Тёмный

진짜 피아노 같은 디지털피아노는 가능할까? 

박터틀의 음악노트
Подписаться 149 тыс.
Просмотров 50 тыс.
50% 1

※광고 아님
용도가 다른거니까, 용도에 맞춰서 깔끔하게 써봅시드아아아아악
instagram :: park_turtle
광고 문의 :: for_prayer@naver.com

Видеоклипы

Опубликовано:

 

16 окт 2022

Поделиться:

Ссылка:

Скачать:

Готовим ссылку...

Добавить в:

Мой плейлист
Посмотреть позже
Комментарии : 117   
@seoha5555
@seoha5555 Год назад
너무너무 좋은 영상입니다. 차이점을 정확히 알고 뭘 구매해야 될지 기준을 정하게 해준 영상이에요! 고맙습니다 !
@mightydeepoceansound
@mightydeepoceansound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와~ 진짜 전자음악에 제대로 길을 잡아주시는 정말 기억에 남을 영상입니다!
@janeslife7541
@janeslife7541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제가 궁금한 부분을 제대로 풀어주셨어요 😮🙏🏻 와 감사합니다!
@eugenedaldal
@eugenedaldal Год назад
지금까지 본 한국 영상 중엔 가장 폭넓게 깊이 디지털을 분석해주신 것 같아서 좋았습니다. 번거러우실텐데 정말 고생이 많으시네요. 그리고 다음에 건반 관련 영상 올리실 땐 페달링 쪽도 이야기 해주시면 좋겠습니다. 실제 그랜드 쓰면서도 재즈세팅 클래식 세팅 따라 페달을 얼마나 조여놓을지 조율사님과 매번 바꿔야할 정도로 페달링이 어렵고 표현하기 힘든 것 같습니다. 어쿠스틱 쓰다가 재즈로 넘어오면서 디지털만 10년 썼는데, 몇 년전에 다시 그랜드 바꾼 뒤로 터치 페달링 동시에 자유롭게 쓰는데만 1년 가까이 걸렸거든요. 클래식에 비해 페달이 덜 중요할것 같은 재즈도 살짝 살짝씩 누르면서 프레이즈나 보이싱 리듬 따라 치고 빼는게 아주 정교하게 필요할때가 있는데 디지털은 고급 콘서트 음향이 쉽다보니 누구나 키스자렛처럼 서서 페달없이 손가락만으로 멜로우한 연주가 가능할 것 같은 착각을 주는 것 같습니다 사실 그런 음향조건에서 연주할 일은 드문데 말이예요. 페달링과 그에 따른 밀도 다이나믹 변화도 터치만큼이나 리얼하고 거리가 먼 요인 중에 하나인 것 같습니다. 가상악기도 벨로시티 레벨이랑 음색만 계속 발전하지 페달쪽 디테일은 아직 한참 멀었더라구요. 영상 감사합니다.❤
@park_turtle
@park_turtle Год назад
재밌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에 조금 더 다채로운 이야기 준비해볼게요!!ㅎㅎㅎ
@gyhaccodion
@gyhaccodion Год назад
정말 많이 배웠네요~감사드립니다~~영상만드시는 앱이름 알려주실수 있을까요?
@user-cp5hb3wh7y
@user-cp5hb3wh7y Год назад
음악방송 틀기만 하면 보이는 s90es가 있죠 개인적으로 미디 키스케이프 소리가 더 좋아요ㅎㅎ Modx 몬타주 cp yc mx 노드스테이지,그랜드 로랜드 코르그 다 좋습니다
@kcmusic7
@kcmusic7 Месяц назад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
@user-rb6oz9cf3f
@user-rb6oz9cf3f 2 месяца назад
영상 잘봤어요. 저는전공생인데 교회음악을 하게되서 고민중이었는데 도움이많이되었습니다. 감사용~~^^ 구독했어요.
@Mintcherry79
@Mintcherry79 2 месяца назад
무대공연이나 교회 ccm에서도 대부분 어쿠스틱이 아니라 신디 사용하지 않나요? 일렉기타 연주를 주로 하는데 사용하는 기타가 통기타와 얼마나 똑같은지 고민한다는건 모순인게 아닐까 하고 방구석 취미인은 생각해 봅니다 😅
@radio.m.i.x
@radio.m.i.x Год назад
진짜 피아노를 수백만원주고 샀다고 끝난게 아니죠. 오랜기간 멀쩡히 쓰려면 조율 등 유지보수에 주기적으로 들어가는 비용도 생각해야 . .
