Тёмный

첼로 영재 진우, 색다른 첼로 거장 수업에 ‘당황·깨달음’ @영재 발굴단 143회 20180117 SBS 

SBS STORY
Подписаться 1,8 млн
Просмотров 407 тыс.
50% 1

영재 발굴단 143회 20180117 SBS
첼로 영재 진우는 첼로의 거장의 수업 방식에 당황하는 모습을 보이지만 큰 깨달음을 얻는다.
홈페이지 program.sbs.co.kr/builder/prog...

Развлечения

Опубликовано:

 

16 янв 2018

Поделиться:

Ссылка:

Скачать:

Готовим ссылку...

Добавить в:

Мой плейлист
Посмотреть позже
Комментарии : 223   
@jinjuim3432
@jinjuim3432 4 года назад
영재발굴단 이렇게 아이들에게 넓디넓은 시각을 선물해줘서 좋았는데 ㅠㅠ 계속 방영 했음 좋겠다
@user-mj2bc9zm7p
@user-mj2bc9zm7p 4 года назад
JINJU IM 으라차차아이들이라고 태균님과 동일제작진이 유투브로 진행중이에요!
@jinjuim3432
@jinjuim3432 4 года назад
Zooz Ha 홀랭 대애박!!!! 알려주셔서 감사해요!! 대박사건
@josiec7348
@josiec7348 6 лет назад
예술을 논리적이고 이성적이게 주입식으로 배우다가 진짜 예술적인 감각의 교육을 받으니 당황할만하지요
@user-zu5fp3vp6j
@user-zu5fp3vp6j 6 лет назад
그냥 선생님이 가르치는걸 따라가는게 아니라 생각을 많이 하고 자기 색깔을 찾아가는 교육방식 유럽에 와서 제 아들도 새삼 깨닫게 되었죠
@chilling996
@chilling996 4 года назад
정명규 ㅈ까세요
@chilling996
@chilling996 4 года назад
오이잉 ㅋㅋ아줌마 길 가다가 내 눈에 보이지마^^
@taewankim9442
@taewankim9442 4 года назад
​@@chilling996 넌 길가다 한번 봤으면 좋겠다 ㅋㅋㅋ 이름처럼 꺼져~ 알렉스 고~
@chilling996
@chilling996 4 года назад
Taewan Kim ㅋㅋㅋ사촌이냐? 이름도 ㅈ같네
@Lord_Unicorn
@Lord_Unicorn 4 года назад
@@chilling996 ㅉㅉ 요새 많이 힘든가봐
@W.T.F.7777
@W.T.F.7777 6 лет назад
입시레슨이 아니라 감정을 가르치네요.
@seouloverpark2332
@seouloverpark2332 6 лет назад
Umhahaha 감정 이전의 음악 본질에 대한 대화?겠죠.
@ernestkim6028
@ernestkim6028 6 лет назад
가르 치 네요
@W.T.F.7777
@W.T.F.7777 6 лет назад
717 717 예 예 예..
@aileeinnl9412
@aileeinnl9412 4 года назад
이래서 클래식하러 유럽가는구나
@groobeast8926
@groobeast8926 4 года назад
하고 싶은 말이 많은 댓글들이 보이네요.... 저 애가 그동안 받아왔던 교육은 나쁜게 아닙니다. 그덕분에 저정도 연주력을 얻은 거에요 어린나이에. 테크닉을 일단 길러야 표현을 하죠. 어느정도 테크닉이 길러졌으니까 저 애한테 표현에 대해 가르친거죠 저 교수님은. 주입식 교육은 분명 단점도 있지만 정말 좋은 장점도 있다는 것을 많은 분들이 놓치시는 것 같네요..... 특히나 음악이라 하시니까 그냥 저런 추상적인 것을 가르치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하시는 분들 많으신것같은데 눈물 흘릴정도의 슬픈 때에 피아노 치시면 슬픈 연주를 하실수 있을것 같아요? 아뇨. 도레미파 솔라시도도 모르는데 무슨 연주를 하시겠어요.... 그냥 슬프고 마는겁니다. 그걸 누가 못해요. 슬플때 슬픈 감정느끼는거. 그걸 표현할 테크닉이 먼저입니다. 그 다음에 표현하는 거에요. 저 교수님의 방법이 틀렸다는게 아니라 우리 나라에서도 주입식으로 일단 테크닉 오지게 연습시켜서 나중에는 저런식으로 음을 감정을 담아 표현해내는 거 가르쳐요 ㅎㅎ
@user-tv7bq2ft6w
@user-tv7bq2ft6w 4 года назад
공감합니다. 테크닉이 안되면 아무리 좋은 감성을 가지고 있어도 필요없어요. 좋은 기본기와 테크닉이 있어야 표현도 한다는 말 공감합니다. 사실 저 아이는 네 남매중 가장 음악적인 재능이 없던 아이예요. 어릴 때 노력을 많이 해서 노력형 아이예요. 연습을 많이해서 테크닉이 되니 어느날 날 좀 보라며 대가 같지 않냐며 표현도 하더라구요. 저는 천재,영재라는 말은 좋아하지 않아요.아무리 가진 재능이 많다한들 노력이 없으면 아무소용 없습니다. 기본기와 테크닉이 먼저되어야 음악적 표현도 할 수 있습니다.진우를 아직 유학 보내지 않고 국제콩쿨에 나가지 않는 이유입니다.아직은 한국에서 더욱더 꼼꼼한 교육을 한 뒤에 됐다싶으면 더 많은 음악을 배우러 보낼 생각입니다.아직도 지금 한국 선생님께 배울게 많아요. 기본이 됐을 때 아이 스스로가 더 많은걸 받아들일 수 있을 때 보낼 생각인데 댓글엔 한국 교육에 대해서 비판적이고 유학 가야 성공한다 이런 댓글이 많네요...
