Тёмный

공채가 점점 사라지는 이유 "모든 분야가 전문직으로 바뀌고 있어요." 

드로우앤드류
Подписаться 705 тыс.
Просмотров 434 тыс.
50% 1

'시대예보 : 핵개인의 시대' 저자 송길영 님 모시고 이야기 나눠봤습니다.
💚드로우앤드류 신간 ‘FREE WAY 프리 웨이' 보러가기💙
교보문고: product.kyobobook.co.kr/detai...
예스24: www.yes24.com/Product/Goods/1...
알라딘: aladin.kr/p/bq2Fo
비즈니스 문의: bydrawandrew@gmail.com
(*개인 컨설팅 하지 않습니다. 개인적인 연락은 삼가해주세요. 감사합니다.)
기획: 드로우앤드류 linktr.ee/drawandrew
연출: 하은PD @sobacada_

Опубликовано:

 

26 окт 2023

Поделиться:

Ссылка:

Скачать:

Готовим ссылку...

Добавить в:

Мой плейлист
Посмотреть позже
Комментарии : 435   
@jc-xp8ik
@jc-xp8ik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전 대학원 나와서 전문기술직으로 일하고 있어요. 그런데 예전엔 혼자서도 일에 필요한 모든 분야를 조금씩 알고 할 수 있었는데, 지금은 각 분야가 너무 전문화 되서 혼자서는 다 커버할 수 없고 각 분야 담당자들과의 협업이 필수가 되었습니다. 기술분야는 지식의 양이 폭발하다 보니 그런 일이 일어나고 있어요.
@jyl9kr
@jyl9kr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일본에서 일하고 있는 사람 입장에서...장담하는데 20년 후에는 공채 규모가 다시 확대될겁니다. 일본에서도 90년대 취업 빙하기때 공채규모 줄이고 전부 경력직 채용으로 바꾼다고 난리였었습니다. 그러던데 2010년 넘어오면서 공채를 다시 확대하고 현재는 버블 경제 이후 최대 규모로 신입 공채 진행 중입니다. 공채만큼 젊은 인력을 대량으로 고용할 수 있는 시스템도 없으니까요. 현재 한국의 취업 시장은 아직까지는 제대로 저출산의 태풍을 안 맞고 있습니다. 왜냐면, 90년대생들은 많이 태어난 세대거든요. (70만명 이상) 지금이야 젊은 인력이 넘쳐나니 한국 기업들 입장에선 경력있는 사람만 뽑고 싶은게 당연하죠. 왜냐면 지금은 "골라뽑을 수 있는 시대니까요." 2005년 이후 태어난 세대들이 본격적으로 들어오고, 베이비 부머들이 은퇴 or 사망하기 시작하면, 지금 이 영상도 그런 시대도 있었구나...그땐 기업들 x나 사랍 뽑기 좋았었겠구나... 라면서 추억하게 될겁니다. 고용의 패러다임이 바뀔 겁니다.
@mong8972
@mong8972 7 месяцев назад
20년 뒤에는 기업이라는 형태가 달라질도 모르죠 ㅎㅎ 모든 사람이 각자 하나의 사업체를 운영하는 시대가 올지도 모르겠습니다 일을 안해도 먹고 사는 사람들도 많아지겠죠 왜냐면 개인 비서와 일반 사무직들이 하는 일들이 다 자동화 될 테니까요 ㅎㅎ
@jyl9kr
@jyl9kr 7 месяцев назад
@@mong8972 정말 일 안하고 먹고 살 수 있게 되면 낙원이겠네요 ㅎㅎ 단순 고용 차원에서만 놓고 보자면, 실제로 현업에서 느껴보니 (IT계열입니다) AI가 인력을 대체하는 속도보다 사람이 사라지는 속도가 더 빠릅니다. ㅠ 결국 AI를 쓰는 건 사람이고, AI를 management할 사람은 필요한데, 그 사람조차 없는게 현실입니다.
@rockofpeople
@rockofpeople 7 месяцев назад
결국 90년대생만 피를 보는 군요
@unluck3010
@unluck3010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일을 안 해도 먹고 살수는 있어요 요즘도 ㅎㅎ 하지만 행복은 상대적인 경향이 크죠. @@mong8972
@user-bm4es2si6e
@user-bm4es2si6e 7 месяцев назад
결국시팔 시대잘못만난거네. ..... 티오가 존나죽어서
@ekwjdgksquf
@ekwjdgksquf 7 месяцев назад
물론 여기서는 '의존'하는 사람을 스스로의 실력이 아니라 타인의 실력에 빌붙는 사람을 순화해서 의존이라 썼겠지만, 사실 면밀히 따지자면 그건 의존이라는 개념을 오용하신 거라 생각합니다. 핵개인의 시대에서는 오히려 잘 의존하는 법, 협업하는 법,함께하는 법이 더 강조되는 시대라고 생각합니다. 각자가 자신만의 고유 스킬, 전문성을 가지고 서로서로 어떻게 함께 잘 할 것인가가 화두가 되겠죠. 실제로 혼자 살 수록, 핵개인일수록 삶의 많은 부분을 타인에게 의존합니다. 당장 내가 사먹는 식재료나 음식들 옷, 필수품들 모두 이걸 생산하고 유통하는 전문가들 덕분에 손쉽게 돈 내고 살 수 있죠. 그러므로 일단 나부터 잘 해야 그 건강한 의존 구조에 내 자리를 잡을 수 있는 것도 맞지만, 자리를 얼추 잡은 이후부터는 나만이 아니라 내가 의존하고 있는 다른 핵개인들에게도 눈을 돌릴 줄 아는 것이 진정한 핵개인 시대의 핵심 덕목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오늘도 좋은 이야기 잘 보고 갑니다.
@ska90980
@ska90980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아직도 뭘 모르는 사람이 많네... 오히려 지금 기술의 발전으로 전문직 고소득자들 이직이나 이탈이 쉬워지는 상황이라 HR이 엄청 중요해지는 시점임. 단순히 잘뽑는다 수준이 아니라 직원의 만족도나 현상황 등을 파악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해야하는 상황임. 이걸 그냥 돈많이준다 그런걸론 어림도 없는 거고 결국 일 잘하는 직원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소통하고 공감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에 엄청 노력중임. 아니면 소규모 양질의 인력만으로 창업을 할 수도 있고 그렇게 사람을 모으고 관리할 수 있는 것 자체가 가장 차별화되는 기술이 되고 있는데 지금 유행이라고 본인에게 맞지도 않는 기술 억지로 배우는게 오히려 수많은 경쟁자에 밀려 뒤처지는 지름길임. 근데 정작 본인은 노력했다고 생각하니 2배로 억울하겠지.
@NoName-ln6sj
@NoName-ln6sj 7 месяцев назад
맞아맞아 중소도 복지챙길려고하는데요즘은
@ljhosep9404
@ljhosep9404 7 месяцев назад
대학교가서 성적은 적당히 챙기고 본인의 능력이나 성장을 증명할 다양한 이력을 쌓는게 중요
@bburorong
@bburorong 7 месяцев назад
맞아요 진짜... 3학년이 되어서 알게돼서 너무 아쉽네요
@user-wf3zq3qo6r
@user-wf3zq3qo6r 7 месяцев назад
그것보다는 인서울 상위권대학 아니면 대학교를 안 가고 그 시간에 이력 쌓는 게 낫겟죠.
