Тёмный

인간이 신을 믿는 이유는 알고보면 과학적이다? 종교를 믿는 과학적인 이유! / 전지적 관찰자 시점, 최재천 

최재천의 아마존
Подписаться 716 тыс.
Просмотров 1,2 млн
50% 1

인간이 종교를 믿는 이유는 알고보면 과학적일 수도 있다.
사람에게 종교란 무엇일까?
contact : choemazon@gmail.com
#최재천 #종교 #과학

Опубликовано:

 

4 янв 2022

Поделиться:

Ссылка:

Скачать:

Готовим ссылку...

Добавить в:

Мой плейлист
Посмотреть позже
Комментарии : 2,5 тыс.   
@user-gu9xr8ui2e
@user-gu9xr8ui2e 2 года назад
훌륭한 어머님이셨군요. 부처님 말씀을 이해하셨던 분이라 생각됩니다. 존경합니다.
@hyeseons7929
@hyeseons7929 2 года назад
저도 들으면서 어머님께서 진정한 불자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user-wn9cq4hp1x
@user-wn9cq4hp1x Год назад
정답입니다. 진정한 불교의 가르침입니다.
@akarihoshi6443
@akarihoshi6443 2 года назад
제 생각에는 어머님이 기독교를 따르고자 결심하신 그 생각과 마음까지도 불교의 가르침을 따른 것으로 보입니다. 형식이나 이름이 중요한 것이 아니고 늘 주변을 포용하고 이해하며 더불어 살아가는 그 마음이 종교의 본질이라 생각합니다. 양보하지 않는 쪽과 양보하는 쪽이 만나면 항상 양보하는 쪽이 사라지는 모습이 위대하면서도 씁쓸하기도 하네요.
@user-wv9zb6mx9d
@user-wv9zb6mx9d 2 года назад
맞아요. 불교에서는 상을 짓지 않죠. 더 큰 불교의 일부분 이었을것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2at21
@2at21 2 года назад
대부분의 경우 기독교는 기독교하고 결혼하는게 좋은것같아요. 규율도 많고 약간 기독교가 옳아 이런식으로 말하는분을 많이봐서... 어머니가 정말 마음이 크신것같아요
@user-lw6xl9iu3h
@user-lw6xl9iu3h 2 года назад
크게 공감가는 댓글입니다.
@user-zt1pm3fg4z
@user-zt1pm3fg4z 2 года назад
공감합니다 기도교인이 종교를 버리는 모습은 상상하기 어렵네요.
@iaanwatford211
@iaanwatford211 2 года назад
기독교인은 아마 큰 승리를 얻었다 생각할듯하네요! 아무튼 크나큰 마음을 가지신 지혜롭고 자비로우신 어머님이십니다!
@skim4458
@skim4458 Год назад
정말 종교를 바꾼다는게 쉬운게 아닌데 대단히 지혜롭고 현명하신 어머님 그분의 사랑을 받고 배우신 교수님은 세상에서 빛이 되시리라 믿으신 어머니의 기대에 부응하셨네요 참 저도 그런 어머니지혜로움에 머리 조아립니다
@user-uq7ro5nz7d
@user-uq7ro5nz7d Год назад
종교도 미신과 별반 다르지 않고 현실에서는 타락했다고 생각되어서 무교로 제 자신을 믿고 성실히 살아갑니다.
@user-ts6gv6we1m
@user-ts6gv6we1m 2 года назад
ㅋㅋㅋㅋㅋㅋ세상이 좋아지니까 최재천 교수님 강의를 자기전에 침대에 누워서 보고 진짜 감사하다
@user-nn2nj6ro9g
@user-nn2nj6ro9g 2 года назад
이 영상 보기전에 솔직히 누군지도 몰랐잖아용 ㅋ
@user-ts6gv6we1m
@user-ts6gv6we1m 2 года назад
@@user-nn2nj6ro9g 댓글을 달때 나랑 똑같은 수준의 사람들만 있을거라고 생각 하지 마세요 ㅋㅋㅋ
@dongyeoplee3487
@dongyeoplee3487 2 года назад
@@user-nn2nj6ro9g 웃고갑니다 ㅋㅋㅋ다 본인같은줄아는 사람ㅋㅋ
@user-nn2nj6ro9g
@user-nn2nj6ro9g 2 года назад
이분 알고 있는게 대단한건가요??ㅋㅋㅋ 전 몰랐어서~ 다들 알고리즘에 떠서 보시는거 아닌가? 아님 말고용~
@user-ts6gv6we1m
@user-ts6gv6we1m 2 года назад
@@user-nn2nj6ro9g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진짜 세상 사람 다양하네
@user-eb6fi5jw7d
@user-eb6fi5jw7d 2 года назад
40년간 아내분과 교회를 다니시고 스님들을 찾아다니면서 밤새 토론을 하셨을지언정 종교에의 “귀동냥”을 약간 하셨다 말씀하시니 참…. 본인을 낮추는 부분에서 다시 한번 고수의 모습을 느끼고 갑니다 박사님.
@longlong-wu2fp
@longlong-wu2fp Год назад
어머님은 정말 대단한 진실된 불자셨네요. 그러지 않고서는 절대 그리 못했을껍니다. 그게 불교의 교리더군요. 저는 종교가 없는 사람이지만 어릴땐 부활절의 계란을 먹고싶어 교회를 다녔었고 중학교때 잠시 비구니가 되고싶다는 생각을 했었다가 성인이 되서는 다시 교회를 잠시나가다가 천주교에 속하는 성물상 일을 하게됐고 30대가 되면서 일을 접고 무교인사람과 무교인체 결혼을 했습니다. 살다보니 뜻하지않는 분란도 겪으며 불교에 유독관심이 가더군요. 힘들었을때 유투브가 생겨 법륜스님의 즉문즉설을 듣게됐고 지금까지 들으며 결혼생활에 큰도움을 받고있거든요. 그렇다고 절에 다니는것도 스님을 만난적도 없지만 듣다보면 부처님에 대해 조금씩 알게되더라구요. 재밌게 듣다가도 허무맹랑하게 들릴때도 있고 해서 광우스님의 소나무도 재밌게 보게되고 자현스님도 알게되고 그렇게 범위가 넓어지다 황창연신부님의 강연도 듣게되고 장경동 목사님 연설기타 김창옥님의 강연 김미경님의 강연 세바시등등 종교 나이 사상 다 다른 것들도 무교이다 보니 꺼리낌없이 듣고 배우고 깨우치고 일상생활에 접목시키며 잘살고 있답니다. 최재천 님의 어떤 강의를 우연히 듣다가 생각외로 좋아서 계속 듣게 되고 댓글까지 달게 있네요 😂 현명한 부모님을 두신것에 감탄하며 ᆢ
@user-hr2cc4dt7u
@user-hr2cc4dt7u Год назад
참 듣기만 해도 눈물이 나는 감동적인 이야기네요. ‘신은 우리 뇌 속에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의 꼬리를 물어 이 영상까지 오게 되었습니다. 교수님의 깊고 유연한 사고가 저를 깨우네요. 감사합니다!😊
@user-vw2gz8ln2m
@user-vw2gz8ln2m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저는 님의말이 참 와닿네요. 신은 우리 뇌 속에 있지 않을까?..
