Тёмный

해류에 떠밀리지 않고 어떻게 제자리에 있을까? Floating Dock 부유식 구조물 

EBS Collection - Nature
Подписаться 921 тыс.
Просмотров 2,1 млн
50% 1

플로팅 독(Floating Dock)은 해상에서 선박을 건조할 수 있도록 고안된 바지선 형태의 대형 구조물로 육상에서 만들어진 블록을 플로팅 독으로 가져와 조립한 뒤, 선박이 완성되면 선박과 플로팅 독을 함께 바다에 가라앉힌 후 선박을 띄우는 원리다. 플로팅 독은 바다 아래로 가라앉는 기능이 있으며, 이 안에 물을 넣으면 수면 아래로 가라앉고 물을 빼면 부상하게 된다. #해양구조물 #플로팅 #도크
*방송일자 : 2013.12.11 / 프로그램 : 원더풀 사이언스-떠있는 신대륙, 플로팅 프로젝트

Наука

Опубликовано:

 

6 апр 2022

Поделиться:

Ссылка:

Скачать:

Готовим ссылку...

Добавить в:

Мой плейлист
Посмотреть позже
Комментарии : 390   
@user-hu4lg1uh3y
@user-hu4lg1uh3y 2 года назад
와 저는 저거 땅에 박혀있는 건줄
@user-yv6nd3ip8d
@user-yv6nd3ip8d 2 года назад
나두
@jeong1477
@jeong1477 2 года назад
나둥
@user-ym8ln6zs1y
@user-ym8ln6zs1y 2 года назад
나듀
@user-hw1ur6gg8d
@user-hw1ur6gg8d 2 года назад
나아두
@user-pr6np4xu9b
@user-pr6np4xu9b 2 года назад
저도;;
@hwang4017
@hwang4017 Год назад
시추선 그냥 땅에 박혀 있느건줄 알았는데 떠 있는거였구나진짜 엄청난 과학기술이다 대단하긴하네요 부유식으로 인장하중을 버틴다는게... 굴착깊이가 2키로이면 로드무게가 상당할텐데유익한 다큐멘터리 감사합니다
@johnnyk682
@johnnyk682 Год назад
유전의 수심이 깊으면 고정도 힘들고, 해저 지형에 따라 또 매장량에 따라 필요 하면 예인선으로 이동도 해야 하니 그런 겁니다.
@user-pe5xe9wo2r
@user-pe5xe9wo2r 2 года назад
대단하십니다 이분들이 진정 우리나라의 애국자님들입니다 얼마나 연구노력 했을까 싶네요 훌륭하십니다
@ZeckDamien
@ZeckDamien Год назад
나도 시추선 그냥 땅에 박혀 있느건줄 알았는데 떠 있는거였구나..ㄷㄷㄷㄷ 진짜 엄청난 과학기술이다 와...
@user-vq2yj7cs5v
@user-vq2yj7cs5v 2 года назад
수고하십니다 ~
@user-ky2iy5xp7w
@user-ky2iy5xp7w 2 года назад
그러고보니 저게왜 해저에 박혀 있을거라 생각했지? 말이 안돼는데 ㅋㅋㅋ 좋은영상 입니다!
@user-pw7ik1lm7i
@user-pw7ik1lm7i 2 года назад
개발자들 정말 머리 좋다..
@user-bc2no3zr7e
@user-bc2no3zr7e 2 года назад
유익한 다큐멘터리 감사합니다.
@user-pk1hp1zi9p
@user-pk1hp1zi9p 2 года назад
뭐라 할말이 없네요. 놀랍고, 재밌어요. 과거 63빌딩 수족관에서 상어보는 기분이네요. 방송이 더 많은 분들에게 시청될수있었으면 좋겠습니다.
@corsa488
@corsa488 2 года назад
@user-vl2oh1mx2o
@user-vl2oh1mx2o 2 года назад
@user-zp7jc2mx5b
@user-zp7jc2mx5b 2 года назад
'.?.@@corsa488 :
@corsa488
@corsa488 2 года назад
@@user-zp7jc2mx5b 맞아쥭고싶어서그러냐?
@amd3787
@amd3787 2 года назад
글만봐도 연배가 보임
