Тёмный

한국 멀찍이 vs 유럽 빈틈없이, 유럽이 건물을 딱 붙여서 짓는 이유는? 

셜록현준
Подписаться 1,3 млн
Просмотров 138 тыс.
50% 1

Опубликовано:

 

27 окт 2024

Поделиться:

Ссылка:

Скачать:

Готовим ссылку...

Добавить в:

Мой плейлист
Посмотреть позже
Комментарии : 229   
@박호-u7o
@박호-u7o 2 дня назад
교수님이 시티즈 게임 해보는 거 보고싶습니다!!
@김지한-d9z
@김지한-d9z День назад
올리자
@NewJeans_JewelryBox
@NewJeans_JewelryBox День назад
심즈4도 재미있어요 인테리어!!
@Bob-xc6nk
@Bob-xc6nk День назад
교통체증으로 인한 인프라 장애 시뮬레이터
@Chleosl
@Chleosl День назад
산업과 경제의 측면, 거시적인 교통의 측면, 정책적인 측면 모두를 아우르는 교수님의 능력을 볼 수 있는 시간이 되겠네요 ㅎㅎ 초고밀도에 도시철도까지 빽빽하게 들어차있는 구역부터 산업과 택지의 조화가 어우러진 구역까지, 딱 이렇게 구역(District)별로 컨셉을 잡아서 만들다 보면 정말 시간 가는 줄 모르는 게임이거든요. 물론 요기 채널에서 다루시는 주제는 대부분 도시 속에 사는 사람들의 'UX'와 인간이 모이는 공간 '도시'로서 가치로 하는 방향성 사이의 아날로지를 해석하는 것이지만, 교수님께서 한번 각잡고 진심으로 시티즈 스카이라인 같은 게임을 진중하게 플레이해서, 그 도시를 기반으로 자신이 만든 도시의 모델을 소개하는 컨텐츠같은거를 해도 재미있을 것 같네요.
@hyunilab
@hyunilab День назад
이왕 할거 시티즈 스카이라인도 추천합니다
@angelal1349
@angelal1349 День назад
설명도 좋지만 자료화면 진짜 고퀄입니다 교수님도 pd님도 제작진도 모두모두 흥해라~~~
@우주-z2h
@우주-z2h День назад
다들 착각하는게 공공건축물은 공무원만 짓는게 아닙니다. 국민들이 구의원,시의원,구청장,시장,국회의원 뽑아서 걔들 입맛대로 돌아가는건데 공무원이 어쩌고저쩌고 하고 있나요. 막말로 공무원이 잼버리, 영암F1 짓거리를 해도 처벌 안하는 이유는 그거 허거내주고 오히려 하라고 밀어붙인 장본인이 국민들이 뽑은 정치인이기 때문입니다. 자꾸 공무원이 무슨 돈을 받을 수 있는 권력자인거마냥 망상질하지말고 님들이 뽑은 정치인부터 의심해보세요
@minidon832
@minidon832 9 часов назад
ㄹㅇ 공무원은 공무하는 사람이고, 정치인은 공 그 자체인데.
@to-ism
@to-ism 5 часов назад
공무원들 모든업무의 근거를제시하는게 정치인이란걸 모르는듯 ㅋㅋ
@naioni29
@naioni29 День назад
교수님이 도전해보셨으면 하는 컨텐츠 1. 팀버본, 시티즈 등 도시건설게임 2. 타이니 글레이드로 마을 꾸미기 3. 산에서 직접 자연재료로 움막짓기.
@맥날케첩무한연등
@맥날케첩무한연등 День назад
움막 짓기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mainisnumber
@mainisnumber День назад
설계와 토목을 헷갈리시는 거 같은데 ㅋㅋㅋㅋㅋ
@라마-w9o
@라마-w9o День назад
꾸준히 영상 보니 이해도가 계속 올라가고 있습니다. 너무 감사해요.😊
@정영훈-b1z
@정영훈-b1z 2 дня назад
이 유튜브 보면 왜 이리 마음이 편안해지지..
@lay082
@lay082 2 дня назад
정말정말정말 좋은 영상이었습니다 소신가득한 말씀 잘 봤습니당
@umum8974
@umum8974 2 дня назад
누군가는 듣기 싫은 소리이고 그에 따른 비판,비난도 받으실테지만 이런이야기를 해주시는 분이 계신 것 만으로도 정말 감사합니다 교수님
@ansdjeldeld
@ansdjeldeld 2 дня назад
교수님 영상 자주 보면서 건물 입면에 대한 관심이 많아졌습니다. 독일에 살면서 건물들끼리 틈이 없길래 궁금했는데 마침 이렇게 영상을 봐서 궁금증이 해결됐어요!
@ncs7164
@ncs7164 2 дня назад
와.......... 이런걸 고민하는 디테일은........ 평생 못 따라할것 같습니다....... 우리나라에 교수님이 계신다는 것 자체가 축복이네요..............
@정오-t8x
@정오-t8x День назад
도쿄 긴자만 가봐도 따닥따닥 붙어있는 건물사이로 디테일이 풍부함.
@WNANF주물
@WNANF주물 День назад
세상에 무조건 적인 장점이나 단점은 없다. 관광용 미학이나 상업적인 활용은 좋지만, 주인이 개인적으로 용도 변경하고 부수고 새로 짓기에는 행정이 복잡하고 불편하다. 내가 80년도에 양옥 집을 사서 90년에 부수고 4층 연립을 지었다. 30년쯤 지나니까 내 집 주변은 1번 이상 집을 부수고 새집 짓고, 길 건너는 또 부수고 빌딩 여러 개가 들어서더라. 붙어 있었으면 좋든 싫든 옴짝달싹 못하고 살고 있겠지.. 수백년 전통 타령 하면서... 북촌 한옥이 관광객 입장에서 보기에는 좋잖아. 집주인 입장에서도 좋을까?
@휴양HY
@휴양HY День назад
Q&A가 세상 재밌다
@justinkang6321
@justinkang6321 2 дня назад
3:55 아 그래서 명동이 한국 번화가들 중에서 좀 거리가 이색적이라고 생각이 들었는데, 해답을 찾은 것 같네요. 비슷한 느낌으로 부산의 남포동도 다닥다닥 붙은 느낌이 들었는데, 아마 구도심이라서 그런 것 같습니다.
