Тёмный

오색 빛의 권위와 위엄, 단청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Подписаться 693 тыс.
Просмотров 40 тыс.
50% 1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www.ytnscience.co.kr/program/p...
사찰이나 궁궐에 건물을 화려한 문양으로 장식한 단청은 목조 건축의 꽃이다. 다섯가지 색과 검은 선, 단순한 듯 보이는 단청 속은 선조들이 꿈꾸던 이상세계가 담겨있다. 자연스러우면서도 풍부한 색감을 가진 단청 안료는 광물에서 채취한 천연물질이었다. 우리의 색은 어떤 색일까?오색 빛이 조화로 이루어내는 권위와 ...

Опубликовано:

 

22 июл 2013

Поделиться:

Ссылка:

Скачать:

Готовим ссылку...

Добавить в:

Мой плейлист
Посмотреть позже
Комментарии : 27   
@vento539
@vento539 Год назад
외국인 대상 사찰 안내 자원 봉사하는데 단청에 관한 질문에 대답하는데 아주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fairfriend7030
@fairfriend7030 Год назад
단청은 무지개를 뜻하는 오방색 이다. 몽골이들은 우리를 솔로고스 (무지개)라 부르는데 이는 우리가 조상신을 모시는 민족으로 환인,환웅.단군 모두 제사장 이셨다. 무지개는 신이 주시는 상서로운 계시이며 축복,탄생을 의미한다. 그리고 하늘의 새가 계시를 전하는 매개체라 하여 상서럽게 여겼다. 그래서 모자에 꼽거나 축에때 장대 끝에 달기도 했다. 천년간 단절된 역사를 설명하자면 사연이 길다.
@user-zp8gr1me4h
@user-zp8gr1me4h 7 лет назад
아름답습니다.
@user-ik4iy8mk5i
@user-ik4iy8mk5i 6 лет назад
아랫분 말에 찬성하고 상록하단에 대해 찾아봣는데 고려때까지만 해도 붉은색 단청 사용햇다고 하도라고요..어떤분이 바꾸신거 있는데 엄청 이쁘더라구요..
@junhyuk9000
@junhyuk9000 2 года назад
음 딱히 정해진것은 없습니다. 밑에분들 대다수가 부정확한 이야기가 대부분이던데 조선시대에도 주칠 칠해진곳은 있어요 종묘나 덕수궁 함녕전 등등
@garakgooksuyu1377
@garakgooksuyu1377 5 лет назад
단청의 접착제로 아교 말고 어교를 사용하면 좋지 않을까요? 생선 부레, 즉 민어부레로 접착제를 만들어 사용하면 좋을것 같습니다. 그리고 안료는 사찰에 안에 있는 불화에 사용 되는 천연안료와 다른 것 인가요? 불화의 천연안료색이 좀더 자연스러워 보이던데요!
@kkm1895
@kkm1895 4 года назад
garakgooksu yu 석채는 더 비싸서 탱화 말고는 쓰기가 그래요 정밀한 문양과 묘사에는 좋은 물감을 쓰는게 당연하지만 단청은 문양도 정밀하지 않고 밀도가 낮아서 큰 차이는 없을거 같아요 어교는 비싸서;;
@kkm1895
@kkm1895 4 года назад
고려불화 봐라 양록색 바탕 단청이 있는지 다 주사 바탕 단청이다 붉은 단청이지 조선 단청으로 모든 단청을 하면 우짜냐
@안유림
@안유림 3 года назад
남아있는 건축문화재 대부분이 조선 중 후반대 건물이라 그럴겁니다ㅠ 게다가 몇 안되는 오래된 건물들은 역사속에서 많은 변형을 겪었죠. 문화재 수리는 건물이 겪어온 역사를 인정하며(일제시대, 현대에 변형된 것은 보통 제외) 건물이 훼손 되기 이전의 모습으로 돌리는 일을 합니다. 고려대 또는 조선 초의 건물들은 오랜 세월 동안 여러번의 수리를 거치면서 많은 부분이 후대의 양식으로 변형되었으므로, 말씀하신 붉은 건물은 찾아볼 수 없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junhyuk9000
@junhyuk9000 2 года назад
고려불화에서도 존재합니다. ㅡㅡ 상록하단이 양록색바탕을 말씀하시는거라면 중국 오대말 송대 영조법식에도 소개됩니다. 단순히 조선시대 양식이 아닙니다
@user-dd6cm1ns9i
@user-dd6cm1ns9i 6 лет назад
역순좀 만들어줘요 ㅅ
@YTNSC
@YTNSC 5 лет назад
안녕하세요ㅎㅎ 역순 재생목록 말씀이신가요?
