Тёмный

"이게 무슨 픽토그램이야"... 이 반응까지 예측한 파리 올림픽!?|크랩 

크랩 KLAB
Подписаться 577 тыс.
Просмотров 126 тыс.
50% 1

#크랩 #파리올림픽 #픽토그램 #kbs뉴스
100년 만에 다시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올림픽이 50여 일을 남겨두고 있습니다.
올림픽 최초 야외 개막식과 함께 명소에서 진행되는 경기들이 화제가 되고 있는데요.
그중에서도 이번 올림픽의 픽토그램이 주목 받고 있습니다.
보통, 종목을 단순화해 알아보기 쉽게 만드는데 이번 파리올림픽 픽토그램은 다소 알아보기 어려워 보이는데요.
디자인 전문가는 여기에 다~ 이유가 있다고 합니다.

Опубликовано:

 

12 июн 2024

Поделиться:

Ссылка:

Скачать:

Готовим ссылку...

Добавить в:

Мой плейлист
Посмотреть позже
Комментарии : 1 тыс.   
@user-fq9fi5ds8t
@user-fq9fi5ds8t 9 дней назад
그치만 교수님도 프랑스의 전문 디자이너가 아니라 학부생 작품이었으면 시인성 없다고 깠을 거잖아요
@user-pz5hd1ts8o
@user-pz5hd1ts8o 8 дней назад
그니까 교수지.
@jkkjk1
@jkkjk1 8 дней назад
그치만 전문디자이너가 만들어서 다르죠
@exeking0
@exeking0 8 дней назад
홍머병이란 신조어가 생긴 이유를 다시 한번 증명
@shs892
@shs892 8 дней назад
F때리지 ㅋ
@yinissie9893
@yinissie9893 8 дней назад
ㅎㅎ 학부생은 이런 말 할 수 있죠 무지성으로 교수까기ㅋ
@migam13
@migam13 8 дней назад
70%가 똑같은데 그 똑같은걸 계속 하는 이유는 픽토그램이 단순 예술이 아니라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하나의 매개이기 때문입니다... "왜 남들 다 똑같이 쓰는 글자들을 꼭 남들과 똑같이 써야하냐"라고 물어보면 뭐하고 답해야 할까요
@Man_Hwa_King
@Man_Hwa_King 8 дней назад
이거 인정 솔직히 억빠임ㅋㅋㅋ
@user-bm6qi1mx5d
@user-bm6qi1mx5d 7 дней назад
굳이 똑같이만 쓰는거라면 지금처럼 매번 돈 왕창 들여서 똑같은 픽토그램을 만들거 없이 그냥 저번꺼 가져다 쓰면 되지 않을까요? 아애 못 알아먹을 정도도 아니고 도형과 형상으로 종목의 특징이 들어나게 디자인해서 정보의 전달도 충분한 픽토그램이라고 생각합니다
@Man_Hwa_King
@Man_Hwa_King 7 дней назад
@@user-bm6qi1mx5d 애초에 픽토그램 목적이 한번에 알아볼수 있게 디자인하고, 각자 개최국의 컨셉에 맞게 재해석하고 약간의 각색해서 내는정도가 맞는거같다고 보는데요 굳이 이렇게 하는건 존심부리는 홍대병걸린게 아닐까
@user-oo1jb1mv1r
@user-oo1jb1mv1r 7 дней назад
2:32 베스트로 뽑은 이유가 누가 봐도 알 수 있기 때문 3:45 워스트로 뽑은 이유는 정보 전달에 실패했기 때문 결국 교수님도 가독성 있고 정보를 잘 전달 할 수 있느냐를 보고 계시면서요...
@dkcomet0
@dkcomet0 7 дней назад
그래서 이번에 처음으로 색다른 시도를 한 것이고 반응이 좋다면 계속하는 거고 안 좋다면 다시 돌아가겠죠
@user-rl5ww2gl2h
@user-rl5ww2gl2h 9 дней назад
의도가 뭐고를 떠나서 픽토그램의 본분을 다하지 못하고 있는데 부가적인 게 대체 무슨 소용임
@i-want-to-go-home-plz
@i-want-to-go-home-plz 3 дня назад
ㄹㅇ 픽토그램이 아니라 무슨 로고가 돼버렸음
@kamui0315
@kamui0315 9 дней назад
딱 실용성은 신경 안 쓰고 그냥 심미적인 것만 신경 썼다는 소리
@user-qn1xn7nj4g
@user-qn1xn7nj4g 8 дней назад
이거다
@Fresh-nl1hf
@Fresh-nl1hf 4 дня назад
그렇다고 막 예쁘지도 않음ㅋㅋ
@cyironman
@cyironman 19 часов назад
​@@Fresh-nl1hf예쁘긴 함 ㅋㅋㅋ 전체적으로 사각형 틀에 맞춘 것도 그렇고
@user-xz4iz1fj8j
@user-xz4iz1fj8j 9 дней назад
보고 한참 생각해야되는 픽토그램은 망한디자인 입니다
@Gyurae9087
@Gyurae9087 9 дней назад
보자마자 든 생각이 '다른 올림픽하고 다르고 예쁘긴한데 그래서 이게 픽토그램이야?'였고 이 생각이 들자마자 픽토그램으로써 의미를 상실했는데 예뼈봤자 무슨 의미가 있나라는 생각을 계속하게 되네요
@yueyumyum7827
@yueyumyum7827 9 дней назад
의미상실까진 아니고 충분히 가독성 있음.
@yhdcezdm
@yhdcezdm 8 дней назад
​@@yueyumyum7827 충분히 가독성 줮도없든데
@exeking0
@exeking0 8 дней назад
@@yueyumyum7827 남녀노소 누구나 알수있던 문양에서 그렇치 못한 문양이 됨
@MakeAggro
@MakeAggro 6 дней назад
충분히 가독성 있는데 어렵지않고.
@user-wt2if1mp5e
@user-wt2if1mp5e 6 дней назад
홍대는 걸러야겠네 ㅋㅋㅋㅋ 전형적인 예술병에 취해서 자기만 특별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임
@user-jd6oj6wl7v
@user-jd6oj6wl7v 8 дней назад
결론 : 예술병 걸려서 본분을 망각함
@MINA-Lee19
@MINA-Lee19 9 дней назад
픽토그램은 특정 언어를 몰라도 종목을 이해할 수 있게 제작되어야 할 것 같은데, 픽토그램의 의미, 유용성을 무시하고 예술디자인적 면모만 고려한 것 같습니다.
@SeanKim-2020
@SeanKim-2020 9 дней назад
애초에 픽토그램이 저렇게 일관적인 디자인 유지한게, 전세계에 있는 사람들이 언어와 문화의 장벽을 넘는 정보전달 수준이 필요해서 저렇게 디자인한거임 저런 식으로 디자인하는건 우리가 교과서에서 책상을 양탄자로 부르고 침대를 그림으로 부르다가 다른 사람과 대화를 못한 사람과 비슷한 접근 방식임
@sibisi-ir5zj
@sibisi-ir5zj 9 дней назад
비상구 그림같은게 픽토그램인데 지겹다고 디자인을 변경해서 알아먹기 힘들게 만들면 픽토그램이라고 할 수 있나?
@Pppkppkppk
@Pppkppkppk 9 дней назад
​@@sibisi-ir5zj픽토그램이라고 못할 건 없지ㅋㅋ 종목들 프랑스어로 써놓으면 불어 모르는 사람들은 1도 구별 못 할텐데 그림이라 그건 아니잖슴ㅋㅋ 누구나 한눈에 딱 보고 알아채릴 수 있게 명확해야한다는 의미는 없으니께
@whdduqdl1234
@whdduqdl1234 9 дней назад
더이상 '픽토그램'이 아니라 대표하는 '상징'으로서 접근한거 같아요. 개인적으로 유럽 가문들의 문양처럼 느껴지고요.
