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뮬레이션 커스텀2키 누르지 않고 MDI M17;입력 머심락 걸로 기계 키보드 조작판에 그래픽(도안)버튼 누르면 됩니다 커스텀2키(EZ-i)가 되는 기계가 있고 없고 해서 일반적으로 머신락걸어서 그래픽(도안)보는게 보통이지요...M18(머신락해제)후 원점복귀 필수 입니다
현장일 관리하는데 사람마다 셋팅방법이 많이 다르네요.ㅎ 현장은 셋팅방법을 최대한 빠른방식으로 정확하게 쉽게 하는데. 이방법으로 하면 너무 느리죠.ㅎ 큐세터도 너무 느리고. 워크시프트랑 측정을 이용한 방법이 전 젤 빠르더라구요. 젤 중요한건 터렛번호랑 공구번호를 같게하지말고 외경 정황삭공구번호 정해두고 내경도 번호 정해두는게 프로그램 여러가지 짤때 편하고 셋팅도 아주 빨라서 현장에서 쓰기에는 젤 좋죠. 시험치는 방법으로는 현장서 욕만 먹죠. 엔시를 젤 잘하고 전문가로 올라가는방법은 도면을 보고 최대한 적은공정, 소재의 무게중심 가공후 무게중심까지 생각하면서 싸이클 최대한 빠르게 프로그램을 짜는 능력을 키우는거니까요. 엔시 배우시는분들 꼭 도면 잘보는 눈을 키우세요~
여태껏 이렇게 알려주는 동영상이 없었던것은 사실입니다. 그러니 더더욱 신뢰가 되어 물어보는것 같습니다. 저는 CNC공작기계를 설치하고 고장 발생시 정비 수리하는 엔지니어 입니다. 현대위아,두산공작기계,화천기공 공작기계 메이커 3사다 경험 해봤습니다. 시스템은 화낙,비젼380,지멘스,미쯔비시 까지 나름 혼자 공부하면서 20-30대를 보냈네요.
CUTEX 160a 기계 사용하시는 영상 잘 봤습니다. 그런데 공작물 좌표계 설정을 황삭으로 먼저 깍고 돌려 끼우고 다시 깍고 U 오리진, W 오리진 하시던데, 영상에서는 황삭 → 정삭 → 홈 → 나사 순으로 하시던데 정삭 → 황삭 → 홈 → 나사 순으로 해도 상관없나요? 그리고 U 오리진 할때 오리진 누르면 실행이 안뜨고 바로 U0이 잡히던데 설정 된건가요?? 마지막으로 맨 처음 빽 가공 공작물 좌표계 설정 해주면 앞 가공은 안하고 돌려 끼우고 바로 깍기 시작해도 되죠? 그리고 프로그램에 한번에 빽가공, 앞가공 프로그래밍 하셨던데 따로 따로 프로그래밍 하고 빽가공 프로그램 불러오고 깍고 앞가공 프로그램 불러오고 깍고 하는것도 되죠?
MCT를 하고싶어하는 사람도 많지만 모든 공작기계 기본은 2축 CNC가 기본입니다 이프로그램은 장비마다 조금씩 틀리니까 가급적 신형보다 구형으로 배우는걸 추천합니다 추가로 이렇게 좌표 설정하면 충돌할 확률이 높습니다 너무 필요없는 설정이 많네요 교육용으로만 사용하기는 좋지만 실무에서는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네요
경력은 10년이상인데 자격증 하나 없다는게 걸려 밀링기능사취득후 경력인정되어 기능장 취득 밀링기능사 취득하니 선반은 실기만하는거라 할까말까 고민중(기능장 취득후라) 접수하고 선반을 취득했는데 시험중 엄청 이쁜 여자분도 실기시험을 하는걸보고 놀랐던 기억이나네요. 이쁜 선생님이 가르치니 얼마나 좋을가요 부럽습니다. 저두 나이들어 교사를 해볼까 생각만하다 얼마전 직훈교사2급을 취득하고 나중에 혹시나 교사를 할수있을가? 생각에 취득은 해뒀는데 현장일만 하다보니 대화도 많이 없고 자신이 없어 현장일만 열심히하며 가끔 신입들 들어오면 가르치기보다 물어보면 궁금해 하는것만 알려주고있네요. 혹시나 이쪽 계통 기계일을 하고 싶으면 폴리텍이나 직훈/학원을 추천드려요. 현장에서 배우면된다지만 학교/직훈/학원에서 현장에서 못배우는 기초를 꼭 알아야 할것들이 많아요. 마지막으로 선생님 선반 실습할대 가르치는 잘가르치시는데 안전을 위해 머리를 묶고하셔요. 화이팅입니다.
