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BC에서 학교를 나왔지만 2020년 연구생일때 부터 저랑 같은 학년이셔서 랩실에서 영상 보면서 혼자 응원도 하고 힘도 얻어간 추억이 있는데 지금까지 너무 잘 보고 있어요! 혹시 하도비님은 생물 석사 + 법학이라는 좋은 백그라운드를 잘 융합해서 Regulatory Affairs 쪽으로 진출 하실 생각도 있으신가요? 바꾸신 커리어 목표도 궁금하고 큐앤에이도 언제 시간 되시면 해주셨으면 좋겠어요!
제가 석사할 때부터 꾸준히 브이로그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다음 브이로그에도 나오겠지만 저는 health law regulatory affairs 보다는 지적재산권에 관심이 많답니다ㅎㅎ 아무래도 healthcare보다는 연구쪽이었다보니 비슷한 쪽으로 커리어 목표가 잡혔어요ㅎㅎ 다음에 qna 진행해볼게요😉
저도 1L 2학기때 시민권 시험보고 땄어요ㅎㅎ 시민권 시험 공부를 해야되나 고민하다가 에라 모르겠다하고 그냥 풀었는데 패스해서 이게 뭐라고 엄청 좋아했던 기억이 나네요ㅎㅎ 저는 캐나다 법을 다루는 사람이 외국인 신분으로 남고 싶지 않아서 그렇게 따게 됐네요. 근데 아직도 where are you from 하면 Korea 가 먼저 튀어나오네요ㅎㅎ 인터뷰 좋은 결과 있길 바래요~!
영상 보고 브이로그 연속재생중이에요 ☺️☺️ 저는 한국에서 노무사 시험 준비중인데 하도비님 너무 부럽습니다ㅜㅜ 내년에 캐나다 워홀 갈 예정인데(비자 곧 나올 예정) 혹시 캐나다 영주권 받게되면 로스쿨 학비를 로컬학생 기준으로 내게 되나요 ?? 국제학생이랑 학비차이가 크더라구요😢 로스쿨 입학에 나이도 중요한지 궁금합니다 ㅠㅜ
영주권자는 시민권자랑 동일하게 취급되어 국내 등록금을 냅니다ㅎㅎ 캐나다의 경우 나이는 전혀 중요하지 않아요! 제 동기 중에서도 자녀 낳고 커리어 쌓다 법학 학위가 필요해 입학하는 경우도 있고 애초에 일한 경력이 있고 학교를 졸업한 지 일정 이상의 시간이 지나면 전형이 달라요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