Тёмный

불가사리의 팔은 왜 하필 5개로 진화했을까?(대칭의 과학) 

과학드림 [Science Dream]
Подписаться 1 млн
Просмотров 143 тыс.
50% 1

과학드림은 여러분의 소중한 후원으로 성장합니다.
멤버십 가입!▶ / @sciencedream
과학드림의 식구가 되어 주세요! :)
다른 후원 방법!▶toon.at/donate/sciencegive
=============================================
불가사리는 극피동물에 속합니다.
그런데 신기하게도 대다수의 극피동물은
오방사대칭을 하고 있습니다.
게다가 지구상의 수많은 동물들은
좌우대칭인데 반해 이들은
방사대칭을 하고 있죠.
그런데 더욱 신기한 건
이들은 방사대칭 중에서도
오방사대칭입니다.
왜 하필 이들은 오방사형을 지니게 된 걸까요?
오늘은 불가사리와 극피동물의
진화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불가사리 #극피동물 #대칭
=============================================
[참고 자료]
- 『성게, 메뚜기, 불가사리가 그렇게 생긴 이유』, 모토카와 다쓰오
- D. G. Stephenson (1974). "Pentamerism and the ancestral echinoderm."
- A. E. Cockbain (1966). "Pentamerism in Echinoderms and the Calcite Skeleton."
[사진 및 영상]
- 셔터스톡 외
00:00 ~ 04:10 극피동물의 진화 과정
04:10 ~ 06:08 극피동물은 인간과 가장 가까운 무척추동물이다
06:08 ~ 10:55 좌우대칭의 기원과 진화적 이점
10:55 ~ 12:58 방사대칭의 진화적 이점
12:58 ~ 오방사대칭의 진화적 이점

Наука

Опубликовано:

 

7 июн 2024

Поделиться:

Ссылка:

Скачать:

Готовим ссылку...

Добавить в:

Мой плейлист
Посмотреть позже
Комментарии : 269   
@SouJungH
@SouJungH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정말 재미있게 잘 보았습니다. 유익하네요. 생물의 형체를 이렇게 기하학적으로 분석할 수도 있네요.
@deki5836
@deki5836 5 месяцев назад
항상 고퀄리티 영상 감사합니다.
@ldw3350
@ldw3350 5 месяцев назад
라이브 재밌어요 계속 해주세요~😊
@user-ss4me6lc4n
@user-ss4me6lc4n 5 месяцев назад
평소와 다른 스타일인데도 집중도 잘 되고 너무 재밌어서 좋았습니다 ㅋㅋㅋㅋㅋㅋ
@seolhajeon9294
@seolhajeon9294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이번 라이브 내용 정말 재미있었어요. 과학드림 컨텐츠 중 거의 최고수준으로 재미있었어요.
@swoop200
@swoop200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이런 라이브 편집영상도 좋습니다! 항상 잘 보고 있어요 화이팅이요
@ScienceDream
@ScienceDream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응원 감사합니다 😊
@ham_punch
@ham_punch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초창기부터 구독자 입니다!! 항상 너무 재미있고 유익한 영상 너무 감사 드립니다. 처음으로 댓글 남겨보네요 ㅎㅎㅎ 편집 영상이 아니고 라이브 진행 하는 영상도 좋습니다. 그래도 영상에 더빙 하시는 컨텐츠도 지금처럼 꾸준히 올려주시면 좋겠습니다!!!
@user-fs4ff2sb1r
@user-fs4ff2sb1r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와.. 나만의 작은 유튜버였는데 벌써 백만.. 역시 컨텐츠 질이 좋으니 쭉쭉 오르네요. 축하드립니다.
@s2s222s
@s2s222s 5 месяцев назад
공감ㅋㅋ
@noise2266
@noise2266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사실 영상의 알맹이 그 자체가 궁금한 것이기에... 라이브 편집본이든 기존의 영상이든 상관없이 섭취 중이니 걱정 안 하셔도 되겠습니다.