@user-ys7ks1wr8v
@user-ys7ks1wr8v 2 года назад
부력 참 대단하다.
@leddeee
@leddeee 2 года назад
잘봤습니다. ebs 짱
@user-kc1rl3qb9f
@user-kc1rl3qb9f 2 года назад
우와 이런건 EBS 칭찬해!!!
@user-mv2cz7ew1g
@user-mv2cz7ew1g 2 года назад
인간은 대단하다 진짜
@noendrun
@noendrun 2 года назад
정말 대단하다
@thejojoshow9238
@thejojoshow9238 2 года назад
그러게 말입니다🤔바다에 떠 있다니!!
@emdeo999
@emdeo999 5 месяцев назад
떠내려가지않고 서있다는게 대단하네요
@1000seju
@1000seju 2 года назад
저게 부유중이라는 것조차 생각도 못했네요;;
@sszazz6326
@sszazz6326 2 года назад
다른 기술보다 이런기술의 발전이 더 대단하다고 생각든다
@user-ox3zq2wg8t
@user-ox3zq2wg8t Год назад
모든 기술은 대단하죠
@user-ju4nm3ko8o
@user-ju4nm3ko8o 2 года назад
보이는 게 다가 아니다 현직 조선소 직원으로서는 한숨만 나올 뿐...
@wtd3597
@wtd3597 Год назад
이러한 원리로 제자리에 그대로 있을 수 있었던 것이군요. 그냥 땅에 박혀있는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그게 아니었네요. 몰랐던 사실을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유익한 영상 많이 만들어주세요!
@user-zx3gd6nc6i
@user-zx3gd6nc6i 2 года назад
대한민국 쵝오닷 잘햇심더 죠와죠와 굿굿굿 아주죠와 걱정마이소 끄뜩없심더 ㅋㅎㅋㅎㅋㅎ
@user-jh5tx4zg9n
@user-jh5tx4zg9n 2 года назад
대단하긴하네요 부유식으로 인장하중을 버틴다는게... 굴착깊이가 2키로이면 로드무게가 상당할텐데
@user-dw5vo7zs4n
@user-dw5vo7zs4n 2 года назад
2013년도에 저 기술력이면 지금은 어떨까..... 멋지다 정말
@ILove_Kpop_toilet
@ILove_Kpop_toilet 2 года назад
지금은 공무원들 입맛에 안 맞으면 분서갱유 저지르는 수준이예요ㅋ 그 부끄러운 조선 후예들 아니랄까봐 사농공상,유교에 기본상식이 갈려져 나감
@user-nb2pi8ho2h
@user-nb2pi8ho2h 2 года назад
거서 생산하고 ㅋㅋ
@user-dw5vo7zs4n
@user-dw5vo7zs4n 2 года назад
우리나라 기술력이라고 한적도 없고 그냥 과학 기술력이 대단하다고 한건데 다들 왜 그렇게 자격지심에 빠져사는지.......
@user-dw5vo7zs4n
@user-dw5vo7zs4n 2 года назад
@@arona6699 국어능력수준에 감탄하고 갑니다 반성하고 책부터 읽으세요
@xx-cv7gs
@xx-cv7gs 2 года назад
@@arona6699 능지
@user-of1bl5bq9n
@user-of1bl5bq9n 5 месяцев назад
막상 저 상상을 초월하는 크기를 보면 인간은 정말 대단한거 같은 웅장함을 느낌
@gjejwnxhw369
@gjejwnxhw369 2 года назад
바닥에 박은 줄.... ㄷㄷ 하긴 바닥에 박았는데 수심이 높아 질 수 있으니까 거에 맞는 높이여야 할테니 땅에 박진 않겠다
@electricshock900
@electricshock900 2 года назад
떠있는건 알았는데 어떤 방식인지는 3:05 모형을 보기전까진 가늠이 안됬네요 부력과 추의 무게를 계산해서 승선 인원도 체크할듯 합니다.
@user-nw5fc5lm2h
@user-nw5fc5lm2h 2 года назад
헐? 저게 떠있는거라구요? 대박
