Тёмный

이론상 우주의 속도까지 빨라진다는 기어... 진짜 될까? (음속을 돌파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ㄷㄷ) 

긱블 Geekble
Подписаться 1,2 млн
Просмотров 1 млн
50% 1

어케했누?ㄷㄷ
-
참고영상 👉 • Spiral type gears in a...
나모's 연구 데이터 👉 geekbleofficial.notion.site/1...
-
📗긱블 만화책 '긱블 제작소' 출간🛠️
괴짜 천재들의 과학 공학 학습 만화!
과학 원리를 활용해 쉽고 재미있게 과학 원리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YES24 : bit.ly/48N7Owd
•교보문고 : bit.ly/3u8c6iK
•영풍문고 : bit.ly/3OgiKdM
•알라딘 : bit.ly/3OfOShy
-
🍀 긱블 커뮤니티 👉 bit.ly/Geekble_Community
📷 긱블 인스타그램 👉 bit.ly/Geekble_Insta

Наука

Опубликовано:

 

24 июн 2024

Поделиться:

Ссылка:

Скачать:

Готовим ссылку...

Добавить в:

Мой плейлист
Посмотреть позже
Комментарии : 1,2 тыс.   
@geekblekr
@geekblekr 3 дня назад
⚙⚙‘눈깜빡기어’에 대한 여러분들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나모's 연구 데이터 👉 geekbleofficial.notion.site/157daee14b24405fb6be619537be3627?pvs=4 ⚙⚙’눈깜빡기어’ 챌린지!⚙⚙ - ‘눈깜빡기어’를 수학적/해석적으로 분석하여 가장 잘 설명해주시는 한 분께 긱블이 만든 ‘눈깜빡기어’를 선물로 드립니다! (다만, 모터는.. 사망하였습니다.. 스미마셍😇) - 응모방법 : 본 영상에 댓글 or 해석 영상 업로드 후 긱블 멘션(@geekblekr) - 응모기간 : 7월 25일 까지 - 당첨자 발표 : 7월 31일 긱블 커뮤니티 공지 - 정확한 답변 없을 시, 가장 재치 있는 답변으로 한 분 선정하겠습니다 ;) - 과학/수학쟁이들 드루와드루와~~~🥳
@b1n7777
@b1n7777 3 дня назад
문과는 웁니다ㅜㅜ
@geekblekr
@geekblekr 3 дня назад
@@b1n7777 '재치'특별전형에 도전해보세요😉😉
@user-wc8zg4rh8t
@user-wc8zg4rh8t 3 дня назад
@@geekblekr 손으로 돌리면 안돌아가나요? 다칠 수 있나요?
@geekblekr
@geekblekr 3 дня назад
@@user-wc8zg4rh8t 와... 이거 손으로 돌릴 수 있으면 최소 최홍만
@j-mincompany3457
@j-mincompany3457 3 дня назад
@@geekblekr 최홍만에 도전!!! 1일차
@Unrealscience
@Unrealscience 3 дня назад
느리게 눈깜빡하며 뛰어왔습니다. 너무 재밌습니다.
@taehyunlee5800
@taehyunlee5800 3 дня назад
안될과학이다!
@geekblekr
@geekblekr 3 дня назад
선생님덜,, 요것이 어떻게 해서 요렇게 되는 것인지 좀 알려주시면 안 될까요?🤭
@user-Taramg
@user-Taramg 2 дня назад
안될과학 긱블 님들 다 팬이에용
@Elvin-jang
@Elvin-jang 2 дня назад
"ㄴㅈ"
@user-bu7ik3ub2u
@user-bu7ik3ub2u 2 дня назад
궤도님 보고싶어오
@user-dm1cs7kp4s
@user-dm1cs7kp4s 3 дня назад
각각의 기어에서 뒷쪽 톱니로 갈 수록 중심으로 부터 거리가 커지니까 같은 모터, 같은 각속도에서 선속도는 비례해서 증가하는 것이고, 다음 기어에서는 이전 기어의 가장 빠른 부분 (중심에서 가장 먼 톱니) 이 다음 기어의 중심에서 가까운 톱니와 같은 속도로 운동하니까 속도는 점점 증가하겠네요. 실험 결과를 가지고 예측했을 때 각 기어의 시작부분과 끝나는 부분의 중심과의 거리는 1:2 에 가까울 것 같습니다. 썸네일을 보니 첫 90' 부분에는 대략 톱니가 3개 반정도 들어가는 것 같고, 마지막 90' 에는 톱니가 7개 반정도 들어가는 것 처럼 보이네요.
@user-jm8kd5tv8h
@user-jm8kd5tv8h 3 дня назад
정답
@ghijkabcdef6887
@ghijkabcdef6887 3 дня назад
그래서 루피가 기어쓰면 빨라지는거구나
@user-wi5qb9xr9m
@user-wi5qb9xr9m 3 дня назад
​@@ghijkabcdef6887그 기어가 그 기어가 아닐텐ㄷ
@jeono8625
@jeono8625 3 дня назад
정답 2번!
@DAAMKERR
@DAAMKERR 3 дня назад
끄덕끄덕(전혀 모르겠다)
@user-ic7up3cl5e
@user-ic7up3cl5e 3 дня назад
이실험으로 김범준 교수님이랑 또 콜라보하면 재미있을거같아요ㅎㅎ
@capp_10707
@capp_10707 3 дня назад
할수있는것은 전부 현실에서 구현시키는 긱블 영상 볼떼마다 대단하다고 느낍니다 존경합니다
@snowflakeperv
@snowflakeperv 3 дня назад
외국에서 유튭한거 따라하는건데 먼존경이냐 ㅋㅋㅋㅋㅋㅋ 그냥 재현 유튜버지. 저것도 이미 다된거 프린트 한거 뿐이잖아. ㅋㅋㅋ
@MildredTownsend-jt2evszs
@MildredTownsend-jt2evszs 3 дня назад
⏮⏮유명여돌 므훗 영상 뿌려졌다구 다른 뜨거운것도 엄청 많아🥵 일반 여대생 직장인도 나온다니깐 ♯휴쥐필수 ♯레젼작
@user-nk3xs9wh7x
@user-nk3xs9wh7x 3 дня назад
04:03 긱블에게서 CNC라니 ! 먼 미래에서만 쓸 것 같은 3D프린터라던가 그런것들로 직접 제작하고 나머지 금속관련으로 오래전부터 사용해오던 기계들은 전부 작은 업체나 큰 업체를 통하여 외부에 맡기는 것들로만 봤었는데 긱블에서 이것마저 다루어주시니 기계관련으로 ! 직접 기름을 만져야하는 (NC CNC MCT)부터 미래산업(3D)까지 이제는 긱블에서 다 볼 수 있게 되서 너무 재밌네요! 01:23, 02:15, 02:40 06:19, 09:12, 09:54, 10:12, 10:27, 11:24, 12:36, 기계어들이 난무하는데 그걸 영상보는 사람들도 알기쉽게 설명을 해주시면서 자막으로까지 큼지막하게 써서 알아보기도 쉬워서 영상을 보는데 조금 더 몰입감 있게 재미나게 볼 수 있어서 좋네요 !! 아주 잘 봤습니다 !!!