@seawon_123
@seawon_123 5 месяцев назад
라이브 방식도 잔잔하게 들을수있어서 좋습니다! 사실 올려주시면 뭔들.. 다 좋아용
@user-xj8iu6cw8g
@user-xj8iu6cw8g 5 месяцев назад
불가사리를 좋아하는데 영상 즐겁고 유익하게 잘 봤습니다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ud6do8pc3y
@user-ud6do8pc3y 5 месяцев назад
5방사형극피동물들이 바다속에만 있는 것도 뭔가 이유가 될수도 있을거 같음 그리고 맛이 없어서 천적이 없는 것도 이유가 될수 있을거 같고 예를 들면 바닷속 깊은곳 바닥에 살면서 천적도 없이 유유자적 살다보니 지맘대로? 생겨도 경쟁도 없고 천적도 없고 생존에 불리한 5방사형이라도 살아남은게 아닐까 라는 생각 ㅎㅎ
@user-ud6do8pc3y
@user-ud6do8pc3y 5 месяцев назад
맛있었으면 이미 멸종 ㅎㅎ
@Manst0
@Manst0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진짜 예전부터 늘 항상 재미 있게 보고 있습니다 (현제 뎃글 다는 기준으로) 166게의 영상 하나도 빠짐없이 다 봤습니당😂😂 항상 응원 합니다🎉🎉
@user-rf5qw1ks1x
@user-rf5qw1ks1x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저는 늘 과학적 사실이 궁금해서 보기때문에 모든 영상을 재밌게 챙겨보고 있습니다. 항상 힘내시고 늘 좋은 영상을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onlyregretful
@onlyregretful 5 месяцев назад
비전공자로서 이런 정보를 얻고싶은곳이잇어도 찾기가힘들었는데 너무 재밌어요
@kobburi
@kobburi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00만 축하드려요
@ccxt900
@ccxt900 5 месяцев назад
그런 데! 들을때마다 괜히 흥미로움
@user-ft3jz8ix7h
@user-ft3jz8ix7h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잘 보고 있어요♡
@Hahyunwoo170
@Hahyunwoo170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종과목강문계 나뉘는 기준이 궁금해요!!😊
@deokhyun8253
@deokhyun8253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전 라이브가 더 재밌는거같아요 강의 듣는 느낌이라 쏙쏙 들어와요 ㅋ
@user-lx6np5jl9r
@user-lx6np5jl9r 5 месяцев назад
간단히 에너지 효율 측면에서 가장 효율적인 형태라 5방사형태를 띄게 되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방향전환시(4방사 이하면 다리사이 간격이 너무 넓고 6방사 이상이면 불필요하게 좁음), 먹이포획시 등 각종 다리 사용하는 활동을 할 때 5방인 쪽이 가장 효율적이라 그렇습니다
@43rickee
@43rickee 3 месяца назад
가장 최근의 논문을 보니까, 불가사리의 5개 다리..는, 팔다리가 아니라 뇌의 일부라고 하네요 불가사리의 발생과정을 추적한 결과 뷸가사리의 유전자에서는 대칭동물의 머리에서 활성화 되는 유전자 구조만 발견이 되었다고 합니다. 애벌래 때는 몸통을 구성하는 유전자가 있어서 대칭의 형태로 시작하지만, 성체가 되면 몸통을 구성하는 유전자는 사라지고, 머리를 구성하는 유전자만 남는다고 합니다.
@user-jt4sn1yn7t
@user-jt4sn1yn7t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움직이지 않는 식물도 방사형이네요. 재밌는 영상이네요. 라이브인데도 입담이 좋으세요 ㅎㅎ. 불가사리가 방사형인건 이동성 좌우대칭이던 조상에서 바다나리-부착생활-방사형 을 거쳐서 거기서 유래된게 아닌가싶네요.
