Тёмный

544만 원 벌고 6억 자산 있으면 보통 사람? 

채부심 - 채상욱의 부동산 심부름센터
Подписаться 221 тыс.
Просмотров 228 тыс.
50% 1

✅ '채부심'채널 구독자들이라면 이 책은 읽어야지!
2024년 화제의 도서 [피크아웃 코리아] 출간!
출산율 제로사회, 우리의 생존전략을 다뤄봅니다.
예스24 링크
www.yes24.com/Product/Goods/1...
교보문고 링크
product.kyobobook.co.kr/detai...
알라딘
www.aladin.co.kr/m/mproduct.a...
👉영상이 재밌었다면 우리채널을 후원해주세요! 커피한잔 가격도 채널에 큰 도움이 됩니다.
/ @chaeboosim
👉 더 많은 인사이트, 네이버 프리미엄콘텐츠
naver.me/5R8DRmeA
✅ [네프콘] 채상욱의 아파트 가격&가치 연구소 구독하기
naver.me/x9ct3yeH

Опубликовано:

 

25 апр 2024

Поделиться:

Ссылка:

Скачать:

Готовим ссылку...

Добавить в:

Мой плейлист
Посмотреть позже
Комментарии : 512   
@user-lm4ro8ik2o
@user-lm4ro8ik2o 2 месяца назад
신한은행 가구자산 자료는 애초에 만명에게 이메일로 설문지 돌리는 식이라... 통계로서의 가치가 전혀 없습니다. 통계청이 발표하는 가구자산이 그나마 참고할 가치가 있죠.
@user-qf7pu2cw8k
@user-qf7pu2cw8k 2 месяца назад
댓글을 잘 안 다는데, 이번 영상은 정말 공감이 많이 되네요. 흙수저 고소득자인데, 처음 회사를 다니며 가장 많이 느꼈던 점이 내가 아무리 벌어봐야 부모 잘 만난 애들은 평생 따라잡을 수가 없다였습니다. 연봉 1억이면 뭐하나요, 10년간 한 푼도 안 쓰고 모은다해도 부모가 서울에 집 한 채씩 해줄 수 있는 친구들 못 따라잡습니다. 죽어라 공부하고 스펙 쌓아서 좋은 직장 들어가봤자, 걍 대충 월 이삼백 버는데 부모가 몇억씩 도와줄 수 있는 애들보다 못해요. 근데 현 제도는 흙수저 고소득자한테는 청약 기회, 세금 공제 등 온갖 혜택을 박탈하면서 부모한테 몇 억씩 받을 애들한테는 저소득자라며 청약 기회도 주고, 세금 공제도 더 해줍니다. 그렇게 로또청약 기회 잡으면 부모 지원받아 자산 따따불 불리고요.ㅋㅋㅋ 코미디죠. 아니 사실 안 웃깁니다. 물론 이제는 계급이 고착화되어 소득도 결국 부모의 지원에 따라 결정되는 부분이 큽니다만, 그럼에도 소득은 이 사회에서 흙수저가 어떻게든 노력으로 올려볼 수 있는 마지막 스탯입니다. 각족 복지혜택 제도를 소득으로 자르는 무식한 정책은 그만두고, 이젠 정부에서 기회의 불공정, 부의 대물림 문제나 해결할 방법을 찾아야 할 때라 생각합니다.
@gotoeB99
@gotoeB99 2 месяца назад
저도 비슷하네요 ㅋㅋ 나라에서 하는 지원대상에서는 늘 제외 ㅋㅋㅋ
@user-qy8zw3qr6h
@user-qy8zw3qr6h 2 месяца назад
맞습니다
@liedown-bm7ow
@liedown-bm7ow 2 месяца назад
혜택 국가에서 주는거 있나요? 코로나때 20만원인가 받아본 기억말고 ......없는데 병원한번 못가봄 ㅋㅋ
@hjr9043
@hjr9043 Месяц назад
부모한테 물려받으니 기회가 불공정하다.. 무슨 로직인지. 저도 물려받지 못한 1인이지만, 물려받은거와 비교해서 불공정하다고 생각한적이 없는데.
@gotoeB99
@gotoeB99 Месяц назад
@@hjr9043 부모한테 물려 받아서 불공평한게 아니잖아 ㅋㅋ 열심히해서 노는 놈보다 잘 버는데 세금 많이 내고 받는혜택없다는거 잖아 ㅋ
@yoon6118
@yoon6118 2 месяца назад
우리가 지나치게 소득기준만 봐왔구요..자산상속과 증여를 반영해서 새로운 정책시도 좋은 말씀입니다
@heather7929
@heather7929 2 месяца назад
혼자 벌어도 이 정도는 넘겠다. 그래서 우리는 보수 아이가?
@yjjeong3217
@yjjeong3217 2 месяца назад
세후 544가 만만한게 아닌데 ㅜㅜ…
@jhkim6210
@jhkim6210 2 месяца назад
가구 전체 소득이니 맞벌이 가정 이나 가족 구성원이 많은 가구에서는 어려운 것도 아님.
@user-pk6jl7rn3x
@user-pk6jl7rn3x 2 месяца назад
중위소득으로 맞벌이면 가능하죠 혼자서는 넘... 힘들죠
@jpark5828
@jpark5828 2 месяца назад
맞벌이는 각각 300씩만 벌어도 600 ㅡ 맞벌이 가정엔 그리 어려운 금액이 아님
@Kk-rl1bm
@Kk-rl1bm 2 месяца назад
저도 저 리포트 봤지만 좀 신뢰성이 떨어지더군요. 세후 544면 세전 600초중반은 되어야 하는데 아무리 가구소득 기준이라지만 세전600초중반이 평균이라구요? 서울이나 화학단지 등 들어선 공업도시만 대상으로 조사한건가요? 일단 통계청이 매년 발간하는 가구 소득 및 자산 자료와도 갭이 큼. 또한 이 리포트가 조사한 모집단 숫자도 그닥 크지않구요
@ok-ft7ob
@ok-ft7ob 2 месяца назад
@@Kk-rl1bm 전국민이 20대도 아니고.. 가구 기준으로 544가 세상 엄청난 숫자는 아니죠.
@user-uj3pc4ui1m
@user-uj3pc4ui1m Месяц назад
진심 공감됩니다 흙수저에서 대기업 다니면 자산은 없는데 소득 높다고 모든 정부정책 소외되고 세금만 뜯깁니다. 반면 중소기업 사장아들은 당장 소득적다고 모든 정부혜택 받아요 이게 맞는지? 헬조선
@user-ix2cl8pr9l
@user-ix2cl8pr9l 2 месяца назад
내용 깔끔하고 좋네요! 감사합니다 그리고 응원해용~
@cma9371
@cma9371 2 месяца назад
부동산 자산 비중 80%... 참 답이 없는 대한민국 입니다. 미래세대에 빨대 꼽지 않으면 버티지 못하는 자산이 80%라니...
