Тёмный

안녕하세요 1분과학입니다... 그동안... 

1분과학
Подписаться 897 тыс.
Просмотров 565 тыс.
50% 1

광고 넘 많이했죠?
데헷
★ '신이 되는 법' 그림 구매 링크
smartstore.naver.com/1minscie...
★ 1분과학 후원하기 멤버십
m.ru-vid.com_channel...
★ 후원/비지니스 문의: ONEMINSCI@GMAIL.COM
★ 인스타 1minsci

Наука

Опубликовано:

 

25 июл 2022

Поделиться:

Ссылка:

Скачать:

Готовим ссылку...

Добавить в:

Мой плейлист
Посмотреть позже
Комментарии : 1,6 тыс.   
@1minscience
@1minscience Год назад
광고 넘 많이했죠? 데헷 이건 완전 내생각 😀
@user-hy2kv4mk9k
@user-hy2kv4mk9k Год назад
오히려 좋아
@user-jh3hj2hm5h
@user-jh3hj2hm5h Год назад
...?
@user-ow5ss2fy3r
@user-ow5ss2fy3r Год назад
@user-ok6ui6os7b
@user-ok6ui6os7b Год назад
안뇽
@Ileohdeus
@Ileohdeus Год назад
광고 많으면 영상도 많으니깐 서로 윈윈임ㅇ
@user-qo6rc1jg6l
@user-qo6rc1jg6l Год назад
너무 훌륭한 영상이다 요즘 유튜브가 이런사람 피하세요 저런사람 만나지마세요 등등 혈액형처럼 구분지어서 평가하고 고립시키고 분열을 조장하고있는 마당에 이런 영상은 너무도 귀하고 재밋는 영상이다 고맙다
@menshwever5868
@menshwever5868 Год назад
김경일 ㅋㅋㅋㅋㅋㅋ
@cry_st.4604
@cry_st.4604 Год назад
@@menshwever5868 그분 사람은 좋고 강의는 재밌는데 자꾸 그런 부정적인 강의가 어그로 끌려서인지 자꾸 그런것만 뜨더라구요 많이 안타까움
@___Serendipity___
@___Serendipity___ Год назад
특히 MBTI 유행 요즘 너무 심함..;; 거의 뭐 운세 보던 급으로 유사 mbti도 나돌고 그러는데, 정작 mbti 자체도 신뢰도 문제 때매 유럽권에서 시작해서 사장되는 분위기라는 거ㅋㅋ 혈액형 성격론처럼 한국인들은 왜 이렇게 비이성적인 걸 좋아하는지 의문이다.. 대학 졸업 전이었다면 교수님한테 한 번 물어봤을 거 같은데
@user-my2kr3jv5w
@user-my2kr3jv5w Год назад
ㄹㅇㅋㅋ
@user-rr4pj3pg6i
@user-rr4pj3pg6i Год назад
@@___Serendipity___ 대부분 재미로 받아들이지 단정 짓는 사람은 드물죠
@yeonu_yeonu_tommroow
@yeonu_yeonu_tommroow Год назад
다른 사람들은 '내가 아직 경험하지못한 나'다...소름...
@nabie981
@nabie981 Год назад
너무 멋진 결론이네요. 웃음을 공유하는 순간이 서로 다른 우주가 맞닿은 순간이라니 시적이고 아주 철학적입니다.
@Sigma-Male017
@Sigma-Male017 Год назад
철학적인지는 모르겠지만 아름다운 표현이네요
@MultiV2v
@MultiV2v Год назад
서로 다른 우주가 맞닿아 어떠한 파장이나 결과를 초래할지는 그 누구도 예측할 수 없습니다 희망적인 회로만 돌리는 것 또한 일붕과학님이 우려하는 일 중 하나일 것 입니다
@nobody8977
@nobody8977 Год назад
아무리 인류애적인 종교, 철학, 사상이라도 그건 순간의 깨달았다는 감정, 느낌, 단순한 성취에 따른 공중누각일 뿐.. 궁극적인 해결은 결국 과학과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전 인류의 노동, 고통 해방에 있다.
@user-rn3ci8we2w
@user-rn3ci8we2w Год назад
@@nobody8977 육체적고통해소만이 과연 답일까요? 글쎄요 노숙자도 하루세끼 굶고사는시대는 아니지만 대부분의 노숙인들이 알고보면 노숙을 할만하지 않은 상류층에 속했던 이들이 의외로 많습니다. 육체적고통 내지 물질재화의 크기 육체의 안락함만으론 채울수없는게 있다는것입니다.
@what2125
@what2125 18 дней назад
@@nobody8977 얼마나 지능이 낮은거임,, 인류가 발전해야한다는것도 결국 사회가 만든 가상 아닌가? 우주적 관점에서 그럴 이유가 있나? 개인이 행복하면 끝이지 이상한거에 얽매여서는..
@barnaclelou
@barnaclelou Год назад
광고든 뭐든 상관없으니까 잠수만 타지마라!
@xsx7x
@xsx7x Год назад
ㄹㅇ
@user-yi9qw7kr7r
@user-yi9qw7kr7r Год назад
이미 탓쮸? . 이미 잠수타고 사라졌쥬~? 돈 바짝 땡겨서 사라졌쥬? .
@user-ee8jx3sv2q
@user-ee8jx3sv2q Год назад
ㅅㅅ나해
@starppl93
@starppl93 Год назад
아웅다웅하다 너무 지칠땐 한번씩 거시적으로 생각할 필요가 있는 것 같아요 ㅎㅎ 그런 면에서 1분과학 영상들이 엄청 힐링이에요. '당신은 소중한 사람이니 주변사람들과 비교하지 마세요' 같은 뜬구름 잡는 소리가 아니라, 구독자들을 냅다 안드로메다로 던져버리고 과학으로 조져주시니 납득을 안 할 수가 없네요ㅎㅎ 명작이야...
@robertcialdini1757
@robertcialdini1757 Год назад
두 사람의 우주가 합쳐지는 순간을 우리는 "사랑"이라고 부르나 봅니다. 연인과 함께 손을 잡고 둘만 아는 농담을 할 때 느껴지는 짜릿한 웃음이 바로 사랑이고, 부모가 갓난 자식을 보며 아이가 꺄륵 웃을 때 나도 함께 찌릿하고 행복해지는 웃음이 사랑이고, 내가 정말 소중히 여기는 친구가 진심으로 행복하길 바라고 그 친구 또한 내가 정말 행복하길 바랄 때 느껴지는 행복감이 사랑인가 봅니다.