@user-pt9fz3dx4v
@user-pt9fz3dx4v 7 месяцев назад
​@@user-wf3zq3qo6rㄹㅇ 부모 때문에 어거지로 대학온거 너무 후회함
@dddaaayyy1599
@dddaaayyy1599 7 месяцев назад
​@@user-pt9fz3dx4v대학은 무조건 나오는게 맞다. 아무리 지잡대라도 대학을 나온것, 다녀본것은 고졸, 전문대졸이랑은 완전히 다르다. 그런 부정적이고 소모적인 생각에 사로잡히면, 고졸 전문대졸출신 강의팔이 투자전문가 한테 사기 당하고 뉴스 인터뷰하고 있게된다
@shining_cats
@shining_cats 7 месяцев назад
​@@user-pt9fz3dx4v부모는 잘 모르시죠 일단 최고로 치는 곳에 들어가서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만 하면 성공하는줄 아시던...
@pksa0318
@pksa0318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생각에 차이일 수 있고 보는 시각에 따라 달라질 수 있겠지만 이것이 사회 붕괴를 가속화 시키는 일이 되어 갈 수도 있지 않을까? 개인화가 심화되면 결국 결속력이 흐려짐은 뻔한데 장기적으로 사회가 어떤 방식으로 유지될지도 궁금하다
@booyoohouse
@booyoohouse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요새 공채가 바뀌고 있는 이유는 인플레이션과 금리가 오르면서 주가는 하락하고 경기가 침체되는 상태이다 보니 여러모로 기업들에게도 상황이 좋지 않습니다. 외국에선 성과 없는 직원들을 칼같이 자르고 올해부터 cost를 줄이는 방향으로 갔죠. 하지만 한국은 노동법이 강하기에 일도 제대로 안하고 있는 이들도 자르지 못하고 그대로 있는 상태죠. 그러므로 신입을 거의 못 뽑고 경력자들은 점점 나가면서 경력직으로 자리 몇개 메꾸고 있구요. 그것도 적어도 5년이상의 경력직으로 뽑아가고 그래서 이제 막 취준하는 분들과 애매한 2-3년위 경력직분들은 정말 자리가 없고 고스펙자들이 점점 쌓여가고있습니다.
@user-jh9pm9kr5n
@user-jh9pm9kr5n 6 месяцев назад
동의합니다. 이런 거시적인 경기침체와 노동경직성 때문인건데 초고스펙화만 심해지고 있네요..
@aftdrk__
@aftdrk__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저도 핵개인 워너비인데, 이전 책들과 다르게 개인의 삶에 대한 방식에 관한 내용이라 공감되는 것 같아요. 특히 부모님과 별개로 우선 순위를 "나"로 두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하는 것 말이지요. MZ의 끝자락인 세대라고 느껴서 인지, 아니면 도통 요즘 청년들도 여전히 고민을 하는 것인지 궁금해집니다. 핵개인으로 세대를 반듯하게 나눌 수는 없겠지만 양가감정이 드는 모녀관계에서도 이 핵개인으로서 가는게 맞는지 다시 한번 생각해 보게 되었습니다. 책 잘 읽겠습니다!
@user-tf8nb8vz4o
@user-tf8nb8vz4o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출산율보면 이미 핵개인화 되고 있는게 꽤 오래 되었다고 봅니다. 스트리머같은 직업도 10년전부터 쏟아져 나왔으니 말이죠. 결국 재정이 뒷바침되면 선진국처럼 일부러라도 자동화를 일찍안하는경우가 있지만 이나라는 대부분 사업들이 생산성이 떨어져서 일찍할수밖에 없죠
@ruttatata2023
@ruttatata2023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쉽게 설명하면 개콘의 재미없는 박성호가 고정인 공중파는 망했고 재밌고 실력있는 개그맨들이 활동하는 유툽계정은 구독자 몇천만이된 세상이다. 실력이 인정받는 자유경쟁 시대가 온거다.
@user-sn9mt2st6j
@user-sn9mt2st6j 7 месяцев назад
박성호 정말 재미없었지.
@user-hc3sc5mv7q
@user-hc3sc5mv7q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어정쩡해서 유튜브도 못하는 친구들은 그나마 신입사원형태로 자리라도 잡았는데 그런 친구들은 어쩌나.. 대부분 어정쩡이들이고 전문성 갖춘 친구들은 소수에 불과한데
@hololo1452
@hololo1452 7 месяцев назад
​@@user-hc3sc5mv7q도태되는거징
@user-gk3zt3pz4n
@user-gk3zt3pz4n 7 месяцев назад
@@hololo1452이런 멍청한 생각은 도대체 어떻게 하는 건지….
@qkrrmsgP
@qkrrmsgP 7 месяцев назад
몇천만..?
@marklee39
@marklee39 7 месяцев назад
40대 후반 핵개인 입니다. 3년 전에 새로운 일(기술직) 배워서 이직도 한 번 해서 지내고 있죠. 연봉은 높지 않아도 핵개인으로 잘살고 있어요. 책 보면서 이미 내가 살던 방식인데 싶어 기분 좋게 읽었습니다. 고용이 아닌 영입이라는 부분 외에도 상당수 이미 살고 있는 모습을 묘사해 주셔서 저자에게 감사 했습니다. 제 또래 친구들이나 선배들은 왜 이런 책을 읽냐며 면박을 줬지만 말이죠. ㅎㅎㅎ
@user-bm4es2si6e
@user-bm4es2si6e 7 месяцев назад
무슨일 배우셨나요... 기술도 친인척 아님 잡일만 시키다 버리던데
@marklee39
@marklee39 7 месяцев назад
@@user-bm4es2si6e it 유지보수 입니다. 내근직이고요. 비전공자라 자격증 공부하며 차근 차근 올라가고 있죠.
@1-YYY-1
@1-YYY-1 7 месяцев назад
​@@user-bm4es2si6e그러게요
@pa4585
@pa4585 7 месяцев назад
무슨 기술인지 여쭤보고 싶네요. 사회복지만 하다가 다른 것을 해보고자 하니 막막해서요...
@user-bm4es2si6e
@user-bm4es2si6e 7 месяцев назад
@@pa4585 나이먹으면 다른일하기 어렵습니다. 기술도 어릴때 배워야 하더군요
@mylittledesk
@mylittledesk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송길영 박사님의 메시지를 들으면, 늘 나의 삶과 방향을 점검하게 됩니다. 이번 책도 얼른 읽어야겠어요! 박사님 감사합니다! :)
@user-vr2ng7bg1t
@user-vr2ng7bg1t 7 месяцев назад
끈끈함을 기반으로 견뎌도 보상이 전혀 없는 조직이 많습니다 배신감 느낀 일잘러들은 보다 빨리 회사에서 탈출할 것 같습니다
@rachelhazelton8544
@rachelhazelton8544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송길영님 완전 좋아요 👍👍👍
@user-dm6ly8zl4o
@user-dm6ly8zl4o 7 месяцев назад
본인들은 신입사원해놓고 존나 이기적임
@user-km6hw9vw3o
@user-km6hw9vw3o 7 месяцев назад
너어무 내맘같은 대화여서 책 바로 읽어야겠어요!ㅠㅠ 핵개인... 정말 추구하지만 맘에 걸리는 것들이 적지 않은데 그래도 읽고 깨달음이 오면 좋겠네요!