@user-md2qi3oi3z
@user-md2qi3oi3z 2 месяца назад
코로나때 대드켓바운스 해야했는데...쭉 저금리 이어지면서 부동산폭발했죠...거기에 선동하고..넘어가고..,.정말이지 최악이던때...그 이후 이지경까지 온거니.... 정부도 노답일거고... 금리 올리믄 거의 경착륙 확정이니.. 어거지로 버팅기기하는데..문제는 그럴수록 경제는 나락간다는거.. 진작에 터트려야했음....이미 ... 장기저성장은 들어섰고...앞으로 어찌될런지... 안좋은 지표들과 뉴스만.. 한숨만 나오는 현실입니다
@user-zh5wl3xy9i
@user-zh5wl3xy9i 2 месяца назад
지금이라도 금융자산으로 꾸준히 옮겨놓아야 하죠
@bucksup7832
@bucksup7832 Месяц назад
선진국처럼 금융대 자산비중이 7대3이나 6대4가 되야할텐데 서울은 어렵고 오히려 지방이 가능성이 높다고 보여지네요
@user-go3uh1xv4v
@user-go3uh1xv4v Месяц назад
미국빼고 금융자산 비중이 높아서 은퇴자금운용하는 나라가 어디잇는데?
@user-ii4el7cc1z
@user-ii4el7cc1z Месяц назад
한국인들은 너도나도 양반 행세 하려는 종특이 있어서 더 심해지지 나아질 일이 없습니다. 크게 매운맛을 봐야 정신차리죠..
@uesr-a8vn3z0coj
@uesr-a8vn3z0coj 2 месяца назад
가구별 조사는 자녀가 몇 명인지, 맞벌이 가구인지에 따라 결과가 확연히 차이가 날텐데 조사 방식이 아쉽네요. 가구당 평균 세전 1억 번다는 건 맞벌이해도 각각 5천이라는 건데 이건 아무리 봐도 평균이 아닌데..
@haeng2380
@haeng2380 2 месяца назад
영상에 언급은 없는데 언급한 보고서 뒷부분에 연령, 가족구성별 분류해서 조사결과 나와 있어요~궁금하시면 참고바래요~
@user-ef1tf5bn8z
@user-ef1tf5bn8z 2 месяца назад
보통 생각하는거보다, 보통사람 금융보고서가 높은이유는 취업자기준으로 24천명을 조사한 결과이기때문입니다.
@tongki72
@tongki72 2 месяца назад
가구 소득이 개개인의 소득을 말하는건 아니어서 퉁쳐서 가구소득을 말하면 통계의 활용에 문제가 있고 연차가 쌓이면 급여가 제법 오르기 때문에 나이나 경력연차도 고려해야 합니다.
@soficeo
@soficeo 2 месяца назад
평균보다는 커트라인이 궁금하네요. 평균은 높게 나오는게 있어서요...얼마전 가계조사에 비해서 너무 높게 나오네요. 몇달전 순자산7억만 있어도 상위20%수준이였는데...
@user-fh4ej9wl6f
@user-fh4ej9wl6f 2 месяца назад
진짜진짜 퀄리티좋은 컨텐츠였습니다! 채부심채널 엄청 응원합니다!
@user-sv3iw1gm6c
@user-sv3iw1gm6c 2 месяца назад
부동산업계에 있는데 요즘 젊은 신혼부부 전세 7-8억대 아파트 신축에서 시작하는거 보면 진짜 신기,,,직업이 엄청 좋은가 해서 보면 직업은 평범한데 양가 집에서 경제적으로 도와주는 케이스가 거의 대다수
@moonsj1432
@moonsj1432 Месяц назад
제아들 친구들 7,8억짜리 전세사는애들 대부분 양가가 여유가 있더라구요 10:18
@tv-eh3pt
@tv-eh3pt Месяц назад
우울하지만 명쾌한설명 감사합니다
@nomal4778
@nomal4778 Месяц назад
구분 자체를 입체적으로 해야 한다라에 동의하죠 부양을 하는 입장에서는 월 소득 기준이 평균보다 높다고 한들, 여력이 없는 경우가 허다하거든요
@user-ed8cv9st7n
@user-ed8cv9st7n Месяц назад
선생님의 경제통찰력 대단하네요 감사합니다
@migeonkim1367
@migeonkim1367 2 месяца назад
꾸준히 순자산 늘리기를 하는게 답이네요...
@jep1240
@jep1240 2 месяца назад
완전 동의요... 소득이 무슨 소용인가 싶네요
@user-js8yy2bs6m
@user-js8yy2bs6m 2 месяца назад
버ㅡ얼써부터 부모도 아니고 너거 할배 뭐하시노ㅡ, 입니다 할배가 부자라야 😢😮😮
@user-cn9jv2qx4w
@user-cn9jv2qx4w 25 дней назад
데이타로 분석해주니까. 정말 재미있네요
@johnjohn5062
@johnjohn5062 2 месяца назад
1등?! 피크아웃코리아 재밌네요!
@ttkk9040
@ttkk9040 2 месяца назад
전 저정도 이상이었는데... 우리회사가 서비스를 중소기업이하급에 많이 납품하는데... 다들 암담합니다. 연봉과 씀씀이등등등... 보통사람이면 가보지도 않은 촌 곳곳에 중소기업들 어마하게 산재되어있고 거기 있는 사람들은 소득이 낮아요. 대기업으로 시작하거나 전문직아니면.. 참 쉽지않아요.. 취미로 경매공부 직접참여로 경매낙찰은 얼마되지않지만... 년 몇십만원으로 심심하면 랜덤으로 등기부 때보는데요.. 60세 이상이 소유집은 대출이 적거나 없는 경우가 많고 3040은 대출이 풀로 있는경우가 매우 많습니다. 1000건이상 때봤고요. 1000건해봐야 700원곱하기입니다. 지금의 버블은 3040중 부모가 60 대출없는 사람들이 부모를 안전장치로 두고 풀대출로 도박하는거죠. 이미 양극화로 이번에 성공못하면 ㅈ된단 마인드로요...결국 상속이 많이 진행되는 시기가 오면요 수요보다 공급이 많아서 하락할거라 생각합니다. 저 60세대의 20년정도된 아팟중 입지좋은 곳이 정말많습니다. 이게 쏟아져 나오면 년수는 오래되서 구매욕은 불러일으키지못하고 위치는 좋아 가격은 비싼상테인데. 이러니 수요자입장에서는 위치는 좋으나 가격은 높고 오래되었으니 가격이 싸지않으면 살생각을 안하는거. . 집값이 상승한다면 인플래가 넘심해지고 경제가 않좋아서 금리를 1프로로내려오면 집가격이 올라갈듯. . 부의 양극화. 결국 나랏 세금을 위해서라도 더가진자에게 더걷어야하고 결국 인플래 보험은 로또같은겁니다. 그냥 년 월 납입금으로 적금을 들어놓으면 그게 그거일 가능성이 매우 큽니다. 남 넣는거에 50프로만 넣고 남은 50프로는 적금으로 보험이라생각하고 넣어두면됩니다.