@SeeProgramer
@SeeProgramer Год назад
정말 저로선 엄두도 못 낼 이야기를 이렇게 전달 하시네요. 존경합니다. 그럼에도 감히 답변 달아보자면 영상에서 말씀하신 대로 우리 삶은 짧고 대다수의 자기 중심적인 해석을 하능 사람들이 만든 세상을 살고 있고 살아야 하니까 일 것 같아요. 이런 깊은 철학적인 이야기 과학이야기가 딱히 관심을 두지 않은 일반인들에게는 그저 그런 이야기 이니까. 1분 과학님 같은 분이 점차 세상을 바꿀거라 믿습니다. 최소한 저는 이 영상을 통해 감명 받았고 추천을 누르고 구독하시는 분들이 있고 그 분들은 무한한 잠재력을 가지셨으니까요. 정말 깊은 고찰을 했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mj1sk6fp7n
@user-mj1sk6fp7n Год назад
성악설과 성선설은 급식충들만 봐도 알 수 있다 급식충들 하고 다니는 꼬라지만 봐도 성악성이 분명하다
@user-yg2ic6bc3c
@user-yg2ic6bc3c Год назад
불교에도 이 세상엔 나와 나를 비추는 거울 뿐이란 말이 있고, 심리학에도 투사란 개념이 있죠. 외모에 예민한 사람이 남의 외모 비하하길 좋아하듯이, 우린 살면서 내 잠재의식 속 관념들을 경험하는듯 해요
@user-eh1wc7hn1m
@user-eh1wc7hn1m Год назад
1분 과학님은 시간이 지나 내가 마주할 죽음에 대해 마음을 편하게 가질 수 있게 해줘서 너무 좋은듯..
@1minscience
@1minscience Год назад
👬
@limepunch1202
@limepunch1202 Год назад
진짜 공감해요!!
@user-xn4pp9jm9v
@user-xn4pp9jm9v Год назад
ㄱㅊㄱㅊ 구글신께서 인간을 영생으로 만들어 주실고얌
@user-kRyan
@user-kRyan Год назад
ㅋㅋㅋㅋ 진짜 그럴까요?
@abcdef14352
@abcdef14352 Год назад
@@user-xn4pp9jm9v 혹시 호모데우스에서 읽었음?
@urwhaturead
@urwhaturead Год назад
다른 사람은 내가 경험하지 못한 ‘나’다. 이 말 참 좋네요. 1분과학님의 우주를 들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덕분에 저의 우주도 조금 더 넓어진 느낌이 듭니다.
@user-ki7pq4pn3o
@user-ki7pq4pn3o Год назад
진짜 이런 사소한 주제를 가지고 끝없이 파고들고 또 이정도로 재밌게 얘기해주는 사람은 1분과학님이 유일한거같아요 진짜 볼때마다 가슴이 웅장해집니다...요즘 1분과학님 잊고 있었는데 다시 생각난김에 영상들 다시한번 쭉 볼려구요 언제나 웅장한 영상 감사합니다
@user-ls3pt4cl3r
@user-ls3pt4cl3r Год назад
이 말에 공감하는게 전 일란성 쌍둥이고 우리는 물리적 DNA는 똑같지만 형과 저는 완전히 다른 성격에 완전히 다른 인격체이죠. 그리고 우주적 관점으로 가면 선악의 구분은 사라진다는 말씀에도 전적으로 공감 합니다. 왜냐면 선과 악이란 구분이 참 아이러니 하다고 느꼈던 강력한 경험이 있었는데요. 제가 어렸을 때 군대 선임에게 얼굴이 퉁퉁 붓고 이빨이 깨질 만큼 심하게 구타를 당해서 진술을 위해 군검찰에 간적이 있었습니다. 전 그런 상황이 처음이라 모든 것이 두려웠고 어떻게 해야 할지를 전혀 몰라서 완전 패닉 상태였죠. 그런데 그런 제게 군 조사관이 다가와 마치 범죄자를 취조하듯, 심지어 어떻게 해서든 여죄를 캐내기 위해 노력하는 것 처럼 피해자인 저를 마치 가해자인것 처럼 몰아가더군요. 그런데 제가 더 미치게 공포를 느꼈던 순간은 그 조사과정이 아니었고 조사를 다 마치고난 후 그가 자기 가족들과 통화를 하는 장면에서 였습니다. 아까까지만해도 자긴 사람의 생사여탈권을 쥐고 있으니까 너하나 정도는 그냥 죽일 수도 있어 라는 뉘앙스를 풍기던 사람이 전혀 다른 얼굴과 전혀 다른 말투와 전혀 다른 음색으로 가족과 행복하게 통화를 하고 있었고 그 모습이 세상에서 가장 끔찍하고 잔인한 현실을 느끼게 하더군요. 우리는 모두 착각 속에 살고 있는게 아닐까 싶어지더군요. 나와 관계가 좋은 착한 사람도 누군가에겐 악날한 악마일 수 있다는 겁니다. 과연 뭐가 선이고 뭐가 악일까요?? 선악이란 것은 단지 인간들 사이에서 규정된 북회귀선이나 남극점 또는 북극점 처럼 없는 것에 단지 우리가 인식하기 위해 정해놓은 규칙일뿐 그 이상 이하도 아니란 생각이 들더군요. 선악이란 그저 서로간의 이익이나 관계에 한정된 것이란 생각을 그때 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뱀의 독이 우리에게는 치명적이지만 뱀 스스로에게는 자신을 지켜줄 최종 무기이듯. 우주로 나가면 우리에게는 절대적인 좌우 또는 위아래 같은 그 어떤 경계선도 무의미 해지죠. 장례식장을 가보면 참 다양한 이유와 별의별일로 안타까운 상황을 맞이하신 분들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조문자들의 수도 다 재각각이고 누군 떠들석한데 어디는 그저 조용하고. 그런데 흥미롭게도 그 수와 상관없이 하나같이 말합니다. 망자는 살아생전 정말 착한 사람이었다. 과연 정말 그럴까요? 그리고 정말 신이 있다면 적어도 선악을 구분하는 신은 신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과연 나는 착할까? 글쎄요? 누군가에겐 착할 수도 또 누군가에겐 악할 수도 있겠죠. 과연 여러분은 착합니까?