@groobeast8926
@groobeast8926 4 года назад
저 아이를 가르친 선생님의 능력도 대단하다고 생각되어집니다. 아시는분은 아실텐데 어린 아이가 악기를 연주하고 그걸 연습해서 더 잘해내고 이런 것들이 쉬운일이 아닙니다....분명 저 아이의 선생님의 가르치는 스킬이 좋았다고 생각합니다. 감성적인 걸 왜 안가르쳤냐고 태클거시는 분들 계실텐데 저렇게 어린 나이에서는 일단 테크닉을 기르는게 먼저이기 때문에 그랬을거라 생각되어집니다. 감성만 키워서는 연주자라 할 수 없어요...그냥 감수성 풍부한 일반인이지. 조금 다른 이야기지만 빅터 우튼도 일단 화성학을 끝까지 다 배워서 얻어내라 하셨죠. 그리고 그 모든 것을 알고 난 뒤에 모든 이론을 뛰어넘는 연주를 할 수 있다 했으니.... 저 아이가 앞으로 세계 무대에서 활약하려면 일단 무진장 기본기 연습 해야합니다... 어린 나이이기에 더욱 주입을 하는 교육을 할수밖에 없는 겁니다. 감성이 아무리 좋으면 뭐해요? 말을 못하는데. 일단 말을 할줄 알아야죠. 한국말을 배워야 한국말을 하는겁니다. 그리고 말을 배우는데 제일 효과적인건 그 말을 수백 수천 수만번 듣고 말하는 겁니다. 그렇게 말을 어느정도 구사할수 있게 되면 이제 표현을 어떻게 하면 이쁘게 할까 고민하는거죠. 아 님이 문제가 있다는게 아니라 이 영상만 보시고 조금 제 의견과 다른 판단을 하시는 분들이 많아서.... ㅎㅎ 응원합니다!
@user-vo9jf8om9l
@user-vo9jf8om9l 4 года назад
너무 좋은말을 해주셨어요 수학도 우리나라가 아이들의 창의력이나 사고력을 무시한채 너무 주입식으로 가르친다고 하지만 기본적인 개념이나 계산을 못하면 창의력을 기를 수가 없죠 어떤 학문이든 어느 수준 이상의 테크닉을 습득해야 응용도 가능하고 자신의 것으로 표현할수 있는것 같아요:)
@user-dy7sb2di9m
@user-dy7sb2di9m 4 года назад
@@user-tv7bq2ft6w 순수하게 궁금해서요..진우님 부모님이세요?
@user-tv7bq2ft6w
@user-tv7bq2ft6w 4 года назад
@@user-dy7sb2di9m 네 맞아요. 영상보고 독일과 우리나라 교육을 너무 비교한지라... 우리나라도 좋으신 선생님들 많으신데 괜히 좀 그래서 글 남겼네요~
@tanuki2318
@tanuki2318 4 года назад
진짜 영재라는게 느껴지는게 저 친구 인터뷰할 때 말도 조리있게 잘하네. 왠만한 성인보다 말도 잘하는 듯
@user-ru3kt9ei7y
@user-ru3kt9ei7y 4 года назад
@minsooh3871
@minsooh3871 4 года назад
진짜 어린아이가 말하는 것 같지 않고 성인처럼 생각하고 말하는 줄 알았어요
@user-zs6yc3sx9q
@user-zs6yc3sx9q 3 года назад
@bluesky6751
@bluesky6751 6 лет назад
뭘 잘못했다고 어뜩하니 이러고 있냐 일생 일대의 기회에 아이가 성장하고 있는데 전형적인 한국엄마는 우리 아이가 한국애가 혼나지 않길 바라기만 하네.. 혼내는것도 아니거니와 정답을 맞추는것도 아니고 심지어 애가 한번에 잘 해내는것도 이상한건데..
@user-qn4ij4wd9l
@user-qn4ij4wd9l 6 лет назад
ㅋㅋㅋㅋㅋㅋ패널딴에는 애기가 대답못하고 쩔쩔매니까 안타까운 마음에 어떡해~하는거같아요ㅋㅋㅋ
@merge_twolines
@merge_twolines 4 года назад
음x3 ㅆㅇㅈ
@qoennmgdkfk6101
@qoennmgdkfk6101 4 года назад
그냥 직업상 리액션해주는거죠 뭐 ㅋㅋㅋ
@Goggwaeng_i
@Goggwaeng_i 3 года назад
@@user-qn4ij4wd9l 이게 맞는듯
@user-cn8gq2ij3t
@user-cn8gq2ij3t 3 года назад
전형적인 맥락맹... 저게 애를 다그치는 걸로 보이나? ;;
@user-qd3by3gj2o
@user-qd3by3gj2o 4 года назад
진심 한국교육 받다가 독일로 이민을 가게 된 저로써 독일교육을 받다보면 순간적인 답이 딱 보이지 않는 애매한 느낌의 철학적인 질문을 많이 선생님들께서 수업시간에 하시는데, 그 순간 물론 질문은 이해했어도 답이 바로 나오지 않는 제 자신이 너무 답답함... 지금까지 그런 교육을 받아왔을 독일친구들은 잘 대답을 하는데... 내가 순간 얼빠진 바보가 된 느낌... 아니.. 지금까지 바보로 살아왔을 수도...