@gemstonesongof2070
@gemstonesongof2070 7 месяцев назад
핵개인 시대로 들어가게 되면, 그 반대 시대로 다시는 못 갈 것 같습니다. 전쟁이나 독재 혹은 그에 준하는 정치 결정만이 핵개인 시대를 막을 수 있겠네요. 개인적으로는 교육을 책임 없는 이기적인 핵개인 시대가 아닌 공동체 사회 속 책임지는 핵개인으로 교육을 시켰으면 좋겠습니다.
@ireumseong1986
@ireumseong1986 7 месяцев назад
매우 공감합니다.. 개인주의와 이기주의는 다른 것인데, 요즘 개인주의를 가장한 이기주의가 많습니다. 차이를 잘 교육해서 올바른 개인주의 문화가 자리잡으면 좋겠습니다..
@hanglepoto
@hanglepoto 7 месяцев назад
핵개인도 결국 언젠가는 뒤엎어질 하나의 트렌드일 뿐일거라 생각함. 그 뒤엎어지는 시점은 고독사가 속출하는 멀지 않은 미래 아닐까.
@user-cz5cy1ud1k
@user-cz5cy1ud1k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준비가 안 된 사람이 고독사를 하겠죠 한 가지 말하고 싶은 건 고독사를 한 사람 중에서 결혼 한 사람이 많을까요? 안 한 사람이 많을까요?? 한 사람이 지금은 거의 100배 가까이 많습니다.
@hanglepoto
@hanglepoto 7 месяцев назад
@@user-cz5cy1ud1k 그건 고독사의 절반을 차지하는 5060남성이 결혼이 필수인 세대라 그렇죠. 그 세대가 이혼건수 증가하며 고독사에 취약해진 만큼 핵개인 트렌드가 오면 고독사는 더 늘어날 수밖에 없어보입니다. 아니면 고독사 방지 서비스나 보험이 생기고 가입자가 폭증하는 경우의 수도 있겠네요. 시니어커뮤니티가 보편화되거나요(근데 그건 이미 핵개인의 범주에서 벗어났죠)
@user-sd7vk6xe9x
@user-sd7vk6xe9x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이거맞음 페미가 나오고 레드필이 나오듯 핵개인시대에는 더욱더 친근한 인간관계를 욕망하게 되어있음
@managen12345
@managen12345 7 месяцев назад
고독사는 돈이 없어 하지 돈 많은 싱글은 실버타운에서 존엄사합니다
@hanglepoto
@hanglepoto 7 месяцев назад
@@managen12345 네
@user-tx6lb7zo8w
@user-tx6lb7zo8w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유튜브 자주 보는데 가장 몰입도 있고 밀도있는 영상이었던 것 같아요 제 성격이 사람도 너무 좋아하지만 선 지키는 것도 중요하게 생각해서 그런지 가장 궁금하고 보고싶었던 영상이네요 책 구매하러갑니다!
@user-xn3zt1dx5e
@user-xn3zt1dx5e 7 месяцев назад
키야…. 통찰력이 대단하신것 같아요 우리 사회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게 좋으면서도 약간은 씁쓸하기도하네요 이제는 회사에서 중간만 해선 부족하고 한 분야에 뛰어나야 살아남겠네요
@ariari7649
@ariari7649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요즘 제가 영향력을 받고있는 분들만 나오시네요!드로우앤드류님이 왜 항상 성장하시는지 알거 같아요!🙂
@WinterChoi
@WinterChoi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송길영 부사장님 여기서 뵈니까 반갑네요. 써주신 책이나 기사들 보면서, ‘요즘은 그렇지‘라고 말하던 것들이 말로 정의되고 나니 새롭더라구요. 그러면서 사회와 남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게 된것 같아요. 앞으로도 여러 채널 나와주세요 :)
@sunwoos7028
@sunwoos7028 7 месяцев назад
미국 캐나다처럼 공채 없고 전문성만 보는 나라에서 대학생들 취업하는 방법은 무조건 커넥션. 대학교는 인맥을 넓히는 장이기 때문에 교수님이든 여러 컨퍼런스나 잡 페어에 참가해서 얼굴을 알리던지 해야 졸업하고 취업 됨. 경력쌓기 위해 생각보다 취준기간도 길고 풀타임 알바도 많이 뜀
@solimooth2321
@solimooth2321 7 месяцев назад
그럼 공부는 언제 함?
@Clxkenem
@Clxkenem 3 месяца назад
@@solimooth2321그래서 미국애들은 학점 한국보다 더 신경쓰는듯
@welcomesam-TV
@welcomesam-TV 6 месяцев назад
🎉 좋은 강의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말씀이 참 훌륭하십니다.
@VEZISPAPA_
@VEZISPAPA_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요즘 가장 많은 인사이트를 주시는 송작가님
@wmp2403
@wmp2403 7 месяцев назад
뭔가 방향이 명확해지는 기분입니다. 잘 봤습니다.
@seioadorable8546
@seioadorable8546 7 месяцев назад
핵개인으로 가는건 확실해 보입니다. 그러나 한국문화의 정체성도 필요해 보입니다. 나를 위해 다른것을 섣부른 판단으로 치부하는것도 주의해야 할듯 합니다. 핵개인 시점으로 가는건 확실한것 같습니다. 그러나 협업 협동 제안 통합 이런것도 필요합니다. 거기에는 인성과 인품이 중요하다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user-uc1cd3by1r
@user-uc1cd3by1r 7 месяцев назад
공감동감입니다😮
@user-gg4iy1cm1y
@user-gg4iy1cm1y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인성 교육 정말 중요하다고 느낍니다
@kimokang8781
@kimokang8781 7 месяцев назад
협업 협동 통합 제안등 정말 필요할것 같습니다. 인성인격 수양이 경시된다면 새롭고 극단적인 사회적문제가 지속적으로 일어날수 있을 것 같습니다.
@calkany1
@calkany1 6 месяцев назад
결국 이 분이 이야기하는 시간표가 꽉차는 핵개인생활. 이거는 지금 젊은 이들은 절대 못한다. 절대. 왜냐면, 자기가 퇴근할때는 핵개인, 가족이 아프면 공동체를 원하기 때문이지. 신입이 퇴근을 원하면 칼퇴근 시켜주되, 병가를 내면 일을 도와주지말고 사고치고 짤리더라도 그냥 냅둬야된다. 그게 핵개인사회지. 부모님이 아프시면 알빠없고 정해진 일은 기일내에 내라고 해야된다. 회식이 싫어? 응 그럼 집에가도돼. 근데 니가 가정사나 개인질병으로 아파도 정해진 일은 해. 못하면 나가그냥. 이런 식으로 가야지. 그건 싫잖아? 그러니까 지금 젊은 세대는 99프로 이 분이 말씀하시는 핵개인이 될수가 없다.