@yanggafg
@yanggafg 2 дня назад
긱블 대규모 구조조정 ㄷㄷ
@user72-ht2fj
@user72-ht2fj 3 дня назад
이런영상 개좋음 다만 많ㅎ이 위험해 보여서 안전에 더 신경 쓰셨으면 합니다. 방호벽이 있는 뒤에서 스위치를 작동 시킨다던지 불편해도 빠른 속도에 튕겨나가지 않게 덮개를 제작하여 보호장치를 마련하는등의 조치가 있었으면 합니다. 안전은 지나칠수록 좋음. 기어가 늘어날 수록 돌리는데 얼마의 힘이 들어가는지 궁금해지내요
@user-li4ii3ux9b
@user-li4ii3ux9b 3 дня назад
기어 개수당 2의 x승 배로 증가하겠죠
@user-pd8so5ho2v
@user-pd8so5ho2v 3 дня назад
맞아요 저도 보면서 이 생각이 들었습니다 우리의 긱블 메이커분들은 소중하니까요. 이 영상을 보는 아이들도 많으니 안전을 많이 강조해주셨으면 합니다
@jaewoungshim4967
@jaewoungshim4967 3 дня назад
빛의 속도로 가면 방호벽도 소용 없을듯..
@One-rh6nf
@One-rh6nf 3 дня назад
​@@jaewoungshim4967빛의 속도는 못 가요
@elgb5671
@elgb5671 3 дня назад
​@@jaewoungshim4967광쇠 초월은 인공지능이 고전역학 범위의 데이터만 학습해서 벌어진 오류입니다. 고전역학의 오류와 동일한 오류죠
@1228ksh
@1228ksh 3 дня назад
나모님은 최근 라방이나 쿠루배터리를 이용한 배 메이킹 영상에서 뵐 수 있었지만, 오랜만에 갈퀴님 뵙게 되니 반갑네요ㅋㅋㅋ
@geekble_galque
@geekble_galque 3 дня назад
저두 반가워용~~😄
@Imyourchaedang_
@Imyourchaedang_ 3 дня назад
오랜만에 정말 재밌는 긱블영상이었다!!! 너무너무 재밌었습니다!! 고생하셨어요🫶🏻
@MildredTownsend-jt2evszs
@MildredTownsend-jt2evszs 3 дня назад
⏮⏮유명여돌 므훗 영상 뿌려졌다구 다른 뜨거운것도 엄청 많아🥵 일반 여대생 직장인도 나온다니깐 ♯휴쥐필수 ♯레젼작
@gox3333
@gox3333 2 дня назад
@@MildredTownsend-jt2evszs와 긱블애도 있네 신고를 2번 받아얄 할 사람들 ㄷㄷ
@gitaekim1045
@gitaekim1045 3 дня назад
크게 보면 원의 형태지만 곡률이 줄어드니까 작은 원에 대비한 큰원의 곡선은 직선의 형태로 점점 가까워져서 작은 원에 대한 큰원의 지름의 배수만큼 제곱하는 값이 나오는게 아닐까. 애초에 물질의 형태로 음속을 돌파하는것은 내구성 문제나 전력의 문제로로 불가능 할거 같고. 빛이나 물같은 형태의 에너지를 저런 구조로 구상을 할 수 있으면 어떨까 생각이 드네요.
@cjp3457
@cjp3457 Час назад
음속? 광속오타신듯
@SIN-3153
@SIN-3153 День назад
음속을 돌파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채찍이.....
@doodoo7175
@doodoo7175 3 дня назад
신기하고 재밌어요!
@Do_Chi
@Do_Chi 3 дня назад
매력적인 구성과 알찬내용이었습니다 잘봤어요 🙌
@MildredTownsend-jt2evszs
@MildredTownsend-jt2evszs 3 дня назад
⏮⏮유명여돌 므훗 영상 뿌려졌다구 다른 뜨거운것도 엄청 많아🥵 일반 여대생 직장인도 나온다니깐 ♯휴쥐필수 ♯레젼작
@아은므흣자료
@아은므흣자료 20 часов назад
↸👨‍👩‍👦‍👦
@jo-pd
@jo-pd 3 дня назад
단계별 에너지와 힘은 얼마나 필요한지도 궁금합니다. 만약 단위가 올라갈수록 필요한 기어의 물질은 어떤게 필요할 지도 궁금하네요. 수고하세요^^
@MildredTownsend-jt2evszs
@MildredTownsend-jt2evszs 3 дня назад
⏮⏮유명여돌 므훗 영상 뿌려졌다구 다른 뜨거운것도 엄청 많아🥵 일반 여대생 직장인도 나온다니깐 ♯휴쥐필수 ♯레젼작
@KIMPARMCHI0502
@KIMPARMCHI0502 3 дня назад
재밌고 유익한 영상이었어요.
@user-it1zg4ze8e
@user-it1zg4ze8e 3 дня назад
6:50 영상 재밌게 잘봤습니다. 물론 저보다 훨씬 잘 아시는 분들이지만, 안전은 조금 더 신경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공돌이 감성이라 좋아보이긴하는데, 부하가 예상되는 가동설비에서 안전보호구도, 안전거리도 확보하지않으시고 동작하는거보고 깜짝 놀랐습니다. 부디 안전하게 다치지말고 재밌고 유익한 영상을 위해 혹사해주세요.
@__namu__
@__namu__ 2 дня назад
한번 다치면 알아서 방호장비 챙길겁니다.
@user-ed1gx1ik9k
@user-ed1gx1ik9k 3 дня назад
다른 분들이 잘 분석해 주셨는데, 이런 식으로도 표현할 수 있을 것 같네요. 기어의 형상이 최초 결합에서부터 회전에 따라 기어비가 상승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말단 기어비가 약 2:1이므로 각 기어 단계 당 최고 속도가 이전 기어보다 약 두 배씩 빨라진다고 말이죠. 사실 썸네일을 보면 초단과 말단 지름이 두 배보다 더 차이가 나는 것 같은데, 기어를 거치면서 에너지 손실이 꽤 많이 나나 보네요. 안전에 관한 문제도 다른 분들이 지적하셨는데, 원격으로 실험을 구성한다면 더 다양한 이야깃거리를 영상에 담을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또 의견을 덧붙이자면, 말단 기어에 구슬을 튕기는 장치를 달아서 빠른 속도를 시각적으로 보일 수 있지 않을까 싶네요.
@Young-zu2xh
@Young-zu2xh 3 дня назад
와 최고 최고 넘 재밌게 봤습니다! 머신 러닝... 피부에 와 닿게 보니까 가슴이 웅장해지네요 ㅋㅋ
@B_zent
@B_zent 3 дня назад
기어 2개가 기어의 튀어나온 곳 쪽에서 맞물리면 큰 기어로 작은 기어를 돌리는 효과가 나서 속도가 빨라지는식으로 점점 빨라지는거 아닐까요? 튀어나온 부분의 방향과 회전하는 방향이 같아서..?
