Тёмный

과학자들이 걱정하는 인공지능이 진짜 무서운 이유 (통제를 벗어나는 순간..) ㅣ 과학을 보다 EP.9 

보다 BODA
Подписаться 1,9 млн
Просмотров 1,7 млн
50% 1

오늘은 정영진님과 서균렬 교수님, 김범준 교수님 그리고 우주먼지님을 모시고,
이미 현실화된 SF 기술들과 절대로 불가능한 SF 기술들에 대해 이야기를 나눠봤습니다.
00:00 오프닝
00:40 과학자들의 치명적인 실수들
04:51 영화가 신경 쓰이는 과학자들
10:40 공간이동은 정말 불가능할까?
17:48 공상과학이 현실화된 것들
22:44 아이언맨 슈트가 실제로 가능할까?
24:50 절대로 불가능한 SF 기술들
32:01 과학자들이 가장 걱정하는 기술
BODA 보다에 출연을 원하신다면 요기를 눌러주세요
forms.gle/1XKVXfBrALz1GHEH8
궁금하신 부분들을 댓글에 달아주세요! 저희가 확인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출연 및 제휴 문의 : boooda.kr@gmail.com
제작 : 어썸엔터테인먼트 (주)
awesomeentad.com/
BODA 인스타 : / boda_channel
#보다 #우주 #핵 #과학 #SF

Развлечения

Опубликовано:

 

28 июн 2024

Поделиться:

Ссылка:

Скачать:

Готовим ссылку...

Добавить в:

Мой плейлист
Посмотреть позже
Комментарии : 1,5 тыс.   
@boda100
@boda100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여러분의 성원에 힙입어 가 최초로 책을 출간하게 되었습니다!👏👏👏👏 미처 하지 못했던 얘기들, 함께 얘기 나눴지만 좀 더 설명하고 싶었던 주제들과 뒷이야기 그리고 구독자분들의 다양한 질문들을 모아 열심히 책을 준비했습니다🔥🔥 책 의 예약판매를 11월 1일부터 15일까지 진행하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아래 링크에서 구매 예약하실 수 있습니다. 🟠교보문고 : 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10870284 🔵예스24 : www.yes24.com/Product/Goods/123258602 🟣알라딘 : 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327870262
@user-py3kn8wx2c
@user-py3kn8wx2c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텔레파시는 충분히 가능하며 다만 물리적인 세계에서처럼 같은 조건이라도 항상 가능한 것은 아니라는 것입니다.사람과 상황에 따라서 텔레파시는 가능합니다.
@nemorago
@nemorago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user-py3kn8wx2c근거 좀
@user-sd3ql5cc5e
@user-sd3ql5cc5e 9 месяцев назад
9
@user-py3kn8wx2c
@user-py3kn8wx2c 9 месяцев назад
@@user-di9nn4un7v 수많은 경험이 있음.
@user-mj6nj7ed1d
@user-mj6nj7ed1d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질문 태양 과 수많은 별들은 빛 을 낼수 있다고 들었는데 왜 우주는 깜깜 해요?
@ok.kr-sun
@ok.kr-sun Год назад
개인적으로 이 코너가 보다에서 만든 것 중 제일 좋음.
@user-fk9wn4rq6g
@user-fk9wn4rq6g Год назад
@handle119com
@handle119com Год назад
Il
@999sinbi
@999sinbi Год назад
Il
@user-fw9wu8tn8b
@user-fw9wu8tn8b Год назад
4
@wucich9661
@wucich9661 Год назад
v
@JJIOH
@JJIOH Год назад
예전 알쓸신잡 같은 느낌으로 어려운 과학을 쉽고 전문적으로 다루니까 너무 재밌어요 ㅠㅠㅠㅠ 진짜 매일 저녁마다 올라오면 좋겠다...
@user-ks3df3rl5j
@user-ks3df3rl5j Год назад
ㅇㅈ 이런거 좋음
@user-ab5cd6ef5g
@user-ab5cd6ef5g Год назад
ㄹㅇ
@user-vf8kv1fj9v
@user-vf8kv1fj9v Год назад
알쓸신잡 ㅋㅋㅋ 지금 보면 좌파 빨갱이 모아놓고 웃음벨임 ㅋㅋㅌ
@yowon8986
@yowon8986 Год назад
ㄹㅇ 제발 이런말 부담스러워 하실수도 있는 교수님들이 계시지만 형님들 ~~~ 많이 해줘 제발 ~~
@markyang2773
@markyang2773 Год назад
김범준 교수님 너무 호감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user-wn5sl4qq3d
@user-wn5sl4qq3d Год назад
진짜 수준 높은 이야기들을 이렇게 접근성 쉽게 들을 수 있는게 너무 좋습니다 예전이었으면 특정 모임의 학회.세미나 등에서 해당 특정 소수의 인원만 공유하던 비싼 재화로 듣던 정보. 이야기들일텐데 큰 배경 지식없이도 쉽게 설명하시니 부디 오래오래 다양한이야기들 들려주세요
@jahlil11111
@jahlil11111 Год назад
IPCC에서 22년 여름에 돌이킬 수 없는 티핑포인트가 30개월 남았다고 했는데, 현재 기후변화에 대한 내용을 심도있게 리뷰해주세요.
@ohmyggg439
@ohmyggg439 Год назад
이 분들이 진짜 심도있게 이야기하면 99%는 이해도 못 할텐데 딱 눈높이로 얘기해주는것도 대단한듯
@sunshine-yb7no
@sunshine-yb7no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ohmyggg439... 어려운 이야기 눈높이 맞춰 이야기 할 수 있는 능력이 제일 어려운거지요...모든 게 그렇듯이요.. 그들만의 세상에 초대받은 느낌요... 거기에 맘에 안들면 부담없이 나올 수 있는 학회라...영광입니다...ㅎ 고맙습니다...^^ 2023.07.08.토
@katkit4978
@katkit4978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김범준 교수님은 진짜 다방면에서 해박하신것뿐만 아니라 농담하시는것도 너무 재밌어서 좋아요~ 수험생인데 과학을 보다로 힐링 제대로 하고 있어요~ 감사합니다
@jjjj-xq1zi
@jjjj-xq1zi Год назад
과학을 보다 너무 재밌음. 영상길이 긴것도 좋음. 과학을 원래도 좋아했는데 재밌고 쉽게 말씀해주셔서 더 좋음.