@user-hs8nl4dl9i
@user-hs8nl4dl9i 2 года назад
서해에서 고속단정 타고 가는 길에 항상 저런 해군기지 옆을 지나갓던게 기억나네요
@zinal6908
@zinal6908 2 года назад
222
@user-yj4wr7vc1z
@user-yj4wr7vc1z 2 года назад
@@zinal6908 나도 고속정타서 거기 드나들었지..
@Warkytocky
@Warkytocky 2 года назад
인간은 역시 대단해
@user-ex9vb8yv6c
@user-ex9vb8yv6c 2 года назад
유익한 채널 ebs
@junyoungkim8847
@junyoungkim8847 Год назад
9:45 보니 2017년에 졸업작품으로 만든게 생각나네요. 수조 크기랑 예산이 모자라서 GPS를 못달고 벽면 좌표계로 만들었었는데, 지금 다시 보니 대학시절이 생각납니다.
@realminki100
@realminki100 2 года назад
너무 당연하게도 바다 깊숙히 박혀있을거라 생각하고 있었다
@alexkim986
@alexkim986 2 года назад
해양플랜트 호황일때 용접사들 비철용접으로 재미좀 봤었죠ㅎㅎ
@user-nv9mv2hn4b
@user-nv9mv2hn4b Год назад
그 멘트가 왜 여기서 나옴 ㅠㅠ
@pen2046
@pen2046 Год назад
amazing 🤩
@user-sx2cr2hd8r
@user-sx2cr2hd8r 2 года назад
울산 앞바다에 있는 두성 시추선이네요 ^^
@user-lz9lw9bc1m
@user-lz9lw9bc1m Год назад
드릴쉽오랜만이네....ㅋㅋㅋ 저거만들때 출입구기준으로 90도씩돌리는데 갑자기 길이 바껴서 도면보기바쁨ㅋㅋㅋ
@Jason-kc4qs
@Jason-kc4qs 2 года назад
저도 한때 시추선에서 근무했었죠. 기억이 새록 새록 나네요.^^
@user-yk9bn9fy8n
@user-yk9bn9fy8n Год назад
썰좀풀어주세요
@eornvk
@eornvk Год назад
그런곳에서 일하면 돈 많이 벌지 않나요?!
@99boysJP
@99boysJP 2 года назад
과학과 기술....크.. 재밌다
@monday314
@monday314 2 года назад
저렇게 바다 한 가운데 떠서, 수천미터 깜깜한 바다 바닥에 빨대 꽂아서 원유를 뽑아내다니, 엄청나네..
@coffeeman9543
@coffeeman9543 2 года назад
6:55 어렸을 때 봤으면 와 신기하다 이랬겠지 근데 이제는 '이야 돈 많이 받으시겠네' 이 생각이 든다 ㅋㅋㅋ
@JMT...
@JMT... 2 года назад
크......리그선 조선소일할때 하루죙일 오르내렸는데ㅋㅋ
@user-ki7dj8lg9h
@user-ki7dj8lg9h 2 года назад
중간에 나오는 플로팅 도크도 우리나라 같이 거대한 조선 산업이 있으니까 다량의 플로팅 도크 보유가 가능한거,, 러시아가 항공모함 올려놓고 수리하다가 플로팅 도크에 구멍났는데 대체 도크를 못구해서 항공모함 퇴역까지 고려한걸 보면 우리나라 조선 산업이 얼마나 큰지,,
@saru46kim31
@saru46kim31 2 года назад
영상초기에 나온 노랑 리그 낯이 많이 익는데..ㅋㅋ 혹시 그.. 넘어....그 리그 아니겠지...
@user-uq6kl8es4r
@user-uq6kl8es4r 4 месяца назад
그나까 왜 안떠내려가냐구요!!
@user-ml5mv6tk9d
@user-ml5mv6tk9d 2 года назад
내가 만든 물건이 곳곳에 설치 되어 있는게 신기하다 👍
@user-tx7ef2ci3p
@user-tx7ef2ci3p 2 года назад
여기 댓글 적으신 분들, 다들 조선소에서 일 안해보셔서 모르시나본데, 우리나라는 껍데기만 잘만들지 시추 장비는 거의 다 수입해서 만들어요
@jmc9678
@jmc9678 2 года назад