@sibisi-ir5zj
@sibisi-ir5zj 9 дней назад
@@Pppkppkppk 올림픽인데 물론 영어로도 써놓겠죠... 외국 나가면 픽토그램 영어 다 잘 해놔도 헷갈리는데 굳이 길 잃은 관광객을 또 당황시킬 필요가 있을까..
@konz5308
@konz5308 8 дней назад
달라야한다 에 집착한 나머지 본질을 잃었음. 글자없이 간단한 그림만 딱 보고 의미전달이 되야하는건데....
@i-wanna-go-home
@i-wanna-go-home 7 дней назад
ㄹㅇ 한 2초 더 자세히 보고 이해한다고들 하는데 2초나 자세히 봐야하는 것부터가 개 구린 디자인이라는거임. 저런거 만들거면 전시작을 만들어야지 왜 픽토그램을 그리냐
@yejen1
@yejen1 3 дня назад
ㄹㅇ
@konz5308
@konz5308 8 дней назад
5:11 학생이 과제로 이렇게 해오면 응원해줄까? C줄것같은데..
@SayNoToChauvinism
@SayNoToChauvinism 7 дней назад
지방 이전 외치는 언론사들이 자기 본사는 서울 아니면 일산에 짓는 것과 같은 원리임 😢😮😅😂
@user-tz9ov9lh8z
@user-tz9ov9lh8z 4 дня назад
레알...대학 과제 였으면 알아보기 힘들다고 잘줘도 b- 일듯.... 그냥 파리가 하니까 빠는듯
@Hachinko
@Hachinko День назад
학교과제로 픽토그램 만들기 하는데 학생이 저지랄하면 백퍼 교수한테 한소리들음. 픽토그램의 의미를 퇴색시킨다고 뭐라뭐라 엄청 할께 벌써부터 보이는구만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torotro3959
@torotro3959 9 дней назад
교수님이 말한것처럼 지금까지 올림픽 픽토그램은 픽토그램으로써의 문법이 같다는데 그게 오히려 포인트라 생각합니다. 문자대신 그림으로 설명하기 위한게 픽토그램인데 그걸 대중들이 알아보지 못한다면 픽토그램의 목적 자체가 상실된, 잘못된 문법으로 쓰인 글과 같다고 봅니다. [나는 대한민국의 주권을 가진 국민입니다.] 를 [대한민국 나는 국민 주권을 가진입니다.] 라는 식으로 써둔것이랑 다를바 없다는겁니다. 주변에서 가장 흔하게 보이는 비상구 픽토그램은 누가봐도 문밖으로 나가는표시, 이곳으로 나갈수있다는 의미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고 만들어진 픽토그램입니다. 그리고 그게 픽토그램의 목적이구요. 외국인이여도 바로 인식할수 있게 그림으로 나타낸거니까요. 그리고 무엇보다 비치발리볼이나 펜싱은 유명하니 하나하나 저렇게 뜯어보면 무슨 의미인지 아는거지 브레이킹처럼 낯선종목은 아무리봐도 교수님 본인조차 이해가 안간다고 말하시네요. 산업/상업 디자인은 사용자를 위해 만드는거지 디자이너의 예술성을 뽐내라고 만드는게 아닙니다. 본인의 예술성 자랑할거면 미술품이나 그림을 그리면 됩니다.
@sun-rc6iv
@sun-rc6iv 9 дней назад
찬반 다 그럴 만하다 싶지만 님 댓글에 가장 공감이 갑니다. 특히 마지막 두 문장. -지나가던 디자이너
@AtallPepero
@AtallPepero 9 дней назад
나도 이 댓글에 제일 공감 함
@sibisi-ir5zj
@sibisi-ir5zj 9 дней назад
그러니까요. 저런 영감으로 그림그려서 갤러리에 출품하든지... 굉장히 실용적 목적을 가진 디자인인데
@sibisi-ir5zj
@sibisi-ir5zj 9 дней назад
픽토그램이 실용적 목적은 이제 없고 디자인, 상징적 목적만 남았다는 허튼소리 하고 열올리는 사람들이 댓글창에 있는데. 그러면 대체 비상구 표지판엔 왜 그림이 있을까요? Exit 비상구 글자나 크게 적으면 더 빨리 알아보지 않을까요? 응 아닙니다. 한국어 잘 하는 한국인에게도 딱 보면 알 수 있는 비상구 그림이 글과 같이 있는게 가장 나아요. 그림은 글의 보조 수단으로서 아주 훌륭하고 더 빠르고 직관적인 이해를 가능하게 합니다. 그래서 인천공항 등 사방에 붙어있는 대부분의 픽토그램도 직관적으로 빨리 이해되게 되어 있습니다. 그렇지 못한 경우는 뉴스나고 욕먹을 정도죠. 이걸 부정하려거든, 화장실 표지를 생각해보세요. 글자만 있는 경우보다 간단한 그림기호가 글과 같이 있을 때 이게 남자화장실인지 여자화장실인지 가장 빠르게 인식됩니다. 그림으로 이것이 무엇인지 판단한 뒤 글을 읽어 그 판단이 맞음을 확인하는게 가장 빠릅니다. 그리고 복잡하게 남자와 여자를 묘사한 잘 그린 그림 같은건 남녀 화장실 앞에 걸어놓아 구분하기엔 별 도움이 안 됩니다. 솔직히 심미적으로도 그게 오히려 깔끔하고 미니멀한데다 목적에도 적합한 아름다운 디자인이라 봅니다. 저 기하학적이고 기계적이고 비인간적인 디자인은 솔직히 내 미감으로는 올림픽에 사용할 상징으론 추할 정도입니다. 누가 썼듯이 스포츠 용품점 간판에 들어가면 딱입니다.
@yueyumyum7827
@yueyumyum7827 9 дней назад
개최국 입장에서는 자국 올림픽이 기억되고 싶다면 그렇게 만드는게 당연한거 아닌가. 비인기종목들은 중계조차 안해주는 나라 사람들이 할 말은 아닌듯
@Jay..o_o
@Jay..o_o 9 дней назад
변화와 시도는 좋지만 애초에 뭔 종목인지 바로 알아보는 게 목적인데 설명을 듣고 알아야 하면 그건 좀 문제가 있는 거 아닌가.. 브레이킹 같이 사람 동작이 필요할 때는 좀 넣지 너무 디자인적 관점에만 치우친 거 같은데.. 오묘하구만. 좋게 보자면 좋은데 안 좋게 보자면 또 한 없이 안 좋게 보이네 ㅋㅋ 픽토그램이란 게 이게 맞나 ㅋ 그나저나 올림픽이 올해 하는 구나.. 내년이나 내후년에 하는 줄 알았네
@user-xh7si6qx8o
@user-xh7si6qx8o 9 дней назад
누군가는 디자인안하고 예술한다고 욕하고 누구는 디자인적인거에만 신경썼다고 욕하고ㅋㅋ
@HID17Riel
@HID17Riel 8 дней назад
일본이 픽토그램 하나는 예술이었지 ㅋㅋㅋ
@user-op3om1zx2b
@user-op3om1zx2b 9 дней назад
픽토그램을 “문자”로 보느냐 “예술” 로 보느냐의 차이인 듯. 근데 전 세계인들이 언어의 차이 없이 이해할 수 있게 만들어진 것을 감안한다면 픽토그램은 예술보단 문자에 더 가까워야 한다고 본다. 그런 의미에서 최악으로 보임.