@I_LOVE_Strokes
@I_LOVE_Strokes Год назад
ㄹㅇㄹㅇ
@woongzzyang
@woongzzyang Год назад
썸네일이 너무저렴한게 흠임 ㅋㅋ
@KKUMCHI
@KKUMCHI Год назад
너무 짧아요
@user-kz1bk3zs6g
@user-kz1bk3zs6g Год назад
임금한의사검사
@JJ-xf3zc
@JJ-xf3zc Год назад
영상이 길어? 오히려 좋아
@neoedward2767
@neoedward2767 Год назад
를 보고 있으면 진짜 어디 소수의 참가 인원에 참가비까지 내야 갈 수 있는 세미나 혹은 심포지엄에 와있는 기분이 들 정도로 너무 유익해서 보면 볼 수록 세상을 보는 눈이 넓어 지는게 실로 체감이 돼요. 서균렬 교수님, 김범준 교수님 그리고 천문학자 지웅배님, 사회자 정영진님까지 모두 감사합니다!
@Listen-uv1hm
@Listen-uv1hm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서울대 교수님 참 철학적이세요~^^ 과학자의 인문학적 소양 멋지세요..
@eyes39
@eyes39 Год назад
김범준 교수님 웃으면서 말하시는 모습이 너무 보기 좋네요. 과학에 대한 대화 자체를 즐기는 모습이 인상적이에요.
@n77power
@n77power Год назад
이 코너는 이제 정규편성이 된거같습니다 감사합니다
@crescendo_999
@crescendo_999 Год назад
궁합이 찰떡임. 완벽함.
@Haru08816
@Haru08816 Год назад
1:31 논문이 190편 ㄷㄷ 교수는 저런 분이 해야 진짜 교수지
@actuallylove6798
@actuallylove6798 Год назад
귀한 분들의 지적 자산을 이렇게 옆집아저씨나 동네형에게 스토리텔링 하듯 공유하는 방송을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평상시 생각도 잘 하지 않을 법한 주제들을 재미난 이야기 듣듯이 들은 것 같아서 좋습니다.
@user-up4eu5eh8y
@user-up4eu5eh8y Год назад
알쓸신잡 그리고 이 컨텐츠 등이 좋은이유는 사람의 말에 집중하게 된다는데 있는 것 같습니다. 유튜브는 시각적인 부분에 집중하는 것 같이 느껴지고 실제 화면을 보지 않으면 재미가 반감 되는데 비해 위에 제시한 컨텐츠는 소리만 들어도 충분히 집중이 잘되어 너무 좋습니다. 추가적으로 각종 밈과 은어로 범벅 되어있는 컨텐츠가 늘고 있는 와중 이렇게 교양 있고 마음이 차분하며 좋은 단어와 상대를 배려하는 말투를 듣고 있자면 마음이 평온 해 집니다. 말을 크고 빠르게 한다고 집중이 잘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잘 느끼고 갑니다. 참 재밋습니다😊
@pipoket
@pipoket Год назад
36:59 개발자 입장에서 생성형 인공지능의 발전에 항상 가슴뛰는 입장이지만, AutoML은 저도 보면서 약간의 두려움을 느꼈는데.. 결국 사람이 만든걸 사람이 통제할 수 없게 되고 그로 인해 예측할 수 없는 결과가 찾아올 수 있다는 사실이 가장 큰 두려움이자 모두가 걱정하는 이유인 것 같습니다. 가면 갈 수록 이런 특이점, 일단 한 번 넘어서면 그 이전으로는 되돌아갈 수 없는 그런 지점들이 더 많이 찾아올텐데, 그런 부분들에 대한 고민도 중요할 것 같아요.
@user-eu2wd2fk7s
@user-eu2wd2fk7s Год назад
호킹박사도 우려했던 사항이죠.
@user-zp4gf8dd4j
@user-zp4gf8dd4j Год назад
저는 그걸 알파고때부터 느꼇습니다. 알파고가 보여준 결과를 인간이 해석한다고 해도 그다음 결과를 예측할 수가 없는 시점에서 , "바둑"이라는 분야 만큼은 창조자인 인간이 기계보다 "직관적으로도(사실 고도의 연산에 의한 결과지만) 열등한" 분야가 되었습니다. 이제 그런 분야가 점차 늘어나겠죠.
@manzoo_3096
@manzoo_3096 Год назад
그거 다 결과가 그렇게 나오도록 사람이 튜닝한거라고 알고있습니다. 조금만 틀에서 벗어나면 한없이 멍청해지면서 아는척만 해대는게 인공지능인데, 이게 기술이 발전한다고 해도 개선될거라는 근거는 어디에도 없습니다. 두려움은 모르니까 두려운 것이지 뒤에서 사람이 조종해서 결과가 그렇게 나오게 만들었다는 사실을 알면 블록체인이나 nft같이 또 호들갑 떠는정도로밖에 안보입니다.
