Тёмный

곰의 진화|지구에서 가장 거대했던 곰은 왜 멸종했을까? 

과학드림 [Science Dream]
Подписаться 1 млн
Просмотров 1,7 млн
50% 1

과학드림은 여러분의 소중한 후원으로 성장합니다.
멤버십 가입!▶ bitly.kr/ZDqKr1WUG
과학드림의 식구가 되어 주세요! :)
다른 후원 방법!▶toon.at/donate/sciencegive
=============================================
남미에 서식하는 안경곰에게는
꽤나 길고 신기한 역사가 있습니다.
녀석은 바로, 지구 역사상 가장 거대했던 곰,
아르크토테리움의 후예죠.
도대체 이 거대한 곰은 어쩌다 남미에 살게 됐고,
또 왜 이렇게 커진 걸까요?
그리고 왜 멸종했으며,
그들의 후손인 안경곰은
왜 조상과 달리 크기가 작아지게 된 걸까요?
역사상 가장 컸던 곰탱이에 대한 이야기,
지금 시작합니다!
#곰 #아르크토테리움 #거대곰
=============================================
[참고 자료]
- Leopoldo H. Soibelzon et al., (2011). "The Largest Known Bear, Arctotherium angustidens, From The Early Pleistocene Pampean Region of Argentina: With a Discussion of Size and diet Trends in Bears."
- Kieren J. Mitchell et al., (2016). "Ancient mitochondrial DNA reveals convergent evolution of giant short-faced bears (Tremarctinae) in North and South America."
Borja Figueirido et al., (2010). "Demythologizing Arctodus simus, the ‘short-faced’ long-legged and predaceous bear that never was."
- Mario Andre Trindade Dantas et al., (2021). "Isotopic palaeoecology (δ13C) of three faunivores from Late Pleistocene of the Brazilian intertropical region."
[참고 기사 링크]
- 아르크토테리움의 발견과 생태 관련 링크: on.natgeo.com/3QyM2D1
- 곰의 진화 과정 관련 링크: bit.ly/3SHiFjM
[사진 및 영상]
- 셔터스톡 외
[음악]
(1)Pashosho
(2)Aint looking back
(3)Music: [Celebration] by Alexander Nakarada (www.serpentsoundstudios.com)
Licensed under Creative Commons BY Attribution 4.0 License
creativecommons.org/licenses/b...
(4)Counting the Money
(5)Pashosho

Наука

Опубликовано:

 

11 авг 2022

Поделиться:

Ссылка:

Скачать:

Готовим ссылку...

Добавить в:

Мой плейлист
Посмотреть позже
Комментарии : 861   
@ScienceDream
@ScienceDream Год назад
딸 아이가 아파서 영상 제작이 좀 늦게 이루어졌습니다ㅠ 매번 느린 업로드 주기임에도 늘 찾아주시는 구독자, 시청자 분들께 항상 감사드립니다❤
@jun____young
@jun____young Год назад
헉 목소리가 너무 어리게 들려서 결혼하신줄도 몰랐는데 모쪼록 아이가 건강하길 기원할게요!!오늘도 잘봤습니다!
@wono9715
@wono9715 Год назад
괜찮아요~ 어쩔수 없었던 건데요~
@user-xs7hc8pl4o
@user-xs7hc8pl4o Год назад
딸이 있었다니 몰랐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user-kt8uu8wr5o
@user-kt8uu8wr5o Год назад
따님의 쾌유를 빌며. 영상 감사히 보겠습니다.
@Leesquid2718
@Leesquid2718 Год назад
앗... 따님이 아프셨다니... 따님이 건강하시길 기원합니다...
@user-pk3lz9oh5i
@user-pk3lz9oh5i Год назад
현존하는 곰도 정말 거대하다고 생각했었는데 더 거대한 곰이 있다니 정말 놀랍고, 정말 멋있네요.
@noahkim2878
@noahkim2878 Год назад
재밌는 영상 항상 감사합니다! 혹시 다음 영상 (아니면 언젠가..ㅎ) 은 댓글에 올라온 질문들이나 구독자들이 궁금해할만 한 질문들을 Q&A 형식으로 만들어주셔도 좋을 것 같네요! (제 질문 : 수렴 진화를 통해 조상이 다른 두 생물의 특징이 완전히 같아지면 같은 종으로 분류되나요?)
