Тёмный

과학적으로 밝혀진 잠을 안 자고 버티면 벌어지는 끔찍한 신체 변화들 (돌이킬 수 없는 변화) ㅣ과학을 보다 EP.67 

보다 BODA
Подписаться 1,9 млн
Просмотров 732 тыс.
50% 1

오늘은 정영진 님과 물리학자 김범준 교수님, 생물학자 이대한 교수님, 뇌과학자 우충완 교수님 그리고 우주먼지님을 모시고 ‘잠을 안 자면 뇌에서 벌어지는 일’에 대한 이야기를 나눠봤습니다.
00:00 오프닝
02:16 공감 능력이 뛰어난 사람의 뇌가 특별한 이유
03:46 바나나는 왜 씨가 없는 걸까?
06:01 10m 크기의 나무가 물리학적으로 신기한 이유
10:31 최근에 완성된 동물의 뇌 지도
13:29 동물들도 꿈을 꿀까?
18:50 잠을 안 자면 벌어지는 일들
23:56 야생동물들은 불안해서 어떻게 잘까?
27:53 동물의 뇌를 로봇으로 옮기면 어떻게 될까?
30:08 과학자들도 놀란 생물들의 진화
33:44 인간의 생각을 읽어내는 AI
34:51 과학자들이 지도를 그리려는 이유
궁금하신 부분들을 댓글에 달아주세요! 저희가 확인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출연 및 제휴 문의 : boooda.kr@gmail.com
BODA 인스타 : / boda_channel
#보다 #뇌 #생물 #우주 #동물

Развлечения

Опубликовано:

 

25 июн 2024

Поделиться:

Ссылка:

Скачать:

Готовим ссылку...

Добавить в:

Мой плейлист
Посмотреть позже
Комментарии : 468   
@boda100
@boda100 26 дней назад
책 2탄을 출간하게 되었습니다!👏👏 미처 하지 못했던 얘기들, 함께 얘기 나눴지만 좀 더 설명하고 싶었던 과학을 보다 뒷이야기 그리고 구독자분들의 다양한 질문들을 모아 열심히 책을 준비했습니다🔥🔥 책 2탄 예약판매를 5월 31일부터 6월 11일까지 진행하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아래 링크에서 구매 예약하실 수 있습니다. 🟠교보 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13448322 🔵예스24 www.yes24.com/Product/Goods/126847336 🟣알라딘 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340497579
@user-bk5ej2qh6r
@user-bk5ej2qh6r 25 дней назад
1탄이 좀 팔렸나..?
@-law9000
@-law9000 25 дней назад
@@user-bk5ej2qh6r 베스트셀러까지 감 걱정 ㄴ
@user-bk5ej2qh6r
@user-bk5ej2qh6r 25 дней назад
@@-law9000 걱정한적 없는데
@user-bk5ej2qh6r
@user-bk5ej2qh6r 25 дней назад
@@-law9000 걱정은 안했는데
@user-er3nk4xv7e
@user-er3nk4xv7e 20 дней назад
ㅓㅠㅠㅠㅠㅠ ㅠㅠㅠㅠㅠㅠㅠㅠ ㅠㅠ ㅠㅠㅠㅠㅠ. ㅠ. ㅠ. ㅠ. ㅠㅠ
@user-ym4lq5nt6x
@user-ym4lq5nt6x Месяц назад
김범준교수님 저렇게 흥분한거 처음봄ㅋㅋㅋㅋㅋ 진짜 신기하신가봐 호기심 많은 아이같아 귀여우셩
@user-ww9hp9fo5n
@user-ww9hp9fo5n 25 дней назад
누나 나도 귀여워해줘
@yunsukim6625
@yunsukim6625 21 день назад
​@@user-ww9hp9fo5n오빠도 귀여워(덜렁)
@해민-v6k
@해민-v6k 3 дня назад
←✌️
@user-rz4dy4mo4m
@user-rz4dy4mo4m 5 часов назад
👆😁
@Hothotshep0407
@Hothotshep0407 Месяц назад
8:47 나무의 물기둥이 너~무 신기해서 흥분하신 김범준 교수님
@klee5310
@klee5310 Месяц назад
우충환 교수님은 정영진님이 갈구면 갈구는 대로 당하시는 게 너무 귀여우시고ㅋㅋㅋ 이대한 교수님은 마지막에 아멘 ㅋㅋㅋㅋ진짜 지지 않는 센스가 너무 좋으시네요 이 멤버들도 합이 너무 좋아요 자주 보고 싶습니다!!
@hemikim1280
@hemikim1280 Месяц назад
이 네분도 토크연결이 좋은것 같아요 잘 이어받아서 본인분야로 확대하가시고 원년(?)멤버이신 김교수님과 먼지님이 경청하시면서 신기해하시는것도 잼나네요ㅎㅎ 이대한교수님 웃긴 멘트 많이 치시는것도 좋아요ㅋㅋㅋ 말투나 내용이 친근해서 웃긴 ㅋㅋㅋ
@user-xl1ln4jb2y
@user-xl1ln4jb2y 23 дня назад
이대한 교수님 스탈 넘 좋음 ㅋㅋ
@Zee_Zellyn
@Zee_Zellyn Месяц назад
인트로 ㅋㅋㅋ 다같이 인생뇌컷 찍을거 생각하니 그것도 나름 재밌을것같아요 .ㅋㅋㅋ
@Smeejang
@Smeejang 25 дней назад
인생뇌컷 😂
@user-dz2uq3hf6c
@user-dz2uq3hf6c 25 дней назад
이대한 교수님 순발력과 재치가 너무 좋아요 ㅋㅋ 김범준 교수님 지웅배 교수님 우충완 교수님 모두모두 감사합니다. 회를 거듭할수록 애정이 쌓이네요 :)
@user-dp1ni2xx4k
@user-dp1ni2xx4k 26 дней назад
36:02 먼지님 얘기 하실 때 경청 하시는 범준님과 투샷 잡히는 거 너무 좋아요❤
@janet-ha
@janet-ha Месяц назад
38:30 아멘 38:48 출마 이대한 교수님 재치, 센스~!!👍
@mingtube8470
@mingtube8470 22 дня назад
