Тёмный

키오스크 vs 테이블오더, 당신의 선택은? 

디지털보 Digitalbo
Подписаться 1 тыс.
Просмотров 7 тыс.
50% 1

흠...🤔
내 가게에 필요한 건 키오스크일까? 테이블오더일까?
#키오스크 #테이블오더 #소상공인 #스마트상점

Опубликовано:

 

10 сен 2024

Поделиться:

Ссылка:

Скачать:

Готовим ссылку...

Добавить в:

Мой плейлист
Посмотреть позже
Комментарии : 12   
@zinzin3069
@zinzin3069 Год назад
전 편하게 앉아서 느긋하게 주문할 수 있는 테이블 오더가 좋은 것 같아요. 키오스크는 뒤에 누가 있으면 서두르게 되서 제대로 못고름 ㅋㅋ
@용국이e
@용국이e Год назад
1세대: 카운터에서 카드 후불 결제. 2세대: 키오스크 카드 선 결제. 3세대: 테이블 오더로 주문 QR코드 결제. 4세대: 소비자 폰의 맵 플랫폼을 통한 상점, 테이블 선택후 폰 주문과 결제.(결제 데이터 저장, 공유와 메타버스 시스템 구축) 지금 한국의 3세대 테이블 오더는 반쪽짜리임.. QR코드 결제 장치가 가장 핵심인데 그게 없음.. 이 QR코드 결제 장치들이 접목되어야만 디지털 글로벌화 탑승이 가능하다고 봄. 동남아, 일본, 유럽, 중동.. 남쪽은 솔직히 국가의 기능을 상실했음. 기존 카드사 연합의 파워 게임과 행정 관료들의 이해관계에 의해 QR코드 관련 페이먼트 장치들을 강제로 틀어막고 있는걸로 아는데.. 이런식이면 행정부 주도로 후진국대열에 탑승하려고 발악을 하고 있는 것과 같음.. 역사가 완존히 거꾸로 가는중임.. 아마도 조만간 디지털화폐 CBDC가능해지면 QR코드 페이먼트 주도권은 중국에게 모두 다 뺏길거라고 봄.. 보안, 검증의 QR코드 기술 개발과 QR코드 페이먼트 접목을 행정부가 어떻게든 권장해야 되는게 현 시점인데.. 아직두 단말기 카드로 강제하고 QR코드 개발, 접목은 틀어막아서 수수료 때먹기 시장만 밀어주고 있고.. 앞으로도 모든 권한을 쥔 행정부 관료 철밥통들은 달라질 게 전혀 없어보임. 안타까운 남쪽 국가..
@hongcmoto
@hongcmoto Год назад
테이블 오더 너무 좋아요. 특히 선결제하고 가게를 빨리 나갈수 있는 부분 ^^ 키오스크는 뒤에 사람 기다리면 너무 불편하고 조급해집니다
@ewq2465
@ewq2465 Год назад
테이블오더 매장은 많이 본적이 없네요. 저도 키오스크가 편해요
@OH-kc5yy
@OH-kc5yy Год назад
용도가 다르죠..키오스크는 포장쪽이라면 테이블오더는 홀이죠
@user-do3kh6bd2o
@user-do3kh6bd2o 7 месяцев назад
키오스크 메모리 에러 뜨는데요 어떻게 해결 해야하나요~
@user-zu2cc1ol5x
@user-zu2cc1ol5x Год назад
대기순번은 어떻게 관리되나요?
@user-kx9ul3bk4l
@user-kx9ul3bk4l 3 месяца назад
서빙알바생들은 키오스크 없으면 도망쳐라 ㅋㅋㅋㅋ 키오스크 없는곳은 술취한 만취자 있을 확률 99%
@pyosuk90
@pyosuk90 Год назад
으흠 저는 테이블오더가 더 편안히 주문할 수 있는 느낌!
@sunbok3389
@sunbok3389 Год назад
40대지만 키오스크가 더 편리한거 같아요 디지털 시대에 맞게 살아야죠!
@user-ig1xf1bu8r
@user-ig1xf1bu8r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저도 테이블 오더가 더 좋은듯요~
@mariolee2664
@mariolee2664 5 месяцев назад
그래서 수수료가 포스보다 싸다는건가? 진짜 중요한 문제는 얘기를 안하네
Далее
BeastMasters Hawk just had enough #ti13
00:30
Просмотров 203 тыс.
Новый уровень твоей сосиски
00:33
The Most Elite Chefs Ever!
00:35
Просмотров 6 млн
BeastMasters Hawk just had enough #ti13
00:30
Просмотров 203 ты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