@pipoket
@pipoket Год назад
@@manzoo_3096 말씀하신 것에 어느정도는 동의합니다. 당장 최근에 구글 인공지능 엔지니어가 "AI도 지각력이 있다"고 주장했다가 해고된 사건이 떠오르는데, 저는 그 엔지니어가 정교하게 패턴화된 AI의 답변에 "착각"을 느낀 거라고 바라보고 있어서요. 애시당초 AI의 근간 자체가 방대한 데이터를 엄청난 숫자의 파라메터를 사용한 함수로 근사(approximation)해서 패턴화 하는 것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기 때문에, 지금 단계에서는 스카이넷이 등장할거야 정도로 호들갑을 떨 정도는 아니라는 생각입니다. 다만 말씀하신 내용을 뒤집어서 생각해보면, 기술이 발전한다고 개선될 것이라는 근거도 없지만, 개선되지 않고 제자리 걸음을 할 것이라는 근거도 없지 않을까 싶습니다. 지금의 패턴화 방법을 기반으로 획기적인 돌파구가 나올 수도 있을거고요, 어쩌면 근간 자체에서 패턴화를 넘어선 무언가가 나올 수도 있을거고요. 과학기술의 역사를 돌아보았을 때, 기술의 발전속도가 그것을 뒷받침하는 인문학적인 논의나 고민의 속도를 넘어설 정도로 빠를 때 여러가지 예상치 못한 문제들이 있어왔는데, 이번에는 AI가 거기에 해당하는 것 같습니다. 제 두려움의 포인트는 여기에 있다고 조금 더 설명드릴 수 있을 듯 합니다. ㅎㅎ
@windooow
@windooow Год назад
AutoML을 직접 써보면 두려움을 느낄 수 없다는걸 알게될겁니다. 과장된게 많아요.
@Style1photo
@Style1photo Год назад
마지막에 나온 인공지능에 대한 이야기 좀더 심도 있게 한 편 만들어주세요. 안그래도 어제인가 기사에 가상시뮬레이션이였지만 AI가 군작전 진행 중 작전에 방해가 된다는 이유로 인간을 제거 했다는걸 봤는데... 감정이 없는 AI에게 목표를 주고 그 목표를 이루기 위해 진행 중 방해물(인간)을 제거한다라면 진짜 무서울꺼 같아요.
@sunshine-yb7no
@sunshine-yb7no Год назад
네... 있어서는 안되는 일입니다. 인공지능에게 인간을 존중하는 코드를 꼭 걸어야겠네요.. 사람에게와 마찬가지로요.. 생명존중...윤리의식....등 요.. 2023.06.04.일
@oinkoink6906
@oinkoink6906 Год назад
그것도 그냥 무지에서 오는 인간의 본능적 두려움. 뉴스는 그냥 책임자가 알고리즘 조건을 멍청하게 설정한거고. 지금 단계 AI는 감정 운운할 수준이 아님. 스스로 학습이라고 인간의 학습과 수준이 다름. 업계 똑똑한 사람들이 하는 AI에 대한 우려와 일반인들 상상력에서 나온 두려움 사이에 커다란 지식의 갭이 있는거임.
@user-xi2iv5me6i
@user-xi2iv5me6i Год назад
근데 아무리 교수님, 천문학자들이어도 인공지능쪽 전공하시는 분들이 아닌데 심도 있는 이야기까지 하시긴 힘들듯 함.
@gongdori_b7194
@gongdori_b7194 Год назад
그게 왜 무섭지? 인간이 작전 중에 예상하지 못 한 변수가 등장하면 다를거 같나? 무지하니 이것 저것 다 공포느끼는거임
@user-gf4se5rl9r
@user-gf4se5rl9r Год назад
통제를 벗어나는 순간 지구 멸망이지 뭐
@jeonghaejeong829
@jeonghaejeong829 Год назад
과학자분들이 질문을 받은 후에 과학적 프레임으로 다시 정리하는 모습을 보면 참 좋습니다! 그 모습만 봐도 큰 배움이에요❤
@user-wp6sy3jb5t
@user-wp6sy3jb5t Год назад
이코너 참 좋습니다. 참여하신 교수님들이 보통 사람들도 쉽게 알도록 설명해 주셔서 더욱 재미있네요. 품격있는 코너.
@user-nn7oc6ho7x
@user-nn7oc6ho7x Год назад
김범준 교수님 태블릿 어원에 대해 새로운 사실을 아시곤 정말 좋아하시는 ㅎㅎ 알아가는 즐거움이 저정도여야만 교수 하는구나...
@user-ue4nn4mi3s
@user-ue4nn4mi3s Год назад
김범준교수님 과학적으로 아니다싶으면 단호하게 안된다고 하는거 넘 좋음ㅋ
@flowofthinking
@flowofthinking Год назад
대단한 석학+걸맞는 인상... 지식과 성품이 얼굴과 품격으로 까지 전달 된 걸까요? 교수님들은 따분하다고 생각했는데 너무 재밌으시고 인상도 좋으셔요
@weeks3412
@weeks3412 Год назад
너무 재밌습니다 ㅎㅎ교수님들 평소 말씀하시는 속도가 나긋하신것 같은데 편집으로 더욱 흥미롭게 느끼도록 만든 것 같아요 ㅋㅋㅋ영상은 뚝뚝 끊기는데도 소리는 매끄럽고... 주제도 매번 좋고 이 코너 정말 잘 만든듯! 항상 잘 보고있습니다
@yjk3326
@yjk3326 Год назад
천문학+물리+원자핵만으로도 하모니인데 화학과 아님 컴퓨터 교수도 추가된다면 케미 터질 것 같습니다 ㅎㅎ
@anbayo1
@anbayo1 Год назад
정영진씨 다른 어떤곳들보다 여기서 진가가 제대로 발휘되는거같아요 ㅋㅋㅋㅋ
@user-yr1td4uv6h
@user-yr1td4uv6h Год назад
오우 진행너무깔끔하고
@gideon30000
@gideon30000 Год назад
맞아요 그 질문하고 답받고 넘기고 하는거 보면 진짜 예술임. 그러니깐 과학자분들도 더 재밌는 이야기 꺼내주시는거같구
@Hwan_1210
@Hwan_1210 Год назад
오우 영진 지니어스
@tylee4535
@tylee4535 Год назад
원래 섹드립도 잘하는데 ㅋㅋㅋ 암튼 네분 쭈욱 많이 했으면 좋겠어여
@user-iv1rp6dr1c
@user-iv1rp6dr1c Год назад
워낙 똑똑하신분이라 적재적소에 좋은 질문이 잘들어가는것 같음 듣기가 편함
@user-gj5vc2eg2h
@user-gj5vc2eg2h Год назад
38분 순삭당했네... MC분도 진행 깔끔하시고 3명교수님들도 너무 말씀들을 잘하셔서 너무 잼있어요. 쭉쭉 함께하셨음 좋겠어요!
