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십년은 부동산 몰락입니다. 특히 현재의 인구구조를 지속한다면, 아니 적어도 앞으로 7~8년 이후 일부지역을 제외한 다른 지역은 아파트 가격이 지금과 같은 상승은 없어요. 여러가지 원인이 있겠으나,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1. 한국은 자본주의 국가 입니다. 2. 더이상 개발도상국이 아닌 선진국입니다. 부동산 성장으로 성장하는 시대는 지났습니다. 더불어 인구구조또한 더욱 노령화 되어 있습니다. 3. 자본의 선진화가 필요합니다. 금융제도의 선진화가 반드시 되어야 합니다. 4. 한국의 GDP의 40%이상은 수출입니다. 선진국은 평균 20% 수준입니다. 이는 한국은 기업이 성장해야 성장이 가능한 국가 입니다. 5. 한국에는 전세계에는 없는 기술력이 뛰어난(4차 산업) 기업이 많이 있습니다. 6. 한국의 성장을 위해서는 이들 기업은 성장해야 합니다. 7. 성장을 위해 주식을 통해서 많은 돈이 투자되어야 합니다. 국민이 투자해야 한국기업의 지속 성장이 가능하며 선진국가 기업과 경쟁이 가능합니다. 8. 많은 국민이 기업에 투자 하면, 최소 매년 투자 금액의 10%이상의 성장이익을 얻을수 있며 노후준비, 일자리 창출, 새로운 유니콘 기업 탄생, 부동산 가격하락 및 안정화, 출산율 증가, 사교육비 감소 등의 문제를 해결 할 수 있습니다. 9. 부동산에 집중하지 마세요. 10. 국민이 젊고, 시간이 많고, 돈이 적을수록 금융에 장기투자 하세요. 11. 부동산은 확장되거나 성장하지 않아요. 부동산은 현금증가(통화량증가: M2)와 수요에 따라서 증가 할 뿐이지만 이제 한국은 개발 도상국이 아닙니다.
ㅋㅋ 거래량은 줄어드는데 가격은 오른다는 뭐다? 다들 이익실현 못하고 빚갚으면서 들고만 있다~ 가뜩이나 부동산에 돈 묶여서 내수 아작났는데 이거 지속되기 시작하면 내수침체에 직격타 맞는 업종들은 대출이자 감당못하고 한둘씩 가격 내려서 팔거나 파산하기 시작할텐데 그러면 뭐 도미노인거지 ㅋㅋㅋ 웃는건 대출 많이 없이 집 들고있는 사람들 뿐이다
@@용의아들창식최 부동산 통계정보시스템에 보면 거래량이 나와있습니다. 아파트 매매쪽에 1월부터 6월까지 통계를 보면 3만건~4만건 정도 거래했다고 나옵니다. 근데 문제는 저 데이터가 교환을 한건지 현금으로 매매했는지 표현이 안되어 있어서 실제 거래량하고는 많은 차이는 있을것으로 보입니다.(수치 늘려서 거래량 높아졌다고 하면 거래 심리가 높다는 것을 반영해서 가격이 올라가는 현상이 있을 수 있음)
앞으로 십년은 부동산 몰락입니다. 특히 현재의 인구구조를 지속한다면, 아니 적어도 앞으로 7~8년 이후 일부지역을 제외한 다른 지역은 아파트 가격이 지금과 같은 상승은 없어요. 여러가지 원인이 있겠으나,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1. 한국은 자본주의 국가 입니다. 2. 더이상 개발도상국이 아닌 선진국입니다. 부동산 성장으로 성장하는 시대는 지났습니다. 더불어 인구구조또한 더욱 노령화 되어 있습니다. 3. 자본의 선진화가 필요합니다. 금융제도의 선진화가 반드시 되어야 합니다. 4. 한국의 GDP의 40%이상은 수출입니다. 선진국은 평균 20% 수준입니다. 이는 한국은 기업이 성장해야 성장이 가능한 국가 입니다. 5. 한국에는 전세계에는 없는 기술력이 뛰어난(4차 산업) 기업이 많이 있습니다. 6. 한국의 성장을 위해서는 이들 기업은 성장해야 합니다. 7. 성장을 위해 주식을 통해서 많은 돈이 투자되어야 합니다. 국민이 투자해야 한국기업의 지속 성장이 가능하며 선진국가 기업과 경쟁이 가능합니다. 8. 많은 국민이 기업에 투자 하면, 최소 매년 투자 금액의 10%이상의 성장이익을 얻을수 있며 노후준비, 일자리 창출, 새로운 유니콘 기업 탄생, 부동산 가격하락 및 안정화, 출산율 증가, 사교육비 감소 등의 문제를 해결 할 수 있습니다. 9. 부동산에 집중하지 마세요. 10. 국민이 젊고, 시간이 많고, 돈이 적을수록 금융에 장기투자 하세요. 11. 부동산은 확장되거나 성장하지 않아요. 부동산은 현금증가(통화량증가: M2)와 수요에 따라서 증가 할 뿐이지만 이제 한국은 개발 도상국이 아닙니다.
