Тёмный

원시인처럼 꿀잠자기 / 서울대병원 신경과 정기영 

의학채널 비온뒤
Подписаться 1,7 млн
Просмотров 178 тыс.
50% 1

잘 자는 것은 우리 몸을 회복하고, 에너지를 보존하고, 기억이나 면역 등을 잘 조절하는 데에 큰 역할을 하는데요. 그렇기 때문에 건강히 푹 자는 것은 일상을 살아내는 데에 정말 중요한 일입니다. 하지만 내 마음처럼 '꿀잠'을 자는 것이 그리 쉬운 일은 아니라고 느껴질 때도 많죠. 다른 사람도 아닌 옛날 원시인처럼 숙면하는 방법에 대해 서울대병원 신경과 정기영 교수님이 알려드립니다.
#꿀잠 #수면 #잠잘자는법
담당: 김싱아, 김소연PD
의학채널 비온뒤를 카카오톡 플러스 친구로 추가하고 최신 의학정보를 받아보세요!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의학채널 비온뒤 카카오톡 pf.kakao.com/_zQrUC
▶ 의학채널 비온뒤 카카오 TV tv.kakao.com/channel/3032739
▶ 의학채널 비온뒤 네이버 TV tv.naver.com/aftertherain
▶ 의학채널 비온뒤 네이버 치지직 chzzk.me/aftertherain
▶ 의학채널 비온뒤 페이스북 / aftertherain.kr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비온뒤 멤버십 💙
비온뒤 채널에 있는 가입 버튼을 통해 멤버십 혜택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멤버십에 가입하시면, 비온뒤 멤버 여러분께 제공되는 다양한 혜택 중 하나로 라이브 질문 시 최우선으로 답변을 드리고 있습니다!
“영상 내에서 언급되는 정보는 건강/의학에 대한 정보입니다. 진료를 대체할 수는 없습니다.”
✔ 비온뒤의 재밌고 유익한 영상과 더 함께하고 싶다면
'좋아요'와 '구독하기' 많이 눌러주세요!
✔ 비온뒤 공식채널
홈페이지 | aftertherain.kr

Хобби

Опубликовано:

 

16 апр 2024

Поделиться:

Ссылка:

Скачать:

Готовим ссылку...

Добавить в:

Мой плейлист
Посмотреть позже
Комментарии : 66   
@user-kq7ov9xh4n
@user-kq7ov9xh4n 24 дня назад
선생님. 꿀잠관련 최고의 영상입니다. 늘 감사합니다ㅡ 제가 교대근무라서그런지는 몰라도 잠인 잘안왔었어요. 3년간 수면제 먹고.. 3일간 못잔적도 있어서 많이 울었던 적도 많았는데. 20:53 선생님 말씀처럼 생체시계 관리하는게 너무 중요하더라구요. 특히 햇빛. 저는 가장 먼저 아침 산책으로 햇빛쐬었어요. 이게 제 불면증의 전환점이었습니다. 제가 교대근무로 햇빛 못쬘때는 담당 주치의께서 추천해주신 아침빛 보조조명 사용해서 빛을 보조로 더 쐬었는데 실제 햇빛이랑 구분이 안갈정도더라구요. 신기했습니다. 또 지금은 약 안먹어도 예전보다 잘자는게 신기합니다. 생체시계가 이렇게 중요한지 또 한번 깨닫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NAGO-ry8zh
@NAGO-ry8zh 24 дня назад
혹시 조명기 어떤 제품 사용하셨는지 알수있을까요??
@user-kq7ov9xh4n
@user-kq7ov9xh4n 24 дня назад
@@NAGO-ry8zh 잠앤빛 제품으로 쓰고 있어요.
@nice_day33
@nice_day33 5 дней назад
저는불면증으로 짬을 못자니까 우울증 공항장에까지 걱으면서 정말 너무 힘들고 괴로워서 울기도 많이하고 이병원 저병원 누가 좋다하면 안해본것도없이 다 해봤습니다 밤낮없이 한잠을 못하니까 임풀란트 이까지 빠젔어요 불면증 약을 먹어도 잠을 못자 한방병원입원치료로 지금은 다 나아서 너무나 행복합니다 한방치료도 도움이 되는것같아 경험을 말씀드리네요
@user-sg6bb5qe5l
@user-sg6bb5qe5l Месяц назад
불면증으로 5년 고생한 사람인데요. 생활습관도 중요하지만 먹는걸로도 충분히 개선 가능합니다. 평소에 아몬드, 넓은잎감태추출물 꾸준히 챙겨드시고 잠이 너무 안오는 날에는 데운 우유 한잔씩 챙겨먹어 보세요. 저녁 7시 이후에는 웬만하면 금식하시고 너무 배고프면 아몬드, 데운우유 드세요.
@stretching_for_workers
@stretching_for_workers Месяц назад
넓은잎감태추출물 어디서 사나요?
@user-ol9kv2ji8k
@user-ol9kv2ji8k 2 месяца назад
불면증때문에고민이많앗는데 잠자기전 우유바나나견과류를갈아마셧더니 꿀잠자고잇어요 유튜브도 자기전에는안봅니다
@user-ni6ok8pw4k
@user-ni6ok8pw4k 19 дней назад
감하하게잘들었습니다~돈을들여하는거보다기본에충실한노력을먼저하라는말씀에감동받게됬습니다~항상건강하셔서고통중엤는환자들좋은치료해주시셨으면좋겠습니다~~감사합니다❤😊
@user-ri9fy8le9h
@user-ri9fy8le9h 22 дня назад
간단 명료하게 서론이 넘길어요
@Victoria-yr2us
@Victoria-yr2us 2 месяца назад
교수님 좋은 의학정보 감사합니다 빛ㆍ온도 중요함을 알게 되었어요
@user-xi6pj8ov7g
@user-xi6pj8ov7g Месяц назад
교수님!유익한정보 감사합니다. ^^
@sunheekim3147
@sunheekim3147 2 месяца назад
말씀 너무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었어요
@user-ir8wt5je3t
@user-ir8wt5je3t 2 месяца назад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많은 활동을 하게 되면 잠을 잘 자게 되는데, 수면의 중요성에 대해 더 깊이 생각해 보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user-ld5yw2ts8k
@user-ld5yw2ts8k 2 месяца назад
감사합니다
@SDAKim-kg1ny
@SDAKim-kg1ny 2 месяца назад
좋은 정보지만 핵심만 추려서 간단하게 알려주셨으면 합니다. 불면증이있는 사람들은 거의 아는내용 입니다. 감사합니다.
@user-dt7pb2zn1k
@user-dt7pb2zn1k Месяц назад
그래서 어찌됐다는겁니까? 사설이 기네요 참 나원
@SDAKim-kg1ny
@SDAKim-kg1ny Месяц назад
😡😡😡
@SDAKim-kg1ny
@SDAKim-kg1ny Месяц назад
I appreciate it if you didn’t make unnecessary comments!!!
@user-wv4yd1te7c
@user-wv4yd1te7c 2 месяца назад
잠들기 넘 힘들었는데~ 윈시인 처럼 꿀잠 자기 넘잘들었답니다 ^^ 감사드려요 🫠
@user-fu3me9gd9n
@user-fu3me9gd9n 2 месяца назад
73세인대 3시간자은대요 한번깨면 못자요그런대 3시간도 앝은잠 입니다
@user-ed4tq1co1i