@choi3759
@choi3759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입문자에게 가성비 좋은 제품 (디지털이면서 터지감 괜찮은 것)도 추천 해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
@SamiKim-kp9il
@SamiKim-kp9il 2 месяца назад
Kawai CA701
@user-wm5lm8px3f
@user-wm5lm8px3f Год назад
안녕하세요 터틀님😊 잘 보고있어요! 다름이 아니라 제가 요새 취미로 사용할 디지털 피아노를 사려고 알아보는중인데 제가 1년째 갖고싶어한 모델이 커즈와일 mps120인데 어떨까요…?????
@Korea_Nail
@Korea_Nail Год назад
말씀 정말 잘하시네요 저도 박터틀님 처럼 말 잘하고 싶네요
@shin-oc8yv
@shin-oc8yv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초보자인데요 디지털 사려고 했는데 다시 생각해봐야 할것 같네요 유익한 정보 감사 합니다 한번 잘못사면 처리곤란 할것같애요
@SamiKim-kp9il
@SamiKim-kp9il 2 месяца назад
좋은 아쿠스틱 피아노 살 가격으로 디지털을 사면 됩니다. Kawai NV5나 Kawai NV10을 사시면 진짜 피아노와 같아요. NV5는 1000만원을 가볍게 넘길 거에요. 미국에서 1000달러가 좀 넘거든요. 그 가격이면 Kawai K300을 살 수 있어요. 낮은 음은 왼쪽, 높은 음은 오른쪽에서 나고, 소리도 뒤에 있는 sound board에서 나는 것 같고, 페달 밟으면 밟을 때나는 나무 부속들이 움직이는 소리까지 나요
@trustgrizzlykim597
@trustgrizzlykim597 Год назад
문득 든생각인데 그러면 전자 피아노에 키스케이프를 입힐려면 무엇이 필요할까요 일단은 오인페가 이썽야할거같긴한데 키스케이프 음색을 전자피아노서 출력할수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user-hd2mo4uv7q
@user-hd2mo4uv7q Год назад
전자 피아노마다 다르겠지만, 피아노 스피커 인풋 단자를 컴퓨터에 연결하면 가능합니다 근데 굳이 피아노 내장 스피커 쓰지말고 외장 스피커를 피아노에 올려두는게 낫지 않나요,,
@wwgfudqbggaggf
@wwgfudqbggaggf Год назад
정말 유익하다 ㄷㄷ
@make_and_play
@make_and_play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2:15 이 부분은 신디사이저 엔벨로프에서 정말 많이 다루는 영역이네요
@skitakaujou
@skitakaujou Год назад
그럼 사일런트 피아노는 현으로 칠때는 어코스틱과 동일한 느낌으로 치는거고, 디지털 피아노가 밑에 달려서 디지털 모드일때는 현은 소리 안나게 물리적으로 막고 그 터치감으로 디지털 음원과 연결되어 연주되는건가요? 그럼 현을 막았으니 진동이나 타건감이 전달 안될거 아니에요. 또 디지털음원이라 이질감이 있겠네요. 스피커도 밑에 달려있나요. 디지털 피아노나 신디사이저의 내구성은 얼마나 오래가나요. 20년 가나요. 소모성으로 부품도 갈아줘야하나요. 신디는 스피커를 좋은걸로 써야 차이가 나나요. 신디는 브라스나 오르간 느낌도 나야하니 디지털 피아노와는 특성상 건반을 다른걸 쓰나요. 그렇다면 피아노 건반에 가까운건 디지털피아노인가요.
@zarusaru2179
@zarusaru2179 9 месяцев назад
걍 어쿠수틱이랑 너무 다름. 비싸더라도 연습실가서 진짜 피아노로 연습하세요 아니면 나쁜 습관 생김
@user-on3mj7rq5n
@user-on3mj7rq5n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아주 잘 보았습니다🎉
@dhoonygo
@dhoonygo Год назад
서초 스타인웨이 갤러리에서 콘서트홀용 D-274를 쳐본적이 있는데요, 첫 음을 치자마자 깜짝 놀랐어요. 제가 집에서 쓰는 pianoteq의 소리랑 거의 똑같다는 느낌을 받았거든요. 항상 듣던 익숙한 소리가 나길래ㅋㅋ 뭔가 실망스럽기도 하고 친숙하기도 하고 그랬네요. 이거 보다 더 작은 사이즈의 스타인웨이도 같이 쳐봤는데 오히려 pianoteq 소리보다 더 먹먹하게 들리는 부분도 있고 그랬어요. 그래서 소리의 품질만 놓고 본다면 요즘 가상악기의 퀄리티가 원악기보다 더 좋을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네요. 다만 터치감은 디피랑 많이 달랐어요. 무게감 자체는 비슷했어요. 그런데 건반에서 소리가 나는 과정에서 손가락이 느끼는 경험이 달라요. 디피의 경우 건반을 누르면 그만큼의 일정한 힘의 반작용만이 손가락에 가해지면서 끝까지 눌리게 되는데, 그랜드파아노의 경우 건반을 누르면 그냥 일정한 반작용이 가해지는게 아니라, 건반이 해머를 부드럽게 밀어주는 느낌이 확실히 느껴져요. 그러면서 마침내 현을 때리게 됐을 때의 느낌이 생생하게 전해지고, 릴리즈했을 때 순간적으로 해머가 다시 건반을 원위치로 밀어내려고 하는 힘이 또 느껴져요. 이런 걸 디피의 단순한 건반구조 갖고 구현하기에는 앞으로도 많이 어려울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네요.
