Тёмный

자원이 차고 넘치는 아프리카가 가난할 수밖에 없는 이유ㅣ역사를 보다 EP.25 

보다 BODA
Подписаться 1,9 млн
Просмотров 912 тыс.
50% 1

오늘은 허준님과 중동학자 박현도 교수님, 이집트 고고학자 곽민수 소장님, 유라시아 고고학자 강인욱 교수님, 프랑스사 임승휘 교수님을 모시고 역사학자들의 꿈의 장소와 자원 천국 아프리카가 가난한 이유에 대한 이야기를 나눠봤습니다.
00:00 오프닝
01:09 역사학자들이 발견하고 싶은 꿈의 장소&인물
07:35 서로 보기만 해도 싫은 앙숙관계인 국가들
17:43 자원 많은 아프리카가 가난한 이유
28:00 아프리카의 눈부신 문명
31:03 역사 연구와 약탈이 종이 한 장 차이인 이유
📖 강인욱 교수님의 저서
[세상 모든 것의 기원]
교보문고 - product.kyobobook.co.kr/detai...
yes24 - www.yes24.com/Product/Goods/1...
알라딘 - www.aladin.co.kr/shop/wproduc...
📖 박현도 교수님의 저서
[이슬람교를 위한 변명]
product.kyobobook.co.kr/detai...
궁금하신 부분들을 댓글에 달아주세요!
저희가 확인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출연 및 제휴 문의 : boooda.kr@gmail.com
BODA 인스타 : / boda_channel
#보다#역사를보다#아프리카

Развлечения

Опубликовано:

 

25 июн 2024

Поделиться:

Ссылка:

Скачать:

Готовим ссылку...

Добавить в:

Мой плейлист
Посмотреть позже
Комментарии : 941   
@JJ-ff1ne
@JJ-ff1ne 2 месяца назад
역사를 얘기하는 사람들이 조심해야할것은 지금의 관념과 잣대로 역사를 얘기하면 안된다
@KateKim-rn3lh
@KateKim-rn3lh 2 месяца назад
넘나 유익하네요 열심히 공부하고 연구한 교수님들 덕분이에요 캄사~
@user-lm4yt4ux8d
@user-lm4yt4ux8d 2 месяца назад
오늘은 내용이 진짜 집중력을 확 끌어당기네요
@g04jee
@g04jee 2 месяца назад
ㄹㅇ 저도 이말 쓰려 했는데 있었네요 ㅋ
@anthony_kim_k
@anthony_kim_k 2 месяца назад
강인욱 교수님과 임승휘 교수님의 의견이 달라도 적당히 말씀하사는게 정말 감사하네요.
@user-yi4cm4di3t
@user-yi4cm4di3t 2 месяца назад
너무너무 잼 있어요......자주 해주세요...
@SWAAG14
@SWAAG14 2 месяца назад
매주 일요일이 기다려지는 이유. 유튜브에 영상들 정말 많지만, 그중 제일 좋아하는 콘텐츠! 오늘도 개뀰잼;;;;;
@user-pr1pm3ox3g
@user-pr1pm3ox3g 2 месяца назад
오늘 영상은 정말 최곱니다!
@TV-iy9qn
@TV-iy9qn Месяц назад
교리 이후의 행동도 같은가요? 이런게 무서운거예요. 이슬람교의 성전이 어떤거가요? 교리라른 건 다 이상적인거지요.. 제발 현실도 봐가면서 교리도 얘기해주세요. 이슬람가 전 세계에서 일으키는 혼란을 알아주세요. 이슬람교가 자신의 땅에서 일어난 전쟁은 그냥 그 땅에서 해결하세요...제발요.😊
@yeonna2005
@yeonna2005 2 месяца назад
역사를 보다 일주일에 두번 1시간씩 해주세요.
@wookiki_89
@wookiki_89 2 месяца назад
옳소!!!
@user-pw3nq7rj4d
@user-pw3nq7rj4d Месяц назад
황소!!!