@user-xz2rb7ze4j
@user-xz2rb7ze4j 7 месяцев назад
걍 끊임 없이 노력할 수 밖에 없음. 나보다 나은 사람들은 끝이 없이 많고, 언젠가 잘 될거라는 희망을 가지고 조금이라도 내가 더 나아질 방법을 강구할 수 밖에. 중간에 그 희망줄을 끊는 사람들은 어쩔 수 없는 거고.
@TheVictoryKitty
@TheVictoryKitty 7 месяцев назад
하나 더 댓글 답니다. 제가 만나본 공채출신 직장인들 정말 똑똑하더군요. 그리고 기업들은 다시 공채를 선호할겁니다. 인구의 문제가 아니라 직원능력 문제 때문일겁니다.
@user-tw3qd7rf7u
@user-tw3qd7rf7u 7 месяцев назад
공채는 돈이 많이 드니까 문제임.
@JUNOegg
@JUNOegg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0분 내 짧은 내용인데 많은 생각을 하게 되네요 '핵개인'이 단순히 요즘것들이라 치부하고 왈가왈부할 사항이 아니라 시대적으로 나아가는 방향과 흐름이라는 건 생각도 못해봤네요
@zyxwvutsrqpon_lk_ihgfedcba
@zyxwvutsrqpon_lk_ihgfedcba 7 месяцев назад
말씀하신 대로 이미 느끼고 있어서 뻔한 얘기라고 생각합니다. 모두 알고 있지만 제가 핵개인이 되지는 못하네요. 시간적, 재정적 한계 때문에 핵개인이 되야하는 걸 알고 있으면서도 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저 같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아야 할지...
@user-st1sk9sj2j
@user-st1sk9sj2j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언제부터인지는 모르겠으나 언제부터인지 점점 사회가 개인화되는걸 여실히 느끼고 있었고 개인적으로는 그 시기가 언제인지는 모르겠으나 앞으로 모든 기존의 관계를 맺고 있던 인간관계에 대한 정의가 완전히 뒤바뀌는 날이 올 것이다, 이건 단순히 한 국가만의 문제가 아닌 모든 범 세계적인 추세가 도래할 것이다 라고 생각을 했었는데 이렇게 확언을 해주시니 제 생각이 확신으로 바뀌어지네요. 개인적으로 생각해본 모든 관계들은 정말 일시적인 인스턴트관계가 될 것 같습니다. 친구관계도 예전에는 한 친구를 평생 보았다면 앞으로의 머지 않은 미래의 친구들은 나와 어떤 공통 관심사가 있는 사람들이 아니라면 절떄 만나지 않으며 모든 관계 자체를 그저 지나가는 삶으로 보고 일부를 제외하고는 정말 단순한 지나가는 사람으로 볼 가능성이 농후하겠죠. 지금도 이미 그렇게 진행되어 왔구요. 개인이 좋든 싫든 이제 깊은 관계는 나와 거의 모든 분모가 공통되는 관심사의 사람이 아니라면 절떄 만나지 않을 겁니다. 가족 관계도 예전에는 대가족이다보니 친척의 조카가 누구이며 그 가족의 사돈의 팔촌까지 다 알았엇다면 이제는 사실상 부모와 사촌까지는 가끔 명절날 보는 정도에서 이미 사촌도 잘 보지 않으며 부모도 잘 보지 않는 시대가 도래하고 있죠. 아마 거부하고 보기 싫은 미래지만 이미 우리 삶 속에 깊숙히 침투해 있기에 이 변화는 더 빠르면 빨랐지 느리진 않아보입니다. 개인적으로 앞으로 모든 관계를 맺는 사람들은 대비를 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친구관계라면 그저 지나가는 관계로 보아야 할 것이며, 직장관계도 연공서열이 의미없으며 계급이 무의미한 그저 동등한 관계로 인식하고 대하는 태도를 받아드려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가족관계도 다르지 않아 보입니다. 요즘 10대 아이들이 존중받고 사생활 침해 받는 것에 극도로 예민하기에 자식도 초등학교를 입학하는 그 시점부터 이미 스무 살에 독립시킨다는 생각으로 대비하고 준비하며 스무 살에는 내보낼 수 있는 준비를 끝마쳐야 할 것입니다. 예전 제 과거를 생각해보면 사촌들끼리 명절에 모여 같이 밥도 먹고 대화도 하며 즐겁게 시간을 보냈던 시절이 엊그제 같은데 이제는 핵가족을 넘어 핵개인화가 도래한다고 생각해니 뭔가 삭막하게 느껴집니다. 다가오는 미래기에 대비하고 분명 받아드려야 하겠지만 참 쉽지가 않네요. 영상 잘 봤습니다.
@ioioyoung
@ioioyoung 7 месяцев назад
개인주의가 심해지지만 명심해야할 건 사람은 혼자 살아갈수없다는 겁니다 내가 너무 힘들지 않은 선에서 남과 어울리며 돕고 살아야 한다고 생각해요 결국에는 내 주변사람들이 같이 행복하며 나도 더 행복해질거라 생각해요
@user-iz4zo8by3j
@user-iz4zo8by3j 7 месяцев назад
관계의 변화는 개인화가 아닌 나이가 듦에 따라 변화한것 아닐까요? 님이 말한 양상은 이전부터 존재했습니다. 그리고 사촌간 오순도순 지낸다는 것은 사실 합리적이지 못한 관계로 이전의 유산이라고 봐요. 사촌관계는 시스템이 만든 관계이지 개인이 만들어낸 관계가 아니니까요. 오히려 핵개인화로 인해 개인의 시간이 증가하면 사회적 만남이 더 잦아지면서 마음을 터놓을 수 있는 친구들은 더 귀중해질 것 같습니다
@o_o9164
@o_o9164 7 месяцев назад
개인적인 생각입니다만... 예전에 사촌끼리 명절에 모여 즐겁게 보낸 시간 이면에 손이 부르트고 상처를 많이 받았던 사람들이 있기에 점점 사회가 개인화되고 있지 않나 싶습니다. 경험해보니 가족이라고 정말 가족같은 사이는 아니더군요. 저도 개인화에 단점이 명확해 안타깝지만 지금 사람들은 개인화의 장점이 단점을 넘어선다고 느끼는 것 같습니다.
@user-tu1uc4jf4q
@user-tu1uc4jf4q 7 месяцев назад
@@o_o9164 완전 공감가요. 혼자 있는게 더 좋아지는 상황이 오니까. 혼자 있으려는거 아니겠어요?
@kim-lg7rc
@kim-lg7rc 7 месяцев назад
​@@ioioyoung사실 저는 관점을 좀 다르게 보는데 인간은 혼자 살아가기 힘들다는 절대적 전제가 있고 그것에 무관하게 개인주의가 발달하는것이 아니라 혼자 살아가기 좋아지기 때문에 그것에 맞춰서 개인주의가 점점 생겨나는게 맞는 거 같습니다.