@초코음료수
@초코음료수 День назад
남포동도 일본영향을 많이받은동네라서 그런거같습니다
@johnmayer5422
@johnmayer5422 День назад
이거 진짜 궁금했는데 아무리 찾아도 안보여서 포기했던걸 여기서 보내요ㅠㅠ 감사합니더
@조성준-k9m
@조성준-k9m 2 дня назад
7:40 제 생각에는 재수학원에서는 후자가 낫습니다ㅋㅋ 대학이나 그 이상의 연령대의 사람들이 모인다면 공공 공간에서 모여 공동체의 시너지가 중요하다만 입시(재수학원)는 공동체의 시너지를 기대하다보면 모두 삼수합니다ㅠㅠ 제가 재수했어서 압니다. 다양한 경험과 창의력보다는 개인의 사고력이 중요하기때문에 고립이 필요한 곳이 있습니다.
@sgjludk
@sgjludk День назад
저도 재수해봤는데 재수할 때 고독하게 지내는게 좋습니다 진짜...ㅋㅋㅋ 걍 밥 같이 먹는 친구 정도만 있으면 됨... 그리고 재수학원 다니면서 알게 된 친구들 보통 대학가고 나면 같은 대학 간 거 아닌 이상 서로 연락 금방 다 끊깁니다 그리고 만약 예체능 학원이면 거기 고등학교 때부터 다닌 애들이 계속 같이 몰려다니면서 남 욕하고 질투하고 서로 싸우면서 감정 소모하느라 공부 못하는 경우 되게 많아요
@3월의라이온
@3월의라이온 День назад
점수따기 위한 시험을 위한 공부라면 후자가 아무래도 낫겠죠. 사람이 쓸수 있는 시간과 에너지는 한정된 상황에서 사람간의 인적교류에 쓸 시간과 에너지를 공부에 더 투자할 수 있으니까요. 물론 교류를 통해 더 나은 공부법이나 더 많은 정보를 취득할 수도 있겠지만 대부분의 시험들이 그 사람의 창의성을 테스트하는 것보다는 교과서적인 내용 암기를 기본으로 활용능력을 보는 시험들이 많으니...반대로 논술이나 에세이같은 걸 써내야 하는 시험이라면 전자가 나을테고..
@subakmania
@subakmania День назад
공공건축물 담당공무원이 전문성 없이 계속 갈려나가는건 공무원 사회의 구조적 문제도 큽니다. 공무원 인건비가 처참하게 낮기 때문에 근로의욕이 생길수가 없는 구조죠. 열심히 한다고 해서 돈을 더주는것도 아닌데 잘한다고 일은 더 쌓아주니 일 잘할수록 삶의 질은 계속 추락하는 딜레마에 빠지면 아무리 에이스라도 결국엔 대충 시키는것만 하고 시간때우다 다른데 가자 마인드가 나올수밖에 없어요. 그걸 10년전 세대들은 나라일 한다는 자긍심과 공무원연금 믿고 참으며 버틴거고 요즘세대는 개차반같은 대우 못버티니 짐싸서 나가버리는겁니다.
@traveling_K
@traveling_K 2 дня назад
교수님 말이 맞아요 일본 도쿄만 가봐도 건물이랑 빌딩이 너무 근사해요 하다못해 아파트도 우리나라보다 덜 답답하고 개성있죠 일본은 근사한 건물을 잘짓고 보존하면서 계속 늘려가는데 우리나라는 대충 촌스럽게 짓고 역시 허물고 다시 짓고ㅠ 안타깝습니다 요즘처럼 해외 자주 다니는데 비교가 많이 되요 교수님이 장관이되셔서 우리나라 건축 관련된것들좀 바꿔주세요
@north-bear
@north-bear День назад
아주 감명깊게 봤습니다.
@rose1004yu
@rose1004yu День назад
언제나 끄덕여지고 감탄사 나오는 교수님의 간결한 설명은 늘 순삭시간입니다~ 질문자분들도 훌륭하세요~ 모두에게 박수를 보내요~ 모든 왓슨분들 건승하세요~
@김덕기-p8q
@김덕기-p8q День назад
건물 이격이 더 좋은거 같습니다 저는. 에어컨 실외기 또 그로인한 환기 등 다양한 것을 생각해야하죠. 추가로, 붙어있는 건물의 옆면은 건물 거주민으로써 답답하더라고요. 이격이 되어있어야 철거 및 재건축 하기도 좋고요.
@user-kg5hd6xx5v
@user-kg5hd6xx5v 5 часов назад
실외기실은 원래 다 따로 있음
@pop-bu1sw
@pop-bu1sw Час назад
오늘의상 너무 좋습니다~
@HeraKang-st5dr
@HeraKang-st5dr День назад
'공간의 차이가 분위기의 차이를 만든다' 참 명언입니다~^^🤗👍 늘 느끼는 거지만, 어쩜 그리 설명을 명확하게 잘 하시는지 ~~~^^🤗👍 오늘도 '아하~~' 하며 감탄하면서 재밌게 잘 보았습니다 ~^^🤗👏👍
@HeraKang-st5dr
@HeraKang-st5dr День назад
우리나라 건축물의 발전을 위해서 하루빨리 우리나라 건축 시스템이 바뀌어서 설계자가 감리를 직접할수있게 되었으면 정말 좋겠습니다 ~^^ 셜록현준님을 응원합니다 ~^^🤗👏👍
@yunchai2014
@yunchai2014 4 часа назад
영상을 볼때마다 많이많이 배웁니다 감사합니다
@핸-b2d
@핸-b2d 39 минут назад
와 이번거 짱재밌다....감사합니다 ㅎㅎ
@greensky571
@greensky571 2 дня назад
기대하고 갔던 솔올미술관이 아쉽게 느껴졌던 이유가 이 영상에 있네요! 감사합니다~
@Gotuber126
@Gotuber126 День назад
일본도 합벽 잘 안씀 지진 때문도 있고 화재도 여려번 겪어서 한국도 일본 영향 받아서 합벽을 잘 안 쓰는듯 근데 한국도 가연성 건축자재로 인한 화재사고가 많았고 소방에 대한 규제도 약해서 안쓰는게 나을지도 모르겠음 전통시장 같은데 보면 불이 안나는게 더 신기하던데
@whentheygolow_wegohigh7306
@whentheygolow_wegohigh7306 2 дня назад
감리자 얘기는 심각하네요. 한국 정치, 건축 행정은 정말 최악입니다. 정말 한심하네요.
