니다. 1993년에 부지가 두산건설에 팔렸고 가산동은 당시 영듣포구에 속했죠.
@SS-bx2tx
@SS-bx2tx Год назад
백과사전같은 귀중한 자료들이 많는 채널.
@옳은소리하는사람
@옳은소리하는사람 Год назад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
@mlhanme
@mlhanme Год назад
좋은영상 잘보고갑니다!
@유툽으-c2d
@유툽으-c2d Год назад
내 어렷을 적 70년대 초반 영등포살때 영등포역에서 역구내 열차수송용으로 쓰던 증기기관차를 본기억이 나네요. 소리가 아주 컷던 기억입니다. 그리고 영등포시장에 영등포역과 기차수리공장 사이를 연결한 철로가 시장바닥에 깔리려있던 기억이 잇습니다. 516광장에 퇴역한 미군 수송기와 폭격기를 구경간 기억과 여의도국회의사당 공사하던 모습본 기억이 있습니다. 그땐 어려서 그게 뭔지도 몰랐도 강변도로에 톨개이트가 있던걸 목격했고 안개 낀 강변도로도 기억 남니다. 지금 당산역 앞 교차로엔 작은 분수대가 있었고 그 시절 영등포엔 공장도 많았고 공터도 참 많았습니다. 이젠 날이 갈수록 기억은 흐릿해 지지만 좋았던 느낌은 아직도 진하고 강렬합니다.
@ljs2k
@ljs2k Год назад
자료를 많이 수집하시고, 또 정보를 파악하고 정리하고.. 12분 남짓 영상이지만, 준비하는 데에 12주는 걸렸을 것 같네요. 크라운맥주가 하이트맥주인지조차 몰랐습니다. ㅎㅎ 좋은 영상 고맙습니다. ❤
@imThomas369
@imThomas369 Год назад
4:08 장면은 노량진에서 흑석동 넘어가는 고개같은데. 왼쪽에 한강이 보이고 오른쪽에 야산이 있는게 ... 오른쪽 야산 너머가 중앙대학교 있는 곳 같고.
@LCarltonJr
@LCarltonJr Год назад
3:55 의 조흥은행 건물은 현재 경방옆 신한은행 영등포지점입니다! 신한은행이 조선최초의 은행 조흥은행을 인수해서 지금은 신한은행이 되었죠!
@보라비숲
@보라비숲 Год назад
잘보았습니다^^지금 살고있는곳이라 태여나기전 동네모습이랑 자주 다니는 곳의 사진들보니 기분이 묘하네요
@테스발레바
@테스발레바 Год назад
영등포구 신길동에 진로소주공장도 있었는데요
@Gotongil
@Gotongil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진로소주 공장과 골목 하나로 남자중고둥학교가 있었는데 학교 이름이 생각나지 않네요 ... 제가 초등학교부터 결혼할때까지 살던곳이예요!
@Potential02
@Potential02 3 месяца назад
@@Gotongil 장훈 말씀하시는듯 하네요?
@모든지발리성철
@모든지발리성철 Год назад
서울 토박이로서 영등포구에서 살아본 적은 없지만 오래전 60, 70, 80년대초 신길동에 가보니 신길동 골목 풍경이 뭔가 신비한 느낌이 들어 그 느낌을 오래도록 잊지 못합니다. 옛날시대는 어디나 개인적으로 그런 정겹고 신비한 느낌을 받는 곳들이 많았는데 당시 서울에서는 유난히 신길동, 도림동, 대림동, 대방동, 신림동 쪽이 더 그렇더군요. 그러다가 90년대 이후 가보니 거기도 개발이 되면서 그런 신비한 느낌이 사라지더군요. 요즘은 어딜 가나 자연환경이 사라지고 도시개발이 되어 신비함이 느껴지는 곳은 거의 사라지고 없는게 뭔가 아쉽다는...