@Law_Right_
@Law_Right_ 6 месяцев назад
더 근원적으로 말하자면 신은 우리 유전자에 있다고 할수 있겠죠
@UEFA.Gaming
@UEFA.Gaming 2 года назад
교수님 유튜브 영상을 쭉 정주행 해보니 역시 깊이가 다르다는게 느껴집니다. 단순히 똑똑하고 학벌이 좋고 커리어가 화려한 사람들은 국내외를 막론하고 무수히 많지만, 생각의 방향이나 사람을 끌어들이는 힘이 제가 보아온 다른 교수님들과는 확실히 클라스 차이가 있네요 새해 건강하시고 복 받으세요~!
@thejoonyoun
@thejoonyoun Год назад
종교를 믿으라 하는 과학자가 있다면, 그건 사이비과학자 입니다. 과학과 종교는 이율배반적입니다. 종교를 과학적이라는 사이비과학자를 본 적이 있는데, 물과 소금도 하나님이 창조해 주신 거라고 하더군요. 소금은 NA + CL 이 서로 이온결합한 화학물질입니다. 왜 나트륨과 염소가 결합한 줄 아세요? 화학에서 중요한 원리 중 하나인 옥텟규칙 때문입니다. 만일 창조론이 사실이라면, 이 옥텟규칙이 성경에 설명이 되었어야 했습니다만, 그렇지 못하죠. 나트륨은 +1가 염소는 -1가 서로 결합하면 전기적으로 0이 되는 것이지요. 이 소금을 누가 만들려고 만든것이 아니고, 저 전기적 성질 때문에 자연스럽게 생겨난 것이죠. 최외곽전자가 원자나 분자의 최외곽전자가 8개가 되려고 하는 성질을 충족하는 것이 옥텟규칙입니다. 왜 9개는 안되고, 꼭 8개여야 하는가? 신의 존재는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확실한 것은 기독교, 천주교의 신은 신이 아니라는 것이지요. 성경은 원자의 세계나 양자의 세계는 전혀 다루지 못했고, 태양이 지구를 돈다고 했죠. 그런 성경은 고대무당들의 그럴싸한 설명이었기 때문입니다. 과학이 발달한 지금 그 성경은 비과학적이고, 오류가 많다는 것이 확정되었습니다. 수소는 +1가 인데, 그럼 염소 -1가와 결합할까요? 네 당연히 결합해야만 하는 염산이라는 물질입니다. 그걸 신이 창조창조했다고요? 왜? 거짓말도 적당히 해야죠. 코로나19 바이러스도 신이 창조했나요? 우리 은하에서만도 매년 태양이 5개정도씩 탄생하고 있는데, 이걸 기독교의 신이 아직도 그런 창조를 하고 있는 것인가요? 물은 H2 + O 이죠. 왜그렇게 결합할까요? 물은 +1가인 수소가 2개면, +2가이고, 산소는 -2가여서 서로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0이 되고, 물분자의 최외곽에 8개의 전자가 위치하게 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물이 생겨난 거에요. 물을 하나님이 창조하기 싫다고, 목사 교황님께 물이 생겨나지 말라고 명령해도 물은 어쩔 수 없이 생겨나고, 태양계에도 얼음 형태로 무수히 존재합니다. 산소의 최외곽전자는 6개이고, 수소 2개가 각 1개씩 전자를 공유하여 총8개의 전자를 갖는 물분자가 되는 것입니다. 성경이 이런 걸 설명했다면, 성경이 말하는 하나님이 존재하시는 것이 맞습니다. 그러나, 성경은 이런 보이지 않는 세계에 대해서 전혀 설명이 없거나 엉터리 논리를 펴고 있지요.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물질들을 보세요. 모든 물질들이 이 옥텟규칙을 충족한 물질들이 대부분이고 또 옥텟규칙을 만족하기 위해서 난리가 아닙니다. 세상의 물질을 이루는 원리 중에 4가지 힘의 순서가 있습니다. 강력>전자기력>약력>중력 이 순서가 바뀌면 세상은 엉망이 되어 인간은 절대 존재할 수 없게 되어 버립니다. 중력이 가장 강하면, 세상 모든 물질은 한 덩어리로 되었겠고, 전자기력이 가장 쌨으면, 세상에는 온통 수소만이 존재했을 것입니다. 하필이면 이 힘의 순서가 저렇게끔 되어서 생명체가 탄생할 수 있었던 것입니다. 지구가 46억년전에 형태가 형성되고, 6억년이 지나면서 식어가자, 심해열수구에서 황화수소를 에너지원으로 하는 겨우 RNA 한가닥 만을 유전물질로 하는 마이크로스피어로 둘러쌓인 혐기성 최초의 생명체가 생겨났다고 합니다. 수억년이 흐른 뒤 해수면에서는 광합성을 하는 남조류가 나타나면서, 대기에는 산소의 량이 증가하기 시작하고, 그 산소는 오존이 되기도 하면서 육상생물의 등장을 있게 합니다. 원핵생물이라 불리는 남조류가 생겨나고, 산소가 생겨나면서 산소를 필요로 하는 호기성 생명이 생겨납니다. 그 호기성생명체와 남조류가 함입설이라고 하는데, 세포막이합쳐지면서 진핵식물이 생겨나게되고, 진핵생명도 생겨나게 됩니다. 하나의 세포속에 핵이 핵막으로 보호되고, 미토콘드리아가 함입되어 존재하는 생명체를 진핵세포라고 합니다. 이런 과학적 사실들이 물론 확율적으로 매우 낮은 가설이기는 하지만, 이 보다 더 높은 확율의 생명가설은 없습니다. 그런데, 고대무당의 창조론이 진리로 둔갑하는 것은 절대 아니라고 보이거든요. 종교를 가진 사람들이 과학에게 자기들 논리를 양보해야 하는데, 과학자들이 종교에 스며들어 사람들을 현혹하고 있습니다. 종교는 돈을 탐한다는 것은 진리와 같습니다. 종교인들 중에 범죄자가 많고, 부도덕한 사람들이 많다는 것도 잘 아실 것입니다. 어떤 기독교인이 불륜은 성경에 위배된다는 것 잘 알면서, 바람피우면서 교회 잘 다니면서 구원받을 거라고 믿고, 또 그렇게 말하는 성직자들은 자기들이 신이 되어 세상을 웃기게 재단해 가는 것 같습니다. 이런 현상은 신은 없고, 인간들의 신의 대행자 노릇을 하기 때문입니다. 성직자가 범죄자일 때, 그 범죄자가 처벌받지 않을 때, 이건 그 신이 거짓된 신 또는 쓰래기라는 증거이기도 합니다. 제가 꼭 하고 싶은 말은 종교를 인정하거나 옹호해 주는 과학자는 세상을 퇴보하는데, 일조하는 것임을 알아야 합니다. 종교가 없어야 과학이 더 발달할 수 있고, 과학이 발전해야 인류가 잘 살수 있고, 더 오래 유전자를 보존할 수 있는 것입니다. 인간이 자기 유전자의 오랜 보존을 위해 종교를 배척하고, 과학을 따르는 행동해야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최재천 과학자님은 유전자를 다루는 과학자이십니다. 유전자의 존속을 위해서는 과학을 방해하는 종교를 두둔하는 것은 과학에 역행하는 비과학적인 사이비논리라는 것을 잘 아시기를 부탁드립니다.