@elgb5671
@elgb5671 3 дня назад
아무래도 톱니 하나의 구조 이외에도 배치가 중요할듯 하네요. 각도에 따른 반지름이 지수함수라면 혹시 각 기어가 양 옆 기어와 맞물려 있는 지점의 반지름 비가 1:2인것 아닌가요? 만약 사실이라면 접한곳의 선속력을 다음 기어에 2배라는 일정한 배율로 전달하게 되어 최대 각속도가 두배씩 증가하는게 설명되는데 말이죠
@elgb5671
@elgb5671 3 дня назад
@geekblekr
@KIM_MIN_JAE
@KIM_MIN_JAE 3 дня назад
저도 이거 같음 중심에서 멀수록 돌아가는 속도가 빠르니까 그게 다음 기어의 가장 작은 반지름을 가진 부분과 맞물리면서 계속 빨라지는 듯
@flazma8979
@flazma8979 День назад
확실히 3d프린터로 뽑은거 테스트 할때도 보였지만 기어 아구가 안맞아서 끼여버린것도 있었죠 그리고 기어 반지름 최소값과 최대값이 1:2라 쳐도 공기저항이나 마찰에 의한 동력손실상 2배씩은 아니고 회전속도*기어 비율-손실량 이 가속공식이 되겟죠
@HYEON_047
@HYEON_047 3 дня назад
영상에서의 정확한 기어비는 모르겠지만 기어비를 1:2이라 했을때(영상에서 사용한 기어의 가장 안쪽부분: 1, 가장 바깥부분: 2) 첫번째 기어가 회전할때 두번째 기어는 두번 회전하게되고 첫번째 기어가 한번 회전할때 세번째 기어는 8번 회전하고………. 첫번째 기어가 한번 회전할때 10번째 기어는 2의10제곱인 1024번 돌게 되어 기어비는 1:1024가 되고 가장 안쪽의 기어가 1바퀴 돌아갈때 가장 마지막 기어는 1024바퀴가 돌아 이런 현상이 나오는것 같습니다. 이렇게 기어가 n개 있다면 첫번째 기어가 1번돌때, 두번째 기어는 2의n제곱만큼 회전합니다. 추가로 영상에서의 기어는 순간적으로 기어비가 높아지므로 갑자기 빨라지는 효과가 있는것 같습니다. 모터가 사망한 이유는 마지막에 있는 기어가 돌아갔을때 그 돌아간 힘이 안쪽에 있는 기어로 전달되는데 그 과정에서 기어비는 토크가 높아지며 그 토크가 모터로 전달되어 모터에 순간적으로 강한 힘이 작용하여 모터가 사망한것 같습니다. 다음에 다시 실험한다면 베어링을 탈지 후 베어링 오일로 오일링을 해준 후 더블베어링or트리플베어링을 사용하면 최대한 베어링의 부하와 마찰력을 줄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geekblekr
@user1904-ywmmf
@user1904-ywmmf 3 дня назад
전공자들한테 훈수는 ㅋㅋ
@geekblekr
@geekblekr 3 дня назад
오호!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기어 단수가 올라갈수록 토크가 기하급수적으로 커져서 베어링 마찰력이 진짜 어마어마해지더라구요ㄷㄷ 아 그리고 나선형기어 내측과 외측 직경 비율은 1:3 정도 됩니다!😃
@user-hj8oj8lx9o
@user-hj8oj8lx9o 3 дня назад
⁠@@user1904-ywmmf저기 전공자 없음 ㅋㅋㅋㅋ
@Yonghwan214
@Yonghwan214 3 дня назад
@@user1904-ywmmf지능이 부족하신가요?
@elgb5671
@elgb5671 3 дня назад
@@geekblekr 혹시 반지름이 가장 짧은곳을 기점으로 각도 θ에 대한 r(θ)는 어떻게 주어지나요? 20exp(0.25θ)가 맞을까요?
@pupu2225
@pupu2225 2 дня назад
기어를 반으로 쪼갰을 때 두 반원이 작은기어와 큰기어로 나눠지는데 이 때 큰 반원 기어의 지름이 작은 반원 기어의 두배라서 속도가 두배씩 증가하는 것처럼 보입니당! 그리고 처음에 기어들이 천천히 돌때는 모든 기어가 작은기어쪽에서 큰기어쪽으로 전해주는거라 천천히 돌고 이제 전해주는 기어 쪽이 큰기어, 받는 기어가 작은기어가 되는 순간 속도가 앞기어의 2배씩 커져서 지수적으로 늘어나는 것 같아요
@sindave6755
@sindave6755 2 дня назад
이게 잘보면 첫번째기어가 회전사이클 1회구간끝에서 가장빠릅니다 각각기어별 회전수와 시간이 같으니 각각의 기어의 회전각에따른 속도변화율을 그래프로 그려서 구간별 속도를 추론해야합니다 따라서 특정시간대에서 n번째기어의 속도 속도(n)=x(f)-x(i)/t(f)-t(i)=dθ/dt 로 추론할 수있을듯합니다 각각의 기어의 가속도는 일정비율로상승하므로 가속도(n)=a(r(n제곱)-1)/r-1 입니다 가장빠른구간은 첫번째기어의 회전이 끝나는 순간이므로 첫번째식에 두번째식으로가속도를 구해서 구간에서의 속도를 구하여 대입하면 가장빠른 순간의 속도를 알 수 있을 듯합니다 (더 쉽고 간단한 정답이 있을 수 있습니다 얕은지식이라...)
@Reglow314
@Reglow314 3 дня назад
제대로 된 물리는 공부해 본 적 없는 한낱 고1이지만, 어디서 주워 들은 공식으로 나름대로 최선의 풀이를 찾아보았습니다. 다른 댓글들을 보니 기어비나 돌림힘의 관점에서 해석하시는 분들이 계시더라고요. 그런데 돌림힘도 잘 모르는 제가 그 모든 개념을 고려하면서 답을 찾는 건 불가능에 가깝다고 생각해, 일단은 이 문제를 운동량의 관점에서 접근해 보았습니다. 우선 눈깜빡기어에서 운동량 변화에 관여하는 부분을 저 직선 부위에만 한정하였습니다. 그리고 이 부위를 제외하고는 기어에서 크게 변수를 생성할 만한 요소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적당히 직선 부위의 물리량 변화가 전체 물체에 즉각적으로 영향을 주는 강체라고 가정했습니다. 거시적으로 보았을 때, 서로 맞물려 있는 두 기어는 방향이 반대지만 크기는 같은 각속도를 가질 것이므로, 최종적인 운동량 또한 동일하여 충돌 직후 가속된 기어의 각속도는 원래의 2배만큼을 가질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또 거시적인 직관이 아닌 미시적인 관점에 의해 일일이 운동량을 계산하는 방법으로도 알아볼 수 있겠습니다. 눈깜빡기어에서 중심으로부터 가장 가까이 있는 톱니까지의 거리를 r, 가장 멀리 있는 톱니까지의 거리를 d라고 설정하고, 기어들이 충돌하여 가속할 수 있는 저 직선 구간에서는 이 물질을 이루고 있는 수많은(위치 차이는 아주 작은 어떤 수 ε로 두었습니다) 질량 m의 금속 입자들의 탄성 충돌을 가정하였습니다. 구간을 이루는 입자들의 운동량의 총합은 mrω + m(r+ε)ω + m(r+2ε)ω + ... + mdω가 될 것이고, 이는 적절히 그래프 상에서의 밑넓이(=적분)으로 해석하여 mω(d²-r²)/2가 될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기어 간 충돌 부위에서 중심까지의 거리 r에 위치한 입자는 상대 기어의 거리 d에 위치한 입자와 충돌할 것이고, 회전 방향 즉 충돌면에서의 입자들의 미시적 운동 방향은 서로 반대일 것입니다. 즉 충돌한 뒤 가속되는 기어에서 거리 d에 위치한 입자의 운동량은 이전 mdω에서 mrω가 더해진 m(d+r)ω가 될 것입니다. 그리고 이 입자 바로 옆에서 일어나는 입자들의 충돌은 운동량의 계산이 m(d-ε)ω + m(r+ε)ω = m(d+r)ω로 똑같이 될 것이고요. 결국 모든 충돌한 입자쌍에게서 합산한 결과는 동일할 것이므로 기어 전체에 가해진 운동량은 mω(d²-r²)/2 + mω(d²-r²)/2 = mω(d²-r²)로 원래의 2배라고 볼 수 있겠네요. 결국 충돌한 직후 물체의 운동량이 2배로 불어나는 현상이 연속적으로 맞물린 기어 덕분에 끝없이 이어질 수 있겠다고 생각해 보았습니다. 다만 제 추론이 정확하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충돌 부분이 아닌 물체의 운동량을 고려하지 않았고, 논리적 비약이 많거나 불필요한 개념의 사용도 많은 것 같습니다. 과학은 정말 재미있는 학문이지만, 아직 제대로 즐기기에는 실력이 많이 부족한 것 같네요. 다음주 시험이 끝나면 역학 부분을 제대로 공부해야 하겠습니다!