@dpamw
@dpamw 9 дней назад
올림픽 종목 심벌과 비상구 픽토그램을 기능적으로 동치시킬 수 있을까요? 올림픽 종목 심벌은 픽토그램의 형태를 차용한 매 올림픽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구성 요소일 뿐인 것은 아닐까요? "픽토그램"으로 사용되는 픽토그램은 분명 문자로서 명확한 소통의 도구가 되어야 하지만, 픽토그램의 형태를 띤 그래픽 요소 또한 같은 정도의 직관성을 가져야만 하는 것일까요?
@user-wt2if1mp5e
@user-wt2if1mp5e 6 дней назад
홍대는 걸러야겠네 ㅋㅋㅋㅋ 전형적인 예술병에 취해서 자기만 특별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임
@user-dv7jb1qc2z
@user-dv7jb1qc2z 9 дней назад
전세계 문맹률은 매우 높다. 글을 아는 사람은 일부에 해당할정도. 모든 올림픽 대중들이 일반 상식을 가졌다고 보면 안되고 정보력에서 비상식적으로 눈높이를 낮춰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이 픽토그램은 잘난 디자이너가 배려없이 혼자 잘난척한거 밖에 안보인다
@user-mw8pm2fi4p
@user-mw8pm2fi4p 8 дней назад
정말 정확합니다! 지, 잘난 예술이 자기만의 예술로 오졋다리! ㅉ..ㅉ..!
@user-wt2if1mp5e
@user-wt2if1mp5e 6 дней назад
홍대는 걸러야겠네 ㅋㅋㅋㅋ 전형적인 예술병에 취해서 자기만 특별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임
@user-pr5rk5zl6r
@user-pr5rk5zl6r 9 дней назад
3:50 이번 서핑 경기는 프랑스 파리가 아닌 폴리네시아의 타히티에서 치뤄집니다. 이 서핑 마크는 폴리네시아 지역에 자생하는 "티아레 꽃", 또는 플루메리아를 형상화한거 같네요
@dktldtlago
@dktldtlago 9 дней назад
홍콩
@user-mj1ll6jw6p
@user-mj1ll6jw6p 9 дней назад
에버랜드 로고같음 ㅋㅋ
@TheNewYorkStockExchange
@TheNewYorkStockExchange 9 дней назад
홍콩도 그쪽에서 자생하는 꽃을 형상화 한거죠.
@jjlee5629
@jjlee5629 9 дней назад
교수가 하나만 알고 아는만큼만 말했네 ㅋㅋ
@youjinchoi1115
@youjinchoi1115 8 дней назад
@@jjlee5629 아는 것보다 더 말하지 않았으면 문제없지 싶음.
@davidpark3602
@davidpark3602 9 дней назад
이번 픽토그램은 정보 전달에서 좀 무뚝뚝한 면이 있는것같음. 공이나 라켓, 보호장비같은 장비적인 부분만 형태로 드러나고, 행동적인것들은 너무 최소화시켰음. 예컨대 태권도는 장비만 있는게 아니라 발차기라는 다른 종목과 확연히 다른 상징성있는 행동이 있는데, 이를 죽여버리니 태권도 픽토그램은 그냥 봐선 격투기인지 뭔지도 모르겠음. 시도는 좋지만 너무 틀에 얽매였던건 아닐까?
@sibisi-ir5zj
@sibisi-ir5zj 9 дней назад
인간이 중심이 되어야 하는데 인간은 없고 경기장과 도구가 중심임. 인간이 취하는 동작이 중요한거고... 그게 스포츠의 핵심이고 감동을 주고 감탄하는 요소인데 말이야. 그래서 도쿄 개막식 픽토그램 쇼가 좋았다고 봄.
@user-gz2qc1fm5b
@user-gz2qc1fm5b 8 дней назад
태권도엔 별다른 도구가 없긴 해..
@sibisi-ir5zj
@sibisi-ir5zj 8 дней назад
@@user-gz2qc1fm5b 호구 있어서 그거 넣음
@Lilpaaaaaaaaaaa
@Lilpaaaaaaaaaaa 8 дней назад
정보 전달에 무뚝뚝 하다는 점에서 파리 만의 특색을 살린거 같아 추가점수를 주고 싶네요 ㅇㅇ;;
@Game-Gom
@Game-Gom 7 дней назад
무뚝뚝 ㅋㅋㅋ 결국 "불친절"이죠.. 불친절한 디자인
@Game-Gom
@Game-Gom 7 дней назад
ㅋㅋㅋ 디자인에 설명이 필요하면 그건 더이상 디자인이 아닙니다.. 텍스트죠.. 대중이 딱 보고 이해못하는 순간 "디자인"이 잘못된겁니다. 디자인은 Arty할순 있어도 Art 그 자체가 되어선 안됩니다.
@dydyuu32
@dydyuu32 9 дней назад
전 세계 대중들이 시청하는 올림픽에 극소수의 사람들만 알아보게 만들면 무슨 의미가 있냐 ㅋㅋㅋㅋㅋ
@MaplestoryMarksman
@MaplestoryMarksman 9 дней назад
반지성주의 ㅋㅋ 가서 드라마나봐 ㅋㅋ
@duckdol9237
@duckdol9237 9 дней назад
극소수까지는 아닌 거 같아요
@user-bv4gt1vk2k
@user-bv4gt1vk2k 9 дней назад
​@@MaplestoryMarksman반지성주의라고요...? 이게?
@Mayo_0823
@Mayo_0823 9 дней назад
​@@MaplestoryMarksman어디서 또 그럴듯한말 듣고와서 그냥
@sibisi-ir5zj
@sibisi-ir5zj 9 дней назад
​@@MaplestoryMarksman 반지성주의는 니 대뇌가 반지성이고
@Memento_hominem
@Memento_hominem 9 дней назад
애초에 글을 모르는 사람이나 외국인을 위해 만드는게 픽토그램인데 이렇게 만들면 가장 기본적인 의미가 없어지는게 아닌가?
@_a_b_c
@_a_b_c 7 дней назад
글을 모르면 올림픽 볼 시간에 공부나 좀 쳐 하라는 큰 의미
@Kiho_TV
@Kiho_TV 7 дней назад
문자를 사용하지 않고 이해가 잘 되어야하는데 저 교수는 그래서 설명을 덧붙였으면 좋았을거다 이런 쌉소리하고 앉아있네요.ㅋㅋ
@bae8963
@bae8963 5 дней назад
​@@_a_b_c일단 너는 공부가 필요해 보인다 ㅇㅇ;
@watashiwa_user
@watashiwa_user 9 дней назад
3:54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저 물결 모양을 x자로 배치하면 나치 문양이랑 비슷해질 우려가 있어서 저렇게 한게 아닐까 싶습니다.
@lilllllllllllllll
@lilllllllllllllll 8 дней назад
왼쪽 상단 위에 카누 슬라럼처럼 서핑보드 하나만 넣었어도 좋을 것 같네요 .. ㅋㅋ
@dkcomet0
@dkcomet0 7 дней назад
그럼 반대 방향으로 하면 되지 않나요?