@user-rr4zq7tr7m
@user-rr4zq7tr7m 4 года назад
우리 교육방법과 평가방법이 도제식이라 그렇죠. 스승이 제자에게 자기의 지식과 경험을 전해주는 방법이요. 그래서 답은 찾을수 있지만 질문하는 방법이 바뀌면 답읗 찾을수 없게 됩니다. 90년 중반에 한 IT기업에서 신입직원 뽑는데 문제를 푸는게 아니라 만들어라 했었어요. 우리도 바뀌어야 하는데.. 교사집단은... 절대 안바뀌는 집단이라.
@user-kr3kd3uz9b
@user-kr3kd3uz9b 4 года назад
@@user-rr4zq7tr7m 동의합니다 하지만 교사집단에만 책임을 돌릴 수 있는 문제는 아니고.. 교육열 입시 등 우리 사회 전반이 바뀌지 않으면 자유롭게 교육하기가 어려울 거예요 요즘은 그래도 제도적 차원에서 여러 변화의 움직임이 보이는데 앞으로 학생들이 질문할 수 있는 교육이 이루어지면 좋겠네용
@lorenzo7053
@lorenzo7053 3 года назад
한국인도 분명 질문에대해 답을 생각해내긴 합니다. 다만 그게 완벽한 정답이 아니라는 생각이 1프로라도 들면 내뱉기를 주저하죠. 저기선 말문이 막히면 바보가 되고 여기는 틀리면 바보가 되니까요
@yongpak4086
@yongpak4086 4 года назад
진우군한테 너무 서중한 시간이라 생각해요. 넓은 시야에서 더 많은걸 배웠으면 하네요. 진우군 너무 너무 장하다...앞으로의 모습 기대할게요.
@LEEJIHYUN1991
@LEEJIHYUN1991 4 года назад
이탈리아에서 첫 시험칠 때 저런 느낌이였는데😂 유럽학생들은 틀린답을 말해도 당당하고 선생님은 혼내지 않으시고. '니 생각도 답이 될 수 있어' 라고 말씀하시더라구요.
@minsooh3871
@minsooh3871 4 года назад
진짜 좋다... 저런 방식의 교육이 진짜 교육이지. 창의성을 길러주는 교육... 현재의 한국 교육은 정보를 더 많이 집어 넣는 교육이기 때문에, 나중으로 갈 수록 기계랑 경쟁하기 더 힘들어질 것으로 예상함... 결국에는 저렇게 생각하는 능력을 길러주는 교육으로 가르침받고 성장한 인재들이 세상을 바꿔가겠지
@user-gk8mi1wy2j
@user-gk8mi1wy2j 4 года назад
가장 좋은 선생님은 답을 찾아가는 질문을 잘 하는 선생님인 것 같다고 영상을 보면서 느꼈습니다. 예술 특히 음악은 자신의 감정과 표현을 찾아야 하는 것이기에 더 교육방식이 중요하다고 생각되네요. 좋은 영상 감사히 보고 감사합니다.
@speedgrade6
@speedgrade6 3 года назад
댓글로 자주 읽는데, 글마다 교훈을 남기시는 최경선 선생님~ 정말 반갑습니다
@user-te2el1px2s
@user-te2el1px2s 3 года назад
우왕 영재발굴단에서 첼로천재는 처음보는 것같애요! 평소에 유튜브로 클래식음악을 즐겨듣는데 연주소리가 듣기 좋습니당! 앞으로의 행보를 응원하겠습니다
@user-sg1nl6sl9r
@user-sg1nl6sl9r 4 года назад
한국의 교육은 뭔가 네모안에 틀에서 가르치는 느낌이면 외국은 상상력을 자극하는것같은 느낌
@user-gc7we5tk9l
@user-gc7we5tk9l 4 года назад
외국이 아니라 유럽이겠죠 한국빼고 모든 나라의 클래식교육이 상상력을 자극하나요..한국만 틀안에서 가르치는건아닙니다
@user-xu4ft9rp7e
@user-xu4ft9rp7e 3 года назад
한국이 왜 틀안에서 가르치는거임????교수님들 저렇게 레슨 다하심 기본기를 먼저 튼튼하게 만들고 하는거지
@user-gu5gu3ie8f
@user-gu5gu3ie8f 3 года назад
교육 좆문가
@user-qq2rq1qe9r
@user-qq2rq1qe9r 4 года назад
너무 좋은 가르침니다 ㅠㅠ
@user-di6jo3fw3e
@user-di6jo3fw3e 4 года назад
감정 표현♡ 슬픔도 기쁨도 다양한 색이 있습니다~ 사람 감정이 다 다르듯이요 작곡가의 의도를 파악하고 곡을 분석하고 음하나하나가 만나 프레이지와 곡 전체에 따라 감정을 변화하고 표현하면 연주하는 것 저는 지금 취미 해금레슨 배우는 분들에게도 이렇게 레슨하고 있는데요... 한국에서 배울 수 없는 수업 아닙니다 ㅠㅠ
@user-ku9lt9ts5w
@user-ku9lt9ts5w 4 года назад
그런걸 그냥 가르쳐주고 해보라고 하나요, 영상처럼 물어보나요?
@wanjin75
@wanjin75 6 лет назад
주입식 교육의 현실이죠. 개성있는 좋은 첼리스트가 되길 바랍니다
@jjuntae0207
@jjuntae0207 2 года назад
짧은 동영상이었지만.. 많이 배워갑니다.