@elgb5671
@elgb5671 3 дня назад
아직 새내기인 물리학과입니다만, 완전탄성 충돌을 가정하신 상태로 mrω, mdω의 운동량을 가진 입자의 충돌 결과 mdω의 운동량을 갖던 입자가 m(d+r)ω의 운동량을 갖는다고 하신듯 한데, 완전탄성충돌시 반발계수는 1로, 충돌전후 두 물체간의 상대속도는 크기가 같으며, mrω의 운동량을 갖던 물체가 멈춘다는 결과로 이어져 기어의 회전과 모순되게 됩니다. 풀이의 의도를 완벽히 이해하지는 못했지만 방향이 반대라면 각각 -mrω, mdω라는 운동량을 갖던 물체가 -2mrω, m(r+d)ω의 운동량을 가져야 하고, 에너지보존 법칙에 위배되게 됩니다. 무엇보다 큰 오류는 질점을 기어의 테두리에만 잡았다는 것인데, 기어는 전체가 같이 회전하며, 따라서 모든 위치의 질점을 따로 계산하기 위해서는 테두리 이외의 질점과의 무수히 많은 상호작용을 전부 고려해야 합니다. 이게 사실상 불가능할 정도의 계산량이라 강체의 회전운동은 관성모멘트라는 개념을 도입해 설명하는데, 질점에 대해 r²dm을 적분한 값을 사용하게 됩니다. 또한 접한 지점의 반지름이 동일하지 않아 각속도의 크기가 동일하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만일 그렇다면 애초에 가속을 하지 않을것이구요. 그리고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기어는 전체가 한번에 돌아가기 때문에 거시적 관점에서는 각 지점의 운동량을 통한 계산은 불가능할것 같고, 물체의 각운동량을 통해 계산하신다면 오류도 적고, 쉽게 풀릴것입니다.
@user-yu8ni1kh3j
@user-yu8ni1kh3j 3 дня назад
지나가는 14세 문과 지망생입니다 머리가 빠개져 억겁의 소용돌이 속으로 스며듭니다 여기서의 1겁은 여의도 체적의 화강암을 여자의 명주치마 끝자락을 맞대어 스치며 돌기를 반복하여 화강암을 없애버리는 시간입니다 그 일억번의 시간속으로 우리 모두 빠져봅시다 니미럴...
@soljung5655
@soljung5655 3 дня назад
실제로 2배씩 빨라지지는 않습니다. 톱니의 관성과 금속의 눌림때문에 힘이 전달되는 딜레이가 있어서. 실제로 19번째실험에서 움직이는 16번째 톱니를 보면, 16번째실험의 최고속도보다 많이 느려진걸 볼수있습니다. 아마 최종적으론 한번도 음속조차 넘어서지 못했을겁니다
@RSCBGM
@RSCBGM 3 дня назад
광속 이상으로 회전하도록 기어비를 맞추는건 가능한데, 그걸 돌리면 기계가 먼저 부숴질겁니다.
@WIDEL4KE
@WIDEL4KE 3 дня назад
+물질에서의 힘의 전달속도도 있으니...
@user-qd9bx9tb1j
@user-qd9bx9tb1j 3 дня назад
질량이 있는 물체는 빛의 속도에 가까울 수록 막대한 에너지가 필요하고 막대한 에너지를 버틸려면 내구성이 필요하고 내구성이 증가하면 질량이 증가하게 되어 절대 도달하지 못함.
@fireballl
@fireballl День назад
이거지
@loa8794
@loa8794 3 дня назад
늘어가는 기어에 따라 올라가는 모터의 전력량도 알면은 공학적으로 더 고려하면서 써볼수 있지 않을까요? 대형모터의 기동에 사용한다던가.. ㅎ
@jminfo7152
@jminfo7152 День назад
마지막 테스트를 보고 번쩍 떠오른 생각인데요.. 각 기어가 기둥에 꽃히는 부분에 베어링을 삽입(기어부분쪽에)하게 되면 부하가 좀 줄어들지 않을까요?? 즉, 기둥에 맞닿게 되는 기어의 구멍부분에 베어링을 삽입해서 기둥에 꽃게 되면 부하가 조금 줄어들거 같은데요...ㅎㅎ 너무 복잡해 지네요..ㅋㅋㅋ 구독 찍고 갑니다~~ ㅎㅎㅎ
@Blue_Star_07
@Blue_Star_07 3 дня назад
내가 긱블에게 원한게 바로 이런거야~~ 오랜만에 끝까지 재밌게 봤어요~~
@koreafairsociety
@koreafairsociety 3 дня назад
이론상 계산된 속도와 실제 육안으로 관찰되는 속도와는 많이 차이나는 것 같습니다. 기어를 차차 늘리더라도 최종 기어 돌아가는 속도는 다들 비슷한 거 같고요. 아마도 마찰열 등으로 에너지를 중간에 대부분 빼앗겨서 실제 실험장치에서는 이론상 속도를 구현하기가 물리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인 듯합니다.
@pepsaysin
@pepsaysin 3 дня назад
왠지 기어 하나 추가할때마다 그걸 버티고 돌릴 모터 없음 못돌리겠다 했더니 터지네요 같은 굵기의 같은 중심 축으로 돌리는 바퀴는 작은 바퀴보다 큰 바퀴의 외곽 부분이 더 빠르듯 기어가 한 지점은 중심축에서 가깝고 다른 한 지점은 더 멀듯 맛물린 톱니로 돌아가면서 점점 가속도가 붙어 맛물린 톱니바퀴 갯수가 늘어날수록 점점 더 빠르게 가속을 받는 것이 아닐까 싶군요
@user-lw2os3lb1p
@user-lw2os3lb1p 3 дня назад
최고예용
@j-mincompany3457
@j-mincompany3457 3 дня назад
요즘 나모님 겁나게 바쁘시네요~ 건강유의하세요~
@MildredTownsend-jt2evszs
@MildredTownsend-jt2evszs 3 дня назад
⏮⏮유명여돌 므훗 영상 뿌려졌다구 다른 뜨거운것도 엄청 많아🥵 일반 여대생 직장인도 나온다니깐 ♯휴쥐필수 ♯레젼작
@soulkey5846
@soulkey5846 3 дня назад
지구의 모든 시간을 써도 한 바퀴 돌리기 힘든 톱니바퀴가 있는데 그정도는 아니여도 한 1년짜리 만들어 월간긱블로 리뷰하고 긱블의 시간과 함께 해보는거 어떨까요??
@user-vp3gq8bk2r
@user-vp3gq8bk2r 3 дня назад
그 톱니바퀴를 돌릴수 있는 동력이 있을지 궁금하네요..
@yacosive
@yacosive 3 дня назад
​@@user-vp3gq8bk2r역방향이 안되는거지 정 방향은 상관없습니다. 그냥 RPM만 높고 토크 낮은걸로 쓰면 됩니다
@user-vp3gq8bk2r
@user-vp3gq8bk2r 3 дня назад
@@yacosive 역방향과 정방향에 차이가 있는건가요?