앞으로 십년은 부동산 몰락입니다. 특히 현재의 인구구조를 지속한다면, 아니 적어도 앞으로 7~8년 이후 일부지역을 제외한 다른 지역은 아파트 가격이 지금과 같은 상승은 없어요. 여러가지 원인이 있겠으나,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1. 한국은 자본주의 국가 입니다. 2. 더이상 개발도상국이 아닌 선진국입니다. 부동산 성장으로 성장하는 시대는 지났습니다. 더불어 인구구조또한 더욱 노령화 되어 있습니다. 3. 자본의 선진화가 필요합니다. 금융제도의 선진화가 반드시 되어야 합니다. 4. 한국의 GDP의 40%이상은 수출입니다. 선진국은 평균 20% 수준입니다. 이는 한국은 기업이 성장해야 성장이 가능한 국가 입니다. 5. 한국에는 전세계에는 없는 기술력이 뛰어난(4차 산업) 기업이 많이 있습니다. 6. 한국의 성장을 위해서는 이들 기업은 성장해야 합니다. 7. 성장을 위해 주식을 통해서 많은 돈이 투자되어야 합니다. 국민이 투자해야 한국기업의 지속 성장이 가능하며 선진국가 기업과 경쟁이 가능합니다. 8. 많은 국민이 기업에 투자 하면, 최소 매년 투자 금액의 10%이상의 성장이익을 얻을수 있며 노후준비, 일자리 창출, 새로운 유니콘 기업 탄생, 부동산 가격하락 및 안정화, 출산율 증가, 사교육비 감소 등의 문제를 해결 할 수 있습니다. 9. 부동산에 집중하지 마세요. 10. 국민이 젊고, 시간이 많고, 돈이 적을수록 금융에 장기투자 하세요. 11. 부동산은 확장되거나 성장하지 않아요. 부동산은 현금증가(통화량증가: M2)와 수요에 따라서 증가 할 뿐이지만 이제 한국은 개발 도상국이 아닙니다.
