Тёмный

미국에서 물 건너 온 100살 통나무 시원하게 잘라 원목 식탁으로 만드는 과정┃나무 특성 그대로 살린 우드 슬랩 가구┃맞춤제작 원목 가구 공장┃극한직업┃ 

EBS Documentary
Подписаться 4,2 млн
Просмотров 113 тыс.
50% 1

※ 이 영상은 2022년 02월 26일에 방송된 <극한직업 - 친환경 가구와 매트리스>의 일부입니다.
나무의 특성을 그대로 살리는 ‘우드 슬랩’ 가구
경기도 용인시의 원목 가구 공장.
헤드만 3m인 거대한 크기의 원목 침대부터 나무 결의 형태를 그대로 살린 테이블과 의자까지 손님들의 주문이 들어오면 맞춤 제작을 하고 있다는데.
월넛과 오크, 단풍나무 등 단단한 나무를 사용해야 좋은 가구로 만들 수 있다는 ‘우드 슬랩’.
원목 가구 공정 중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건조라고 한다.
자연 건조를 시킨 후, 온도를 50~70℃로 높여 인공 건조의 과정을 거쳐 나무 안 함수율을 8% 이하로 떨어뜨려야 오래 사용해도 뒤틀림이 없는 나무가 되기 때문이다.
건조를 끝낸 나무를 가구의 특성에 맞춰 자르고 표면을 부드럽게 만드는 샌딩 작업이 이어진다.
기계의 힘을 빌리기도 하지만, 목재마다 형태가 다르기 때문에 원목 가구의 제작은 사람의 손을 일일이 거쳐야 작업이 완성된다.
그러다 보니 작업자의 손은 늘 상처투성이라는데.
나무를 자르고 다듬어 가구의 형태를 만들고 나면, 천연 오일을 발라 마무리해 주면 세상에 하나밖에 없는 원목 가구가 탄생한다.
✔ 프로그램명 : 극한직업 - 친환경 가구와 매트리스
✔ 방송 일자 : 2022.02.26
#골라듄다큐 #극한직업 #원목가구 #공장

Опубликовано:

 

29 май 2024

Поделиться:

Ссылка:

Скачать:

Готовим ссылку...

Добавить в:

Мой плейлист
Посмотреть позже
Комментарии : 40   
@hjjang8295
@hjjang8295 26 дней назад
훈증살균 필수네요.
@user-st5ld2nh7d
@user-st5ld2nh7d 25 дней назад
본드 자체가 화학성분인데
@Jo-yz3zb
@Jo-yz3zb 25 дней назад
화학 성분 본드도 있는데 원목가구에는 천연성분 본드를 사용해요~~~
@user-ht6lz9yd9m
@user-ht6lz9yd9m 26 дней назад
나무에 화학약품 덧입히지 않은 자연 그대로의 향기가 나는 가구 하나 갖고싶네요.(식탁, 의자)
@cat-dd6gx
@cat-dd6gx 26 дней назад
진짜 극한직업이네... 나무 톱밥오래먹게되면 호흡기에 괜찮으실려나요??
@uwn5263
@uwn5263 25 дней назад
안좋기에 방독마스크를 쓰는 거죠 근데 뭐 미세먼지 주의 발령을 해도 마스크 안쓰고 다니는 사람 있듯이 안쓰고 일하시는 분들도 똑같은데 이런 분들은 일찍 가고 싶어 그런지 고집도 쎄서 안쓰는 사람들 은근 많죠 목에 기름칠하면 그만이라 하면서 ㅋㅋ;
@darksoul1381
@darksoul1381 24 дня назад
아니요. 1군 발암 물질입니다.
@pimsenz9382
@pimsenz9382 23 дня назад
그래도 님보다 오래 살걸요
@user-ni2tg1pf3x
@user-ni2tg1pf3x 25 дней назад
우리가 쓰는 모든 기기부터 집에 자동차까지 화학물질 투성이 인데 깨끗한척..댓글 개웃끼네 ㅋㅋㅋ 다들 나무자동차 타고다니시낰ㅋㅋㅋ
@4321chum
@4321chum 18 дней назад
14:40 수압대패 작업하시는 모습 아찔합니다. 손에 장갑을 끼지 않는다는건 현명한 판단이겠지만, 옷소매가 수압대패 위로 그대로 지나가는 모습을 보니 위험해 보입니다. 겨울이라 옷을 두껍게 입으신건 이해하는데, 옷소매가 내려와서 자칫 잘못하면 대패날에 빨려 들어갈 수도 있습니다. 아차하는 순간 큰 사고로 이어질 수도 있으니 조심하십시요. 수압대패사고의 경우 최소 손가락 절단부터 손이 정말 날아가 버립니다. 목공은 오래했다고 잘하는게 아니고, 초보든, 고수든 언제나 안전에 유의해서 작업을 해야 합니다.
@bottomeline
@bottomeline 25 дней назад
나무 종류가 뭔가요?
@user-fu8hx5hk2l
@user-fu8hx5hk2l 26 дней назад
투박해보이네요.
@airjun28
@airjun28 26 дней назад
미국산 각종 벌레와 곤충류들이 이렇게 들어오는 거군요
@jamie-blue
@jamie-blue 25 дней назад
웃기고있네. 검역이란게 있는줄은 모르냐
@uwn5263
@uwn5263 25 дней назад
@@jamie-blue 검역 뜻도 모르는 무식한 사람한테 얘기해도 소용이 없음...
@williamkim8732
@williamkim8732 25 дней назад
​@@uwn5263님이 아는 검역의 의미는 뭔데요 ?
@uwn5263
@uwn5263 25 дней назад
@@williamkim8732 네이버에 검색하면 나오는 뜻 그대로임 수출국에서 병해충에 대해 안전하다는 검역증명서 발급을 받으니 한국에서 받는 거지 안 그럼 다 폐기처리함
@WoosukYoon-cg9bv
@WoosukYoon-cg9bv 25 дней назад
ㅋㅋ ​@@uwn5263 검역은 그중의 일부다
@user-ht6lz9yd9m
@user-ht6lz9yd9m 26 дней назад
레진도 바른고 접착제도 사용하는데 화학성분이 없다니요;;; 옛날 방식대로 순수 나무 그 자제로 만들고 결합하면 강도가 약하긴 하지만 그게 더 자연친화적이지 않을까요^^.
@uwn5263
@uwn5263 25 дней назад
강도 문제가 아니라 저렇게 코팅 안해놓은 상태로 그 위에 음식물 하나라도 업지르면 닦이지도 않아서 그게 젤 문제고 다음으로 수명도 굉장히 짧아져서 자주 살 돈이 있는 부자나 잠깐 맛보기로 써보고 금방 실증나서 버릴 사람만 그렇게 할 듯요
@cat-dd6gx
@cat-dd6gx 25 дней назад
현실적이지가 않네요. 김치국물 엎으면 나무에 다 먹을텐데!!
@why3380
@why3380 25 дней назад
1. 레진은 위에 마감이 올라가면 직접 닿읗 일이 없습니다 2. 접착제는 집성에만 사용하므로 인체에 악영향이 없습니다 (도마도 인증된 전용 본드가 따로있음) 3. 전통방식이라함은 짜맞춤을 말하는것 같은데 그 방식도 접착제를 사용해 최종조립하며 가공이 까다로워 가격이 몇십퍼는 올라갑니다 그리고 짜맞춤은 되려 강도가 더 좋습니다 전부 다 틀린 말씀이세요
@WoosukYoon-cg9bv
@WoosukYoon-cg9bv 25 дней назад
​@@why3380아재요. 순간접착은?
@why3380
@why3380 24 дня назад
@@WoosukYoon-cg9bv 순간접착제는 조립에 사용되지 않습니다 목공본드보다 빠르게 굳을뿐 목재에의 결합력은 훨씬 약합니다 주로 메꿈할때나 간혹 쓰일뿐이죠 그것도 분진과 섞어 사용해서 굳히므로 오일마감 이후에 그러한 성분이 피부에 영향을 미치지 못합니다
@_seoa7710
@_seoa7710 20 дней назад
전에 유투브에서 나무 가구 사장이라면서 국내 참나무 못쓴다는 것은 사기라고 자극적인 말하면서 자기 회사가 얼마나 나무를 잘 말렸는지 보라고 습도체크하는데 3% 나온다고 자랑?하는 것 보고 웃겼음... 나무 습도가?? 그렇게 잘 마른 장작은 처음 봤음.
@user-eg8mv7gg3k
@user-eg8mv7gg3k 25 дней назад
쪼개기??장작???
@user-st5ld2nh7d
@user-st5ld2nh7d 25 дней назад
도대체 친환경이라하는데 머가 친환경인데
@user-bn4qn1ge3p
@user-bn4qn1ge3p 25 дней назад
뭐야
@user-ur8vz9cf1x
@user-ur8vz9cf1x 26 дней назад
겨우 식탁 만들려고 이짓을
@user-lt4pc4jj1m
@user-lt4pc4jj1m 26 дней назад
작업시 잠깐 한눈팔아 기계에 손이 빨려들어가면 경기동부연합.민노총소속이면 와글발작하겠죠
@moonmoon7627
@moonmoon7627 26 дней назад
선족이니?
@user-dl6oo6dz2g
@user-dl6oo6dz2g 26 дней назад
에구 무셔 경기동부연합
@user-un3yl2ci9f
@user-un3yl2ci9f 24 дня назад
무성한 수목을 자랑하는 한국인 만큼 국내에도 고목이 많을텐데, 굳이 저렇게 무거운 나무를 수입해야 하나 하는 생각이. 운송부터 제품이 되기까지 쉽지 않은 과정이네요.
@user-wu5tm2lx2o
@user-wu5tm2lx2o 24 дня назад
한국에 저런 활엽수 나무가 어딨음?? 그리고 통직하지못해서 수율도 안나올텐데 ..
@with.write.live.
@with.write.live. 22 дня назад
한국은 극심한 사계절 기후변화+일제시대 수탈+한국전쟁+과거 나무 때서 온돌 데우던 문화 등의 이유로 저만한 크기의 고목을 찾아보기 힘듭니다. 그나마 있는건 당골나무나 천연기념물이라서 수도 적을 뿐더러 상업적 벌목을 할만한 양이 되질 않습니다.
@mylee7680
@mylee7680 20 дней назад
응 수종이 다르단다
Далее
2000 vs 2100
00:15
Просмотров 16 ты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