@woodverge
@woodverge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이런 편집영상도 좋아요~
@ScienceDream
@ScienceDream 5 месяцев назад
더 열심히 하겠습니다☺️
@cgpark5096
@cgpark5096 5 месяцев назад
매번 이렇게 말씀하기 전에 공부를 참 많이 하고 오실 것 같네요. 항상 재밌게 보고 있습니다 ㅎㅎ
@llIIllllIIIIllll
@llIIllllIIIIllll 5 месяцев назад
벌꿀오소리에 대해 다뤄주세요! 어떻게 겁대가리 없이 진화했는지 ㅋㅋㅋ
@user-ji5uz2jv5q
@user-ji5uz2jv5q 5 месяцев назад
ㅋㅋㅋㅋ 이 컨텐츠 상상만해도 웃기네요
@user-ze9vz6qc4h
@user-ze9vz6qc4h 5 месяцев назад
그러게요... 보통 동물들은 겁이 많아서 위험을 피하는 쪽이 생존에 유리하니 그쪽으로 진화하지 않았을까요??? ㅎㅎㅎ
@ScienceDream
@ScienceDream 5 месяцев назад
벌꿀오소리는 몸 색깔 패턴도 특이하죠 ㅎㅎ
@user-wn5be1st4u
@user-wn5be1st4u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재미있네요!! 처음 알았음!! 🤣🤣🤣👍👍👍
@user-xq7kz5ip6z
@user-xq7kz5ip6z 5 месяцев назад
가끔 나무나 생물을 보며 진화동기나 기작이 너무나 궁금한데 너무 좋은채널이네요.
@ScienceDream
@ScienceDream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즐겁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pt5mu8vn3s
@user-pt5mu8vn3s 5 месяцев назад
목소리 좋다고 생각하고 좋아하던 채널인데 얼굴 기대햇던거랑 많이 다르시네요 ㅜㅜ 실망이 많이되는 이 기분은 뭐죠 ㅜ 앞으로 자주 보진 않을거같아요...
@cheaeunoh9071
@cheaeunoh9071 5 месяцев назад
​@@user-pt5mu8vn3s맘에 안드시면 그냥 조용히 가시면 되는것을... 굳이 기분 묘하게 댓글을 남기시는게 재밌네용ㅎ
@user-ck3jt5qk5u
@user-ck3jt5qk5u 5 месяцев назад
​@@user-pt5mu8vn3s지능낮은걸 길게도 얘기하네
@user-uo6ex3wo1s
@user-uo6ex3wo1s 5 месяцев назад
​@@user-pt5mu8vn3s얼굴때문에 실망한거면 이 채널을 좋아한게아닙니다.
@user-nf9zo5zv4q
@user-nf9zo5zv4q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재밋게 봤어요 ㅋㅋㅋㅋㅋㅋ
@user-ns8uz7iv8b
@user-ns8uz7iv8b 5 месяцев назад
라이브 좋은데 실시간으로 궁금한 거 물어볼 수도 있고 영상에 다 들어가고 재밋네요
@user-jh1gp2xr9n
@user-jh1gp2xr9n 5 месяцев назад
과학드림형님 라이브도 원래형식으로 해서 정리해주면 어떨까요??! 원래 오리지날 형식을 좋아하는 사람이 많아요!!
@user-pl9if7pd6q
@user-pl9if7pd6q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오방사극피동물의 주서식지가 바다밑이라고 하면 빛이 미약하거나 거의 없는 상태이니 눈보다는 화학적반응을 탐색해서 오는 방향에 즉흥적으로 반응을 해야하기때문에 그런 것아닐까요? 그냥 상상해봅니다.. 이야기 재미있게 잘봤습니다..감사합니다~~^^
@B2spirit_ap
@B2spirit_ap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진짜 단 한 번도 신경쓴 적 없었는데 제목보니까 궁금해짐
@user-fm4lw2zt2h
@user-fm4lw2zt2h 5 месяцев назад
고래처럼 기각류 조상도 알고싶어요!