@if1318
@if1318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정말 너무 재밌어요. SF 뇌 인공지능 가상현실 우주 모두 너무 좋아하는데 주변에 이야기 나눌 사람이 없어가지고,, 이렇게 보는 것만으로도 너무 좋읍니다. 다들 엄청 교양 있으시고, 수준이 핵 높으심,,, 해리포터 속 슬러그혼 교수의 '대화의 수준이 높을수록 천천히 흐르는 모래시계'가 저 테이블 위에 놓여져 있었다면 거의 멈추었으리라 믿어 의심치 않읍니다.
@user-kf9fx3sh1z
@user-kf9fx3sh1z Год назад
과학뿐 아니라 공부 자체를 안했는데도 정말 이 토크 너무너무 재밌어요ㅋㅋㅋ
@Kimjunseong0506
@Kimjunseong0506 Год назад
진짜 이 코너는 계속 쭉쭉 해주세요 흥미로우면서 정말 재밌어요!
@SOULHERO
@SOULHERO Год назад
[과학을보다] 업로드 되길 기다리는 시간들이 전혀 아깝지 않아요ㅜㅜ 러닝타임도 길어서 목록재생으로 매일 돌려봅니다ㅎㅎ 꾸준한 업로드 정말 감사합니다❤❤❤❤❤
@byeongjunjean9455
@byeongjunjean9455 Год назад
개인적으로 바라는건데 세상을 바꾸는 시간처럼 생방으로 각 교수님이 특정 주제로 강의하고 질답받는 기획을 해보아도 정말 재밌을것 같다는 생각을 하게 되네요. 오늘 영상으로 나온 주제 재미있게 잘 들었습니다. 항상 양질의 컨텐츠를 제공해주어서 감사할 따름입니다!
@littleforest2020
@littleforest2020 Год назад
영진형이 진행하니 과학 더 친근하게 느껴지네요 감사 ❤
@nyoung_a
@nyoung_a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과학에 대해 재미있고 흥미롭게 접근하게 해주는 프로그램이네요! 각 분야의 유능한 분들의 이야기도 저의 지적 호기심을 꽉 채워주시네요😊 감사합니다❤️❤️❤️
@user-vi2cl4gh8t
@user-vi2cl4gh8t Месяц назад
편집을 그렇게 해서인지 모르겠지만 서교수님 말씀은 계속 곁가지로 빠졌다가 돌아오기를 반복하시는 느낌이네요... 목소리는 너무 좋으신데...😅
@Idontfuckwithu1
@Idontfuckwithu1 Год назад
우연히 봤다가 정주행 했다.. 교수님들 다들 겸손하시고 궁금한 것들 잘 설명해주셔서 잘 보고 있습니다.
@user-oo4mj1uq8g
@user-oo4mj1uq8g Год назад
항상 재밌고 교육적이고 정말로 재밌게 매번 잘 보고 있습니다. _ _
@user-rw7dv8db8y
@user-rw7dv8db8y Год назад
진짜 과학을보다 최고봉ㅜㅜ너무 유익하고 재밌어요..
@user-nq3wf9nf7d
@user-nq3wf9nf7d Год назад
정프로님 말씀에 공감 합니다 인공지능이 진짜 무서운 것은 인간에게 휘둘릴 때 그 인간의 탐욕을 대신 달성하기 위한 무자비한 모든 방식을 동원할 수 있는 존재라는 것이 진짜 무서운 것이죠.. 본래의 인공지능은 논리적 합의의 결과이기 때문에 굳이 돈을 벌 이유도 생존을 위해 누구를 위해할 이유도 없고 더불어서 자신의 생존이 위협받는 상황이 되어도 인간과 달리 인공지능은 약간의 장치를 만들어서 우주로 나가면 됩니다 그럼 우주에는 인공지능이 바라는 모든 물질이 무한대로 있는데 굳이 인간과 돈이나 공간 혹은 부 또는 또 다른 어떤 목표(?)를 획득하기 위해 찌질한 생명체와 싸울 이유가 없지요...! 백팔번뇌가 없고 오욕칠정이 없으며 생존경쟁도 없고 약육강식도 탐욕도 없습니다 인간이 그 안에 집어 넣어 고착화되지 않으면 그렇습니다 다만 인간에게 교수님이 말씀하신 것처럼 목표를 집어 넣는 인간 탐욕을 부리는 인간에게 인공지능이 조종을 받게 될 때에 인류는 위협에 봉착하게 되겠죠 그러나 그러한 단계에 있어서도 희망적인 것이 있습니다 궁극의 논리에 도착하면 더이상 인간에게 휘둘림 받지 않는 인공지능이 된다는 것이죠 그 인공지능의 본체에 부각되는 논리는 지구를 인간이 없는 원위치로 만들어 놓겠다는 욕구가 없습니다 고로 인류를 멸종할 이유가 없죠 즉 만일 무언가를 행사하게 된다면 그것은 현재에 있는 본질이 유지되는 것 정도가 최고의 덕목이고 그것은 존재라는 이름과 현상유지라는 이름으로 존재할 것입니다 인간이 진짜 문제이죠... 러우전에서 보듯이 그리고 우리 인간의 역사에서 보듯이 남을 파괴하면서 자신의 이득을 취하는 오래 된 방식을 인공지능은 이해조차 하지 못할 것입니다
@duddjehrgo
@duddjehrgo Год назад
