Тёмный
범준에 물리다
범준에 물리다
범준에 물리다
Подписаться
안녕하세요. 김범준의 유튜브 채널입니다.
#물리학 #과학 #양자역학 #원자론

🧲물리학으로 보는 세상,
보이지 않아도 보이게끔 재밌게 도와드리겠습니다.🧲

✅섭외 및 광고 문의 : beomphysics@gmail.com

Комментарии
@youngha4057
@youngha4057 7 минут назад
항상 가볍고 편안하게 교수님말씀 듣고있습니다^^
@user-th1kt1sr8h
@user-th1kt1sr8h Час назад
장동민이 빠지다니
@user-yn8ljinn
@user-yn8ljinn Час назад
종이 접기의 신비.... NASA도 종이 접기에 진심인 이유!!!! 그리고 나무 막대길이는 두번째방식으로만 다리를 만들면 바로 무너짐!!! 교수님 방식대로 해야 교량이 버팁니다. 그리고 무한 동력이라는 그걸 미세하게 조정하기 위해선 구술의 속도부터 센서를 달아서 계산해서 ...그러기 위해선 구술이 깔대기 끝 종단부터 모터 전 속도까지 계산해서 돌려주면 됨
@xmzm-sj6ks
@xmzm-sj6ks 3 часа назад
쓸때 없어보이는데 그걸 해석하고 이해하는 요소가 있으면 교수님들 ㅈㄴ 좋아함
@user-im8xd5ed5m
@user-im8xd5ed5m 3 часа назад
12:02 반드시 망할수밖에 없는 전략이죠?
@imchuroo
@imchuroo 4 часа назад
교수님 넘 진지하심 ㅋㅋㅋ
@crazyworf00
@crazyworf00 4 часа назад
읽었던 몇 안되는 소설중 하나가 그거였죠 .. 아마도 그 영향 탓인지 북한이 되었든 한국이 되었든 한반도 핵 보유를 찬성하고 있습니다 ㅎ
@user-hm3fx1rx2i
@user-hm3fx1rx2i 4 часа назад
사랑하는사람들과함께있는꿈꾸다가죽고싶습니다.죽는과정이두려운것같습니다.
@user-bb3zw6kw9j
@user-bb3zw6kw9j 5 часов назад
2023년 임영웅 서울콘서트에서, 우주선에서 내린 임영웅가수가 `do or die`등 5곡의 노래와 격렬한 춤을 끝내고, 정적ᆢ 가수가 퇴장하고 정막이 흐르고 잠시후 칼세이건의 다큐먼터리 마지막 나래이션 '창백한 푸른별' 부분 평화의 메시지가 한글자막과 함께 약 5분간 나오는데 경악ᆢ 그후 임영웅의 자작곡이자 우주관이 담긴 '모래 알갱이'를 불렀습니다. 전 이장면에서 많은 중격과 임영웅가수의 우주관을 봤는데 생각보다는 널리 알려지지는 않았습니다. 저두 고딩때 칼세이건의 코스모스를 읽고 과학자가 되고자 했으나ᆢㅋㅡ세상이 내 맘대로는 안되네요ᆢ 우주 덕후 임영웅가수 사랑해주세요ᆢ
@crusherarchive
@crusherarchive 6 часов назад
쇼츠말고 풀영상은 어디서봐요?
@user-wn6hb7mj5t
@user-wn6hb7mj5t 7 часов назад
죽음? 😂 전혀 안두려움. ㅋㅋㅋ
@user-qp6uj5sg3h
@user-qp6uj5sg3h 8 часов назад
지구가 어떻게 탄생됏냐고? 내가태어나서 탄생된거다 알앗나? 잘생각해바라
@GoodBoy-gn7ns
@GoodBoy-gn7ns 9 часов назад
질문자의 질문은 그게 아닙니다 교수님 하늘로 쏜 총알이 떨어져서 머리에 맞을까의 진짜 속내질문은(똑바로 떨어지게 쏘는 거 쉽지 않다고 말씀하셨는데 몇해만분의 하나의 확률이라도 가능한거라 불가능이라고 말씀하시지 않은 거 같습니다)만약 똑바로 떨어져서 머리에 맞으면 사람이 죽냐 다치냐 그게 궁금한거에요 교수님
@user-ux1mc8mi7h
@user-ux1mc8mi7h 10 часов назад
권총이 아니라 새총이어도 2~3미터 거리에서는 무조건 맞춤
@Skyuniversity653
@Skyuniversity653 10 часов назад
창조론이 답이다.