@user-ii4el7cc1z
@user-ii4el7cc1z Месяц назад
한국이라는 나라는 참으로 웃기는 나라죠.. 일본보고 아날로그의 나라라며 한물 갔다며 비웃던 허세는 어디에서 나오는 자신감인지.. 일본의 버블시절때보다 더 심하게 급브레이크 없이 질주하는 곳이 한국 이라는 것을 모르는 것 같네요. 급브레이크 없는 폭주기관차는 언젠가는 큰 벽에 부딪치게 됩니다.
@hong-ya
@hong-ya 2 месяца назад
중위소득은 250~300일텐데 이걸 평균잡아야 할텐데... (추가)가구당 평균소득과 별개로 이걸 기본값으로 생각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최저임금도 못받고 일하는 분들도 많아서요
@user-sj7dw3zi6d
@user-sj7dw3zi6d 2 месяца назад
세후요??
@vehekalfyywehhshxb
@vehekalfyywehhshxb 2 месяца назад
가구당 소득이라 맞벌이 때문에 544만원이 나온걸겁니다.
@user-zo5yb9bv5s
@user-zo5yb9bv5s 2 месяца назад
가구당일텐데 그래도높긴함ㅋ 일인가구가더많을텐데
@ddubukki
@ddubukki 2 месяца назад
와 씨 가구소득 이 글자 못듣는 애덜 왤케 많냐
@user-ww5wp1go4l
@user-ww5wp1go4l 2 месяца назад
가구소득 평균에 대해서 이야기하는겁니다...
@1743_bocc
@1743_bocc 2 месяца назад
우리집은 금융자산이 더 많다. 집이 28년된 구축이라 저렴해서 어쩌다보니.. 구축이라 뽀대가 안나지만 어쩔수 없어서 여기서 계속 살 계획임. 세후 7~800정도지만 은퇴가 4년밖에 안남아서 의미없음. 빈곤층은 아니지만 그럭저럭 살아가는 은퇴노인층이 될것같다. 20-40세대들이 잘 살아야 돈이 돌고 살기좋은 나라가 될텐데
@user-hy3nk7wh1k
@user-hy3nk7wh1k 2 месяца назад
10억짜리 자가있어도 소득없으면 노인빈곤에 포함되서 노인빈곤율 세계 1위인 우리나라
@Mi-vh9ku
@Mi-vh9ku 2 месяца назад
한국은 빈부격차가 정말 심각한 나라죠. 말그대로 중위층이 탄탄하질 못하니 중산층 기준도 높을수밖에 없습니다.
@user-lx5ql5zh5y
@user-lx5ql5zh5y 2 месяца назад
거짓정보 올리지 마라. 근거도 없이 떠드나?
@user-hy3nk7wh1k
@user-hy3nk7wh1k 2 месяца назад
@@user-lx5ql5zh5y 나는 거짓말한거 없으니 자료는 직접 찾아봐. 구글 댓글로 자료까지 증명하는것부터 불가능한거 아닌가? 부동산 자산을 포함하지 않고 연금이나 근로소득이 부족하면 노인빈곤에 해당되는것이 통계에 오류인거야.
@user-ssfgh321dgh54
@user-ssfgh321dgh54 2 месяца назад
평생 일해서 집하나 만들엇고, 퇴직해서 소득없어 먹고 살기 막막해졋는데 그럼 어떻게 하나요? 아, 제가 아니고 궁금해서. 잔 30대임. 집 팔면 노인은 어디서 살아요?
@mementomori1575
@mementomori1575 2 месяца назад
@@user-ssfgh321dgh54 30대 아니고 욕심드글한 60대같은데ㅋㅋ 10억아파트 고스란히 자식줄 욕심줄이고 그거 주택연금받아써야지 양심적이지 내돈 고스란히 깔고앉아서 나라에서 콩고물떨어지는거 받아먹으려는건 도둑심보지. 노숙자도시락 받아처먹으러 간 벤츠 모녀생각나네
@sangjayce3426
@sangjayce3426 2 месяца назад
다들 알껍니다. 미국에서 졸업생 초봉이 제일 높은 과가 문화지리학과임... 왜냐 마이클조던이 졸업했거든요....
@Vusse
@Vusse 2 месяца назад
우리나라는 동양사학과임.. ㅡ 이재용 ㅡ
@JD_theNomad
@JD_theNomad 2 месяца назад
아 그건 미국이 아니고 조던이 나온 UNC에서요. ㅋㅋㅋㅋ
@user-zq2mq7rz7d
@user-zq2mq7rz7d 2 месяца назад
한국은 서울여대 시각디자인과임ㅋ
@lllIIllIlIlll
@lllIIllIlIlll 2 месяца назад
지식 업데이트좀 하세요 삼촌
@Kk-rl1bm
@Kk-rl1bm 2 месяца назад
에휴 어디서 주워들은 건 있어서 평균의 오류를 아무데나 갖다붙이냐. 총평균이면 그런 오류가 있겠지만, 구간을 나누어서 평균을 구했기 때문에, 최고구간과 최저구간이 아니고서는 평균의 오류를 붙일 자료는 아님. 저거 만든 애들이 니보다 통계에 훨~~~~~씬 공부가 많이된 연구원들인데 그걸 모를까.
@seojinsco
@seojinsco 2 месяца назад
현재 노동시장(?)에 진입한 세대에게는 말그대로 분수효과가 필요한 시점이네요. 민생지원금 류?? 이렇게 해서 동네상권살리고.... 경기순환이 옳은 방법일지도 모르겠습니다.
@c4ex_net
@c4ex_net 2 месяца назад
외벌이에 딱 저정도 자산과 소득인데 아이들이 고등 중등인데 먹고사는게 쉬운게 아니네요
@bjh7332
@bjh7332 2 месяца назад
우리나라 통계내는건 너무 통계마사지도 심하고 믿을게 못되는듯..
@user-xu5cl2ux5i
@user-xu5cl2ux5i 2 месяца назад
정말 자산 아무리 많아도 소득으로 줄 세워버리면 답 없죠 소득 + 자산 으로 가는게 당연한데
@MrBolja2
@MrBolja2 2 месяца назад
월 2000버는 빚 1억있는 흙수저 의사보다, 상속으로 40억받은 월 350받는 공무원이 부자이거늘ㅋㅋ
@user-ve6wk3kf2i
@user-ve6wk3kf2i 2 месяца назад
오 난 부잔가?
@ssyfi
@ssyfi 2 месяца назад
@@MrBolja2논점애 어긋나기는 한데세후 월 2000버는 의사가 얼마나 있다고. 이런 황당한 말들만 하니 다들 그런줄알지.
@mansong1491
@mansong1491 2 месяца назад
​@@ssyfi세전 2000은 대부분의 의사들이 벌어요...