@user-ed4tq1co1i 2 месяца назад
불면증으로 고생하고 있는데 좋은정보 감사드립니다
@user-yd2ee7xe5f
@user-yd2ee7xe5f 13 дней назад
맘편하고 신경쓰는거없는게 최고인듯요
@sdkkd3416
@sdkkd3416 Месяц назад
다리 벌레기는듯한불편감, 전립선으로인한 잦은화장실가기, 목마름 등으로 2-3시간마다한번씩깨요
@SL-sx5ry
@SL-sx5ry 2 месяца назад
별 생각없이 생활해왔는데... 정말 알아야 할 귀한 내용~ 고맙습니다
@user-yo9cn1bf3d
@user-yo9cn1bf3d Месяц назад
시간도 없는데 요점을 들을라면 힘드네요
@user-yr5qk3sx5g
@user-yr5qk3sx5g 2 месяца назад
많이 움직이고 햇빛받고 운동하면 조금 잘 자는거 같아요
@user-kk5bk2vs3y
@user-kk5bk2vs3y 2 месяца назад
수고하십니다 요점을 잘정리해서 듣 는 시청자가 지루하지않음 좋게습니다.
@user-hf9uz8zd7m
@user-hf9uz8zd7m 29 дней назад
간단 명료하게 핵심만 해주시면 좋겠습니다
@user-kx8be6nq8f
@user-kx8be6nq8f 2 месяца назад
하지불안증 강의 기다리고있겠습니다
@user-iy5cp2io7y
@user-iy5cp2io7y 2 месяца назад
만성불면증 8년 되었는데 스 스로는 절대 못자는 건가요~ 약은 많이 멜라토닌2m 트리티코 반알 리보트릴4분의1을 먹습니다 만성질환 처럼 같이 가는거라고 하는데 마음이 무겁습니다 답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user-ef6ce7ry2z
@user-ef6ce7ry2z Месяц назад
신경안정제 2년먹다가 끊었습니다. 밤새 뜬눈으로 새우길 다반사 2년 지난지금 5~6시간 자고 있습니다. 꿀잠튜브 신원철 교수님 영상 듣고 실천하다보니 도움 되었답니다. 67세 여자입니다
@user-wh9pp3ig7b
@user-wh9pp3ig7b Месяц назад
전 63년생 여지입니다 병원에서는 대학병원에서는 기관지 확장증이라는데 항상 기침으로 자주깨요 그리고 잠들기도 힘들어요 꿈도 많아꾸고 깨면 생각이 안나고 가끔 드라마처럼 이어지기돛 해요 걍 쉼게 잠이 들면 좋겠어요 알콜이 있으면 좀 잠들기 쉬운것 같은데 중독된것 같아요 안깨고 아침까지 꿈없이 자고 싶어요
@user-nt8ge8bw4h
@user-nt8ge8bw4h 25 дней назад
왜우리나라연구도많은데 꼭미국학회에서연구한거로 강의가되야하는지요
@user-hv2qr8xz7w
@user-hv2qr8xz7w 2 месяца назад
그시대엔 수명이 길지 않았으니 젊을때 죽으니 불면이 없지요 . 요즘시대엔 수명이 길다보니 신체 기능저하로 불면증 환자가 늘어나는거 아닐까요 .?
@janykim3831
@janykim3831 2 месяца назад
빗? 머리 빗는 빗? 비시 매우 중요?
@user-uu3zy1of8x
@user-uu3zy1of8x 2 месяца назад
핵심만요
@user-nz4xm5cz4c
@user-nz4xm5cz4c 26 дней назад
80대 인데. 아침 일어나면. 피곤이. 계속됩니다. 8시간은. 자는데 푹. 자지못합니다. 어떤 방법이 있는지요
@user-co2ve1di8l
@user-co2ve1di8l 2 месяца назад
식사 운동 체중 고지혈 혈압 혈당 담배 수면
@user-px4qd4rz4e
@user-px4qd4rz4e 2 месяца назад
저는요 하루종일자려고하면잠이오는데왜그럴까요어떻케하면 낮에할기르느낄수있는지요 타편을부탁드림니다
@unison-ub2eb
@unison-ub2eb 2 месяца назад
음~ 남녀노소 누구에서게 숙면 기능에 도움되는~ ((내몸건강관리법)) 3가지를 알려드려봅니다,,, 감사합니다,,,,
@user-yk7mn1cx7f
@user-yk7mn1cx7f 2 месяца назад
복잡하며 다양한 미디어시대 경쟁시대 먹고살기위해서 인간들의 정신세계가 병들어 갑니다 어떻게 깊은 잠을 자겠습니까 말처럼 쉬운게 아닙니다 모든것 다 내려놓고 산속으로 들어가도 돈이 있어야 사는 세상 입니다
@user-xx4cz2jr5r
@user-xx4cz2jr5r 2 месяца назад
68세 여자입니다 10시30분에 잠을자서 11시 30분되면 깨어나서 그뒤로는 몇시간째 잠이안옵니다 새벽녁에 쬐금자면 그게 다잔겁니다 너무괴롭습니다
@user-tg2tg1qz3k
@user-tg2tg1qz3k 2 месяца назад
저는75세린데 동감합니다
@user-qr7bj7xs9k
@user-qr7bj7xs9k 2 месяца назад
토마토 매일 먹어 보세요. 예전에토마토 한달 먹은후 잘 잤습니다. 하지만 그뒤 귀찮아서 안 먹으니 또 잠이 안옵니다. 토마토에는 멜라토닌이 들어 있어 잠을 오게 한답니다. 한달만 실천 해 보세요. 방울토마토 15개 나 큰토마토 2개 매일 드셔 보세요.