앞으로 십년은 부동산 몰락입니다. 특히 현재의 인구구조를 지속한다면, 아니 적어도 앞으로 7~8년 이후 일부지역을 제외한 다른 지역은 아파트 가격이 지금과 같은 상승은 없어요. 여러가지 원인이 있겠으나,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1. 한국은 자본주의 국가 입니다. 2. 더이상 개발도상국이 아닌 선진국입니다. 부동산 성장으로 성장하는 시대는 지났습니다. 더불어 인구구조또한 더욱 노령화 되어 있습니다. 3. 자본의 선진화가 필요합니다. 금융제도의 선진화가 반드시 되어야 합니다. 4. 한국의 GDP의 40%이상은 수출입니다. 선진국은 평균 20% 수준입니다. 이는 한국은 기업이 성장해야 성장이 가능한 국가 입니다. 5. 한국에는 전세계에는 없는 기술력이 뛰어난(4차 산업) 기업이 많이 있습니다. 6. 한국의 성장을 위해서는 이들 기업은 성장해야 합니다. 7. 성장을 위해 주식을 통해서 많은 돈이 투자되어야 합니다. 국민이 투자해야 한국기업의 지속 성장이 가능하며 선진국가 기업과 경쟁이 가능합니다. 8. 많은 국민이 기업에 투자 하면, 최소 매년 투자 금액의 10%이상의 성장이익을 얻을수 있며 노후준비, 일자리 창출, 새로운 유니콘 기업 탄생, 부동산 가격하락 및 안정화, 출산율 증가, 사교육비 감소 등의 문제를 해결 할 수 있습니다. 9. 부동산에 집중하지 마세요. 10. 국민이 젊고, 시간이 많고, 돈이 적을수록 금융에 장기투자 하세요. 11. 부동산은 확장되거나 성장하지 않아요. 부동산은 현금증가(통화량증가: M2)와 수요에 따라서 증가 할 뿐이지만 이제 한국은 개발 도상국이 아닙니다.
이제 끝났음. 그리고 건설사 부채를 가계부채로 전환시키는 정부정책.. 지금 정부는 건설사 편인데, 유주택자들과 영끌들이 지들편이라 오판한 결과를 가계부채 폭탄에 의한 부동산 폭락으로 받게되겠죠. 그 덕에 건설사들 중 일부는 기사회생 할테고... 중소 건설사들 죄다 무너지면서 오히려 독점하겠죠 건설시장을..
앞으로 십년은 부동산 몰락입니다. 특히 현재의 인구구조를 지속한다면, 아니 적어도 앞으로 7~8년 이후 일부지역을 제외한 다른 지역은 아파트 가격이 지금과 같은 상승은 없어요. 여러가지 원인이 있겠으나,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1. 한국은 자본주의 국가 입니다. 2. 더이상 개발도상국이 아닌 선진국입니다. 부동산 성장으로 성장하는 시대는 지났습니다. 더불어 인구구조또한 더욱 노령화 되어 있습니다. 3. 자본의 선진화가 필요합니다. 금융제도의 선진화가 반드시 되어야 합니다. 4. 한국의 GDP의 40%이상은 수출입니다. 선진국은 평균 20% 수준입니다. 이는 한국은 기업이 성장해야 성장이 가능한 국가 입니다. 5. 한국에는 전세계에는 없는 기술력이 뛰어난(4차 산업) 기업이 많이 있습니다. 6. 한국의 성장을 위해서는 이들 기업은 성장해야 합니다. 7. 성장을 위해 주식을 통해서 많은 돈이 투자되어야 합니다. 국민이 투자해야 한국기업의 지속 성장이 가능하며 선진국가 기업과 경쟁이 가능합니다. 8. 많은 국민이 기업에 투자 하면, 최소 매년 투자 금액의 10%이상의 성장이익을 얻을수 있며 노후준비, 일자리 창출, 새로운 유니콘 기업 탄생, 부동산 가격하락 및 안정화, 출산율 증가, 사교육비 감소 등의 문제를 해결 할 수 있습니다. 9. 부동산에 집중하지 마세요. 10. 국민이 젊고, 시간이 많고, 돈이 적을수록 금융에 장기투자 하세요. 11. 부동산은 확장되거나 성장하지 않아요. 부동산은 현금증가(통화량증가: M2)와 수요에 따라서 증가 할 뿐이지만 이제 한국은 개발 도상국이 아닙니다.