@user-mn4hi2sf6q
@user-mn4hi2sf6q Месяц назад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BEST-ku4ro
@BEST-ku4ro 2 месяца назад
이번편 너무 좋다
@user-vl8hk8rb9t
@user-vl8hk8rb9t 2 месяца назад
정말 유익하고 재미있는 시간 이었어요^^
@hsg9934
@hsg9934 2 месяца назад
루브르 박물관이 장물 전시장이라는 말이 정말 와 닿네요. 이탈리아 토리노에 있는 6층짜리 이집트 박물관에 간적이 있는데 얘네도 이렇게 도둑질을 많이 했었나 하는 생각을 했었거든요. 너무 많아서 그 큰 박물관에 충분한 자리도 없는 듯한 인상을 받았는데 정말 씁쓸하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언제나 처럼 오늘도 너무나 재밌었습니다. 임승휘 교수님이 오신뒤로 이야기가 훨씬 풍성해지고 있는것 같아요. 항상 감사합니다 :)
@200223101
@200223101 2 месяца назад
인류 역사적으로 승전국이 전리품 챙기는건 어느 문명 어느 시대나 다 있던거고 그 자체로도 역사인건데 ㅋㅋㅋ
@vecsvecs2572
@vecsvecs2572 2 месяца назад
항상 이런소리 나올때마다 웃긴게 그럼 언제부터는 역사고 언제부터는 수탈 약탈이에요? 한국인도 따지고 보면 북방계 민족이 남방계를 밀어내고 한반도 차지한거 아닌가요? 그럼 한국인들은 죄다 잘 살던 원주민들 침략해서 땅 빼앗은 침략자들의 후손들이네요 내가 약자였기때문에 강자였던 쟤들은 무조건 악이야 라고 생각하는것 같아서 좀 별로네요
@janjanjan6690
@janjanjan6690 2 месяца назад
@@vecsvecs2572속시원
@jhshin9413
@jhshin9413 2 месяца назад
이탈리아는 무솔리니시절 에디오피아 침략해서 문화재 약탈. 에디오피아에 오벨리스크 1개만 반환했습니다. 고조선은 북방만족 위만이 귀순을 받아들인 준왕을 살해하고 나라를 빼앗았습니다. 영국은 켈트족이 영국 원주민을 토벌하고 땅을 빼앗고 나중에 앵글로족이 켈트족 토벌. 그뒤에 데인족이 잉글랜드 침략.
@info_biz828
@info_biz828 2 месяца назад
@@vecsvecs2572 현대사와 관련이 있어서죠? 책으로만 읽고 배우는 역사가 아니라, 가해자와 피해자가 얼마전 까지도 살아 있었던 역사여서 그렇습니다.
@coreykim4208
@coreykim4208 2 месяца назад
크으... 역사에 대해 진짜 너무너무 배우는게 많은 채널~
@t_y_p397
@t_y_p397 2 месяца назад
아니.. 어떻게 이렇게 막힘이 없고;;; 유식하고 언변도 유창고상하고 그러면서 전달력도 좋은 사람들만 모여있죠?;; 제가 황금같은 휴일에 역사이야기를 이렇게 정신없이 재밌게 봤다는게 말이 됩니까;;;
@Quidam12
@Quidam12 2 месяца назад
오늘 내용도 굉장히 밀도가 있네요 허준님의 정리, 맥락을 지으시는 것도 굉장히 유용했습니다
@TheHueann
@TheHueann 2 месяца назад
인정. 이번 편은 허준이 알기 쉽게 포인트 집어서 잘 정리 해줬음
@joon_game0210
@joon_game0210 Месяц назад
12:36 12:50
@jeamincho
@jeamincho 2 месяца назад
저 패널 네 분, 와우우~~~ 막힘없는 전문가들의 전문 지식을 듣다보니 40분이 4분처럼 훌쩍 지나버리네... 다섯 분께 경의를 표합니다. 고맙습니다. 꾸벅~
@Kdmin1604
@Kdmin1604 2 месяца назад
이번편 정말 흥미롭네요 ㅋㅋ
@Cat.bonggu
@Cat.bonggu 2 месяца назад
영상 감사합니다😮❤
@jeunsinchiwoo
@jeunsinchiwoo 2 месяца назад
2016년 초에 블라디보스토크를 패키지로 가족과 다녀왔는데 가이드님이 어느 절벽위로 안내하고 절벽아래쪽 평지를 발해왕궁터라고 소개를 했는데 터를 바라보는 절벽위에는 보드카병이며 음식쓰레기들이 엄청난걸보고 서글픔을 느낀적이 있었는데 이젠 바라만 보는것도 힘든 세상이 되어버렸네요..😢😢😢
@zoelee4284
@zoelee4284 2 месяца назад
@user-fs2tz5dj5k
@user-fs2tz5dj5k Месяц назад
이런 역사이야기 너무 유익하고 좋아요 벌거벗은 세계사에서 자주 뵙는 임승휘 교수님♡박현도 교수님♡ 그외 역사 교수님들♡앞으로도 다양한 역사 이야기 많이 들려주세요^^
@Go__for__it
@Go__for__it Месяц назад
정말 재밌어요!! 시간 금방 가네..
@fprpvjaj
@fprpvjaj Месяц назад
강인욱 교수님께 항상 많은 지식과 정보 배우고 가는 사람으로서 늘 감사드립니다 !! 목소리도 너무 좋으셔ㅠ😭
@googlehi7691
@googlehi7691 2 месяца назад
진짜 여기 진행자+패널분들 조합 너무 좋음 뭔가 이집트 중동 유럽 등등 다양해서 서로 의견이 다르신것도 흥미진진하고 진짜로 생각지도 못한 얘기 많이 듣고감
@user-qo4np7tz5k
@user-qo4np7tz5k 2 месяца назад
재밌네요. 많이 듣고 싶었던 내용입니다.