@eum419h
@eum419h 2 года назад
불교신자셨던 어머니가 져주심으로 오히려 이기셨네요. 지혜롭고 넉넉한 어머니의 커다란 사랑을 닮으셨군요~
@user-bc9ie6xq3g
@user-bc9ie6xq3g Год назад
나는 종교가 없다. 아니 종교를 혐오 한다. 더 정확히는 종교가 보인 사회적 해악에 분노 한다. 인간은 종교를 갖도록 진화한 측면이 있다라는 말씀에 공감 한다. 난 종교가 없지만, 기도를 할때가 있다. 특정 신에 대한 기도가 아니라, 나의 간절한 바램이 있을 때 그것이 이루어지길 염원하며 손을 모으기도 한다. 그 바램에는 나의 안녕도 있지만, 사랑하는 가족과 지인들의 안녕, 때론 사회와 국가의 안녕에 대한 바램이 있다. 그 바램은 인간이라면 누구나 갖을 수 있는 순수한 바램 이다. 하지만, 이를 악용하는 집단이 있다. 종교로 밥 벌어 먹고 사는 자들 이다. 내 눈엔 그들은 인간의 원초적이고 순수한 이런 바램을, 그 심리를 악용하는 자들에 지나지 않는다. 그렇지 않다면, 종교가 보인 행태가, 그 역사가 이렇게 배타적이고 폭력적이며 위선적으로 흘러 오지 않았을 것이다. 종교는 말로는 사회적 약자를 위한다고 하고, 일부 그런 것 처럼 행동하기도 하지만, 그들이 세력을 넓히는 과정을 보면 늘 권력자, 기득권자들의 편이 서 있었다. 그들이 때로 폭력적인 모습을 보인 이유 다. 그들은 마케쉐어를 확대하기 위한 장사치 처럼 보인다. 그들이 보이는 선행의 속셈엔 그런 계산이 깔려 있다. 종교가 사회에 득세 할 경우 사회는 늘 세기말적 증세를 보여 왔다. 인간의 원초적 불안으로 먹고 사는 기생충 같은 존재가 바로 종교 다.
@user-cd1uf4et1k
@user-cd1uf4et1k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예수는 좋지만 그리스도인들은 싫습니다..라는 간디의 말씀에 공감입니다
@user-rt5ic7ob5g
@user-rt5ic7ob5g 3 месяца назад
무종교도 종교입니다. 무신론교죠.
@user-bc9ie6xq3g
@user-bc9ie6xq3g 3 месяца назад
@@user-rt5ic7ob5g 무신론교 라? 종교는 신념, 이데올로기와 다른 것입니다. 무신론교라는 말이 성립될수 없는 이유 입니다.
@user-gw4eg2sl5b
@user-gw4eg2sl5b Год назад
정말 이렇게 교수님의 여러분야의 넓으신 과제에 대한 강의를 집에 앉아서 듣고 있는게 너무 행복하고 감사 드립니다. 교수님 말씀 하시는게 참 쉽게 재미있게 말씀 하셔서 너무 감사 드립니다.
@user-ji7gc2nt4v
@user-ji7gc2nt4v 2 года назад
어머니의 자식 사랑은 종교를 넘어서는 군요 , 배우고 갑니다 감동적인 이야기를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어머니께서 정말 대단한 지혜롭군 분이라고 생각합니다
@marygonyang
@marygonyang 2 года назад
큰 사람에게는 훌륭한 어머니가 있으시구나 감명깊은 강의 잘 듣고 갑니다
@jangsomani
@jangsomani Год назад
교수님 좋은 강의라 광고는 건너지 않고 꼭 봅니다!!!제작진 분들 감사합니다!!!
@user-jf6gb6en6r
@user-jf6gb6en6r Год назад
교수님의 말씀이 어느 철학자보다 설득력이 있네요. 존경합니다.
@d0ntg0_mallang
@d0ntg0_mallang 2 года назад
와 교수님 어머님께서 정말 현명하시고 지혜로우셨군요 그래서 어머님의 모습을 본받아 교수님께서 훌륭하신가 봅니다ㅜㅜ 강의 못지않은 좋은 영상 올려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건강하시고 행복하셔요!!
@flamingo7012
@flamingo7012 2 года назад
이렇게 좋은 강의를 무료로 볼 수 있다니 정말 감사합니다. 😭 교수님, 제작진분들 모두 복 많이 받으세요. 🙇🏻‍♂️
@user-bs9nw9ci8y
@user-bs9nw9ci8y 2 года назад
나약한 인간들이 신을만들어
@user-tm5fw8uk9k
@user-tm5fw8uk9k Год назад
광고, 모두 시청해 주세요 ~ ^^ 감사드립니다 ~
@10bagger81
@10bagger81 Год назад
진짜 불교를 아신다면 당장 낼 교회나가는 것이 전혀 이상할 일이 아닌데요? 어머님이 어느정도 깨달음에 도달해 계셨었네요.타인을 사랑하고 선행을 행하고 스스로 행복하면 교회를 다니든 뭘하든상관없는게 불교입니다.
@user-qj8ch6jl4x
@user-qj8ch6jl4x Год назад
오... 제가 생각한부분을 먼저말씀해주셨네요
@yellymee
@yellymee Год назад
😅
@myunghee824
@myunghee824 Год назад
정말 제가 하고싶었던 말씀입니다.
@kimstone2147
@kimstone2147 Год назад
신천지? 전광훈? 개독사이비 = 이슬람 개독사이비 극혐~
@user-qd4up6ub5t
@user-qd4up6ub5t Год назад
전 반대로 생각. 그냥 기복위해 분쟁 피하기 위해 갈아타신듯요. 교회가서 속으로 나무 아미타불관세음보살 찾아야 깨달으신분이에요
@user-qu1yz2zs4f
@user-qu1yz2zs4f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종교는 사람을 위해서 있는거다 인간은 무능하기때문에 절대적인 유능한 신이 있다고 믿고 의지하고 평안을 얻는거같습니다
@user-dc2ec1mg5t
@user-dc2ec1mg5t 2 года назад
매번 깨달음을 주시네요. 교수님 가르침에 공감하면서 솔직히 아직 전 덜 자란 인간이라 받이들이는 연습과 노력이 더 필요한것 같습니다. 나이가 들수록 다양함보다는 단순함을 지향하게 되는 제 자신을 뒤돌아 보게됩니다. 감사합니다.^^
@Helium5120
@Helium5120 2 года назад
최교수님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생명다양성재단도 교수님 영상 보면서 관심이 생겨서 후원 시작했습니다. 좋은 말씀 많이 부탁드리고, 좋은 영향력 끼치시는 모습 계속 기대하겠습니다!
@summerhan2682
@summerhan2682 Год назад
한 집안에 종교가 둘이면 행복할수 없다.. 와 진짜 명언이네요 너무 맞는말같아요 교수님 말씀대로 종교에서 그토록 강조하는 이해와 포용이 다른것과 만나면 이렇게 배타적이게 되는게 참 모순적인것같아요 깊은 공감보다 넓은 공감이 필요하다는 장대익 교수님의 말씀도 떠오르네요
@user-ho2eh7in7z
@user-ho2eh7in7z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사랑과 포용은 종교의 본질아 아니라 겉포장이고 화장일 뿐입니다, 종교의 본질은 맹목적인 믿음 그 자체입니다,
@jeonyounggun104
@jeonyounggun104 9 месяцев назад
행복할 수 있는 부분은 다른 종교를 믿는 사람에게 신경쓰지 않는 것이 가장 바람직합니다. 종교 믿으라고 강요하지도 말아야죠.