@user-fn3wz6ph5z
@user-fn3wz6ph5z Год назад
글 잘쓰시네요
@user-homyonly
@user-homyonly Год назад
아 다들 왜이렇게 철학적이야.. 너무 좋아요
@user-ds5zm8yo4y
@user-ds5zm8yo4y Год назад
선과악은 항상 같이있는거같아요~ 선과악은 항상같이있다~!!^^ 곧그가 나인거같아요~ 모든게 나이기에~ 그를미워한다는건~ 곧 나를 미워하는거 같아요~ 우린 하나다? 하나였어~~
@i--i.
@i--i. Год назад
악과 선이 없기 때문에 악과 선의 기준이 없다고 생각함, 그래도 무언가가 있다고 믿을 수 있는 능력이 인간의 엄청난 장점 중 하나라던데 실제로는 악과 선이 없다고해서 자신 기준 악과 선까지 없애면 반드시 뭔 문제가 생길 거 같음, 자신 기준 악과 선까지 없에면 모든 것이 선하지도 악하지도 않으니까 의외로 걍 편안할 수도 있고 누군가가 자신에게 해를 끼치는 행위를 해도 악한 것으로 인식하지 않아서 뭔 문제가 생길 수도 있겠네, 나도 나쁜 것과 착한 것은 없다 생각하면서 내 기준 나쁜 것과 착한 것은 있음. 그냥 단순히 내가 싫어하는 것은 나쁜 것인 거임
@keigokim2106
@keigokim2106 Год назад
이분법적으로 선과 악을 구분짓는것도 웃긴일 필요에 악이라는 말도 있음 자신과 집단의 이익을 위해 누군가는 총대를 메야할때도 있음
@gh-zo5hl
@gh-zo5hl Год назад
7분19초 동안 내가 없어지는 영상. 엄청 몰입해서 봤어요 재밌어요! 이렇게 구체적으로 와닿게 또 재밌게 나누어주시니 감사합니다.♡
@roc.s.6858
@roc.s.6858 Год назад
내 내가 없어져볼게
@user-pb7gq1vb4y
@user-pb7gq1vb4y Год назад
말 진짜 잘한다 내가 없어진다는 표현이 너무 직설적이고 확고해요.
@Ak-Brother
@Ak-Brother Год назад
많은 분들이 자신의 글 솜씨를 뽐내고 싶어 어려운 어휘들 섞어찌게 하시던데. 진짜 잘 쓴 글이 무엇인지 보여준 것 같아요. 쉬운 어휘로 잔가지들은 다 쳐내시고 아주 깔끔하게 흐르는 정말 좋은 글 입니다. 최고 최고
@ssang_
@ssang_ Год назад
이런류의 생각들을 주변 어디에 말해도 사람들은 관심이 없었고 그렇기에 사람들은 이런류의 생각을 싫어하는줄 알았는데 구독자 수를보며 내세상이 정말 좁은 세상이라는걸 다시한번 깨닫는다
@wjwj050
@wjwj050 Год назад
공감공감
@user-us6vp3yh3c
@user-us6vp3yh3c Год назад
그만큼 영상을 잘 뽑았음 , 관심 없는 사람도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user-yt5nj1gp7j
@user-yt5nj1gp7j 2 месяца назад
이런생각 1도안하는데 이런생각을 접하는게 신기해서 구독함 자신의 생각을 받아들이게 만드는 능력도 대단함
@user-gc4wk4sr4x
@user-gc4wk4sr4x Год назад
1분 과학은..정말 보면서 항상 제 무릎을 치게 해요. 그렇구나! 하고 깨닳게 해준달까? 1분 과학이 아니라 .. 내겐 1분철학..♡
@ORIGIN84
@ORIGIN84 Год назад
같은 고민을 하는 사람이 있다니 참 행복하군요. '사춘기 때 자신의 자아와 정체성을 깨닫는다'라고 배워놔서, 나는 아직도 사춘기인가 하는 자괴감에 빠지기도 하는데, 덕분에 나를 찾는 여정에 더 집중할수있게 되네요. 고마워요!
@user-mf8nr7dn7l
@user-mf8nr7dn7l Год назад
1분 과학님 영상을 보면 굉장히 많은 생각을 하게 되고, 제가 생각지도 못했던 지식으로 나아갈 수 있게 등을 떠밀어 주시는 것 같아요. 몇 년 전에 "7년 전 당신은 우주에 없었다" 영상을 보고 오리진을 사서 읽었어요. 그전까지 책이라고 해봤자 소설책만 주구장창 읽었었는데, 유튜브 영상을 통해 이런 색다른 분야의 값진 지식이 담긴 책에 흥미를 붙이게 한 건 모두 1분과학님 덕분이예요🙃 사실 유튜브에서 알고리즘이 띄워주는 이런저런 웃긴 영상들은, 그걸 보는 순간에야 웃기고 즐겁지만 정작 알맹이가 없어서 점점 머리가 비는 느낌이 들어요. 그래서 그만큼 1분과학님의 영상이 소중하게 다가오는 것 같아요😊 항상 좋은 영상, 좋은 책 보여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li2ii6os8h
@user-li2ii6os8h Год назад
항상 결말의 방향성은 일치하지만 다가가는 게 다른 1분과학. 이미 정답을 알고 돌아가는느낌. 항상 잘 보고 감명 받고 있어용
@human_ingan
@human_ingan Год назад
채널의 방향성이 잡히니까 내용 전달력이 더 좋아진 느낌이네요 앞으로가 기대됩니다
@user-kh1gn7ck6q
@user-kh1gn7ck6q Год назад
오늘 좀 힘들었는데 위로받는 기분이네요 내가 겪는 고민이 세상 전부인것마냥 힘들었는데 이거보니 하찮게 느껴져서 오히려 마음이 편해졌어,, ❤️‍🔥
@leechanghyun
@leechanghyun Год назад
원래 여태 영상 중에 1분과학 오리지널 들이 명작이긴했어 ㅋㅋㅋ 산타의 선물 시리즈도 그렇구 광고 없으면 더 재밌긴한데 광고 있어도 1분과학이라 재밌는걸.. 광고든 아니든 사실 상관없으니까 자주 와주면 좋겠다 ㅎㅎ
@letsfree1
@letsfree1 Год назад
새로운 시선과 생각의 단초들 늘 감사합니다
@user-jo5vg5op4j
@user-jo5vg5op4j Год назад
본질에 대한 끊임없는 연구. 너무 좋아요!