20년째 cnc선반하는 사람입니다. 인천기계공고 졸업했구요. 라떼는 시커먼 남쌤 한테 처음 배웠는데, 격세지감이라고, 요즘은 여신 선생님이 저리 친절히 갈쳐주니 요즘 공고딩들이 부럽네요.... 아, 라떼에 저런 여신이 cnc를 갈쳐 줬다면 지금쯤 명장이 되었을 겁니다. ㅋㅋㅋㅋㅋ 수직, 수평할거 없이 모든 사이즈의 cnc선반을 하는 사람으로서 공고딩들에게 말하자면.....이만한 전문직도 없습니다. 대학을 안 나와도 지금은 연봉 6000 이상 받고 있습니다. 아, 몇년간은 나 죽었소 하고 열심히 기술연마를 해야하는 조건입니다. 세상에 쉽게 얻어지는건 없으니까요..... 가장 보람을 느낄때는 현장에서 아무것도 모르는 외국노동자, 한국 초보자들을 잘 갈쳐서 나중에 고맙다고 가끔씩 연락 올 때입니다. 아, 여신쌤~~ 학교에선 그리 가르치지만, 한가지 알려주자면, 좌표계 설정시 워크 좌표계에서 X좌표는 0으로 냅두는게 훨씬 현실적입니다. 실제 현장에선 써먹을 일이 없어용~~. X값은 형상에서 각각 공구별로 보정값을 독립시켜서 사용합니다. 아, 물론 mct는 X좌표도 설정해서 씁니다. 그나저나 영상 속 기계는 척 사이즈 6인치로 보이네요.....소형 사이즈 가공에는 딱 좋죠....
@@n20u97 워크 좌표계 말하는 거면.....맞아요.... 워크좌표계는 기계 메이커 마다 호칭이 다른 경우도 있는데......보통 크게 4가지로 부릅니다. 1. 워크 좌표계 2. WORK SHIFT 3. 공작물 좌표계 4. 공작물 이송 이렇게 호칭은 다르지만, 보정 방향은 같아요. 워크 좌표계 보정 방향이 헷갈리면... 공구 '형상' 값 보정 방향의 반대로 기억하면 됩니다.
36이고 원래는 인쇄쪽 일을 10년 넘게 하다가,건강상 문제로 cnc나 mct분야의 기술을 배워 보려 하는데,버튼맨 일을 하는 로봇이 생기는등 어떤분은 전망이 밝지 않다 넘 오래됐다 하는데 밍디님 생각은 어떤가여? 정말 cnc나 mct 공장에 로봇등이 생겨서 사람이 하는일을 대신 한다면 지금 부터 이분야의 기술을 배운다 해도 무용지물일까여?