이대한 교수님 너무 좋아요 ㅎㅎㅎㅎ 진짜 예리하고 날카로운 질문 잘 하셔요
@DrHoyoungKang
@DrHoyoungKang 25 дней назад
30m보다 큰 나무는 물을 잎에서 흡수해야 합니다. 미국에 키가 100 m씩 자라는 나무는 정기적-거의 매일 -으로 안개가 끼는 지역입니다. 안개가 나무잎에서 물방울이 되고 그걸 흡수합니다. 관속에 물이 가득찬 상태에서 나무가 자라더라도 모세관 형상이 없으면 물이 흘러 내려 버립니다. 결국 삼투압과 모세관현상 진공의 세가지 힘이 합해져서 최고 30m가까이 자라죠. 그래서 성숙한 숲에가면 나무 높이가 모두 일정합니다. 수종에도 거의 상관이 없죠
@ruindemon6
@ruindemon6 25 дней назад
+ 김범준 교수님이 얘기 하시려다 헷갈린다고 하셨던 장거리를 나는 새의 수면 패턴은 알바트로스라 불리는 새가 대표적인데요. 최대한 높은 고도로 올라갔다가 날개를 펼친채로 자유낙하 하는 수십 초의 시간동안 잤다가 깨서 다시 높은 고도로 올라가서 자유낙하 하면서 다시 수면하기를 반복 한다고 합니다. 고래인지 상어인지 바다속 대형 생물들 중에도 같은 방식의 수면 활동을 취하는 개체가 있다고 봤었던거 같습니다.
@noahwhite3964
@noahwhite3964 24 дня назад
건조한 지역에서 안개가 수분 흡수에 도움을 줄 수 있으나 100m 이상 자라는 나무가 꼭 안개가 필요하지 않을 겁니다. 커다란 나무들이 많은 물을 올릴 수 있는 이유는 발데르발스 힘. 정전기력 같은 물 분자의 사이에 응집력 힘이 있고, 물 분자 사이를 늘리면 잡아당기려는 인력이 있죠. 그리고 나무의 물기둥은 중력으로부터 물 분자를 아래로 끌어내리고 위에는 적은 물 분자들이 남게 되면서 0보다 낮은 기압의 압력 차이를 만들어 물을 위로 올려 보냅니다. 그리고 나무는 97% 이상의 많은 물을 증발하기 위해 사용한다고 하니 이러한 물 증발은 나무에 매우 중요한 기작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DrHoyoungKang
@DrHoyoungKang 24 дня назад
@@noahwhite3964 그 나무들이 있는 공원에 쓰여 있는 설명이고 그 나무들이 자라는 모든 지역에 안개가 끼는 것은 사실립니다. 모세관 현상이 물의 응집력이 쉽게 보이는 현상입니다만 100m씩 올릴 수는 없습니다
@user-rs4ro7oh3i
@user-rs4ro7oh3i 24 дня назад
농도차이 수분포텐셜로 물을 위로 땡기는걸로 배운것같은데
@noahwhite3964
@noahwhite3964 24 дня назад
@@DrHoyoungKang 위에서도 말했지만 물을 100m까지 올리는 건 나무가 높을수록 0 보다 낮은 압력 차이 만들어내 물을 꼭대기 까지 올립니다. 그 힘은 물의 응집력과 증산, 중력으로 만들어 내고요. 진공인 0 보다 낮은 압력은 없다고 생각하시거나 헷갈리신다면 discover의 "The Physics of Negative Pressure" 참고하시면 좋을 거 같습니다. 구글에서 검색하면 나옵니다. 무료로 볼 수 있습니다. 여기에 의문이 든다는 것은 어느 정도 관심이 있다는 거고 제가 말하는 것보다 전문가의 글을 보는 것이 더 좋지 않을까 싶어요.
@phitiongg
@phitiongg 25 дней назад
정영진님 거의 눈 감고 하시는데, 정말 대단하시네요. 안구 건조증은 다른 치료방법이 없나요.... 걱정됩니다.
@user-rk9bp9bf5s
@user-rk9bp9bf5s 23 дня назад
이제 눈얘기는 그만해도 될 때 되지 않았나..?
@user-vd1yn5lw4d
@user-vd1yn5lw4d 22 дня назад
@@user-rk9bp9bf5s걱정되니까 말할 수 있는거 아닌가요? 그만하라니..
@justinl4870
@justinl4870 20 дней назад
세상에.. 선글래스 끼고 진행하는 진행자라니..라고 진행자로 선택되기에는 마이너스 요소라 생각하지만.. 그럼에도 진행자로 계속 나선다는건 그만큼 정영진 님이 대체불가의 탁월한 진행능력을 갖고 있음을 보여주는 반증이라 생각되네요 ㅎ
@solitude11sl59
@solitude11sl59 19 дней назад