@mariochoi
@mariochoi 3 дня назад
반대방향이 그뜻이 아니라 100개의 톱니바퀴가 있다 치면 1번째 톱니바퀴가 가장 돌리기 힘든 안쪽 톱니바퀴라고 하면 100번째 톱니바퀴를 돌리는건 쉽다는 뜻이죠.
@user-xo4ns3cx8o
@user-xo4ns3cx8o 3 дня назад
물 압력을 높혀 140도 이상으로 가열해 마이야르 반응 해주세용
@ejej940
@ejej940 3 дня назад
영상 잘 봤습니다. 굿즈로 만들어 주세요. 당장 사버릴라니까요..😗😗
@user-or3fn9tr2m
@user-or3fn9tr2m 3 дня назад
각 기어의 중심 좌표를 알면 기어의 최소반경과 최대 반경이 되는 위치의 벡터는 각속도를 미지수로 해서 나타낼 수 있을것 같네요. 기어를 늘릴때마다 각속도를 나타내면 기어들의 선속도를 구할 수 있을것 같습니다
@SCRAFTchannel
@SCRAFTchannel 3 дня назад
제 기어를 금속으로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역시 3D 프린터와는 달리 금속은 강도가 있어서 좋네요.
@geekblekr
@geekblekr 3 дня назад
우와 안녕하세요! SCRAFTchannel님의 신기하고 재밌는 기어 영상 정말 많이 봤습니다!😄 또 다른 발전시켜보고 싶은 기어가 있다면 저희에게 맡겨주세요! 긱블이 해드립니다😉
@Cho_Seung_woo
@Cho_Seung_woo 3 дня назад
나모 잭키 나오니깐 예전으로 돌아간 느낌 ❤
@user-ky5gh8ql3p
@user-ky5gh8ql3p 3 дня назад
자동차엔진과 티타늄합금 혹은 카본 으로만들면 어디까지갈수있을까요?
@user-nf9sd5kn6x
@user-nf9sd5kn6x 3 дня назад
제일 궁금한거는 그럼 마지막 기어에 가속도로 맞으면 얼마나 쎌까요? 마지막에 전해지는 힘이 궁금합니다
@user-qq6oh3qc3x
@user-qq6oh3qc3x 2 дня назад
기어의 바깥쪽이 다음 기어의 안쪽을 밀어주면서 각속도가 점점 빨라져서 그런 것입니다. 기어의 가장 짧은 반경을 r, 직선 부분을 a라고 하고, 첫 번째 기어의 각속도를 w라고 할 때, 첫 번째 기어의 가장 바깥쪽 선속도는 (r+a)w입니다. 이 선속도로 두 번째 기어의 직선부분 가장 안쪽을 밀어주기 때문에 두 번째 기어 직선부분 가장 안쪽 부분의 선속도가 (r+a)w이게 됩니다. 두 번째 기어의 각속도를 w2라고 하면, 이 선속도는 rw2 = (r+a)w이므로, w2 = (r+a)w/r가 됩니다. 이러한 관계가 모든 기어에 대해서 성립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n번째 기어의 각속도는 w_n = ((r+a)/r)^n * w 가 됩니다. 아마 위 실험에서는 a = r 이기 때문에 2^n에 비례하게끔 나온 것 같습니다.
@euphorim
@euphorim 3 дня назад
저도 수학은 잘 모르지만 이 정도의 정확한 규칙성이 있다면 굳이 머신러닝까지 안써도 기본적인 회귀분석으로도 함수를 구할 수 있을 것 같은데요? 물론 머신러닝 덕분에 비전공자도 쉽게 계산없이 회귀분석 툴을 사용할 수 있게 됐다는 의미는 있지만요. 구하신 함수 보니까 y=2^(x+1) 형태의 지수함수에 깔끔하게 들어맞는 것 같아 신기하네요 ㅋㅋ
@user-pb5vg9xt4v
@user-pb5vg9xt4v 3 дня назад
코드 봤는데 그냥 선형회귀분석 쓰신것같았습니다
@stochastics1
@stochastics1 3 дня назад
9:53 fitlm
@HSSim-ox5tq
@HSSim-ox5tq 14 часов назад
엄밀히 따지자면 회귀분석도 머신러닝에 포함됩니다
@donghokkang
@donghokkang 2 дня назад
초기 3D 프린터 제품은 이후 테스트했던것들과 처음 기어 회전 방향이 반대로 셋팅된것 같은데 이것도 영향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ho2dul2
@ho2dul2 2 дня назад
기사 보고왔습니다. 경영악화 ㅜㅜ 화이팅입니다.. 미디어팀에는 누가 누가 남으실지 ㅠㅠ
@besever8892
@besever8892 3 дня назад
혹시 카메라 프레임 기준 실제 선속도 도출이 가능할까요
@Ch_Sniper
@Ch_Sniper 3 дня назад
이론: 이렇게 하면 광속에 도달할 수 있겠네? 토크: 되겠냐? 마찰: ㄹㅇㅋㅋ
@ES-hg4wh
@ES-hg4wh 3 дня назад
+열에너지: 나 갈게~!
@user-ec7ei5xo4q
@user-ec7ei5xo4q 3 дня назад
+ 무게 : 내가 있는한 절대 안됨
@user-jh6by5ic1q
@user-jh6by5ic1q 3 дня назад
로렌츠 인자: 내말이 ㅋ
@noah1982sh
@noah1982sh 3 дня назад
소재 : 나 찾아봐라
@user-gs8pc4yh2b
@user-gs8pc4yh2b 2 дня назад
매트릭스: 사실 가능함 ㅋ 버그 만들어드림?
@Diakopi1
@Diakopi1 3 дня назад
중심에서 거리가 멀어질수록 속도가 점점 빨라지는 형태가 채찍이랑 비슷하네요 이미 음속을 돌파하는 채찍도 이론상이라면 광속에 도달이 가능할까요?
@user-ol1tn2ln6c
@user-ol1tn2ln6c 16 часов назад
기억 개수에 대한 속도의 함수가 정말 간단하게 표현되는 게 정말 신기하네요. 그런데 혹시 베어링이나 기어 사이의 마찰력까지 고려해서 기어 개수에 대한 속도의 함수를 나타낼 순 없을까요? 이론적인 속도와 실제 속도가 차이가 좀 많아 보여서요.
@shyle0719
@shyle0719 3 дня назад
잭키님 돌아와요😢 오랜만에 보니 엄청 반갑네요😊
@ky-xl6go
@ky-xl6go 3 дня назад
귀납적추론 너무 매력있당
@user-yi1cx6is1c
@user-yi1cx6is1c 3 дня назад
우리 모두는 무의식적으로 귀납적 추론을 하고 있습니다.
@asparagus11
@asparagus11 3 дня назад
안전에 유의하시는거 잊지 마시기 바랍니다!!