@user-rs4ju8qs9i
@user-rs4ju8qs9i 3 года назад
영재발굴단.계속 했으면 좋겠어요
@user-zy4jd8nk2r
@user-zy4jd8nk2r 3 года назад
독일은 우리나라처럼 답이정해져있는게 아니라 사람이 스스로 사고방식을 할수있도록 해주는 좋은 교육관을 가지고있습니다
@kanny6317
@kanny6317 4 года назад
와~~ 수업 스타일이 캬~ 신기하고 색다롭다
@Viexxxxx
@Viexxxxx 4 года назад
그래. 그냥 첼로연주를 들으려면 거장의 음반을 사서 들으면 되지.. 각자의 색깔을 내는게 진짜 음악에서 심오한 단계라고생각함.
@ch.j7056
@ch.j7056 3 года назад
좋은 방향성이다....저런 아이들은 이런 방식에 노출되어서 머리와 가슴으로 같이 느껴지는 감정을 끌어내는 자연스러운 훈련을 받아야 크게 성장할 텐데.....좋은 기회가 주어지면 좋겠네요...
@user-kl6lz4uy2v
@user-kl6lz4uy2v 4 года назад
스스로 느낌을 표현하는방식을 배우는 하~
@Musso1324
@Musso1324 4 года назад
어떻게 생각해? 라고 물어보는 선생이라니 ... 더이상 테크닉으로 음악을 보는게 아니라 전체를 읽고 같이 흐르자는건데 대박인거지
@Joomiish
@Joomiish 6 лет назад
너무 멋있다..... ㅠㅠ
@sue1116
@sue1116 6 лет назад
전 비엔나 음악학교 (Musikschule)에서 플룻,피아노 배우는데 거의 진짜 똑같이 배워요.
@JK-JongKim
@JK-JongKim 4 года назад
비엔나 소세지 맛있나요?
@minzy_2263
@minzy_2263 4 года назад
뭔가 뭉클.. ㅠ
@vb6369
@vb6369 4 года назад
진짜 영화에서나 나올 법한 대사들.. 멋지다
@user-kk7ug4uh9g
@user-kk7ug4uh9g 4 года назад
둘 다 너무 멋지다
@mabins949
@mabins949 4 года назад
0:37 서프라이즈 장면인줄..
@danakim7800
@danakim7800 3 года назад
ㅅㅂ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ㄴ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leejanghyun
@leejanghyun 4 года назад
저도 레슨시에 하나의 곡을 여러가지로 해석이 가능하며 그 중 가장 자신에 맞는 느낌을 찾아야 한다고 하는데 대부분 답을 알려주기를 바랍니다.
@Kiki-zc3mh
@Kiki-zc3mh 4 года назад
이장현 학교마다 요구하는 느낌이 있지않나요? 그 정답을 알려주길 바랄듯.. 정말 어디서부터 잘못된건지 모르겠어요
@jeckery11
@jeckery11 4 года назад
마치 마이클 조던이 농구의 철학을 가르쳐주는 듯한 느낌이네요.. 음악의 기본을 견고히 다지는 깊은 배움의 시간이었기를...
@user-rh4jq4zi1c
@user-rh4jq4zi1c 4 года назад
당황하면 저 나이때 아이는 짜증내거나 그러는데 당황하면서도 뭔가 고민한달까 그 당황스러운 경험에서도 배울것같네 영재는 영재다
@user-ur7sy2kp1p
@user-ur7sy2kp1p 4 года назад
저정도 질문,피드백 듣는게 대단한거다.. 우리 같은 사람이 10년 배워도 저 자리 가봐라.. 나가는 문은 뒤쪽이라고 통역사가 말할껄
@jijues
@jijues 3 года назад
바로 몇일전 커서 헨리를 밟아버림! ㅋㅋㅋ 나도 이제서야 봤는데 진짜 연주 더욱 더 잘하며 감정도 느껴져요!
@user-nf7ym4zt8f
@user-nf7ym4zt8f 3 года назад
맞어요..완전...맞는 말씀..!!!
@eunkyochoi2238
@eunkyochoi2238 4 года назад
넘나 좋을 듯. 다시 태어나면 나도 영재하고픔! :)
@ey5487
@ey5487 5 лет назад
괜히 베를린음대가 아니다 진짜
@Om_Yom
@Om_Yom 4 года назад
쟤가 만약 대학생인데 교수님이 업보우로 해볼래??했을때 업보우로 하라구요??저 다운보우로 하는데요??하면 분위기 살벌해질듯ㅋㅋㅋㅋㅋㅋㅋ어휴
@bcj4999
@bcj4999 4 года назад
그니까 까라면까야지
@user-bf1fu8jb5w
@user-bf1fu8jb5w 3 года назад
완전 인정요ㅋㅋㅋㅋㅋㅋ
@user-ci2ty3eu2z
@user-ci2ty3eu2z 3 года назад
ㅋㅋㅋㅋㅋㅋㅋㅋㅋ 저도 이거 완전 인정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고냥 바로 쫓겨날듯ㅋㅋㅋㅌㅌㅌㅋㅋㅋㅋㅋ
@user-qu8bt7rv8t
@user-qu8bt7rv8t 4 года назад
왠지 저 아이는 저 수업방식이 충격먹을만큼 신선하고 맘에들어해서 저 학교를 가서 저 교수님께 지도를 받고싶어할 것 같다.