부동산시장에서의 가격형성 요건은 수요와 공급 그리고 심리적인 요소에 의해 결정이 된다. 따라서 특정지역에 수요는 많은데 공급이 부족하면 당연히 주택 가격이 올라갈 수 밖에 없다. 하지만 주택 가격이 무한대로 올라갈 수는 없고 소득 증가 부분도 감안해야 하기 때문에 실질소득 증가율도 동시에 확인을 해야 한다. 예를 들어 소득은 연봉 1억인데 P I R지수가 아직도 12-13을 유지하고 있는 현재 주택가격이 소득대비 아직도 높은게 현실이다. 따라서 소득을 훨씬 뛰어넘는 주택 가격의 급격한 상승은 일정부분 기간적인 조정을 받는 기간조정을 받게 마련이다. 근데, 윤석열 정부는 부동산 연착륙이라는 이유로 주택 가격이 급격하게 떨어지는걸 인의적으로 막기 위해 각종 정책적규제 및 대출규제를 풀어 주는 바람에 시장에서의 자연스러운 가격조정 상황을 왜곡시켯고 결국 주택가격이 다시 상승하게 만든 주범이 되어 버렸다. 그러니 정부는 더이상 부동산시장에 인위적인 개입을 통해 시장을 왜곡시키는 현상을 만들지 말고 부동산 시장의 가격은 시장원리에 의해 자율적으로 가격이 조정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정부는 꾸준한 공급을 위한 정책을 일관되고 현실적인 방안으로 약속을 하고 지키는것이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굳이 정부의 개입이 필요하다고 판단될 시에는 금리와 대출규제를 통해 투기수요가 시장에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는정도만으로도 충분할 것이다.
세상 파악 못하는 한은총재 하나가 나라를 곪아 터지게 만들어 버렸음. 금리 결국 미국보다 낮게 만들어 버리니 올려도 부담도 안되고, 얼마되지도 않은 금리 곧 내릴꺼라는 생각에 모든 빚이 부동산으로 몰려가 내수도 망하고 집값만 올려 버림. 진심으로 멍청한 인간, 그렇게 똑똑하다. 유명대학나왔다 하더니 나라가 상처 곪아 터져서 죽게생겼음.
분전의 분석도 정확하다. 코로나 기간중 30, 40대 고액 소득자들의 저축이 왕창 늘어 이 사람들이 마용성 사면서 뜨는 것이다. 최소 연봉 2억 넘는 부부가 20만쌍은 된다. 지금 서울은 뚝섬 갤러리아, 펜타스원, 디에이치를 축으로 움직이는 단계로 접어든 것이다. 포레온 가격을 생각하면 2호선 근방 서울 어느지역이나 원펜타스, 디에이치급은 평당 억이상으로 간다고 본다. 솔직히 커뮤터티, 조경봐라. 이것 없는 2호선 근방 신축 아파트 시세는 7천급이다.
앞으로 십년은 부동산 몰락입니다. 특히 현재의 인구구조를 지속한다면, 아니 적어도 앞으로 7~8년 이후 일부지역을 제외한 다른 지역은 아파트 가격이 지금과 같은 상승은 없어요. 여러가지 원인이 있겠으나,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1. 한국은 자본주의 국가 입니다. 2. 더이상 개발도상국이 아닌 선진국입니다. 부동산 성장으로 성장하는 시대는 지났습니다. 더불어 인구구조또한 더욱 노령화 되어 있습니다. 3. 자본의 선진화가 필요합니다. 금융제도의 선진화가 반드시 되어야 합니다. 4. 한국의 GDP의 40%이상은 수출입니다. 선진국은 평균 20% 수준입니다. 이는 한국은 기업이 성장해야 성장이 가능한 국가 입니다. 5. 한국에는 전세계에는 없는 기술력이 뛰어난(4차 산업) 기업이 많이 있습니다. 6. 한국의 성장을 위해서는 이들 기업은 성장해야 합니다. 7. 성장을 위해 주식을 통해서 많은 돈이 투자되어야 합니다. 국민이 투자해야 한국기업의 지속 성장이 가능하며 선진국가 기업과 경쟁이 가능합니다. 8. 많은 국민이 기업에 투자 하면, 최소 매년 투자 금액의 10%이상의 성장이익을 얻을수 있며 노후준비, 일자리 창출, 새로운 유니콘 기업 탄생, 부동산 가격하락 및 안정화, 출산율 증가, 사교육비 감소 등의 문제를 해결 할 수 있습니다. 9. 부동산에 집중하지 마세요. 10. 국민이 젊고, 시간이 많고, 돈이 적을수록 금융에 장기투자 하세요. 11. 부동산은 확장되거나 성장하지 않아요. 부동산은 현금증가(통화량증가: M2)와 수요에 따라서 증가 할 뿐이지만 이제 한국은 개발 도상국이 아닙니다.
