Тёмный

한명순의 서도소리 '소리의 길' 서도시창 中 관산융마 

서도소리
Подписаться 627
Просмотров 1,1 тыс.
50% 1

「관산융마」는 서도시창(西道詩唱)이다. 시창(詩唱)은 시를 창으로 부른다는 뜻이다. 서도시창에는 「관산융마」가 유일하다. 고도의 기교를 요하는 소리이다.
원래 이 시는 영조 때의 문인 석북 신광수(石北 申光洙: 1713~1775)의 공령시(功令詩;科詩)로써 모두 44구의 칠언(七言)으로 되어 있다. 원 제목은 「등악양루탄관산융마(登岳陽樓嘆關山戎馬: 악양루에 올라 관산의 전쟁을 탄식함)」이었고 1746년(영조 22년) 가을 한성시(漢城試)에 응시하여 2등에 오른 작품이다. 이 시는 당나라 시대의 시인 두보(杜甫)가 만년에 천하를 유랑하다가 악주(岳州)의 악양루에 올라 안녹산의 난으로 어지러워진 세상을 한탄하며 지은 오언율시인 「등악양루(登岳陽樓)」와 시인 두보의 유랑을 소재로 하고 있다.
내용은 신광수가 동정호 악양루에 오른 두보를 상상하며 두보의 입장에서 전란에 휩싸인 나라의 불행과 두보의 불우한 처지, 그리고 나라에 대한 충성심을 표현하고 있는 시이다. 이 시는 당대에 평양 기생 모란에 의해 곡이 붙여져(1750년 경) 조선 팔도에 널리 알려졌다. 당시 석북 신광수는 평양으로 가서 기생 모란이 자신이 지은 가사로 소리하는 것을 들었으며, 만년에 모란은 서울에 올라와서도 「관상융마」를 시창했다. 신광수의 『석북시집』에는 다음과 같은 시와 기록이 보인다.1)
余之西遊(여지서유) 每携丹妓於湖樓畵舫間(매휴단기어호루화방간) 燈前月下(등전월하) 丹妓輒唱余關山戎馬舊詩(단기첩창여관산융마구시) 響遏行雲(향알행운): 내가 일찍이 평양에서 놀 때 매양 모란과 함께 경치 좋은 누각이나 멋진 배를 타고 등잔불 앞과 달 아래에 있었다. 모란이 문득 관산융마를 노래하면 그 목소리가 지나가는 구름도 멈추게 하는 것 같았다.
두백명이입한경 頭白名肄入漢京 명기 모란이 머리 희어 소리하러 서울에 왔네
청가능사만인경 淸歌能使萬人驚 그 노래 솜씨 만인을 놀라게 한다네
연광정상관산곡 練光亭上關山曲 평양 연광정 위에서 듣던 관산융마
금야하인청구성 今夜何因聽舊聲 오늘밤 다시 들을 수 있을까
청류벽하목란주 淸流壁下木蘭舟 청류벽 아래 모란배 타고
억청릉가기도유 憶聽蔆歌幾度遊 노래 소리 듣고 놀기를 몇 번이나 하였던고
만호장안금석월 萬戶長安今夕月 서울 장안 오늘밤도
가련유사패강추 可憐猶似浿江秋 그때 가을 대동강 밤같이 소슬하다
이원남접광통교 梨園南接廣通橋 이원은 남으로 광통교에 접하고
지척선군약수요 咫尺仙裙弱手遙 지척에 아름다운 여인의 치마, 하지만 신선은 멀다
청설가성의구호 聽說歌聲依舊好 들으니 그대 고운 노래 소리 여전히 좋은데
지응안색도금조 秪應顔色到今凋 아름답던 홍안에는 주름이 잡혔네
聞浿妓牧丹肄樂梨園 戲寄 聞浿妓牧丹肄樂梨園 戲寄(평양기생 모란이 이원에서 소리함을 듣고 붙임)
위의 내용을 보면 모란은 18세기 중반 당시에도 당대의 명창이었으며, 또한 「관산융마」는 인구(人口)에 회자(膾炙)되었던 매우 유명한 소리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원’은 당시 장악원의 별칭으로 평양기생이 장악원에 와서 노래했다는 것을 볼 때 18세기 말 서도와 중앙의 음악적 교류 현장을 살필 수 있기도 하다. 모란의 창은 여러 명창들에 의해 현대에까지 대표적인 서도창으로 전승되어 왔다.
석북의 시는 현재 부르는 「관산융마」의 작사와 작곡자, 또한 작곡과 작사 시기까지 알 수 있는 자료여서 우리 국악사에서 각별한 의미를 지닌다. 우리 국악 성악(聲樂)에서, 「수심가」 중 가장 많이 부르는 “약사몽혼(若使夢魂)으로 행유적(行有跡)이면 문전석로(門前石路)가 반성사(半成砂)로구나”(이옥봉), 가곡과 시조창 노랫말의 작자가 알려진 것 외에는 알 수 있는 작사가가 거의 없다는 것과, 한 노래의 탄생에 관한 여러 가지 사료가 완비되어 있다는 점에서, 「관산융마」는 사료적 가치가 높다.
소리 「관산융마」는 대개 1, 2구 길어야 3, 4구까지만 시창되는 관계로 그 동안 전체 노랫말 중, 후의 6구가 낙구(落句) 되어 전해 왔다. 김정연의 『서도소리대전집』, 이창배의 『한국가창대계』를 비롯한 거의 모든 가사집에는 38구만 나와 있어 그 동안 국악계에서는 그것이 끝인 것으로 알고 있었으나, 사실 이 시는 원래가 44구이다. 석북 신광수의 후손인 시인 신석초(1909~1975)가 펴낸 『석북시집』에 원래의 「관산융마」가 원본 그대로 실려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관산융마 (창악집성, 2011. 07. 04., 하응백)

Опубликовано:

 

14 окт 2024

Поделиться:

Ссылка:

Скачать:

Готовим ссылку...

Добавить в:

Мой плейлист
Посмотреть позже
Комментарии : 2   
@김선아-b3d
@김선아-b3d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선생님 잘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그리고 반갑습니다
@honggyu0218
@honggyu0218 2 года назад
춘원이 평양가서 이노래를 듣고 그의 이름을 석북과 같은 광수로 고쳤다지요 시인 신석초선생이 석북의 7세손 ᆢ 석북은 시를 잘 지었지만 과거에는 운이 없었는데 ᆢ이 등악양루탄관산융마 도 향시인 한성부에서는 차석을 했으나 그후 급제는 못했다고 합니다. 옛날 시조창 단소배울때 이시를 알고 이시 전부를 베껴 썼는 기억이 ᆢ
Далее
시창 관산융마 - 김월하
8:58
Просмотров 28 тыс.
계자제서
6:52
Просмотров 14
눈물 없이 못 보는 레전드 판소리 무대..
26:27
서도소리 10 민요 '영변가' ㅡ 백운선
6:28
Просмотров 1,4 ты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