@user-tu3ny2hl2x
@user-tu3ny2hl2x Год назад
생물학 전공자로서 대신 답변해드릴게요. 다소 부정확한 정보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현재 종을 나누는 기준은 세 개가 있는데요. 흔히 유전학적으로 분류하는 편입니다. 이를 통해 계통수를 알 수 있고 공통조상으로부터 언제쯤 분화되었는지 알 수 있죠. 다시 질문으로 돌아와 수렴진화를 했더라도 이들은 애초에 다른 조상으로부터 진화했으니 유전학적으로 서로 다른 종입니다. 박쥐가 날개가 있다고 새로 분류가 안 되는 이유를 생각해보시면 됩니다.
@botsuzuki8129
@botsuzuki8129 Год назад
과학드림님은 인용 자료를 항상 명시하셔서 신뢰가 갑니다. 늘 흥미롭고 재밌는 주제 선정하시느라 고생이 많으십니다.
@user-zz1lv8ef3z
@user-zz1lv8ef3z Год назад
공감합니다 저도 과학드림 채널 구독하고 챙겨본지 1년 넘은 것 같습니다 처음으로 영상을 보고 출처를 확실히 밝히는 영상이라 믿고 볼 수 있어서 감탄하면서 바로 구독했지요
@user-qo1fz8xp4e
@user-qo1fz8xp4e Год назад
매일매일 기다려지는 과학드림영상 앞으로도 계속 만들어주세요
@user-ls1ef7ul5k
@user-ls1ef7ul5k Год назад
가장 좋아하는 채널~ 오늘 영상도 감사합니다
@dinosaurggagga
@dinosaurggagga Год назад
기다리고 있었어요!! 항상 재밌게 보고 있어요😁😁
@doroshi99
@doroshi99 Год назад
매번 볼때마다 느끼지만 진화라는게 정말 신기하네요. 한세대 한세대로 놓고보면 몰라도 이렇게 시간을 압축시켜서 보게되면 진화만큼 재밌는 분야가 또 없는것같습니다
@user-kf3ws4pc7n
@user-kf3ws4pc7n Год назад
진화는 붓명 신기합니다.. 그래서 과학공부의 동기를 부여합니다. 진화는 점진적 파괴. 퇴화로 귀착됩니다. 생명들의 Aging이며 본질입니다..
@user-rl4vz3me7j
@user-rl4vz3me7j Год назад
과학유튜버 중에서 단연 최고에요 ㅎㅎ 늘 감사합니다
@user-vr2pi9cu6t
@user-vr2pi9cu6t Год назад
진화이야기 넘 재밌어용 다른것들도 많이 해주세요! 박쥐도 보고싶어요
@user-ii9ui8dl8o
@user-ii9ui8dl8o Год назад
항상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winterer_snow
@winterer_snow Год назад
출처를 밝히고 추측은 추측이라 밝히고 가설은 가설이라 밝히는 점이 신뢰성을 높여줘서 좋아요
@yongchangjang2243
@yongchangjang2243 Год назад
과학드림 진짜 내용 전달능력이 좋음. 아무때나 봐도 집중 잘 되는 채널
@TheFederex77
@TheFederex77 Год назад
이번 영상도 참신하고 재미있네요. 앞으로도 영상 자주 올려주세요.
@user-kt8uu8wr5o
@user-kt8uu8wr5o Год назад
지각의 자그만한 움직임이 생명 입장에선 많은 탄생과 진화 그리고 멸종을 불러오는 큰 움직임이니. 지질운동의 위용이 얼마나 큰지 깨닫게되네요ㄷㄷ
@user-mi8ld3un4v
@user-mi8ld3un4v Год назад
유익하고 퀄리티 높은 영상 감사합니다ㅜㅜㅜ 현존하는 타조, 화식조, 에뮤 등의 공통조상은 날 수 있는 새였다고 하는데 이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을 영상으로 보고 싶습니다!