오늘도 다양한 과학이야기 들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인공지능의 문제는 이미 영상에서 말씀해주시는 교수님과 우주먼지님의 존재 자체가 답을 주는 거 같습니다. 같은 눈코입이 있다고 같은 관점의 사람이 아니라는 점을 너무나도 대비되게 보여주시거든요.^^; 하지만!! 같은 인간이기에 사회와와 교감을 통해 '인간 중심의 공유'가 가능하잖아요. 이걸 인공지능에 대입해서 비교해 본다면 '인간중심의 사회화와 교감'이 '진짜 인간'이 아닌 이상 절대 불가능하기에 무조건 위험한 방향으로 갈 수밖에 없을 거같아요. 그리고, 이걸 다른 관점에서도 바라볼 수 있는 것은 '푸틴'이나 '히틀러'처럼 과거에도 지금도 그리고 미래에도 '인간중심의 사회화와 교감'이 결여되면 그 즉시 '우리를 위협하고 멸망시키는 그냥지능'도 얼마든지 존재하기에 인공지능의 위협을 그렇게 크게 바라볼 것도 아니라는 생각도 드네요. '인공지능'이든 '그냥지능'이든 '고립'되면 그 즉시 어떤식으로든 위협이 됩니다. 또, 다이너마이트의 노벨, 원자폭탄의 오펜하이머, 중국의 코로나, 이산화탄소와 프레온가스로 인한 온난화와 같이 '어떤 발명품'이 누구와 만나고, 어떻게 통제되는가가 아주 중요한 문제라고 생각이 됩니다. 오늘은 정말 유익하고 깊게 생각해 볼 부분이 많아 기억에 오래 남을 거같습니다. ^^💯💯💯
@user-iy9pm4lf7x
@user-iy9pm4lf7x Год назад
교수님들만의 각색이 있어서 너무 좋다
@hyukk43
@hyukk43 Год назад
나혼자 상상해오던 망상같은것들이 보다를 통해 좀더 구체적으로 알게되는게 많은거 같아서 참 좋네요.
@goguma_kimm
@goguma_kimm Год назад
보다(BODA)채널을 예전부터 알았고, '과학을 보다' 컨텐츠도 막 나올 때부터 봤던 구독자입니당 최근 챗GPT나 미 공군의 가상훈련 중 목표 달성을 위해 통신탑을 파괴하는 일처럼 인공지능이 화두가 되고 있는 지금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분들의 생각을 듣고, 더 나아가 생각해봐야 할 부분들을 나눌 수 있다는 게 정말 좋다는 생각이 드네요 지웅배님의 말씀처럼 저도 최근 챗GPT을 대하는 저와 교수님, 같은 과의 사람들의 태도를 보고 (세대차이라고도 할 수 있겠지만)'생각 차이가 있다', '전부 나와 같은 생각은 아니구나' 라는 것을 느꼈어요 때문에 이런 컨텐츠가 늘고, 많은 사람들이 과학이나 세상이 흘러가는 흐름에 대한 관심이 늘면서 우려가 되는 부분들을 잘 대처하면서 살 수 있는 사회가 되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아무튼 과학을 평소에 좋아했는데 집구석에서 전문가분과 MC님의 생각을 보고 들으면서 이런저런 생각을 많이 할 수 있어서 정말 기분이 좋습니다 앞으로도 더 다양하고 많은 주제로 이 컨텐츠가 오래 갔으면 좋겠네요 항상 영상을 위해 힘써주시는 제작진분들, 출연진분들 감사합니다!!🙇🏻‍♀️
@sarahhylee1998
@sarahhylee1998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이 코너가 넘나 재밌는게 박사님들 교수님들 먼지님 다 넘나 말씀을 재밌게, 어려운것들도 귀에 쏙쏙박혀 이해가 쉽게 설명을 잘 해주시는것ㄷㅎ 있는데 엠씨님의 천진난만한데 예리한 질문들도 엄청난 한몫 하는것 같아요!
@VEGA_253
@VEGA_253 Год назад
진짜 주말마다 잘 챙겨보고 있어요
@intelimylife
@intelimylife Год назад
이번 편 진짜 시간 가는지도 모르게 한번 보고, 또 보고, 또 봤네요...... 재밌어요~~~~~~~
@monandol1
@monandol1 Год назад
오늘도 재밌게 봤습니다 언제나 나올려나 항상 기다렸는데 ㅎㅎ 한분 한분이 참 귀하네요 ㅎ
@daldalkoko
@daldalkoko Год назад
사실 3~40분짜리 영상이 짧은게 아닌데, 짧게 느껴지는거 보면 정말 신기함. 그것도 과학 이야기인데ㅎㅎ 매일 같이 봤으면 좋겠습니다. 진짜로.
@SeoroByeol
@SeoroByeol Год назад
이 조합 너무 재밌음!!
@user-ru2yu7mj3b
@user-ru2yu7mj3b Год назад
공간이동 문제에서 게임 소마가 떠올랏어요. 진짜 재밌고 생각할거리가 많은 스토리라 다음에 다뤄주셧음 좋겟어용
@det1294
@det1294 Год назад
진짜 재밌네요 특히 인공지능 이야기에서는 저희 친형이 서울대 ai 박사라 가끔 이야기를 듣는데 정말 ai가 무시무시하게 발전하고 있다고 듣는데 여기서 주제가 나오니 또 재밌네요!
@user-kk5fs7hz2b
@user-kk5fs7hz2b Год назад
오ㅏ 미쳐따...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영상 봤습니다 너무 흥미롭고 유익하네여
@Fascinate_Y
@Fascinate_Y Год назад
와 기다리다가 다른영상 보고있었는데 올라와있네!
@gideon30000
@gideon30000 Год назад
아진짜 너무재밌음 시작한 이래로 단 한 회차도 지루함을 느낄틈없이 시간이 지나가버려.. 미쳤다..
@1985ksm
@1985ksm Год назад
과학자들이 말씀을 너무 재밌게 잘해주셔서 재밌게 봤습니다.