@tsk-oy9qr
@tsk-oy9qr 7 месяцев назад
믿고 보는 송길영 박사님 !!
@missualot
@missualot 6 месяцев назад
설명한 정의에 따르면 핵개인은 최근에 등장한 신인류는 아닌 듯. 개개인마다 삶의 방식이 다를 거고, 그중 가족과의 끈을 느슨하게 하고 자기 삶에 더 포커스 맞추면서 사는 사람들은 옛날부터 꽤 있었음. 끊임없이 자기계발하고 전문지식 바탕으로 경력 쌓고 사회적 문화적으로 당연시 되던 룰은 크게 신경쓰지 않고.
@t.d2544
@t.d2544 7 месяцев назад
글쎄요. 지금은 취업시장이 좁아서 그렇지만, 그 사회 곳곳의 경력직들 다 늙어서 은퇴하고 나면 한번에 인재가 우수수 없어지는 시기가 올거고 일본처럼 사람이 없어서 신입공채 뽑게될수도 있다 생각합니다. 지금은 아직 베이비붐세대가 남아있으니 못느낄뿐인것같습니다
@iveronflated
@iveronflated 7 месяцев назад
공채는 기업이 신입으로 채용해서 키워주는거고 수시는 주로 경력직에 한해서 필요한 자리 채우는 느낌으로 뽑는건데 기업 입장에서는 수시 채용을 더 선호하지 않나요?
@klasses1316
@klasses1316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어디까지나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올해로 40세이고 전문직종 회사 생활하다가 지금은 개인사업 합니다. 직원도 해봤고 대표도 해보면서 느끼는 건... 회사는 즉시전력감을 찾는다는 겁니다. 그 현상은 요즘 들어 더더욱 심해졌는데요. 이유는 요즘 최저임금이 올라서 일배우는 사람도 200만원은 그냥 줘야하고 그럼 사업자는 월 300만원 나간다고 생각해야 하는데 (제가 배울 때는 월급 60만원 받고...ㅠㅠㅠㅠㅠ) 그럴거면 돈 더주고 경력자를 뽑는 게 이익이거든요. 최저임금을 비판하는게 아니라 현상적으로 그렇다는 말입니다. 그래서 그런데 일 확실히 배워서 성장하고 싶다면 대기업, 공기업 아닌 이상 작은 회사의 경우 월급 200만원 정도 될건데... 그 돈이 아깝지 않다고 생각할 정도로 빠르게 성장해서 자리 잡으셔야 합니다. 그렇다고 불합리한 걸 참으라는 이야기는 아니에요. 밥값을 해야한다는 이야기입니다. 어디까지나 개인적인 의견이고 제가 틀릴 수 있습니다. 다만 살아보니 그렇다는 겁니다.
@hohhh8321
@hohhh8321 6 месяцев назад
맞습니다 요즘 애들 어려워요
@Miracle_N
@Miracle_N 4 месяца назад
현실적인 말씀이네요. 충분히 공감합니다ㅠㅜ
@tjsdlfdl88
@tjsdlfdl88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와우 차이나는 클라스에서 나오신 교수님이네요 귀에 쏙쏙 들어오는
@Newstartoflife
@Newstartoflife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우와 공감합니다…!!!!!
@khs44
@khs44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사람이 줄어가는데 공채가 늘면 늘었지 어떻게 공채가 사라지는지.. 어딜가나 밑의 일을 하는 사람이 있어야함 모든 사람이 핵심적인 일을 할 수는 없음 그건 핵개인이라도 거쳐가야 하는 관문임
@left-handed.92
@left-handed.92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06 송작가님 정말 좋아하는 분인데 이 부분을 통해 좋아하는 이유가 또 하나 늘었네요. 어떻게 저런 표현이 가능하지...
@user-qf3cg9sh8k
@user-qf3cg9sh8k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0여 년 전 대학을 졸업 후 처음 면접을 보러 가서 PT를 하는데 대학에서 했던 것 말고 다른 것은 없느냐는 질문에 말문이 막혔었죠. 학생이 공부만 해서는 부족한 시대가 되었습니다.
@user-xu5qz5yj7y
@user-xu5qz5yj7y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아니 진짜 뭐 어쩌라는건지 모르겠음 대학 갓 졸업한 애가 무슨경력이 있어 잘 모르는게 당연하지 모든 경력자들도 다 처음이 있었을건데
@gm-nu8qk
@gm-nu8qk 7 месяцев назад
@@user-xu5qz5yj7y회사 다녓던 경력을 꼭 말하는게 아니지.그리고 신입 뽑으면 뭐함.당장 큰 도움도 안되눈데 쓸만햐지면 그만둠
@factful_justice
@factful_justice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정작 면접관들은 대학 졸업하면서 여기저기서 오라는 고도성장시기에 꿀빨면서 취직했을 세대인데 청년한테는 대학생활만 했냐 ㅇㅈㄹ ㅋㅋ 그것도 갓 대학 졸업한 사람한테
@Financier470
@Financier470 7 месяцев назад
@@user-xu5qz5yj7y 학생이면 방학때 인턴십해야죠
@user-ll2lg5sm6p
@user-ll2lg5sm6p 7 месяцев назад
​@@factful_justiceㄹㅇ
@bk4995
@bk4995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저는 완전히 핵개인이고, 주변에 모든 사람들은 핵개인이 아닙니다. 정말 답답하지만, 힘들지는 않습니다.
@mvng
@mvng 7 месяцев назад
내 맘속 앨빈토플러 송길영님 ❤ 미래에 대한 모호한 예감을 데이터를 기반으로 명확하게 정의해주고 무엇보다 쉽게 설명해줘서 진짜 짱이야! 핵짱!!
@jaykim2013
@jaykim2013 7 месяцев назад
무빙워터님도 진짜 짱이야! 핵짱!!
@superpowerdog
@superpowerdog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송길영님 무빙워터님 두분 다 핵지존 짱짱맨!!
@ggglue2868
@ggglue2868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송길영님👍🏻
@jinyongpark9212
@jinyongpark9212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솔직히 핵개인들은 회사에 안맞음. 자기 권리만 주장하고 희생하려고 하지 않음. 그래서 신입공채가 없어지고 있다고 생각함. 요즘 부장님들이 신입들 눈치보느라 너무 힘들어함. 차라리 10년이상 경력직을 뽑는게 훨씬 가성비 좋음.
@homoludens2498
@homoludens2498 6 месяцев назад
댓글을 보니 왜 미래는 모두에게 균등하게 오지 않는지 확실히 알게 되네요.
@wsg7143
@wsg7143 7 месяцев назад
3:00 이것도 미국에서 애매한게 그런 자동운전 시스템도 좋으나, 현재 미국의 가장 큰 사회적 이슈는 넓은 유통망에 대해 얼마나 ‘안전하게’ 보내느냐임. 근래에 뉴스에도 나왔던 것처럼 기차의 화물도 털리는 와중이기에. 분명 자동운전이면 사람 발견 시 멈추고 물건 다 털릴텐데.. 이 부분에 대한 논점도 다뤘으면 좋지 않나 싶음. 그냥 자동주행 나왔다! 물류 자동화다 굿잡이라 하기엔 너무 복잡해진 사회 ㅠ
@stanleydan9159
@stanleydan9159 7 месяцев назад
그건 그냥 보호하느니 털리는게 비용이 싸서 방치하는것일 뿐입니다. 마음먹고 가드들 데리고 다니면 해결되는데 비용때문에 안하는것 뿐이죠. 굉장히 심플한 일입니다.
