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밀림 4칸의 법칙 >이로군요... 기억하기가 쉬워서 실전에서 사용하기도 쉽고 성공율도 높으면서, 성공하면 포지션,실패하면 디펜스도 할수 있어 좋은 공략법 같습니다. 김프로님이 강조하신대로 자신의 회전량을 정확히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 핵심이라고 생각합니다. 오늘도 좋은 레슨,,, 감사합니다.
오늘도 좋은 강의 고맙습니다. 궁금한 것이 있습니다. 1적구가 단 쿠션에서 멀리 허공에 떨어져 있고 당점을 1이나 2를 쳐야 할 경우 이때 수구가 밀릴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런 경우 당점을 수평 점(3시당점 높이)으로 2팁, 혹은 1팁을 주면 안 되는지요. 감사합니다. 👍👍👍👍👍
오늘 영상은 두께를 1/3정도 편하게 수직 분리를 시킬 수 있을 떄 사용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큰 차이는 없지만 절반 정도의 두께를 사용하는 방법에서는 분명 회전량의 차이가 생길 수 있습니다 다음에 또 다른 영상에서 다뤄보겠습니다 (레슨에 간과한 이유는 따로 없었습니다 ^^)
프로님! 항상 좋은 영상 올려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너무 재미있게 구독하고 있습니다. 입사각에 따라 수직분리 두께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려주셨으면 합니다. 그리고 수구과 1적구가 많이 떨어여 있는 경우 수직분리가 않되고 밀림이 발생해 득점이 않될 경우도 발생할 것 같습니다. 그럴떼에는 스트록을 어떻게 치면 좋은지요?
질문있습니다! 1적구가 단쿠션 1포인트에 있을 때 2팁으로 치면 3칸 이동이니까 반대편 단쿠션 2포인트에 도착합니다. 그런데 최근에 선생님께서 가르쳐주신 튜즐시스템과 상충되어서 문의드립니다. 단쿠션 1포인트는 튜즐시스템의 2팁에 해당되는 곳이니까 수직분리로 치면 반대면 단쿠션 1포인트에 도착해야 하지 않나요? 스트록과 관련이 있을까요? 어떤 차이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항상 최고의 레슨을 해주시는 김프로님께 마음속 깊이 감사를 드리고 있습니다. 이 채널을 구독하고 실력이 엄청 향상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먼저번에도 시청했었는데 오늘 다시 돌려보는데요. 긴쿠션애서 회전량을 테스트하는것과 단쿠션에서 테스트하는것이 같은 회전량인가요? 예를 들어 단쿠션에서 출발하는 1팁,2칩, 3팁회전이 긴쿠션에서도 같은 것인가해서요.밀림 현상으로 긴쿠션에서 도착량이 달라지는것 인것 같아서요.
도움을 조금이나마 드릴 수 있어서 다행입니다 오늘 영상에서 처럼 편하게 수직분리 할 때 사용하라고 한 이유는 내공이 볼퍼스트 이 후 밀림이 생기는 경우는 완전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입니다 어떤 기준이나 시스템을 사용할 때는 흔히 말하는 결대로 칠 수 있을 때 사용하시는게 좋습니다
저는 연수구에서 30점을 놓고 치는 46세 유저입니다 도데체 왜 대부분의 유투버분들이 수구와 1적구의 거리에대한 설명없이 기울기만 가지고 당점과 두께와 스트록을 같다고 정의하시는지 이해가 되질 않습니다 하점자들을 위한 교보재인건가요? 수구와 1적구의 거리는 기울기만큼 중요합니다 선생님의 방식대로 배우면 독자들이 망가질게 뻔해요
영상을 꼼꼼하게 시청하시면 좋을 듯 합니다 오늘 영상은 편안한 두께로 수직 분리를 시킬 수 있을 떄 사용하라고 조건에 명시했습니다 모든 영상에서 자세하게 조건을 설명 드리고 있긴 하지만 저희도 놓치는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인천 연수구 30점이라고 표현하신 부분은 고점자라는 부분을 어필하시려고 한 것 같은데, 채널의 발전을 위한 조언은 저희도 많이 받아들이고 있고 실제 저희 채널은 구독자분들의 조언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공격적인 발언은 받아들이기 힘드네요 표현 방식을 조금 다르게 주셨으면 조언으로 귀담아 듣겠지만 구독자들이 망가질 수 있다는 말씀은 채널비하로 밖에 안 보여집니다 앞서 대부분의 유튜버 분들이라 표현하셨는데 저희 채널에서 이런 댓글을 다신 이유도 궁금하네요 (담당PD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