@CHOIMINSEUNG
@CHOIMINSEUNG Год назад
되게 오랜만에 1분과학님의 예전 철학적인 영상을 보는거같다. 진짜 그 어떤 심리학영상을 봐도 그냥 그렇구나..하는데 1분과학님 영상만큼은 보면서 나를 다시 되돌아보게 되는거같다. 그냥 듣기좋은 소리가 아닌 과학이 들어간 철학이라 이성적인 판단으로 자신을 객관적이게 돌아보게되는 시간을 가질 수 있어서 너무좋다. 형 사랑해
@nobody8977
@nobody8977 Год назад
아무리 인류애적인 종교, 철학, 사상이라도 그건 순간의 깨달았다는 감정, 느낌, 단순한 성취에 따른 공중누각일 뿐.. 궁극적인 해결은 결국 과학과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전 인류의 노동, 고통 해방에 있다.
@rangrangaa
@rangrangaa Год назад
결국 우린 모두 하나이며 각자 잠시 하나의 개체인양 물질계 체험 중이라는거네요.
@jaysgotu
@jaysgotu Год назад
미친 수준의 철학이다..... 너무 깊지만.....쉽다......
@user-mt3qc9iu6t
@user-mt3qc9iu6t Год назад
인간의 본능 마저도 상대적이구나...
@user-ex5xc3hc6j
@user-ex5xc3hc6j Год назад
조그마한 일로 이렇게 확장된 이야기를 하는게 영화 하나급이네요
@user-vy3lh8vy8o
@user-vy3lh8vy8o Год назад
오늘도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마지막에, 서로 다른 두 사람이 만나는 건 서로 다른 우주가 만나는 것과 같다. 그 사람이 직접 되어보지 않고선 그 사람을 알 수 없다. 라는 말이 굉장히 인상적이었습니다. 섯불리 제 기준으로 사람을 판단하면 안되겠다고 느꼈습니다.
@melonade-Music_Upload
@melonade-Music_Upload Год назад
와...진짜 생각이 깊으신 거 같네요. 살면서 봐왔던 사람들 중 나를 자꾸 자기 생각대로 해석하고 정의하고 자기 세상 안에서 나를 정의하려는? 행동을 봐왔던 적이 있는데 이 영상 보고 많이 놀랐어요. 저도 마음 속으로 그런 행동을 했던 적 있는 거 같기도 하고... 이 영상에서 나온 것처럼 사람은 자기 우물 안에서 남을 정의하려는 심리가 있는 거 같아요. 안 그러는 사람도 있겠지만
@alchemist1657
@alchemist1657 Год назад
불법과도 일치하고! 영성을 알게되면서 과학으로도 이 모든것을 풀어나가는걸 보면 정말 재밌어요ㅎㅎ
@banihayoga2979
@banihayoga2979 Год назад
심오하고 이해하기 어렵다고 생각했던 이야기를 이렇게 단순하게 푸시다니요?!!! 1분과학님 최고~~!!!^^
@user-xt5jz2mi4v
@user-xt5jz2mi4v Год назад
1분 과학님의 통찰이 담긴 이런 영상 너무너무 좋아요. 이 영상도 곱씹으면서 계속 돌려볼것같아요. 좋은 내용의 좋은 영상을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1분과학님의 영상들이 제 우주의 많은 영향을 끼치고있어요 ㅋㅋ
@Deusimagination
@Deusimagination Год назад
ㅠㅠ진리를 이렇게 아름답게 표현하시다니 ㅜㅜㅜㅜㅜㅜㅜ너무 감격스러워요 좋은 작품 감사합니다🥺💗
@giveupthink
@giveupthink Год назад
이렇게 인생의 중요한 교훈이자 삶의 철학도 아주 조금의 시간만 지나도 잊혀지기 마련인게 참 안타깝고 무섭다..
@user-ql1er9dm7i
@user-ql1er9dm7i Год назад
우리가 성장하면서 다양한 사람을 만나고 사회화 되면서, 너와 나의 우주가 어느정도 일치하고 불일지 하는지를 인지하면서. 그리고 그게 몇십년간 축척되면서, 어떤 사람을 나름대로 이러쿵 저러쿵 판단해도 그 예상이 크게 틀리지 않았구나를 체감하게 되지 않나요? 그런 맥락에서 같은 사회와 문화권을 공유한다면 그 몇십년의 경험을 기반으로 그 사람을 판단하는 것은 그렇게 꼭 나쁘다고 판단할 수 없습니다. 그리고 인간의 오랜 생존 본능의 기저에 그러한 것이 있구요. (저 사람이 아군인지, 적군인지 의심하는). 1분 과학님은 다른 문화, 나라, 우주를 거론하며 그 사람의 삶(우주)를 알지도 못한 체 판단하지 말라는 메세지를 담으셨지만, 사실상 인생을 이 좁은 지구, 나라, 사회에 속해서 거의 반평생 이상을 사는 대부분의 사람들에게는 큰 의미가 없는 담론일 것 같습니다. 결국 우리는 같은 나라, 문화 권의 사람을 (글로벌 시대와 기술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반평생 이상 보고 살 것이기 때문에. 현실적으론, 자신의 축적된 경험이나 통찰로 사람을 판단하고(물론, 판단이 틀릴 수도 있지만) 사는데 문제가 있다고 생각치 않습니다.
@S1NABR0
@S1NABR0 Год назад
고대 그리스에선 왜 철학자가 과학자도 했는지 훌륭하게 증명하는 영상이군요
@partisan6770
@partisan6770 Год назад
사실 철학과 과학의 구분이 없었...
@Twnq
@Twnq Год назад
과거에는 철학에 과학이 포함됐는데 좀 알고말하시져 ㅋㅋㅋ
@theodorech337
@theodorech337 Год назад
학문이 분화되지 않은 겁니다
@user-px7cb3yw5k
@user-px7cb3yw5k Год назад
갑자기 왜 싸움..?
@Twnq
@Twnq Год назад
@@user-ln4vo5em9t 과학과 철학 둘다 세상의 원리와 진리를 추구하기 위한 학문이어서 철학으로 묶여졌어요
@yeounjukim6120
@yeounjukim6120 Год назад
1분과학님의 생각이 듬뿍 담긴 이런 영상들 진짜 너무너무 좋습니다 ㅠㅠ
@user-rs4dq4le7v
@user-rs4dq4le7v Год назад
이영상의 목적은 1분과학을 이렇다 저렇다 판단하지 말라는 우회적인 전달일수도 ... 굿~
@user-mn7sy9si1r
@user-mn7sy9si1r Год назад
이거다..!