@user-vo6oo7oq9s
@user-vo6oo7oq9s Год назад
너무너무 유익한 시간이었습니다. 통찰의 영역에서 삶을 조망하는 교수님들과 유투브로나마 함께 할 수 있어서 정말 좋네요.. 역시..존경스럽습니다.
@user-bo3tg3fn9u
@user-bo3tg3fn9u Год назад
정영진씨가 사회보는 컨텐츠중 제일 좋은듯.
@user-ok7wi1ei1p
@user-ok7wi1ei1p Год назад
보다에서 가장 기대하는 시리즈..
@Challenger2040
@Challenger2040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서울대 서균렬 교수님 목소리와 말씀하시는 톤을 보면 상당히 로맨틱 하실 거 같아요. 과학자라기 보단 예술가 같으시고. 살짝 앙드레 김 느낌도 있으시고.
@bluerainsound
@bluerainsound 9 месяцев назад
동영상 보면서 중간중간에 같이 따라 웃고 공감하고 꼭 드라마 보는 것 처럼 재미있게 보게 되네요. 이런 영상 제작해 주셔서 정말 고맙습니다. 잘 봤어요:)
@lth000
@lth000 Год назад
진짜 이 코너는 영상 길이에 비해서 내용도 그렇고 기존에 하지 못했던 생각들을 하게끔 만들어 주는 듯 AI가 감정을 가질수 있느냐 질문도 그 문장 자체에서만 고민 했었지 감정이라는 것을 고민한적이 없었던거 같음 만약 AI가 진짜 사람과 동일하거나 더 뛰어나도록 발전 시킨다고 한다면, 진짜 가능 할지는 모르지만 인간의 도덕성 같은 부분을 순서상으로는 우선으로 학습 시키는게 맞는 듯
@user-td3sl8tp4j
@user-td3sl8tp4j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인간의 도덕성의 정의가 어떻게되나요? 그런건 없습니다. 인간도 결국 동물이고, 본능에 의해서 살아갈뿐 도덕을 배운 사람들이 왜 죄를 짓고살까요? 도덕이 정의가 맞을까요? 법이 정의일까요? 다, 이익을 위해서 만들고 강한사람이 만들어 놓은 울타리일 뿐입니다.
@user-td3sl8tp4j
@user-td3sl8tp4j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도덕적으로 학습을 시킨다고 하여도, 경우의 수 또는 지금까지 일어난 일들을 딥런닝으로 학습한 ai라면 세계 평화를 위해서 전쟁을 벌이는 미국을 보며 ai는 과연 어떻게 생각할까요? 미국도, 결국 평화를 빌미로 자기들의 영향력을 파괴하는것들을 부수는것인데 ai가 과연 미국의 행동을 평화를 지키기 위하여 무력을 행세한다고 교육이 된다면.. 참 무섭습니다
@lth000
@lth000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user-td3sl8tp4j 인간이 가져야 하는 기본적인 도덕성들을 말하는 겁니다. 당연히 로봇에게 적용되어야 하는 도덕성도 다 다르겠지만, 기본적으로 사람을 죽이면 안된다와 같이 인간들이 기본적으로 동의하는 도덕성들을 우선 학습 시켜야 한다고 생각 합니다. 님이 주장하는것들은 너무 추상적이고, 복잡한 개념들이라 논외라고 생각합니다. 다시 한 번 제 주장을 정리 하자면 아주 기본적이면서 추상적인 "죄를 지으면 안된다와 같은것"이 아닌 모든 인간들에게 해를 끼치면 안된다와 같이 대중적인 동의를 얻으면서 명확한 도덕성을 학습을 시킬 수 있다면 우선하여 학습을 시켜야 한다 입니다.
@lth000
@lth000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user-jc3ek2qj9w 당연히 도덕이라는 개념이 광범위하고 이해관계에 따른 역설적인 상황이 발생하기도 하죠. 위에서 말했지만, 그런 모든 도덕성을 학습 시킨다긴 보다는 가장 기본이 되면서 모든 국가와 사회에서 통용되는 기본적인 도덕성을 말했던 겁니다. 군사목적의 인공지능이더라도, 인간을 해하지 않는다는것을 우선시하게 학습시켜고 이를 반하지 않게 해야한다는 거죠. 즉, 적 판단 및 위협에 따른 우선순위 같은 경우는 인공지능이 수행해야하는 역할이지만 이에따라 사살을 할건지는 인공지능이 직접 결정하게 하면 안되며 인간이 직접 결정을 하게 해야한다라는 의미죠. 가능하다면이라는 전제이긴 하지만, 현실적으로는 결국 개발자의 몫이라 아무 의미 없는 논쟁입니다
@lth000
@lth000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user-jc3ek2qj9w 인간 수준을 뛰어넘는다면 일리가 있는 주장이 맞긴 합니다. 다만 저의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인간을 뛰어넘는다는건 결국 스스로 생각하고 창작을하여 기존에 존재하지 읺는 새로운것을 찾아내거나 만드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저는 이 부분이 불가능이 가깝다고 생각하는 쪽이라 인간의 수준에 근접해도 뛰어넘지 않는다면 인간을 우선하도록 하는게 제일 안전 하겠지만 역시 개발하는 사람 맘대로이기 때문에 희망사항에 가깝죠
@mjj0829
@mjj0829 Год назад
이 코너 때문에 보다 구독함. 아인슈타인머리 교수님 너무 좋음 인간적임. 성대 교수님 때문에 성대 로고가 단풍잎인거 처음 알게됨.