@user-fk5ti8vt4y
@user-fk5ti8vt4y 8 месяцев назад
믿음도 정도껏 믿어야지.. 광신적이면 뭐든 망한다. 이스라엘 이슬람 싸우는거 보셈
@43rickee
@43rickee 4 месяца назад
@@user-nd2qi4gd7d아파서 죽어가는 사람이 있습니다. 그리고 그곳에 의사인 선교사가 갔습니다. 님은 다음 중 어느 쪽을 고르실 건가요? 1. 전도를 받으면 치료해 주겠다. 2. 일단 치료가 먼저, 전도는 나중 제발 1번은 아니기를 바랍니다. 제가 아는 개신교인들 중 다수가 1번이었고, 전 그 뒤로 개신교라면 학을 띄고 있습니다.
@user-hl6lu4xf7d
@user-hl6lu4xf7d Год назад
교수님^^ 틈틈이 교수님 강의를 들으며 지혜를 얻어갑니다. 감사드립니다.
@woojinchun9835
@woojinchun9835 2 года назад
멋지신 교수님!! 너무나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다양성!! 모두가 함께 행복히 공존하는 그날이 더욱 가까이 오길 바랍니다.
@tomboy2819
@tomboy2819 2 года назад
종교 때문에 싸운게 아니라 종교를 핑계로 싸웠다고 생각합니다. 뭔 이유를 만들어서도 전쟁은 났을거에요
@pp-1954
@pp-1954 4 месяца назад
동의!
@dd6943
@dd6943 Год назад
지혜를 나눠주셔서 감사합니당😊
@Whatdoyouknow307
@Whatdoyouknow307 Год назад
최박사님. 박학다식함과 좋은 말씀 늘 감사 합니다. 저도 엄마따라 꼬맹이시절 부터 절에 다니게 됐지요. 그러다 나이 들어서도 불교에 대해 전무 했지요.어머니 방식이 불교구나 하고 무심히 살다가 30초반에 미국 전 지역 상대로 작업상 장시간 비행기를 자주 타다 보니 문득, 공항내 책방에서 책을 고르다 보니 불교에 무지함을 느끼곤 맨 처음 고른책이 오래전 열반에 드신 청담 스님의 "마음에서 마음으로"란 책을 처음 접하곤 오함마로 뒤 통수를 강타 당했지요. 국문과 출신에 수많은 다양한 책을 섭렵해 나름 똑똑하다 자부했더랬지요. 그후 불교서적을 닥치는대로 읽다보니 거의 만여권. 물론 참선은 필수. 최 박사님 결론은 수많은 종교 가운데 불교는 신이나 누굴 믿는 종교가 아님은 처음 책 10여권 읽었을때 느꼈지요. 불교는 사실 가르칠것 조차 없음을 억지춘향식으로 설한게 불경이며 설법임을 알게 됐습니다. 어째서 부처가 열반전에 제자들에게 " 자등명 법등명"을 유언처럼 남겼을까요? 이게 불교의 가르칠것 없는 가르침의 핵심 이지요. 제 성격상 무언가 하려면 끝을 보자.는 이 불법을 읽고 배우고 실천하게 됨이 금생 내 최고의 태어남의 목적을 알게 됐음을 고백 합니다. 불교라는 코끼리는 코나 몸통이나 다리 만짐이 아닌 전체를 봐야 코끼리라 알수있듯 삶도 치열하게 생각하고 살때 삶을 두루두루 알수 있을것 입니다. 종교쟝르에 포함되어 있으나 불교는 그 테두리를 벗어나 있는게 불법 입니다. 우주의 테두리를 인간이 설정하지 못함과 같음을 알려 드립니다.( 내 속의 설명의 수경만분의 일을 글로 올리며...)
@user-zj4pg8or6n
@user-zj4pg8or6n 2 года назад
저 요새 최재천 교수님에 푹 빠져 삽니다ㅋㅋ 쓰신 책들도 읽고 제인구달 선생님에 대해서도 새롭게 배우고 있어요^_^ 저희 아이가 동물을 너무 사랑하는데 아이가 커서도 그 사랑하는 동물들이 지구에 계속 같이 있었으면 하는 마음에..지금 제가 효율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일이 뭘까 생각하고 있답니다 암튼...교수님 유튜브 하셔서 너무 좋아요 감사합니다♡
@Bruce_Park
@Bruce_Park 2 года назад
국어 교과서나 참고서에서 많이 보았던 황소개구리와 우리말 저자 분의 강의를 이렇게 직접 들을 수 있어서 영광입니다. 많은 가르침 얻어가겠습니다. 늘 건강하시기 바랍니다. ^^
@BrainTrainer89
@BrainTrainer89 Год назад
교수님~늘 건하셔고 좋은 말씀 많이 들려주세요~ 건강하시고 평안한 성탄절 되세요~
@cikhan1
@cikhan1 Год назад
지혜로우신 어머니 덕분에 저희가 교수님의 지혜를 배울 수 있게 되었군요 현명하신 어머님께 감사드립니다 ^^
@Jason-cf3lb
@Jason-cf3lb 2 года назад
나이36살에 교수님채널 구독하면서 인문학강의도 듣는것 같습니다. 언제나 좋은영살 올려주시는 채널관계자님들과 교수님께 감사합니다. 새해복많이받으세요~
@saeromlee1950
@saeromlee1950 2 года назад
예전 직장에서 교수님 강의를 듣고 느꼈던 여러 감정들이 아직도 마음 한편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유투브를 통해 귀한 강의를 듣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리고 다양성에 대한 시각을 나누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우리가 서로 다름을 인정하고 보다 조화로운 사회를 위해 함께 나아갈 수 있도록 저도 저의 자리에서 최선을 다해야겠다는 다짐을 해봅니다. 교수님, 늘 건강하세요. 선한 영향력 고맙습니다!
@Pultogi
@Pultogi Год назад
역시 훌륭한 어머니 아래 훌륭한 아드님이 태어나셨네요. 어머니 멋지시네요 존경스럽습니다. 😊 언제나 좋은 영상 업로드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유튜브 보면서 힐링하는 시간이 재천교수님 영상 볼 때에요.
@user-xt2nj4cx8n
@user-xt2nj4cx8n Год назад
영상감사합니다.😊새해복많이받으세요🙏
@normal77079
@normal77079 2 года назад
대단한 어머니세요. 좀 다른 시각으로 저는 본다면 왜 개신교인들은 저렇게까지 조건을 제시하는걸까싶어요;;; 카톨릭과 불교는 서로 존중하고 같은 집안에 종교가 달라도 이해하는데 배타성이 강한 개신교라는 생각만드네요. 어머님이 큰결심하셔서 문제는 없었지만 뭔가 좀 그래요 서로 인정했으면 어머님이 평생 믿어오신 종교를 뒤로 하지 않아도 될텐데 말이죠.
@monicalee392
@monicalee392 2 года назад
어머니께서 현명하시네요 진짜 살길을 아신거!!! 백만번을 찾아봐도 다른 길은 없더라는 오직 예수그리스도!! 기독교=그리스도교 그리스도의 뜻부터 구원자 구세주입니다! 도대체 개신교란 단어 누가 만든거야?
@minjae92
@minjae92 2 года назад
@@monicalee392 루터와 칼뱅으로부터 기존 천주교에서 분리되자 개신교라고 부르기 시작
@lelelele7103
@lelelele7103 Год назад
저 교수님이 해주신 결혼과정 뒤집어서 생각해보면 말씀하신거가 맞다고 생각이 들어요. 결혼이야 단순히 부부 두 사람의 만남이 아니라 양 집안이 교류하게 되는거니 더 복잡한 일들이 많이 있었겠지만 종교라는 영역에 한정해서 보면, 교수님 어머님께서는 양보하고 받아들이셨지만 교수님 아내분과 그쪽 집안은 요구한거 밖에 없으니까요. 상대방 집안 성향 생각 안하고 결혼식에 찬송가 넣었다는거 자체가 결정적이고요. 뭐 당사자들이 다 받아들였다니 외부인이 언급할 일은 아니지만, 따져보면 한쪽은 양보하고 받아들이고, 한쪽은 조건 제한하고 요구만 한 셈이죠.