@사도삼촌_四都三村
@사도삼촌_四都三村 2 дня назад
사실 이것은 동전의 양면과 같은건데 설계자가 감리까지 맡게 될경우 불법을 눈감는 일이, 또는 불법을 자행하는 일이 많이지기 때문에 (설계시부터 불법을 감안하고 진행되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그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계자와 감리자를 분리하게 된것입니다. 어떠한 선택이든 양이 있으면 음이 있기 마련인거죠.. 불법이 적발될경우의 양형을 좀 더 무겁게 한다면 해결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해보지만, 우리나라의 법 시스템은 제제를 많이 하고 양형이 가벼운 나라라…….. 쉽게 바뀔것 같지는 않습니다.
@whentheygolow_wegohigh7306
@whentheygolow_wegohigh7306 2 дня назад
@@사도삼촌_四都三村 제재를 줄이고 형량을 높여야하나. 이 나란 진짜 답이 없는거 같다.
@yadontthink
@yadontthink 2 дня назад
다른 나라 가면 존나 다 아름답고 판타지 세상같은줄 아나 명암이란 개념이 대가리에 없구나 ㅋㅋ
@사도삼촌_四都三村
@사도삼촌_四都三村 2 дня назад
@@whentheygolow_wegohigh7306 감리를 같이 사람이 해서 불법의 소지가 많이 생기기 때문에 분리를 하게 되었습니다. 이런게 제제가 늘어닌거라고 보면 되겠죠… 감리를 굳이 나누지 않고 불법이 적발될경우 설계와 감리를 맡은 사람에게 형량을 높이는게 더 실리적이라고 이야기 한겁니다. 다른나라도 제제 보다는 형량을 높이는 방법으로 사법시스템을 운영하는 경우는 많습니다. 자유를 인정하되 그에 따른 책임 또한 중요하다는것을 형량으로 느낄수 있게 해주는 것입니다.
@whentheygolow_wegohigh7306
@whentheygolow_wegohigh7306 2 дня назад
@@사도삼촌_四都三村 정치인들과 책임소지있는 공직자들이 얼마나 개판이면 에휴..
@pop-bu1sw
@pop-bu1sw Час назад
듣고있다보면 건축을 공부하고싶어지는😊
@Billionaire_Kwon
@Billionaire_Kwon День назад
건축계의 이국종 교수님 같으신 분이시네요. 남들은 눈치 보여서 망설일 이야기들도 소신 있게 말씀하시는게 존경스럽습니다.
@AH11aaaa
@AH11aaaa 14 часов назад
매력적이시네요 반하겠어요 우와 ❤❤❤❤
@파산왕국
@파산왕국 55 минут назад
참 언제나 법이 문제군요......
@affice
@affice День назад
10:22 이걸 절실하게 느낀게 대구고산도서관입니다. 국제공모전을 통해서 DDP의 설계에도 참가했던 고르카 블라스의 멋진 디자인을 얻었지만 결국 시공과정에서 존중받지 못하고 망가져버렸죠.
@온다자향
@온다자향 2 дня назад
오늘도 깊은 지식과 상식 고맙습니다. 잘 봤습니다^^
@asnoopy
@asnoopy 2 дня назад
따닥따닥 건물 붙어있으면 벽도 공유해요. 옆집소리도 들려서 비추합니다. 타운하우스 개극혐. 이건 한국이 잘한 거라고 봄. 50센티라도 떨어져 있으면 좋겠다고 제가 종종 말하는데 ㅋㅋㅋ 그 유럽 상업 도시 스타일에 사는 사람으로서 타운하우스 진짜 개개개극혐이에요. 벽 따로 만들면 괜찮고요. 따닥따닥 붙어있는데 가아아끔씩 벽 두 개가 좀 떨어져 있는 집도 있긴 합니다. 그리고 건물들이 너무 복작복작하고 가게, 카페, 레스토랑도 코딱지만해서 정신적으로 엄청 피로합니다. 낑겨 사는 기분이에요. 한국이 공간적으로 백배는 여유로운 느낌임.
@perottidiego25
@perottidiego25 2 дня назад
이게 맞지... 다닥 다닥 붙어있는게 도대체 뭐가 좋다는건지
@heinz9794
@heinz9794 День назад
붙어있으면 장마철 물 빠지는 것도 어렵고 여름에 습한 환경에서 태양 못 받아서 곰팡이 자라는데 최적의 장소가 되죠. 장마가 없고 날씨가 반대인 나라랑 비교하시면 당황스러움. 게다가 우리나라 내단열이라 그냥 곰팡이랑 친구됨. 우리나라는 안 붙어있어도 도시밀도는 충분히 높음.
@Clodcloud-l7r
@Clodcloud-l7r День назад
서울의 인구밀도는 전세계 1위 인구밀도인 모나코와 비슷하고, 한국 도시의 인구밀도는 선진국 도시들과 비교해봤을때 최소 2배에서 4배는 높다고 생각됩니다.
@sgjludk
@sgjludk День назад
A 재수학원 특이하네요 저 홍대 미대 재수해서 갔고 재수학원 다녔습니다만 솔직히 재수학원 다닐 때는 친목질 최대한 안 하는게 좋습니다...ㅋㅋㅋ 재수 삼수 사수생끼리 모여서 수다 떨어봤자 서로 좋은 영향 못 끼쳐요 심지어 거기 학원 선생이랑 연애하는 애도 둘이나 봤습니다
@BonelessDude0070
@BonelessDude0070 День назад
영상 잘 봤습니다. 교수님. K리그1,2 경기장과 관련된 심층적인 분석을 의뢰드리고자 댓글을 남기게 되었습니다. 최근 K리그 경기장에 대한 현황을 면밀히 분석하여 더 나은 관중 경험과 경기 질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합니다. 이를 위해 경기장별 특성, 관중 동선 및 편의시설, 관람 환경, 그리고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포함한 다양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검토하고자 합니다. 교수님께서 제공해 주실 분석이 경기장을 개선하고 관중들의 만족도를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 확신합니다.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논의할 기회를 가질 수 있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bbodd932
@bbodd932 День назад
5:34 맞아요 모여만 있는게 중요한게 아니고 마당과 골목이 소통에 큰 역할을 한다는게 중점이라고 생각해요
@정주향-i6k
@정주향-i6k 6 часов назад
점점 왓슨이 똑똑해짐ㅋㅋ
@윤륜룬
@윤륜룬 День назад
1:11 다닥다닥 붙지도 않고, 한 면이 아닌 모든 면으로 떨어트려서 실질적인 자투리 공간 없어져 버린다(손해다) 5:26 골목길의 중요성(걸어다니고 우연한 만남)을 설명해주셨어요. 그렇다면 1. 법으로 대지경계면을 좀 더 늘려서 넓은(자동차 1대 들어갈락 말락) 골목길을 만들기 2. 법을 개정해서 화재예방 설비를 강화하고 다닥다닥 붙이기 이중에 무엇이 더 좋다고 생각하시나요? 현재는 매우 좁기 때문에 불량학생 등이 담배를 피우는 곳이고, 넓어진다한들 고층 상가가 가득하니 위압감만 들고 말그대로 지나가는 용도로만 쓸 것 같아요. 그동안 교수님이 원하시던 것은 1번(자동차가 아닌 사람 중심)인 것 같습니다. 이것이 될려면 나무 같은 자연물과 '적절한' 크기와 길이의 건물인데, 높이는 어디까지가 좋다고 생각하시나요? 그리고 1번의 예시가 요즘 아파트라고 생각이 듭니다. 대표적으로 커튼 열면 옆집 보일 정도로 빽빽하고, 공원도 있고, (지하주장으로) 도로는 사람 중심이어서 카페, 공원, 어린이 놀이기구 등 편의시설이 다양하잖아요. 집 안의 규격화, 다양성 말고 단지를 하나의 거리 내지 상점이라는 (거주민이 소비자라는)관점에서 보면 어떤가요?