@koko-hr1os
@koko-hr1os 3 года назад
기본이 탄탄하니깐 저런 수업도 가능한듯
@user-wn9qf5ff5e
@user-wn9qf5ff5e 4 года назад
여윽시 유학이 답이다
@mariannekang1073
@mariannekang1073 4 года назад
그래~~~음악 도 시 이니까.....문장을 읽듯이 하는거지. ㅎㅎ👍
@sv04068
@sv04068 4 года назад
한국 대학도 저런 식으로 가르치는데 뭘 저기서만 배울 수 있다고 하시는지들... 물론 입시레슨은 주입식이 심하긴 한데 대학교수들은 절대 그렇게만 안가르칩니다
@elizabethlize9548
@elizabethlize9548 4 года назад
대학은 그렇겠죠? 하지만 입시라던지 이렇게 영상속의 상황과 같은 것에 있어선 그렇지만은 않다고 느껴집니다. 음악은 하진 않았으나 음악이 아닌 다른 분야에서도 이런 문제는 마찬가지로 있구요. 저도 예체능으로 입시도 겪어봤지만 환경의 차이는 난다고 느껴집니다. 친구중에는 미국에 살면서 최고 미대에 합격한 친구도 있고 여럿 다양한 친구들이 존재하는데 궁금해서 직접 물어보면 한국과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진행되는 과정이나 환경이 참 신기하고 새롭고 부럽기도 하더라구요 보다 자기만의 것을 자유롭게 추구하며 해나갈 수 있다는 것이 이와 반대로 저는 매일 정해진 답이나 규칙속에 방황하고 제 자신을 잃어버렸던 기억이 큽니다. 불과 1년전이기에..물론 이렇지 않은 사람도 있겠지만 입시 중 이런 경험은 많은 아이들이 겪기도 하죠. 힘듦이나 불안, 고통은 사람마다 각기 느끼고 극복할 수 있는 강도는 다 다르니까요. 저는 보다 목표가 무엇이 됬던지 간에 지도자는 꾸준히 아이들에게 흥미와 즐거움을 느끼도록 도와주고 이로 인해 많은 아이들이 편안하고 행복한 환경속에서 자유로운 나만의 예술을 하게 되길 간절히 바랄뿐입니다.
@daheelee8264
@daheelee8264 4 года назад
대학전에 저렇게 가르치는 수준급 선생님을 만나기 힘드니 그렇죠.... 그리고..예술은 주입식으로 굳으면 더 크게 되기 힘들지 않을까싶어요.. 이영상에서 영재를 가르치는것에 포인트 두시지 마시고 다른관점에서도 보시는게 필요하실듯...
@sv04068
@sv04068 4 года назад
@@daheelee8264 저는 한국 예술 레슨 질이 이만큼 좋지 못하다는 이야기에 논점을 둔 거 였습니다 저도 썼듯이 입시레슨은 주입식이 심하다고 밝혔구요 사실 주입식이 무조건 나쁘다고 하면 안되는게 저런 감정 표현을 발휘하기 위해서 기술을 먼저 숙지할 수 있게 도와주는 면도 분명히 있습니다 어쨌든 결론은 비록 한국이 주입식 레슨이 주를 이룬다 하더라도 이정도 수준의 레슨도 받을 수 있다는 얘기를 하고 싶었던 겁니다
@daheelee8264
@daheelee8264 4 года назад
@@sv04068 꼭 주입식 교육만을 통해 기본기를 다질수있을까요? 이런 방식의 교육들을 통해서도 충분히 레슨이 되지 않을까 싶은데.. 그리고 기본기가 어느정도 된 아이들이 어디서 대학교 급의 교육을 들을 수 있다생각 하시는지도 궁금합니다...
@mydream_14_TomSawyer
@mydream_14_TomSawyer 4 года назад
그렇다면 저 아이는 대학가서야 배우는걸 10년 미리 알게되는거네요^^
@eslee0070020
@eslee0070020 4 года назад
모든분야에 적용된다. 세상에 정답은 없다.
@user-ss3pz9lf3d
@user-ss3pz9lf3d 4 года назад
기본기가 있어야 기술도 부리고 응용도 하는거다 진짜 전세계 역사적으로 타고난 사람 빼고는 기본기가 탄탄한걸 기반으로 응용을 통해 발전하는거지 기본도 없이 응용부터 바라는게 개똘빡이 생각이지
@dean3707
@dean3707 4 года назад
음정틀리면 틀리다하고 활 보잉이 다르면 다르다고 하는거랑 그냥 차원이 다른 레슨인데... 그걸 모르네....
@user-tv7bq2ft6w
@user-tv7bq2ft6w 4 года назад
물론 아이가 가진 재능을 이끌어 주는 교사가 훌륭한 교사 맞아요.그런데 음정이 틀리면 지적해주고 보잉이 다르면 얘기해 주는것도 맞지 않나요?
@jnastring4767
@jnastring4767 4 года назад
미국 뉴욕에서 음대예비학교 교수님들도 저리 가르쳐서 처음 몇달 당황했었음😅 뭐지? 뭐지? @@;;; 많은 사고의 전환이 되었네요~
@user-zh2kr9qt8p
@user-zh2kr9qt8p 3 года назад
감동했다. 너의 음악이 질문인가? 아니면 답인가?