@sehoonlee351
@sehoonlee351 Месяц назад
피크아웃코리아 e-book 출간 계획은 없으신가요?
@user-eo4qe4sp8q
@user-eo4qe4sp8q 2 месяца назад
이런 통계는 평균보다는 중위값 기준으로 보지 않나요?
@abcxxzhhvb
@abcxxzhhvb 2 месяца назад
10억짜리 집만 있는게 아니고 5억짜리도 있죠 분수에 맞게 집을 옴겨야 되는데 사람들이 이게 안먹힘
@user-sj7dw3zi6d
@user-sj7dw3zi6d 2 месяца назад
DSR 40[%]는 유명무실한가요....?? 분양가가 마냥 올라 갈수가 있나??(결국 소득보다 높아진다라는 말씀 같아서요.)
@user-sj7dw3zi6d
@user-sj7dw3zi6d 2 месяца назад
​@@bmck58 보통 DSR 몇 [%]로 사요? 소급은 안 한다지만 이미 60[%] 넘었다던대? 원래 소급해야 하는데....
@user-rb5pe9yn3y
@user-rb5pe9yn3y Месяц назад
미분양 늘어나잖아 그래서.. 전세대출 dsr 아직 안들어가잖아
@user-sj7dw3zi6d
@user-sj7dw3zi6d Месяц назад
@@user-rb5pe9yn3y 하겠죠? 그거야 뭐.
@user-sj7dw3zi6d
@user-sj7dw3zi6d Месяц назад
@@user-rb5pe9yn3y 뽀록.... 났네요? 소득 대비 높다. 분양가.
@kyungtaeklee5811
@kyungtaeklee5811 2 месяца назад
사람들이 부동산이라고 하면 10억짜리 아파트라고 생각하는게 문제임. 10억 이하의 아파트가 대부분인데 각종 매체들이 비교를 하니간 조급한 사람들을 채찍질 하고 있음.
@bucks2298
@bucks2298 Месяц назад
진행자우 의견에 공감요 부모가 자산가면 그들의 자녀들은..
@nope7215
@nope7215 2 месяца назад
우리 가족은 지금 딱 보통사람이구나
@user-hr3dr1re2e
@user-hr3dr1re2e 2 месяца назад
자산을 가진게 죄는 아닌데. 노력해서 일해도 계층 이동이 불가능하다는 생각이 들면 누가 일하고 싶겠어? 연봉 1억이래봐야 세금 다 떼면 실수령 650인데 몇억 상속 받고 부모 부양할 필요 없는 집 자식이 연봉 4-5천 받는게 훨씬 여유롭지. 거기다가 앞으로 건보료, 국민연금 계속 올라갈텐데 이것도 다 소득 대비로 떼잖아? 이미 어렵지만 앞으로 더더더 일, 공부 잘해서 좋은 직장 들어가도 자산 격차 줄이기는 어려울거다. 거기다가 온갖 복지들이 소득 기준으로 퍼주는데 이게 자산은 없고 공부 일 열심히해서 근로소득으로 위로 올라가려는 입장에서는 국가가 나만 빼고 도와주고 있는 모양세
@skaehdls
@skaehdls 2 месяца назад
중고등학교떄 경제공부좀 실용적으로 제대로 시켜야되요. 10%밖에 투자 안하는건 장기적으로보면 안전하지 않게 돈관리하는걸 전혀 모르고있음 뭐 말해봐야 투자는 위험한거야 라고 말하는 사람들보면 그냥 대화하는걸 포기함
@JJC30705
@JJC30705 2 месяца назад
근데 너무 직접투자에 매몰되는 것도 안 좋음 일반인이 투자공부 해봐야 한계가 있고, 애초에 방향성을 모름ㅇㅇ 그래서 노력해봐야 의미가 없음 그냥 개인들은 mmf같은 단기펀드나 알채권을 사는게 제일 나음 애초에 굴리는 금액이 큰 개인들(자산10억 이상 + 월 천단위 직업)은 사모펀드나 자산운용사에 맡기는 경우가 많음 게다가 이쪽은 본인이 찾으러 다닐 필요없이 해당 기관에서 영업 뛰러 감ㅋㅋㅋ 걍 뭣도 모르는 개미들이나 직접투자 하는건데 직접투자하는 99% 개인들은 연 수익률10%도 못 내는게 현실임 투자를 해야되는건 현실인데, 본인이 어떻게 투자해야 되는지 모르는 사람이 냅다 부동산 갭투자, 주식 직접투자에 뛰어들다가 쪽박차고 빠지면서 투자는 위험한거야라는 마인드만 생기는거임 그렇다고 s&p500, 나스닥 적립식 투자? 과연 그게 앞으로도 통할까? 절대로 no 역사적으로 개미들도 다 아는 투자법으로는 목돈을 쌓을 수 없음ㅇㅇ 하고싶은 말이 뭐냐, 결론이 뭐냐 그냥 개인은 최대한 몸값 높이면서 예적금 드셈ㅇㅇ 왜 제로금리일 때는 다 예적금 못 들어서 안달 났으면서, 막상 고금리인데도 투자해야 된다면서 예적금 안 두는게 코미디임ㅋㅋㅋ
@JJC30705
@JJC30705 2 месяца назад
정 투자할거면 방향성이라고 재대로 잡고, 꾸준히 높은 수익률 내는 사람들의 블로그, 텔레그램, 네프콘 등 알아보고 분석하셈 인증도 없이 걍 유튜브 수익만 목적으로 뭔가 아는척 어그로 끄는 얘들말고, 진짜 잘 버는 얘들은 기록목적/공부 목적으로 꾸준히 올리고 있을거임 그런 얘들을 찾아야 되고, 구독자 높은 경제유튜버일수록 실 투자에는 도움 1도 안 됨 왜냐고? 진짜 공부되고 도움되는 유튜브는 재미가 없거든
@rntjrwkd
@rntjrwkd 2 месяца назад
​@@JJC30705절대로 no에서부터 동의하기가 힘든 이야기네요 절대 혹은 100%를 이야기하는 사람들은 주로 틀리더라구요 물론 제 자산의 많은 비중이 부동산과 미국 주식 ETF로 이루어져 있어서 동의하면 안되기도 합니다 ㅋㅋ 몇년 뒤에는 답이 나오겠지요 각자의 생각과 방식대로 자산을 증식했으면 좋겠네요 성투하세요
@user-ky9kp9mr5p
@user-ky9kp9mr5p 2 месяца назад
에휴 ㅋㅋ 다 틀렸고 리스크 관리 잘하는애들 아니면 할 생각마라..
@user-lx5ql5zh5y
@user-lx5ql5zh5y 2 месяца назад
투자로 돈벌 생각하지마. 국세청에서 금투세 징세하려고 조사해 보니 한국투자자의 95%가 손실중이라더라. 너가 5%뿐인 고수가 될거 같아?
