Тёмный

🐕강아지 세계엔 서열이 없다?ㅣ강아지와 늑대는 이렇게 다르다 

grudy
Подписаться 474
Просмотров 998
50% 1

그루디는 ‘우리 아이’가 오랫동안 가치있는 삶을 살 수 있도록 사실에 기초한 인사이트를 나눕니다.🐾
00:00 강아지 서열이론의 오류
00:21 늑대무리 이론과 그 반박
02:42 강아지 실제 인지능력
03:56 강아지 훈육에 대한 결론
문의: grudyofficial@gmail.com
레퍼런스:
Schenkel, R. (1947). Ausdrucks-Studien an Wölfen; Gefangenschafts-Beobachtungen [Expression studies in the wolf; captivity-observations]. Behaviour, 1, 81-129. doi.org/10.1163/156853948X00065
Frame, P. (2004). Wolves: Behavior, ecology, and conservation, edited by L. David Mech and Luigi Boitani [Book review]. ARCTIC, 57(2), 212-213. doi.org/10.14430/arctic540
Kirchhofer, K. C., Zimmermann, F., Kaminski, J., & Tomasello, M. (2012). Dogs (Canis familiaris), but not chimpanzees (Pan troglodytes), understand imperative pointing. PLoS ONE, 7(2), Article e30913. doi.org/10.1371/journal.pone....
MacLean, E. L., Herrmann, E., Suchindran, S., & Hare, B. (2017). Individual differences in cooperative communicative skills are more similar between dogs and humans than chimpanzees. Animal Behaviour, 126, 41-51. doi.org/10.1016/j.anbehav.201...
Mech, L. D. (1999). Alpha status, dominance, and division of labor in wolf packs. Canadian Journal of Zoology, 77(8), 1196-1203. www.npwrc.usgs.gov/resource/2...
Vieira de Castro, A. C., Fuchs, D., Morello, G. M., Pastur, S., de Sousa, L., & Olsson, I. A. S. (2020). Does training method matter? Evidence for the negative impact of aversive-based methods on companion dog welfare. PLOS ONE, 15(12), Article e0225023. doi.org/10.1371/journal.pone....
Wobber, V., & Hare, B. (2009). Testing the social dog hypothesis: Are dogs also more skilled than chimpanzees in non-communicative social tasks? Behavioural Processes, 81(3), 423-428. doi.org/10.1016/j.beproc.2009...

Животные

Опубликовано:

 

29 июн 2024

Поделиться:

Ссылка:

Скачать:

Готовим ссылку...

Добавить в:

Мой плейлист
Посмотреть позже
Комментарии : 14   
@grudy_official
@grudy_official 3 дня назад
영상에서 작은 오류가 있어 정정해 드립니다. 1:54 부분에서 강아지가 인간과 공존하기 시작한 시기를 "1500년 전"이라고 언급했는데, 정확한 수치는 "15,000년 전"입니다. 구두로 말하는 과정에서 실수가 있었네요. 이 기간은 강아지의 진화와 인간과의 관계 형성에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15,000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강아지는 인간과 함께 진화하며 오늘날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습니다. 정확한 정보 전달을 위해 이 부분을 수정하여 알려드립니다. 앞으로도 더욱 정확한 정보 전달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misukhan640
@misukhan640 3 дня назад
근데요 답없는 개녀석에게는 효과가 크던데요 사람이나 개나 훈육과 체벌은 필요하다는 ㅎㅎㅎ 무조건 폭력은 안돼 이런게 요새 사회적분위기인데 그건 틀린듯 혼날땐 체벌해야하는듯요
@grudy_official
@grudy_official 3 дня назад
말씀하신 주제는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다양하게 나뉘는 복잡한 문제입니다. Robert Cabral과 같은 유명 훈련사들이 주장하는 balanced training의 현실적 필요성은 이해가 됩니다. 실제 상황에서 순수한 긍정강화만으로 강아지가 보이는 모든 문제를 해결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점은 고려해볼 만한 부분이죠. 그러나 과학적 연구 결과들이 지속적으로 긍정강화 중심의 훈련 방식을 지지하고 있다는 점도 중요합니다.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이 방식이 반려견의 복지와 보호자와의 관계에 더 이로운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요. 늑대무리이론, 서열에 기반하여 발전된 훈육 방식은 과학적으로 근거가 없다는 점을 다시 한 번 강조하고 싶습니다.
@kojihahohehi5372
@kojihahohehi5372 4 дня назад
지능이 높을수록 오히려 서열이 존재하는건데?
@ssun621
@ssun621 4 дня назад
수의사님 입장이라기보단 학자들이 그렇다더라 알려주신듯유 ㅎㅎ
@grudy_official
@grudy_official 3 дня назад
높은 지능을 가진 일부 동물 종에서 복잡한 사회 구조가 관찰되는 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최근 연구들은 강아지의 사회적 행동이 단순한 서열 구조보다는 더 유연하고 상황 의존적이라고 제시하고 있어요.예를 들어, 강아지들은 상황에 따라 다른 개체에게 리더십을 양보하기도 하고, 협력적 행동을 보이기도 합니다. 이는 엄격한 서열보다는 상호 이해와 협력에 기반한 관계에 가깝습니다. 물론 이는 모든 강아지에게 똑같이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개체차와 환경의 영향도 크게 작용합니다.강아지의 사회적 행동에 대해 우리가 아직 모르는 것이 많습니다. 앞으로의 연구들이 이에 대해 더 많은 통찰을 제공해줄 것 같아요.
@kojihahohehi5372
@kojihahohehi5372 3 дня назад
​@@grudy_official 할 말 많으나 서로 바쁜 사람들이니 패스. 하지만 제목은 잘못 적은신듯하네요
@user-rz3xq8ey5w
@user-rz3xq8ey5w 4 дня назад
우리나라는 아직 교육은 폭력이 있어야 큰 매력을 느낌니다 😂😂😂 폭발적인 인기도 누리지요
@inkk8757
@inkk8757 4 дня назад
뭐라는지 모르겠다 때리면서 교정하는사람은 본적이 없는거같은대 2~3세 지능이면 말로하면 알아들을까? 수의사가 할 이야기는 아닌듯
@grudy_official
@grudy_official 3 дня назад
안타깝게도 강압적인 훈육 방식은 여전히 존재하는 문제입니다. 실제로 미국동물행동수의사회(AVSAB, American Veterinary Society of Animal Behavior)에서 2021년 9월에 이에 대한 공식 성명을 발표할 정도로 심각한 이슈로 다뤄지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도 반려동물 인구가 급증하면서 이와 유사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이 우려됩니다. 강아지에게 단순히 말로만 하는 것이 아니라, 처벌이 동반되는 강압적인 훈련 방식이 단기적으로는 효과가 있어 보일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반려견의 복지와 반려인과의 관계에 해를 끼칠 수 있다는 점이 전문가들이 가장 크게 염려하는 부분입니다.
@user-dw2hb1bq5m
@user-dw2hb1bq5m 4 дня назад
개가 늑대지.. 늑대를 훈육한게 개일뿐~ 이 사람 수의사 맞나? 아무리 오랜기간 사람에 의해 훈육이 되었다곤하지만...본능이라는게 있다. 그걸 뛰어넘은 개체들도 있는 것이고...그걸 뛰어넘지 못하고 본능에 충실한 개체가 있는 것뿐~ 이것이 정답이라는 듯이 말하는 것은...잘못임~ 개를 사랑하는 건 이해하나~ 섯부른 판단으로 개체의 차별성을 인정하지 않는 이런 영상은 지양하시길~
@grudy_official
@grudy_official 3 дня назад
강아지는 개체마다 다른 특성을 보이는 것은 사실입니다. 다만, 최근의 연구들은 강아지가 오랜 시간 동안 인간과 함께 진화하면서 늑대와는 꽤 다른 특성을 갖게 되었다고 제시하고 있어요.새로운 연구 결과들을 참고하면서도, 각 반려견의 개별적 특성을 고려하는 균형 잡힌 접근이 가장 이상적일 것 같습니다.함께 더 나은 반려 문화를 만들어가는 데 관심 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no.5surgeon880
@no.5surgeon880 4 дня назад
이렇게 교감 싸대기때리는 초딩이 탄생하게 되는거지
@MrMetel72
@MrMetel72 3 дня назад
개 키운적 없는듯..
Далее
ШАР СКВОЗЬ БУТЫЛКУ (СКЕРЕТ)
00:46
치토스로 체감되는 요즘 물가
00:16
Просмотров 692 тыс.
I Built 100 Homes And Gave Them Away!
09:36
Просмотров 42 млн
#история @brai_sa
0:57
Просмотров 511 тыс.
Отправила кота в космос
0:14
Просмотров 5 млн
Desafio IMPOSSÍVEL! #trending
0:19
Просмотров 14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