@yoon239
@yoon239 2 месяца назад
여기나오시는 교수님들 너무 좋아요 벌거벗은 세계사에서도 이해 쏙쏙되게 강연해주시는거 너무 좋았는데 이분들이 다같이 모여서 말씀해주시니 너무 좋아요!!
@user-ix2qe6sc6f
@user-ix2qe6sc6f 2 месяца назад
원래는 과학을 보다만 봤는데 요즘은 역사를 보다를 더 많이 봐요~ 너무 재미있어요~
@Gabnam
@Gabnam 2 дня назад
아니 어쩜 이리도 참석하신분들이 해박하기가 놀라울 정도입니다 너무나 든든하신 선생님들 이세요 이런분들께 우리 젊은 학생들이 배우고 그러다보면 노벨상 수상자도 나올것 같습니다 아주 잘들었습니다 ^^
@jiniseo
@jiniseo 2 месяца назад
진짜..한 시간은 보여 주세요~집중 해서 보다 보면 금방 끝나니까요..😂 임승휘 교수님 펌 잘 어울리십니다~ 멋쟁이 네 분 교수님들과 허준 mc님 너무 좋아요~~d^❤^b
@user-co8dq2ku6g
@user-co8dq2ku6g 2 месяца назад
오늘 또 하나 배웠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ye7co2pq5m
@user-ye7co2pq5m 2 месяца назад
다음에 한번 과학을 보다 맴버 분들이랑 역사를 보다 맴버분들이랑 다같이 모여서 “세상"을 보다 컨테츠 해주실날을 기원합니다
@claire9821
@claire9821 16 часов назад
근래에 본 영상 중 가장 재밌고 흥미로웠어요!!
@user-mm5cs7li7c
@user-mm5cs7li7c 2 месяца назад
역사,과학 컨텐츠 좋아요~
@user-vn9gv4ku2t
@user-vn9gv4ku2t 2 месяца назад
교수님들 순수한 열정도 느껴지고..참...
@user-ku4vd5zv9v
@user-ku4vd5zv9v 2 месяца назад
20세기에 들어 프랑스가 영국을 식민지배했다, 비유가 찰지네요.
@KINGofRUTABIS
@KINGofRUTABIS Месяц назад
너무 흥미로운 주제에요!
@e_shinning
@e_shinning 2 месяца назад
재미 있어요!
@ryusu
@ryusu Месяц назад
감사히 봤습니다! 외계인 설이 백인우월주의 사상이라는 것 짚어주셔서 좋았어요
@nanyoungkim444
@nanyoungkim444 2 месяца назад
감사합니다
@user-ue8ld1lx6c
@user-ue8ld1lx6c Месяц назад
좋은 컨텐츠 감사합니닷!
@ji_hyeon_9772
@ji_hyeon_9772 2 месяца назад
너무 재밌네요 ㅋㅋㅋ
@arch9475
@arch9475 2 месяца назад
오늘도 자주국방 !!!!!
@benjamink8473
@benjamink8473 2 месяца назад
서양식 사고주의와 역사관에서 벗어난 이야기 재밌네요 외계문명설이 서양우월주의가 깔려있었다는게 충격이네요 원래 세계사는 이렇게 배워야 하는건데 말입니다 좋은 지식 정말 감사합니다 다음시간 기대하겠습니다
@user-eg8li6kz6o
@user-eg8li6kz6o 2 месяца назад
허준 죠아 센스있어요 토크멘터리 감초 살 빠지셨네요~~
@ThePoemath
@ThePoemath 2 месяца назад
이번 편은 특히 알차네요
@shlee8441
@shlee8441 2 месяца назад
역사를 보다 기다렸어요 ㅠㅠ
@hurst110
@hurst110 2 месяца назад
일단 자원이 인구나 면적에 비해 그다지 풍부하지않음.. .아프리카는 나라가 아니라 대륙임. 그리고 자원으로 부국이 되는건 석유 밖에 없음. 기타 자원으로는 선진국이 되는 경우가 전무함.. 석유로 잘사는 나라는 중동국가인데 UAE 쿠웨이트 카타르 바레인 처럼 소국이 아닌이상 잘살지 못함.. 사우디도 평균소득은 한국보다 낮음. 그이유는 왕정체제 부족주의 때문임.. 석유가 국가도 아닌 왕실 소유인데 근본도 없는 추장들이 영국 앞잡이 노릇으로 덜컥 왕이 되었기 때문에 항상 이슬람 과격분자들 혁명(이란처럼)에 두려워하고 그대로 통치체제를 유지하고 민주화나 사회개혁을 거부함. 아프리카는 절반정도가 사막이며 특히 사하라 사막지역은 척박하기 그지 없으나 이슬람 종특으로 출산율이 6.0이 넘는 국가가 수두룩함.. 