@리케빈-k5z
@리케빈-k5z Год назад
영등포고가 철거 전후 은근히 바뀌었지요. 그때가 가끔은 그리워요
@7chq
@7chq Год назад
저는 신길동에서 태어나서 어릴때 강서구로 이사와서 기억은 없지만, 그 전에 우리 집안이 서울로 처음와서 자리잡은건 영등포였죠. 영등포역에서 일하시던 할아버지 덕에 사택에서 살다가 나중에 공장을 운영하시면서 '양남동'에서 살았고, 이후 신길동을 거쳐 지금은 양천구 소속이 된 신정동으로 이사왔네요. 제가 어릴때 연례행사이던 감기는 영등포로터리쪽에 있던 박소아과를 가야만 나았고 나중에 수험생일 때에는 대학학원에서 단과강의를 들었고 종로나 을지로 같은 시내에 가려면 버스를 타고 영등포를 지나가야했어요. 주말에 안양사는 친척집에 갈 때에는 버스노선이 없던 신도림이 아니라 영등포역에서 국철타고 가곤 했던 기억도 있네요. 후에 양천구로 이전한 봉영여중은 625 끝나고 초대이사장이던 이봉덕 여사가 미군 공병대 중령에게 사정하여 고철하치장을 불하받아서 부지를 얻었다는 어른들 말씀도 기억나고, 6관구 사령부 얘기도 종종 들었었네요. 오목교 건너 영등포청과시장을 버스타고 지나가다보면 바닥에 철로가 놓여있던 기억도 나네요.
@김욘이-c2f
@김욘이-c2f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신길동 벗어나면 부자일만큼 그만큼 가난하고 발전이 느린 도시였죠
@msshim5491
@msshim5491 Год назад
살짝 눈물이 나네요 신길2동 나의 고향... OB베어스가 프로야구원년 우승했을때 어린이회원이여서 공장가서 사은품받아온게 엊그제 같네요
@Gotongil
@Gotongil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저도 신길2동, 영둥포 여고 바로 앞에 살았어요!
@김대홍-c9v
@김대홍-c9v Год назад
너무 재밌게 봤습니다! 노고에 감사드려요.
@ddomloom
@ddomloom Год назад
저는 영등포 신길동 태생 30대입니다. 지금도 살고있구요! 저희 할아버지가 오비공장 공장장이셨다는데.. 작년에 좋은곳에 가신 할아버지가 보고싶네요ㅠㅠ 좋은 영상 잘 봤습니다 ^_^
@Gotongil
@Gotongil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어떻게 이런 영상을! 제가 살던 영등포 사진들이 정말 실감나네요
@왕서방-r2h
@왕서방-r2h 6 месяцев назад
넘 감사합니다 😂
@은정-y6w
@은정-y6w Год назад
80년도 초에 초등저학년까지 신길동 우신초 건너 골목 극장입구에서 아빠가 수제신발가게를 하셨어요,,,, 그ㅗ좁은 골목이 아직도 기억이 납니다,,,,
@박성일-v9v
@박성일-v9v Год назад
그리운어린시절입니다 시흥사거리도 논밭이었지요
@knightyoung7079
@knightyoung7079 Год назад
감회가 새롭습니다!!!
@user-mf5xb5sz2y
@user-mf5xb5sz2y Год назад
감사합니다
@mj-nk7jc
@mj-nk7jc Год назад
지금은 광주에 살고있지만 서울서 나고 영등포에서 어린시절을 보낸 기억이 있네요.이영상을 보니 어린시절의 추억이 생각납니다..영상 감사합니다~😊
@andyjj4584
@andyjj4584 Год назад
4:08 저의 추측으로는 저정도 높이면... 완전한 산의 끝자락으로 난 길인데.. 대방e편한세상1차아파트와 대방주공 1단지 아파트 사이를 가르는 길이거나 대방공원 근처(서울지방병무청->영등포고 가는 길의 중간 어디쯤)가 아닐까 싶네요. 옛날로 치자면 논밭이 있던 서울의 외곽(현 시흥대로 주변) 시골길에서 노량진의 시장과 나루터 지역으로 질러가는 지름길이 있었겠죠(추정). 근데 길 모양이 아무래도 만만한 민둥산에서 골재를 퍼가고 나서 생긴 공간을 길로 닦은 것처럼 보이는군요.