@saptap387
@saptap387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음색은 비슷하나 울림은 다를수 밖에 없죠.. 결국엔 스피커로 내는 소리와 실제 해머를 쳐서 울림이 나는 구조와는 소리가 똑같을 수가 없죠. 그랜드로치면 공간에 소리가 울려퍼지면서 음이 반사되는 느낌인데 가상악기는 아무리 좋은 스피커로 들어도 한계가 있는것 같습니다.
@dhoonygo
@dhoonygo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saptap387 몇 년 전이라면 동의하겠지만, 더이상 그렇게 생각하지 않아요. 저는 집에 어쿠스틱 룸을 만들어서 연주하는데, 요즘 가상악기는 해머를 쳐서 울리는 그 자체까지 묘사합니다. 단 하나의 차이가 있다면, 소리의 근원지만 다릅니다. 이 마저도 스피커 위치를 옮기면 어쿠스틱 피아노와 비슷하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 큰 홀에서 그랜드를 쳤을 떄 나오는 울림까지도 놀라울정도로 잘 묘사합니다. 미래에 기술이 아무리 좋아져도 실제 클래식 공연에서 스타인웨이 대신 큰 스피커에 가상악기를 쓸 일은 없겠지만, 소리를 들었을 때 이게 가상악기에서 나온 소린지, 실제 피아노에서 나온 소린지 구분하지 못하는 시대는 금방 올거라 생각합니다.
@saptap387
@saptap387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dhoonygo 그 음원이 크다는겁니다. 아무리 잘해도 가상악기는 스피커에서 나오는 소리잖아요. 악기가 원래 내는 소리를 실시간으로 홀에서 울리는거랑 같을수 없어요. 쉽게 말해 전기신호죠 스피커는. 그런 논리면 클래식 공연을 굳이 라이브로 볼 필요가 없죠 완벽하게 스피커로 구현가능하면.. 밴드 음악 같은것도 드럼 소리 같은거 현장에서 듣는거랑 스피커러 듣는거랑 전혀 다릅니다만.. 어디까지나 유사한거지 같을수는 없어요
@dhoonygo
@dhoonygo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saptap387 피아노에서 나오는 소리든, 스피커에서 나오는 소리든, 결국 수많은 주파수를 가진 파동의 겹침입니다. 중요한 점은, 이 파동은 분석이 가능하다는 겁니다. 피아노의 현을 때려서 나오는 소리를 측정하고 분석할 수 있어요. 분석이 되면 이를 재구현할 수 있게 됩니다(이 작업을 모델링이라고 합니다). 이렇게 모델링 되어서 나오는 소리는 '물리적'으로 완벽히 같은 소리가 될 수 있어요. 지금은 갈 길이 좀 있지만요. 이렇게 돼서 같은 파동을 듣게 된다면 소리가 피아노 현을 때려서 나왔든, 스피커에서 나왔든 구분이 불가능합니다. 왜냐하면 물리적으로 같은 소리니까요. 밴드음악을 스피커로 듣는거랑 현장에서 듣는 거랑은 많은 차이가 있죠. 하지만 그건 음원 때문이 아닙니다.
@moneysmith6681
@moneysmith6681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dhoonygo 이말에 공감.. 수많은 그랜드피아노 업라이트 피아노를 거쳤었고, 아파트 살면서 dp 1세대 부터 고급형까지 다뤄보고, 또 매장가서 디지털피아노 최고급 연주도 해보고.. 느낀점. 하이엔드급 디피에는 스피커의 질과 배치 출력 모든게 엄청나게 발전했습니다. 심지어 터치감도 거의 비슷해요. (하지만 이부분은 아직멀기도 했어요)
@matthewmoon4679
@matthewmoon4679 Год назад
korg D1 터치감은 어떻게 생각 하시는지요?
@cre8view
@cre8view Год назад
어쿠스틱을 녹음할때는 로우 하이 소리 마이크 세팅 따라 해머 소리랑 스트링소리 그 잔음들을 녹음하는것이고 디지털은 그냥 디지털 미디소리가 나는거죠. 전자기타와 미디기타의 차이 미디기타 요즘 마니좋아졌지만 리얼기타랑 비교 안되는거랑 같은느낌
@_Vervain
@_Vervain Год назад
혹시 바닥에 아무것도 깔지 않고, 디지털 피아노 x자 두고 쳐도 층간 소음은 괜찮은거죠?