@dolgum826
@dolgum826 Год назад
퀄리티-->콸러티
@asz4495
@asz4495 Год назад
@@dolgum826 그냥 한국식 발음으로 퀄리티라고 하면 돼지 굳이 그렇게 할 필요는 없는듯 디젤도 왜 그냥 디즐이라고 하시죠
@user-nh9tc8lk7f
@user-nh9tc8lk7f Год назад
​@@dolgum826 그렇게 따지면 영어의 고향 영국애들이 하는 발음 퀄리티 퀄레티 퀄리ㅌ이 이런 발음이 맞는거고 콸러티도 틀린거지 웬 동양인이 과학영상에서 지들영어가 정답인거마냥 교정해주고다니는 일부 미국인들 빙의해서 이런 댓글쓰고 다니냐 이게 진짜 과학이네
@user-vd6cm2zb3v
@user-vd6cm2zb3v Год назад
타조와 에뮤등은 백악기에 처음 등장한 고악하강에 속하는데 그때부터 이미 날 수 없는 새였고 현재 남아있는 고악하강은 신생대 팔레오세~에오세에 공통 조상에서 분화된 종이라고 하네요
@user-mi8ld3un4v
@user-mi8ld3un4v Год назад
@@user-vd6cm2zb3v 제가 궁금한건... 현존하는 조류들의 공통, 그리고 직계 조상인 에우오르니스류는 백악기 전기에 처음발생했고 이후 날수없는 종들과 날수있는 종들로 분화했었는데, 고악류들의 조상은 그럼 이들 중 날수있던 종들이 조상인지 날수없던 종인지 알고싶었습니다. 방금 논문을 찾아봤는데, 멸종된 코끼리새의 유전자를 복구하고 분석한 결과 백악기 후기의 고악류들의 조상은 현재의 북반구에서 기원했으며 날수있었고, 비행을 통해 남반구까지 뻗어나가서 이후엔 뉴질랜드 같은 고립된 환경까지 뻗어나갈수 있었고, 그 후에 덩치가 커지는 진화과정이 일어났다는 주장이 있네요!
@user-go9gd1fs4c
@user-go9gd1fs4c Месяц назад
우연히 영상 보고 구독합니다. 너무 재미있어서 계속 보고 좋아요 누르고 있어요 ㅎ
@evevely
@evevely Год назад
항상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user-gr5cf1fy1r
@user-gr5cf1fy1r Год назад
크 너무 재밌고 짜릿해요 애기가 아프지 않고 건강하게 여름을 보냈으면 좋겠네요 🫶🏻
@user-wk6hb6tx1j
@user-wk6hb6tx1j Год назад
항상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rockfeel83
@rockfeel83 Год назад
영상퀄리티도 너무 좋고 나레이션도 너무 좋아요 ㅎㅎ 항상 잘 보고있습니다
@user-dw8ok7hy2m
@user-dw8ok7hy2m Год назад
오 진짜 너무나도 유익한 영상이네요 덕분에 지식을 몇가지 얻고 갑니다 진짜 이런 영상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es9gg2kg1c
@user-es9gg2kg1c Год назад
깔끔한영상잘봤어요ㅎㅎ
@Deeak_01
@Deeak_01 Год назад
갓학드림.. 역시 개꿀잼이구만유
@user-sj8xk3kw3e
@user-sj8xk3kw3e Год назад
과학적 상식과 최근 화제에 대해서 관심이 많은 과고생입니다! 과학드림님 채널의 영상은 자료의 출처와 시간을 밝혀주시며 설명해 주셔서 자료의 신뢰성이 저도 모르게 올라가고 연구 결과와 가설의 발표등을 년도순으로 정리해주셔서 모순으로 생각되는 부분이나 궁금한점 같은 의혹을 떠올릴 시간을 주시고는 그에 대한 해답을 주시는게 너무나도 마음에 들어 챙겨보게 됩니다. 과학은 세상을 보는 창이라는 말은 저의 과학에 관한 철학관을 주었습니다! 앞으로도 좋은 영상 많이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ScienceDream
@ScienceDream Год назад
과고생이 제 채널까지! 너무 감사드립니다. 과고생이 보기엔 내용의 깊이가 얕을 수는 있겠지만, 재미는 있는 영상들로 채워 볼게요:) 이렇게 제 채널을 극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Leesquid2718
@Leesquid2718 Год назад
곰의 진화라니 흥미로운 주제네요! 오늘도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user-mg7gj5uu8y
@user-mg7gj5uu8y Год назад
안경곰도 팬더처럼 소화기관이 육식동물에 가깝나요?
@myonetrueloveleejigeum4712
@myonetrueloveleejigeum4712 Год назад
초식두 하고 고r일두 먹구 Hanㄷr는 것으로 보아 ㅇrㅁr두 ... 원숭이오r ㅂㅣ스타즈l 않흘ㅋr ㅎrㄴㅔYo ...
@user-qj5fk4nh4w
@user-qj5fk4nh4w Год назад
네 그렇습니다.