@드키무티
@드키무티 День назад
저렇게 건물 전면부가 좁으면 통풍이나 일조는 어떡하나요? 한국은 여름에 고온다습해서 저렇게 하면 실내 통풍이 안 될 것 같습니다.
@user-mir9711-no.1
@user-mir9711-no.1 18 часов назад
여름에 전부 에어컨틀고 창문닫고있는데 통풍 이지랄하네 ㅋㅋㅋㅋㅋ
@SkyBlue-ww5mf
@SkyBlue-ww5mf День назад
제 생각엔 상업은 이차적인 이유고 유럽은 화재와 방어가 주된 이유입니다. 1666년 빵집에서 발생한 불이 도시를 다 태워버린 런던 대화재 사건 이후로는 돌로 건축하게 바꼈고 유럽은 워낙 전쟁이 잦다 보니 도심을 방어하기 위해 성벽을 두르고 그 성벽 안의 공간은 한정되어 있는데 비해 인구 밀집도는 늘어가는 것도 잇고요. 파리처럼 혁명 같은 사건에 군대를 효과적으로 이동하고 대응 하기 위해 도로도 혁명 후로는 넓고 직선으로 지어졌고요. 도시의 발전은 생물처럼 정말 여러가지 이유와 레이어들로 인해 항상 바뀝니다. 유럽에선 또한 역사적으로 교회보다 건물을 높게 올릴 수 없어서 런던도 어느정도 최근까진 고층 건물이 없엇습니다. 세인트폴 대성당보다 높으면 안되니까요.
@rdstn2599
@rdstn2599 День назад
대전시 진짜 교수님 의견 긍정적으로 검토해봐도 괜찮을 꺼 같아요 ㅠㅠ
@오옹웅
@오옹웅 2 дня назад
5:11 이건 아이디어가 좋은거같은데...
@dokgodie3340
@dokgodie3340 20 часов назад
근데 벽이 붙어 있는 집들은.. 유럽 사람들도 전혀 좋아하지 않는다는.. 막말로 돈이 좀 있으면 하우스를 사지 절대 저런 집 안 살죠. 이상한 이웃이 이사 오기라도 하면 문제가 많이 생겨 소송도 많이 하고 건물이 오래 돼 방음도 안되고 등등. 한국도 주택 건물 이격은 최소 2미터는 떨어뜨려놔야 됨. 너무 스트레스임.
@GorgeousLife9
@GorgeousLife9 День назад
각행정기관이나 건축주들 또는 담당자들이 쓸데없는곳에 에너지를 쓰게만들기때문에 결국 완성도를 높이지도 못하고~~~ 참 공감합니다~(전인테리어디자인했던 자로써-- ㅎ)😊
@becoolforyou
@becoolforyou 2 дня назад
그 공간 주체의 목적이 중요하죠. 재수학원이 친목을 목적으로 하는 곳이 아니죠. 정해진 기간에 최대한으로 점수 획득 양의 상승을 목적으로 하죠.
@Clodcloud-l7r
@Clodcloud-l7r День назад
맞벽건축이 보이는 면이 적어서 외장재나 퀄리티에 더 신경 쓸 수도 있겠네요. 반면에 재건축이 좀 까다로울 수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JK-xj7ps
@JK-xj7ps День назад
일본은 집을 붙여서 지으면 성벽같이 방어?가 가능해서 그랬다는 글을 본거 같습니다. 그런데 화재에는 취약한건 사실이라 도쿄대화재 도쿄대공습때 싸그리 불탄기록도 존재하긴 하네요.
@WooSup111
@WooSup111 День назад
건축허가같은건 일개공무원이 아니라 허가청이 따로있어서 공무원이 바뀌든말든 일관성있게 일할수있게 해야된다고봅니다 실제로 허가를 줘놓고 그건물그림자가 문화재 지역 햇빛가린다고 철거하라고했던 아파트도 있었잖아요 뉴스에냐왔는데 일개공무원이 사실 이런거 다 일일히 살피기 힘든점도있으니까 허가청에서 체계적으로 관리해야합니다. 허가줄때 모든걸 한번에 다 점검하고 허가를 준다음 일단허가주고나면 빼도박도 못하게해야죠 만약 취소하고싶으면 정부가 기회비용까지 포함한 모든손해배상을 하게끔하고요.