@park_turtle
@park_turtle Год назад
그건 정말 층마다 다릅니다! ㅜㅜ 아랫층이 예민하면 덜그럭거리는 소리에도 뭐라 할 수 있어서... 매트도 깔고, X자 스탠드보단 통자 스탠드를 추천드립니다!
@AnyoneCanQT
@AnyoneCanQT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아... 피아노살까말까 고민중이었는데... 아랫집 층간소음 너무심해서 진짜 미틸지경이었는데, 피아노 소리로 복수를 할 수 있겠네요😂
@user-ls7hk7dy2v
@user-ls7hk7dy2v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사셨어요!!? 복수성공????
@zepet_0
@zepet_0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피치밴드와 모듈레이션은 물론이고 음원도 없는 궁극의 마스터키보드 VPC1을 질렀습니다! 물론 연습은 안할거지만요!
@perfumeil1
@perfumeil1 Год назад
제가 늘 그랜드피아노, 업라이트피아노, 디지털피아노는 아예 다른 악기라고 말하고 다니죠 ㅋㅋ서로 할 수 있는 게 너무나도 달라요 디지털피아노 중에서는 손열음 피아니스트의 유튜브 영상을 보면 카시오의 터치감이 그렇게 리얼하다고 하더라구요 모델까지는 모르겠지만…
@user-sl6ew5mp5n
@user-sl6ew5mp5n Год назад
야마하 피아노 중 하이브리드 피아노라는 개념의 피아노가 있는데, 실제 샘플링을 아주 섬세한 영역까지 하였고, 사일런트와는 또 다르게 헤머 자체가 현을 때리는 신기한 방식을 사용합니다. 사일런트와 고민 많이하다가 업라이트형 제품인 NU1X 를 구매했은데, 연습용으로 매우 만족하며 사용하고 있습니다. 다만, 유일한 단점이 스피커 혹은 헤드셋으로 들어야한다 인데, 내가 연주를 하는것이 아니라 연습을 하는것이라 음의 강세 표현만 잘 표현이 되고 물먹은 소리가 안난다는 점에서 저는 매우 만족하며 사용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저는 클래식 피아노 대학원 2년차 입니다.
@sungmopark0405
@sungmopark0405 6 месяцев назад
사일런트가 더 좋은것 아닌가요?
@junghasuh6357
@junghasuh6357 5 месяцев назад
@@sungmopark0405 사일런트는 렛 오프 거리가 멀어져서 터치감이 저하하는 단점이 있죠. 구조적 문제라 사일런트 장치를 안켜도 없어지지 않습니다. 결국 연습실 가거나 방음하고 그랜드 넣거나…
@nyukist
@nyukist Год назад
만약 진짜 소리 자체로만 실제와 비슷하게 하려면 가상악기가 낫죠! 터치나 사운드 위치는 둘째친다면.. 미디키보드 + 가상악기(hammersmith, garritan, keyspace…등등) 가 나은 것 같습니다.. 아.. 대신 pc랑도 연결해야하고 좋은 스피커나 헤드폰을 써야한다는 점..
@Music_Cooking
@Music_Cooking Год назад
피아노의 터치 세기를 미술에 비유하자면 명암하고 비슷한 것 같아요
@inhistime3927
@inhistime3927 Год назад
전 사일런스말고 자동연주 피아노 같고싶은데 ㅎㅎ 야마하 게 5천이라고 하더라고요
@cheesetoast0
@cheesetoast0 Год назад
롤랜드만만세!
@a-c1043
@a-c1043 Год назад
이과신듯.... (재밌었습니다~)
@jwc3104
@jwc3104 Год назад
전자피아노보다 한수 더뜨는게.... 전자드럼이죠. 편의성으로 놓고보면 피아노 대비하는것보다 훨씬더 편하고 여러모로 유리합니다. 음질을 놓고봐도... 요즘나온 모델들은 녹음해놓고 들어보면 절대 구분못합니다. 색다른 음색을 쓸수도 있고요. 문제는 드러머들이죠. 전자드럼에 대한 음악적인 이해를 못하고, 전자드럼이 가진 장점을 극대화해서 사용할생각은 안하고 때려뿌수기만 하고..
@saptap387
@saptap387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녹음하면 그럴수 있는데 실제로 칠때는 진짜 드럼과 많이 차이가 날듯요..
@user-kf3ws4pc7n
@user-kf3ws4pc7n 9 месяцев назад
만약 님의 주장이 설득을 얻으려면 전자드럼용 스틱을 별도로 개발해야 합니다.. 브러쉬도. 로드스틱도. 롤스틱 등등..