@tador5907
@tador5907 Год назад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영등포는 일제가 한강 너머에 만든 경성의 배후 공업도시였습니다. 당시 한강 너머는 서울이 아닐 때라 굴뚝산업 입지로 적당하면서도 경인선으로 경성과 연결되는 최적의 입지였다고 합니다. 여기에 대해 자세히 다룬 논문이 있으니 참고하세요. "근대 서울 공업지역 영등포의 도시 성격 변화와 공간 구성 특징" by 서울대학교 대학원 건축학과 김하나, 20132 박사논문 피디에프 화일을 갖고 있긴 한데 유튜브에 화일 올리기는 안 되는 것 같네요...
@제7함대
@제7함대 Год назад
영등포 역전에서 세발자전거 타던 기억나네요
@호산리
@호산리 Год назад
젊은분이 어찌 잘 아시는지. 여의도 영등포 노량진 개봉 광명 온수 나의 생활터전이었지 팔십년대초에
@seungwooham3204
@seungwooham3204 Год назад
영등포 토박이지만 모르는 것들이 넘치는 ㅋㅋㅋ 엄청난 고대 유물들의 사진이네요
@조태숙-h1u
@조태숙-h1u Год назад
자료수집 하시느냐 고생 하셨겠네요 50대 초반인 저는 새삼스럽네요 얼마전 한강성심병원과 영등포7가 일대와 영등포시장이 재개발로 변한 모습과 변화중이던데.... 왠지 모를 허전함과 씁쓸함을 느끼는건 나이탓 일까요
@A.I.U.E.O.
@A.I.U.E.O. Год назад
저도 어릴때 놀던 언덕길이 아크로타워로 바뀌고, 영등포 시장도 재개발로 철거 준비하는 모습을 보면서, 어린시절 추억이 떠올라서 아쉽더군요.
@marais77
@marais77 Год назад
결혼해서 분가할때까지 살던곳이 신길1동이에요. 1동이 안나와서 좀 아쉽네요ㅠ 영등포가 물이 좋은지 크라운, 오비맥주에 진로까지 다 있었죠. 90년대 고딩때 창문열어놓으면 오비맥주공장에서 오늘 맥주향에 취했던 기억이 납니다ㅋ 집집마다 골목 중간에 우물도 꽤 많았었네요.
@이애란-v6t
@이애란-v6t Год назад
일제시대에 서율로 편입된 지역이군요 이전 명칭은 경기도 시흥군 영등포면 영등포리
@김지갱-d8r
@김지갱-d8r 3 месяца назад
아너무좋은컨텐츠 제가살던곳이라 더 깊이빠져들엇네여
@sanddeut
@sanddeut 20 дней назад
5:43 버스 색깔을 보니 90년대가 아닌 2004년 이후인것 같네요~
@제7함대
@제7함대 Год назад
조선맥주 본관은 멋진 건물이었는데 철거해버려서 아쉽네요. 도서관이나 박물관으로 썼으면 멋있었을텐데요
@user-pu3ny2rz8f
@user-pu3ny2rz8f Год назад
대림동에 영창악기 공장이 있었어요. 현재 우성아파트 1,2차쪽 부지가 영창악기 공장터였다고 하고, 불이나서 인천으로 옮겼다고 합니다
@용르-o9i
@용르-o9i Год назад
영등포에서 근 20년넘게.살았었는데 보니 좋네요
@Potential02
@Potential02 3 месяца назад
영등포 역사에대해서 꼼꼼하게 체크하셨네요~ 지금 알아볼수있는곳은 고추말고개쪽하고 영등포여고 옆골목만 알아보겠네요 저 곳은 거의 변하지않은듯해요 특히 영등포여고 옆골목은 보자마자 신길2동인줄 알았네여
@chakawai9727
@chakawai9727 Год назад
60년만에 보는 영등포. 태창방직 63 년에도에 도림동 에서 들엇던 추억. 고맙습니다. 영등포에서 운수사업을 핸 최창호 내는 지금어디에 살고?