인구증가율이 1.0%가 넘으면 경제성장이 불가능한걸로 보나 이들은 이 수치를 훌쩍 뛰어넘음 (ex 이집트는 1950년 인구 2천만에서 현재 1억 1천400만 인구증가율 연평균 2% 이상임). 높은 출산율과 더불에 교육에 관심 없음.. 조혼으로 야스하고 뒤질때까지 새끼까는게 대부분. 얘네들이 일부다처제라 결혼할 가망도 없고 재산도 없고 교육도 못받아서 유럽에 밀항해서 갱단이나 범죄자 되는게 꿈임.. 민주화나 산업화에 필요한 교육도 없을 뿐더러 의식이 부족사회임. 예를 들어 조나단의 나라 콩고에는 부족이 700개임 그중에 인구 많거나 힘쎈 부족이 평정하면 그나마 나으나 수백개 부족이 삼국지 찍듯이 갈라먹어 너죽고 나죽자 내전이 일상... 평화로워봤자 샘 572 나라 가나처럼 최대부족 추장이 대통령, 세컨드 부족 추장이 총리 써드부족 추장이 국방장관 이런식으로 대대로 세습함.. 미국 오바마 대통령 아버지가 33세에 교통부 장관인가 했는데 이양반이 케냐에서 꽤큰 부족 추장 장남임.. 추장 아내가 70명에 아들이 100명 넘었다고... 결론 천연자원은 그닥 도움되는것도 없고 인적자원이 0에 가까움.
@hyunheekim368
@hyunheekim368 2 месяца назад
헛~~!! 너무너무 재미 있어요. 몰랐던 사실도 배울수 있었고요
@user-sb2cq1nl4s
@user-sb2cq1nl4s 2 месяца назад
정말 대단합니다 대단히 많이 배ㅐ웁니다 유럽중심의시각
@litis_15
@litis_15 2 месяца назад
강인욱 교수님 목소리 오디오북 하나 내주셨으면..😢
@jerrykw3839
@jerrykw3839 Месяц назад
마지막에 좋은이야기 중요한 이야기 하셨네요.😢 자주국방! 이게 가장 중요하죠. 힘이 없으면 나쁜 나라들에게 휘둘리고 발전이 없고 그래서 못사는게 아닌가 하는 느낌😢 과거 한국이 힘이 없었기에 침략당하고 약탈당했는데.. 뼈 아픔. 자주 국방이 중요함
@user-ht6uv7ov4f
@user-ht6uv7ov4f 2 месяца назад
역시 역사는 재밌어~❤
@Iamddongim
@Iamddongim 2 месяца назад
역사를 보다만 기다려요 항상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RisingsunflagEqualsHakenkreuz
@RisingsunflagEqualsHakenkreuz 2 месяца назад
지식인분들의 많은 이야기가 몰랐던 이야기도 많고 보는 재미가 있습니다 ~
@jaysonlim6777
@jaysonlim6777 2 месяца назад
오늘도 재미있게 보았습니다. 마지막.. 우스개소리였지만 자주국방.... 역사가 승자의 기록이고 힘의 논리로 적혀지는것이기에 힘이없으면 역사도 없어지거나 사라지는것이라는 ..................
@ohoo1984
@ohoo1984 2 месяца назад
허준님 정리 잘 해주시네요.
@donghyunoh7592
@donghyunoh7592 2 месяца назад
참 훌륭한 영상이다.
@oh4771
@oh4771 2 месяца назад
이번편은 그동안 생각하지 못했던 부분이네... 버티고 버텨서 이렇게 되었다니...
@LBY0210
@LBY0210 2 месяца назад
이 시간만 기다렸다 ㅋㅋ
@user-vs4ou6oz5o
@user-vs4ou6oz5o 2 месяца назад
아 나두~
@user-lq8mk5bc4r
@user-lq8mk5bc4r 2 месяца назад
대영, 루브르 대부분이 도굴품인데 박물관 순위에서 빼야하는게 아닌가 싶긴 함….
@user-ud3bm7zq7l
@user-ud3bm7zq7l 2 месяца назад
배가 고파요 해서 도와주니 나이 먹고 로맨스피싱하는 배은망덕한 종족임. 절대 도와줄 필요없음.
@btatbb7586
@btatbb7586 2 месяца назад
니가 가서 빼라
@P_mang
@P_mang 2 месяца назад
그 중에 의외로 해당 국가가 권력 유지, 자금 충당을 위해 판 것도 많음 그래서 반환이 애매한거고.. 지들이 팔았으니까
@caratacus6204
@caratacus6204 2 месяца назад
The Rosetta Stone was found in a fortress wall. British and French scholars saved it and translated the Ancient Egyptian language. You are welcome, world.