@Tube.jong_hyeok
@Tube.jong_hyeok 2 месяца назад
속보[단독] 채상욱.보험 좋아하지않아.!
@user-hu7vk6tq5z
@user-hu7vk6tq5z Месяц назад
서울 수도권만 보니까 평균올려치기 된 듯... 지방으로 가서 중소기업에 취업 맞벌이로 벌면 30평대 아파트 1억대 구매하고 나머지 돈으로 애들 키우면서 여유있게 생활하면서 금융투자로 자산 불리기 정말 유리 합니다. 은행이나 건설사에 속지 마세요.. 부동산에 10억 이상 깔고 앉아 대출 이자 갚아 나가는 것은 바보 같은 투자 입니다. 일개미 인생을 보내는 것 입니다.
@user-zh5wl3xy9i
@user-zh5wl3xy9i 2 месяца назад
비정규직이라 20여년전 월급여는 비슷한데.. 각성하고 자산소득으로 그것을 극복하다보니 어느순간 5분위를 넘어가더이다.. 생활은 거의 그대로인데 소득이 늘어나니 자산이 급격이 증가했습니다.. 결국 나의 가처분소들이 내가 진짜 남기는 이익이 되는것이죠.. 소득의 껍데기에 속으면 안됩니다. 낼거내고 쓸거쓰고 남은게 진짜 월급이죠 진짜 월급인 가처분소득을 늘리는 방법을 계속 고민해야 합니다 저위에 보험을 투자상품으로 바꾸면 인생이 바뀌는데.. 다들 안전만 찾으니 뭐 어쩔수 없는 노릇이죠
@user-sj7dw3zi6d
@user-sj7dw3zi6d Месяц назад
투자 안 한다에 예금도 포함입니까? 무위험 수익률 투자로 알고 있는데요?
@Jun31719
@Jun31719 2 месяца назад
맞는 말씀이시죠.. 근데 그럼에도 아직까지 근로소득이 압도적으로 많아지면 자산을 일으키는게 불가능하지는 않아요. 그래서 어떻게든 의사가 되려고 하는거같아요. 연봉이 3억을 넘어가기 시작하면 빡세게 모으면 월 900~1천만원까지 저축이 가능해요.. 당장 강남 아파트는 불가능한데 서울 외곽부터 차근차근 쌓아가는건 가능하다고 봐요.. 그런 케이스가 애초에 드물고 의사를 만들려면 부모 자산도 당연히 평균 이상이겠지만요..
@user-ph2wr9lu3j
@user-ph2wr9lu3j 2 месяца назад
의사가되려면 10년을 공부해야하고 학비가 만만치 않습니다... 그냥 나이먹고 내가200-300 최저수급수준의 소득을 얻고있다면 내가노력하지않아서 입니다. 요즘 주방보조같은일 시급이1.5만이에요 ..
@Jun31719
@Jun31719 2 месяца назад
@@user-ph2wr9lu3j 받는 임금으로 사람의 노력을 판단하는건 좀 아닌거 같네요. 공무원들 대부분 그 월급받으면서 살아요. 그 공무원들이 노력을 안한건 아니겠죠?
@user-ph2wr9lu3j
@user-ph2wr9lu3j 2 месяца назад
@@Jun31719 무슨소리세요? 우리나란 공산주의가 아닌 민주주의 자본주의 입니다. 불로소득이 아닌 근로소득 부분에서만큼은 본인이 한만큼 버는겁니다 공무원도 노력한만큼 받는겁니다. 임금이라는건 그사람이 그만큼 리스크를 짊어졌고 운도따르고 열심히 살은 보상이라고 생각합니다.
@user-ph2wr9lu3j
@user-ph2wr9lu3j 2 месяца назад
@@Jun31719 본인이 선택했고 살아가는방식에서 얻은 근로소득인데 왜 나라탓 국가탓을합니까... 집값문제나 불로소득이라면 몰라도
@Jun31719
@Jun31719 2 месяца назад
@@user-ph2wr9lu3j 영상내용이랑 전혀 관계없어서 계속 말하기 싫은데 아무튼 무슨 소리를 하는건지 모르겠네요.. 님이 말하는건 자본주의가 아니라 천한 물질만능주의에요. 자본주의는 credit(신용)을 기반으로 하는 자유시장 경제구요. 자본주의에서 돈의 가치가 절대적이라 가르치지도 않아요. 어디 어설프게 자본주의 자유시장경제 갖다붙이면서 돈이 세상의 모든것이고 절대적 가치라는둥 이상한 소리하지 마세요.
@jinhanpark8308
@jinhanpark8308 Месяц назад
"노력해서 근로소득 올려봐야 금수저 따라갈 수 없다" 이 말에 저도 동의합니다. 이런 경향은 세계적인 추세라는 것이라고 채부심도 언급했습니다. 통계정보를 이용하고 해석할때 소득에만 매몰되지 말자 는 것이 이 영상의 목적이라고 봅니다. 자산가 or 부자들 세금 더 걷어 서민지원하자 이런 악수를 두지 마십시요.
@tera1254
@tera1254 2 месяца назад
2060 평균연봉 2000만원임...
@kdpark35
@kdpark35 Месяц назад
❤❤❤
@treck3421
@treck3421 2 месяца назад
수도권 경기도 인천에 25평 2~4억대가 수두룩 합니다. 서울 8~30억대가 인정 하기 싫은거겠죠
@user-pt5ii9hs5f
@user-pt5ii9hs5f 2 месяца назад
우리나라 잘 사는 사람들 엄청나게 많습니다
@user-on4nc4xi7l
@user-on4nc4xi7l 2 месяца назад
참 신기 하게도 현재 통계 수치에서 나누기 13 하면 1984년 통계 수치와 거의 비슷해 집니다.
@user-ww5wp1go4l
@user-ww5wp1go4l 2 месяца назад
무슨의미인가요? 40년전 평균소득이랑 비교하면 무슨 결과가 나오죠?
@user-on4nc4xi7l
@user-on4nc4xi7l 2 месяца назад
@@user-ww5wp1go4l 건축비 금 급여 짜장면 주택값 대략 11~13배 정도가 40년간 올랐더라구요. 40년전이나 지금이나 실물은 변화가 없는데 돈값만 떨어진건가 싶더라구요. 인플레이션효과라고 하나요?
@user-yc8tc4ur8g
@user-yc8tc4ur8g 2 месяца назад
실물변화가 있죠 단적으로 휴대폰이 스마트폰이 된거처럼. 단순히 보면 인플레이션 정도만 오른거 같지만, 질적으로 성적이 있으니 성장한거죠
@user-on4nc4xi7l
@user-on4nc4xi7l 2 месяца назад
@@user-yc8tc4ur8g 맞습니다. 그런 분양도 있고 아닌 분야도 있는것 같습니다. 금 같은거요.