@bluetran1
@bluetran1 7 дней назад
@@dkcomet0서양인들은 반대 방향으로 해도 분간 못합니다. 만자 보고 하켄크로이츠 떠올리는 마찬가지라서요. 사실 한국사람들도 방향 모르는 사람이 많을듯
@luka7058
@luka7058 6 дней назад
​@@bluetran1그야 동서양 막론하고 꺾인 십자가 잘만쓰고 있었는데 나치가 악용한 거
@jagdishsama4085
@jagdishsama4085 2 дня назад
이정도도 생각못하는데 교수가 준비를 덜한거 같음
@user-hw7gp5qm5x
@user-hw7gp5qm5x 9 дней назад
딱 예술가들은 이해하나 일반 대중은 이해못하는 그들만의 그라운드의 현대예술같음
@MaplestoryMarksman
@MaplestoryMarksman 9 дней назад
그럼 이제 배워 ㅇㅇ
@user-1kljsh28l9
@user-1kljsh28l9 9 дней назад
​@@MaplestoryMarksman 뭐하러??
@MaplestoryMarksman
@MaplestoryMarksman 9 дней назад
@@user-1kljsh28l9 그럼 그대로 살아 ㅎㅎ
@bonheur4851
@bonheur4851 9 дней назад
예술종사자도 아닌데 왜 배워야돼 ㅋㅋㅋ 쟤들이 대중들 이해시켜야지
@user-xh7si6qx8o
@user-xh7si6qx8o 9 дней назад
​@@bonheur4851 그러니깐 너가 수준이 그모양인거ㅋㅋㅋ
@user-wp1uw8fv6y
@user-wp1uw8fv6y 9 дней назад
관중들은 올림픽 경기를 볼 때 선수의 '육체적 움직임'에 초점을 두지 선수의 도구, 장비나 경기장 배경 등은 그닥 관심이 없습니다. 역대 올림픽이 '사람'을 묘사하는 그림으로 통일성을 고수한 데에는 다 이유가 있습니다. 파리 올림픽의 픽토그램은 올림픽 경기장보다는 해당 종목의 장비를 판매하는 가게에 더 어울려 보입니다.
@sibisi-ir5zj
@sibisi-ir5zj 9 дней назад
솔직히 올림픽 정신에 반하는 디자인임.
@75grosso
@75grosso 9 дней назад
좀 비슷한 의견인데 특정 종목을 묘사 하는데 에는 어느정도 기능 하는지 몰라도 선수가 참여해서 실행하는 시합 이라는 느낌이 부족 합니다 올림픽은 시합을 보러가는 건데요
@haruno0821
@haruno0821 3 дня назад
장비 등은 관심이 없다는 말이 굉장히 와닿네요
@6511abcd
@6511abcd 9 дней назад
아무리 새로움을 추구하더라도 기본을 놓치면 말짱 꽝이지 ㅋㅋ 화장실에서 새로움을 추구한다고 좌변기를 쓰기 어렵게 만드면 아름다운 쓰레기 밖에 더되나 ㅋㅋ
@aDhVanz
@aDhVanz 9 дней назад
오히려 화장실은 직관적인 화변기가 대세였던 시대에 앉을 수 있는 좌변기를 도입하기 시작한 게 새로운 변화죠. 만약 그당시 사람들이 "자고로 변기는 화변기가 직관적이고 용변에 수월하다"라고 주장하며 도입을 반대했다면 어땠을까요? 급진적 변화는 항상 거부하는 사람이 있기 마련입니다. 하지만 변화에 대해 직접 경험하고 수용하다보면 그 가치가 무엇인지 알게되면서 정확한 판단을 할 수 있게 되는거죠.
@6511abcd
@6511abcd 9 дней назад
@@aDhVanz 화변기를 대체해서 좌변기를 도입했을때 대중의 호응이 있으니까 이 경우엔 성공적인 변화맞고요. 제 얘기는 근본을 잊은 디자인이 무슨 효용이 있겠냐는 거에요. 픽토그램이 무슨 미술품도 아닌데 말이죠. 한마디로 배꼽이 배를 삼켰다는 얘기입니다.
@user-kp4li3pn6b
@user-kp4li3pn6b 9 дней назад
​@@aDhVanz 픽토그램의 기본 가치를 훼손한 시도라는건 이미 명백한데 이게 단순히 진보적인 시도라고 할것같으면 2륜차를 만들어서 도로에 내보내보겠다고하는거랑 다를바 없는 주장임. 그건 오토바이라는 다른 분류가 있는데 굳이 왜 차에서 시도해서 사고를 내야되는건데 전제되는 장르의 형식은 지켜야지 형식이랑 클리세를 구분 못하면 항상 이런일이 생김
@user-xh7si6qx8o
@user-xh7si6qx8o 9 дней назад
진짜 그놈의 근본 기본ㅋㅋ 근본 기본은 느그들 할매할배때에 찾으셔요ㅠㅠ
@bishin1224
@bishin1224 9 дней назад
​@@user-xh7si6qx8o그런데, 픽토그램은 누구나 한번에 잘 알아보게 만드는게 목적인데 이걸 훼손시켜버렸으니 저런 반응이 나와도 할 말이 없음... 디자인은 목적이나 성능 다음에 고려해하지 본분을 잊은 디자인은 쓰레기 맞음 ㅇㅇ
@user-lx1wd3uv7e
@user-lx1wd3uv7e 8 дней назад
올림픽 정신에서 제일 중요한 건 인간 아닌가요...? 그런데 인간이 없는 상징이라니...
@user-im1mx4fw4c
@user-im1mx4fw4c 5 дней назад
근데 장애인올림픽에도 적용될 수 있을거 같아서 좋은거 같아요..
@user-eg5uk9ez7c
@user-eg5uk9ez7c 5 дней назад
⁠@@user-im1mx4fw4c애초에 패럴림픽 전용 픽토그램도 있습니다….
@_moonoom_
@_moonoom_ 7 дней назад
재난상황일때도 이상한 픽토그램 2초정도 생각하고 비상구인가 확인하세요
@jwmsg_hacker
@jwmsg_hacker 9 дней назад
픽토그램의 목적 자체가 쉽게 알아볼 수 있는 심볼인데 못알아보는 순간부터 픽토그램이 아닌거지 ㅋㅋㅋㅋㅋㅋㅋ 그냥 아이콘일 뿐이지....
@user-mw8pm2fi4p
@user-mw8pm2fi4p 8 дней назад
정말, 프랑스에 박수를!
@user-hu4pl9bb9h
@user-hu4pl9bb9h 8 дней назад
결론은 '지 혼자 튀고싶다'인거네. 픽토그램이 디자인적으로 그렇게 혁신을 해야될 카테고리인가? 흠...
@sgm117
@sgm117 9 дней назад
똑같아서 정보전달력을 없애고 내가 이쁘면 된다는 교수님 대단하네
@user-mw8pm2fi4p
@user-mw8pm2fi4p 8 дней назад
나만 잘나면 모든게 끝!
@astonajy
@astonajy 8 дней назад
일반인을 위한 픽토그램이 아니라 자기 만족을 위한 픽토그램을 만든거네
@kimminung1806
@kimminung1806 9 дней назад
서핑은 나치짤 생성될게 분명해 보이고 ㅋ.. 태권도는 저게 뭐죠 ㅠㅠㅋㅋ
@luka7058
@luka7058 6 дней назад
둠가이인줄
@makerchallenging3405
@makerchallenging3405 9 дней назад
솔직히 서핑은 할거면 보드랑 파도가 수평이었으면 이해할만 했을듯
@JW-7
@JW-7 9 дней назад
이걸 프랑스같은 예술로 이름높은 나라가 해서 디자이너들이 기를 쓰고 재평가 하는 것이지... 중국같은 나라에서 했으면 개같이 까였을 것임. 64년 도쿄올림픽에서 본격적으로 쓰인 픽토그램. 비서구권 국가에서 열리는 올림픽이라서 영어가 안 통해도 그림만 보고도 알 수 있게 만든 것이 픽토그램이거늘..ㅉㅉㅉ
@siehrjdoow
@siehrjdoow 9 дней назад
배드민턴이나 펜싱 정도는 예쁘고 이해도 쉬운데, 중세 문양처럼 하려는거 때문에 x자로 대칭되는게 대부분 복잡해 보여요.. 가독성보다는 예쁘게, 예술작품 작가의도 파악하듯 보는 걸 추구한 시도는 좋은데 친절하진 않아요… 나 잘하지? 우린 다르지? 이런 느낌..