@user-be1we5ul8r
@user-be1we5ul8r 5 месяцев назад
맨 마지막이 핵심이네요
@user-dc6eg6oz5s
@user-dc6eg6oz5s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예쁘게 반갈죽 되는 친구들이 참 많네요~
@ayylmao02
@ayylmao02 5 месяцев назад
혹시 완변변태의 진화사를 다뤄주실수 있나요? 불완전변태에서 갈라져 나와 완전변태로 진화했다는데 그렇게 된 계기가 너무 궁금하네요 ㅜㅜ
@onlyregretful
@onlyregretful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우리는 어디로부터왔는가에 대한 가장 정확하고 날카로운대답 생물학...
@user-rk5pu9mm9y
@user-rk5pu9mm9y 5 месяцев назад
라이브 개좋아♡♡
@ranghyo4510
@ranghyo4510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이것도 이것대로 좋아요 영상 많이 올려주세요
@user-op9do4zn2d
@user-op9do4zn2d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이젠 라이브도 재밌따
@ScienceDream
@ScienceDream 5 месяцев назад
감사함돠!!!!❤
@user-nv2rg1ey8n
@user-nv2rg1ey8n 5 месяцев назад
👍 👍 👍 👍 👍 👍 👍 👍 같은 세대 살아가는 생명체를 알아가는것도 잼나요
@wirelessholic4506
@wirelessholic4506 5 месяцев назад
같은 지구 안에서도 저렇게 기가막히게 생긴 생명체들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우리 인간들은 외계에서 '인간과 유사한 형태'의 외계인을 상상하는게 얼마나 편협한 사고인지 깨닳게 되는 영상이네요
@_sen8225
@_sen8225 5 месяцев назад
혹시 일각 고래에 대해서도 다뤄주실수 있나요! 유니콘처럼 생겨서 실존했었다는 말을 믿지않았었거든요ㅎㅎ일각고래는 왜 뿔 하나만 가지게 된건지 진화의 이유도 궁금해요
@user-wj1kd5hl5x
@user-wj1kd5hl5x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원래 두개였는데 제가 하나 떼서 등긁는데 쓰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lt4bw8nc5s
@user-lt4bw8nc5s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일각고래의 뿔은 어금니가 자라서 뿔처럼 보이는건데 간혹가다가 양쪽이 자라서 쌍뿔인 개체도 발견된다고 하네요!
@user-qi5od3lt3w
@user-qi5od3lt3w 5 месяцев назад
한쪽 이가 앞으로 자라서 뿔이 생겨났대요! 때문에 앞에서보면 뿔이 한쪽으로 쏠린 비대칭이라고 합니다. 뿔이 이렇게 자라난 이유는 구애용으로 추측중이라네용 (사실 침착맨 엄니설명회에서 봄)
@user-cm4mu8yh2z
@user-cm4mu8yh2z 5 месяцев назад
Sumrall, C. D. & Gregory, A. W. Ontogeny in the fossil record: diversification of body plans and the evolution of “aberrant” symmetry in Paleozoic echinoderms. Paleobiology 33, 149-163 (2007). 극피동물의 좌우 대칭으로부터 오방사 대칭으로 진화한 과정에 대한 논문입니다 - 궁금하신 분들 한 번 보세요 ㅎㅎ
@wanki777
@wanki777 5 месяцев назад
???: 아니야! 뚱이라니까요!!!
@nickname-mohagi
@nickname-mohagi 5 месяцев назад
거기 집게리아죠?
@wanki777
@wanki777 5 месяцев назад
@@nickname-mohagi 아뇨 전 뚱인데요?
@user-ts5bs8ll3r
@user-ts5bs8ll3r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여기 집게리아죠?
@jejoyeon
@jejoyeon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저기 집게리아죠?