현장의 인력구조(용역)와 임금구조 그리고 근무환경도 안좋죠. 아주작은 컨테이너에 공구도 보솨나고 옷도 갈아입고 휴식도 취하는데 컨테이너 수가 부족하여 많은 사람이 바깥에서 보낸답니다. 한여름 한겨울 정말 힘들죠
@user-jv8cz1sh8b
@user-jv8cz1sh8b 2 года назад
@@jmc9678 전 컨테이너에서 편하게 보낸것같네요 h안벽에서 열심히일하고 느태로넘어와 퇴사하는날까지 일했네요 ㅜㅜ
@user-jr5li5be6g
@user-jr5li5be6g Год назад
MO2,느태 ...추억의 장소 ㅎㅎ .정말 작업 환경이 열악하죠.이제 안전벨트 안 매는 직업이라 좀 살겠네요. ㅎㅎ
@user-dz2ro8mf8c
@user-dz2ro8mf8c 2 года назад
바닥에 박혀있는 줄;
@nemobin
@nemobin 2 года назад
대우조선해양 영광의 나날 기록인가요
@user-ck9pq8tq3g
@user-ck9pq8tq3g 2 года назад
진짜 대한민국 대단하다
@electricshock900
@electricshock900 2 года назад
3:16 LabVIEW가 쓰이는군요~
@user-gz2qc1fm5b
@user-gz2qc1fm5b 2 года назад
생각도못했는데 시추구조물이 땅에 박혀있는게 아니었네 ㅋㅋㅋ
@TheMcHwang
@TheMcHwang 2 года назад
떠있는거 였어 ? ㅋㅋㅋ 땅에 박아 놓은것인줄알았는데 ㅎㅎ
@User_Fucking_China
@User_Fucking_China Год назад
오~오드펠도 나오네~
@iiiiilliili6354
@iiiiilliili6354 2 года назад
삼성중공업 있을때 저거 비슷하게 생긴거 봤었는데. 생각보다 엄청 높고 엄청 넓음.
@user-iq3um8yw4z
@user-iq3um8yw4z 2 года назад
와우------
@vava7724
@vava7724 2 года назад
바다에 고정해서 시추하는건 잭업리그라고 있어요 다리가 3개인데 300미터정도 되요
@user-kh6mm9ms2q
@user-kh6mm9ms2q 2 года назад
간단하지요 수심 체크하고 1목 따고 2목 내놓으면 떠있지요 내림기법
@lee-hj9ls
@lee-hj9ls 2 года назад
저거 만드는거 기술자들은 진짜 스트레스 엄청 받고 너무 힘들다... 검사도 엄청 까다로워서 만들면 거의 이익이 없음.. 저거 한척 만들바에 cntr, cot, pctc, vlcc 만드는게 훨 이익임
@user-ds2wh3zg5q
@user-ds2wh3zg5q 5 месяцев назад
과학자들 대단하다
@castor840417
@castor840417 Год назад
8:15 쯤 드라이도크 계류시스템 설명 중 자막에 오류가 있네요. "이 사이드에 우현 8개, 선미 2개와 앞에 육상과 연결된 것이 9개" 라고 자막이 나오지만, 직원분 설명에는 "Port/Starboard(-side., 좌현/우현) 8개" 라고 분명히 들리네요. 다음 설명에서 총 27개의 앵커체인이 설치되어 있다고 하였으니 선미 2개, 선수(육상쪽)9개, 그리고 '좌/우 양현 각 8개' 가 맞는 것 같습니다. :)
@Lynnmabell
@Lynnmabell Год назад
이게 그냥 떠 있는거라고?ㄷㄷ 박아놖다고해도 놀라운데 그냥 띄워놓는거라 더 놀라움
@user-nv9mv2hn4b
@user-nv9mv2hn4b Год назад
부력과 인력으로 중립 만듬 끜
@user-je6hj1zg7s
@user-je6hj1zg7s 2 года назад
떠있는거였구나
@italictype5335
@italictype5335 2 года назад
헐 여태까지 바닥에 공구리 쳐서 고정해놓은줄 알았는데
@user-ch6pd5jr4z
@user-ch6pd5jr4z 2 года назад
세미리그선< 현중에서 두대 만들때 있서는대 배값보다 장비값
@justiceson7806
@justiceson7806 Год назад
아 옛날 2008년도 대우조선에서 해양플랜트 드릴쉽 만든다고 뺑이친 기억 지금도 치가 떨립니다