@johncage70
@johncage70 Год назад
현재 영등포구엔 언덕이라고 할만한게 해군호텔부근 가마산인가가 유일합니다. 그러므로 5분쯤의 사진은 현재는 영등포구에서 쪼개진 다른 구일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김태헌-g8c
@김태헌-g8c 4 месяца назад
해군호텔이야기 나와서 하는말인데... 해군호텔 옆 위로 좀만 더 올라가면 거기가 50년대만 해도 죄다 공동묘지였다고 하더라고요
@Potential02
@Potential02 3 месяца назад
신길5동 수녀원뒷편 세화예식장 뒷편도 꽤 높은 고갯길이있었습니다 도림동쪽도 고추말고개라던가 오르막이 많았구여...
@parkymin
@parkymin Год назад
앗 복희님 이분 완전 지존 제가 63년 당산동에서 태어나 영등포에서 살고 성남고 39회인데 저보다 10년은 먼저보고 가시는듯
@liverla86
@liverla86 Год назад
10:54 쇼와기린맥주..1980년대에 OB맥주 공장 ㅎㅎ 거기에서 아버지랑 함께 맥주를 받아서 집에 온 기억이 있네요.
@공구리-k3e
@공구리-k3e 9 месяцев назад
당산동에서 어릴적부터 30년 신우아파트부터 현대 5차로 재건축 하면서 살다가 결혼하면서 이사왔습니다.. 당서국민학교 양평중학교를 나왔는데 당산동 정말 살기 좋은곳이죠…. 젊은시절.. 그 시절 그립네요…. 아직도 부모님은 영등포 구청에서 살고 계십니다.
@pluto-fm5ig
@pluto-fm5ig 8 месяцев назад
내가 태어난 문래동,! 영등포국민학교 16회 . 영등포국민학교 정문 삼거리에서 남부지방법원 쪽으로 신작록 좌측으로 는 해방전에 지어진 방직공장에 다니던 사람들이 살던곳인데 내가 태어난 집은 영단 107호. . 국민학교 1학년 다닐때쯤 문래동이라는 지번이 생겼어요. 영단 이라함은 영등포단지라는 관사인데 근처에 양평동 양남동 당산동에 해방전에 큰공장이 많이있어지요. 나의집앞 신작로 건너편에는 지금의 남부지법자리에서 문래 전철역 인근은 UN군기지여서 동네 부모님들께서 기지내에서 잡일을 하시고 돈벌이를 하였습니다. 지금의 대기업의 뿌리는 이지역에 있던 일본기업이 해방이후에 파손없이 그대로 남기고간 시설을 불하받아 창업의 씨앗이라고 보면됩니다. 3학년까지 문래동에는 라디오 수리점이 1개뿐인데 도림동 교회 집사님 께서 일본인 기술자에게 기술을 익혔고 해방이되자 일본인이 그대로 떠나서 그때부터 직접 하셨답니다 . 당시에는 고급기술이었지요. 1학년때 반장하던 친구의 아버지께서도 일본인의 철공소와 집까지 주고 떠난뒤 적산으로 불하받아 직접 운영하여 부자로 살았어요.
@lbc1014
@lbc1014 Год назад
전쟁 이후로 한해 한해 눈부신 발전을 이룬게 정말 대단합니다.
@heeasung
@heeasung 8 месяцев назад
82~84년 까지 저 영등포공고 정문으로 학교를 다녔습니다. 김안과 등등 너무 그리운 세월~~~~~~
@ThirdYoutube-c8b
@ThirdYoutube-c8b Месяц назад
1945년생 큰누님과 1970년생까지 우리 8 남매가 자란 영등포구 당산동 옛 추억이 아련합니다 당중초교 동문집안
@h_k6479
@h_k6479 Год назад
4:06 노량진에서 흑석동 넘어가는 고개 아닐까요
@mvsvhitc
@mvsvhitc Год назад
거기 경방필백화점인가 있지 않았나요?
@김아론-s4k
@김아론-s4k Год назад
그게 신세계에서 인수 해서 경방타임스퀘어로 바꼈어요~
@염용주-c2e
@염용주-c2e Год назад
와~ 추억돋네 94년부터 98년 안산으로 공장이전 전까지 방림방적 다녓느데...