@user-hn6ru8dq4p
@user-hn6ru8dq4p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이제 것 그래왔던 것 처럼 시행착오는 모든 일에서 다 일어난다고 생각합니다 그 정도 문제는 시간이 해결 할 듯 합니다 그 부분만 인간이 하다가 다시 기계가 하지않을까 싶어요~
@Daaanggg
@Daaanggg 7 месяцев назад
하이퍼루프처럼 존나 빠르게 가면 되지 않을까요
@user-bj2rq5uh2p
@user-bj2rq5uh2p 4 месяца назад
3:50 4:45 5:21 5:32 의존성을줄이고자립할수있도록도와드려야 6:11 7:10 우선순위첫번째는나자신 8:46 주의력시간집중
@moneydogged
@moneydogged 6 месяцев назад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MaknaeCarrot
@MaknaeCarrot 7 месяцев назад
핵개인화인데 커뮤니티활동은 아직도 한창 부족한.. 미국이 인맥 네트워킹관리와 커뮤니티 파워가 엄청난데 한국도 너무 핵개화가 아닌 이런 사회가 되면 좋겠아요
@user-xt8il4ho2q
@user-xt8il4ho2q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온라인, 운송수단의 발달로 인해 밀도는 낮고 와이드며 짧은 인간관계가 생기고 거기서 모든 관계 혹은 일을 다 잘 하려다 보면 나는 사라진다..... 젋은 세대는 정이 없고 이기적인게 아니라 새로운 변화에 적응하고 진화하는거였네요
@user-xt8il4ho2q
@user-xt8il4ho2q 7 месяцев назад
@@kfjfkejd 저...24살..ㅎ
@user-bs6sj7ml8r
@user-bs6sj7ml8r 7 месяцев назад
미국 연봉 1억3천이면 엄청 적은거죠...그 나라 물가 대비 생각해야합니다 최소 미국 연봉 3억은 되야지 입에 풀칠하면서 그나마 조금 살수있을 정도입니다..그 이하는 가시지 않는걸 추천드립니다..그리고 연봉을 한국 기준으로 생각하지 마시구 미국 물가 기준으로 생각하세요
@Kamielluna
@Kamielluna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사회 흐름을 보시면 알겠지만 경기와 경제가 어려울수록 돈을 조금 더 주더라도 검증된 실력자를 뽑습니다. 경기와 경제가 어려울수록 투자를 안하는 것 처럼 사실상 인적투자인 신입 키우기를 하지 않는 다는 것 입니다.
@HUI2650
@HUI2650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신규인력들이 실전 경쟁력을 가지고 사회에 진출 할수 있나요? 소수의 사람만 가능한걸 보편적인것 처럼 인력을 구하다보면 구인난과 구직난이 동시에 발생하겠죠.
@user-zy7he5ru9i
@user-zy7he5ru9i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최저임금이 높아지고 노동자 권리가 많아지면서 기업이 검증이 안된 신입을 채용할 수 없음. 뽑는 순간부터 리스크임
@user-fx6ek4mn6j
@user-fx6ek4mn6j 7 месяцев назад
근데 경력직을 신입 월급준다는 함정
@chaoskim8275
@chaoskim8275 6 месяцев назад
맥을 잘 집고 계시네요... 기술 개발이 나의 생각보다 더 빠르게 장악하고 있습니다... 늘 고민하고 살아야하는데... 아무리 전문직이라고 해도 위협을 받고 있죠...
@user-xs8yg3mp6j
@user-xs8yg3mp6j 6 месяцев назад
주식투자 안할거면 모르겠지만 투자 계속할거라면 주식으로 10만원에서 30억으로 만든 [주식의정석] 이 채널의 영상들을 꼭 보셔야 할거에요 (영상들이 짧아서 보는데 무리없음) 주식투자를 어떻게 해야만 하는지 그야말로 주식의정석을 보여주고있더군요. 아마 은둔고수로 추정이되는데요 광고 아니니 오해없으시길..
@TheVictoryKitty
@TheVictoryKitty 7 месяцев назад
독립해야 한다는 의견에 매우 동의합니다. 그런데 핵개인이라면 내 집 마련할때 부모님 도움 받지 말아야죠. ㅎ 최근 기사 보니 어느 프로게이머가 현금으로 고가주택 매입하셨던데 유능한 사람들은 시대와 상관없이 핵개인화 되어 있었어요. 한편 시설에 있던 아이들 20살 되면 단돈 몇백만원만 손에 쥐어주고 진짜 핵개인으로 살아가는 친구들이죠. 이런 사람들이 이 영상 보면 어떤 생각을 할지 궁금합니다.
@capitalismhou1263
@capitalismhou1263 6 месяцев назад
생각을 뭘 해 그냥 사는거지 아주 편협한 사고에 갇혀서 남들도 다 독립할 때 지원받아서 꿀빤다고 생각하나보네 ㅋㅋㅋ
@user-fo2xn9id2g
@user-fo2xn9id2g 7 месяцев назад
방법이 두가진데 공부를 악착같이 잘해서 좋은곳 한번에 들가던가 비젼있는 중소가서 경력쌓고 차근차근 올라가는 거죠.
@susemi53
@susemi53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사십대 초반인데 와,, 부모님을 심적으로 물리적으로 독립시켜드리는데 십여년 걸렸네요. 그사이에 얼마나 많이 서로 속상했는지 몰라요. 내 의도를 자꾸 오해하시고 부모를 내치려느냐 하셔서요. 부모님이 독립에 익숙해지시고 십년이 지난 지금 자신이 언제 오해하고 그랬냐고 그러시네요 😅 어른들은 참 어려워요.
@user-ok6ii7dn3i
@user-ok6ii7dn3i 6 месяцев назад
어르신들은 본인이 틀렸다는 소리를 못하세요. 그렇게 생각하지도 않고요😂
@marteenjay
@marteenjay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송길영 박사님 ❤❤❤❤❤❤😂
@user-lb6xs2jf9f
@user-lb6xs2jf9f 6 месяцев назад
좋아요 누를 생각 없었는데 듣다보니 핵공감하게 됩니다. 좋아요 꾸욱...
@MrBoogie4444
@MrBoogie4444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캬 믿고보는 조합이군요. 쥬시하다,,,
@naturalpace9578
@naturalpace9578 7 месяцев назад
나만앞서가자했는데 조만간 우리 모두는 혼자 됨니다..웃슬픈일..
@9_9ungsill
@9_9ungsill 7 месяцев назад
목소리가 완전 신사임당ㅋㅋ
@MPick-bw8tf
@MPick-bw8tf 6 месяцев назад
고소득 직업군들은 AI 다 바뀐다.그외로 은행권이 예시이다.지점들 축소되고 인원 감축 (30대 후반 희 망 퇴직 받고 있는 요즘) 은행권은 대출 인원만 남 고 입출금,카드 영업 등 특히 은행권 여직원들 퇴 출 1순위다.