@dontsleepbutdream
@dontsleepbutdream Год назад
난 여기가 과학채널이라고 생각지아나… 1분 철학으로 바꿔야 해
@Roophy
@Roophy Год назад
믿고보는 1분과학..그냥 들고오는 철학이나 내용이나 설득력이나 퀄리티나 그냥 완벽 갓벽 그자체임..
@EHLIAlmighty
@EHLIAlmighty Год назад
매번 과학을 이렇게 음악이랑 잘 붙게 리듬감 있게 전달하시는 거 놀라워여
@keigokim2106
@keigokim2106 Год назад
세상 모든 만물은 연결되어 있다고 하죠 양자 얽힘 같은거...같은 시대 시간 공간을 두고 서로 통한다면 동기화 됬다고 보는게 맞을듯
@wj748
@wj748 Год назад
1분과학이 다른 과학 유튜버랑 다른 의미로 재밌는건 주제가 생소하고 사람의 호기심을 자극하게 말을 잘 한다는 것인 것 같다.(목소리가 좋은 건 덤) 1분과학님은 제가 과학에 흥미를 느끼고 찾아보게 하는 과학 유튜버 3명중에 하나면서 알림 올때마다 바로 시청하러 오는 몇 안되는 채널이예요! 앞으로도 개성있고 본인이 생각하는 과학에 대한 이야기 많이 올려주세요 사랑합니당~♡
@isfj5663
@isfj5663 Год назад
다른 2분은 누구신가요? 당신의 우주를 알고싶네여^^ ㅋㅋㅋㅋㅋㅋㅋㅋ 개오글거려 우엑
@life-cj6lx
@life-cj6lx Год назад
@@isfj5663 에스오디.....? 하핳
@user-sh4up6yy1u
@user-sh4up6yy1u Год назад
@@life-cj6lx sod는.....ㅋㅋ
@alloffantasy
@alloffantasy Год назад
@@life-cj6lx 음...sod는...구독취소 했는데, 훌륭한 과학 정보를 갖고 뭔가 사짜냄새나는...ㅋㅋ객관적이고 담백하지 않음...연구직군에 종사하는 많은 사람들이 비숫한 느낌 받지 않을까요 ㅋㅋ
@hyunwoo953
@hyunwoo953 Год назад
전 개인적으로 과학과 철학의 융합이 저의 호기심을 자극한 거 같아요
@user-ly2hc3xy5j
@user-ly2hc3xy5j Год назад
올해 제가 본 영상 중 최고의 영상이라 생각이 듭니다. "나"는 무엇인가에 대해서 생각을 많이 해보는데 과학적이면서 철학적이고 짧지만 강렬한 구조로 이해가 팍팍 되는군요. 감사합니다.
@user-pg7zu7xi4l
@user-pg7zu7xi4l Год назад
와… 그냥 감탄밖에 안나옵니다 요즘 삶관련해서 인간관계에 깊은 생각을 하고있는데 너무 흥미로운 주제에 맞는것 같은 내용들 뿐이네요..👏👍
@inyourshoulder
@inyourshoulder Год назад
이렇게 초월적인 인사이트를 쉽게 풀어내 대중에 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pp2iy8bf9m
@user-pp2iy8bf9m Год назад
6:18 다른 누군가와 만나서 교류하는것을 우주와우주가만나 서로 그 우주가 확장돼가며 겹쳐지는것이라는 표현이 정말 와닿았습니다. 감사합니다
@jelica.H
@jelica.H Год назад
철학적인 내용을 재밌게 풀어 나가는 게 너무 좋아요ㅎ
@royals3881
@royals3881 Год назад
내 어릴적 상상 또는 무의식을 머리로 표현 할 줄 모르고 살아오다가 그래 이거야 하며 1분과학님께 또 반합니다👍
@aAEewe
@aAEewe Год назад
처음부터 끝까지 완벽…! 감탄이 나오네요
@JoeNaen
@JoeNaen Год назад
세상에 나쁜 사람, 좋은 사람은 없다. 그저 좋은 관계와 나쁜 관계만 있을 뿐이라고 어디선가 읽은 구절이 생각나는 영상이라 좋았어요! 저도 항상 다른 우주에 대해 존중을 가지고 살아야겠다고 다시 한번 되새기고 갑니다
@user-pt6dw1ox9g
@user-pt6dw1ox9g Год назад
미쳤얼.. 어렴풋이 내가 생각했던걸 큰 그림책으로 본 느낌 .. 오 서로 우주가 겹쳐진 건가
@maduckn
@maduckn Год назад
와 ...제가 추상적으로 생각해오던 생각을 글과 영상으로 만들어 주셔서 정리가 된 기분이네요.. 항상 이러한 생각을 할 때 요상한 말로만 표현돼 제 생각이 듣는 사람에게 잘 전해지지 못했다고 느꼈는데 이리 명료하게 정리하시다니,,,,덕분에 한 번더 생각하고 가요!
@user-ce4lz4jj1d
@user-ce4lz4jj1d Год назад
진짜 이 채널은 매 영상마다 뒤통수를 때리듯 깨달음을 준다니까ㄷㄷ
@user-uj6rr9rx2f
@user-uj6rr9rx2f Год назад
생각하지 못했던 것을 생각하게 만드는게 1분과학의 제일 큰 매력이죠!
@istp_a
@istp_a Год назад
여태까지 내가 철학이나 그런 내용에 크게 관심 없는 사람이라고 생각하고 살아왔는데 고3때부터 1분과학 영상 보면서 진짜 많은 것들을 생각하고 깨닫게 됨.. 영상 빨리 만들어줘
@gcgc6755
@gcgc6755 Год назад
과거의어떤누구가 전생의나일수있다고하면 시간을비틀어서 현재의어떤누구도 언젠가의나일수도 있겠군요
@user-sj1jp6cg4g
@user-sj1jp6cg4g Год назад
방송보고 나니 재미있고 마음이 관대해지는 느낌이 듭니다.
@user-ec2gj8zk3k
@user-ec2gj8zk3k Год назад
해당 주제야 많이들 다루는 이야기지만 전개방식이 항상 인상깊네요.