@Black.Swan-H
@Black.Swan-H 12 часов назад
감리가 엄청난 문제인듯 하네요. 담당공무원도 그렇게 빨리 바뀌니 제대로 지어질 수 없을듯
@fighterfire5699
@fighterfire5699 8 часов назад
따닥따닥 붙여놓으면 진짜 재해났을때 감당 안됩니다.이게 무슨 선진 도시계획인것 처럼 설명하셨는데 띄어 놓아야 벽간소음이나 건물 해체 재해 예방 등등 많은 면에서 장점이 많아요
@victorchoi8102
@victorchoi8102 День назад
건물사이에 간격이 잇는게 더 좋아요... 닭장같은 공간이 그리 좋은가 ㅎㅎ 단층집은 70년대 이후로 재개발 안된곳이죠
@user-mir9711-no.1
@user-mir9711-no.1 18 часов назад
간격있어서 머가좋은데? 어차피 닭장 아파트인데 간격있음 주택되냐? ㅋㅋㅋㅋㅋ
@KMKim-z3z
@KMKim-z3z 12 часов назад
근데 아파트도 건물하나 기준으로는 사실상 닭장아님? 옆라인집이랑 붙어있는데
@victorchoi8102
@victorchoi8102 11 часов назад
건물사이 닭장은 창문열면 바로 옆건물. 한국도 옛날 주택보면 이런데 꽤 잇음. 그렇게 짓지말라고 건축법 개정한거임
@teamcobalt9210
@teamcobalt9210 День назад
소제동 아이디어는 언뜻생각하면 좋은것 같은데 실재로하면 현실적으로 과연 몇개의 연구소와 캠퍼스가 참여할지 의문임. 강남이나 판교면 모르겠음. 연구원들은 극단적 T들이라 차가없는 거리, 걷기좋은길 , 개성있는 공간 이런거론 잘 안꼬셔짐. 연구원들 모여서 시너지잘생기시게 하려면 오히려 소박한거랑 반대로 가야함. 세미나하기좋은 큰 호텔, 덥거나 비와도 돌아다닐수있는 실내공간 이런게 함께 있어야 전국각지의 연구원들이 그나마 찾아와서 서로 교류하지 않을까 싶음..
@방울이-s5h
@방울이-s5h 15 часов назад
오늘도 정말 건축에 대한 지식들이 하나 둘씩 늘어가네요..그런김에 저도 질문 하나 드려보고싶은데..예전에 얘기하셨던 더현대 서울 백화점이 점점 쇼핑이라고 하는 목적과 태마파크의 휴식공간의 경계가 모호해지는 단계에 이르렀다고 말씀해주셨는데..그럼 이번에 새로 나오는 롯데 아트빌라스와 차이점같은걸로 서로 어떻게 다른지 궁금해서 질문 남겨봅니다.
@ezio-ic1oh
@ezio-ic1oh 2 дня назад
유현준 교수님이 제일 좋아하는 지하철역이 있나요?
@고생-d7j
@고생-d7j День назад
와 이거 궁금해요
@초코음료수
@초코음료수 День назад
다른건몰라도 건설난이도는 고속터미널역이죠
@Hpahak
@Hpahak День назад
녹사평이나 신답역 아닐까요?😊
@고생-d7j
@고생-d7j День назад
@@Hpahak 헉 왤까요??
@Hpahak
@Hpahak День назад
@@고생-d7j 제 생각으로는 녹사평은 뭔가 웅장(?)한 구조에 채광창?이 있던걸로 알고, 신답역은 역내에 공원이 있던걸로 기억합니다. 역 사진 쳐보시면 이해가 가실 거예요😃
@tooiode2390
@tooiode2390 2 дня назад
건축가님 대구 사유원에 대한 이야기도 한번 다뤄주셨으면 좋겠습니다!
@jejujaaaaaazz
@jejujaaaaaazz 2 дня назад
안녕하세요 영상 잘 봤습니다~ 에스컬레이터 관련 질의를 보면서 제 모교인 중앙대학교 서울캠퍼스가 생각이 났어요. 실제로 100주년기념관 시공 시 에스컬레이터를 대대적으로 설치하면서 이슈가 되었던 것으로 기억하고, 학교가 전반적으로 경사져 있는 구조라서 엘리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의 역할이 막중한데요, 중앙대학교 100주년기념관 및 이에 연계된 시설에 대한 리뷰를 해주시면 재미있을 것 같아서 댓글 남겨봅니다!
@loient98
@loient98 2 дня назад
유럽에서 도로에 접한 면적으로 건물에 세금을 부과하다보니 좁고 길게 필지가 설정되었다는 이야기가 있는데 장사꾼과 농사꾼보다는 세금이 더 신빙성이 높아보입니다. 집이 길고 붙어 있으면 채광이 안되는 면적이 많아지기때문에 어두워지는데 세금이 아니면 일부러 어두운 집을 택할 이유가 없어보여요. 물론 과거의 얘기이니 확실한건 없고 추론이지만 세금에 관한 썰에 대해선 어찌 생각하시는지요?
@fanniinnanetguy653
@fanniinnanetguy653 2 дня назад
어짜피 그 당시 기술력으로 높게 지을수 없었기 때문에 밀도를 높이기 위해 붙여놨다는게 더 맞아보이네요
@ZiZig_zigzag
@ZiZig_zigzag День назад
농사꾼의 건물은 생활하는 집이니 채광이 중요하지만 장사꾼의 건물은 일하는 곳 상업시설이니 영상에서의 논지는 건물의 용도에 따라 채광의 필요성이 달라지는 측면도 있지 않나 생각됩니다. 요즘은 안그렇지만 예전엔 백화점에 창문이나 빛이 들어오는곳이 있으면 안된다고 그랬었잖아요..과거 상업공간의 특징인듯요..
@woohynBok
@woohynBok День назад
세금 빼 먹을 한계에 오니 나중엔 창문 숫자로 세금을 매겼다는 얘기도 있음
@ParkMinCheol
@ParkMinCheol 8 часов назад
그 세금 자체가 상업이 중심이기 때문에 생겼습니다. 업장에 세금을 매겨야하는데 과거에는 매출규모를 산정하는 게 불가능하다보니 점포의 크기를 기반으로 했거든요. 그 수단 중 하나가 건물 폭이였고 그러다보니 그걸 피하기 위해서 좁아졌습니다. 한국은 상업중심이 아니라 그런 세금체계가 발전하지 않았고 따라서 그런 회피법도 생기지도 않은 것이죠. 물론 직접원인은 아니고 간접적 영향이긴 합니다.
@cruxbin
@cruxbin 2 дня назад
최근 정부가 발표한 경부선 철도 지하화 및 공원화 / 경부고속도로 지하화에 대해서 교수님의 생각이 궁금합니다. 지하화할 때 엄청난 비용이 들어가던데, 이런 비용을 지불하면서까지 진행해야 하는 이유가 있을까요? 또한, 철도 지하화를 한다면 2호선 잠실나루역-한양대 구간을 먼저 지하화해야 하는게 아닌가 싶은데, 굳이 경부선을 먼저 지하화하는 이유가 있을까요?