@selemose
@selemose 7 дней назад
0:45 그렇게 똑같은걸 계속 반복해야 합니다 픽토그램의 목적은 문자를 모르더라도 직관적인 기호를 통해 모든 사람들이 같은 종류의 정보를 얻을 수 있게 하는 것인데 교수란 작자가 저딴소리나 하고 있으니..
@sunnay3427
@sunnay3427 5 дней назад
비상구 앞에서 2초 정도는 미적인 해석을 하고 피하라는 이야기네요...
@jun31230
@jun31230 8 дней назад
좋은 디자인은 직관적이고 알기쉬운 디자인이다
@71jq
@71jq 9 дней назад
처음꺼 보고 홍콩인줄
@hjkorea6463
@hjkorea6463 9 дней назад
ㅋㅋㅋ 나만 그런게 아니었군
@Bluetooth_we
@Bluetooth_we 9 дней назад
변화를 하면 안될까? 라는 생각도 좋지만 어떤것은 왜 바꾸지 않을까? 라는 생각도 해보면 좋지 않을까요?
@Ensemblestars_go
@Ensemblestars_go 3 дня назад
사전에 픽토그램 정의만 찾아봐도 “사물, 시설, 행태, 개념 등을 *일반 대중들이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상징적인 그림으로 나타낸* 일종의 그림문자”라고 나오는데… 저건 픽토그램의 의미를 상실한거 아님?
@redcoke02
@redcoke02 9 дней назад
이번 픽토그램이 공개되고 이렇게 이야기되는거 만으로도 어그로성이랑 인식은 확실히 됨
@cyironman
@cyironman 19 часов назад
픽토그램은 어그로 끌고 유명해진다고 좋은 게 아님 ㅋㅋㅋ.. 오히려 그 반대여야지
@user-sd6dc9go8x
@user-sd6dc9go8x 9 дней назад
누가봐도 알아보기 쉬워야지 설명을 들어야 알게되는 기호는 망한 기호 아닌가
@user-dh7mk2vr1u
@user-dh7mk2vr1u 9 дней назад
남녀노소 모두 구분하기 쉬운 디자인이 올림픽 취지에 맞지 않을까요?
@ann_yo00
@ann_yo00 7 дней назад
무엇을 나타내는건지 한눈에 알아보가 힘들면 더이상 픽토그램이 아니죠. 정보를 문자가 없이도 한눈에 알아보게 만든게 픽토그램인데요. 디자인이 개성있고 틀에서 벗어났다고 창찬받을수 있는건 아니지않나요?
@g1j680
@g1j680 8 дней назад
1초안에 무슨 종목인지 모르겠으면 나쁜 디자인 맞음.. 영어쓰던 사람이 그동안 쓰던 영어 지겹다고 갑자기 베트남어 하지는 않음..
@ACE49490
@ACE49490 9 дней назад
개최국이 하고싶으면 해야지뭐ㅋㅋ 대중도 욕하고싶으면 하는거고 각자 하고싶은거하자고 그게 예술아니냐
@user-go4ph5ny4s
@user-go4ph5ny4s 9 дней назад
픽토그램의 주목적은 시인성이지 예술성이 아니죠
@pooln
@pooln 9 дней назад
그니까 왜 스포츠에서 그걸 찾는지....
@odh1138
@odh1138 9 дней назад
직관성은 내다버리고 예술만 챙기니까 비판하는거지
@applesad3036
@applesad3036 8 дней назад
힘있는 사람이 때리면 맞아야지 뭐 ㅋㅋ 이사를 가든가 ㅋㅋ 주민들도 살고 싶으면 사는거고 허고 싶은거 하면서 살아야지 그게 공동체 아니냐
@user-ys5fo7pj5s
@user-ys5fo7pj5s 9 дней назад
교수님이 잘된 디자인이라 예시 들어준 종목들도 별로인거 같아, 막눈인 제가 두렵네요
@user-rr5qd6cy3h
@user-rr5qd6cy3h 9 дней назад
본인 눈에 이쁘면 그게 잘된 디자인인거지 사실 디자이너도 쩐주 맘에만 들면 오케이라..
@zero-arcprovince2324
@zero-arcprovince2324 9 дней назад
두려울 건 없죠. 정답이 존재한다는 것 자체가 이미 예술이 아닐 테니..
@odh1138
@odh1138 9 дней назад
교수가 픽토그램이 뭔지 몰라서 그런듯 싶네요
@wlstnrn
@wlstnrn 9 дней назад
교수가 픽토그램을 모르는듯
@moreover0528
@moreover0528 8 дней назад
윗댓들아 교수가 픽토그램을 모르겠냐 ㅋㅋ 다른 대학교도 아니고 홍대 시디과 교수면 저런 건 질리도록 본 사람인데 그냥 사람마다 미감이 달라서 별로라고 생각할 수도 있죠 두려울 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W.O_O.K
@W.O_O.K 8 дней назад
요즘엔 뭐 디자인이라면서 가독성이 개판이거나 편의성이 개판인 경우가 허다한듯 그러면서 매번 붙이는 내용이 미래적인 혁신적인 미래지향적인 이라고 홍보함 그러면서 일반인들이 그냥 받아들여라 마인드임 이게 디자인이다면서
@ringingbl00m
@ringingbl00m 8 дней назад
ㄹㅇ.. 그건 그냥 현대예술이지 디자인이 아님
@user-cc8dh2rw1u
@user-cc8dh2rw1u 7 дней назад
3:45 브레이킹 문양은 동그란 레코드판(디제이 머신) 위에서 춤을 추는 댄서들을 신발로 표현한 것 같아요
@user-Id82dja29
@user-Id82dja29 9 дней назад
댓글 반응 보고 얼마나 이상하게 꼬아놓았나 생각했는데 그렇게까지는 아닌 거 같은데.. 내가 막눈인가? ㅋㅋ
@one_owl1
@one_owl1 9 дней назад
그러니까..
@whitedog1972
@whitedog1972 9 дней назад
댓글들 보면 무슨 현대미술 해놓은줄 알겠네 ㅋㅋㅋ
@Koarzt
@Koarzt 9 дней назад
알아보기 괜찮은 것들도 많긴 한데 몇 개 알아보기 힘든 것들이 좀 그런듯. '픽토그램'으로 나온 것들인데 아무리 봐도 뭔지도 모르겠는게 존재하는게 말이 되냐는 것인듯.
@hyungsubeom9448
@hyungsubeom9448 7 дней назад
저두여~ 브레이크 댄스야 첨 이니까 그렇다 쳐도 딴건 딱 보면 다 알아 보겠는데~
@kimruben1491
@kimruben1491 День назад
그냥 다들 전문가인척 하고 싶은거 😂 😂
@2lop23
@2lop23 7 дней назад
새로움을 위해서 그 물건의 의의를 없앤다? 이게 바닥 뚤린 가방이랑 다른게 뭐야? 너넨 모든 가방에 바닥이 있으니 바닥 없이 가방을 만들거냐?