매불쇼 빤스런치고 치료한다더니ㅋㅋㅋㅋㅋ
@dh5556
@dh5556 18 дней назад
잠 일찍 자면 치료됩니다. 제가 그렇게 고쳤어요
@Hothotshep0407
@Hothotshep0407 Месяц назад
1:55 찐 뇌섹남 콘테스트 개최!
@user-ex6zh9dc6v
@user-ex6zh9dc6v 25 дней назад
과학을 보다에 출연하시는 모든 교수님들 덕분에 소소하게 과학을 배우고 있습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user-uc4dz9vr1h
@user-uc4dz9vr1h 25 дней назад
32:05 ~ 32:45 교수님 신기해서 계속 감탄하시는거 귀여우셔ㅠㅠ
@Ryubani
@Ryubani Месяц назад
이대한 교수님은 비유를 참 재미있게 잘하시는듯~😊
@bella__swan
@bella__swan 23 дня назад
02:16 공감 능력이 뛰어난 사람의 뇌가 특별한 이유 03:46 바나나는 왜 씨가 없는 걸까? 06:01 10m 크기의 나무가 물리학적으로 신기한 이유 10:31 최근에 완성된 동물의 뇌 지도 13:29 동물들도 꿈을 꿀까? 18:50 잠을 안 자면 벌어지는 일들 23:56 야생동물들은 불안해서 어떻게 잘까? 27:53 동물의 뇌를 로봇으로 옮기면 어떻게 될까? 30:08 과학자들도 놀란 생물들의 진화 33:44 인간의 생각을 읽어내는 Al 34:51 과학자들이 지도를 그리려는 이유
@user-zr1ex8hq6c
@user-zr1ex8hq6c 25 дней назад
김범준 교수님 찐물리학자 맞으시네요~ 저런걸 보고 신기해하고 감동할수 있어여 찐이죠. Sublime ~
@Hothotshep0407
@Hothotshep0407 Месяц назад
31:36 예쁜꼬마선충이 하는 이로운 일 : 교수님 연구 돕기 💖
@Hothotshep0407
@Hothotshep0407 Месяц назад
진짜 너무 웃김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bemyluv9837
@bemyluv9837 Месяц назад
여담이지만 과학을 보다 몰아보기 수면제로 아주 잘쓰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oi6wh5rn8n
@user-oi6wh5rn8n 25 дней назад
김범준 교수님 웃으시는거 보면 나도 기분이 좋아질 정도네 ㅋㅋ
@57jsdjjk69
@57jsdjjk69 25 дней назад
보면 볼수록 유익한 방송입니다.
@user-xb2jl6ks9w
@user-xb2jl6ks9w 25 дней назад
36:00 너무 기특하다는 표정이 뭉클하게 만드네요
@user-jw4hv6bk9d
@user-jw4hv6bk9d Месяц назад
회원이라는 보람을 느끼는 시간!!
@user-jx7gm8ow3i
@user-jx7gm8ow3i 25 дней назад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재미있었습니다.
@davidhbo4888
@davidhbo4888 25 дней назад
질문을 받으면 각 분야 전문가들이 더 공부하고 연구 해야한다는 모습, 또 다른 분야에 호기심과 깊은 관심을 보이는 순수함과 서로 티키타카까지. 또 진행자의 남다른 질문 능력과 너스레가 다른 과학 콘텐츠와 차별화 되는 지점인지도.🙂
@anbayo1
@anbayo1 25 дней назад
정영진씨 질문이 너무 재밌어요 ㅋㅋㅋㅋ진짜 최고임
@mazingga21
@mazingga21 25 дней назад
이대한교수님은 11년전이나 지금이나 말씀을 참 부드럽게 하시네요. `과학자로 산다는 것` 영상도 잘 봤습니다. 설명도 재미있게 이해 쏙쏙되요. 정영진 님이랑 케미가 너무 재미있어요.
@99755-ll.i
@99755-ll.i 25 дней назад
이멤버 뽀에버🫶🏻👍🏻 네분 조합이 저한테는 가장 집중도가 높아서 그런지 영상 보고나면 과학이 더 좋아짐미다👍🏻🫶🏻 아 그리고 이대한교수님 진짜 말센스 너무 좋으신듯ㅋㅋㅋㅋㅋ
@user-xf8bd5fj3w