@겨울배
@겨울배 2 года назад
와 저거 바닥에 기둥 박은거 아니였아요??
@user-jr5li5be6g
@user-jr5li5be6g Год назад
2013년도에 대우에서 어느 외국인근로자의 실수로 저 네발 달린 시추장비가 바닷물에 침수되어 녹슨 기계장비 등을 닦는 등 그 거 뒤처리하다가 양쪽 팔에 테니스엘보가 걸려서 고생 좀 하다가 치료가 안되어 결국 퇴사했는데...ㅠㅠ
@cje5426
@cje5426 Год назад
@user-ti1fc6yj6k
@user-ti1fc6yj6k 2 года назад
이래서 조선소에서 만드는 배들이 저렇게 생였구나 조선소 너무 힘들어...
@pingpongballball2999
@pingpongballball2999 3 месяца назад
BGM 직이네예
@user-dq2hj2wz1s
@user-dq2hj2wz1s 2 года назад
저게 떠 있는거였나요 ㄷㄷ 고정시킨건줄알았는데
@whijaes
@whijaes 2 года назад
우리나라 조선업 짱
@user-dg5nz3qw9i
@user-dg5nz3qw9i 4 месяца назад
해양플랜트.. 10여년전 하다가 망해버려서 대우조선이 조져질뻔 했지 ㅋㅋ
@upamekano
@upamekano 4 месяца назад
기둥으로 보이는 다리가 있길래 무조건 땅에 박혀있겠지라고 생각했는데 신기하네
@Ouu09
@Ouu09 Год назад
미래에 해상 도시가 나온다먼 같은 원리로 만들어 질까?
@user-yv6ci7ks9y
@user-yv6ci7ks9y 2 года назад
만들어봄안다 힘듭니다 ㅜㅜ
@AssociazioneCalcio
@AssociazioneCalcio 2 года назад
부유하면 개발할 수 있는 기술.
@Soonosuke
@Soonosuke 2 года назад
우와
@user-dd1mc8um2g
@user-dd1mc8um2g 2 года назад
배그 사막맵에서 봤었는데 저거엿구나
@pax8866
@pax8866 2 года назад
저것도 옛날 구조물./ 지금은 fpso.
@user-to2cn9pc8p
@user-to2cn9pc8p Год назад
떠있는거였다니 헐
@user-kt6vp3bk8q
@user-kt6vp3bk8q Год назад
노예들이 열심히 노저어서 잘 떠있는거임!
@jayyoo906
@jayyoo906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오뚜기 논리. 엥커링도 가능, 해저 땅에 세울 수도 있다. 풍랑이 심한 영국 북해의 경우 위험할 경우 엥커를 풀어 버리고 풍랑에 떠밀리는 경우도 있다.
@user-is2rw9eu9k
@user-is2rw9eu9k 2 года назад
이런 기술자 공학자 과학자들이 돈을 많이 벌어야하는데 같잖은 아이돌 딴따라들이 셀럽이랍시고 돈을 ㅈㄴ 버는게 미친것이지
@user-cy7vp3fg9v
@user-cy7vp3fg9v 4 месяца назад
시추선 제작해봤는데 아휴~저거 만들려면 장난이니네요
@user-nr8eo2yn7p
@user-nr8eo2yn7p Год назад
제주 앞바다에 영상과 비슷한 구조물이 많던대 어떤거인가요? 설치목적은 뭔가요?
@duddn03
@duddn03 2 года назад
헐 난 떠있다는걸 지금 알았어요 -_- 인생헛살았다..
@JSTIME_life
@JSTIME_life 2 года назад
저두요;;;; 당연히 바다에 박은건줄 알았는데 생각해보니 박는게 쉽지 않구나
@user-ve8ry1rq8r
@user-ve8ry1rq8r 2 года назад
저도 ㅋ
@hgytgytrftrguh
@hgytgytrftrguh 2 года назад
시추봉은 땅속에 박혀 있을탠데 시추선이 조금이라도 움직일탠데 태풍이 불거나 하면 심하게 요동칠탠데 궁금 하네요
@use_map_settings
@use_map_settings 2 года назад