@whdrms1221
@whdrms1221 Год назад
늘 새로운 시각에 눈뜨게 해주는 영상들인것 같아요 감사합니다!
@user-qp6ui3ps7e
@user-qp6ui3ps7e Год назад
악! 너무 조아! 이런 퀄의 영상은 몇달에 걸쳐 만드시는 줄 알았는데 바로 주시다니!! 광고로 사람들이 뭐라 해서 혹시 이제 잠적하겠다는 건줄 알고 얼마나 떨었는지!!! 감사합니닷
@user-yl7yg7xs7s
@user-yl7yg7xs7s Год назад
정말 1분과학을 보면 매번 ‘아하’ 모먼트가 있고 평소 명확히 설명은 못하지만 왠지 그럴것 같은 생각을 논리적으로 풀어주는 채널인것 같습니다.
@user-cc1fr1sp4d
@user-cc1fr1sp4d Год назад
지금 나라는게 있다고 생각하기에 지금 생각하고 있는게 존재하고 지금 느끼고 있는게 존재한다.
@k1mdoyun
@k1mdoyun Год назад
진짜 매번 볼때마다 제가 다른 사람이 되어가는 기분이에요 뭔가 확장되고 틀이 부숴지면서 내가 넓어지는 느낌
@zooreumm_art1044
@zooreumm_art1044 Год назад
와! 한번쯤 똑같은 내가 한명 더 생긴다면 어떨까 고민했던 적이 있는데 결국은 생기는 순간 나랑 다른 사람일거다 라고 막연하게만 생각해봤지 이렇게 영상으로 보니 역시 1분과학님이라는 생각이 ㅠㅠㅠㅠ 신이되는 법 처럼 여러번 봐야할 영상인 것 같아요 :D !
@wygdkid720
@wygdkid720 Год назад
나는 보통 사견이 담긴 이야기나 영상을 안좋아하는데 1분과학은 오히려 좋음 난 뭘 보고 읽던 최대한 비판적인 시각으로 보려하는데 1분과학은 감화되는 부분이 큰거같음 아마 나도 모르게 설득을 당한거겠죠 영상 너무 재밌습니다 앞으로 더 흥미로운영상 많이 만들어주세여ㅎㅎ
@snekwhwnwn
@snekwhwnwn Год назад
우와…너무재밌어요 배경음악하고도 너무 잘어울리는 내용 넘 웅장하고 므싯다
@user-lt7sl3qw8b
@user-lt7sl3qw8b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우와... 하나로 콕 집어 말할 수는 없는데 다 보고 나니 울림이 가득한 영상이네요..쩐다..
@-rie
@-rie Год назад
저의 평상시의 생각과 제가 연구하고자하는 방향을 한 영상에 담은 것이 경이로울 정도로 신기합니다. 진행과정부터 결말까지 저랑 동일한 생각이라서요. 정말 신기하네요 내적친밀감 급상승....
@qhrb1035able
@qhrb1035able Год назад
그 어느 것 하나도 확실하게 말할 수 없습니다. 이 세상의 모든 것은 비선형적이고 상대적입니다.
@eques23
@eques23 Год назад
요즘 들어서 자주 하는 생각이었는데, 마침 같은 주제를 다루셔서 깜짝 놀랐네요.👍👍👍
@user-ec7sg5qj4l
@user-ec7sg5qj4l Год назад
진짜 1분 과학님의 영상을 보면 당연한데 생각해보지 못한, 내가 알지 못했던 진실에 대해 눈을 뜨게 되는 것 같아요
@dd9589
@dd9589 Год назад
저는 절대적인 선,악은 없다는 입장이지만 우리가 살아가는 이 사회속에서 균형과 질서를 지키기 위해선 기준화된 선과 악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곧 법이라는 것이죠. 물론 법이 모호할 경우도 존재하긴 하지만 작은 범위의 모호한 경우를 제외하곤 거대한 집단을 유지하기 위해선 꼭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사실 요즘들어 전 선과 악이 존재한다고 생각이 바뀌고 있습니다. 어떤 기준으로 정의 할 수 있을까를 고민하다 보니 그 기준은 ‘존중’으로 귀결되더군요. 저도 아직 많이 부족한지라 인간 기준에서의 선과 악에 대해서밖에 생각하지 못했지만 일단 우리 각각 개인이 이기심, 즛 자신만을 위해 행동을 하는 이유는 나 자신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남들이 받아드리는 것 보단 자신이 느끼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남에게 피해를 주면서까지 자신의 이득을 챙기는 것이죠. 이것또한 본능과 연관되어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렇기에 자신의 이익,이기심이 중요한 것 처럼 나 말고 다른 인격체를 ‘존중’해주는 것이 제가 생각하는 선과 악의 기준입니다. 내가 소중한 것처럼 남도 소중하다고 생각하며 서로 사랑하는 것이 진정한 선이라고 생각합니다 반대로 자신만의 이기심이 중요하며 자신만을 위해 다른 이들을 존중하지 않으며 피해를 주는 것은 악이라고 생각합니다. 여러분들의 생각이 궁금하네요!! 답글 달아주시면 꼼꼼히 읽어보겠습니다
@peaceful_world5
@peaceful_world5 Год назад
공감합니다. 공동체를 이루고 사는 우리는 서로 협력하며 살자는 암묵적 합의하에 삶을 영위하고 있기에 사회속의 인간의 모든 행위를 선악으로 판단하지 않기란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다 볼 수 밖에 없기에...
@user-sandoggi
@user-sandoggi Год назад
성악설 성선설은 인간이 규정짓는것이고 선과 악은 구분할 수 없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해온 사람으로서 영상 재밌게 잘 봤습니다!
@user-oy7vw1kj6q
@user-oy7vw1kj6q Год назад
성`선`설
@user-sandoggi
@user-sandoggi Год назад
@@user-oy7vw1kj6q 감사요
@user-hk9mg5ru4g
@user-hk9mg5ru4g Год назад
선과 악은 구분할 수 없지만 좀더 공격적인 개체와 좀 더 이타적인 개체는 구분할 수 있죠. 침팬지와 보노보처럼이요.