@dkrkflEh
@dkrkflEh 6 дней назад
장난하냐 교수는 저걸 말이라고 하는건가 심볼의 역할이 뭔지 모름?
@cusv
@cusv 6 дней назад
그 역할이 과거에 비해 달라져 오고 있는 것은 사실이기에 더 다양한 사고가 필요한 것입니다.
@dkrkflEh
@dkrkflEh 6 дней назад
@@cusv 화장실 남녀표시도 ㅈ대로 바꿔 그면
@cusv
@cusv 6 дней назад
@@dkrkflEh 그건 오직 픽토그램만으로 남녀화장실을 구분하는 것에 목표가 있습니다. 멍청한 소리 하지마세요...
@dkrkflEh
@dkrkflEh 5 дней назад
@@cusv 픽토그램 : 사물이나 시설, 사회적인 행위나 개념 따위를 누구나 쉽게 알아볼 수 있게 단순화하여 나타낸 그림 문자 댕청댕청
@cusv
@cusv 5 дней назад
@@dkrkflEh 이미 알 대로 아는 올림픽 픽토그램에 볼링이나 축구처럼 스포츠명이 같이 중계화면에 나오기에 픽토그램의 본질적 역할의 비중이 낮고 그렇기에 바로 알 수 있는 픽토그램보다 오히려 '엥 이게 뭔 종목일까'가 더 사람들의 이목을 집중시키려는 시도의 콘텐츠의 요소이자 비쥬얼라이징, 올림픽 브랜딩의 일부인 점에서 남녀를 확실히 구별하는 것을 가장 큰 목표이자 거의 유일한 목표로 둔 화장실 픽토그램의 본질적 역할과는 차이가 있다는 점인데 그 말을 이렇게 지 듣고 싶은 대로만 듣고 있으니...ㅋㅋ 멍청한 사람은 끝없이 멍청하다... 어지간하면 짧게 밖에 사고가 안되는 수준으로 댓글 남기지 마시고 폭 넓게 생각하시길 바라요. 좋은 하루 보내세요~
@moonjoo8411
@moonjoo8411 5 дней назад
까막눈도 알아 보게 만드는 게 목적인게 이건 뭐
@Lekan-sr1tf
@Lekan-sr1tf 9 дней назад
태권도에 사람 외에는 경기장이 잘 표현되어 있네요. 겉의 사각형 경기장 틀과 내부의 실제 경기장 라인을 팔각으로요. 그래도 배구나 비치발리볼 처럼 선 하나를 뒤집어서 대칭이 되게 디자인 했으면 호구나 경기장을 더 잘 표현했을것 같네요. 지금은 교수님이 말씀하신것처럼 상하좌우 모든게 대칭되게 만들다보니 좁은 삼각의 구역에 어거지로 호구를 넣다보니 알아차리가 힘든것 같습니다.
@neorewind8328
@neorewind8328 8 дней назад
일반대중에게는 당황스러울수 있다ㅋㅋㅋㅋㅋㅋ 교수라고 참...
@pyunghwa
@pyunghwa 8 дней назад
스큐어모피즘에서 플랫 디자인으로 트렌드가 바뀌던 초반에도 지금처럼 뭔지 모르겠다 성토하고 거부감 느끼던 분위기였던거 같네요ㅎㅎ 대중들은 익숙한걸 좋아하고 그걸 벗어난 그 이상의 혁신은 거부하는게 정상입니다. 극적인 변화를 추구하고 욕 안먹은 사례는 없었던거 같네요. 시간이 지나서 지금 스큐어모피즘 디자인을 보면 촌스럽다고 느끼듯이 저게 앞으로 새로운 트렌드가 될지 아니면 욕만 먹다 사장될지 지금 시점에서 알 순 없겠지만, 저는 제 취향을 떠나서 일단 저런 시도를 했고 그게 수많은 의사결정 과정을 전부 통과/승인되서 최종 결과물까지 나왔다는 진보적인 그 가치에는 정말 높은 점수를 주고 싶네요. 아, 그리고 브레이킹은 아무래도 회전하는 기술들이 많고 스니커즈가 다른 스포츠의 장비 수준으로 상징적인 요소다보니 저렇게 표현한게 아닌가 합니다ㅎㅎ 그런 배경을 알면 납득이 되는데 그런 문화나 기술을 모르면 뭥미 싶을거 같긴 해요.
@user-ke3vj5ij6z
@user-ke3vj5ij6z 8 дней назад
플랫이 너무 가서 메터리얼로 왔죠. 중간 지점을 잘 찾아야 겠어요
@user-vg4or1zz2l
@user-vg4or1zz2l 9 дней назад
동작이 아닌 도구나 운동 환경에 초점을 둔거 같아서 전 좋아요. 모양도 이쁘고, 다만 서핑이나 브레이킹 처럼 도구가 명확히 안보이는 것들이 구분이 좀 힘들 수 있을거 같네요. 저는 이런 시도 너무 좋은거 같아요.
@user-tq5ob4zn5j
@user-tq5ob4zn5j 8 дней назад
60년동안 남들이 안했으면 안한 이유가 있는겁니다. 당신도 저거 파리올림픽 픽토라고 말 안해줬으면 가시성 없다고 깠을거잖아요?
@jjlee5629
@jjlee5629 9 дней назад
확실한 것은 픽토그램에서 알 수 있듯이 태권도가 세계적으로 비인기 종목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youngbe2965
@youngbe2965 8 дней назад
픽토그램의 목적이 문자를 모르더라도 직관적인 기호를 통해 이해할 수 있게 하는 것일 텐데..
@c.h.7875
@c.h.7875 6 дней назад
이렇게 하면, '혼자 예술하나-?!'라는 소리가 나올 수 밖에 없음. 비주얼적 아름다움, 새로운 시도에는 점수를 주지만, 대중의 반응이 괜히 이렇게 나오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 - 해당 픽토그램의 타깃 혹은 주소비자는 디자인과 교수 및 학부생이 아닌 일반 대중. - 도쿄 올림픽 픽토그램들만 봐도 매우 직관적이어서, 보는 즉시 의미 파악이 가능. 그러나 이번 파리 올림픽 픽토그램은 '해석'의 시간이 필요. 정답 맞추기 느낌. - 의미적으로 각 스포츠의 특징을 잘 살렸는지 의문. 워스트의 예로 들어준, 태권도 픽토그램만 봐도... 운동 = 액션 보다 운동 장비/시설에 초점이 맞춰져 있음. 태권도를 함에 있어서, 장비/시설은 부차적인 요소이고, 팔 다리의 액션이 메인이라고 생각하는데, 해당 디자인은 전반적으로 심미적인 부분, 차별화에 더 많은 비중을 둔 느낌. 개인적으로.. 재밌기는 한데, 너무 어려워 보입니다
@juhakim212
@juhakim212 9 дней назад
프랑스가 프랑스했다
@TAPIgom
@TAPIgom 9 дней назад
어줍잖게 새로운 시도랍시고 중세 문장 형식 갖다쓰다가 픽토그램이라는 한계에 부딫혀서 조진 작업물로밖에 안보임
@hycast6921
@hycast6921 8 дней назад
걍 내가 고상한 디자인을 내놨으니 니들이 알아서 이해해 >>미친거지
@Ross-xy6ie
@Ross-xy6ie 8 дней назад
예술이 자기들만의 리그가 되는 이유를 보여주는 구만...