@user-mq3mk8uk1t
@user-mq3mk8uk1t 3 дня назад
동역학 해석하는 엔지니어인데 해석 소프트웨어에서 돌려보고 싶네요 ㅎㅎ
@심심해요
@심심해요 3 дня назад
갈퀴님도 반갑고 잭키님도 반갑네요😊😊
@BYUNGHOONCHOI-rp3hi
@BYUNGHOONCHOI-rp3hi 3 дня назад
영상 재밌게 보고 있는 data science 전공자입니다. 프레임마다 가지고 있는 기어 각도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회귀분석 하신 것 아닌가요? 왜 기계학습인지 궁금합니다! 관찰 데이터를 그냥 피팅하신게 아닌가 해서요:))
@jyoung9024
@jyoung9024 День назад
긱블을 보면서, 아 나도 해맑게 이것저것 만들고싶다! 라는 생각을 공기업 공부하면서 했었는데.. 지금은 스타트업 5년차 아주 재밌게 일하고있네요 😊
@user-fg3vl3qw3m
@user-fg3vl3qw3m 3 дня назад
보다보니까 역간 채찍이 음석돌파하는거랑 비슷해보이는데 비교해주는 영상도 만들어주실수 았나요?
@mozaraa
@mozaraa 2 дня назад
희망퇴직이라니… 형님누님들 오래가셔야함니다…😢
@user-nl5fj5li3s
@user-nl5fj5li3s 2 дня назад
메이커 1명으로 줄면 영상 많이 줄어들듯..
@JEENAGANENHANGIN1
@JEENAGANENHANGIN1 2 дня назад
잭키님 오랜만에 나오니까 좋당
@user-kk4hh3tj6h
@user-kk4hh3tj6h 3 дня назад
톱니 끝에 원형 기어를 달고 원형 기어와 발전기같은 장치를 연결하면 적은 에너지로도 더 큰 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을 까요?
@i2nu
@i2nu 3 дня назад
옛날 긱블이 돌아오는 기분이야 ㅠ 너무 좋다
@yoohoon
@yoohoon 3 дня назад
모터말고 수동으로 돌리면 안돌아가나요? 힘이랑 에너지 사용이 궁금하네요
@geekblekr
@geekblekr 3 дня назад
최홍만 선생님 아니면 못 돌릴듯용?ㅋㅋㅋ
@user-zw3mv1fx9k
@user-zw3mv1fx9k 3 дня назад
200kg모터도 날라갔는데 역도선수 데려와서하면 몸비틀면서 돌릴뜻 ㅋㅋ
@user-yd2eb9xz9u
@user-yd2eb9xz9u 3 дня назад
모멘트암을 크게해서 돌리면되죠
@WH_J
@WH_J 2 дня назад
이건 이거대로 재미난 컨텐츠가 되겠네, 작고 하찮아보이지만 아무나 못돌린다~?
@you.are.talmo.
@you.are.talmo. 3 дня назад
초전도체를 이용하면 어떨까요…? 오랜만에 긱스러운 영상 잘 봤습니다!
@user-es5yb6bl5b
@user-es5yb6bl5b 3 дня назад
원주율에 따라 기어접촉면에 비례해서 말단 속도가 빨라지는 원리에, 파동성을 적용하여 첫 기어의 작은 움직임만으로 말단기어에 큰 속도차이를 만들어 낼 수 있음, 탄성파에서 주기와 에너지는 동일하므로 수학상 계산한 영상의 속도가 나오려면 끝기어로 갈수록 더 가벼운 소재로 (플라스틱, 나무, 스티로폼 등) 바꾸는게 나았을 수 있음(영상은 동일한 금속소재로 모두 했기때문에 끝기어로 갈 수록 에너지가 손실됨) 요약은 피타고라스의 삼각 수식비율만큼 속도가 증가함
@LOVELYMYSON
@LOVELYMYSON 3 дня назад
와... 30년전 고등학생때 물리선생님께 질문했던 내용이 올라왔네요. 제가 빛보다 더 빠른거 만들 수 있다고 얘기했더니, 마찰과 저항 등으로 불가능하다고 답하셨던게 기억납니다... 옛추억이 새록새록... 마찰, 저항을 최대한 줄여서 최대한 효율적으로 만들면 어느정도 속도까지 도달할 수 있을지는 궁금하긴했는데....
@user-zw3mv1fx9k
@user-zw3mv1fx9k 3 дня назад
아무래도 모터가 못버틸꺼같음 나중엔 자동차모터가져다가 와서 돌려도 한개 더추가하면 선박모터까지 가지고와도 안될정도로 부하가 심하게걸릴듯 부하가 심해서 나중엔 기어가 박살날꺼같고
@KimCoder_
@KimCoder_ 3 дня назад
죽은 모터에게 애도를....
@bennyspapa9510
@bennyspapa9510 3 дня назад
댓글들이 이미 물리적 상식에서 벗어난 온갖 억측들이 넘쳐나네요 일단 물리학엔 에너지 보존의 법칙이라는게 있습니다 이 장치가 기어비를 이용해 속도를 엄청나긴 증폭시키는 장치인건 맞긴하지만 결국 운동에너지 자체는 모터가 만들어내는 에너지 이므로 모터가 낼수 있는 에너지를 초월한 파워로 뭘 할수 없습니다 그러니까 댓글에서 저 기어가 총알보다 빠르게 날아와서 심장을 뚫느니 뭐니하는데 그 에너지는 조상님이 빌려주나요? 에너지 손실이 전혀 없이 백퍼센트의 효율로 저 기어를 날리는 장치라고 가정하고 저 기어가 사람을 향해 날아온다고 해봤자 그냥 모터에서 던지는 에너지 밖에 안나옵니다 물론 조금 찰과상정도는 가능하겠지만 그 이상은 불가능합니다 비슷한 이유로 뭐 모터를 바꾸고 엔진으로 바꾸고 실험해 달라 이런 소리들 넘쳐 나는데 그래봤자 결과는 동일합니다 기껏해야 그다음 기어나 그 다음다음 기어에서 똑같은 모양으로 멈추고 끝납니다 당연히 영상각이 안나오니까 안만들겠죠
@user-ho9wc2mh6x
@user-ho9wc2mh6x 3 дня назад
ㄹㅇ 이런 과학 채널일수록 똑똑한척 하는 모지리들 많음 ㅋㅋ
@d악질
@d악질 3 дня назад
아하! 그렇겠네
@user-bh2vo5ms8y
@user-bh2vo5ms8y 3 дня назад
에너지 파
@chickenman8940
@chickenman8940 3 дня назад
아뇨 모터에너지 + 위치에너지에 의해 가능합니다.
@user-cj6ce8ve1e
@user-cj6ce8ve1e 3 дня назад
닥터스트레인지는 가능한대요?
@ENDGAME-sr6ce
@ENDGAME-sr6ce 3 дня назад
요즘 핫한 무한동력 중에 스프링 과 큰 회전 축을 이용한 무한 회전동력에 대해서 검증해 주세요~
@user-zo4vf3tn2e
@user-zo4vf3tn2e 3 дня назад
핒의솤도로 움직이려면 빛의속도의 에너지가 필요하겠죠.. 고립계에서의 에너지 총량은 일정하다!
@user-wl7je9hp7q
@user-wl7je9hp7q 3 дня назад
2024년에도 보는사람??
@geekblekr
@geekblekr 3 дня назад
😮
@user-wi1pg9lc5b
@user-wi1pg9lc5b 3 дня назад
1시간전에 나온 영상인데 무슨말씀이신지
@LightDouble
@LightDouble 3 дня назад
이드립좀그만쳐 재미없어영상마다이러고있네
@user-dd7vs5yy8t
@user-dd7vs5yy8t 3 дня назад
2024년에 나왔잖아요 ㅋㅋ
@yuno3384
@yuno3384 3 дня назад
고신
@user-cx7iv1ym8e
@user-cx7iv1ym8e 3 дня назад
오 샤워하고 시간 좀(+4분) 지나니깐 스트리밍 종료됐다!