@dustinko2439
@dustinko2439 Год назад
조선초기 숭유억불정책에 사찰도 단청을 입혔나요? 아시는분 답변 부탁드립니다
@fairfriend7030
@fairfriend7030 Год назад
지난 천년 간 왜곡돼고 단절된 역사 를 어찌 짧게 설명할 수 있을까마는 단청은 무지개를 뜻히는 오방색이 다. 몽골인들이 우리를 솔롱고스(무 지개)라 부르는데 이는 우리가 하늘에 제를 지내는 민족이기 때문 이다. 이는 조상신을 모시는 무속에 서 기원했는데 환인,환웅,단군 모두 제사장 이셨다. 무지개는 신이 주신 상서로운 계시를 의미하며 축복을 나타낸다. 그리고 이런 계시를 하늘 의 새가 전한다 하여 우리 민족을 조의족 이라고도 한다. 고구러의 삼족오가 그 일예일 것이다. 그래서 모자에 깃털 장식을 하거나 축제때 장대 끝에 달기도 하였다. 현재의 무속은 온갖 잡신을 모시는 데 이는 잘못된 것이다. 우리가 설 과 추석에 모시는 차례가 진정한 무 속인 것이다. 그리고 단오의 의미를 모르고 중국에서 유래된 명절이라 착각하지만 단오는 우리의 오대 명절중 가장 큰 단군을 모시는 축제 다. 과거 어른들을 이를 알고 있었 지만 지금은 거의 생존하시는 분은 없다. 강릉 단오제는 어렴풋이 그 형식만 남았는데 어이없게 김유신 에게 제를 지낸다. 이것은 천년 전 우리 역사 왜곡의 발원이므로 사연 이 길다. 그리고 과거에는 이런 사실을 말하는 이는 죽음을 면치 못했다.
@user-bc5fp1up1v
@user-bc5fp1up1v 4 года назад
단청 기술인을 찾습니다
@AA-bf9vk
@AA-bf9vk 2 года назад
천연안료연구는 성과를 내고 있는지요. 중국것과 일본것으로 색을 낸다는게 거부감이 생기네요. 이제 가능하다면 한국의 것으로만 복원가능하면 하고 바라봅니다.
@user-hk6uq9tr7b
@user-hk6uq9tr7b 3 года назад
한옥식 가정집에 단청을 그리면 가정집이 아니라 사찰(절)인줄 알겠지 아마
@asdf-sc1up
@asdf-sc1up 2 года назад
상록하단 멈춰!
@SweetPlain
@SweetPlain 7 лет назад
상록하단 단청좀 그만 쓰자. 무슨 모든 건물에 조선식이냐
@user-qz1wo6cq3i
@user-qz1wo6cq3i 6 лет назад
SweetPlain 정말 인정하는 부분이에요 월정교도 완전 조선시대 상록하단 투성이와 머리초가 남발하는 어이없는 단청을 썻더라고요 특히 백제 문화단지도 단청이 앞으로도 이런식이면 황룡사 복원도 다시 생각해 보아야 할거에요 신라시대의 건물에 조선식 단청이라니 용납할 수 없어요
@junhyuk9000
@junhyuk9000 2 года назад
상록하단은 중국 오대말 회화나 송대 영조법식에도 나오는것입니다. 조선에서 만든것이 아닙니다
@SweetPlain
@SweetPlain 2 года назад
@@junhyuk9000그니까 왜 한국에서 복원되는 건물은 다 상록하단이냐 말입니다.
@junhyuk9000
@junhyuk9000 2 года назад
@@SweetPlain공무원들은 디자인이나 미적감각을 모르기 때문이죠
@amesde9
@amesde9 5 лет назад
원에서 유행하던 것이 전해진 게 상록하단인데 뇌록색을 쓴게 조상들의 지혜라는 건 좀 아닌 것 같습니다.
@junhyuk9000
@junhyuk9000 2 года назад
녹색 단청은 중국 한대 토기에도 발견됩니다. 고구려에서도 발견되고요. 상록하단과는 다른개념입니다. 원에서 유행했다는것도 확실한 이야기인지는 모르는이야기입니다. 그리고 수백년된 전통이된 기술이고 재료인데 왜 지혜가 아닌가요?
@AA-bf9vk
@AA-bf9vk 2 года назад
천연안료연구는 성과를 내고 있는지요. 중국것과 일본것으로 색을 낸다는게 거부감이 생기네요. 이제 가능하다면 한국의 것으로만 복원가능하면 하고 바라봅니다.
Далее
천년의 흔적, 먹 / YTN 사이언스
42:31
Просмотров 117 тыс.
국가무형문화재 불화장(2022)
1:19:01
Просмотров 98 тыс.
Дьявол - ТРЕШ ОБЗОР на фильм
19:10
영산강, 대형옹관의 비밀 / YTN 사이언스
40:08
선비정신을 담다, 벼루 / YTN 사이언스
45:28
Дьявол - ТРЕШ ОБЗОР на фильм
1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