@user-mg7gj5uu8y
@user-mg7gj5uu8y Год назад
@@user-qj5fk4nh4w 답글 감사합니다!
@Bs_genuine-mu6yl
@Bs_genuine-mu6yl Год назад
영상 퀄리티가 진짜 미쳤네요 ㄷㄷ
@chunghaejoon97
@chunghaejoon97 Год назад
5:41에서 추가 설명 당시에 남미에는 여러 동물들이 있었는데 또다른 토착종인 메가테리움 같은 거대 초식 동물들과 비슷한 시기에 북미에서 넘어온 스밀로돈과 다이어울프가 있었습니다(단 다이어울프는 남미 토착종이었다 북미로 넘어갔다는 가설도 있어서 확실치 않음). 참고로 공포새는 이 시기에는 이미 멸종했습니다.
@OOJJRS
@OOJJRS Год назад
항상 즐겨보고 있습니다.
@ScienceDream
@ScienceDream Год назад
늘 후원감사합니다💯❤
@user-yw2ji2lp6s
@user-yw2ji2lp6s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인생도...사업간 흥망성쇠도 이와 같네요~! 어떤 환경에 놓이고 그로 어떤 선택압을 받는가... 그 압박을 기꺼히 받아들이고 적응하는 것...인생의 진화란 생물이 진화하는 과정과 많이 유사한듯하네요. 잘 보고 있습니다.😊
@user-qg4fy6fh6q
@user-qg4fy6fh6q Год назад
영상 너무 재밌어요 감사합니다
@minijoe9290
@minijoe9290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영상잘봤습니다 다음에 판다곰에 대해서도 다뤄주세요
@Ashbringer999
@Ashbringer999 Год назад
오랜만에 재밌게 보고 갑니다
@zsdaxc4567
@zsdaxc4567 Год назад
오오 흥미로운 이야기 입니당 ㅎㅎ
@user-mi7vq5se3h
@user-mi7vq5se3h Год назад
곰의 환경에 따른 진화가 너무 신기하면서도 안경곰 너무 귀엽다 이러면서 보고 있어욬ㅋㅋㅋ
@user-dg6pl4pf3f
@user-dg6pl4pf3f Год назад
유전에 대해 풀어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
@seulgiroh9601
@seulgiroh9601 Год назад
너무재미있게 보고 있습니다 혹시 요즘 바닥거북알이 온도에 따라 성별이 결정되는 이유로 지구온난화가 되어 성비가 많이 깨졌다는 뉴스가 있던데 성별이 그렇게 나누어지게 진화하게 된 이유를 알아봐주실 수 있으실까요?
@user-yx7dj8os1f
@user-yx7dj8os1f Год назад
바다거북 뿐만아니고 민물거북 등도 대부분 거북이는 낮은온도는 수컷, 높은온도에선 암컷으로 결정됩니다 .
@orrenbuffett
@orrenbuffett Год назад
온도가 성별을 결정하게 되눈 이유가 뭘까 궁금하네요
@val.622
@val.622 Год назад
거북이들 하렘 부럽노
@MyEyeSand
@MyEyeSand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인간도 추운환경에서 임신을 하면 딸을 낳을 확률이 높아지는 건가요?
@user-pe6li1qg6c
@user-pe6li1qg6c Год назад
작은덩치더라도 초식이라도 살아남은게 강한거라고 생각하게되는 이번 영상이었습니다.
@shinhomotors
@shinhomotors Год назад
되게 재밌네요♡
@takesforever
@takesforever Год назад
라틴어학적 으로도 곰의 작명은 너무 귀엽네요 ㅋㅋ.. 우루사 엘레멘시스.. 기본적 곰 ㅋㅋㅋㅋㅋㅋㅋㅋ 아유 뭘해도 귀여운 곰 ㅜㅜㅜ
@ltk108
@ltk108 Год назад
곰의 덩치가 커지고, 꼬리가 짧아진게 먹이동물을 쫓아서 빠르게 달리면서 방향전환을 할 필요가 적어져서 였다니 처음 알았 네요... 그리고 지금의 북극곰도 사람을 찢을텐데 덩치가 큰 원시 곰이였다면은 뭐 말 안해도 알겠네요... 타임머신 타고 저 시 대로 가서 원시곰을 만난다면 무조건 앞만 보고 도망을 가야겠군요...ㅎㄷㄷ
@juke2004
@juke2004 Год назад
꼬리가 짧아진 종들의 특징이 엉덩이를 깔고 앉고 두발로 서는 동물들이던데 뭔 관계가 있을까요?