죄송한데요 저렇게 0점 잡다가는 시험시간 끝나요 워크시프트 측정에 x는 무조건 0으로 두고요 Z축에 0 측정 눌러서.자동 측정 합니다 그리고 옵샛 1번 공구가서 지름만큼 예를들어 50이 나왔으면 50.측정 이렇게 하시고 옵샛값 z축은 0 입니다 나머지 기준 공구외엔 모두 옵셋값에 z0 측정 x값 터치후 50 측정 이렇게 하는 방법이 가장 빠르고요 자동 측정하지 않고 일일이 수동으로 그 값을 넣다니 먼가 복잡하네요 그럴바앤 차라리.형상 보정 하세요
혹시 이 영상에서 강의 해주시는분 프로그램 보니깐 마지막에 M00 ; ; G28 안쓰고 바로 G50 쓰셨는데 저건 빽가공이랑 앞가공 프로그램을 같은 메모장에 동시에 넣어서 가공 하셔서 그런가요? 저 기계 같은 경우 저렇게 하는건지 아니면 두개의 메모장을 써서 하나는 빽가공 하나는 앞가공으로 빽가공 프로그램 끝났으면 앞가공 프로그램 가져와서 하면 안되는거에요?
한쪽 가공후, 반대 쪽 가공을 위해 다시 살짝 터치 후 측정기로 수치를 알아낸 후소재(가공 공작물)의 여유량을 빼주면 되므로 *10으로 하시는게 더 수월합니다. *100은 공작물에 최대한 가까이 이동시에 자주 사용합니다.👍 측정기로 최대한 정확한 값을 알아낼수 있기에, 중요한건 죠 가공과 기계 상태가 중요합니다.
저도 여선생님이 강의하시니 놀랬는데 내용 영상이 재밌고 이해가 쉽습니다.. 회사 갓 신입때 현장 직장님이 저기가서 노기스 가져오라고 했을때 몰라서 어리버리 했던 기억이 있네요..학교에서 배운것과 실무에서 배우는 것들이 너무 달라 적응했던게 어느덧 20년이 넘게 흘러버렸습니다..^^
안녕하세요! 항상 양질의 영상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이번 기계 임용고시를 보고 2차준비를 하고있는 학생입니다. 수업실습면에서 많이 약해 고민중이던 찰나에 영상을 접하게 되었네요!! 죄송하지만 혹시 밀링이나 용접관련 실습 영상도 올리실 계획이 있으신가요??? 항상 감사합니다!!
CNC선반 이 어렵다 . 저런 세팅 프로그램은 어려운게 없다 . 다만 현장은 어렵다 이유는 재질이 다르기 때문이지 . 우레탄 같은 재질은 가공 하면 치수가 뒤죽 박죽 임 . 프로그램 된대로 치수가 안나옴 . 가공시 우레탄 재질은 뒤로 밀리는 . 현상 때문에 치수 맞추기 어려움 . 또 100분의 1단위 정밀공차를 절대좌표 세팅해서 맞추어 내는것도 쉽지 않지 . 보통 한번 절삭해보고 M01로 정지후 치수 마이크로미터 로 측정해보고 맞추어감
영상 잘 봤습니다. 질문이 있어서 댓글남겨요. 1. 선반과 터닝이 같은 가공방식인지 2. 연삭과 절삭의 차이 3. 절삭공구 선택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순서( 품질,가격, 용도 엔드밀/페이스밀 등) 4. 인서트의 사용 용도 문과생인데 절삭공구에 궁금증을 물어볼 곳이 없어서 댓글남겨요!
2.연삭은 회전하는 연삭숫돌로 공작물가공하는데 숫돌입자가 떨어져나오면서 공작물에서도 입자가 발생하여 조금씩 깍여나옵니다 치수정밀도를 요하는 가공입니다 절삭은 절삭공구와 공작물의 상대적인 운동을 이용하여 깍아낸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연삭보다는 큰 칩이 발생하고요 공작물에서 칩이 발생하는게 중요포인트같네요.
안녕하세요! 답변드립니다:) 1. 황삭바이트를 기준으로 공작물좌표계 설정을 했기 때문에 하지 않는 것이 맞습니다! 2.나사바이트의 경우에는 프로그래밍할때 불완전나사부 때문에 나사부가 시작되기 전부터(보통 나사시작부분에서 모따기량만큼) 시작되어서 나사부보다 더 안쪽까지 절삭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3.좌표계설정과 공구보정을 하셨다면 기능사 합격선 수준은 통과하리라 생각합니다! 화이팅하세요^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