@user-or4ob2uo1b
@user-or4ob2uo1b 6 месяцев назад
그른가 드럼같은건 치는 위치랑 방법이 엄청 다양해서 모든걸 구현하기 힘들거 같은데
@mjj915
@mjj915 Год назад
새로운 디피를 사야하는데… 취미로 갖고 놀던 야마하 115를 조카가 넘보는거 같아서 줘버리고…. 야마하 515가 추천이 많아서 그걸로 넘어가보려는데 괜찮나욤????
@park_turtle
@park_turtle Год назад
515는 저도 안만져봤는데! 괜찮지 않을까요?! 용도에 따라 조금 다르겠지만요 ㅎㅎㅎ 음색 자체는 아마 115나 125보다 훨씬 좋을거에요!
@mjj915
@mjj915 Год назад
@@park_turtle 답변 감사합니다. 아무래도 가격이 확뛰어 오르는 구간이라 고민도 좀 되더라구요 ㅎㅎ 음악 전공자도 아니고 음악관련 업무 하는 사람도 아니여서 딱히 미디나 작곡은 안할거라 비슷한 가격대 브랜드별로 고민만 되더군욤 건강은 좀 나아 지셧느지
@dhdhdh98
@dhdhdh98 Год назад
구매 하셨는지 모르겠지만 P515 좋은 모델 맞습니다. 포터블형에 타건감이 좋은편이에요.
@mjj915
@mjj915 Год назад
@@dhdhdh98 연말연시 지출이 꽤나 나가버리는 바람에 2월달 안으로는 구매하려고 하는중이에요 야마하 매장에서는 취급하는 모델이 아닌거 같아서 인터넷으로 사야할거 같네요
@dhdhdh98
@dhdhdh98 Год назад
@@mjj915 포터블형 원하시면 롤랜드 FP60X도 시연해보시고 콘솔도 상관없으시면 롤랜드 RP701, 야마하 CLP725 735, 가와이 KDP120도 시연해보시구 결정하셔요. 일단 고르신 P-515 는 타건감이 나무건반인데다 묵직해서 좋았던 기억이 나네요.
@royce-rich
@royce-rich 4 месяца назад
인공지능을 활용하면 기술적으로는 다 해결 가능한 문제 같은데 확실히 비용이 비싸질 듯..
@user-id3rv8ok4l
@user-id3rv8ok4l 8 месяцев назад
Clp785인가 놀랍더군요
@user-wf3zg4jt8k
@user-wf3zg4jt8k Год назад
결국 실력이지 뭔 터치감 이딴 소리하고 자빠졋어~~~라면서 싼 마스터건반을 삿으나 곧 피눈물을 흘렷던 때가 떠오르네요ㅋㅋㅋㅋㅋㅋㅋ 진짜 변명같이 들리긴 하는데, 그 손에 짝짝 감기는 느낌이 주법이랑 음색 조절, 타건 강도 조절 등에 실제로 쏠쏠하게 도움을 주구요, 박터틀님 말마따나 실제로 이를 자유자재로 해내기 위해 정말 많은 전용 연습을 따로 하기까지 합니다. 이게 나락을 간 데 이어 음색까지 만족못한 정도가 큰 전 작업에 집중을 좀 못햇던 적도 잇엇습니다 지금은 그냥 해탈해서 두다다다 하고 잇긴 한데ㅇㅅㅇ...리얼하게 연습하고 싶다 하면 바로 업라이트로 가고 잇네요
@user-ms2rf5sh6d
@user-ms2rf5sh6d Год назад
😂😂
@junghasuh6357
@junghasuh6357 5 месяцев назад
그런걸 알게 되는게 실력이 느는 과정이지요
@user-nh7fo1yl7n
@user-nh7fo1yl7n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신디사이즈 건반의 HA무거운게 있는데 (피아노 리얼한 느낌 이라고 하는데 무게랑 무슨 이유가 있죠?) 무거운 걸 쓰는 이유 가 궁금 합니다.
@hanhs70
@hanhs70 6 месяцев назад
야마하 그랜드디지털 피아노는 나무건반 인데 어떨까요?
@SamiKim-kp9il
@SamiKim-kp9il Месяц назад
건반을 나무로 만든다고 뭐가 크게 달라지지는 않습니다. 그 뒤에 있는 메케니즘이 진짜 피아노 같아야죠.