@user-wk6qc4pz6s
@user-wk6qc4pz6s Год назад
@@juke2004 꼬리도 결국 뼈가 연장된 거니까 엉덩이로 앉다 보면 꼬리뼈가 수직으로 꺾이는 일이 많아져서 장기적으로는 그쪽 골격에 무리를 줄 것 같아요
@MyEyeSand
@MyEyeSand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방향전환이 빠른 토끼를 보면 꼬리가 없어도 상관이 없는 듯 하네요.
@user-nr5fo4lv4f
@user-nr5fo4lv4f Год назад
어제 학교 과학 시간에 선생님이 과학드림님 영상을 틀어주셨어요 학교에서 보니까 괜히 반갑더라고요ㅋㅋㅋㄱ 항상 영상 잘 보고 있어요!
@ScienceDream
@ScienceDream Год назад
최고의 쌤입니다 ㅎㅎ 😆
@stripedbeakfish
@stripedbeakfish Год назад
드디어 나왔다~2주동안 똥줄타게 기다리고 있었어요...항상 재밌는 영상 만들어주셔서 감사드리고 몸조심하세요~^^
@ScienceDream
@ScienceDream Год назад
기다려 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yw6qy4ce5p
@user-yw6qy4ce5p Год назад
혹시 갑각류들이 게와 비슷하게 진화하는 경향이 있다는 게화(Carcinisation)에 대해서도 조사해 주실수 있을까요??
@tuiop390
@tuiop390 Год назад
오 갑자기 궁금해지네
@ScienceDream
@ScienceDream Год назад
와 이 주제 재밌을것 같아요!!!
@user-vb8sf6mu2v
@user-vb8sf6mu2v Год назад
궁금하다
@user-ku1dn3rh5p
@user-ku1dn3rh5p Год назад
안경곰 오래오래 번성하며 살아남길
@AppleMango.
@AppleMango. Год назад
글래시스베어
@ymalco
@ymalco Год назад
재밌게 봤습니다! 본문 내용에 경쟁자가 생길경우 작아지는 선택압을 받는다고 하셨는데 경쟁자가 있다면 맞다이에서 이기기위해 덩치가 커져야하지않나요? 안경곰이 경쟁을 피하다보니 작는쪽으로 진화한건가요? 아니면 에너지효율때문?
@user-xp6nf5pt6n
@user-xp6nf5pt6n Год назад
직접 만나서 싸우는 종보다는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소비하는 종이 더 유리한가봐요..
@user-vb8sf6mu2v
@user-vb8sf6mu2v Год назад
경쟁이라고 해서 맞붙어서 싸우기만 하는게 아니라 먹이경쟁이라 조금먹고도 살아남는게 유리함
@montoi7570
@montoi7570 Год назад
어지간해선 구독 안 하는데 유익한 채널 같아서 구독합니다. 굿.
@user-sh8bj6ue8l
@user-sh8bj6ue8l Год назад
몸이 크다고 강한게 아니고 안경곰 같이 작아도 살아남은게 강한거군요!..강하다고 해야하나 트리를 잘 탄거라고 해야하나..선택받은거라고 해야되나ㅎㅎ 쓰면서 궁금해졌네요😲
@Mr._Tarbosaurus
@Mr._Tarbosaurus Год назад
보기만 해도 가슴이 '웅'장해지는 아르크토테리움 영상 잘봤습니다! 안경곰의 조상이자 친척이 한때 아메리카 대륙을 주름잡았던 초대형 식육류라는 굉장한 전설을 간직하고 있는 게 참으로 인상적이죠. 결국 유리해진 환경이 점차 불리해지면서 녀석도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지만........ P.S. 다음에 사정이 나아지시면 저 초대형 안경곰들과 경쟁했던 스밀로돈 계통(그라실리스, 페이탈리스, 포퓰라토르)을 다룬 영상도 제작하실 수 있나요? 개인적으로 엄청 좋아하는 고대 포유류라서요. ㅎ
@EROMANGA5073
@EROMANGA5073 Год назад
가슴이 熊장해진다,,,
@sr4840
@sr4840 Год назад
웅이는 항상 밥을 해줬지
@Kajekura_MOE
@Kajekura_MOE Год назад
@@sr4840 어...?