@user-zo3vq8pn6o
@user-zo3vq8pn6o 2 месяца назад
일반적으로 물가가 10년에 2배씩 오르니 40년이니 16배정도 되야하는데 생각보다 많이 안올랐군요
@user-kn5hh1lb9e
@user-kn5hh1lb9e Месяц назад
부동산부채비율이 진짜높네요
@user-ir4xs6zr2d
@user-ir4xs6zr2d 2 месяца назад
사회적 기준으로 나는 모지리구나😂보통 사람되기 겁나 빡시네
@user-ii4el7cc1z
@user-ii4el7cc1z Месяц назад
누구든 뒤지게 얻어 터지기 전 까지는 뭐든 된다고 호들갑 떨고 다니죠.. 님이 정상이에요.
@user-qk8of8me2t
@user-qk8of8me2t 19 дней назад
연령대에 따라서 평가해야할즛
@user-bu2dk1lm3b
@user-bu2dk1lm3b 2 месяца назад
요즘 지역건강보험료도 자산과 소득을 합쳐서 정하고,복지혜택도 점차 두가지 고려해서 제공합니다.합리적인 사회로 전환되는 과정인 것 같네요.
@dogetoshinakamoto7057
@dogetoshinakamoto7057 Месяц назад
소득이 깡패가 되기 시작하는 구간은 세전 3억 이상 정도서부터라고 봅니다. 세후 저축율 70-80% 정도 유지하면 돈이 금새 불어납니다. 이 정도가 되어도 20-30억 자산을 축적하려면 시간이 걸리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렇게 돈이나 아파트에 크게 스트레스 받지 않아도 됩니다.
@nayeongwak1629
@nayeongwak1629 2 месяца назад
대출받아서 자산이 되느냐 그냥 지츨로(차구매쇼핑여행)날리느냐..
@KIMJOWOO
@KIMJOWOO 2 месяца назад
26억 집 89년생이 와서 계약서 쓸때 뭔가 싶긴하더라
@tesla7273
@tesla7273 16 дней назад
대기업 24년 다녔는데 이제 간신히 보통 사람이 되었네요. 지난 50년간은 보통 사람이 아니었네요.
@user-gr1vh8wj4z
@user-gr1vh8wj4z Месяц назад
외식을 하는게 아니고 그냥 집에서만 먹어도 물가가 많이 올라서 월급의 20%는 먹더라구요.
@YouAreMyHandler
@YouAreMyHandler 2 месяца назад
교통/통신비를 보면 우리나라 카푸어, 모바일푸어 실태를 알 수 있음
@1a_.37
@1a_.37 2 месяца назад
밀프를 랩하는게 아니라 밀을 프랩해서 오는걸꺼에요 밀프를 랩해오면 ㅗㅜㅑ ㅋㅋㅋㅋ
@Mr.Potential4302
@Mr.Potential4302 2 месяца назад
ㅗㅜㅑ ㅎㅎㅎㅎ
@user-hp5fw2yk8y
@user-hp5fw2yk8y 2 месяца назад
밀프 취향이 꽤 있죠
@user-zo5yb9bv5s
@user-zo5yb9bv5s 2 месяца назад
Milf 모름?😊
@chaeboosim
@chaeboosim 2 месяца назад
꺄....
@user-sr9hd8pz2k
@user-sr9hd8pz2k 2 месяца назад
ㅗㅜㅑ
@user-mr5ns1sq7r
@user-mr5ns1sq7r 2 месяца назад
집? 아파트? 서울? 그것도 강남만 바라보고 가난하다. 헬 조선이라~~자조하지. 근데 해외여행은 꼬박꼬박 가야 하고. ~~쓸 거 다 쓰고 놀 거 다 놀고. 이런 배아픈 인간이 넘 많다.
@user-kj2ut7ph1o
@user-kj2ut7ph1o 2 месяца назад
해외여행 다니는 사람이 헬조선 거리며 배아파하는 사람하고 같은 사람이라는 근거는? ㅎㅎㅎ
@user-bc8rs8gs1m
@user-bc8rs8gs1m 2 месяца назад
그리 살기 좋으니 니가 10명씩 낳고 저출산으로부터 살기좋은 한국 지켜내지 그러냐?
@user-mr5ns1sq7r
@user-mr5ns1sq7r 2 месяца назад
@@user-bc8rs8gs1m 그래. 넌 그리 살아. ~~^^ 맨날 환경 탓이나 하고. 진정 열심히 살아 본 적도 없지? 너같은 건 부칸에서 태어났어야 하는데~~아님 베네수엘라나
@user-mr5ns1sq7r
@user-mr5ns1sq7r 2 месяца назад
@@user-kj2ut7ph1o 근거는 바로 너~~
@user-kj2ut7ph1o
@user-kj2ut7ph1o 2 месяца назад
@@user-mr5ns1sq7r 잉? 난 부동산 제외한 금융 자산만 6억이 넘는데?
@user-lc3ke2ei6s
@user-lc3ke2ei6s 2 месяца назад
15년전에도 싼 아파트는 살아보니 대출끼고 사는 사람이 많았고 신축에 대출없이 집 사주는 부모도 많았음. 지금도 그 차이는 ᆢ 만회하긴 어려움. 요즘도 집 사주는 부모 많음
@hdough857dhjdugvdhgrdvbjdj
@hdough857dhjdugvdhgrdvbjdj Месяц назад
실상은 직장인 평균 200만원 정도고 자영업자 평균 105만원니 세후 소득인데 ㅋㅋㅋㅋ 😆 통계에 연봉 몇십억짜리 나리들도 다 포함시키니 말도 안되는 괴리감으로 국민들 자괴감만 일으키지 ㅋㅋㅋ
@user-ey2kk7fp6d
@user-ey2kk7fp6d Месяц назад
난 보통사람이네~
@angssaemlee4417
@angssaemlee4417 2 месяца назад
역시 채부심입니다. 👍👍👍👏👏👏👏
@brandonpark606
@brandonpark606 Месяц назад
돈이 되는 부동산이 아니면 취득 가능하긴 하쥬
@user-ep5rb2tz3r
@user-ep5rb2tz3r 22 дня назад
그렇지 세후 세전 정확히 해줘야지
@hso5937
@hso5937 2 месяца назад
밀프랩을 밀프를 랩해온다고 생각하시다니 ㅋㅋ 밀프라니 ㅋㅋ Meal Prep인듯요
@user-ty3hw9zx2i
@user-ty3hw9zx2i 2 месяца назад
ㅋㅋㅋ 저도.. 듣다가 오읭???ㅎㅎ
@chaeboosim
@chaeboosim 2 месяца назад
학 ㅋㅋㅋㅋ 죄송합니다 후 나새끼...
@investorc9764
@investorc9764 2 месяца назад
귀엽...
@user-sr9hd8pz2k
@user-sr9hd8pz2k 2 месяца назад
@LeSoonok
@LeSoonok 2 месяца назад
그 보통사람은 몇살일까요????