@qrdthh
@qrdthh Год назад
브이피아노 있는데 진짜 최고임
@dhdhdh98
@dhdhdh98 Год назад
사용하신지 엄청 오래되셨을듯 ㄷㄷㄷ 이제는 RD-2000이 나왔죠
@qrdthh
@qrdthh Год назад
@@dhdhdh98 네 6년정도 되었어요ㅋ v-p 그랜드모델이라. 그래서 팬텀-8 워크스테이션 하나 더 구매했어요. RD2000이랑 고민하긴 했는데 비싼게 더 좋은거 같은 이미지땜에ㅎㅎ
@seohenry922
@seohenry922 Год назад
8:22 속도 x 가속도 o 피아노 건반을 세게 누르려면 내리칠 때 가속도를 잘 줘야 힘 덜 들이면서 세게 칠 수 있드다고 하더군요
@kjm2s
@kjm2s Год назад
가속도는 속도의 변화량 입니다 손가락이라고 하는 질량체가 근육의 힘을 받아 속도가 변하면 그게 가속도죠 그럼 가속도에 의해 속도가 생긴 손가락이 건반과 접촉하면서 운동량을 나눠 갖으면서 일정한 속도를 갖게 되고 기계는 이런 속도를 감지합니다. 기계입장에서는 속도 맞아요 하지만 이런 속도를 결정하는 건 근육에의해 발생된 힘(가속도)이죠 박터틀님은 기계 입장에서 말씀드린 거고 Seo Henry님은 사람 입장에서 말씀드리는 것 입니다 이는 입장과 관점의 차이일 뿐이지 박터틀님 영상에서 나온 속도라는 표현이 잘못된 건 아닙니다.
@user-ts5jw5ub8c
@user-ts5jw5ub8c 14 дней назад
피아노 뒷면에 이불채워넣으면 소리줄어요 흡음재보다 효과좋음 이웃눈치안보고 칠수잇어요 건반느낌 이상한 디피사느니 업라이트사서 방음하겟음
@VoidX930
@VoidX930 Год назад
가상악기에선 이미 Pianoteq 가 용량도 줄이고 싸운드 질에선 압도적으로 올라온거 아닌가???
@user-rl9pq6tq4f
@user-rl9pq6tq4f Год назад
용량은 뭐 그렇다 쳐도 사운드의 질로만 본다면 조금 많이 부족하죠
@park_turtle
@park_turtle Год назад
저도 그리 생각했으나... 피아노텍 소리가 지금은 정말 상상 이상으로 무지막지하게 좋아졌읍니다 ㅎㅎㅎㅎ CPU 문제만 해결되면 정말 압도적일지도요! 다만 입력신호 자체가 128단계라는 한계는 극복해야할 것 같긴 하네유
@adamsmusicstudio1317
@adamsmusicstudio1317 Год назад
키스케이프 돌리면 유투브가 안돌아감...이거 정상인가유??
@park_turtle
@park_turtle Год назад
아뇨....DAW 관련 세팅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추측됩니다!
@user-es9ui3cc3x
@user-es9ui3cc3x Год назад
저도 그랬는데 Asio로 DAW를 구동해서 그렇습니다. 해결법은 검색을...
@leets3811
@leets3811 Месяц назад
저는 전자피아노인데 살짝만 치면 소리가 안나는데요?
@user-pi5fd4pn1z
@user-pi5fd4pn1z Год назад
방송 댓글중에 그랜드가 업라이트보다 가볍다는건 뭐지..? 반대로 알고있었는데.. 업라이트는 해머를 앞으로 때리고 그랜드는 해머를 위로 때려서 그 무게감때문에 무거운걸로 아는데 뭐지
@park_turtle
@park_turtle Год назад
고거는 조율 나름입니다! 보편적으로는 그랜드가 무겁지만, 조율하면서 조정을 어떻게 하는지에 따라 불지옥 같은 업라이트도 만들 수 있어요!!
@user-nq5id6bn6q
@user-nq5id6bn6q Год назад
케바케가 강한 거 같습니다 야마하랑 삼익 그랜드피아노 어쩌다가 쳐본 적이 있는데 삼익은 꽤 무거운 편이어서 치는데 힘이 많이 들었고 야마하는 꽤 가벼워서 힘안들이고 쳤던 기억이 있습니다 스타인웨이는 아직 쳐보지는 않았지만 아주 섬세해서 그만큼 힘을 조절해서 쳐야한다는 말도 많구요 그냥 피아노 브랜드마다 대표적인 특징이 존재하고, 그 안에서도 조율에 따라 달라지는 거 같습니다
@user-sl6ew5mp5n
@user-sl6ew5mp5n Год назад
무겁고 가볍냐 보다는 날리느냐 묵직하냐 차이인거죠 가벼운건 그랜드가 더블엑션이 들어가기 때문에 소리가 나기까지의 압력이 덜필요한 이유도 있습니다
@user-pi5fd4pn1z
@user-pi5fd4pn1z Год назад
@@park_turtle 조율에 따라 다르다, 가 답인 듯 하네요. 어쿠스틱에 대해 경험이 절대 많지는 않아서 경험만으로 이렇다 말한 제가 부족했던 듯 합니다. 다른 분이 언급하신 더블액션 같은 부분도 그렇구요,, 감사합니다! 언젠가 슈타인웨이를 쳐보는걸 목표로 열심히 살아가는 중입니다ㅎㅎ
@user-tz6my3yr3m
@user-tz6my3yr3m Год назад
조율도 다르고 건반 구조도 좀 달라서.. 다이내믹 자체가 그랜드가 훨씬 넓은편이고 그에따라 원하는 세기에 따라서 필요한 무게감도 다양하게 줘야되죠.. 일반적으로 큰소리를 내려면 그랜드가 더 많은 힘이든건 맞습니다
@happy-nj
@happy-nj 9 месяцев назад
흠.. 난 야마하CLP 775 쓰는데 ...그냥저냥 업라이트랑 차이 잘모르겠음
@sunnyalot
@sunnyalot 6 месяцев назад
혹시 녹음해보셨나요? 컴퓨터 용량이 많이 필요할까요?