@user-oy7vw1kj6q
@user-oy7vw1kj6q Год назад
@@user-sandoggi 별말씀을요..ㅎㅎ그런데 선과악을 인간이 규정하는건 맞지만 조금 위험한생각이십니다..선과악을 구분할수 없다면 모든 사람이 이 세상에 있는 악한행위들을 악하다고 하지않는다면..조금 삐뚫어진 세상이 되지않을까요
@deltax9471
@deltax9471 Год назад
@@user-oy7vw1kj6q 살인자는 악한 행동을 한 사람입니다. 전쟁에서 적군을 죽이는건 악하다고 평가받지 않습니다. 그러나 상대편 입장에선 전쟁일 지언정 내동료를 친구를 죽인 사람을 악하다고 생각할 것입니다. 같은 행동이어도 상황에 따라 판단이 달라지고 또 같은 상황이어도 그 입장에 따라 판단이 달라집니다. 절대적 선악에 대한 기준이 있으면 님 말이 맞겠으나 많은 경우에 그 구분과 경계를 정하는 것은 매우 어렵습니다
@jmy122635
@jmy122635 Год назад
맞아 뭐든 서로 통할때 그 기분은 마치 서로 이어진기분 뭐랄까 요리왕비룡에서 미미 나올때 그 그림 처럼, 서로다른 시공간이 이어진 느낌
@hoxy9910
@hoxy9910 Год назад
저도 되게 오랜만에 글을 보는데 참 좋은 영상 같습니다. 사람이 서로 만난다는게 서로의 우주가 만난다니 아주 멋지네요.😁
@rinki7607
@rinki7607 Год назад
요즘 개인적으로 인류에 대해 많은 회의감을 갖고 살고 있었는데 이 회의감에 대해서 다시 생각해볼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 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1분과학님의 영상으로 많은 걸 다시 생각할 수 있는 것 같습니다. 다시 생각 하는 계기를 언제나 감사합니다.
@peaceful_world5
@peaceful_world5 Год назад
많은분들이 1분과학님의 영상이나 비슷한 영상들을 보고 허무주의자가 아닌 이분의 생각과 같이 가치주의자가 되길 희망해 봅니다. 🙏 한번 뿐인 인생. 흔하지 않은 생명체가 사는 지구라는 곳. 허무할 정도로 넓은 우주. 그 속에서 정말 엄청난 확률로 인간으로 태어나 아름답고 신비로운 모든 것을 보고 듣고 느낄 수 있다는 사실이 얼마나 감사한지... 또 그런 삶이 한번 뿐이기에 경중을 떠나 어떤 일이든 가치있는 일을 하며 나름의 행복을 만들어가는 삶을 살아가는 전 지구인들이 되길 바래봅니다.
@user-smile-
@user-smile- Год назад
@@peaceful_world5 👍
@fgsr843
@fgsr843 Год назад
마치겡가족에게 한 실험에서 인간의 본능이 부정되었다고 결론을 내리는 것은 너무 성급한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마치겡가족과 서양인들과의 결과차이는 본능에 기인하는게 아니라 다른 사회와 환경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후천적 사고방식의 차이일 수 있습니다. 이것은 선진국 국민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과 개발도상국&후진국 국민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의 차이로 설명될 수 있다고 봅니다. 우선 충분히 사회가 경제적으로 성장한 이후의 선진국 국민들이 현재 더 중시하는 것은 평등과 분배입니다. 이는 사람들의 성향 자체가 혼자 독식하는 것에 대한 분노같은 감정이 개발도상국이나 후진국보다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이미 경제성장이 끝난 뒤의 사람들의 상태는 더 이상 사람들에게 희망을 줄 수 있는 가능성이 사라진 상태인만큼 실험에서처럼 혼자 독식하려는 사람에 대한 부적정인 감정이 더 클 가능성이 높은 상태가 됩니다. 하지만 아직 성장의 가능성이 남아있고 자원이 나에게도 돌아올 가능성이 있다고 여겨지는 사회. 즉 개발도상국이나 후진국의 국민들의 감정상태는 선진국 국민인 서양인의 그것과는 충분히 다를 수 있습니다. 남이 얼마를 차지하던 그것보단 내가 열심히 해서 그것에 준하거나 그것을 넘는 이익을 가져갈 수 있는 미래를 만들수 있다고 여겨지는 그런 사회에서는 실험에서의 결과가 당연히 마치겡가족에게서 나올 수 있는 형태로 나올 가능성이 높죠. 사람의 본능이나 마음에 대한 연구는 단순히 실험과 실험의 결과 뿐 아니라 그 사람이 있는 환경과 사회의 조사도 필요합니다. 그 실험만으로 사람의 본능은 다르다고 결론짓는 것은 지나치게 성급하다는 것이 제 생각입니다.
@fgsr843
@fgsr843 Год назад
한마디로 사람들이 '미래의 가능성'에 대해 얼마나 희망적으로 생각하는지 사회나 환경의 영향이 매우 큰 만큼 실험으로 사람의 본능이 부정되었다고 주장하는 것은 다소 성급하다는 이야기입니다.
@user-qb5dn7hh5s
@user-qb5dn7hh5s Год назад
그래서 누군가와 공감하고 소통하는 기쁨이 큰거에요 👍
@TrueDamage_Ekko
@TrueDamage_Ekko Год назад
내가 멍때리면서 했던 생각들중에 하나다!!! 근데 이런 생각들 특 : 다 누군가가 이미 밝혀냈음 그러니까 스스로 생각하는 것 보단 학습을 하는게 효율적일듯 왜 공자가 "생각만 하고 보편적인 학문을 배우지 않으면 독단에 빠져 위태로워 지기 쉽다" 라고 했는지 알겠다. 나는 잠시동안 한 생각이지만 누군가는 그걸 밝혀내기 위해 수 많은 노력을 했겠지...
@user-fp9is8tb5r
@user-fp9is8tb5r Год назад
주변환경이 정말 중요하다 하지만 어떤 환경을 자라오던 명심 해야 할 것은 아는 만큼 보인다 보이는게 다가 아니다
@sibalyoutubejotgatne
@sibalyoutubejotgatne Год назад
현대인들이 가진 무지, 혐오 등 대부분의 문제의 시발점이 소통의 부재인 것 같은데, 정작 소통의 중요성에 대해 설득할 수 있는 명쾌한 방법이 없었던 것 같아요 그런데 본능, 본질에 관한 아-주 공리에 가까운 이야기들로부터 영상 끝무렵에는 소통에 대한 내용을 유도하시는 과정이 뭔가 감탄하게 되네요 영상의 주제는 거창하지만, 그 속에서 이렇게 일상에 꼭 필요한 해결책을 찾을 수 있는 것이 사색의 묘미 아니겠습니까
@user-lh5rr7lz4z
@user-lh5rr7lz4z Год назад
1분과학님 목소리는 너무 편안하고 좋음..