@ScienceDream
@ScienceDream Год назад
스밀로돈은 관심 많아요^^
@K4ilidou
@K4ilidou Год назад
와 관련전공자신가 ㄷㄷ 엄청 방대한 지식을 갖고계시네요
@user-sj5qk3go3o
@user-sj5qk3go3o 14 дней назад
항상 볼때마다 궁금해지는것이 있는데 멸종한 종의 종류(예를 들어 문,과, 등등)는 어떻게 아는건가요? 구별법같은게 따로있는건지 궁금합니다.
@user-wk6qc4pz6s
@user-wk6qc4pz6s Год назад
0:06 과거에는 북아프리카에도 살았지만 이젠 영영 볼 수 없는....
@ATA-06
@ATA-06 Год назад
더운데 건강 조심 하십쇼
@user-wf9fg9jf8m
@user-wf9fg9jf8m Год назад
곰에 대해 재미있는 상식을 많이 알게 되었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irangkim9932
@irangkim9932 Год назад
땟수건에 빵🎉 ㅋㅋㅋㅋ 유용하고 즐겁습니다~
@saengmulgongweon
@saengmulgongweon Год назад
1:52 오! 북극곰이 불곰에서 갈라져나온 동물이군요~😲
@solkim3970
@solkim3970 6 месяцев назад
몇년전에 아메리카 숏 페이스 안경곰에 관한 내셔널지오그래픽의 다큐를 본적 있는데 너무 재미있게 본 기억이 있네요.
@monino7238
@monino7238 Год назад
2:24 때는 하면서 이태리타올 보여주는거 뭐얔ㅋㅋㅋㅋㅋㅋ 진지하게 보면서 읭?? 했넼ㅋ
@novanova1068
@novanova1068 Год назад
재밌어요 !
@junerahm6128
@junerahm6128 Год назад
잘봤습니다 진화생물학이 재미있네
@user-nw5uc7ll3q
@user-nw5uc7ll3q Год назад
최애체널💞💞💞💞💞💞
@dbakduehak
@dbakduehak Год назад
오 곰의 조상이 바다와 육지로 뻗어나가서 다른 형태로 진화했다니, 신기하네요
@user-pn1qs6mm3k
@user-pn1qs6mm3k Год назад
3주만에 돌아오시는 과학드림님 세계에서 가장 귀엽지만 생김새와 다르게 가장 무서운 크리스마스하면 생각나는 자본주의상징 코카콜라상징 북극곰 북극곰처럼 귀엽지만 세계에서 가장 비싼 판다 저곰 사육하는데 수억들고 판다전문가 중국인도 파견한다는 세계에서 귀한 판다죠 북극곰 아시아흑곰 안경곰 다른 곰으로 분류되는군요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yeeenn
@yeeenn Год назад
진짜 영상퀄리티 유튜브 전체 통틀어 울트라 최상급... 정신없으셨을텐데 좋은 영상 애써 올려주셔서 감사해요ㅎㅎ 오늘도 유익하고 재미있게 잘 봤습니다!
@user-hn8pl5kg7b
@user-hn8pl5kg7b Год назад
과학드림님 일본어로 똑같은 채널도 직접 운영하시는 건가요?
@user-dv5ou3us8h
@user-dv5ou3us8h Год назад
@user-lm7nl1vz6r
@user-lm7nl1vz6r Год назад
고맙습니다 교수님
@user-qm9em5mh1r
@user-qm9em5mh1r Год назад
2:24 때는..아 ㅋㅋㅋㅋㅋㅋㅋㅋㅋ 자존심상해 웃어버렸닼ㅋㅋㅋㅋ
@lavita6928
@lavita6928 Год назад
너~무 재밌다 ㅎㅎㅎ 생각해보니 어쩐 곰은 초식 어떤 곰은 잡식이라니..
@user-yw6ys9bu9v
@user-yw6ys9bu9v Год назад
궁금한게 있는데 오래전 영상에서 파나마 지협의 연결로 남쪽에 살던 괴물새가 북쪽으로 진출해서 북미에 살던 말의 조상이 멸종했다고 하지 않으셨나요? 그런데 이런 거대 포식자들이 등장했다는 건 둘이 만났을텐데.. 왜 말의 조상만 멸종한건지.. 궁금해지네요..
@lch374213
@lch374213 Год назад
ㄴㄴ 실제로는 공포새들이 말들보다 더 일찍 멸종했습니다. 말들은 플라이스토세 후기까지 살아서 유라시아까지 퍼졌지만 공포새들은 이보다 한참 전에 멸종했거든요.