@Jazzy_gom
@Jazzy_gom Год назад
우앙 1빠다! 사일런트피아노는 그럼 밖으로 아예 소리가 안나오나요
@SamiKim-kp9il
@SamiKim-kp9il 2 месяца назад
피아노 칠 때 해머가 현을 때리는 음악 소리 말고 덜거덕 거리는 소리가 생각보다 훨씬 큽니다. 한 밤중에는 사일런트 피아노 치면 아랫집에서 층간소음으로 신고해요.
@skim5515
@skim5515 Год назад
어쿠스틱 피아노 칠 때 현을 때리는 진동이 손에 전해진다는 건 그냥 착각 아닌가요? 손가락이 건반 바닥에 부딪히면서 생기는 진동이면 몰라도.. 사일런트 피아노도 해머가 현을 때리진 않지만 얼추 어쿠스틱 타건감 비슷하게 재현하는 것 보면 액션의 구조가 중요하지 실제로 현을 때리냐 안 때리냐 여부는 타건감에 중요하지 않다고 봅니다..
@park_turtle
@park_turtle Год назад
기본적으로 현의 탄성도 있고, 소재가 달라서 그런지 몰라도 미묘한 차이가 있더라고요. 길게 누르면 더더욱 차이가 크구요. 제 체감상은 그랬던 것 같습니다^^;;
@Jery_333
@Jery_333 Месяц назад
필압도 기본이 4098인데 벨로시티 그 정도로 늘려줘라!!!
@inhistime3927
@inhistime3927 Год назад
이래서. 방음부스를 산 1인 ㅎㅎ(자가)
@junghasuh6357
@junghasuh6357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이게 정답! 쓸데 없는 고민 끝!
@user-ih3wi5eh1c
@user-ih3wi5eh1c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어쿠스틱 피아노를 좋아하지만 자취러는 디지털 피아노밖에 선택지가 없습니다 흑흑
@user-kf3ws4pc7n
@user-kf3ws4pc7n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아쿠스틱 렌탈이 매우 유효.적절해 보입니다.. 비용도 부담이 없고. 피아노방음비용이 40여만원이 소요되나 현금 할부.자동이체로 하면 보증금 포함하고도 월 10만원이면 사용가능하죠. 요즘 중고피아노가 성능이 참 좋은데 말이죠
@zarusaru2179
@zarusaru2179 9 месяцев назад
@@user-kf3ws4pc7n 무슨 방음비용이 40여만원만 드냐 ㅋㅋ 자취하는 방 방음하려면 아무리 고시원같은 크기라해도 전체 방음은 비용 엄청드는데
@user-kf3ws4pc7n
@user-kf3ws4pc7n 9 месяцев назад
@@zarusaru2179 기술적 방법이 있어요. 시공 유경험자이고 현직종사자입니다. 경험 없으면 모르죠.. 무슨 스튜디오 만들 일 있나요 ?
@kungnami
@kungnami Год назад
15년전만 해도 5백짜리 디피는 이쁜 쓰레기 같았는데 말이죠.. 요즘 디피들은 아직 아쉬울 때도 있지만 어느 제품군은 업라이트를 능가하는 퍼포먼스 보여줬던거 같네요.. 하아.. 다 갖고 싶었던 체험이었습니다
@park_turtle
@park_turtle Год назад
정말 요즘은 갖고 싶은 디자인에... 장난아니더라구요 흑,,,
@user-dc5kj4ri8m
@user-dc5kj4ri8m Год назад
쳄발로는 장난감 피아노처럼 건반을 누르면 망치(햄머)가 실로폰 같은 철판을 두드리는 악기입니다. 현을 뜯는 방식은 하프시코드라고 합니다. 이 방식은 방직공장 기계처럼 건반을 누르면 갈고리 같은 것으로 현을 뜯고 건반이 올라오면 그냥 현을 스킵하는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건반을 누른채로 압력을 변화시키면 애프터 터치까지 가능하다고 합니다.