@user-qk2vt9id9t
@user-qk2vt9id9t Год назад
@@monicalee392 천주교 개신교 그외 모든 종파를 합친 모든 교회가 기독교입니다. Catholic Church에서 분리하며 스스로가 Protestantism라 이름 붙였는데 누가 붙이다니요 ㅎㅎ
@user-tp4lz8yk2k
@user-tp4lz8yk2k 2 года назад
모든것의 답은 다양성.., 진솔한 교수님의 설명이 와닿습니다 감사합니다 ☘
@katekim506
@katekim506 Год назад
교수님의 말씀에 정말 동의합니다. 다양성 인정하며 더 조화롭게 살수 있다... 정말 요즘 제가 느끼고 있는 부분입니다. 다양함을 즐기려는 태도가 필요하다는 말씀 정말 감사합니다. 아직 교수님 나이가 되지는 않았지만 우리가 다양성을 인정하는것 사랑하고 이해하는 차원에서 살아간다면 정말 좋겠습니다.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jooyoungshin9071
@jooyoungshin9071 Год назад
일상생활에서 가졌던 의문들을 인문학적인 관점에서 해석해주시니 너무 유익합니다. 애 둘 키우는 엄마인데 교수님의 강의를 차곡차곡 듣다보면 다가오는 불혹의 두려움을 현명하게 극복할 수 있을 것 같아요. 감사합니다❤
@user-qm6xv2sc2q
@user-qm6xv2sc2q 2 года назад
교수님 현명한 말씀 참 와닿습니다. 올해도 좋은 이야기 많이 해주십시오.
@user-se2qg9jt5m
@user-se2qg9jt5m 2 года назад
인문학적 주제를 과학의 관점으로 말씀해주시는게 참 흥미롭고 재밌어요...! 이과, 문과처럼 이분법적으로 나누기보다는 이렇게 여러 관점으로 생각해볼 수 있는 사회가 되었으면 좋겠네요!!
@RNbje100
@RNbje100 2 года назад
저도요~
@user-kt3zk9ly6p
@user-kt3zk9ly6p Год назад
차라리 공산주의같은 무교가 낫지 종교는 사악한 아편일뿐입니다 반드시 종교는 사라져야합니다
@user-iz2hl6dy2h
@user-iz2hl6dy2h Год назад
최선생께서는 주관이 있으신대.. 조심하는 경향이 있으신듯 합니다 답을 원할순 없지만.. 공부를 명확히하여 나누어 주실순 없는지요..
@thejoonyoun
@thejoonyoun Год назад
@@user-iz2hl6dy2h 종교를 믿으라 하는 과학자가 있다면, 그건 사이비과학자 입니다. 과학과 종교는 이율배반적입니다. 종교를 과학적이라는 사이비과학자를 본 적이 있는데, 물과 소금도 하나님이 창조해 주신 거라고 하더군요. 소금은 NA + CL 이 서로 이온결합한 화학물질입니다. 왜 나트륨과 염소가 결합한 줄 아세요? 화학에서 중요한 원리 중 하나인 옥텟규칙 때문입니다. 만일 창조론이 사실이라면, 이 옥텟규칙이 성경에 설명이 되었어야 했습니다만, 그렇지 못하죠. 나트륨은 +1가 염소는 -1가 서로 결합하면 전기적으로 0이 되는 것이지요. 이 소금을 누가 만들려고 만든것이 아니고, 저 전기적 성질 때문에 자연스럽게 생겨난 것이죠. 최외곽전자가 원자나 분자의 최외곽전자가 8개가 되려고 하는 성질을 충족하는 것이 옥텟규칙입니다. 왜 9개는 안되고, 꼭 8개여야 하는가? 신의 존재는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확실한 것은 기독교, 천주교의 신은 신이 아니라는 것이지요. 성경은 원자의 세계나 양자의 세계는 전혀 다루지 못했고, 태양이 지구를 돈다고 했죠. 그런 성경은 고대무당들의 그럴싸한 설명이었기 때문입니다. 과학이 발달한 지금 그 성경은 비과학적이고, 오류가 많다는 것이 확정되었습니다. 수소는 +1가 인데, 그럼 염소 -1가와 결합할까요? 네 당연히 결합해야만 하는 염산이라는 물질입니다. 그걸 신이 창조창조했다고요? 왜? 거짓말도 적당히 해야죠. 코로나19 바이러스도 신이 창조했나요? 우리 은하에서만도 매년 태양이 5개정도씩 탄생하고 있는데, 이걸 기독교의 신이 아직도 그런 창조를 하고 있는 것인가요? 물은 H2 + O 이죠. 왜그렇게 결합할까요? 물은 +1가인 수소가 2개면, +2가이고, 산소는 -2가여서 서로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0이 되고, 물분자의 최외곽에 8개의 전자가 위치하게 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물이 생겨난 거에요. 물을 하나님이 창조하기 싫다고, 목사 교황님께 물이 생겨나지 말라고 명령해도 물은 어쩔 수 없이 생겨나고, 태양계에도 얼음 형태로 무수히 존재합니다. 산소의 최외곽전자는 6개이고, 수소 2개가 각 1개씩 전자를 공유하여 총8개의 전자를 갖는 물분자가 되는 것입니다. 성경이 이런 걸 설명했다면, 성경이 말하는 하나님이 존재하시는 것이 맞습니다. 그러나, 성경은 이런 보이지 않는 세계에 대해서 전혀 설명이 없거나 엉터리 논리를 펴고 있지요.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물질들을 보세요. 모든 물질들이 이 옥텟규칙을 충족한 물질들이 대부분이고 또 옥텟규칙을 만족하기 위해서 난리가 아닙니다. 세상의 물질을 이루는 원리 중에 4가지 힘의 순서가 있습니다. 강력>전자기력>약력>중력 이 순서가 바뀌면 세상은 엉망이 되어 인간은 절대 존재할 수 없게 되어 버립니다. 중력이 가장 강하면, 세상 모든 물질은 한 덩어리로 되었겠고, 전자기력이 가장 쌨으면, 세상에는 온통 수소만이 존재했을 것입니다. 하필이면 이 힘의 순서가 저렇게끔 되어서 생명체가 탄생할 수 있었던 것입니다. 지구가 46억년전에 형태가 형성되고, 6억년이 지나면서 식어가자, 심해열수구에서 황화수소를 에너지원으로 하는 겨우 RNA 한가닥 만을 유전물질로 하는 마이크로스피어로 둘러쌓인 혐기성 최초의 생명체가 생겨났다고 합니다. 수억년이 흐른 뒤 해수면에서는 광합성을 하는 남조류가 나타나면서, 대기에는 산소의 량이 증가하기 시작하고, 그 산소는 오존이 되기도 하면서 육상생물의 등장을 있게 합니다. 원핵생물이라 불리는 남조류가 생겨나고, 산소가 생겨나면서 산소를 필요로 하는 호기성 생명이 생겨납니다. 그 호기성생명체와 남조류가 함입설이라고 하는데, 세포막이합쳐지면서 진핵식물이 생겨나게되고, 진핵생명도 생겨나게 됩니다. 하나의 세포속에 핵이 핵막으로 보호되고, 미토콘드리아가 함입되어 존재하는 생명체를 진핵세포라고 합니다. 이런 과학적 사실들이 물론 확율적으로 매우 낮은 가설이기는 하지만, 이 보다 더 높은 확율의 생명가설은 없습니다. 그런데, 고대무당의 창조론이 진리로 둔갑하는 것은 절대 아니라고 보이거든요. 종교를 가진 사람들이 과학에게 자기들 논리를 양보해야 하는데, 과학자들이 종교에 스며들어 사람들을 현혹하고 있습니다. 종교는 돈을 탐한다는 것은 진리와 같습니다. 종교인들 중에 범죄자가 많고, 부도덕한 사람들이 많다는 것도 잘 아실 것입니다. 어떤 기독교인이 불륜은 성경에 위배된다는 것 잘 알면서, 바람피우면서 교회 잘 다니면서 구원받을 거라고 믿고, 또 그렇게 말하는 성직자들은 자기들이 신이 되어 세상을 웃기게 재단해 가는 것 같습니다. 이런 현상은 신은 없고, 인간들의 신의 대행자 노릇을 하기 때문입니다. 성직자가 범죄자일 때, 그 범죄자가 처벌받지 않을 때, 이건 그 신이 거짓된 신 또는 쓰래기라는 증거이기도 합니다. 제가 꼭 하고 싶은 말은 종교를 인정하거나 옹호해 주는 과학자는 세상을 퇴보하는데, 일조하는 것임을 알아야 합니다. 종교가 없어야 과학이 더 발달할 수 있고, 과학이 발전해야 인류가 잘 살수 있고, 더 오래 유전자를 보존할 수 있는 것입니다. 인간이 자기 유전자의 오랜 보존을 위해 종교를 배척하고, 과학을 따르는 행동해야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최재천 과학자님은 유전자를 다루는 과학자이십니다. 유전자의 존속을 위해서는 과학을 방해하는 종교를 두둔하는 것은 과학에 역행하는 비과학적인 사이비논리라는 것을 잘 아시기를 부탁드립니다.