@user-bk4rk2zj9s
@user-bk4rk2zj9s 2 месяца назад
바젤3,DSR / 결론은 가진자만 부자가...
@shuya3679
@shuya3679 Месяц назад
주식투자 안할거면 모르겠지만 투자 계속할거면 주식으로 10만원에서 40억으로 만든 [주식의정석] 이 채널의 영상들을 꼭 보셔야 할거에요 (영상들이 짧아서 보는데 무리없음) 주식투자를 어떻게 해야하는지 주식의 정석을 보여주고 있더군요 아마 은둔고수로 추정괴는데요 광고 아니니 오해 없으시길..
@yoonsungband
@yoonsungband Месяц назад
역시 난 보통사람이 아니군.ㅋㅋ
@cglee22433
@cglee22433 2 месяца назад
세금도 소득기준이 아니라 자산기준으로 때려야 하는 시대가 와야하지 않나요?
@user-le3ld1uq7y
@user-le3ld1uq7y 14 дней назад
저는 퇴직후2년되었는데 퇴직금및개인연금 8억정도 채권투자했어요. 집사람 약년봉이 6천정도되구요 저는 조기연금 160만원 받고있어요
@Daymentmood
@Daymentmood Месяц назад
집값이 5억 매매라 치면 부모 도움 없어도 가능한 수준. 각자 5천씩 모았으면 대출 4억정도 필요함. (이자랑 원금 갚는것도 저축임 그거 갚는거 어렵다고 징징거리는 애들은 대출 일으킬때 언제 갚고 얼마나 생활비가 달라져야하고 이자변동성도 생각해야하는데 그런계산 안한게 잘못) 만약 각각 1억씩 지원해주시면 7억대는 바로 갈수있음. 한번에 주는 부모들은 5천은 증여세 신고해야하니가 실질적으로 1억 이상을 주는거 차용증으로 저리 혹은 무이자로 주는경우도 있음. 차용증 쓰더라도 무이자 가능한 기준 금액대가 있던걸로 기억함. 근데 1,2억 증여 그렇게 어렵게 볼것도 없는게 자식이 30에 결혼한다면 월 30만원만 저축해줘도 1억 넘음,, 50만원이라면? 미국 주식에 넣어서 준다면? 자식 결혼할때 1-2억 주는건좀만 찾아봐도 너도 나도 다 할수 있음,,
@user-hc7sq3rr1u
@user-hc7sq3rr1u Месяц назад
신한은행 자료를 찾아봤음.. 조사대상은 20~64세 경제활동자 1만명임.. 놀라운건 60대(60~64세)중간값 3분위의 소득이 세후 월 522만원이고, 부동산 6억3천만원인데 40대가 628만원, 50대가 629만원인데 60대면 정년퇴직해서 직장소득은없는(장사소득은 있겠지만) 나이인데 생각보다 많은 소득에 놀랐음!!!! 보통은 40대,50대가 회사다니고,장사하니까 소득이 제일 많다고 생각했는데 말이지요!!!!!!
@user-qq6wx8mg5q
@user-qq6wx8mg5q Месяц назад
부동산이=자산인지 소비재인지를 판단 해 보아야 합니다. ■■자산 80%를 부동산에 투자를 했을까요? ■■소득의 80%를 부동산 소비를 하고 있을까요?
@user-wz4pt6sr5w
@user-wz4pt6sr5w 2 месяца назад
4:50 용돈17만원 사실일까요? 충격적인데요..실질 부부가 17만원으로 가능한지 의문입니다
@user-qk4on8ij7f
@user-qk4on8ij7f 2 месяца назад
저건 다른사람한테 주는용돈입니다 자녀나 부모님 저는100만원입니다 ㅠㅠ
@user-py2hh1yx8r
@user-py2hh1yx8r 2 месяца назад
500만원 받고 6억의 자산을 가지고 있으면 상위계층이죠
@ssostrpy
@ssostrpy 2 месяца назад
와 딱 나랑비슷하네 부모 도움 없이 30대중반 월급500초반에 현시세 6억중반 아파트있는데(대출3억6천) 난 보통사람에 들어왔구나
@user-js6qw6dw6u
@user-js6qw6dw6u Месяц назад
대출빼 임마.2억따리가
@dongohlhfy1790
@dongohlhfy1790 2 месяца назад
와우.ㅋㅋ 가구 기준이면 저게 4인일까 1인기준일까. 1인기준이면 내 주변은 죄다 빈곤층이네.ㅋㅋ 세후 500은 커녕 세후 350이상도 보기 힘든데.ㅋㅋ
@user-sf7qc6kk4r
@user-sf7qc6kk4r Месяц назад
다 합쳐진거죠. 2인만 되도 544만원은 정말 평균 이하의 소득일테니까요.
@user-mf5lg4rg2m
@user-mf5lg4rg2m Месяц назад
ㅋㅋㅋ 대한민국 임금 중위소득이 250 언저리일텐데 이래서 나라가 망한다. 200 따리 버는 사람들은 다 박탈감에 죽으란 얘기고 거기에 더해 취업준비생들은 200따리 받을바엔 취업안하고 전부 최소 300 이상은 받아야 취업하겠다고 할테니 경제 비활동 인구만 증가하며 진짜 내수경제로 돌려야 할 업종들 죄다 외국인이 차지하고 버는 임금 전부 해외송금.. 어휴 시발 븅신같은 나라 임금격차 소득격차때문에 망해야지
@user-hb3im4di2l
@user-hb3im4di2l Месяц назад
월천벌어도 학생3명 돈모으기힘들어요 자가있어도
@HANSHINLEE-yf5jj
@HANSHINLEE-yf5jj Месяц назад
실질 평균 소득 월 250만.. 1인 순자산 상위 10% 3억 5천 정도..
@ppunitTV
@ppunitTV 2 месяца назад
세후 천이상 벌어도 많이 부족하다는 생각이 드는 요즈음 입니다... 그리고 수도권 4인가구 최소 쓰는 비용이 500이상 600정도는 되는거 같아요 돈을 더 벌든 못벌든 최소비용이 500-600정도 나가는거니 인플레가 심각한 수준이라 생각됩니다... 이대로 잘버틸수 있을까 싶네요..
@greatpioneer
@greatpioneer 2 месяца назад
난 보통사람이구나..
@user-um9ks9pu5e
@user-um9ks9pu5e 2 месяца назад
폐부를 찌르는 지적임. 전체적인 자산을 보고 소득기준을 나눠야함. 지하철 에서 고가패딩을 입고 내쪽으로 걸어오는 노인부부를 보면서 들었던 생각. 저 할아버지할머니는 자가 아파트에 사시겠지. 5,6억쯤 하겠지.. 근데 여직 집도 없이 월 180수입으로 한달 빠듯하게 사는 내가 지하철요금도 내고 탄 내가 왜 저들한테 자리양보까지 해야하는가. 나도 30분서다 와서 겨우 앉았는데. 이 상황 뭔가 공평치가 않음을 잔뜩 느끼며 몸이 자동으로 자리양보 했던..