@user-do6jg1bu4m
@user-do6jg1bu4m 9 дней назад
이렇게 전문가 의견과 같이 보니 저는 재밌었어요😊
@ajfnaidf
@ajfnaidf 5 дней назад
걍 예술병이지 뭔 ㅋㅋㅋㅋㅋ 애초에 딱보고 알수있어야하는데 못알아보면 그게 의미가있음? 화장실표시로 고무신 두개 두고 욕 존나먹었던 카페인지 어딘지 반응보면 모르나 불편함이 없이 새로워야 되는거지 뭔 흐물텅흐물텅보여주면 그게 뭐냐
@user-lm4ow5yc6l
@user-lm4ow5yc6l 7 дней назад
이전꺼는 보면 바로 "그거구나" 하고 바로 알수있었고, 이번 파리꺼는 가만히 앉아서 자세히 봐야 "그건가...? 아닌...가?" 하는 느낌? 예전에 성차별 표현 없앤다면서 화장실 픽토그램 변경한 사건 있었는데 그때 기사에 나온 내용 중에 “공공디자인 관점에서 실패한 픽토그램 맞다. 픽토그램을 쓰는 이유는 무엇보다 첫째로 인지성, 즉 쉽게 이해할 수 있느냐인데 거기서부터 실패했다.” 공공디자인학회 회장을 맡고 있는 최성호 한양사이버대 디자인학부 교수의 말이다. (경향신문 _ 성차별 표현 없어진 화장실?) 저것도 아마 교수님이 '시각디자인과' 교수님이라서 응원하시는 느낌? 대중성보단 예술성?을 생각해서 말씀하시는거 같지만, 올림픽에서 중요한건 경기와 선수들이지, 왠 디자이너의 예술을 뽐내는 일은 아닌거 같은데...
@user-it6hu7zg6i
@user-it6hu7zg6i 7 дней назад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일반인들도 다 쉽게 알아볼 수 있게 만들어야하는게 픽토그램인데, 그 의미가 퇴색된거면, 이미 가치가 상실된 그림 쪼가리인데...ㅡㅡ 교수님, 교수님 학부생이 픽토그램 저따위로 만들어오면 A+ 주실 수 있어요?
@syj1844
@syj1844 8 дней назад
정보의 전달이 아니라 본인들의 예술을 하고 싶었단 느낌
@melongmelonglee4688
@melongmelonglee4688 8 дней назад
픽토그램의 본질을 놓침
@holololllololl
@holololllololl 9 дней назад
파리 올림픽 픽토그램은 어떤 운동인지 모르면 알아볼수가 없음 어떤 운동인지 몰라도 픽토그램을 보면 대충 이런 동작이 있구나를 파악하는데 이번거는 좀 파악하기 힘든듯
@jihun100
@jihun100 7 дней назад
00:45 똑같지는 않아도 됩니다. 그대신 가독성은 있어야 합니다.
@user-vk1wy2fz4r
@user-vk1wy2fz4r 9 дней назад
새로운 방향성이든말든 못 알아보면 픽토그램으로서의 쓸모가 없는 거 아님?
@user-kn6dj4gc6i
@user-kn6dj4gc6i 8 дней назад
이러다가 경고 표지판도 개성있게 디자인 되겠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
@MIME_CARAT
@MIME_CARAT 8 дней назад
픽토그램의 목적에 과연 알맞은가 싶음 소수만 이해하는 거면 존재의 이유가 있을까 함
@qudcjf1213
@qudcjf1213 8 дней назад
알아보기 힘든 표시는 그자체가 실패 사람이 없는 길거리 도구 판매상이나 쓸만한 그림
@Yanimee
@Yanimee 9 дней назад
0:11 Free Hongkong.. 🇭🇰
@managarmr2022
@managarmr2022 9 дней назад
파리 올림픽 얘기만 나오면 자꾸 센강 아래 생각남 ㅋㅋㅋ
@qwe1570
@qwe1570 5 дней назад
현직 디자이너입니다. 픽토그램의 발상과 저의가 뭔데요 교수님ㅋㅋㅋ 웃고 갑니다 늘상 먹는 밥을 60년간 밥먹었으니 앞으로 밥 말고 떡을 먹는것에 대단한 시도다 이런식으로 말하는거랑 뭐가달라ㅋㅋㅋㅋㅋㅋㅋ
@user-st5mc8is7p
@user-st5mc8is7p 7 дней назад
시청자 입장은 생각안한 공급자 중심의 소통이기 때문에 불쾌하게 느껴지는거죠. 군대에서 문장으로 쓰이는 이유가 뭘까요. 그만큼 배려가 없는것이죠. 역사와 전통을 유지하면서 그 안에서 창의를 발휘하는것이 순수예술과 디자인의 차이죠.
@ooo3-gb7qj
@ooo3-gb7qj 6 дней назад
지가 못 알아보면 '이건 좀 아닌거 같아요'... 일반인이 못 알아보면 '괜찮은거 같은데 왜 그러시죠?' 뭐하는 인간이래?
@maizzo1234
@maizzo1234 9 дней назад
구기종목은 웬만한 건 다 탈락했고, 축구도 어느 모자란 협회장의 독선으로 망했고... 이번 올림픽 대회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주목 못 받는 대회가 되지 싶다. 대부분 이 대회 픽토그램도 기억 못 할 듯? 안 봤으니까.
@BigBearMarket
@BigBearMarket 7 дней назад
정몽규 때문에 축구 졌네 아오 몽규시치
@seonghoonlee480
@seonghoonlee480 7 дней назад
05:27 난 이 약간의 2초 정도의 참을성을 갖고 봐야한다는 말에 공감은 안감... 애초에 픽토그램 발생이 0.2초 만에 본능적으로 알 수 있게 하고 글씨를 읽지 못해도 특정 의미를 알 수 있도록 하는 목적으로 만들어진 거고 그래서 제일 먼저 나온게 비상구 표시인데 ㅠㅠㅠㅠ 심지어 그게 얼마나 본능적이냐 하면 비상구 표시에 사람이 뛰어가는 위치는 실제론 비상구의 위치와 상관이 없음. 근데 위급상황에 사람들이 픽토그램에 사람이 뛰어가는 방향에 비상구가 있다고 생각해서 뛰어감. 즉 그림에서 왼쪽으로 사람이 뛰는걸 봤다면 그걸 본 사람은 왼쪽으로 뛰어가요. 그래서 비상구 반대로 뛰어서 죽은 사례도 생겨서 요즘은 화살표 표시를 해 주는 경우가 있죠. 아니면 그 픽토그램 방향을 실제 비상구 방향으로 만들어 놓을 수 있게 양쪽 방향을 다 만들어서 맞게 배치하기도 합니다.(물론 그렇다고 이걸 다 믿으면 안 됨. 픽토그램의 뛰는 방향을 법적 제정까진 안 한 것으로 알고 있음. 몇 년 됐으니 지금은 몰루??) 암튼 그렇게 본능적으로 알 수 있게 고안 된 게 픽토그램인데 그걸 포기하라뇨... 그냥 그래피티 아트가 된거잖아요... 물론 저 스포츠 경기를 바로 알 수 있게 할 필요는 없죠. 목숨이 문제가 되거나 혹은 화장실처럼 생리적인 문제에 관여한 건 아니니까요. 근데 저 스포츠를 처음 접하거나 애매하게 아는 사람들은 무슨 종목인지 알기도 어렵잖아요. 