13년만 해도 D사가 플랜트에 꿈이 크긴 했었는데...
@user-of1fm7do2i
@user-of1fm7do2i Год назад
개꿀빠는 일은 직영이 다 한다
@user-uz6od9qs2y
@user-uz6od9qs2y 2 года назад
과학의 진보만이 미래를 해결한다
@user-nh4cj9px7k
@user-nh4cj9px7k 2 года назад
저런거 다 누가개발한거야?.ㅋㅌㅋㅋㅋㅋ 개신기
@user-om6pf7lp5g
@user-om6pf7lp5g 2 года назад
와 기둥박아놓은거 아니었어?
@user-ig8ux9iw8f
@user-ig8ux9iw8f 2 года назад
태풍에안떠내려가는게 더신기
@tc.y855
@tc.y855 2 года назад
저기에 태풍 오면 개박살
@choulminsong8925
@choulminsong8925 2 года назад
@@tc.y855 아무 상관없지! GPS 정보 받아 사방의 엔진이 자동가동해 설정한 위치로 복귀하는 시스템임!ㅎㅎ
@user-bn4em4nu3i
@user-bn4em4nu3i 2 года назад
엥.. 애초에 부유식인줄도 몰랐네ㅋㅋㅋ 바닥에 기둥박아넣거나, 앙꼬 채워넣은 구조물로 가라앉혀넣은줄..
@user-rn2gx8wx4k
@user-rn2gx8wx4k Год назад
디자인이 곧 과학
@_jk2770
@_jk2770 4 месяца назад
정작 제일 궁금한거는 안나오네..ㅠ 저렇게 바닥에 떠있고..그 깊은 수심을 넘어 바닥까지 어떤원리로 원유를 뽑아내는건지 수심2천미터라고도 하는데.. 2천미터 바닥까지 땅뚫는거랑 원유뽑는거랑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user-du8gj5ux6w
@user-du8gj5ux6w 2 года назад
높이235미터가 아니고 23,5미터 에고~~
@user-wb9rj3er6u
@user-wb9rj3er6u 2 года назад
저런 거 영화 : 7광구에서 봤는데!
@user-zw1vj6pl4i
@user-zw1vj6pl4i 2 года назад
대한민국 기술력이 결코 뒤쳐지지않음.. 지리적위치가 좀더 좋고 지하자원이 많아 과학자와 엔지니어 육성에 좀 더 적극적으로 투자했다면 얼마나 더 성장해있었을까 물론 지금 발전해온것만해도 한강의기적이지만.
@user-qg7qi7pq6m
@user-qg7qi7pq6m 2 года назад
자원이 있었기에 기술력으로 올라온거임 에초에 자원으로만 먹고 사는 나라중에 기술력좋은나라는 얼마없음..
@ohme9492
@ohme9492 2 года назад
@@user-qg7qi7pq6m 우리나라에 자원 없는데요...인적자원 말곤 죄다 해외 수입후 제품으로 만들어서 수출하는데
@user-he3zj9dx3w
@user-he3zj9dx3w 2 года назад
@@user-qg7qi7pq6m 한국에 도대체 자원이 뭐가있음? ㅋㅋㅋㅋㅋㅋ
@공략
@공략 2 года назад
@@user-he3zj9dx3w 개떡같이 말해도 찰떡같이 알아 들어야지 딱 봐도 없었기에 라고 써야하는데 잘 못 쓴거 안 보이노
@user-qc4lf4jj1k
@user-qc4lf4jj1k 2 года назад
@@user-he3zj9dx3w 마그네슘은 세계2위임 개발하면 주변 민간거주지역들이 죄다 박살나서 그렇지.
@user-vt3qn2hk7k
@user-vt3qn2hk7k 4 месяца назад
저 큰게 300미터만 들어가도 못버틴다는게 놀랍다 생각해보니 저 큰걸 박는게 더 어려울듯😅😅
Далее
Never waste PASTA SAUCE @itsQCP
00:19
Просмотров 4,8 млн
НЕ ПОКУПАЙТЕ ЭТО!
00:29
Просмотров 29 тыс.
호주의 95%는 왜 비어있을까?
12:59
Просмотров 6 млн
후버 댐 | 엔지니어링 경이의 모든 비밀
9: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