@wanki777
@wanki777 5 месяцев назад
@@jejoyeon 아뇨 전 뚱이에요ㅡㅡ
@user-xs6xw8dy5m
@user-xs6xw8dy5m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잘봤어요
@user-SLE
@user-SLE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3:21 평소에 진짜 리스펙하는 부분.. 나같으면 자료조사만으로 시간 오지게 잡아먹을텐데 과학자 사진 어떻게든 찾아냄ㅋㅋ 몇 초 정도 쓰려고 사진 찾을 때마다 사리 쏟아질듯
@thesmarts8426
@thesmarts8426 5 месяцев назад
궁금해서 검색해봤어요. 극피동물 이외에 많은 식물들의 형태, 과일의 단면, 그리고 회전형 대칭에서 5각형이 나타납니다. 좌우대칭이나 6각형만큼이나 5각형도 자연계에서 안정적인 형태라는 거죠. 이는 아마도 황금비율이 나오는 구조이기 때문이라고 봐요. 반대로 간단한 배열만으로도 쉽게 5각형이 구현된다는 뜻. 자연계에서 쉽게 볼 수 있는 회전형 구조 ~~ 피보나치 수열 ~~ 황금비율 ~~ 5각형 모두 연관성이 있어요. 바다나리가 고착생활을 하며 우연히 회전형 대칭의 5각형 형질을 획득한 후 별탈없이 유지되어왔을 가능성도 있네요. (꽃 중에도 5잎이 꽤 많아요. 막연한 추측인데, 밀집형태에서 6각형이 안정적이고, 단독형태에서 5각형이 안정. 그 예로 6각 대칭의 동물이 없음)
@onlyregretful
@onlyregretful 5 месяцев назад
밀집에서 6각형... 단독에서 5각형.... 오 듣고보니 진짜 그럴싸한데요
@thesmarts8426
@thesmarts8426 5 месяцев назад
@@onlyregretful 증명할 순 없지만 제 가설이 거의 맞네요.(좀 더 검색해봤어요) 불가사리 유생이 자세히 묘사된 그림과 설명을 보니, 좌우대칭에서 한쪽 성장이 빨라지며 나머지 한쪽을 흡수하는 과정이 있습니다.(wikiwand) 이 때 성장하는 부분은 수많은 돌기가 모인 형태로 발생하여 점차 5각형을 만드는데, 이 돌기들의 모양이 마치 해바라기 씨앗처럼 구성되어 있어요. 그리고 해바라기 씨앗은 피보나치 수열을 이루는 대표적인 방사대칭입니다. 즉, 불가사리의 5각형은 발생학에서 근거를 찾을 수 있고, 그 원리는 피보나치 수열이네요. (혹시나 해서 챗지피티에 물어보니 역시나 같은 대답을 하네요. ^^)
@user-cs2jj2ef4w
@user-cs2jj2ef4w 5 месяцев назад
너무 잼나네요 웃으면서 봤는데 ㅋㅋ 감사합니다 수고하셨습니다 ❤❤ 악 마지막 사투리 충청도 방가방가 ㅎ
@ScienceDream
@ScienceDream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제가 더 감사하쥬^^
@mink9066
@mink9066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직선 운동을 효율적으로 하는 좌우 대칭 생명체가 생존에 유리해서 살아남은 것이였군요.
@user-tc2le2my7h
@user-tc2le2my7h 5 месяцев назад
다리가 15개정도 되는 불가사리도 있던데요.. 식물의 잎 모양은 더 다양하고 잎사귀의 수도 3장 5장 6장... 여러가지가 있고 성장 햇수에 따라 달라지기도 하던데.. 식물도 분석하면 더 재미 있을것 같아요..