@user-nd4oc7sf9d
@user-nd4oc7sf9d 10 дней назад
그건 아니죠. 그럼 지하철은 언제 생겼는지? 만들때 누구 세금으로 건설했는지 생각하면 나이든 분들 공짜라고 말 못합니다. 이만큼 인프라를 누리고 살면 연세 드신분들도 존중해야합니다.
@kskim9259
@kskim9259 2 месяца назад
부동산에 자산이 거의 몰빵되어있으니 빚좋은 개살구네. 그 부동산을 밑에 후손들이 사줘야하는데 지금 가격이 유지될까. 21~22년 부동산가격은 대한민국 역사상 최고점이 아니었을까 생각해본다.
@purplanet5583
@purplanet5583 2 месяца назад
30대에 가구소득 세후로 1200 넘는데 가족지원 없어서 경기도 집도 못 사고 있어요.
@purplanet5583
@purplanet5583 2 месяца назад
@@user-qb3be7gc1z 부부 양쪽 전문직/대기업이면 그정도 어렵지 않게 나와요.
@purplanet5583
@purplanet5583 2 месяца назад
​@@user-qb3be7gc1z 왜 화가 나셨는진 모르겠지만 못 믿겠으면 지나가시면 돼요.
@user-ut8vy8to5c
@user-ut8vy8to5c Месяц назад
@@user-qb3be7gc1z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긁혔놐ㅋㅋㅋ?
@user-mr9hs8gz6f
@user-mr9hs8gz6f 11 дней назад
소득이 10년 이상 유지되지 않은 사람을 몇년 잘 번다고 부자로 보는 것은 의미 없는 구분이죠.. 이미 자산 축적한 부모를 둔 사람들은 월 200만 벌어도 아파트 해주고 이자 없이 자금 지원해주면 부유한 삶을 살 수 있죠. 부모가 자산이 없어 홀로 빚내서 아파트 마련하는 사람들은 소득 높다고 각종 정부 혜택에서도 빠지게되니 결국 2배로 더 악착같이 살아가는 방법 밖에는 가난을 벗어날 방법은 없습니다..
@user-kc4jz2hb2t
@user-kc4jz2hb2t Месяц назад
채상욱💕멋짐
@hyo3377
@hyo3377 2 месяца назад
괜히 금수저 은수저 이야기하는 젊은사람들 보며 혀 끌끌차던 노인들이 이런거 보고 알아야한다. 그들은 실제로 주변의 많은 예를 보고 듣고 실제 경험하며 그런 인식이 생긴거데 다른 세대들은 자신들의 세대때의 기준으로 뭐라한다. 왜 세대간 환경이 다르고 문화가 다르고 인식이 다를 수 밖에 없다는걸 이해 못하는건지 참.
@user-po7tn5en2j
@user-po7tn5en2j 2 месяца назад
ㅎㅎㅎ 제 손으로 1억 쯤은 모으고 그런소리하길
@risu9362
@risu9362 2 месяца назад
노인들이 잘못했네 세대간 환경이 달라지게 왜 그리 살았는지. 백년 가까이 비숫한 환경의 북한처럼 살것이지
@satan29748
@satan29748 2 месяца назад
@@user-po7tn5en2j저 35살에 2 억 넘게 모았는데요. 원 댓글 쓰신분과 같은 의견은 아니지만 저도 가끔 저런 입장에서 생각하곤 합니다. 그리고….. 요즘엔 모아놓은 돈 보면서 기분이 좋고 든든하고 그런건 아예 없고, 이걸로 할 수 있는게 뭐가 있지… 하는 생각도 마니 드네요
@user-lx5ql5zh5y
@user-lx5ql5zh5y 2 месяца назад
부모에게 의지해 살려는 ㄱ ㅈ 근성을 버려. 너 스스로 독립해 주체적으로 살 생각을 해라
@user-er4uv3cq8z
@user-er4uv3cq8z 2 месяца назад
맞벌이 네트 250, 350이면 600은 금방인데, 지출하면 남는게 없음.
@user-sq2px5vx9i
@user-sq2px5vx9i Месяц назад
50이후에 대출은 이미 다 까져있어야합니다..
@user-rg1vw9nx1s
@user-rg1vw9nx1s 2 месяца назад
너무 많이 쓰는건가? 전 교육비가 장난 아닌데~~ㅜㅜ
@user-or8ds2it5f
@user-or8ds2it5f 2 месяца назад
비트 이더 솔라나 폴리매쉬 나 부지런히 모아가셔 2025-2033년 10-100배 자산 불리니까
@white.8817
@white.8817 Месяц назад
택배물류센터 알바를 투잡으로 몇개월간 했었는데 택배하시는분들 세전소득이 보통 500에서 1000만원이상~까지더군요.평균이 600~800 여기서 세후 와 기름값정도를 빼면 15%정도 뺍니다. 택배하는분들 생각보다 고소득이라 좀 놀랬고 집하하는사람 고정알바까지 쓰는경우도 종종있고. 그런데 아무나 할수있는일 아닌건 인정.
@user-vw3ud3fk5t
@user-vw3ud3fk5t 2 месяца назад
맞는통게인가 현실과 멀어 보이는데 자산은 몰라도 버는건 힘들어 보이는데 1인당 3만 달러 시대인데 환율이 올라도 그렇치 저리 벌수 있나 평균이 9천이라
@user-yt7mb2fz5z
@user-yt7mb2fz5z Месяц назад
요즘 젊은이들은 자신의 능력을 과대평가 하는것 같습니다. 저도 젊을때 그랬지만 나이드니 꺽이더군요
@purplanet5583
@purplanet5583 2 месяца назад
부모자산 보는 거 동의하긴 하는데요. 처가에 돈 꽤 있는데 지원은 안 받는 입장에서 저희 같은 집엔 많이 불리하긴 할 거에요. 부모랑 사이 안 좋은 중산층~부유층 자녀가 최대 피헤자 😢
@user-bx8wf9fp7o
@user-bx8wf9fp7o Месяц назад
세후 544면 어마어마한건데.. 중견기업과장 350, 공무원 7급 250 합쳐야 그 정도인데..ㄷㄷㄷ
@user-ut8vy8to5c
@user-ut8vy8to5c Месяц назад
휴우 난 다행히 재산 물려 받을게 많아서 후핳
@user-pj3ne1ex3c
@user-pj3ne1ex3c 2 месяца назад
밀을 프렙하는게 아니라 밀프를 랩하는거다? 밀프가 랩을 하는건가
Далее
사이비 조언가들이 많은 이유
16:58
Просмотров 22 тыс.
POV: Spain vs Italia
00:11
Просмотров 353 тыс.
집에서 뭘 해야 행복하십니까?
20:48
Просмотров 1,5 млн
불변의 법칙 - 전 국민이 볼 책이 나왔다
2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