@happyboss651
@happyboss651 Год назад
@@user-iz2hl6dy2h ㅋ
@hs.2118
@hs.2118 Год назад
교수님 어머니께서는 참 현명하신 분이셨군요!
@user-rq8xk1fg7g
@user-rq8xk1fg7g Год назад
고맙습니다.좋은 강의 잘 배우고 갑니다 응원합니다
@user-gg9zg2yi7p
@user-gg9zg2yi7p 2 года назад
예전에 아버님 이야기도 그렇고 어머님도 그러시고 두 분 정말 좋은 분들이시네요. :) 교수님이 이렇게 대단한 분인 것도 이해됩니다
@khyoon1
@khyoon1 2 года назад
교수님의 말씀을 들으며 그동안 고민했던 많은의문들이 해소 되고 있습니다 감사드립니다
@songmay3192
@songmay3192 Год назад
일사분란, 질서정연한 사회는 건강하지도 않고 만들기도 힘들다는 말씀에 공감합니다 다양함을 존중하고 즐기는 삶이 되도록 힘써야겠다는 생각듭니다.
@xy8127
@xy8127 Год назад
오랜 선생님의 독지입니다.~늘 건강하시고 좋은 말씀 많이 들려주세요.^^
@user-gr2zx1tg9x
@user-gr2zx1tg9x 2 года назад
교수님~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저는 어릴 때부터 과학은 자연현상이 들려주는 이야기 같아서 좋아한 사람인데요~ 요즘 교수님의 채널에 폭~ 빠져서 동심으로 돌아가 있습니다. 갈수록 시야가 좁아지는 나날이라 제 마음이 좁아지는 것 같아 근심이 많았는데 교수님의 채널을 통해 여러 관점에서 다양성과 포용에 대해 들을 수 있어서 마음이 따뜻해집니다. 더불어 제작진 분들도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yychoi1
@yychoi1 2 года назад
최교수님 어머님의 인격을 가늠할 정도가 안 될정도로 정말 훌륭하신 인품의 분이시라는 걸 느꼈습니다. 그러니 그 어머니 밑에 성장한 최교수님과 가족분들의 인품이 얼마나 훌륭한지 짐작이 가고도 남습니다.
@aram_1013
@aram_1013 Год назад
다양성을 중시하는 태도는 좋습니다. 한편으로 다양성을 배척하는 종교들도 상당히 많죠. 그런 종교들이 명맥을 이어가야 하는가에 대해서는 의문이 듭니다.
@user-ev1kf6xc9t
@user-ev1kf6xc9t Год назад
사람은 힘들고지치고 기댈곳이없으면 무언가 보이지않는것에 기대게되어있음
@mgk3222
@mgk3222 2 года назад
원인을 최대한 정확하게 분석하는 것이 과학적으로 올바른 출발인 것 같습니다. 사람 간의 각종 다툼과 차별, 국가간의 전쟁, 인종 학살 등 각종 인간사회의 문제가 종교가 같거나 무교인 사람들 사이에서도 공통되게 일어나는 것들이 많다는 점에서, 우리가 보통 "종교 때문이야" 라고 하는 것들이 정말 종교가 근본 문제인지, 종교보다 더 인간의 내면에 깔린 생존 본능, 욕심을 채우기 위한 정치적 선택, 생물학적인 군중심리 등 더 근원적인 원인들이 있지 않은지 구별하는 것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어느 사회나 인간이기 때문에 발생하는 학연, 지연 같은 각종 차별이 있는데 이것이 다른 것 때문에 일어난다고 하죠. 어느 초등학생이 자기를 기분 나쁘게 했다고 차별을 했는데 다른 사람이 보니 인종이 다른 아이를 차별했다고 인종차별이 되고, 성별이 다른 애를 차별했다고 성차별로 네이밍되는 일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그냥 인간 내면에 깊은 근본 원인이 학연, 지연, 성별, 인종 등을 핑계나 매개로 차별 행위를 일으키는데 말입니다. 종교 문제라고 네이밍 되어 있는 것들이나 각종 차별의 문제 등 우리가 어떤 것을 해결하려면 정확한 원인을 찾아내는 것이 중요한데 저는 왠지 사람들이 잘못된 원인 분석으로 잘못된 치료들을 하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user-li1ex7vc3l
@user-li1ex7vc3l 2 года назад
교수님 교수님이 조근조근 말씀하시는 걸 들으면 항상 많은 생각을 하게 됩니다. 가끔 제 짧은 식견을 반성하게 되기도 하고요. 항상 영상 찾아보고 있습니다. 요즘 날씨 추운데 감기 조심하세요! 스탭분들도요!
@eky2803
@eky2803 9 месяцев назад
교수님께서 설립하신 국립생태원이 바로 그 다양성을 위한 일이라 생각합니다. 인간과 가축만 남은 세상, 다양성이 완전히 사라질 위기에 처한 세상. 공존은 그야말로 지구의 지배자인 인간이 최우선으로 추구해야할 가치가 아닐까, 오늘도 큰 것을 배우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user-qh4rj5hd5e
@user-qh4rj5hd5e Год назад
정말 잘 들었습니다. 과학과 종교와의 공존 당연힙니다.