@newlovewaver
@newlovewaver День назад
제 소신이지만, 저는 개인적으로 한국이기 때문에 멀찍이가 좋은 것 같습니다. 가까운 일본 등 화재나 다른 위험요소가 있을지라도 붙어있는 형태를 좋아하기도 하는 것 같아요. 근데 가끔은 떨어져 있는 모습도 일본 등 여러 나라들도 넓은 미래를 위해 방향을 바꿔보는 것이 어떨지 싶어 본 영상이 유용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름하여 한국이 외국에게 일부 영향을 거꾸로 주는거죠. 외국 일부 사람들도 점점 멀찍이를 좋아하고 선택적인 요소이기 때문에 자기가 공동체 활동을 하러 직접 찾아가고 싶다는 이야기를 들을 때가 있을 수도 있다 생각합니다. 그리고 공동체를 좋아하는 사람도 있지만, 개별적인 공간을 선호하는 사람도 있고 상황상 예를 들어 공부를 더 집중하기 위해서 등 공간 특성을 보고 공동체적인 사람이지만 개별적인 공간을 어쩔 수 없이 선택하는 경우가 있다고 봅니다. 건축 도면이었나.. 자세히 보내주지 않는다는점에 공감했고 그 사무소도 디자인으로 인해 몸을 사리는게 아닐까 싶습니다. 그래도 조금 더 신뢰를 가지고 이제는 디테일하게 보내주지 않을까 싶네요. 우리나라도 성장하고 있으니 바람일지 잘 모르겠지만요. 마지막으로 프랑스에서 선생님 스타일의 디자인을 좋아하지 않을까 생각해본적이 있습니다. 늘 흥미로운 영상 감사합니다. 이렇게나 퀄리티 있는 Q&A는 사람들에게 닿는 인사이트에도 최고고, 유익하며, 재밌습니다. 다양한 나라 사람들도 이 영상을 통해 많이 닿았으면 합니다. 그렇게 생각했구나 하면서 즐거울 수 있는 영상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mincheoloh7992
@mincheoloh7992 День назад
감리 분야의 문제를 해결하는게 건축쪽에서는 매우 중요한 일인듯합시다
@닿아-b3j
@닿아-b3j 16 часов назад
계속 꼬집어 주세요.
@pandaspython2024
@pandaspython2024 День назад
건물 저렇게 붙어있으면 보행자 입장에서는 돌아가는 길이 멀어서 다니기 정말 불편해요.
@반고흐-z1m
@반고흐-z1m 4 часа назад
그건 그래요
@real_eunsan
@real_eunsan 2 дня назад
유현준 교수님 폼 미쳐따🎉
@minidon832
@minidon832 9 часов назад
감리 문제는, 우리나라 프렌차이즈 문제와 같은 듯. 같은 브랜드인데, 자기 맘대로 음식만들어서 팜. 그러다 매출안나오면 볼카츠 사장들마냥 본사 탓
@Clodcloud-l7r
@Clodcloud-l7r 16 часов назад
뉴욕 맞벽건물 재건축을 어떻게 하나요? 중간에 우레탄폼같은걸 설치라도 한건가요? 그러면 재건축이 수월해 질 수 있을 듯 합니다.
@99호-d7e
@99호-d7e 15 часов назад
재건축은 무슨 무너질 때까지
@Hey-gh1cu
@Hey-gh1cu 2 дня назад
사회적으로 건폐율에 대해 고민을 해야 할 것 같습니다. 교수님 말씀처럼 건물간의 거리가 좁으면 밀도가 높아지면서 사회적인 맥락이 형성되기 좋겠다 생각합니다. 지식산업센터나 큰 상가단지가 지어진다한들 이 건물에서 저 건물까지의 거리감이 느껴진다면 그 상업지구가 하나의 맥락으로 느껴지기 보다는 a건물의 상가, b건물의 상가로 느껴집니다. 당장 번화가에서 길 하나만 건너가도 같은 상권으로 묶이지 않고 매장의 매출이 눈에 띄게 차이가 나는데, 상권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상점간의 거리가 좁아야 하지 않을까요? 그래야 걷는 소비자들의 입장에서도 거리에 지속적으로 이어지는 상점들에서 다양한 체험을 하게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당장 노포, 야장으로 유명한 곳들에 재건축을 해서 간판만 똑같이 ‘만선호프’로 단다고 해서 그 거리가 이전과 같은 야장의 대명사가 될 수 없듯이 말입니다. 물론 화재발생 등과 같은 안전의 측면도 무시할 수는 없기에 적당한 타협선을 찾아야겠죠
@푸른하늘-f1z2s
@푸른하늘-f1z2s День назад
교수님이 심시티2000같은 도시개발 게임 개발하셨으면 재미있을듯 학습효과도 있고
@skuj7918
@skuj7918 День назад
이쁜거랑 효율적인걸 합치는게 참 힘들죠 보통 이쁘면 효율이 안좋으니까요.
@gestalt7529
@gestalt7529 2 дня назад
0:43 중국에 구룡성채도 원래 허가도 없이 막 지은거 다 무너질 운명인데 빈틈없이 지어서 버텼다는게 기억나네요
@hongkp73
@hongkp73 14 часов назад
세종 연구단지 한 건물에 때려 넣어 놓았습니다...ㅠ.ㅠ 대학 캠퍼스랑은 멀구요....ㅠ.ㅠ
@babyji1013
@babyji1013 2 дня назад
10:27 우리나라 건축이 발전할 수 없는 이유
@FADOSOLRELAMISI
@FADOSOLRELAMISI День назад
공공건축의 한계 너무 슬프네요... 이거 어떻게 못 바꾸는 구조인가요
@user-jv6so5mh9k
@user-jv6so5mh9k 2 дня назад
공공 붙은 건 다 쓰레기임 ㅋㅋ
@remu._.
@remu._. День назад
돈 따라가요.. ㅠㅠ 다들 기억해야해요. 건물뿐만 아니라 원룸이든 아파트 인테리어든 같아요..
@KwaneeLee
@KwaneeLee 9 часов назад
난다긴다 하는 인재들이 한국을 떠나는 이유가 괜히 있는게 아니군요.