@user-zo7pu9in2w
@user-zo7pu9in2w 7 месяцев назад
기업과 사회는 공동체를 원하는데 개인은 개인화를 원하니까 먼가 서로 잘 안 맞는듯.....그러다보니 더 경력직을 더 원하는 것도 있는거 같음.....
@86PARAN
@86PARAN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이게…유럽쪽에서는 한참 예전부터 심각한 문제였다고 들었어요
@user-wi2oq6zf6v
@user-wi2oq6zf6v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애사심은 없고 언제든지 당일이라도 직원이 회사를 그만두는 시대가 반대로 당일 해고되는 시대가 될수 있겠네 그렇게 되면 회사가 하나부터열 까지 메뉴얼을 둬서 세세하게 일을 시키겠네
@helookscool
@helookscool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아, 이제 핵개인으로 살지 않고 포용적으로 팀의 빈틈을 채우는 사는 포괄적 개인(내가 만든용어)이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책팔이들이 용어 만들기 시작하면 이제 내리막길만 남은거거든요.
@user-mx1xf2jx2v
@user-mx1xf2jx2v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출산율이 떨어지는데 공채가 과연 사라질까요? 일본처럼 대학 졸업하면 서로 모셔갈려고 줄을 설 겁니다.
@salmon_JSD
@salmon_JSD 7 месяцев назад
기업은 비용을 덜 들이고 이익을 얻는 걸 기본으로 하는데, 출산율이 떨어지던 말던 영상처럼 자동화로 사람 쓸 일 없게 만들고, 인간만이 할 수 있는 능력과 전문성을 갖춘 사람들만 영입을 하는 세상이 온다는 거죠 그것 외에는 사람이 할 일이 없으니까
@user-gz4dq9wg8e
@user-gz4dq9wg8e 7 месяцев назад
것도 10~20년뒤 이야기고 지금 2~30대는 취업안돼서 죽어나가는데
@salmon_JSD
@salmon_JSD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저도 20초 사회초년생입니다, 영상에서처럼 사람마다 다르게 다가오고 있지 않을까요? 10, 20년 뒤가 아니라... 일자리가 없어서 죽어나가기 보다는 물가가 너무 높은 것 같은데
@salmon_JSD
@salmon_JSD 7 месяцев назад
그리고 영상에서의 일들이 안 일어날 것이다, 그럴리가 없다, 먼 미래다 생각하는 것보다는 10 20년 뒤더라도 미리 준비하고 알아라도 두자는 거 아니겠습니까 세상은 늘 달라지니까 어떤 일이 생길지 모르죠 저 학생 때 10년 20년을 사회에 나올 준비를 했다지만 늘 달라지는 교육과정에 취업 트렌드에 ai 4차산업 등등ㅇ 공교육만 보더라도 종이였다가 컴퓨터 테블렛, 인강으로 수업 대체하고... 요즘은 대학처럼 학점제에 원하는 과목만 듣게 한답니다
@alrxkdnrkekq
@alrxkdnrkekq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우리나라 자동화 수준은 일본 반도 못따라갑니다... 지금 중소에서 사람들 없어서 외노자쓰면서 그 외노자도 없어서 힘들다고 하는데 자동화가 무조건 만능이 아니에요 대기업과 서비스업 한정이며 대기업도 지금 투자 하기힘든 경제상황이라 생각보다 자동화 더딥니다... 심지어 자동화 강국이라는 일본조차 사람없어서 이민 받으려고 하는데...
@park2340
@park2340 6 месяцев назад
대한미국 공무원 시험도 공채로 대부분 하고 있지만 미국엔 이미 벌써부터 공채가 사라진 지 오래지요. 결원이 생기면 간단한 공고문 내고 시험은 없이 면접만 보는데, 면접관의 질문이 당신을 추천해 준 우리 사무실에 직원이 있는가? 하고 물어봤을 때 네.. 저는 아무개 부장님을 잘 알고 있고 그 분이 추천을 해 줬습니다. 라고 하면 그 부장님에 대한 신뢰도가 높다면 거의 합격하는 시스템이라고 하더군요. 우리나라 같으면 갑질이니 낙하산이니 난리가 날 텐데 말입니다. 훨씬 미국이 그런 면에서는 개방적이고 유연한 것 같습니다.
@somanyVideo
@somanyVideo 7 месяцев назад
한 10년 지나면 개인의 지식은 사실상 필요 없어지는 시대가 올듯.. 인간자체가 필요 없어지고 이번세기 안으로 인간의 존재 이유를 다시 찾아야하는 상황이 생길듯 하다. 그럼 문명을 존재시킬 이유도 없어지고 존재의 이유가 ai에 의해서 만들어질듯..
@stanleydan9159
@stanleydan9159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송길영님이 말씀하신대로 아웃라이어들은 꾸준히 존재의 이유 자체가 되겠죠. 에버리지 인간들이 삶을 바라보아야 하는 태도를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고민을 하는 시대가 될겁니다.
@rayyang9214
@rayyang9214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어떻게든 발견할듯. 생존 본능이란게 그렇게 허술하지 않음.
@NoName-ln6sj
@NoName-ln6sj 7 месяцев назад
​@user-sx9mu3ff9l낙관적이네 ㅋㅋㅋ
@catb5726
@catb5726 7 месяцев назад
멍청한 애들이 이런 극단적인 사고를 하더라
@somanyVideo
@somanyVideo 7 месяцев назад
@@catb5726 님도 극단적인듯..
@nari9032
@nari9032 7 месяцев назад
그럼.. 전문성을가진 핵개인중 경쟁에서 우위를 점한 소수가 장악하게되겠군요.. 단순직은 사라질테니
@mastprogs
@mastprogs 7 месяцев назад
박사님 오셨따리
@user-vz4qm6ye6m
@user-vz4qm6ye6m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예술쪽 계열이었는데 취업도 어려웠는데 취업 후 한 달만에 잘렸습니다..경력 5년차 이상 뽑을거라구요 전 당장 먹고 살아야하기 때문에 디자이너란 직업을 놓아주려구요,,
@joblack5000
@joblack5000 6 месяцев назад
근로자가 전문가가 되었지만, 임금상승 없이 계속 일회용 베터리 쓰듯이 쓰다보니 .. 저임금으로 신입을 쓸 수가 없고, 낮아진 전문가들(약간 자동화 된 직장인)을 쓰는 그런 세상이 된겁니다. 뭔 헛소리야 도대체 .. 지금까지 임금을 제대로 치루지 않고 미뤄온 숙제가 지금 이 세상을 만든거구만 . 전문가 임금이 낮아진 결과인걸 가지고 해석 갖다 붙이는거 보니 열받네 ..
@user-fj9ct1gh6v
@user-fj9ct1gh6v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일본이랑 달라요. 내수 안받쳐요. 잃어버린 10년? 우리나라가 더 장기침체일겁니다. 기본적인 체력이 달라서..