@josebro1134
@josebro1134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진짜 켜놓고 잘준비하면 5분안에 잠듭니다. 너무 좋아요
@user-jn6sc5te9c
@user-jn6sc5te9c Год назад
감사함댜 조상님 :>
@user-wk6qc4pz6s
@user-wk6qc4pz6s Год назад
그래서인지 아크로토테리움을 팔레오아트로 복원할 때 안경곰 모색을 참고하는 것 같아요.
@ScienceDream
@ScienceDream Год назад
아 맞아요!
@user-hq6cm7ko3l
@user-hq6cm7ko3l Год назад
곰아과 설명 때 안경곰 그림 넘 귀여움
@Horsehead_ice
@Horsehead_ice Год назад
역사상 가장 크고 포악한 곰이 저렇게 귀엽게 진화되다니ㅋㅋㅋ
@user-yl1dr9gv4q
@user-yl1dr9gv4q Год назад
진짜 신생대동물들은 공룡에서는 못느끼는 알수없는 웅장함이 느껴짐...
@user-li2ut7ow9h
@user-li2ut7ow9h Год назад
ㅇㅈ
@Krahe_
@Krahe_ Год назад
오히려 공룡이 너무 인기가 많고 익숙해져서 그런듯 ㅋㅋㅋ 신생대 생물들은 뭔가..뭔가임
@whyhardy
@whyhardy Год назад
@@Krahe_ 뭔가 뭔가 ㅅㅂ ㅋㅋㅋㅋㅋㅋ 나만 쓰는 말인줄
@lch374213
@lch374213 Год назад
아마 더 친숙한 동물의 거대 버전으로 느껴지다보니 오히려 그만큼의 웅장함이 있을지도요?
@wooinjung5777
@wooinjung5777 Год назад
이거 너무 재밌다,,
@user-df9yq7yk5v
@user-df9yq7yk5v Год назад
영상 잘 보고있습니다. 평소에 궁금한 것이 있었습니다. 왜 유독 인간만이 시체를 보면 두려운 감정을 느낄까요?
@bbokdoong
@bbokdoong Год назад
경쟁이 없으면 몸집이 커진다...요즘 늑대가 없으니 코요테가 늑대만큼 몸집들이 커져서 문제라던게 비슷한 맥락인듯 하네요.
@neo42642
@neo42642 Год назад
도입부 귀여워 죽겠네요 ㅋㅋㅋ 남미에 곰이 있는줄은 몰랐는데
@user-gi2ni8jl3x
@user-gi2ni8jl3x Год назад
그렇게 덩치가 커지는 방향으로 가면서 먹이싸움에 밀려 작아지다니 아이러니 하네요
@user-fb8iw6ui9i
@user-fb8iw6ui9i Год назад
가축으로 키우는 소의 조상의 조상은 얼마나작았나요??
@user-nd9gd6ey7u
@user-nd9gd6ey7u Год назад
안경곰은 처음 알았네요. 귀엽군요.
@roongjinu2198
@roongjinu2198 Год назад
역대급으로 흥미롭다
@user-nt7gr8pq1s
@user-nt7gr8pq1s Год назад
오!형 고마워!
@maldini1838
@maldini1838 Год назад
항상 흥미로운 과학 주제 올려 주셔서 늘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많은 유익한 정보 부탁드립니다. 특히 인간과 원숭이들 영장류의 앞 또는 그 앞의 조상 관계가 어떻게 되는지, 그러한 자료들이 없나요?? 고맙습니다...
@kliy4895
@kliy4895 Год назад
전에 펭귄이 왜 북극에는 안사나 하는 영상 올렸듯이 왜 곰과들은 아프리카에는 없는 지에 대해서도 영상 올려주실수 있나요...?
@user-wh6mv2cu8n
@user-wh6mv2cu8n Год назад
음 궁금하네요
@user-lv8gy3mo6o
@user-lv8gy3mo6o Год назад
너무 더워해서요
@user-zs6sg3oz4e
@user-zs6sg3oz4e Год назад
아프리카에도 이베리아 불곰이 있는데 사람 때문에 멸종했습니다.