@user-xx9en4tw6y
@user-xx9en4tw6y Месяц назад
저도 10시 반 쯤 바로 잠은 오는데 2시간 쯤되면 깹니다 그뒤 그냥 눈감고 있습니다 7년째.. 정신과 약 먹으면 4 ~5시간 정도는 자지는데 일주일에 두번 정도 약에 의존합니다 삶이 너무너무 힘듭니다 아침 운동도 하고 좋다는 건 거의 먹어본 것 같습니다 치매가 가장 걱정입니다.. 몇 칠전부터 비타민c 메가독스 서서히 하는 중이고 마그네슘도 같이 먹어볼까 합니다 효과 있어으면 좋겠습니다 멜라토닉은 자기전2그램 먹는데 피곤은 덜하네요 좋은 숙면으로 어여 쾌유하시길 기원드리겠습니다
@user-xx9en4tw6y
@user-xx9en4tw6y Месяц назад
선생님 말씀은 오랜 불면증 환자들은 다 알고 계실듯 합니다
@user-lu8me7jh7z
@user-lu8me7jh7z 25 дней назад
맨발걷기 해보시면 어떠실까요. 저도 68세이고 깊이 공감합니다. 가끔 수면제 도움으로 잠들었는데 요즘 9일 정도 근처 산에서 맨발걷기 하고 있는데 자는동안 깊은 잠을 잡니다. 4일 정도 부터 수면의 질이 좋아지는 것 같더니 요즘은 확실히 깊은 잠을 잡니다. 한번 실천해보시길 권해드립니다. 6~7시간 정도입니다.
@user-qr7bj7xs9k
@user-qr7bj7xs9k 2 месяца назад
저는 어릴때부터 잠을 잘 자지 않았어요. 지금 64세 인데 거의 평생을 잠땜에 힘들게 살았습니다. 이제 불면증으로 전신 관절이며 뼈까지 아파서 약도먹고 수면제도 먹지만 잠만 잘자면 모든게 해결 될거 같아요. 못자면 주변사람들에게 짜증도 자주 내고 신경질적으로 변합니다. 늘 몸은 천군만근ㅠ 이렇게 잠땜에 일상이 즐겁지 않고 왜 사는지 모를 정도로 힘듭니다. 어떤 통 같은데 넣어 잠 잘 오는 그런 의술 없나요??ㅠ
@user-qr7bj7xs9k
@user-qr7bj7xs9k 2 месяца назад
지금도 스틸록스5m먹었는데 헤롱헤롱 하네요. 이제 자야 해요. 내일 교회 가려면요^^
@user-wh3ny2xg6p
@user-wh3ny2xg6p Месяц назад
바쁜현대인들 숨넘어가네요 본론 말씀부탁합니다.
@kiminseattle3476
@kiminseattle3476 2 месяца назад
죄송하지만 스피치 떼로피가 절실하신듯 합니다.
@zx5cr4pq1z
@zx5cr4pq1z 2 месяца назад
원시인들은 매번 다른부족이나 맹수들 습격의 위험 때문에 꿀잠자지 못했습니다
@emperorpenguin999
@emperorpenguin999 2 месяца назад
ㅋㅋㄹㅇ
@user-rl3ek3gi5g
@user-rl3ek3gi5g 2 месяца назад
시계도 없고 창조된 태양이 있을때 활동하고 어두워지면 자고 전기나 스마트폰도 없고 하니 꿀잠을 잤을것이라 여겨집니다
@justbecauseyeah4433
@justbecauseyeah4433 Месяц назад
맞다. 무슨 꿀잠?!!.. 생존이 달려 있는데.
@inkeunyu2186
@inkeunyu2186 Месяц назад
그런뜻이. 아니고요ㅠㅠ 맘이 삐뚤어진 현대인간들😢 전체를 들어요
@joeuns38
@joeuns38 Месяц назад
지인이 원시인인데바닥의 습기와 벌레들도 빡세다고합니다
@user-xo6nq1tt2m
@user-xo6nq1tt2m Месяц назад
상추~~~~~^^
@jaemkim1
@jaemkim1 20 дней назад
원시인이 꿀잠을 잤을거라? 근거없는 추측에 불과하다. 꿀잠 잘정도의 편한 인생을 살았다면 수명이 왜그리 짧았을까. 인생의 대부분을 개고생하며 굶주리며 살다 병걸려 죽었다 꿀잠은 개뿔.
@DavidYun-vx4de
@DavidYun-vx4de 24 дня назад
아프리카 야생의 세계를 보면 최상위포식자가 아니면 잠을 제대로 자지 못하던데 원시인들도 그렇지 않을까?
@user-cx2ij2vx5f
@user-cx2ij2vx5f 2 месяца назад
참 말을 쉽게 하네요 -- 신경과 의사인분이. 인대 --
@user-xm2by1tj7b
@user-xm2by1tj7b Месяц назад
제목이 너무거창해서 믿음이 안가고 불면하는 사람들에겐 심한것 같네요. 톡도 역지사지 입니다.
@bassvoice
@bassvoice Месяц назад
이거 누구 들으라고 만든 영상인가...... 답답하네
@user-lc7ql7yb3w
@user-lc7ql7yb3w 2 месяца назад
감사합니다
Далее
218화. 노인불면증 이 영상 하나면 됩니다
49:27
Как Я ОБМАНУЛ Датчик ДВИЖЕНИЯ?
10:50
AINT NO WAY
00:14
Просмотров 993 тыс.
숙면의 기술 / 서울대병원 신경과 정기영
52:28
It's a not regular gel blaster!!
0:20
Просмотров 2,5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