@oxg461
@oxg461 2 месяца назад
​​@@jjjj8979ㅋㅋㅋ 아주 간이고 쓸개 다 빼줄기세네 무지하니까 사대주의가 몸에 뱄네요
@user-ne9bu9re3w
@user-ne9bu9re3w 2 месяца назад
꿀잼이네요~~^^
@sunnyday563
@sunnyday563 2 месяца назад
너무 감사합니다 역사를 보는 다른 관점을 갖게 해 주시네요
@moonsu22
@moonsu22 2 месяца назад
잘때 보기 위해 남겨두겠습니다
@user-iq9wf4zp3z
@user-iq9wf4zp3z 2 месяца назад
아무래도 환경적으로 너무 하드해서 그런게 아닐까 싶은데 밀림에 날씨는 덥고 뭔가를 고찰하거나 그럴 여유가 없는. 무엇보다 교류가 잘됐던 유럽과 중국과는 달리 사하라이남의 국가들이나 아메리카대륙은 문화적교류가 거의 없고 첫번째로 접한 문명교류가 침략이었으니 발전하고 자시고 하기도전에 무너진게 아닌가싶음
@info_biz828
@info_biz828 2 месяца назад
아프리카의 경우, 농경이 가능한 지역이 절대적으로 부족합니다. 중앙집권국가의 형성과 농경이 밀접한 인과성을 가지고 있기에, 아프리카에서 중앙집권국가가 탄생하기가 어려웠던 거죠.. 북아프리카의 경우, 농경도 가능하고 다른 문명과의 접촉도 가능하기에 상호교류를 통해 문명이 발달 할 수 있었지만, 열대우림인 중앙아프리카, 열대우림 때문에 교류의 통로가 막힌 남아프리카는 오랜기간 똥안 교류 자체가 제한 될 수 밖에 없는거죠. 그 뒤는 님이 쓰신 내용 그대로 입니다.
@user-sh2tn4es8k
@user-sh2tn4es8k 2 месяца назад
영어자막도 있으면 좋을것같아요! 외국 친구랑 같이 보고싶어요 :)
@jeunehomme_jun
@jeunehomme_jun Месяц назад
와 이런 대화 너무 좋다
@vivianlee8021
@vivianlee8021 2 месяца назад
이젠 연해주 가기도 힘들고 백두산 가기도 힘들어진 사회가 되었네
@coffee7420
@coffee7420 2 месяца назад
지금도 연해주, 백두산에 갈 수 있어요. 러시아, 중국으로의 해외여행이 금지된 건 아니니까요. 러시아, 중국이 우리 국민을 억류하지도 않구요. 한 번 여행해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Jimmithie
@Jimmithie Месяц назад
원래못가잖아 언제는 또 해외여행해보는줄알겠네
@whiskeywoods5822
@whiskeywoods5822 2 месяца назад
강인욱 교수님 책 구매했습니다!!
@user-hz8mx9ds6e
@user-hz8mx9ds6e 2 месяца назад
감사합니다.
@firmtree3902
@firmtree3902 2 месяца назад
역시 쭌이형❤
@googlehi7691
@googlehi7691 2 месяца назад
와 진짜 너무너무 재미있다 ㅠㅠ!!❤❤
@tiddkdh6554
@tiddkdh6554 2 месяца назад
일요일을 기다리는 또 다른 이유 역사를 보다 ㅎㅅㅎ
@sujinkim2244
@sujinkim2244 Месяц назад
오스카 와일드는 아일랜드의 작가입니다. 😉 흥미로운 영상 잘보았습니다.
@user-lIlIlllllIIll
@user-lIlIlllllIIll 2 месяца назад
12:55 나무위키 사이드 쿠틉 항목 읽으면서 느낀건데 석유 수출로 인한 페르시아만 연안 국가들의 성장과 그로 인한 이집트 국민들의 허탈감이 이슬람 극단주의에 영향을 끼쳤다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있을정도더라고요
@user-kt7sr8kb6w
@user-kt7sr8kb6w 2 месяца назад
너무 짧아서 30분 자다가 깼네요. 최소 두시간 짜리는 해주셔야죠.
@velvetjude
@velvetjude 2 месяца назад
임승휘 교수님 계속 나오시는거 너무 좋아요!!!!!!!@!
@user-qo5xh7vk7f
@user-qo5xh7vk7f 2 месяца назад
정말 오늘 영상 최고네요..