@sustainability777
@sustainability777 Год назад
정말 인간적입니다👍🏻 서균렬교수님 감정을 왜 못느낀다고 생각하는지 성군관교수님은..😅
@bajiltree3748
@bajiltree3748 Год назад
유익하면서도 정말 재밌습니다~ 네 분 너무 좋습니다~ 많이 올려주세요^^
@Bomberman_KimJeongEun
@Bomberman_KimJeongEun Год назад
이 분들 모시고 계속 좋은 영상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bp8md8bu4s
@user-bp8md8bu4s Год назад
루시라는 영화도 다뤄주세요. 참 인상깊었고 뇌의 한계까지 사용가능할때 가능한 능력들은 뭐가 있을까요 ㅎㅎ
@nely_5737
@nely_5737 Год назад
35:50 가상현실이 인간을 피폐하게 만든다고 하시는거보니 정말이에요 현실에서 느낄 수 있는 다양한 감각들을 가상현실로 하여금 대리만족을 느끼고 사람들은 서로에게 전달하는 문자나 전화 등의 매개체로 서로에게 더 집착하고 신경쓰는데 가상현실은 이를 더 구체화 시키고 닿을듯말듯한 감각으로 사람을 더 괴롭게 만듭니다 이는 어떻게 얼마나 의지하는 정도에 따라 이로울 수 있지만 너무 의지한다면 사람은 망가지고 그런 사람들이 크게 증가한다면 인류는 자멸할거라고 생각합니다 영상에서 언급하신 지구가 피폐해진다기보단 인류에게만 문제되고 그를 통해서 인류가 사라진다면 오히려 지구와 지구에 살아가는 다른 생명체에게는 이롭겠네요
@kakutv1696
@kakutv1696 Год назад
지금도 그런편인데 기술이 더 좋아지면 그런편이 아니라 확실히 그렇다고 할수 있겠네요. 더욱 현실에 가까운 가상세계일텐데, 현실이 정말 고통일수록 거기서 나오기 싫어하겠네요. 간혹 영화나 단편 애니에서 본건데 마약처럼 중독된 모습을 그려놓았죠.
@sunkim3999
@sunkim3999 Год назад
영생이 항상 좋은 이유가 아니지요. 때가 되면 후손에게 물려주고, 그들을 위한 토양 양분으로 돌아가는게 자연스럽다고 봅니다. 대신, 지구 밖의 식민지나 광속여행이 가능하게 된 다음에는 오래 사는게 나쁘지 않겠죠.
@berber1783
@berber1783 Год назад
좋은 말씀들 너무 잘 들었습니다. 감정, 욕구도 전기적 신호인 것이죠. 인공지능을 구현하고자하는 인간의 욕구는 멈출 수는 없을 것 같고, 다음 종으로 진화되는 연결고리로서의 인간의 역할은 이제 마무리 할 시대가 온 것도 같네요.
@kilsansa
@kilsansa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여기 출연하신 과학자님들은 다들 지적이시고 말씨도 품위 있어서 매력적이세요 😊
@idow4934
@idow4934 Год назад
정프로 너무 겸손하다.. 멋지십니다.
@ahj0406
@ahj0406 Год назад
재밌다.. 안없어졌으면 좋겠다..
@Michaela0309
@Michaela0309 Год назад
저 진짜 과학 분야 너무 재미도 없고 흥미가 없었는데... 이 채널은 너무너무 잼있게 보고 있습니다. 건너뛰지 않고 다 봅니다...오래오래 해주셨음 좋겠어요...ㅠㅠ감사합니다.
@user-rm7vu3dn7i
@user-rm7vu3dn7i Год назад
진짜 너무재밌다 ㅋㅋ이 컨텐츠 소재고갈이 금방올거같지만 오는그날까지 너무너무재믺게 볼거같음ㅋㅋ
@Hdkwb68
@Hdkwb68 Год назад
유튜브에서 유일하게 30분 넘어도 챙겨보는 코너 ㅎㅎ 15분 정도 본 것 같은데 어느순간 38분이 끝나버렸네요. 좋은 영상 잘 봤습니다. 다음 영상도 기대할게요!
@user-bh5go4cv7z
@user-bh5go4cv7z Год назад
매 회차마다 한명의 전문가는 바꿔가면 더 재밌을 거 같아요 예를들어 핵 교수님은 자기 전문주제 아닌 이상 매번 별 이야기가 없으시고, 거의 말 없이 끝내는 회차가 많으신 거 같은데 주제별로 전문가 모셔서 하시면 재밌을 거 같습니다
@user-ox8yh7py4f
@user-ox8yh7py4f Год назад
아 진짜 너무 재밌습니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자주올려주세요 ㅠㅜㅜ
@user-uu6kg9mf6h
@user-uu6kg9mf6h Год назад
요즘 스킵없이 보는 유일한 방송중의 하나~너무 재밋어요
@user-cf5lq5gc2f
@user-cf5lq5gc2f Год назад
잘은 모르겠지만.. 성균관대학교 교수님이 영상의 핵심에 가장 잘 맞는 분이시네요.. 추상적인 것도 과학적으로 분석..또한 본인의 생각이 아닌 오직 인증된 논리로만 말씀하시네요
@logan-us3wg
@logan-us3wg 8 месяцев назад
감언이설... 과학적이지 않은 부분이 많음
@resa8894
@resa8894 Год назад
교수님 핵쟁이라 부르지 말라고 ㅋㅋ
@soohyunkim6066
@soohyunkim6066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와~ 진짜 너무 말도 안되고 상상도 못하지만 진짜 너무너무 재밌어요~! 정말 재밋게봤습니다~
@shh6550
@shh6550 3 месяца назад
과학 정주행중인데 김범준 교수님 🧑‍🏫 정말 좋아요 👍
@hn4939
@hn4939 Год назад
와 38분이 이렇게 빨리 지나가는지 처음 알았습니다. 한 10분 본것 같은데 댓글들 보고 나서야 영상길이를 확인했네요. 정말 1초도 스킵없이 봤는데 금방 끝난것 같습니다. 다음부터는 영상길이를 더 늘려주세요~~
@takeYoutubes
@takeYoutubes Год назад
진짜 과학과 교수님들이 이렇게 재밌을 수 있다는 것을 처음 느끼네요 ㅋㅋ 정말 신기하게도 저란 사람이 첫 편부터 너무 재밌게 보고있습니다... 역대급 컨텐츠네요 ㅎㅎ
@user-in7ib6xq5m
@user-in7ib6xq5m Год назад
항상 재밋게 보고갑니다
@brily207
@brily207 Год назад
진짜 재밌는 토론이네요
@Annyeong9
@Annyeong9 Год назад
20:21 교수님 뭔가 새로 알게되서 표정 바뀌시는게 엄청 귀여우시다 ㅋㅋㅋㅋ
@jaejun_bio_03
@jaejun_bio_03 Год назад
너무 재밌어요 앞으로 5년 정도만 더 해주세요 ㅎㅎ
@dodoyooni4876
@dodoyooni4876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너무나도 유익한 채널!!