@mawu.1819
@mawu.1819 3 дня назад
기어의 각진 부분끼리 돌면서 기어가 그 다음 기어를 튕기게 되는데, 그 다음 기어에 가해지는 에너지는 각진 부분으로 튕겨지는 에너지와 튕겨지기 전에 기어가 돌아가던 에너지입니다. 각진 부분이 더 길어질수록 같은 기어 개수라도 속도는 기하급수적으로 올라가게 됩니다. 또 기어 중 하나라도 각진 부분이 서로 맞물리지 않으면 그 기어의 속도는 전 기어의 속도와 같게 돌아갑니다. 그래서 처음을 보면 기어의 단수가 증가할수록 맞물려 있는 톱니가 각진 부분으로 옮겨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쉽게 생각하면 작은 판이 조금씩 큰 판을 밀면서 나중에는 처음 판보다 엄청 큰 판을 쓰러뜨리는 것과 비슷한 원리입니다.
@GOMGOM.I
@GOMGOM.I 3 дня назад
2:30 의 베어링과 축이 안맞는 부분은, 홀 치수와 축 치수의 차이 때문입니다. 베어링에 들어갈 축은 정확한 치수로 가공해서 프레스로 끼우거나, 그게 아니라면 -공차를 적용해서 가공해야 합니다 :)
@xiorigin
@xiorigin 3 дня назад
가장 짧은 반지름과 가장 긴부분의 반지름의 비율을 밑으로 하는 지수함수 입니다.
@xiorigin
@xiorigin 3 дня назад
설명도 필요할것 같아서... 가장 빠른 속도에 도달하는 순간은 첫번째기어의 중심에서 먼부분과 두번째 기어의 중심에서 가까운 부분이 서로 맞물려 있을때 순간적으로 최대 기어비가 나오며, 그 때 첫번째 기어는 중심에서 가장 멀리있는 톱니까지의 거리가 반지름인 기어로 간주할 수 있고, 반대로 두번째 기어는 중심에서 가장 가까운 톱니까지의 거리를 반지름으로 하는 기어로 간주할 수 있습니다. 이때 기어비는 두 반지름의 비율입니다. 그러므로 속도는 기어가 늘어날때마다 기어비의 지수로 증가합니다.
@user-vu7ie1lb5s
@user-vu7ie1lb5s 3 дня назад
존잼 공돌이 NPC 잭키 모먼트 ㅋㅋㅋ 0:53 인간버니어 등장 1:28 기어는 감성이다 2:27 중국산 나사 판별기
@user-ir8mq7mo5j
@user-ir8mq7mo5j 3 дня назад
기어자전거 뒷기어 여러개만으로 사용해 첫기어 1단과 다음 기어 5단과 물리게하는 식으로 계속 연결하면 사람의 힘으로 마지막 기어의 속도를 얼마까지 낼수있을까요?
@ancdex
@ancdex День назад
아마 기어 하나당 추가 될 때 마다 회전 운동에너지를 계산해 보면 모터의 부하가 늘어나는 수식도 나올 겁니다 그리고 속도가 광속의 10%정도만 초과해도 특수 상대론으로 속도를 계산해야 겠죠 그러면 2^n 형태의 수식과 달라질것 같습니다 물론 에너지도… 기어 수가 34개 쯤에 광속을 초과하는 것은 아마도 낮은 속도에서 추론 했기 때문에 뉴턴역학적 수식일겁니다
@cherryjuns7764
@cherryjuns7764 3 дня назад
이런건 모터 직결보단 벨트와풀리로 클러치를 만들어서 완충해줘야
@BearzH
@BearzH 3 дня назад
축이 부러질정도의 토크인디 슬립을 어찌감당할라고..
@ddrrnt1
@ddrrnt1 3 дня назад
@@BearzH 키야아아아~~~ 대애애애단한 물리학 박사님 나오셔따~!!!!
@user-uc5bh1my5u
@user-uc5bh1my5u 3 дня назад
@@ddrrnt1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ki8eb3zo5b
@user-ki8eb3zo5b 3 дня назад
@@BearzH비유우우우우웅친
@ss-dp9rn
@ss-dp9rn 3 дня назад
대댓이 뭐 잘못함? 왜 일차적으로 까내리는지 모르겠네
@TheEditLUV
@TheEditLUV 3 дня назад
보는내내 기어가 날라가서 다치실까봐 걱정 했네요 기어가 많이 늘어났을때 저딴 보호구도 도움이 안될텐데… ㄷㄷ
@user-cw5dm9on9z
@user-cw5dm9on9z 2 дня назад
맞아요. 마지막으로 갈수록 에너지는 커져 몸을 관통할수도 있을거 같아요.
@YEO5191
@YEO5191 3 дня назад
각 기어에 대해서 걸리는 부하가 몇 kg나 되는지도 알면 좋을 것 같네요 너무 재밌는 실험 잘봤습니다 ㅎ
@user-vy8lc9yk2y
@user-vy8lc9yk2y 4 часа назад
기계 공학은 잘 모르는데.. 서로 맞물리는 두 기어비(?)와 두 기어의 각속도가 비례하니, 모든 쌍의 기어비가 동일하게 설정되어있다면 마지막 기어의 각속도=첫기어의 각속도*기어비^(전체 기어 수 - 1) 가 되겠네요. 귀납적으로 유도하신 수식이랑 형태가 비슷한듯요. 여기서 궁금한점은 저런 불안정한 형태의 기어를 이용하기보다 더 안정적으로 기어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크기의 기어를 16개 까지 줄지어서 이어놓고 비슷한 실험을 하면 어디까지 속도가 올라갈 수 있을까요? 광속 얘기를 해서 궁금하네요… 공급되는 파워 자체는 동일할 것으로 보이나 구조가 더 안정적이고 큰 전력을 받아 줄 수 있을 것 같아 궁금하네요
@user-jm8kd5tv8h
@user-jm8kd5tv8h 3 дня назад
이런 우연이 있네요. 저도 지금 비슷한걸 만들고 있는데. 저는 타원형 기어를 연결해서 속도를 높이는걸 하고 있습니다. 원리는 여기서 실험한것과 같습니다. 한달정도면 완성이 될것 같은데..... 완성되면 저도 자랑 한번 해도 될런지요......
@geekblekr
@geekblekr 3 дня назад
오 그럼요!! 인스타 @geeble.galque로 자랑 ㄱㄱ
@1228ksh
@1228ksh 3 дня назад
태태님 광속이 너무 궁금합니다.. 독일산 모터 사주세요오오오
@Theory_of_Relativity
@Theory_of_Relativity 3 дня назад
어차피 도달을 못하죠 모터가 그 전에 죽을게 뻔한데
@user-sh7iw8op1l
@user-sh7iw8op1l 3 дня назад
이론상으로도 사실 광속은 무조건 안돼죠 ㅋㅋㅋ 질량을 가진 물체는 광속으로 못가는데
@RSCBGM
@RSCBGM 3 дня назад
독일산 모터를 쓰면 기계가 박살나던지, 모터가 박살나던지 둘중 하나입니다.
@say_annyeong
@say_annyeong 3 дня назад
베어링이 중국산이라 베어링이 죽습니다
@1228ksh
@1228ksh 3 дня назад
형들... T야..?