대표적인게 교수님께서 말씀하신 태권도잖아요 ㅋㅋㅋㅋ 전 저거 처음에 나왔을 때 사진으로 보고 태권도인지 생각도 못했어요 ㅋㅋㅋㅋ 우리나라 국기이자 내가 돈 내고 배운 적은 없지만 군대 갔다 오니 왠지 검은 띠가 된 대한민국 성인 남성 90프로가 검은 띠인 국가의 상징적 스포츠 태권도를 10분 동안 몰랐다고 ㅋㅋㅋㅋㅋㅋ 심지어 패럴림픽(장애인 분들 참가하는 올림픽) 종목 픽토그램도 따로 만든 것 같은데, 패럴림픽 육상 경기 픽토그램이 의족에 육상 트랙인거 글씨로 para atheltic이라고 쓰여 있는 거 읽고 알아봤어요. 글씨 읽기 전까지 하키인줄 알았어 ㅋㅋㅋㅋㅋㅋ 저게 의족일 거라고 생각도 못했네 ㅋㅋㅋㅋㅋ 심지어 일반 육상 경기 표시를 영상에서 먼저 보여줘서 그거로 유추했어요. '아 이건 para로 쓰여있으니까 장애인 경기이고, 육상 경기가 트랙 모양 주변에 신발 표시 두 개 였으니까 그러면 저건 신발 대신 의족이구나??' 하고ㅋㅋㅋㅋ 아니 펜싱처럼 휠체어만 그려 놓던가. 아 솔직히 휠체어도 영 아냐...전 저거 휠체어인지도 못 알아봤어요. 왜 가장 모양이 잘 드러나는 측면도 아니고 애매하게 사선 방향에서 본 거로 넣어 놔서 para 읽기 전까지 펜싱에 저런 장비가 있던가 하고 있었으니까요. 저거 전자 호구를 나타낸 건가 하고 한참 보고 있었다고... 결국은 모든 정보를 읽고 알아 봤다구요 ㅋㅋㅋㅋㅋ 글씨를 몰라도 알아봐야 하는데 읽고ㅋㅋㅋㅋ 이럴거면 그냥 픽토그램 없애버리는게 맞지 않나?? 영어로 정자로 써 놓으면 영어 읽을 줄 아는 관람객 90% 이상은 알아볼 수 있을 것 같은데 저 픽토그램은... ㅋㅋㅋㅋㅋ 그리고 디자인을 보라고 하시면서 예술 작품 감상하라는 듯 말씀하시는데 다빈치 코드처럼 예술 작품에 숨겨진 암호 찾는 거도 아니고ㅠㅠㅠㅠ 그리고 0:14 서핑 ㅋㅋㅋㅋ 홍콩 깃발 표시인줄 알았네 ㅋㅋㅋㅋㅋ
@user-be6zd9ge2x
@user-be6zd9ge2x 9 дней назад
이쁜데요~ 교수님 설명들으니 좋은 시도인거같다는 생각이 더 듭니다. 저도 태권도에서 아쉽네요. 다른 종목에 비해 금방 알아보기 힘들어요 ㅠ
@azzossi0831
@azzossi0831 8 дней назад
홍대병 걸려서 그렇지 뭐 전세계가 보는데 가독성 좋은게 최고다
@user-db5uw1jc7d
@user-db5uw1jc7d 9 дней назад
서핑 저걸 사각으로 하면 나치문양 비슷할거 같아서 오각으로 한듯
@IIIIyoungIIII
@IIIIyoungIIII 9 дней назад
편집 지렸다
@user-nb2rx6eq1m
@user-nb2rx6eq1m 8 дней назад
이전이랑 차별점을 두면 뭐하냐 대체ㅋㅋㅋㅋ전세계 사람들을 위한 축제인 올림픽 픽토그램을 지들만 알아보도록 만든거면 그건 특별한게 아니고 그냥 실패한거다.
@domagecom
@domagecom 9 дней назад
선진국에다가 예술로 방귀 좀 끼는 프랑스니까 간신히 납득하지 다른 나라가 시도하긴 얼토당토 않다고 봄..
@comehometo0815
@comehometo0815 5 дней назад
정보 과잉의 시대에 직관적인 그림도 일부러 어렵게 만들어서 공부하세욥. 생각하세욥. 이러는건 좀 문제 있어보인다. 예로 비상구 픽토그램은 생각하지도 않고 딱 보고 바로 누구나 비상구임을 알고 (바로 움직여 목숨을 부지한다.) 그게 픽토그램의 목적이며 의미임.
@user-le6co3fj4y
@user-le6co3fj4y 7 дней назад
당연히 똑같은걸 반복해야 하는거 아닌가..? 매년 매달 매일 매시간마다 1000원짜리 지폐의 디자인이 세모 네모 별 산 강 바다 물 구름으로 바뀐채로 발행하고 “왜 똑같은걸 반복해야 하냐?” 라는 변명을 쓰면 문제가 없는건가..?
@user-uo7xs1fo6p
@user-uo7xs1fo6p 7 дней назад
어떤 종목인지 헷갈리는 것도 있지만 딱 알아볼 수 있는 것도 있고, 아름답고 창의성도 있어 보이네요. 새로운 시도를 한다는 건 어려운 일이기도 하고 분명 내부적으로 반대도 높았을 거예요. 그래도 저는 도전했다는 것에서 저 디자인을 한 분들과 심지어 허락을(?) 해주신 분들에게도 박수를 보내고 싶네요. 파리라서 가능한 것 같기도 하고~
@hotcurry1108
@hotcurry1108 8 дней назад
최악의 픽토그램임 이건 픽토그램이 아니라 로고지 픽토그램이라 하기 어려움 한 번 보고 알 수 없잖아
@user-lv6xw1wt2q
@user-lv6xw1wt2q 9 дней назад
픽토그램에서 전달성이 가장 중요하다 생각하는데 그게 떨어져서 아쉽네요 언어를 몰라도 글자를 몰라도 세계인이 즐길 수 있는
@user05398
@user05398 7 дней назад
우리나라같으면 절대 용납되지 않을 텐데 프랑스의 과감함에 박수를 보냅니다
@aaaaaaaaaaaaa.
@aaaaaaaaaaaaa. 2 дня назад
평소에 픽토그램 안보고 경기만 잘 보더니 사람들 난리났네 ㅋㅋㅋ 디자이너 대성공이지
@user-ep4pc5bn8w
@user-ep4pc5bn8w 9 дней назад
예술적인 접근에서는 새로운 시도인건 인정하나, 픽토그램 접근에서 보자면 아쉬웠던게 맞가 허나 새로운 접근법이 나왔으니 앞으로 나올것도 기대할만한 부분이라고 생각됩니다 그리고 픽토그램이 ㅈ같다 해서 너가 뭘 할 수 있는데 ㅋㅋ
@benjaminhur3701
@benjaminhur3701 3 дня назад
픽토그램은 산업디자인에 더 가까운 영역인데 뭘 새로움을 찾아 ㅋㅋㅋㅋㅋㅋ 기레기가 잘못찾아간듯 ㅋㅋㅋ 시각디자인과 교수를 찾아가니까 저딴 답이 나오지
@user-yn7ej1kc8z
@user-yn7ej1kc8z 23 часа назад
이미 이렇게 갑론을박이 나올정도로 이 자체만으로도 의도한것이라 볼 수있다면 성공한 디자인은 분명함
@Uwill85
@Uwill85 7 дней назад
누구나 익숙하지 않은 것에 대해 불편함을 갖습니다. 하지만 우린 그런 불편함에 대해... 그래서 그냥 저도 불편하네요.
Далее
HEIGHT KICK CHALLENGE 📏🙈
00:20
Просмотров 7 млн
would you eat this? #shorts
00:21
Просмотров 773 тыс.
✋금지돼서 다행인 올림픽 기술들
5:17
Просмотров 4,5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