@young-binkim4895
@young-binkim4895 День назад
솔올미술관은 현재 문을 닫았네요. 내년에 강릉시립미술관으로 재개관한데요 허허허 소유운영권이 넘어간듯한데 공공에서 관리하는 퀄리티가 과연.....아쉽네요 😢
@blueite
@blueite День назад
12:00 여기 나오는 법 조문(25조 1항)만 놓고 보면 설계자가 감리를 못하도록 쓰여 있는 것 같지는 않은데요? 2항에는 설계자를 제외하고 있지만 기껏해야 단독주택 수준의 건축물을 가리키는 거라 공공 프로젝트와는 무관하겠고요. (물론 한국의 통상적인 조직문화에서 흔히 어디 구석에 적용되는 금지를 아무데나 갖다 붙이는 게 흔한 점은 있겠습니다만, 그건 법의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green_dollar_sign
@green_dollar_sign День назад
공간의 자세한 모양이 학습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단 것은 생각해보지 못했네요. 기존에 환경이 사람의 사유에 관여하는건 많이 체감했지만, 좁은 공간에서 암기가 더 잘된다는지 하는 것은 미처 생각하지 못한 부분이였습니다. 전혀 다른 분야더라도 이렇게 활용할 방안은 있나봅니다
@Exynos3
@Exynos3 2 дня назад
사실 용적율과 건폐율 만을 보면 사실 국내 빌라나 아파트 보고 닭장이라고 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사실 유럽과 일본에 비하면 용적율과 건폐율이 사실 낮은편이고 오히러 이덕에 타워멘션/멘션/콘도미니엄/아파트먼트 즉 국내 기준 해외 아파트들이 우리나라 아파트에 비하면 늘 대지지분이 적었죠 오히러 우리나라는 이덕에 대지 지분이 의외로 아파트에 꽤 많아 재건축/재개발 투자 가치가 계속 존재했는데 이걸 모르고 닭장이라고 표현하는게 모순이었죠 그리고 우리나라에 대단지 아파트가 인기 많은 이유중 하나가 박정희 때부터 부족한 노인정과 놀이터 같은 정부가 지어야 하는 인프라를 잘 안지어서 또 기존 대기업 들에게 혜택과 기술 투자 자본을 마련 해야하다 보니 또 평지도 부족해 늘 국가가 해줘야 하는 인프라를 직접 세금 제대로 싯가 기준에 맞게 안 쓰고 남에게 떠넘기고 아니면 기부채납으로 뺏는 경우가 많다보니 자연스럽게 그나마 괜찮은 시설이 들어와 있는 곳을 많이 선호할 수밖에 없었죠 여기에 그에 맞는 비용 문제부터 여러 복합적인 인과관계 까지 껴 있어서 독일과 미국에 비하면 운영 기반이 많이 뒤쳐져서 누군가 이리저리 악용하고 심지어 선배가 후배 앞길 막는 이상한 건축 심의 까지 거치니 뱃 사공이 너무 비효율적으로 많은 경우도 있었죠 이러니 조감도가 어느 나라든 건축 허가 전의 컨셉 아트 일 뿐이지만 유독 우리나라에서 조감도가 잘 안 구현 안되는 이유가 경제 문제부터 시작된 복합적인 문제가 많다보니 조감도를 믿는게 건알못 그 자체가 되었죠 ㅎㅎ
@Clodcloud-l7r
@Clodcloud-l7r День назад
유럽, 일본, 미국은 도시 중심지에 짓기 때문에 용적율과 건폐율이 높죠. 한국의 아파트라는 공간은 한국의 도시 전구역에서 볼 수 있는 보편적인 주거환경입니다. 이거를 유럽, 일본, 미국 중심지와 비교하는건 어폐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즉 유럽과, 일본, 미국의 외곽은 항상 용적률이 낮은 단독주택같은 건물들이 즐비하지만 한국은 단독주택보다 용적률이 높은 아파트 밖에 없습니다.
@Clodcloud-l7r
@Clodcloud-l7r День назад
파리의 용적률이 높은건 맞으나 서울보다 용적율이 높은 파리나 유럽 도시 중심구역이 서울보다 면적이 클가요? 이 생각을 하면 전혀 아니죠. 파리는 서울의 6분의 1 크기이고, 한국 수도권 역세권이나 중심 업무지구를 다 모으면 파리랑 비슷한 용적율의 도시일겁니다. 한국수도권은 산맥이 많고, 북한의 위치와 그린벨트 때문에 서쪽과 남쪽으로 밖에 확장이 안되서 파편화된 확장밖에 하질 못했습니다. 그래서 넓은 평지에 방사형으로 세워진 다른 나라의 도시들과 달리 서울은 파편화된 성장인거죠.
@nochannel1657
@nochannel1657 День назад
엄밀히말하면 유럽은 다 빌라촌임. 다 붙어 있어 개별 재건측도 못함. 그래서 한국처럼 다채롭게 건물이 다양할 수가 없음
@엣지-c5x
@엣지-c5x День назад
?😊
@user-mir9711-no.1
@user-mir9711-no.1 18 часов назад
닭장아파트밖에 없는 대한민국이 건축물이 다양해? ㅋㅋㅋㅋㅋ
@아몰랑-w1d
@아몰랑-w1d 2 дня назад
높으신분들은 사람들이 모이는걸 별로 안좋아합니다. 모이면 토론이 생기고 비판이 생기며 권위에 대한 위협으로 이루어집니다. 하지만 사람들을 비슷하고 협소하며, 개성 없는 공간에 몰아넣으면 위정자들은 안전해지죠. 공간의 권력이 생각보다 대한민국 건물 전반에 녹아들어있습니다.
@eunII_oihjk
@eunII_oihjk 2 дня назад
이건 뭔 씹스러운 개소리너
@kswieg
@kswieg День назад
😮 결국, 안전 불감. 한국. 에 잘 맞는 건, 넉넉히 띄어서 짓는 방식..
@석영작가
@석영작가 2 дня назад
에스컬레이터 야외 설치가 되나요? 낙엽같은걸로 멈출것 같은 상상
@racanlike
@racanlike 2 дня назад
그럼 대개 지붕을 넞겠죠?? 아니면 지하철역 입구처럼 유리 케이스를 씌울수도 있고요
@유준상-q8o
@유준상-q8o День назад
역시영국이최고 건축도시 교통도시 영국
@승원-p7u
@승원-p7u День назад
공공건축물 공무원들몇번씩바뀌게되고 기부체납형태는 좋은건축물나오기어렵다
@츄츄-b8f
@츄츄-b8f День назад
폭이 좁고 뒤로 긴 건물 굉장히 비효율적입니다. 가뜩이나 좁은 폭인데 계단까지 안에 배치해야 하니 실제로 활용할 수 있는 폭이 너무 좁습니다. 3층을 가기 위해서 2층 공간을 통과해서 가야 하고 2층을 가기 위해서 1층을 통과해서 가야 하기 때문에 내가 가게 문을 열지 않아도 내 가게를 통과해서 가는 다른 가게 손님이 있다는 거 매우 불편합니다. 오히려 우리나라 대지형태에서 지은 건물이 훨씬 효율적입니다.