@teensprits619
@teensprits619 День назад
와.. 신기하고 재밌게 봤습니다~
@dqkor3405
@dqkor3405 3 дня назад
직관적으로 보았을때, 각속도가 일정한 상황에서 반지름의 급격한 변화가 속도 변화를 만들어내고 있는 것으로 보임. 자전거 기어와 동일한 원리로 톱니바퀴의 짧은 반지름이 2cm, 큰 반지름이 4cm라고 가정할 때, 톱니가 맞물리는 지점을 기준으로 첫번째 톱니바퀴가 2cm에서 4cm로 바뀌고 2번째 톱니바퀴는 4cm에서 2cm로 바뀌는 톱니에서 첫번째 톱니바퀴의 1/2속도로 돌던 두번째 톱니바퀴는 톱니 하나의 변화동안 기존의 4배 속도로 변속 함(첫번째 톱니바퀴의 반지름의 4배가 되므로). 이후 첫번째 톱니바퀴의 반지름이 증가하고 두번째 톱니바퀴의 반지름이 감소하면서 두번째 바퀴의 속도가 감소함. 따라서 톱니바퀴 개수 증가에 따른 최대 순간 속도 변화는 ((큰 반지름)/(짧은 반지름))^2로 보이네요. 하지만, 두번째 톱니바퀴가 최대 속도에서 세번째 톱니바퀴가 변속하는 것이 아니고 두번째 톱니바퀴가 감속을 시작한 뒤 세번째 톱니바퀴의 변속시기가 찾아오기 때문에 해당 부분을 고려하면 n번째 톱니바퀴의 회전 속도변화는 (((큰 반지름)/(짧은 반지름))^2)^(n-1)보다는 작을 것입니다. 만일 톱니바퀴가 변속하는 지점이 일정하다면 n번째 바퀴의 최대 회전 속도는 첫번째 톱니바퀴의 각속도가 일정하다는 가정 하에 (첫번째 톱니바퀴의 각속도)(((큰 반지름)/(짧은 반지름))^2)(((α(큰 반지름)/(짧은 반지름))^2)^(n-2))일 것 같네요. 제가 공학전공이 아니라 수학이랑 안친해서 표현이 맞나 모르겠지만 직관적으로 보았을때는 이렇게 이해됩니다.
@dqkor3405
@dqkor3405 3 дня назад
그냥 자전거 기어를 1단에서 27단으로 한번에 올렸다가 천천히 내리는 것고 다름없어보입니다.(앞기어는 반지름이 줄어들고 뒷기어는 반지름이 커지고) 그라데이션 있는 자전거 기어?😅
@user-bm2xk6cj9m
@user-bm2xk6cj9m 3 дня назад
보호장비없이 돌리는거 왜케 위험해보이냐,,
@user-up9ed6po4k
@user-up9ed6po4k 3 дня назад
나모 잭키가 진짜 ㄹㅈㄷ 조합 ㅠㅜㅠㅜㅠㅜ
@JH-nv1bo
@JH-nv1bo 3 дня назад
거꾸로 맨 끝에 있는걸 돌리면 첫 기어는 엄청 천천히 돌아가나요?
@manchala6009
@manchala6009 2 дня назад
실험할때 너무 위험한거 아닌가 조마조마했어요 진짜 재밌게 봤습니다 김범준 교수님하고 콜라보 한번 해주세요~
@MaerongYeeya
@MaerongYeeya 2 дня назад
죄다 퇴사하면 채널 굴러갈 수는 있겠나
@user-rg3nd4vc7m
@user-rg3nd4vc7m День назад
무슨말,?
@AsemOfficial
@AsemOfficial День назад
어디서 심성꼬인 피해망상 역갑질러 노조냄새 안나요? 흠.. 착각인가?
@mungch629
@mungch629 День назад
이건 뭔 당연한 소리냐 ㅋㅋ
@user-vl5oz8ry7b
@user-vl5oz8ry7b День назад
고딩애들 취업한거 다퇴사한거말한듯
@DD_DD_DD
@DD_DD_DD 21 час назад
​@@user-vl5oz8ry7b아님 50명 직원에서 36명 구조조정함...
@b1n7777
@b1n7777 3 дня назад
우와!!!
@MJKim_
@MJKim_ 3 дня назад
지나가던 기계공학 박사인데 기어 모양이 참 재밌네요.. 참고로 모터에 부하가 걸리면 rpm이 느려져서 원하는 결과는 안나온다고 보시면 돼요.
@uuusi-7349-gk
@uuusi-7349-gk 3 дня назад
태어나서 저렇게 한번에 빠르게 가속하는 기어 조합은 처음봅니다 구독했어요.. 굉장히 흥미롭고 재미있어요... 잘 응용하면... 가속하는 부분에서 사용할수있는 기술같네요 실제로 쓰이고 있을까요? 마지막에 기어가 복귀하지 않는건... 각 기어에 이빨 하나씩 늘어나거나 줄어들면.. 가능할까요?
@user-il7jo5hr3c
@user-il7jo5hr3c 3 дня назад
눈깜박기어의 단축과 장축의 비가 1:2라고 가정하고(대충 그정도로 보입니다) 기어의 갯수는 총 16개 그러면 회전을 시작할때는 작은기어와 큰기어가 물려 천천히 1/2의 회전 속도로 각각의 기어가 감속 되며 돌아감 최종기어는1/2^16의 기어비를 즉 1/65536의 배속의 느린 속도를 가짐 말기에는 반대로 큰기어와 작은기어가 물려 각각 2배속 함으로 최종기어는 65536배의 속도를 가지게됨 그래서 눈깜박 할새에 기어가 돌아가는것 각 기어에 들어 가는 힘 역시 속도와 마찬가지의 비를 가짐으로 모터랑 기어박스가 부서지는건 당연 한것
@user-gz2qc1fm5b
@user-gz2qc1fm5b 3 дня назад
놓친것: 엄청나게 빠른 속도를 다루면서, 심장에 기어가 표창처럼 박힐 시나리오를 생각하지 않음. 완전불감증 ㅠㅠ
@SSG_bbak
@SSG_bbak 3 дня назад
ㅋㅋㅋㅋㅋ표창 이지@랄 그와중에 완전불감증은ㅋㅋㅋㅋㅋ 넌 걍 유투브 꺼라
@SSG_bbak
@SSG_bbak 3 дня назад
국어부터 다시배워라
@user-gz2qc1fm5b
@user-gz2qc1fm5b 3 дня назад
@@SSG_bbak 찐
@IGISA
@IGISA 3 дня назад
​@@user-gz2qc1fm5b찐
@user-bh7ob5ei5t
@user-bh7ob5ei5t 3 дня назад
안전불감증임
@TV-kr2gy
@TV-kr2gy День назад
07:15 지나가는 안전관리자입니다, 회전체에 가까이 가실때는 방호장치나 방호구 특히 보안경은 착용바랍니다
@user-nh5lg8ox1p
@user-nh5lg8ox1p 3 дня назад
지금 만드신걸 모터는 그대로 하되 기어와 판을 엄청 작게 하고 훨신 더 경도가 높은걸로 하면 어떻게 되나요? 19개보다 더 많이 돌아갈까요?? 😮😮
@user-pw9rl7ui9u
@user-pw9rl7ui9u 3 дня назад
혹시 긱블에 숨숨님 퇴사하셨나요
@sibal_coin
@sibal_coin 3 дня назад
저도 궁금 안보이심
@dongdong_youtube
@dongdong_youtube 3 дня назад
@user-pw9rl7ui9u
@user-pw9rl7ui9u 3 дня назад
@@dongdong_youtube 헐..........팩트인가요
@_Lux916
@_Lux916 3 дня назад
오............
@jasonk1007
@jasonk1007 3 дня назад
오래 봅시다 안전제일!
Далее
세상의 모든 핵폭탄을 동시에 터뜨리면?
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