@myonetrueloveleejigeum4712
@myonetrueloveleejigeum4712 Год назад
@@user-lv8gy3mo6o ㄷㅓ워하9 그런 것보다두 아프리카가 19세그l에서 20ㅅㅔ그l로 시간이 흐름에 ㄸrㄹr 백인들으l 영역확장고r정에서 발견도lGo 약탈이 이루ㅓJin Field고 ㅎr느l ... 그것보다는 ㅅr냥꾼들으l 잦은 사냥에 ㄸr른 그런 것고r 무ㅓ ㄷㅓ우ㅓㅎH스 글케 된그 ㅇr이ㄲr 저두 생각캄The ...
@myonetrueloveleejigeum4712
@myonetrueloveleejigeum4712 Год назад
@@user-zs6sg3oz4e 그러Chu ... 무엇2든 백in 놈드르l ... White Human ... or skin ...
@user-dl6dp7in8z
@user-dl6dp7in8z Год назад
코디악 베어인가? 두근두근 하고 들어왔는데 훨씬 이전의 곰돌이들이군요!
@user-xn2zc9tm4m
@user-xn2zc9tm4m Год назад
선사시대 사람들이 남긴 멸종된 동물에 대한 벽화 소개 영상좀 만들어 주시면 안될까요? 검치호랑이와 거대한 땅늘보 벽화가 진짜 신비로움을 줍니다 특히 땅늘보는 곰이라기엔 너무 거대하게 묘사되었드라구요 ㅋㅋㅋ
@gosaribabdoduk
@gosaribabdoduk 17 дней назад
3:05 아르크토테리움 옆에 옆의 붉은 곰의 이름은 무엇인가요?
@user-cn5mi6sv4y
@user-cn5mi6sv4y Год назад
1분전 미쳤따리
@user-bi9mv4yr2d
@user-bi9mv4yr2d Год назад
이런... 시진핑핑이의 조상 이야기를 어떻게 안들을 수 있겠어요!
@user-cz4nu7iq5g
@user-cz4nu7iq5g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와 그럼 북극곰이 바다코끼리 잡아먹는건.. 분화된 과거의 동족을 먹는거네 ㅋ
@hia9429
@hia9429 Год назад
때는 하면서 떄밀이나오는거 개웃김ㅋㅋㅋㅋㅋㅋㅋㅋ
@mr.pelican1111
@mr.pelican1111 Год назад
다음 동물은 말레이 맥 어떠신가요?
@yuchan063
@yuchan063 Год назад
크기 = 강함은 무조건 아니죠. 사냥에는 기동력도 중요하고 게다가 많은 칼로리 소모와 긴 유아기는 매우 취약하기 때문이죠. 그래서 사냥을 하는(사나운) 맹수, 즉 육식동물은 대체로 크기가 일정수준 이상 커지지 않는데, 맹수인 곰이 왜 크기 커졌을까 궁금해서 클릭하게 됐습니다. 그리고 그 곰이 사냥을 안하고, 남이 사냥한걸 위협해서 쫓아내고 차지했기 때문에, 사냥에 불리하더라도 몸집이 커지도록 진화했다는게 이해가 됐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user-jb9qc9tv5e
@user-jb9qc9tv5e Год назад
그리고 커질수록 근력의 효율도 떨어지죠
@user-et5es9kx2b
@user-et5es9kx2b Год назад
궁금한게 있는데 그럼 혹시 아르크토테리움이랑 악토테리움이랑 같은 건가요?
@hagyeong1221
@hagyeong1221 Год назад
2:23 때는 이라 때수건 두신거 킹받네요 ㅋㅋ
@TV-bw4lh
@TV-bw4lh Год назад
주나형: 북극곰은 사람을 찢어 과학드림: 안경곰 조상은 북극곰을 찢었습니다
@unitedaccountsofme9297
@unitedaccountsofme9297 Год назад
악토두스와 달리 악토테리움은 홀로세 대멸종보다 이전에 사라져서 아쉽군요ㅠㅠㅠ
@unitedaccountsofme9297
@unitedaccountsofme9297 Год назад
근데 악토두스의 멸종은 홀로세 대멸종의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되는 bc 11000년 전의 북아메리카 운석 충돌이 직접적인 원인 아니었을까요? 아에노키온 디루스나 큰치타 등등까지 죄다 사라졌는데(구석기 인류도 대거 사망) 최대의 포식자가 피할 재간이 없겠죠
@yachtpark
@yachtpark Год назад
아 방심했다가 곰맞냐곰 에서 웃었다 ㅋㅋㅋㅋ
Далее
skibidi toilet 74
07:02
Просмотров 14 млн
Pratik Cat6 kablo soyma
0:15
Просмотров 8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