@user-mir9711-no.1
@user-mir9711-no.1 18 часов назад
교수님이 비효율적이라는데 니까짓게?
@사도삼촌_四都三村
@사도삼촌_四都三村 2 дня назад
이번 Q&A에서 솔올미술관에 대한 이야기는 반은 맞고 반은 틀린 이야기라고 생각합니다. 기부채납으로 지어지는 건축물의 설계사를 리차드마이어를 지정했다는것은 공공 건축의 발전에 대한 엄청난 의지를 가지고 진행을 하려고한 프로젝트라고 생각합니다. 당연히 시공도 신경쓰려고 했을거라 생각하지만, 기부채납으로 인한 공사비는 코로나 즈음 또는 그전에 결정났을거라 봅니다. 그사이에 코로나와 전쟁이슈로 엄청나게 오른 공사비를 시공사에서 다 감당하긴 힘들었을겁니다. 비단 솔올 미술관만이 아닌 본 공사(아파트)의 공사비에도 엄청난 영향을 미쳤기에 사업성이 밑바닥을 쳤을거라 봅니다. 그렇기에 처음의 마음가짐을 이어가지 못하고, 자신들의 사업이 마이너스가 되지 않는 선에서 프로젝트를 마무리 하는 방향을 선택한것이, 지금의 상황이 된게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안타까운 상황이죠. 기부채납이기에 예산의 한계가 있었다는것은 다른 프로젝트들과 비슷하나 단순 일반적인 기부채납의 프로젝트와는 다른 이유이지 않나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매번 공공건축에 대해서 안좋은쪽으로만 말씀하시는데 그렇게 말씀만 하시지 마시고, 나름의 영향력이 있는 건축을 하는 사람 중 한명으로서, 나아질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시고, 불합리한 정책과 과정을 바꾸기 위해 앞장서주시길 바랍니다. 그냥 뒷담화 같은 투정이 아닌 일선에서 직접적으로 부딪혀주세요. 일반인들에게 건축과 공간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것도 중요하지만, 정책과 과정의 불합리함을 타파 하지 못하면 좋은 공간 또한 만들어지기가 쉽지 않다는걸 누구보다 잘 아시리라 믿습니다.
@사도삼촌_四都三村
@사도삼촌_四都三村 2 дня назад
아…일선에 나서지 못하시는 이유는….대한건축사협회 정회원이 아니셔서 그럴까요…??
@MaechaKoocha
@MaechaKoocha 2 дня назад
저렇게 공개적으로 말하는데, 뒷담도 아니고 앞장서는 셈 아닌가여? 두건 두르고 총대 메는것만 방법인게 아니고.
@사도삼촌_四都三村
@사도삼촌_四都三村 2 дня назад
@@MaechaKoocha 제말의 뜻은 말이아닌 행동이 있으면 더 좋을것같다 라는 의미였습니다.
@MaechaKoocha
@MaechaKoocha 2 дня назад
@@사도삼촌_四都三村 같은 말 같습니다.
@사도삼촌_四都三村
@사도삼촌_四都三村 2 дня назад
@@MaechaKoocha 여기서 이야기 하는건 아무런 영향이 없습니다. 그냥 일반인들에게 이런게 있다. 이런 상황이다. 라는걸 알릴뿐 그이상 이하도 아니며, 그것조차 100%의 사실이 아닌 유현준님의 재해석과 관점이 녹아든 것들이죠. 정책과 잘못된 상황을 바로 잡기 위해서는 바로잡기 위한 업계의 사람들을 모으고, 전문성을 통해 대안을 마련해서 입법기관 또는 산하 정부기관에 대안제시를 하고, 설득을 해야히는것입니다. 그렇지 않고 이게 문제야!!라고 말만하는건 사람들끼리 모여서 정치 이야기하며 한탄하는것괴 다르지 않습니다. 잘못된것을 바로잡으려할때 영향력이 있는 사람이 가진 응집력은 대단히 큽니다. 이렇게 말만하고 잘못된점만 이야기해서 사람들의 인식만 안 좋게 만드는게 아니고 직접적으로 바꾸려고 하는 모습이 더 좋은 모습같다는 생각을 이야기 한겁니다. 그게 영향력을 가진 사람들이 사회를 위해 해야할 일이자 선순환을 일으키는 자세라고 생각합니다.
@민종92
@민종92 День назад
안전때문에 이격한다고하지만... 저 빈틈을 짐 쌓아두는 공간으로, 쓰레기 모아두는 공간으로 쓰는 현재로써는 미관에만 안좋고 실효성은 딱히 없어졌네요...
@3월의라이온
@3월의라이온 День назад
설계자의 의도를 사실상 차단하는 감리 시스템이 문제구나..
@닉네임할거없다-p2t
@닉네임할거없다-p2t День назад
공공건축 얘기 할때 진심으로 개빡쳐하는게 느껴진다...
@jso592
@jso592 День назад
학원의 구조로써는 B형이 정답이군요.
@hyunilab
@hyunilab День назад
교수님 시티즈 플레이 기원 1일차
@Chris-j3p2f
@Chris-j3p2f 2 дня назад
공무원 입장도 있어서 참 어려운 문제입니다. 마냥 공무원 탓하기 보단 그렇게 될 수 밖에 없는 환경 제도도 있습니다...
@alexkim1852
@alexkim1852 День назад
도로에 좁게 직사각형으로 접한 구조는 세금 때문이라는 말도 들었습니다. 예를 들어 베트남도 도로에 접한 면은 적고 뒤로 길게 된 샵하우스 구조인데, 그 이유가 프랑스 식민지 시절 도로에 면한 면을 기준으로 세금을 부과한 것에 기인한 것이라고 하더군요.
@주선미-b4k
@주선미-b4k День назад
@yooneric4541
@yooneric4541 День назад
시골 시내가면 연벽이라고 쓰는곳이 많습니다...
@승원-p7u
@승원-p7u День назад
경계선 50cm 띄어야하는법 옛날 초가집 옆으로 번지지않게해서 유래 또 정방형이기때문ㆍ 장사들은 겉은좁고 뒤로는 길게 외국은 돌로지어서 불나도 크게? 사회적 합의때문
@hoomin8747
@hoomin8747 2 дня назад
일본 가면 눈이 즐겁던데, 다 이유가 있군요
Далее
Думайте сами блин
18:15
Просмотров 633 ты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