@user-yk6sx3go4c
@user-yk6sx3go4c 5 месяцев назад
흔한 불가사리 종 중에서도 잘렸다가 회복하는 과정에서 그렇게 되기도 하나보더라고요
@user-rr2xb5sh7q
@user-rr2xb5sh7q 5 месяцев назад
골드버튼 언박싱해주세요~~~
@Gang_HoDong
@Gang_HoDong 4 месяца назад
넘넘재밌당
@user-yz3dz1pq5w
@user-yz3dz1pq5w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재밌네요
@Quidam12
@Quidam12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생각해 보니깐 신기하긴 하네요
@patrickchoi9120
@patrickchoi9120 5 месяцев назад
태어날때 척삭이 달렸다가 자라면서 없어지는 멍게도 그렇고 생물의 유생에서 진화의 단서가 나오는거 같네요...
@hogo1614
@hogo1614 5 месяцев назад
난 이럴게 라이브 편집본이 더 좋아 말 넘나 잘해용 ㅠㅠ 슈카같아서 보기 넘 편해요
@tundratiger9473
@tundratiger9473 5 месяцев назад
표창 던지기를 해보면 압니다. 포인트 4개, 5개, 6개 짜리로 던져보면 포인트 5개가 가장 편안하고, 잘 꽂히고, 던질때 손을 다칠 가능성도 제일 작습니다. 자연이 그걸 알고 그렇게 진화한게 신기하죠.
@june_joy
@june_joy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얼굴이 있는 두족류 복족류 절지동물들이 인간과 가까운게 아니라니 신기하네요. 척추동물 빼면 멍게 미더덕이 인간과 가장 가깝다니~~
@june_joy
@june_joy 2 месяца назад
@@coffeelakelife 과학드림 채널에서 자포동물(강장동물)에는 해파리 말미잘 같은게 있다고 설명해야할줄은 미처 몰랐군요
@untiy1268
@untiy1268 5 месяцев назад
뭔가 이게 더 재밌네요
@semilife2
@semilife2 5 месяцев назад
7:51 좌우대칭 설명인데 상어 나눠 놓은 거 보고 피식 했네요 ㅋㅋㅋㅋㅋ
@jazzycozzy
@jazzycozzy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수상할 정도로 생물학을 잘 아는 경제유튜버를 참조하는 생물유튜버
@abcdefghi__li
@abcdefghi__li 5 месяцев назад
과학드림님! 얼마전에 작은부레관해파리(Portuguese Man o’ War, 학명 Physalia physalis) 가 다세포 생물이 아니라 다형성 군체생물이라는 사실을 알게 됐는데요, 다세포 생물과 다형성 군체생물 구분 기준이 무엇인지 궁금해요. 각 부분이 독립개체지만 분리해서 살 수 없다면 다세포 생물의 기관이랑 다른게 없지 않나요? 히드라와 같은 단세포 생물이 다세포 생물로 진화하는 과정일까요?
@user-ji9fy9vk7x
@user-ji9fy9vk7x 5 месяцев назад
불가사리에 조상은 먼지 입니다. 미국 하버드대 랜턴 존스홉킨 박사는 온 인류의 창조가 아니면 조상은" 먼지"라고 밝혔습니다. 빅뱅으로 생긴 먼지가 불가사리가 됐겠죠
@aozo7872
@aozo7872 5 месяцев назад
걔는 군체같으면서도 다세포 생물 같은 좀 애매한 친구이긴 합니다. 일단 각 기관의 역할을 하는 애들을 출아법으로 만들어내는 놈입니다. 사람으로 따지면 근육 피부 눈 다 따로 만들어지는 것처럼요. 근데 세포 하나하나를 보면, 촉수 역할로 출아된 놈인데도 눈이 달려있거나 내장이 있다거나 그런 애들이 있습니다. 세포 하나만 봤을 땐 그냥 하나의 동물이라고 볼 수도 있는 거죠.
@user-ji9fy9vk7x
@user-ji9fy9vk7x 5 месяцев назад
@@aozo7872 한마디로 조상은 먼지.