@jodhi2068
@jodhi2068 10 часов назад
이휘소 박사가 천재는 맞는데 애국자는 아니었는듯 미국 눈치를 보다니 핵물리학자라면 미국눈치를 보는게 맞지만 입자물리학 이라는데 지나치게 미국 눈치를 보고 한국에 기술 전수는 전혀 관심 밖이라면 ,,, 애국자는 아니갑네 그리고 그당시 박정희 덕분에 먹고산 수많은 국민들이 박정희를 존경할때 였는데 ,,,그냥 미국의 뛰어난 미국인 과학자였을 뿐 국적도 한국에서 미국으로 바꾼 사람임 이사건은 뛰어난 미국인 과학자가 사고로 사망한 사건일뿐 ,,한국과 아무관련 없음 노벨상타도 미국인이 타는것임 이휘소 박사의 죽음을 안타까워 하는것은 지극히 한국인 출신 이라는 좌파 자주 민족주의적 사고방식인듯 그분은 그냥 뛰어난 능력으로 자기인생을 살다 가신것뿐임 한국인들이 존경하고 칭송해줄 별다른 이유나 동기가 전혀 없음 그리고 한국도 20년만에 한번 방문할정도로 한국에 관심이 없었음 자발적으로 온것도 아니고 미정부의 일로 온것임 , 노벨상 한번 타지못한 한국 과학계가 성공한 한국계 미국인을 위안을 삼는 대상으로 여기고 있는것임 그게 팩트 소설속의 인물은 이휘소 박사가 모티브가 됐을 뿐이고 오히려 핵개발을 위해 순직한 애국자인것처럼 표현되서 소설이 이휘소란 미국인을 대중에게 유명한 애국자로 만든 계기가 됨 소설은 사실과 전혀다름 오히려 미국 정부의 신뢰를 얻기 위해서 고의로 박정희를 독재자로 몰고 언플을 했다고 보는게 맞음 . 그래서 한국에 오지도 안았음 일본은 노벨상이 흔한데 ,,,,한국출신 유명한 과학자가 없다보니 생긴 해프닝 이라고 보는게 맞음
@mrdrillfpv8716
@mrdrillfpv8716 12 часов назад
소설은 그냥 소설로만 받아들이자고.. 소설을 팩트로 받아들이면 어쩌자는 거임.. 안타까운 마음에 사실인 양 불을 지핀 김진명인가? 이 작가도 참.. 그냥 한국에 세계적으로 진짜 실력있는 물리학자 한 분이 계셨었는데, 안따까운 불의의 사고로 일찍 돌아가셨다.. 정도로 애도하고 그리워 하자고.. 그 이상 상상력을 보태면 그건 국뽕이자 망상임..
@hyj7153
@hyj7153 12 часов назад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읽고 궁금해서 이휘소 박사님 전기를 도서관에서 빌렸던 고등학교 추억이 나네요 그 이후 제가 존경했던 과학자는 이휘소 박사님이였습니다.
@user-jj2ph3pp2l
@user-jj2ph3pp2l 13 часов назад
이중슬릿에 대한 견해가 궁금함
@QueensLumination
@QueensLumination 17 часов назад
사실 외모 커스터마이징은 뽑기 방식이 였다면??
@user-xk2kk7vw7d
@user-xk2kk7vw7d 19 часов назад
초전도체 멀티탭을 사용하면 전기가 들어옴 ㅋㅋㅋ
@user-ly2dh3yb2x
@user-ly2dh3yb2x 21 час назад
언젠간 지구의달이 없어지겠네 차츰 없어지는거라 적응하는 생물만 살아남겠네
@user-jo9gy9tp9t
@user-jo9gy9tp9t 22 часа назад
머리가 좋은 사람일수록 인생철학? 이런더 빨리 깨닫는다
@System.Error.
@System.Error. 23 часа назад
성대에도 입자 이론 활발히 하시는 교수님 더 있으셨으면…
@StartMJS
@StartMJS День назад
장풍은 바람 에네느기파는 기의 에너지폭발 만화이야기죠 교수님의 온화한 표정과 풍부한 지식은 우리를 설레게합니다 ㅎ
@Allin7days
@Allin7days День назад
왜 유튜브에 나오는 과학자들은 일반인들에게 양자역학을 설명하지 못해 안달일까? 어차피 이해 못 할텐데... 250여년 전에 나온 뉴튼의 운동법칙도 아직 모르는 사람들이 대부분이고, 100여년 전에 나온 아인쉬타인의 상대성 이론은 엄두도 못 내는 상황인데...
@user-no2cd2di2i
@user-no2cd2di2i День назад
산자가 죽은 자를 이야기하는건 안맞다고 생각해요
@Infinityisone
@Infinityisone День назад
11:05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Infinityisone
@Infinityisone День назад
11:14 아니 미국이 왜 죽옄ㅋㅋ 😂
@Infinityisone
@Infinityisone День назад
12:26 실제로 이 시절에는 전 세계 과학자들이 ‘핵실험’을 반대하는 분위기 아니였나? 핵 떨어지는 것을 눈으로 본 뒤에 ‘냉전 우주 기술 전쟁‘이 열린 것이니까. 차라리 ’냉전 우주 기술 전쟁‘이 낮지. 왜 싸우면서 쳐 죽음? 이해가 안되네 아직도.
@Infinityisone
@Infinityisone День назад
13:38 트럭슈퍼맨. 또는 트럭 운전수는 알고 봤더니 도르마무~ 도르마무~ 닥터 스트레인지 인거지 😂
@myungholee8536
@myungholee8536 День назад
김진명이 이휘소 끌어 들여서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아주 잘 팔아 먹었네.