@ddd_12345
@ddd_12345 2 года назад
다양성이 막는다고 막아지는게 아니라 계속해서 늘어간다고 말씀하시는걸 들으면서 엔트로피도 무질서화로 나아간다는게 생각나네요. 사실 생명학과 물리학은 아주 미시적인 관점이 아니면 크게 관련성을 발견하지 못했는데 영상보면서 많이 느낍니다! 진짜 강의듣는것같아서 재밌어요
@veryveryverylongso9090
@veryveryverylongso9090 2 года назад
@@ockbong 공기 중 향수농도가 고르게 되는 것을 한 가지 상태로 보아서 엔트로피가 획일화가 되는 과정이라고 보는 건 엔트로피 자체가 미시적인 개념이라는 것에서 봤을 때 문제가 있을 듯 합니다. 실제로, 향수병 안에 향수가 들어있을 때 가능한 입자들의 배열의 경우의 수보다 방 전체에 냄새 입자가 퍼져있을 때 입자들이 가능한 배열의 경우의 수가 더 많으니까요.
@veryveryverylongso9090
@veryveryverylongso9090 2 года назад
@@ockbong 저 말 자체로는 엔트로피의 원리와 말이 조금 바뀌었을 뿐 근본적으로 같고, 과학을 이렇게 두루뭉술하게 말로만 이해하는 게 문제가 되기는 하지만, 굳이 말로 이해해야겠다면 다양한 것이 획일화된다고 하기보다는 정렬된 것이 무질서해진다고 생각하는 게 더 낫지 않을까 하는 생각입니다.
@ycgim2410
@ycgim2410 2 года назад
대단한 어머니이십니다. 최교수를 사랑하셔서 하신 어머니의 진정 사랑입니다. 마음 넓으신 불교 신자 어머니의 승리입니다, 몰지각한 예수쟁이는 하느님이 어쩌구 저쩌구 하시겠지. 대단한 어머니이십니다. 종교의 바닥은 다 이기주의 입니다. 최선생님! 폄하가 이니구 사실입니다. 종교가 너무 사회에 깊이 뿌리 박으면 중세로 돌아갑니다.
@ninayang425
@ninayang425 Год назад
정말 훌륭한 강의 잘듣고 갑니다
@user-my2di8ph1w
@user-my2di8ph1w 2 года назад
교수님 강의 감사합니다.
@ecologistkim2915
@ecologistkim2915 2 года назад
자연이 찾아낸 최종의 답안은 다양성이다. 참 좋은 말씀이네요. 다양함을 즐길 줄 알아야 한다는 말씀 기억하겠습니다.
@user-no2xs6nt4k
@user-no2xs6nt4k 2 года назад
어머님이 관세음보살이십니다. 어머님을 존경하지 않을 수 없겠습니다. 모두의 행복과 화합을 위한 길... 기독교인으로 당신 종교의 삶을 바꾸셨지만, 그 마음자리가 부처님이요, 하나님이요, 예수님의 그것일 것입니다. 이 마음자리는 버리고 버려지고, 얻고, 얻어지는 것이 아니기때문입니다. 이 세상에서 할일은 자비와 사랑외에는 없는 것 같습니다. 그런면에서 어머니는 자비와 사랑의 실천가이십니다. 교수님 강의 유익되게 잘 보고 있습니다. 만생명을 이해하고 더 존중할 수 있는 좋은 강의라고 생각합니다...교수님 감사합니다.
@user-mx3mq2be9d
@user-mx3mq2be9d 5 месяцев назад
벌써 여러개를 봤는데 영상들이 제가 평소에 관심있고 고찰하던 주제들이네요! 감사합니다
@user-le8xi2gc5g
@user-le8xi2gc5g Год назад
와 넘 좋은 강의이시네요. 자연을 공부함으로써 얻은 통찰력 참 좋네요
@user-ys5oc6nq1o
@user-ys5oc6nq1o 2 года назад
종교때문이 아니라 종교를 믿는 사람들때문에 모든 일들이 일어났던것 같습니다. 서로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존중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면서도 저조차 가끔 불편한 감정을 느낄때가 있으니 아직 수양이 더 필요한듯 합니다 ^^ 그런면에서 교수님의 어머님은 정말 대단하신 분인것 같습니다.
@medicnmute
@medicnmute 2 года назад
종교의 형상은 결국 종교인들을 매개체로한 실현이 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종교인들 집단의 잘못과 종교의 잘못을 구별하는 거는 무리가 있는 것 같아요. 수양이 더 필요한거는 저도 마찬가지고요 ^^
@Vll7bd
@Vll7bd 2 года назад
불교적인면이 더 넓게 품는다고 생각되고 포용성이 크다 봅니다. 아마 부인께서도 어머니처럼 같은 취지나 성향이 있어 불교로 귀의 하셨을까도 생각해보게 합니다.
@siahn4705
@siahn4705 2 года назад
교수님 어머님이 정말정말 대단하신 분이세요.. 며느리를 위해서, 가족의 평화를 위해서 종교를 바꾸실 결심까지 하시다니..! 그런 포용력을 교수님도 그대로 닮으셔서 생물학을 통해 다양성의 필요성을 늘 주창하시는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어요 :) 13:00 알러뷰하고 쑥쓰러워하시는 교수님.. 너무 귀여우신 거 아닙니깡… 이참에 박제해 봅니다.
@estherchoi2369
@estherchoi2369 Год назад
오늘도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rosemarryy7733
@rosemarryy7733 Год назад
유투브순기능 박사님강의를 안방에서 뵐수있어 감사해요
@CoffeeTRuck3914
@CoffeeTRuck3914 2 года назад
공감합니다, 모든건 변하며 결국 無와 空으로 돌아가는 순환에서 어떤걸 고집할 이유가 없는거죠 (고집멸도 ) 불교철학의 큰 가르침이 포용해준겁니다 시어머니 인품이 그만큼 깊은거구요~ cf. 인생사 괴로움이 가득하고 (고 ) 괴로움의 근본원인은 집착이며 (집 ) 그 집착을 버릴때 (멸 ) 열반에 다다를 수 있다 (도 ) 반야심경 암송 추천드립니다 참고로 전 천주교인입니다~
@user-xj6xn2uw2b
@user-xj6xn2uw2b 2 года назад
역시는 역시..온가족이 존경의 대상이네요, 오늘도 감탄하고 갑니다! 새해복 많이 받으세요♡
@bunnybottle2821
@bunnybottle2821 Год назад
오늘도 이런 좋은 강의 들을 수 있게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ke6wn7du3f
@user-ke6wn7du3f Год назад
좋은 말씀 고맙습니다
@sameunjup
@sameunjup 2 года назад
와...교수님 어머니 진짜 엄청 대단하시고 존경스럽습니다!! 그래서 아드님이 이렇게 훌륭하네....
@Leejunghyun7
@Leejunghyun7 2 года назад
교수님 어머님 정말 훌륭하신 분이네요. 굉장히 어려운 일인데 대단하십니다.
@user-tx2ec2ku1s
@user-tx2ec2ku1s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최교수님 영상 잘 보았습니다.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시각을 엿볼 수 있어 좋았습니다. 혹 기회가 되시면 꼭 대화를 나누고 싶은 생각이 듭니다. 그럴 기회가 허락될 지는 모르겠지만~~ 샬롬!
@user-yr3yx4ev5q
@user-yr3yx4ev5q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어머님이 진짜 어른 이시네요. 존경합니다.🙏
@amirlee2215
@amirlee2215 2 года назад
종교만큼 비논리적이고 모순되는 개념도 없지만, 선함과 이상향을 바라보는 인간의 모습 만큼은 지키고 싶은 마음에 종교가 유지되는것 같습니다.
@monicalee392
@monicalee392 2 года назад
인간이 이해가능한 범위만이 논리라는 소리??!!