떨어지는거 좀 올랏다고 되게 설레발들이넹 공급대책 현실화되봤자 5-10년은 걸릴텐데 빨라봣자ㅋㅋ 3기신도시만 봐도 사람들이 아니깐ㅋㅋ 수요를 꺾어야지ㅋㅋ 외노자와서 공사비줄이겟다 그러는데 근데 외노자 많이올수록 일자리 질은 곱창나서 지금도 대졸만 백수가 400만인데 지금 저출산으로 더 적게 사회에 나와봤자 백수만늘고 나라 곱창만 내는길이지 그냥 지금 일자리들 평균소득 쫙늘리고 낙수효과가 아닌 분수효과를 일으켜서 그 물가감당 가능하게 되면됨 왼쪽 아저씨는 과거 뉴스나온거보면 맨날틀리던데 서울집값오르고 지방 뒤에오르고한건 코로나때뿐이고 이전 1980년대부터 디커플링이 훨씬 많았는데 무수 페턴이 있어왔단거임
저인간은 어디든 나오기만 하면 부동산 항상좋대.. 너나 잘하세요!! 앞으로 십년은 부동산 몰락입니다. 특히 현재의 인구구조를 지속한다면, 아니 적어도 앞으로 7~8년 이후 일부지역을 제외한 다른 지역은 아파트 가격이 지금과 같은 상승은 없어요. 여러가지 원인이 있겠으나,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1. 한국은 자본주의 국가 입니다. 2. 더이상 개발도상국이 아닌 선진국입니다. 부동산 성장으로 성장하는 시대는 지났습니다. 더불어 인구구조또한 더욱 노령화 되어 있습니다. 3. 자본의 선진화가 필요합니다. 금융제도의 선진화가 반드시 되어야 합니다. 4. 한국의 GDP의 40%이상은 수출입니다. 선진국은 평균 20% 수준입니다. 이는 한국은 기업이 성장해야 성장이 가능한 국가 입니다. 5. 한국에는 전세계에는 없는 기술력이 뛰어난(4차 산업) 기업이 많이 있습니다. 6. 한국의 성장을 위해서는 이들 기업은 성장해야 합니다. 7. 성장을 위해 주식을 통해서 많은 돈이 투자되어야 합니다. 국민이 투자해야 한국기업의 지속 성장이 가능하며 선진국가 기업과 경쟁이 가능합니다. 8. 많은 국민이 기업에 투자 하면, 최소 매년 투자 금액의 10%이상의 성장이익을 얻을수 있며 노후준비, 일자리 창출, 새로운 유니콘 기업 탄생, 부동산 가격하락 및 안정화, 출산율 증가, 사교육비 감소 등의 문제를 해결 할 수 있습니다. 9. 부동산에 집중하지 마세요. 10. 국민이 젊고, 시간이 많고, 돈이 적을수록 금융에 장기투자 하세요. 11. 부동산은 확장되거나 성장하지 않아요. 부동산은 현금증가(통화량증가: M2)와 수요에 따라서 증가 할 뿐이지만 이제 한국은 개발 도상국이 아닙니다.
아... 이 사람들이 정말 부동산 전문가가 맞는건가? 종부세를 인하해서 집값이 뛰었다고? 그러면 종부세가 높았던 문재인때는 왜 집갑이 미친듯이 올랐지? 과도한 종부세는 결국 세입자에게 전가되기 때문에 적정하게 조정한 것인데... 소위 전문가라는 사람들이 식견이 이것밖에 안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