@taeseong3416
@taeseong3416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정말 불가사리하네요
@Yeahitismewhy
@Yeahitismewhy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저는 라이브도 좋아요~~ 틀어놓고 설거지하거나 킬링타임으론 최고
@user-yo9tc2uk6h
@user-yo9tc2uk6h 5 месяцев назад
파고 들어가려면 길쭉한게 좋죠. 길쭉한게
@user-mx9jf3pv9i
@user-mx9jf3pv9i 5 месяцев назад
항상 궁금했던거랑 결이 비슷해서 댓글을 남깁니다. 지구상 대부분의 생물들은 눈이 두개고 반대쪽에 항문이 있는 구조이죠 포유류 뿐만 아니라 메뚜기도 그렇고 양서류고 다 그런 구조 입니다, 생존에 필요했다면 눈이라는 구조가 궁뎅이도 있었으면 생존에 더 유리했겠지만 사방팔방으로 눈이 있는 생문은 없죠? 그럼 생존에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진화를 했는다는걸 가정하면 머리쪽에 정교한 2개의 눈이 잇는데 가장 생존에 유리했다는거겠죠. 불가사리가 왜 5개의 팔이 있었는지는 궁금하지 않았는데 평소에 궁금했던게 살짝 해소되는 느낌이네요
@doggeshiba276
@doggeshiba276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와 왜 뇌가 몸의 앞쪽에 있는지 궁금했는데 궁금증 해결하고 가요!
@joooon_8i
@joooon_8i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왜 입안은 침에 소화되지 않을까요?? 궁금해요!!
@user-ln3hp2tm7g
@user-ln3hp2tm7g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왜케 멀정하게 생겼나요? ㄷㄷ 놀랍네
@user-dk8sb3pc1r
@user-dk8sb3pc1r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삼천발이는 거미불가사리류인가요?
@HAEDAX
@HAEDAX 5 месяцев назад
너무 그럴싸해서 설득당해버림 ㅋㅋ
@user-qu7wy8br6i
@user-qu7wy8br6i 5 месяцев назад
배엽도 한번 다루면 재미있겠네요 사실은 우리가 작은 세포 덩어리일때 분화되어서 장기 피부 내부 근육기 각각 발달된것이더라
@san-lf2pt
@san-lf2pt 3 месяца назад
17분이 이렇게 순삭인줄 몰랐습니다.. ㅠ
@shwoa5241
@shwoa5241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지금도 이렇게 화려하고 이상한 생물이많은데 대멸종이없었다면 얼마나더 특이하고 멋진것들이 있었을까 궁금하네요
@ThingThatWeCanSee
@ThingThatWeCanSee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전 라이브 갬성 좋아요
@beginner_writing
@beginner_writing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1:30 나무늘보 오대칭방사형으로 진화하는 소리?...^^;
@user-kt8yp5ho2y
@user-kt8yp5ho2y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차기 영상으로 동굴영원의 진화와 일명 지옥에서 온 돼지라고 불리는 엔텔로돈트, 귀여운 얼굴과 모습으로 유명해진 사카밤바피스, 철갑상어와 주걱철갑상어의 혼종 Sturddlefish, 전세계의 양서류를 멸족시킨 한국의 K-개구리 무당개구리, 그리고 중국 주걱철갑상어에 대해서 다뤘으면 좋겠습니다.
@user-wu3li7sg7j
@user-wu3li7sg7j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슈카형~~~
@hkl9259
@hkl9259 5 месяцев назад
굿
@user-xr9nh2wn4x
@user-xr9nh2wn4x 5 месяцев назад
라이브 보고싶네용
@ScienceDream
@ScienceDream 5 месяцев назад
나중에 한번 시청해 주세용 ㅎㅎ
@user-zf2ij5jg3q
@user-zf2ij5jg3q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사람다리는 왜 두개인가요?
@salm2000
@salm2000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저 중에서 성게와 해삼은 나중에 다른 분류군으로 간 거 같은데... ^^a 물론 저도 중학교 고등학교 때 저것들까지 합쳐서 극피동물로 배웠습니다.