@davisshun311
@davisshun311 2 года назад
@@monicalee392 우린 다 인간이니까요
@dreaming606
@dreaming606 2 года назад
진리를 인간의 이성과 철학.자연과학을 위시한 최고의 명제를 믿는 신념적 가르침의 정의를 宗敎란 용어로 인식함?
@minjae92
@minjae92 2 года назад
@@user-pz6tq6hv7v 정확히는 인간이 아니라 거인임. 땅의 것과 하늘의 것이 섞여서 타락한 결과지 단순히 인간만의 심판은 아님.
@veryveryverylongso9090
@veryveryverylongso9090 2 года назад
꼭 종교라고 다 비논리적이고 모순되는 점만 있지는 않죠.
@user-zq9nj5oi9h
@user-zq9nj5oi9h 2 года назад
우리아빠 불교 우리엄마 천주교 자식들 무교 각자 뭔 얘기를 하든 딱히 안 받아들여도 들어는 줌 상대를 부정하진 않으니깐 나름 평화롭네연ㅋㅋㅋㅋ 다양성 인정하는 게 진짜 중요한 거 같아요
@luciaan3209
@luciaan3209 2 года назад
불교+천주교라 가능한 일이라 봅니다. 배타적이지 않은 두 종교라 가능한 일인것 같네요.
@user-le1bq9yi2e
@user-le1bq9yi2e Год назад
많은 과학자들이 종교를 믿고 있으니 무슨 이유가 있겠죠. 다만, 현 대한민국에서의 거대종교들은 선한 영향 보다 그 반대의 영향이 더 크다 생각 되네요. 가장 큰 미덕이 사랑이라고 말하면서 증오를 퍼트리는 모습을 볼때면 저런게 그들이 말하는 악마가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
@tinayeon6435
@tinayeon6435 Год назад
교수님 어먼님께서 아주훌륭하시네요 언제나좋은말씀기다려지네요
@inokjeong2939
@inokjeong2939 2 года назад
교수님의 과학과 종교 그리고 철학까지 겸비된 인문학 강의 잘 들었습니다 다양성에 관해 말씀 하실 땐 그리고 훌륭하신 어머님의 지혜롭고 과감한 결단을 말씀 하실 때 감동이 ~~~ 교수님의 저서, 칼럼, 강의에서 강조하시는 주제를 느낄 수 있어요 다양한 체널로 지속적인 깨우침 기대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fs7zz1bm6i
@user-fs7zz1bm6i 2 года назад
똑같은 주제라도 교수님의 말씀은 겸손과 진솔함이 묻어나네요.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mina-fd3xt
@mina-fd3xt 5 месяцев назад
말씀을 너무나 잘하시고 지식으로 은혜주시니 감동이고요
@sosite007
@sosite007 Год назад
누구에게 물을 수 없는 마음에만 품었던 의문을 이렇게 들을수 있다는게 놀랍게 감사합니다 구독 꾹~~~
@stellalee5967
@stellalee5967 2 года назад
정말 너무 좋은 강의에요. 동물학자로서 교수님의 의견이 참 궁금했는데, 뭔가 정말 생물학자로서 하지만 동시에 인간으로서의 관점으로 던져주신 것 같아서 신선하면서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게되는 내용입니다. 감사합니다 최재천 교수님. 알러뷰라고 마무리하시다니ㅠㅠ 정말 존경스러운 강의!
@user-gy7mg8ns8f
@user-gy7mg8ns8f Год назад
@user-rr6ex1cz9m
@user-rr6ex1cz9m 2 года назад
옛날ebs에서 강의 들어보고 늘 교수님의 강의를 찾아들어보고 있습니다. 이렇게 좋은 강의를 자주 무료로 듣게 해주심 정말 정말 감사드립니다.^^~ 느긋한 말씀 한 마디 한마디가 힐링과 깨우침을 얻고 있습니다 건강도 함께 꼭 챙기세요^^~
@careertech4886
@careertech4886 8 месяцев назад
교수님 존경 합니다 😊😊
@user-wz3eq1fk4z
@user-wz3eq1fk4z Год назад
감사합니다. 종교와 과학의 공존에 대하여 감명받았습니다. 재차 감사드립니다.
@Angry_maltese
@Angry_maltese 2 года назад
교수님 양질의 컨텐츠 유튜브에서 감상할 수 있어서 너무나도 영광입니다 늘 건강하시고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kkue_nut9560
@kkue_nut9560 2 года назад
교수님과 제작진 여러분들 새해복 많이받으시고 올해도 좋은영상 부탁드립니다 ^_^!
@kkue_nut9560
@kkue_nut9560 2 года назад
@호연개인적인 의견은 제가 쓴 댓글말고 다른곳에 다세요..^^
@sagebrush7930
@sagebrush7930 2 года назад
@호연 저런 좋은 강연을 듣고도 저런 황당한 댓글을, 것도 대댓글로 다세요?
@sagebrush7930
@sagebrush7930 2 года назад
@호연 영상을 보셨나요? 영상을 보고도 그런 생각이 나서 그렇게 생각하고 여기에 이렇게 적었다면, 앞으로 님은 공부하는 것이 시간 낭비입니다.
@icrushchildrensdreams4556
@icrushchildrensdreams4556 2 года назад
@호연 ok delusional.
@bjghosea
@bjghosea Год назад
그저 교수님의 생각을 들을 수 있다는 것에 감사할 따름입니다.
@yyoha1
@yyoha1 2 года назад
보통 ..유투브 골라 보는데..교수님 강의 나올때마다..제목도 나도 궁굼하고 모두가 궁굼해 하는 사항이라 정독하게 되고 배타적이지도 않고 지식과 성찰을 통해서 공감 하게 되네요. 교수님도 잘만나시고 아내분도 잘 만나시고 화합하시는 어머님도 정말 보기 좋으시네요.
@mial4425
@mial4425 Год назад
궁'금'
@parksamuel5443
@parksamuel5443 2 года назад
정말 제 평생을 고민했던 화두에 대해 교수님의 경험, 지식과 지혜를 솔직하게 말씀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꾸뻑~!
@mrlej2
@mrlej2 2 года назад
어우 , 좋은 내용이네요~
@user-cu1cl2hg4y
@user-cu1cl2hg4y Год назад
좋은말씀 감사합니다
@user-dh8cd1pv3g
@user-dh8cd1pv3g 2 года назад
교수님이 복잡다난한 이 시대에 정말 명답을 주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solana9229
@solana9229 2 года назад
너무 재밌는 내용! 항상 감사합니다~
@yingzijin6057
@yingzijin6057 Год назад
귀한말씀에 동감합니다.다양성이 좋은 같아요.서로 틀을 정하지 말고 교통하면서 오래된 관념을 깨는 그런 사회가 됐으면 좋겠 습니다.
@user-ui8vt8oe8j
@user-ui8vt8oe8j Год назад
종교와 과학은 각자 그 역할에만 충실하면 된다고 봅니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나라의 종교 중 일부(특히 기독교 일부)는 본래의 취지를 많이 벗어나 있다는 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많다고 생각합니다
@user-tr2hb6dw2j
@user-tr2hb6dw2j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신은 인간이 필요해서 만든것,,,, 쯧쯧 감사합니다
@user-os3iy5ps9e
@user-os3iy5ps9e 2 года назад
편집자님 자막이 보기 쉽게 깔끔해 져서 가독성이 좋아진 거 같습니다 ^^
Далее
종교를 꼭 가져야 하나요 (모음)
33:56
Просмотров 2,3 млн
КВН 2024 Высшая лига Четвертая 1/4
1:52:57
미신을 믿는 과학적인 이유
38:27
Просмотров 854 ты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