@kkparap7065
@kkparap7065 4 года назад
한국에서 음악하시다 유럽에서 활동하시는 분이 말씀하시길 한국 음악교육은 잘못 됐다더군요. 어릴때 음악을 좋아하게 만들어야되는데 음악을 싫어하게 만드는 경우가 많다고.. 요즘은 달라지고 있지만 다들 자 세워서 손등 맞아가며 레슨받은 경험이 있을 겁니다. 저희 오빠도 피아노학원에서 손등 터지게 맞다가 집에 와서 피아노 학원 더이상 안 나가겠다며 울었죠. 저도 맞아가며 꾸역꾸역 초등학교 졸업때까지 쳤지만 그 이후로는 피아노에 손대본 적이 없어요.
@user-rr4zq7tr7m
@user-rr4zq7tr7m 4 года назад
한국에서 성악하시는 분들이 조수미씨는 성악가가 아니다 라고 하시기도 하지요.. 바라보는 관점이 다를뿐입니다.
@user-oo5tc4qy3u
@user-oo5tc4qy3u 4 года назад
한국은 아직까지도 결과중심에 보여주기가 큽니다.. 그 과정에서 아이들을 닥달하는 교수자들이 너무 많죠.. 그러나 그 와중에서 과정중심의 레슨을 하시는 선생님들도 언제나 계십니다. Kk님은 결과중심의 기술전수만을 목적으로 하시는 분을 만나신 것 같아서 참 마음이 안 좋습니다..ㅜㅜ
@kkkkkk-sb5zi
@kkkkkk-sb5zi 5 лет назад
우데카다.,.
@user-hw1jv6uv3p
@user-hw1jv6uv3p 4 года назад
우리는 입시용 음악
@user-tz8ps1ne7y
@user-tz8ps1ne7y 3 года назад
주입식이 좋다고만 할 순 없지만 그렇다고 안 좋은 점만 있는 것도 아닌데. 솔직히 기본기 다지고 기술 배우기에는 주입식이 짱이긴 함
@rosefragrance6639
@rosefragrance6639 4 года назад
와.. 이거 알것같아. 시니어의 김연아와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의 김연아의 느낌이차이를 벌리는게 이런류의 싸움이구나
@user-qy2xw4gf6x
@user-qy2xw4gf6x 4 года назад
예술은 스킬이 아니라 해석이지! 어떤 나만의 해석에 테크닉으로 풀어낼것인가...
@user-ql9ce6ng4i
@user-ql9ce6ng4i 4 года назад
한국교육의 한계는 다른 나라의 교수법으로 한계를 느낀다
@collinslee4383
@collinslee4383 4 года назад
대한민국 영재근황 궁금해요! 언론과 부모들의 허상과 욕심을 현근황으로 반증할듯
@user-ix5iv4rz2g
@user-ix5iv4rz2g 3 года назад
💕
@nus6954
@nus6954 6 лет назад
업과 다운의 차이는 조금만 배우면 누구나 다 아는건데 무슨....업으로 시작해보란건 좋은 조언이지만 특별한 조언은 아님. 오른손 투수에게 왼손으로 던지라는 말하고 전혀 다른게 보잉은 원래 업다운을 반복하는거임
@user-ke4ox9qv5f
@user-ke4ox9qv5f 4 года назад
그냥 보잉바꾸기 귀찮다는 걸 말한듯요
@sktkauy5197
@sktkauy5197 4 года назад
근데 다운으로 배우다가 업으로 하라고하면 좀 어려울듯? 적응이 됐으니까
@user-ke4ox9qv5f
@user-ke4ox9qv5f 4 года назад
@@sktkauy5197 그냥 바꾸면되요. 연습다시해서, 근데 솔직히 저도 귀찮은데 어린애가 한다고 하겠어요? 순수하죠 ㅋㅋ
@user-bt7dh7pg5x
@user-bt7dh7pg5x 6 лет назад
근데 아시아쪽빼곤 거의 다 저렇게 가르쳐요
@sungzimmermann9831
@sungzimmermann9831 4 года назад
맞아요 ㅋㅋ
@user-xu4ft9rp7e
@user-xu4ft9rp7e 3 года назад
그래서 외국 대학에서 한국인들이 높은 순위 많이 차지함
@zzizzi02
@zzizzi02 4 года назад
한국 교육의 문제. 정답이 없는 물음에 정답을 찾으려하고, 결국 실패하면 자괴감에 빠지거나 다른 곳에서 답을 찾으려하는 것. 음악이나 미술은 자기가 표현하고 싶은게 무엇인지 아는게 가장 중요하고, 정형화 된 테크닉이나 이론은 자기가 표현하고자하는걸 더 잘 표현하기 위해 적절히 이용해야하는 것인데, 한국 교육은 이론적인 부분을 더 강조하거나 심지어 그게 가장 중요한 것이라 여김. 나는 미술을 전공했고 홍대에 입학했는데, 지나보니 내가 할 줄 아는 것도 많고 아는 것도 많지만 내가 그리고싶은 그림이 무엇인지는 모르겠음. 나만의 독창적인 색깔이 없으니 취직을 하려면 결국 남들보다 더 잘 그리는 수 밖에 없고, 그래서 더 잡기술만을 연마하며 나만의 예술과는 점점 거리가 멀어지고 남들과 나를 비교하며 자존감만 낮아짐. 이 굴레를 벗어나고 싶은데 그 누구도 나에게 '네가 추구하는 예술은 뭐니?' 라고 물어본 적도 없고, 내가 '저는 이런 예술을 하고싶어요.' 라고 대답해본 적도 없어서 어떻게하면 진정 내가 원하는 그림을 그릴 수 있을지 모르겠음. 저 아이가 질문에 답을 못하고 말문이 막히는걸 보니 참 속상하다. 저 나이 때에는 허무맹랑한 이야기라도 맘껏 얘기하며 상상의 나래를 펼쳐야할 때인데 벌써부터 이 굴레에 빠졌구나 싶다.