@user-kp2pu1zv5o
@user-kp2pu1zv5o 7 месяцев назад
드로우앤드류 똑똑한 청년 문득 새심 대단하네
@gerrardchoi900
@gerrardchoi900 6 месяцев назад
저와 같은 생각을 하시는군요, 이제 대비를 해야할 때입니다. 변수 중 하나는 AI와 로봇이죠,
@user-wg7pq3ey2y
@user-wg7pq3ey2y 7 месяцев назад
ㅎㅎ 이틀 전에 올라온 핫한 영상이네요~
@pandakim2647
@pandakim2647 7 месяцев назад
그럼 결국 전보다 점점 힘들어지고 못살고 기회를 못받다는 거내 공채없어지면 정부탓하고 욕한다면 지금 이 상황은 머지ㅋㅋㅋ 지들이 사다리 치워버리는걸 어줍잖게 포장하는것 같은대
@pandakim2647
@pandakim2647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이제 취업난에 실업자 증가하면 정부에서 "핵개인시대 정신에 걸맞지 않아서 도태되는 것이다" 라고 하면 수긍해야 되내ㅋㅋㅋ
@lostbutter001
@lostbutter001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쓰레기마인드죠. 본인들은 회사 처음 들어가고 2-3년뒤에 이직했으면서 우리세대들이 2-3년하고 나가면 신입 뽑아봤자 몇년하면 나가더라 ㅇㅈㄹㅋㅋㅋ 심지어 동종업계 이직이 아니라 회사가 부려먹는거대비 돈이나 복지가 이게 맞나 싶을정도니까. 특히 복지에 대해서는 할말이 많은데 자녀 학자금ㆍ경조사등 다 애들이 있다는 가정하의 복지만 있음 혼자사는 사람이나 청년신입은 혜택 못받는거 다른쪽으로 선택권을 주든가
@user-zf1jc4bg9v
@user-zf1jc4bg9v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좋아하는 두 분~ 반갑네요 😄
@user-hj8kw3fh6r
@user-hj8kw3fh6r 7 месяцев назад
크으으 미쳣다
@ekgns019
@ekgns019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점점 허들이 높아지는군요😂
@user-yx3vp7mp6b
@user-yx3vp7mp6b 7 месяцев назад
미국서 1억 받는게 많이 받는게 아님 세금이나 생필품 생활 기초에 해당하는 돈이 우리나라 몇배가 나가서 심하게 이야기 하면 미국 1억 연봉이 우리나라 4천 이랑 비슷하다고보면 됨
@hongsukbeum
@hongsukbeum 7 месяцев назад
큰 조직의 눈으로 보면 마이너스투성이 세상
@slow4361
@slow4361 6 месяцев назад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경력직만 뽑다가 이제 사람이 없어서 망하는걸 경험하면 그제서야 일본처럼 바뀔것 같네요 이제 동남아도 임금이 올라가는 추세라 인력이 부족한 상황에서 AI도입을 늘리고 한대도...사람들이 설 자리를 지키기위해 전문직에 대한 투자를늘리지않을까 싶기도하고..어떻게 될진 모르겠지만, 1인 기업들이 더 늘어날것도 같고 예측불가능한 상황속에서 우리나라가 일본의 나쁜 예를 따라하는 느낌은 강합니다.. 😂😂😂
@ttkk9040
@ttkk9040 7 месяцев назад
당연한 흐름 이미 격고있고 그런데 이핵개인의 시대가 매우 짧을 예정. 일본은 이미 30년전 이런흐름을 보였고 매우 느리게ㅜ진행됐다면 한국은 더빠르게 진행될예정. 일본처럼 대량공채가 지금다시 일어나듯 한국은 10년만에 또 변혁될것. .
@user-yi3oy8fp5n
@user-yi3oy8fp5n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지금 AI와 로봇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면 핵개인은 유지가 될 것이나, 기술적발전이 더뎌진다면 년 출생아수 20만명대의 인구로는 핵개인이 힘들겠죠.... 너무 사람이 없으니.... 이제 20년 남았네요. 미래가 어찌될지 제 아이의 미래는 좀 좋은 사회였음좋겠네요
@user-me9ec3bq3l
@user-me9ec3bq3l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우리나라 참 웃긴게 결과가 안좋으면 노력 가스라이팅하면되고 결과가 좋으면 노력가스라이팅안함 노력만으로도 ㄱㄴ하다생각하는경향이 있음 사실 그가스라이팅이 전부 노예화시키기위한 놀음이였다는걸 현대인들은 모르겠지
@whynot1596
@whynot1596 7 месяцев назад
개인주의가 맞다. 체면이나 오지랖, 혈족을 내세운 착취가 기본인 유교적 가족주의는 시궁창이 답이다.
@VoidX930
@VoidX930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송길영 저 사람은 돈도 충분히 많고 기득권이니깐.. ㅋ 나머지 서민애들 인생들이, 시대에 치여서 좌충우돌 허우적대는거 구경하는 재미가 쏠쏠하겠지😂ㅋ
@user-hd8md3ph6p
@user-hd8md3ph6p 7 месяцев назад
근데 그린룸 할때마다 앤드류님 너무 졸려보이심 ㅋㅋㅋㅋ
@user-xz9ps9zd3p
@user-xz9ps9zd3p Месяц назад
정말 통찰력 탑티어..
@user-jc1pb3is8k
@user-jc1pb3is8k 6 месяцев назад
혁신으로 가려면 자신만의 아이디어가 있어야함.제가 늘 그렇게 살았더니 스스로 발전하고 노력파로 후회안하고 싶어서 하고자하는것은 늘1,2등 했고,대학교때 기숙사를 바꾼 일인이예요.전설로 남아있죠.누구나 잠재력있어요.대신 부모가 아이의 특성을 잘 파악하고,지지해줘야함.부모의 지지아래 그렇게 살다가 타인이 엮이니 그 반대성향으로 바뀌었고,말안듣는 인간으로 비추어져 세상에 사람들과 부딪치며,고치고 바꾸며,살았더니 숨통트였어요.지금도 노력하며 살고있고,어느 누구의 도움도 안받고 스스로 또 다른 무언갈 이루려고 하고 있으니 후회없어요.계속 그럴것이고,후회없는 인생 살아야하니까요. 또,모두에게 불합리한것들을 클린하게,사람들이 힘들어 하는것은 ai도움 받아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되네요.대신 인간의 영역은 침범되지 않게 해야겠죠?자신의 직업에 자부심을 가지고,전문적인 인재는 양성되어야 된다고 생각되네요.
@sjmu9721
@sjmu9721 7 месяцев назад
보는 내내 내 속이 시원하다ㅋㅋㅋ 너무 일치하는 삶..
@feelyourangel
@feelyourangel 7 месяцев назад
국회의원들도 정부도 학교도 부모도 몰라서 못해내는걸 딱찝어 알려주시네요.
Далее
$10,000 Every Day You Survive In The Wilderness
26:44
The delivery rescued them
00:52
Просмотров 4,3 млн
돈을 얼마나 버는지보다 훨씬 중요한 것
11:12
한국에 다가올 핵개인의 시대 (f. 송길영)
26:48
데이터로 보는 침착맨 사주풀이
1:38:55
Просмотров 581 ты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