@user-ps8ft5rd9c
@user-ps8ft5rd9c Месяц назад
케냐갔는데 날씨도 안덥고 너무좋았음. 흙도좋고. 왜 발전을못할까 그때 궁금 18:57 하긴했음 19:03
@user-xy2cb1wp5o
@user-xy2cb1wp5o 2 месяца назад
오늘 몰입력 굿이네요 요 조합 좋은 듯 합니다 굿굿
@user-wz2ix2nf3o
@user-wz2ix2nf3o 2 месяца назад
영국 떼어낸 과정 너무 웃기네ㅋㅋㅋㅋ 영국 사람 다 루니 같다는 얘기도 급떠오르고요ㅋㅋㅋㅋ 이번 내용 재미있고 완전 좋았어요
@jjkk1045
@jjkk1045 2 месяца назад
역시 과거로 부터 미래에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이 보이는 군요
@SyairyunDefanaAntor
@SyairyunDefanaAntor 2 месяца назад
Thanks
@dreamfreeker
@dreamfreeker 2 месяца назад
36분은 너무 짧습니다. 무편집본으로 올려주세요~
@dsyim9216
@dsyim9216 2 месяца назад
찬성찬성 완전 원합니다
@user-ib3rs9es9k
@user-ib3rs9es9k 2 месяца назад
맡겨놧나
@carlyounsh
@carlyounsh 2 месяца назад
역사를 배워야 하는 이유는 바로 이렇게 힘이 없으면 빼앗기는 것들을 알기 위해서죠. 끊임없이 역사를 부정하려는 자들을 시민들이 경계해야 하는 이유입니다.
@user-mb8mc9ou2n
@user-mb8mc9ou2n 2 месяца назад
거인에 관한 주제 다뤄주세요!
@user-jo4ns2it9p
@user-jo4ns2it9p 2 месяца назад
너무너무 재미있다❤
@cosmosdust
@cosmosdust 2 месяца назад
저 역시 너무나 무지했음을 이영상을 본후 느끼게 되네요 의식하지 못했던 백인우월주의 서양사대주의같은게 스며져 있었던거 같습니다 많은 생각이 바뀌게 되는 가르침 감사합니다 선생님들
@user-hz7rm4mu6r
@user-hz7rm4mu6r 2 месяца назад
우리에게 보여준게 많아서 어쩔 수 없음 지금도 현재진행형이고...
@user-pe8wi4wu2i
@user-pe8wi4wu2i 2 месяца назад
악의 축 ㅡ 미국이라는 생각이 강하게 드네.
@123carth
@123carth 2 месяца назад
우리를 가르친 사학자들도 학교에서 백인들이 쓴 책으로 공부했음. 이것이 한계.
@janjanjan6690
@janjanjan6690 2 месяца назад
@@user-pe8wi4wu2i나라 뺏겼을때 도움 받을거 다 받아놓고 이제 살만하니 악의축이라함ㅋㅋ
@machomachoman6764
@machomachoman6764 2 месяца назад
@@user-pe8wi4wu2i 맞습니다 "악의 축" 은 다른 나라가 아니라 바로 미국 자신이죠 허나 그 "악의 축"의 보호 아래 건국하고 외침으로부터 살아 남고 유지 발전해 이제는 선진국에 이른 나라가 바로 우리 대한민국이란 사실도 잊어선 안 죕니다
@user-ju5hi8wv5t
@user-ju5hi8wv5t 2 месяца назад
17:49 애굽민수님 말씀이 진짜 맞아요 영상에서도 나오는 말이지만 이웃국가끼리 사이가 나쁜 경우가 얼마나 많습니까...ㅋㅋㅋ 너네 똑같은거 아냐? 하면 얼마나 기분 나쁘겠냐고요 게다가 진짜 나라마다 천차만별인데... 이건 다른 이야기입니다만 아프리카가 전염병이 발생을 많이 하잖아요 그러다보니... 기본적으로 같은 수준을 성장을 하려면 더더욱 많은 재화를 쏟아부어야만하는 곳이기도 한것 같더라고요
@user-dj3oy5rc7u
@user-dj3oy5rc7u 2 месяца назад
서방국가들이 자원과 농산품에 대해 적당한 가격의 돈만 지불해도 웬만한 국가들은 정상적으로 돌아갑니다. 물론 그전에 우선적으로 고금리의 빚은 탕감해 줘야죠. 이미 이자에 원금까지 빨아냈을텐데.
@yeongaewoo4296
@yeongaewoo4296 2 месяца назад
아프리카가 못 사는 첫번째 이유가 부패가 심해서라고 생각해요..남아공 옆나라에서 24년째 살고 있는 사업자입니다...
@Jimmithie
@Jimmithie Месяц назад
저기 떠들고 있는 작자들은 모릅니다 그저 미국까대기만 하는 좌파적 전교조들입니다
@ziggurat6262
@ziggurat6262 2 месяца назад
개꿀잼
@JSJSKYLER
@JSJSKYLER 2 месяца назад
미국이 독제를 못 하게 했었으면 또 내정간섭이라고 뭐라 했을거구... 뭐 이래나 저래나 미국을 욕하려고 하면 뭐...