@TV-of8ex
@TV-of8ex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영등포하면 당산역이죠 서울영등포역은 유명하였죠 청량리 영등포는199년대유흥의거리 향락의거리최고였죠.30년전에는 정말 영등포는대단했습니다,😊😊😊😊😊
@Potential02
@Potential02 3 месяца назад
영등포역앞 말고도 신길1동 신길5동에도 빨간집들이 있었죠 제가 초등학교 다닐때만해도 있었는데 그 이후에 철거됐었네요 주거지역 골목안에 그런집들이 있었다는게 지금은 상상도 못할일이죠 ㅎㅎ
@leekiljin5185
@leekiljin5185 6 месяцев назад
장훈중고 출신으로 너무 반갑네요. 지금은 장훈중 장훈여상이 없어졌지만 영등포 신길동은 언제나 마음속 가장 그리운 곳입니다. 지금도 가끔 한번씩 들러서 한두시간 이곳저곳을 둘러보면 90년대 모습 그대로인곳들이 많아 언제나 저를 30년전으로 돌아가게 합니다.
@Potential02
@Potential02 3 месяца назад
장훈중고 있던쪽 신길2동은 영등포에서 변화가 제일 덜된곳이 아닌가싶네여 골목골목 얼기설기 얽혀진곳 아직도 그대로더라구여...
@김욘이-c2f
@김욘이-c2f 7 месяцев назад
6남매 드라마도 영등포 당산동 배경임 ㅎㅎ 시대반영 잘해서 재밌었음 그당시 이슈도 반영했는데
@옳은소리하는사람
@옳은소리하는사람 Год назад
자주 지나간 영등포 신길 옛날 모습 신기ㅋㅋㅋㅋㅋ 여의도, 마포구는 어떻게 생겼는지 궁금
@kwangsoocho5455
@kwangsoocho5455 Год назад
이고개는 영등포에서 신길동 넘어가는 고개인것 같네요
@킹애드락
@킹애드락 Год назад
90년대 초반 영등포시장 사거리변에 있던 3층짜리 KFC(현 3일한우국밥)에 109번 상마운수 버스타고 어머니랑 가서 먹었던 추억이 그립습니다. 경방필 맞은편 금강제화는 유명한 만남의 장소 였는데 아직도 있더라고요.
@김태헌-g8c
@김태헌-g8c 4 месяца назад
영등포가 얼마나 컷는지...... 대방초등학교는 영등포구에 있고 영등포고등학교는 대방동에 있지요
@HanaiStory
@HanaiStory Год назад
양평동 5가에는 해태제과 공장이 있었습니다. 지금은 한신아파트가 있고요. 2000년대 초까지였나 택시로 우리집에 갈 때 아버지께서 "양평동 한신아파트요~"라 안하고 "해태 앞이요~" 하면 가더군요. 양평동에 남은 "해태"라고는 해태 사옥 짓다말고 철골만 남은거 뿐인데..
@hazelnut3794
@hazelnut3794 Год назад
오예스만드는 공장이 가까운 량평동에 있었다니
@esnyder
@esnyder 6 месяцев назад
우와~~~ 일제시대때 현대적인 공장과 인프라가 어마어마하게 갖춰지는군요... 정말, 쇄국정책의 조선이 계속 유지되었다면 지금 우리는 중국은 커녕 인도보다도 못 살았을지도....
@영거량
@영거량 Год назад
경인고속도로 입구 마을철거 브로커 담도 잇었던거로 보아 판자촌은 아닌거 같고 영등포 경찰서 자리는 옛날 공작창이라 부름 허벌판.바로 옆 홍익상가 도로는 철길이 있있고 철길 따라 판자촌 형성.도림동 일부도 판차촌이 있엇고 구일역에서 보이는 뚝방길 하천 가운데에 영화 꼬방동네 사람들 모델이 되는 판자촌마을.그 뚝방길 광명쪽도 판자촌마을.90년초까지 영등포.고척동.광명..뚝방길 주변 청과시장 도로. 판차촌 형성. 영등포 과일청과시장 위쪽으로 사창가가 있었고 영등포 경찰서 건너편 큰 부지는 대한통운
@phkair
@phkair Год назад
4:05 여기는 현재 효사정공원과 흑석현대아파트 정도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드네요....