@park_turtle
@park_turtle Год назад
말씀하신 철판을 두드리고, 앰프를 통해 증폭하는 형태의 건반은 로즈(Rhodes)입니다. 시대적으로 훨씬 뒤에 나왔고 완전히 다른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쳄발로와 하프시코드는 같은 악기이며, 쳄발로는 독일어, 하프시코드는 영어입니다. 착오 없으시길 바랍니다!!
@radio.m.i.x
@radio.m.i.x Год назад
첼레스타와 혼동하신듯 . .
@shj0080
@shj0080 2 месяца назад
어제 새 DP 샀는데........................................................
@elegantcat0
@elegantcat0 Год назад
카시오, 가와이의 상급~최상급 모델들은 그랜드 피아노 액션을 카피해서 키감 만큼은 비슷하다는 이야기들이 있더라고요. 보면 메카니즘도 유사하게 만들었고, 건반 길이도 그랜드에 가깝게 맞췄고... 하지만 대충 적어도 300만원에서 500만원까지는 내야 하는데, 이 정도 금액이면 그 돈으로 디지털을? 이라는 생각이 안 들수가 없다는 게... 어차피 피아노 연습용으로의 디지털 피아노는 일종의 타협안인 거고 거기 안에서 적당히 또 타협을 할 수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saptap387
@saptap387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아뇨 다릅니다 ㅋㅋ 매장가서 쳐봤는데 확실히 디피는 뭔가 어색해요. 그럼 왜 디지털이? 이러는데 아파트같은 환경에서는 요즘 소음 문제 때문에 업라이트도 힘드니 그나마 좋은 디피를 사려는 수요는 많습니다. 연습실을 24시간 쓸수있는 환경에 없는 사람도 있고 또 비싸기 때문에 집에서 편하게 칠 수 있는 용도로 사는거죠.
@SamiKim-kp9il
@SamiKim-kp9il Месяц назад
Kawai에서 만든 NV10은 그랜드 피아노를 그대로 옮겨놓은 것이에요. 미국에서 약 1만5000달러 정도 합니다. 줄만 없지 그냥 그랜드 피아노와 똑 같아요. NV5가 K300과 가격이 비슷해요. 1만불 정도 하죠.
@user-fd2mo7ir3d
@user-fd2mo7ir3d Год назад
디지털은 1~16배음이 나오지 않습니다.ㅋㅋ
@skim5515
@skim5515 Год назад
배음 다 나와요.
@user-fd2mo7ir3d
@user-fd2mo7ir3d Год назад
@@skim5515 피아노는 저음c건반을 아주 천천 소리안나게 눌러서 현을 개방 시킨 상태에서 배음마다 스타카토 치면 저음c에서 상의 배음과 충돌된 소리들이 자체 공명하는데 디지털은 그게 안됌! 피아노는 프레임 브릿지 향판이 공명하는 악기지만 디지털은 현이 없어서 1도에서 진동은 하지만 공명자체가 없슴!
@nyukist
@nyukist Год назад
따라한 가상악기가 있더군요ㅋㅋㅋ 단점은 pc랑 연결해야한다는 점..
@cre8view
@cre8view Год назад
전 업라이트 소리가 싫어요 홍키통키 하면서 제가 와일드와일드 웨스트의 빠에 들어가는 카우보이같은느낌
@user-wc2ei8xe9o
@user-wc2ei8xe9o Год назад
저도 그랬는데 최근 그랜드피아노보다 소리좋은 업라이트를 봤어요... 비싼 업라이트는 다른가봐요
@saptap387
@saptap387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구조상 그랜드피아노가 좋을수 밖에 없죠. 무조건 통이 큰놈이 소리가 좋아요.. 같은 브랜드도 콘서트사이즈랑 홈메이드 사이즈는 저음 울림부터 크게 차이납니다.
@SamiKim-kp9il
@SamiKim-kp9il 2 месяца назад
Yamaha U3, U5 Kawai K300, K500를 못봐서 그런 겁니다. 걔네는 작은 그랜드보다 비싸고 줄도 더 깁니다.
@user-fk9ec7qt2v
@user-fk9ec7qt2v Год назад
3빠
@SamiKim-kp9il
@SamiKim-kp9il 2 месяца назад
디지털피아노도 돈만 많이 들이면 진짜 피아노와 같게 만들 수 있음. Kawai NV5는 K300 가격, NV10은 그보다 더 비쌈. 모르고 하는 개소리...
Далее
Red Velvet 레드벨벳 'Cosmic' MV
3:50
Просмотров 6 млн
GONE.Fludd, ЛСП - Ути-Пути
3:07
Просмотров 155 тыс.
SHAMAN - Премия МУЗ-ТВ 2024
4:36
Просмотров 406 тыс.
Şəbnəm Tovuzlu - Həsrət Qalasan (Yeni 2024)
3:31
AD AKA DILOVAR - MILANA  ( 2024 )
3:19
Просмотров 1,2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