@yujin_6ju
@yujin_6ju 4 года назад
🎶
@joannak.967
@joannak.967 3 года назад
질문이여. 그리고 처락은 무슨? ㅎㅎ. 그 서ㆍ생님이 설명도 해주셨는데.
@sl1801
@sl1801 4 года назад
독일로 유학가야하나
@hanalltech
@hanalltech 4 года назад
정답은 없어 니가 표현하는게 답이야! 이건가?
@sixkidskorea
@sixkidskorea 4 года назад
저게 유럽과 우리나라의 음악교육의 차이..
@kanggyuim5896
@kanggyuim5896 4 года назад
저상황에 어떡하니가 왜나옴?
@_bryan7501
@_bryan7501 4 года назад
여기 제목에서 말하는 영재의 기준은 뭔가요?
@user-tv7bq2ft6w
@user-tv7bq2ft6w 4 года назад
저는 영재는 노력하는 아이라고 생각합니다. 그저 가지고 태어난게 아닌 죽을 힘을 다해 노력하는 노력이 영재아닌가 싶어요. 아이임에도 스스로 오랜시간 엉덩이 붙이고 앉아서 뭔가 해보려고 노력하고 안되면 될때까지 하는 그런 타고난 성격의 아이를 영재라고 생각합니다.
@shlee6728
@shlee6728 2 года назад
우리나라 교육 방식의 한계를 보여준 부분이기도 한가봐요 독일의 저런 방식이 창의적인 교육 방식이겠죠 같은 색깔의 연주자만 길러 내는것이 아니라 같은 곡이라도 곡의 느낌을 다양하게 전달하려고 하는 연주자를 길러내는 교육 같네요 한수진 바이올리니스트가 설요은양에게 레슨 해주는 영상 보면 비슷한 질문을 하던데 ru-vid.com/video/%D0%B2%D0%B8%D0%B4%D0%B5%D0%BE-Ai0bpGn5mZY.html
@user-tv7bq2ft6w
@user-tv7bq2ft6w Год назад
요즘 유학 안가는 국내파 나이 어린 학생들이 국제 콩쿨에서 우승하는걸 보면 우리나라도 참 대단하다고 느끼네요. 물론 외국 악기이니 더 큰 세상에서 더 많이 보고 느끼고 배우는것도 중요하겠지요.
@user-rd7wy2rj6j
@user-rd7wy2rj6j 4 года назад
우리나라가 수많은 천재들이 많지만. 세계적인 오케스트라가 없는게 . 저런 표현 느낌이 부족해서지
@woonggoon83
@woonggoon83 4 года назад
교육방식에 대해서 다양한 시선들이 있으시다면... 한국이 고등학교 수학의 황재지만... 그뒤가 부실한것 역시 교육의 문재겠지요. 모 누군가는 국력의 문제로 시선을 돌리 실수도 있겠습니다만... 과정에 힘을 실어 주지 못하는 환경때문이라고 생각 합니다. 우리는 "입시"라는 관문을 만들어 놓고 변별력을 가지기 위해 별짓을 다하죠. 실용음악에서는 입시 하기 전에 거의 다 배우고 가요... 음... 천재라고 불릴만한 사람들에게는 짧은 시간안에 많은 걸 할수 있지만. 짜여진 틀여서 부시해서 만들어 놓은 사람들은 결국 그 빈공간을 스스로 매꾸어야 하니 탈이 나지요... 모두가 천재일 필요 있겠습니까? 모두가 대학 갈 필요 있겠습니까? 입시 장사와 사회구조 들을 바꾸는 것 부터 먼저 노력 하면 되지 않을까요?
@osborne6363
@osborne6363 3 года назад
Das ist das erste Mal dass ich fast alles verstehe, lol. Komme von Henry
@yechankim7713
@yechankim7713 6 лет назад
뭔 개소리야 . 업과 다운보우가 오른손투수가 왼손으로 던지는거레.. 겁나 웃기네
@shayjin_
@shayjin_ 4 года назад
ㅋㅋㅋㅋㅋㅋ
@user-fo8dv1gn5t
@user-fo8dv1gn5t 4 года назад
그 정도는 아니고 사이드 투수한테 오버헤드로 던지라는 뜻.
@ghkim9527
@ghkim9527 4 года назад
스트링 한번 배우면 무슨 얘긴지 깨닳을거다. 심지어 기타 피킹도 업과 다운의 뉘앙스가 틀려지지...
@yechankim7713
@yechankim7713 4 года назад
@@ghkim9527 첼로를 12 년을 했는데 업과 다운보가 오른손 왼손 사용하는 느낌을 받은적이 한번도 없는데요. 활의 느낌과 소리가 다를 뿐이지, 업과 다운보를 번가라 가면서 첼로를 못하면 초보거나 접아야죠
@user-fo8dv1gn5t
@user-fo8dv1gn5t 4 года назад
Yechan Kim ㅇㅇ 맞아요.전 바이올린이지만 업 다운은 첫 음 보다는 후반에 꼭 필요한 활 움직임 때문에 쓰는 경우 많죠
@user-mc8be5oc1i
@user-mc8be5oc1i 3 года назад
ㅋㅋㅋㅋㅋㅋ당황한거에 웃엇네
@bagsynotinnet
@bagsynotinnet 4 года назад
영상에 집중하겨 싶다....독일어가 들린다...뭘까
@wje5238
@wje5238 4 года назад
예원 ,서울예고 가봐라. 음악천재들 수두룩빽빽이다
@zizonvo9
@zizonvo9 4 года назад
질문? 대답? 빨라? 느려? 빨라? 느려? 위플래시 생각남 ㅎㅎㅎㅎ
@user-il2on9cw8p
@user-il2on9cw8p 4 года назад
아무리 악기를 잘 다루고 영재라고 해도 악보에 쓰여인는건만 친다고 음악이 아니라는것을 가르쳐주네요, 저 아이에게정말 큰 도움이 됬을거에요
@eran140
@eran140 2 года назад
예체능은 유독 유학 가는 이유가 다 있음.