@영거량
@영거량 Год назад
80년대 당산역이 종점인 좌석버스 주로 인천쪽방향인데 태우여객.삼진여객..그 다음에 또 뭐드라 기억이 안 나네.돈 조금 더 주고 좌석버스 탐.일반버스는 운전석 옆에 애들이 앉을수 있는 본네트가 있고 안내양이 없어진 이후 잔 돈 바꿀수 있는 바구니들이 있엇슴.따뜻한 그 본네트는 꼬맹이들이 이용하는 내 전용자리임.한번은 급 브레이크 밟아서 동전 바구니와 함께 앞 문 여는쪽 개단에 고꾸라졌는데 내 잘못인가 하고 운전사에게 죄송하다고 함.동전 주우려고 하니까 운전사 그냥 놔 두라고 함.좌석버스는 의자에 담배 재떨이가 있고 담배 필 수 있었슴.담배에 문제점이 있다 영상을 역전인나 이런곳에 비디오로 알린건 80년대 후반임
@Jeong-eun
@Jeong-eun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80년대도 지게꾼이 있었던거 같은데 내가 독산동에 살때가 언제였지 80년대 중반이었나 후반이었나 영등포 남대문 시장도 지게꾼 있었던 거 같은데 물건 지게로 지어다 준거 같던데 지금은 오토바이가 하지만
@pparloc
@pparloc Год назад
👍👍👍👍👍👍👍👍
@Jeong-eun
@Jeong-eun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공장이 중심에서 주변으로 점점 밀련나 지금은 해외로 간거 같은데 나는 구로동에 공장 많을 때 왔네 서울에
@오르비에또
@오르비에또 7 месяцев назад
78년 유치원때 해태제과견학했었는데 그자리가 한신아파트군요
@sj85
@sj85 Год назад
01:27 이건 아무리 봐도 1989년 사진이 아닌데요?? 뒤에 보이는 고층아파트들이 80년대 지은 아파트들도 아니고 택시 도색이 80년대 도색도 아닙니다.
@koreangeographic3860
@koreangeographic3860 Год назад
촬영시점이 아니라 민자역사를 준공한 연도가 1989년이라는 겁니다. 자막이 좀 헷갈릴 수도 있겠네요^^;;;
@hazelnut3794
@hazelnut3794 Год назад
바보
@sj85
@sj85 Год назад
@@hazelnut3794 ㄴ금?
@연비어약-f1f
@연비어약-f1f Год назад
5:45에 1990년대 영등포시장 교차로라고 표기되어 있는데... 빨간색 광역버스와 초록색 지선버스가 보이는 걸로 봐서 2000년대 중반 이후로 보임.
@Jeong-eun
@Jeong-eun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내가 여행을 좋아하는 성격이었다면 더 많은 것들을 보았을 텐데 떠돌이 생활은 했어도 한번 간데서ㅓ 다른데로 갈때까지 돌아다니지않으니 영등포 기억이 가물가물하네
@형기김-j5y
@형기김-j5y 8 месяцев назад
핑클의 이진씨 대박나세요.
@아29이게나라냐
@아29이게나라냐 Год назад
👍
@NativeBakJaesaram0001
@NativeBakJaesaram0001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80년대 후반 영등포 가면 오비 앞에서 보고는 했습니다.
@가드맨
@가드맨 Год назад
감사히 잘봤습니다❤
@지우_bunnis
@지우_bunnis Месяц назад
저기 영등포 사는데 저렇게 예전에는 저랬더니 ..
@ysa4473
@ysa4473 7 месяцев назад
3:31 내가 우신국민학교 나왔는데 1952년에 이탈리아 의무부대가 한반도까지 와서 주둔했다구? 금시초문일세 ㅎㅎ 주변경관도 너무 광활하고 넓음. 아메리카 영등포에도 우신국민학교가 있었구나 ㅎㅎ 영등포여고 옆길은 한반도 같네. 옆이 내가 다닌 영등포여중인데 오비맥주가 바로 옆이어서 맨날 취한다 이러면서 장난친 기억도 나네. 아무튼 아메리카영등포가 많이 보이는듯 낯설다 ㅎㅎ
@Potential02
@Potential02 3 месяца назад
영등포여고 옆길은 신길동 살았던 사람이면 나이상관없이 모를수없는 모습이네요 지금과 변한게 없어서 그런지 ㅎㅎㅎ
@냥냥펀치-d8t
@냥냥펀치-d8t Год назад
83년 영등포 태어났습니다
@빨강-w6i
@빨강-w6i Год назад
1945년 미군정 시대 영등포 설명이 없네요.
