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과 역상을 합치면 2배가 되는것이 아니고 0 이 됩니다. 물리의 기본입니다. "위상반전 노이즈 제거" 찾아 보시기 바랍니다. 지진피해를 막으려고 건물에 설치하는 제진 장치에도 지진의 위상을 반전시켜 건물에 가해서 합계지진력을 0 으로 하는 방식이 있습니다. 두배가 되게 하려면 정상 또는 역상중 한개의 위상을 반전시킨 후 합쳐야 합니다. 실제 회로에서는 위상을 반전 시키지 않고 한쪽 출력의 머리에 다른 쪽 출력의 꼬리를 결합해서 두배가 되게 합니다. 원숭이 한 마리를 땅에 앉히고 그 머리 위에 다른 원숭이를 올려서 아래 원숭이의 꼬리와 위 원숭이의 머리에 스피커를 연결하면 두배가 됩니다. 머리는 머리끼리 꼬리는 꼬리끼리 연결하면 출력이 0 이 됩니다.
물론 선생님 말씀도 맞지만요 , 제가 이해하기론 위 동영상 4:00분경 설명은 채널당 출력관 1개인 A급 증폭은 신호가 부하선 동작점이 중간에 잡혀 입력신호가 정 역 위 + 아래- 위상 파형 모두 증폭되나 출력의 진폭이 작아 전압증폭도가 AV이라하면 그에 비해, 출력관으로 채널당 두개 쓴 AB급 푸시풀 증폭은 부하선상의 동작점을 중앙에서 차단점 하단부에 가깝게 잡아 위상분리된 파형의 위+와 아래-파형을 각각의 진공관이 나눠서 증폭해 출력트랜스에서 위아래 위상 파형을 합쳐 전압증폭도가 2AV라면 , AB급 푸시풀 증폭이 A급에비해 전압 증폭도 즉 이득이 2배 되었다고 비전공 일반인들 알기 쉽게 비유해 설명한것 같습니다. 그런 의도로 설명한거라면 인도주재원님 설명이 맞는것 같습니다.
안녕하십니까. 오디오에 지식을 알리려는 대단한 열정에 찬사을 들입니다. 한가지 빠뜨리고 설명한 점이 있는 것같아서 몇자 곁들입니다만 좋게 받아들였으면 좋겠읍니다. 케소드 결합위상반전인데요 선생님께서 설명하신 그위상반전에는 꼭 그리에 B+ 가 공급 되여야 결합 케소드에 그보다 몇볼트 높은 전합이 걸리고 그래야 위상반전이 일어남니다. 보통 그 그리드는 첫 전압증폭한 진공관에 PLATE 에 보통 연결되더군유. 첫단에 쓰자면 b+ 가 필요없지만 대신 결합캐소드에 -- 전압을 공급해야겠지요 이것이 차동 증폭(위상반전)회로 이 겠지요. 어떤회로(미국앰프)는 Leak amp 에 쓰이는 위상반전 회로을 초단에 쓰더군요 이것은 어떤전압도 그리드에 연결하면 않되고 케페시타 을 써서 DC 전단과 차단하지요 왜냐면 자체 CATHODE 에서 b+ 을 공급하지요. 회로을 보시면 알겠지만 결합 케소드에서 저항을 거처 또 양그리드에 3M OHM 저항이 다시 각각 연결되어 그리드에 B+전압을 공급되며 양그리드 저항과 케소드 저항이 연결된 점에서 또하나에 저항으로 그라운드 시킴니다. 물른 같은파형이나오는 진공관 그리드는 콘덴사로 그라운드시키지요. 실제로 위상반전 회로중에 차동증폭위상 반전 회로가 제일 좋은것 같읍니다. 실제로 만들어 오슬로 스코프 걸어서 양측이 아주 똑같은 사인파을 만들어보았읍니다. 아주보기좋은 파형이 variable resister 에으해서 아주똑같게 조정 할수 있어서 좋았읍니다 .부디건강하세요.오디오펜을 위해서 수고하시는점고맙게 생각 합니다.LA 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