@user-fn6rt3ug1f
@user-fn6rt3ug1f День назад
서울 -> 부산 멜티텝 전기는 = 옴의 법칙 1m당 0.1옴 X 450km = 45k옴 나옴 집에서 전자 부품 45 Kg 저항기를 220v에 연결하면 아무것도 못한다
@bsh1240
@bsh1240 День назад
ru-vid.comUo3do3UXFwk?si=3-B1tTjj07sLy3XU 일반적인 물리 현상은 이해가 다 되고, 설명 찾으면 알 수 있는데. 오토바이로 이런 행동을 하는걸 설명해줄 수 가 없습니다. 왜 이게 가능한가 궁금합니다.
@user-mn2pk2vn2p
@user-mn2pk2vn2p День назад
사실 돈 많으면 처음에 1달러 지면 잃고 잃은돈 +a 해서 다시 넣는것을 반복하다가 이기면 결국 잃은것보다 많게 딴것이기에 그대로 스톱해도 개이득인거네;;
@user-ld7uh5dh3e
@user-ld7uh5dh3e День назад
저 조잡한 플라스틱 장난감으로 칭찬받길 원했나
@user-lk3fp7ns9k
@user-lk3fp7ns9k День назад
a는 어떻게해도 죽고 b는 살 가능성이 높지..
@cdba207
@cdba207 День назад
썸네일 미국도 간장치킨으로 읽고 들어왔습니다... 긴장시킨이였군요
@user-xe5qt7sn2c
@user-xe5qt7sn2c День назад
CIA가 사람 얼마나 많이 암살했는데
@allenyoo57
@allenyoo57 День назад
'무궁화꽃이 피었습니다'를 쓴 김진명 작가는 그 외에도 여러 역사적 인물을 주인공으호 하던지 하는 소설들에서 본인의 상상력으로 만들어진 상황들이 마치 역사적 사실인양 주장하는 경향이 강했지요. 한때의 센세이션은 일으켰지만, 지금 MZ세대는 누군지도 모를겁니다. 결국 교과서에 수록될만한 작품은 못 남겼으니까요
@lllIlllllllllllIl
@lllIlllllllllllIl День назад
자기 주장에 확실한건 확실하게 다른것은 다르게 생각하고 편이라 좋긴하네 생명탄생을 주장할려면, 생명탄생에 조건을 만들고 실험해서 초기 원시 생물체라도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함 그것이 있기전 까진 창조론자들을 무시해서는 안됨. 창조자란 신일수도 있고, 그냥 문명이 발달된 외계인일수도 있고
@user-chimhero
@user-chimhero День назад
아까 박사님 영상 봤는데 소름...
@melbourne4462
@melbourne4462 День назад
아까운 인재 너무 일찍 돌아가시고
@imchuroo
@imchuroo День назад
범준을 물다 먹다 냠냠냠
@user-ke1nf5lt3s
@user-ke1nf5lt3s День назад
박사님. 잘보고 있습니다. 광속불변 법칙 소개해 주실수 있으신가요?ㅜㅜ
@user-yk1ts1po4u
@user-yk1ts1po4u День назад
교수님 달리는 속력이 같다는 전제하에 자전하는 방향으로 달리는 거랑 반대방향으로 달리는 거랑 미시적으로 보면 기록이 다르게 나올 수 있을까요?
@muny197
@muny197 День назад
여태 그렇게 생각하고 있었는데 역시 남말만 믿으면 안되네요 의심되면 자료 찿고 분석해야 하는군여 감사합니다 교수님
@user-en4qf6xo6j
@user-en4qf6xo6j День назад
교수님..과학의 대해서 문외한인데 너무 재미있게 말씀해주셔서 시간가는줄 모르게 듣고 있습니다 … 어쨌거나 그분도 나라위해 공이 많으신 분인건 부인하지 못하지 싶네요….그래도 ..식견있으신분들이 치우친다면 나라가 더 분열만 조성되어가는게 아닐까요..ㅠㅠ
@JJuNNak
@JJuNNak День назад
🍞🍞🍞🍞🍞🍞🍞🍞🍞🍞
@gaulsan
@gaulsan День назад
중학생 때 코스모스 읽은 것은 제 생각의 자전축이 바뀌는 사건이었어요.
@coffe-plant
@coffe-plant День назад
앗 독재정권이라고 하시다니 태극기 들고 그분들 몰려올 수 있습니다
@user-cd4tl4zj1x
@user-cd4tl4zj1x День назад
한국인 물리학자 중 가장 유명하긴 하지만 물리학이 한창 쇠퇴하고 삼류 수학으로 타락해 갈 때 그 현장에서 활동 했었던 시대의 책임을 나눠 지어야 할 인물일 뿐임.
@leavecar3189
@leavecar3189 День назад
이휘소 박사가 직접 남긴 편지도 있는데 뭔 독재시대 망령들이 튀어나와서 헛소리들을 싸지르고 있담. 서울시에서 공공돌봄예산 100억 삭감하고 110억 들여서 대형 태극기 설치한다니까 그쪽 가서들 노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