@Hodal-0523
@Hodal-0523 4 года назад
국내의 수업은 재벌들의 기업에서 원하는 쳇바퀴 굴러가듯 톱니바퀴의 부품처럼 양산형 교육
@kiminseattle3476
@kiminseattle3476 4 года назад
여태는 창의성은 버리고 하라는 대로 생각없이 연주만 했음.
@Nahoonazzang
@Nahoonazzang 4 года назад
우리 나라에서 클래식 공부 환경부터 조성 안되어있음
@doublea8861
@doublea8861 4 года назад
왜그리 다운되어있어
@user-ig9hw7cz2h
@user-ig9hw7cz2h 3 года назад
어떻게 다 비슷한 말을 하시지
@nujabes7447
@nujabes7447 4 года назад
틀려도 괜찮아~
@user-tv7bq2ft6w
@user-tv7bq2ft6w 4 года назад
제일 좋은 말씀이네요~ 틀려도 괜찮아~^^ 네 방송나가고 항상 부담이 커요. 진우는 항상 잘해야만 할 거 같아서요.하지만 저도 아이를 그렇게 가르쳐요.열심히 노력했다면 무대위에서든 어디서든 틀려도 괜찮아. 너는 아직 어려. 부담감 갖지마. 너도 틀릴 수 있어.라고 말해줍니다.^^ 아직 어린 아이예요.댓글 중에 가장 고마운 댓글이네요^^
@nujabes7447
@nujabes7447 4 года назад
햇살 원래 방송이란 단편적인 모습만 보여줄수밖에 없죠~ 시청자도 어쩔수없이 보이는대로 판단하고요. 진우가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첼리스트가 되길 응원할게요~!
@raedf7197
@raedf7197 4 года назад
한국 주입식 교육 지적하니까 한국이 뭐 어때서 이런 댓글 많은데.... 저 질문을 받았을 때 아이의 반응을 보면 그냥 알수있지 않음?;; 누가봐도 이런 질문 평소에 안받아봐서 당황한 표정이구만. 그래, 외국에서 공부하고 와서 창의적으로 가르치는 선생도 있기는 있겠지만 그건 대학 입학 이후나 소수인게 현실이고, 치열한 입시경쟁속에서 음악전공 지망생을 저렇게 가르치는 선생이 대체 몇명이나 있겠어. 진도 안빼고 헛짓거리 한다고 부모한테 욕만 먹고 바로 잘리지...
@user-or2zp7qz9x
@user-or2zp7qz9x 4 года назад
역시 독일.
@Merovingian2003
@Merovingian2003 4 года назад
틈만 나면 나오는 우리.. 주입식 교육의 폐허
@Merovingian2003
@Merovingian2003 4 года назад
Miss
@jimmysoo1263
@jimmysoo1263 4 года назад
아이가 원석이지만 부모는 돌가루 정도인 경우가 많지
@Kiki-zc3mh
@Kiki-zc3mh 4 года назад
완전 다른 교육을 받아봤겠네요 생각하는 법을 가르치니까.. 어서 외국으로 나가렴..
@won6519
@won6519 4 года назад
저런 교육이 없으면 저 아이는 그냥 첼로 켜는 기계가 되었겠지.
@aa-sg8yp
@aa-sg8yp 4 года назад
탈조선의 이유
@user-bf2qv7ry3x
@user-bf2qv7ry3x 4 года назад
대한민국에서 왜 노벨상이 안나오는이유
@user-vq6ho7jc2j
@user-vq6ho7jc2j 4 года назад
전현적인 한국교육과 외국교육의 차이..ㅋㅋ
@user-qc1cw4yy4x
@user-qc1cw4yy4x 4 года назад
전형적인 한국 교육의 병폐가 여기서 나타나는거지. 어린이가 잘못했니 이런걸 이야기하는게 아니라 우리나라 선생들은 단한번더 어린이에게 자기 스스로 뭔가를 생각하고 결정하도록 해주지 않았다는거지. 오로지 기술만 가르친거지. 여기선 이렇게 여기선 이렇게. 기계 처럼...
@user-qj9of1bj7d
@user-qj9of1bj7d 3 года назад
돈벌어서 외국에 유학시켜 탈한국하는게 가장 좋은일
@Yechani
@Yechani 4 года назад
썸네일만 보고 첼로 선생님이 야인시대 문영철 아저씨인줄 착각함
@user-hj9nq1lw9j
@user-hj9nq1lw9j 4 года назад
b
Далее
1❤️#thankyou #shorts
00:21
Просмотров 26 млн
Which one is the best? #katebrush #shorts
00:12
Просмотров 8 млн
(Update) We Revisited SeoJin, the Math Prodigy :)
8:51
(Einstein) 4 Siblings Are All Classical Performers ⭐
16:12
Любой автомеханик 😂
0:34
Просмотров 2,4 млн
Любой автомеханик 😂
0:34
Просмотров 2,4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