@user-ci3ln4gb7o
@user-ci3ln4gb7o 5 месяцев назад
편모가 한방향으로만 움직인다면 이동할때 3방사 보다 5방사가 벡터가 최소화 되어서 아닐까요? 불가사리 한정;;; 걍 추측해봅니다
@user-nj4bd8pg2b
@user-nj4bd8pg2b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진화 할수록 맛있어지는 극피동물.
@user-xo4ov9my4q
@user-xo4ov9my4q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이번 영상 존잼
@jodhi2068
@jodhi2068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역시 과학자들은 머리가 좋아야돼 저런걸 알아네네
@user-ke3te2tj3l
@user-ke3te2tj3l 5 месяцев назад
누구냐~ 우리형 기죽이게 했던사람이!!! 형 지금 스타일도 좋아요!!
@ScienceDream
@ScienceDream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짱이다ㅠㅠㅠ
@user-rm5zm1et4k
@user-rm5zm1et4k 5 месяцев назад
그럼 극피동물 계통은 진화과정에서 보다 원시적이고 초기적인 형태부터 보다 진화된 형태까지 다 현존 하는건가요? 인간으로 치면 고인류종과 현생인류종이 같이 있는것과 같다고 생각이 되는데 잘못된 이해인가요ㅠ? 아 물론 고인류종도 각자 진화해서 현존하겠지만...
@many2533
@many2533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인간보다는 포유류 동물들이 다리가 4개인거같은.......극피동물은 류가 아니라 문이 같아서 그래요
@user-rm5zm1et4k
@user-rm5zm1et4k 5 месяцев назад
@@many2533 아.. 강부터 다르면 되게 먼 생물이긴 하네요.. 근데 영상에선 불가사리 형태가 변해서 해삼의 형태가 됐다고 해서 물어봤어요
@calmdown-man
@calmdown-man 5 месяцев назад
가끔 10방사형 불가사리도 있던데 걔는 정체가 뭘까요ㅋㅋ
@Negro15cm
@Negro15cm 5 месяцев назад
7방사가 안되는건 촘촘해서가 아니라 360을 7로 나눠지지 않기 때문이 아닐까??
@user-he3oq2kl9o
@user-he3oq2kl9o 5 месяцев назад
내용은 궁금한데 라이브라 안보는 사람입니다. 이걸 애니메이션으로 제작하실 의향은 없으실까요?
@syy7027
@syy7027 5 месяцев назад
그래서 나무들이 햇빛에 대해 대칭이쥬
@youdieee
@youdieee 5 месяцев назад
6:15 좌우대칭이 맞는건 같은데요
@Na_raola
@Na_raola 5 месяцев назад
0:25 극피동물 나오자마자 기절
@Tailess_Whip_Scorpion
@Tailess_Whip_Scorpion 5 месяцев назад
4:02 뒤집은 놈,둥글게 올린 놈,길게 늘린 놈으로 외우겠습니다
@user-os1kw1rf2z
@user-os1kw1rf2z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슈카월드 과학버전이네
@onlyregretful
@onlyregretful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충격가설이랑 표면적가설 몬가 그럴듯하면서 ..?! 거의 모든 동물의 손가락도 다섯개긴한데 5가 안정성이 높은건가
@user-vx5eg6kl6i
@user-vx5eg6kl6i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사랑해요~~~
@hnir99
@hnir99 5 месяцев назад
불가사리가 오방사대칭인 이유는 제일 멋있어서
Далее
WHY THROW CHIPS IN THE TRASH?🤪
00:18
Просмотров 2,1 млн
쥐는 어떻게 됐을까? [첫라이브 편집본]
20:16
ribbon worm feeding
8:05
Просмотров 497 тыс.
300년 전 침몰한 보물선 쟁탈전
26:00
Просмотров 238 тыс.
Apple watch hidden camera
0:34
Просмотров 56 млн
Неразбиваемый экран!
0:23
Просмотров 39 ты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