@pvp7600
@pvp7600 2 месяца назад
와 아프리카가 나오네요
@fm_doctor8755
@fm_doctor8755 Месяц назад
전문가 4명 + 허준 조합 = GOAT
@user-jd1ny3ph7g
@user-jd1ny3ph7g 6 дней назад
연구와 약탈은 종이한장차이 캬... 객관적으로보려는 제3자 시점 참 좋습니다. 항상 모든 일에는 장단이 있는 것 같아요. 독재를 해서 생기는 단점과 독재니까 할 수 있는 장점 등등 역사 발굴 역시 연구할 수 있는 분야의 사람이 연구한 것임과 동시에 남의 역사의 중요한 물건을 빼앗아 왔다 그러나 누군가 최선단에서 연구하는 사람이 그걸 보존하지 않았다면 약탈하지 않았다면 그가치가 알려졌을까 참 세상사라는 게 복잡다난하네요. 옳다 나쁘다 로 딱 이분법적으로 나눌 수 없는 것 같습니다 영상 잘봤습니다
@luchigwon2183
@luchigwon2183 2 месяца назад
아프리카, 남미 많은 국가들이 독립국가로 존재하고 있지만 그 나라들에 존재하는 많은 자원들과 생산시설, 생산수단, 경제권 등이 여전히 완전 독립을 했느냐, 전때 그렇지 않습니다. 아직도 제국시절 착취했던 국가나 기업 소유인 곳들이 많고 남미는 냉전시절 이걸 자신들이 되찾아 오려다가 미국한테 엄청 털렸구요. 아프리카에 프랑스 영향권인 국가들은 한 때 화폐를 프랑스 화폐를 쓰면서 재정적인 측면에서도 프랑스에 많이 의존하는 모습을 보였죠. 프랑스 본토는 유로 쓰는데 아프리카 일부 국가에서는 여전히 프랑을 쓰는... 또 영상에서 말씀하신것 처럼 남미들은 원주민들이 거의 몰살해서 경제권들을 백인들이 쥐고 있지만 아프리카는 여전히 원주민들 많이 남아있기 때문에 보기에 백인이 흑인들을 착취하는 이미지가 그려집니다. 그럼 왜 아직도 이들 국가가 마치 한국처럼 모든 측면에서 완전한 독립을 이루지 못하느냐, 그것은 지배국가가 2차대전에서 승전국이냐 패전국이냐 차이죠. 2차대전 패전국이였던 국가들 보시면 대부분 식민지가 적은 국가고 승전국들은 식민지가 많은 국가들이죠. 아무튼 패전국이니까 식민지에 대해서 완전한 포기를 한 것이고 승전국들은 전쟁이 끝난 직후에도 여전히 식민지에 대해 쉽게 포기하지 않았죠.
@DIABLO-xy3jq
@DIABLO-xy3jq 2 месяца назад
지배층들이 국민을 계속 볶아먹으며 잘먹고잘살려면, 외세의 힘을 빌고싶어하는것을 누구보다 잘아는 거대자본과 국제정치의 힘.
@ptu_chanw
@ptu_chanw 2 месяца назад
갑자기 궁금한데 국내학자 중 이집트 말고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사를 전공으로 한 국내학자가 있을까 불모지 같아서 궁금하네
@user-rf9ye4uf9k
@user-rf9ye4uf9k 2 месяца назад
이집트도 거의 없는데 있겠어요? 한국 대학은 교수자리도 한국 관련된 국가 아니면 잘 안줍니다. 마야고고학 전공하고 왔는데 고고학과가 아닌 스페인어과 교수하고 있는 판국이라..
@jieunko665
@jieunko665 2 месяца назад
​@@user-rf9ye4uf9k 마야고고학...우와...채널 하나 내주십셔 교수님
@gho321
@gho321 2 месяца назад
와 진짜 시간가는줄모르고 다봤습니다
@jtinmoscow95
@jtinmoscow95 2 месяца назад
제목을 보고 솔직히 약간 걱정했지만 역시 교수님들의 de-colonize하는 노력이 보인 훌륭한 discussion이었습니다.