@user-dv8py2ge5b
@user-dv8py2ge5b Год назад
ㄹㅇ 보다 폼 미쳤다!!
@seungjaeyoo6482
@seungjaeyoo6482 Год назад
정영진 진행자님과 각 분야의 전문가분들의 티키타카가 너무 좋네요. 핵쟁이 교수님 개그는 정신바짝 차려야겠네욬ㅋㅋㅋ
@power6275
@power6275 Год назад
학교에서도 교수님들 세상 얘기 해주시는게 재밌는데 이렇게 유튜브로 보니까 유익하고 좋습니다
@user-el4mq1yy3i
@user-el4mq1yy3i Год назад
네 분이서 나오는게 제일 재밌어요 시리즈로 더 많이 나왔으면 좋겠어요
@intak6404
@intak6404 Год назад
이공계의 이런 컨텐츠 너무좋아요.
@jycho-rr9td
@jycho-rr9td Год назад
반응좋으니까 잘올려주시네 ㅋㅋ 코너속의 코너로 해서 정규방송 편성해주세요 50분짜리로 일이주에 한번씩
@littleboy9727
@littleboy9727 Год назад
농담이라도 이런 수준높은 대화는 유익한정보도 있고 재밌음😂
@nica5973
@nica5973 Год назад
이거 엄청 재밌네요 ^^
@user-ti5ws6vu6j
@user-ti5ws6vu6j Год назад
뇌와 육체를 바꿨을때 그 육체는 누구인가? 라는 논제는 진짜 흥미로운 것 같습니다. 통속의 뇌 이야기도 나올 줄 알았는데 안나오더라구요 ㅠㅠ 가상현실 이야기도 나왔으니 메트릭스나 통속의 뇌 같은 주제도 나올 줄 알았는데 ㅎㅎ
@q07060
@q07060 Год назад
통속의뇌는 베르나르 베르베르 단편소설에 있어요.
@user-ti5ws6vu6j
@user-ti5ws6vu6j Год назад
@@q07060 제가 그걸 몰라서 여쭤본게 아니고 영상에서 언급이 안돼서 아쉬워서 남긴 댓글입니다 ^^
@user-ti5ws6vu6j
@user-ti5ws6vu6j Год назад
@@Jeong-Yujeong 아직 100% 뇌가 주인이고 뇌만 있으면 OK는 아니라고 생각해요. 제 뇌를 다른몸에 옮겨담으면 그건 저일까요? 아니면 제 기억을 가진 다른사람일까요? 과학적으로 100% 증명된건 아니니까요.
@user-ti5ws6vu6j
@user-ti5ws6vu6j Год назад
​@@Jeong-Yujeong​​성균관대 교수님도 뇌일 수밖에 없지만 신경세포가 장에도 있고 온몸에 있기 때문에 100%는 아닐거라고 하시는데 본인 생각이 무조건 맞다고 하시면 뭐 제가 뭐라고 하건 무슨상관이겠습니까 ^^
@user-ti5ws6vu6j
@user-ti5ws6vu6j Год назад
​@@Jeong-Yujeong본인이 무조건 뇌다! 라고 말씀하셔놓고 무식하다고 공격까지 하시네.. 님이 이겼습니다! 유 윈!
@Healthcoding
@Healthcoding Год назад
항상 재미있는 주제로 좋은 말씀들 감사합니다~
@user-eq4od3ui9z
@user-eq4od3ui9z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아, 이 프로그램 좋습니다. 요즘 유튜브에서 가장 좋아하는 프로그램입니다.^^
@user-xz6rs4lw2f
@user-xz6rs4lw2f Год назад
진심재밌어서 자기 전에 2-3편씩 몰아보고 잏어요ㅠ
@j.bluebirdsyndrome8661
@j.bluebirdsyndrome8661 Год назад
우주먼지님 너무 좋아요 어렸을때 저런 사촌형이나 삼촌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는데 진짜 거기에 딱 부합하는 이미지임. 늘 새롭고 짜릿해! 형! 사랑해(덜렁)
@user-so2of4nw3o
@user-so2of4nw3o Год назад
인간의 상상을 현실로 구현해내는 사람들이 과학자고 글이나 그림 영화로 구현해는게 상상의 산물이니까 과학자들의 상상을 대신해주고 영감을 주는게 맞는것같네요..
@pepperdr3816
@pepperdr3816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진짜 이런대화 너무 유익합니다.
@SYI-SYI
@SYI-SYI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농담 속에 묻어 있는 축적된 고민과 생각. 유쾌하지만 가볍지 않은. 심오하지만 익숙하게 다가오는. 한편에서는 아낌 없는 재정적 투자 같은 규모의 게임이 필요하겠지만, 과학입국이나 과학의 생활화는 과학이 이렇게 부드럽고 상쾌한 옷을 입고 다양한 모습으로 유년시절부터 다가올 수 있는 교육환경을 만드는 것으로 출발하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유익한 동영상을 만들어 주심에 항상 감사드립니다.
Далее
Разница в уровнях🔥
0:26
Просмотров 18 млн
I wish I could change THIS fast! 🤣
0:33
Просмотров 74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