@권호석-n5g
@권호석-n5g 6 месяцев назад
일제시대부터 준공업지역 쭉~~~
@heonkim1504
@heonkim1504 4 месяца назад
일본 유명 전통 기업인 기린 맥주가 oB였고 그게 다시 두산 중공업으로 ....여태 몰랐네요 현대와 전통으로 이어지기까지 역사는 정말 중요한것 같습니다
@Kevin-bt1rk
@Kevin-bt1rk Год назад
5;43 (1990년대)가 아니라 적어도 2005년 이후 같습니다
@koreangeographic3860
@koreangeographic3860 Год назад
아, 그런가요? 영등포역사가 증축 전 모습 같아서 90년대라고 생각했는데, 혹시 2005년 이후라고 생각하시는 근거를 알려주시면 참고하겠습니다^^
@Kevin-bt1rk
@Kevin-bt1rk Год назад
​​@@koreangeographic3860 영등포역 바라보는기준, 왼쪽에 있는 건물중 붉은색 격자무늬 망 같은거 2개있는 에쉐르빌딩이 2005년 준공으로 들었습니다.
@koreangeographic3860
@koreangeographic3860 Год назад
@@Kevin-bt1rk 아!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김진태-g9c
@김진태-g9c Год назад
그렇겠내요. 녹색버스,빨간버스가 보이는게, MB가 서울시장때 2004년 버스통합?이후로 보입니다.
@sj85
@sj85 Год назад
ㅇㅇ 맞음 서울시 버스개혁 이후 버스들의 모습이면 적어도 이명박 서울시장 이후의 사진임;
@천하통일-p2e
@천하통일-p2e Год назад
영등포..하면 쓰레기스런 기억밖에 없음..요즘은 좀 나아졌지만..
@김욘이-c2f
@김욘이-c2f 7 месяцев назад
많이 걸어다녔다... 대방역에서 신길역까지 ㅎㅎㅎ
@김범산-m2b
@김범산-m2b Месяц назад
누갸보면 엄청 걸어다닌줄 알겠네 ㅜㅜ 1정거장
@inunine1115
@inunine1115 Месяц назад
영등포가 일제강점기 경성으로 편입된 최초의 경기도 땅이었고 포구를 중심으로 공업이 발달됨. 당산쪽은 일본 기업 간부들이 살던 부자동네로 그 터에 70년대에 강남맨션이란 고급 공동주택이 생겼고 그 강남맨션을 2000년 초에 재개발 한게 지금 20년째 당산동 대장인 당산삼성래미안4차 ㄹㅇㅋㅋ
@金官整泰
@金官整泰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05 적화 통일된 영등포 역이 지금 저랬을 것 같은데...
@김경태-r2j
@김경태-r2j Год назад
언덕이 없는 신기한동네에요
@Potential02
@Potential02 3 месяца назад
제가살던 90년대~2000년초까지 언덕 많았어요 ㅎㅎㅎ 사진에 없을뿐이지 신길 1~7동까지 전부 높은언덕 고갯길이 군데군데 있었습니다 도림동 크라운맥주자리 올라가는길도 언덕길이고 고추말고개 영일동쪽 전부 고개이고 그쪽은 지금도 남아있어요 대림,당산,양평,영등포 시내쪽은 일찌감치 발전된덕에 언덕이 없었습니다
@루벤스71
@루벤스71 Год назад
중요한건 사진 속 사람들은 거의 죽었다는거 인생 짧다 착하게 살자
@Jeong-eun
@Jeong-eun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구로구 코오롱 봉제 공장 다녔엇구나
Дале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