@cattytanty6238
@cattytanty6238 2 месяца назад
아프리카도 이집트가 있는 북부나 남아공이 있는 남부는 그런대로 발달되어 있지만 중부의 경우 너무 적도주변이다보니 너무 더움. 사람이 못 살 정도는 아니지만 건설업이 들어가서 사업을 하기에 너무 덥고 공업용수로 끌어올 강이 부족함. 공장에서 사용한 폐수는 전부 강에 버려야 하는데 강이 없으면 아무런 공장도 지을 수 없음. 공장 없으면 건설도 못함. 바다는 어차피 소금물이니까 아무 곳에도 못 쓰는 거라 바다 없는 건 상관없지만 강은 도시를 개발할 때 진짜 중요한 데 강이 부족한 게 문제. 강이 부족하다는 말은 강수량도 적다는 뜻이고 지하수도 부족하다는 뜻. 고대의 4대문명이 생겨난 곳도 큰 강을 따라서 생겨났는데 강이 부족한 곳은 척박한 땅이 될 수 밖에 없음. 유럽국가들이 아프리카를 개발을 안하려고 한 게 아니라 개발할 물이 없어서 포기했다고 보는 게 맞음. 그나마 강이 있는 곳에 아마존처럼 밀림이 형성되어 있으면 그것도 개발이 힘듦. 너무 많은 동식물들이 뿌리를 내리고 살고 있으니. 아프리카 국가에서 많은 금광 같은 건 공장을 지어서 트럭이 하는 게 아니고 사람이 금광산에 가서 직접 캐 오는 것임. 공장에서 쓸 물이 없어서. 그리고 아프리카 사람들이 입고 있는 옷이나 생활용품들은 자기들이 만들 거나 정가에 수입해서 가져온 게 아니라 선진국에서 사람들이 버린 거 거의 공짜로 수입해서 사용하고 있는 것임. 정리하자면 아프리카가 개발되기 가장 힘든 문제점은 물이 너무 부족하다는 것. 물이 부족하면 공장이 들어설 수가 없으니. 국토를 가로지르는 커다란 강이 있어야 상류를 식수로 쓰고 중 하류를 공업용수로 쓸 수 있는데 그런 게 별로 없으니 문제. 강수량도 너무 적고. 물이 없으면 공업 뿐만 아니라 농사도 못 지음. 아프리카 중부의 몇 안되는 수입원이 금광산 등에서 금을 캐거나, 다이아몬드를 캐거나, 아니면 전세계 동물원에 동물 수출해서 얻는 수입임.
@jhshin9413
@jhshin9413 2 месяца назад
강에 폐수를 버리면 이타이이타이 병같은 질병이 생깁니다. 농업용수로도 사용 못함. 정화시설이 있어야 합니다
@packpock
@packpock 2 месяца назад
아프리카는 경제력에 비해 인구가 너무 많음. 지금의 10%만 살리고 다 죽으면 그냥 1인당 국민소득 10000달러 이상으로 잘 살게 됨
@kiyalight94
@kiyalight94 2 месяца назад
유럽인을 아프리카를 발전시키려는 좋은 사람들로 묘사하려고 했기 때문에 당신은 유럽인임에 틀림없습니다. 아니면 아프리카에 대해 전혀 아는 바가 없습니다. 그들은 우리가 건설한 것을 파괴하고 발전은 물론 역사와 문명 전체를 탄압했습니다. 그들은 아프리카의 다른 지역에도 정착하려고 노력했지만 일부 문제, 특히 말라리아에 저항할 수 없었습니다. 말라리아! 신의 축복이 아노펠레스 모기에게 🙂. 그들이 정착한 유일한 곳은 남아프리카공화국인데, 그곳은 매우 부유했고, 다른 곳처럼 인구가 많지도 않았고, 모든 것을 가져가기에는 다른 나라에 비해 유럽에서 너무 멀었기 때문입니다. 중앙아프리카 국가에는 강이 없다고 했죠? 정말요?... 거기에는 강이 많아요. 중앙아프리카에서 가장 큰 나라 콩고민주공화국의 천연자원인 강이 없어도 자국을 발전시키기에 충분할 뿐만 아니라 지구 전체를 발전시키기에 충분합니다. 참고로 중동 국가는 강이 없는 사막입니다. 예를 들어 사우디아라비아에는 강이 전혀 없습니다. 그러나 그들은 개발되었습니다.
@jacksonjason1587
@jacksonjason1587 2 месяца назад
@@kiyalight94사우디의 발전은 석유가 본격적으로 사용된 이후이며, 미국의 지정학적 지원도 포함됩니다
@user-nonamebutexist
@user-nonamebutexist 2 месяца назад
여담인데 강인욱 교수님 가죽자켓 입으시니까 롹스타 같음...
@yoonsehyeon
@yoonsehyeon 2 месяца назад
재밌다
@user-dt1dp5fg9n
@user-dt1dp5fg9n 2 месяца назад
1979 소-아 전쟁과 무자헤딘 그리고 탈레반. 가장 좋아하는 작가 할레이드 호세이니의 연을 쫒는 아이, 천개의 찬란한 태양의 배경을 여기서 알게되네요
Далее
Il pourrait encore jouer 🤩
00:23
Просмотров 2 млн
신라매금 신라변한 #대륙신라
0:42
Просмотров 10 тыс.
부유했던 베네수엘라는 어쩌다 망했을까?
28:38
ЭКСПРЕСС разбор стиралки
0: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