@warmredblanket
@warmredblanket Год назад
무슨 얘기로 끝나나 끝까지 들었는데 중학교 때 쓴 일기같음. 이런 콘텐츠는 과학이라고 붙이기보단 수필이라고 해야 근접한 제목이 될듯
@user-ip3rb9qd4y
@user-ip3rb9qd4y Год назад
진짜 미친듯이 심장이 뛴다. 193명이나 되는 '나'의 뇌가 하나의 뇌로 합쳐진다면 무슨 코드로 합쳐 졌을까 궁금하고 193개 모두 다른 코드도 얼마나 다양한지 궁금하다. 이런 주제의 영상을 보며 다른 사람은 어떻게 생각하고 느끼는지 간접적으로 체험하면 나는 얼마나 작고 어리석은지 느껴진다. 그래서 더욱 알고싶고 더욱 궁금하다. 그래도 학교 공부는 너무 싫어 ㅠ
@user-jp2dv1lg2q
@user-jp2dv1lg2q Год назад
역시 이형꺼는 다른 과학유투버들꺼랑은 농도가 달라 아주 진해 달달하다~
@doyeonss4595
@doyeonss4595 Год назад
최고입니다~. 댓글을 안달수가 없네요. 이 영상내용에 완전 동감합니다. 감사합니다.
@lllre2293
@lllre2293 Год назад
애초에 선하다 악하다도 인간의 가치 판단일 뿐이고 우리가 규정하는 모든 인간의 모습들은 그저 인간의 여러모습 중 하나일 뿐이라고 생각합니다.
@user-ch3lv5sw8d
@user-ch3lv5sw8d Год назад
이런 제목으로 이런 내용을 담다니....역시 너님은 신이시군요. 우리 모두처럼.
@nice-nh3fk
@nice-nh3fk Год назад
모든 기준을 내생각으로만 판단하지말고 모두를 존중해야한다는 의미같네요,, 그리고 나와다른 사람을 애써 이해하려고도 하지말고 그냥 그사람은 그사람으로 바라보면 세상이 더 아름다워보일것 같네요 오늘도 역시 감명깊습니다..
@peaceful_world5
@peaceful_world5 Год назад
심리학자들이 하는 말과도 닿아있는 내용이네요.
@nice-nh3fk
@nice-nh3fk Год назад
@@peaceful_world5 혹시 심리학자들이 하는말이 무엇인지 물어봐도될까요??
@peaceful_world5
@peaceful_world5 Год назад
@@nice-nh3fk 님의 글에 그들이 말하던 치유의 소리가 이미 다 담겨져 있는걸요~? 😊
@user-pq2wc8bl1p
@user-pq2wc8bl1p Год назад
1분과학님의 영상을 보면서 항상 대단하다고 생각합니다. 1분만에 생각할 수 있는 간단한 생각을 내가 생각치 못 한 사실에 한번 그걸 조리있게 설명하고 흥미있게 말하는 것에 두번 그 생각을 여운이 남을 만한 주제로 바꿔서 말해주는 것에 세번 항상 영상을 봐오면서 흥미있고 재밌있게 영상에 빠져들어 나도 모르는 사이에 시간이 빨라지는 듯한 착각이 듭니다. 이런 생각이 채널의 이름을 참 잘 지었다고 생각합니다 어쩌면 길다고도 할 수 있는 5분 이상의 영상을 1분처럼 느끼게 하니까요.
@user-wg9ur2vm7i
@user-wg9ur2vm7i Год назад
난 이런 1분 과학님에 영상이 너무 좋습니다. 마치 우리가 아무것도 없는 공간에서 구조물을 하나씩 쌓아 가듯이 창조하는 기분이랄까?
@Double_question-mark
@Double_question-mark Год назад
개인적으론 생존본능이 환경에 따라 발현되는 방식이 달라질 뿐이라 생각합니다. 사회에 속하고 환경이 복잡해짐에 따라 복잡하고 세련된 방식으로 발현될뿐 결국 생존본능 하나라 생각됩니다.
@hope_opportunity
@hope_opportunity Год назад
1년전 올라왔던 영상과 최근 몇개월 동안 올라온 영상은 느낌이 다르네요. 1년전 올라왔던 영상은 깊은 사색과 철학이 담겨있다면 최근 몇개월 동안 올라온 영상은 사색과 철학을 억지로 이끌어내려는듯 하다. 내가 변한것인가 1분과학이 변한것인가.
@TV-go7bx
@TV-go7bx Год назад
옳소~~~ 지당하신 말씀 감사합니다!!^^
@user-th3rr7ml5o
@user-th3rr7ml5o Год назад
와 진짜 1분과학님 영상은 뭔가에 홀린듯이 계속 보게 되네요 😮이런 표정하고 봄ㅋㅋㅋ 입으로 감탄을 하면서
@user-lk5og5it5b
@user-lk5og5it5b Год назад
나라는 사람은 고정되있고 환경에 따라 변하는거죠. 고정되있는데 환경에 따라 변한다는게 뭔소리냐?그 변화도 고정된값에 따라 변한것일 뿐이라고요. 그래서 내가 누굴까 내 환경이 나를 규정했나 뭐했나 할 필요가 없어요. 나라는 사람은 고정돼있어요. 어떤 환경이 와서 달라져도 고정된 값에 의해 그렇게 돼서 사는거에요. 내 환경에서 어떻게 살까를 고민을 해야지 내가 누굴까 나라는 사람이 지금 환경때문에 내 맘에 들지않게 규정된건 아닐까? 내 정체성에 대해 고민 할 필요가 없다는거에요.
@user-nl2jf8eh4u
@user-nl2jf8eh4u Год назад
환경을 바꿀 순 없나요?! 이민을 간다던가 만나는 사람을 바꾼다거나
Далее
Спасибо Анджилишка, попил😂
00:19
MEGA BOXES ARE BACK!!!
08:53
Просмотров 31 млн
신이 되는 법 (전체공개)
16:18
Просмотров 1,3 млн
다 함께 만드는 신
13:12
Просмотров 1,5 млн
절대 신이 존재할 수 없는 과학적인 이유
19: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