@user-xf8bd5fj3w 23 дня назад
36:02 범준 교수님이 우주먼지님 보는 눈빛에서 꿀이 뚝뚝 떨어지네요ㅋㅋㅋㅋㅋㅎㅎ
@AH-ld9pf
@AH-ld9pf Месяц назад
김희애 님의 놓치지 않을 거에요가 떠오르는 클로징 멘트였어요 ㅋㅋ 오늘도 재밌게 잘 봤습니다 ❤
@user-br5dr2kt6v
@user-br5dr2kt6v Месяц назад
이 토요일이 오면!!!! 나는 보다를 회원가입한걸 정말 잘했다고 생각한다 ㅎㅎㅎ 이 시간이 너무 행복합니다❤ 과학자분들 늘 느끼는거지만 한가지 이야기에 서로 질문하고 이해하고 반론하고 너무좋아요ㅠㅠㅠ 정영진님 콕콕 핵심찝어주셔서 너무 좋아요~
@user-nr7fg5vb3l
@user-nr7fg5vb3l 25 дней назад
이번 주제 너무 재밌어서 1초도 안놓치려고 집중력 발휘했어요~
@Smeejang
@Smeejang 25 дней назад
키 큰 나무가 어떻게 꼭대기까지 물을 올리는지 궁금해서 질문을 올린 적이 있었는데 오늘 그 답을 들을 수 있어서 너무 행복했어요. 과학을 보다 출연해주시는 울 과학자님들과 제작진님들, 그리고 시청자님들 모두 감사하고 사랑해용~❤
@yslee2935
@yslee2935 22 дня назад
퇴근 후 과학을 보다만 정주행하고 있어요. 이렇게 재밌어도 되는 건가요? 진짜 느무느무 재밌어요. 존경하는 과학자분들, 정영진님 복받으세요
@dartagnan6731
@dartagnan6731 25 дней назад
과학자들이 서로의 영역에 대해 순수한 호기심을 보여주는게 너무 좋아요! 어디서도 없는
@ycajal
@ycajal 25 дней назад
너무 재미있어요❤
@sinamie
@sinamie 25 дней назад
31:34 예쁜꼬마선충은 무슨일을 하죠? (교수님) 연구를 돕는다고 하더라구요 🤣🤣🤣 38:38 출마하세요? 38:45 예쁜꼬마시청자들❤
@maril4363
@maril4363 18 дней назад
김범준 교수님... 저렇게 아이같이 순수한 모습으로 진심을 다해 호기심 가지고, 감탄하고, 이해하러 노력하고, 열심으로 귀기울이시는 열정적인 모습은.... 진짜 과학자의 모습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게 하네요...
@user-hanbaetan
@user-hanbaetan 25 дней назад
김범준 교수님이 프로페셜 한게 자기 분야든 다른 분야에 관심이 있고, 즐기는 노력이 있어 매우 보기 좋으시네요 몇몇분은 본인 분야도 잘 모르는것 같음
@user-nx4hf8kj5o
@user-nx4hf8kj5o 6 дней назад
넘 재밌었어요!! 많이 어렵지도 않고 흥미로운 주제라서 좋았습니다^^
@kichancat
@kichancat 23 дня назад
오늘도 흥미롭고 재미있는 이야기 잘 들었습니다 ~^^
@MrLeechihoon
@MrLeechihoon 25 дней назад
영싱을 보다보니 궁금증이있습니다!. 뇌의 자발적 현상을 의식이 깨어있는 상태에서, 직접 내 의지로 순서를 역순하고 역사고하는 과정으로 기억력이나 학습에 더 도움이 되는걸까요?
@user-bd9yf7zi6b
@user-bd9yf7zi6b 19 дней назад
범준교수님, 상대방 얘기 들으실 때 뭔가 멋지신거 같아요. 공감, 대견, 놀람 ..상대방이 얘기할 맛이 날 것 같아요
@GoodmanCube
@GoodmanCube 25 дней назад
자전거 유산소 운동이 너무 지루하고 힘든데 과학을보다를 보면서 하면 저도 모르는 사이에 시간이 훌쩍 지나가 있습니다!😊 이것도 오늘 주제와 비슷하게 저의 뇌에 과학을 보다가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나봐요!
@user-fd3xe7vq7u
@user-fd3xe7vq7u 25 дней назад
유익한데 재미까지 있는 영상이 있다?!
@Antares356
@Antares356 25 дней назад
이대한교수님 너무 재밌음ㅋㅋ
@Rena_Lee17
@Rena_Lee17 25 дней назад
멍때림과 잠 현대인에게 꼭 필요한 휴식~ 오늘도 잘 들었습니다~🙏
@JxHxxx8021
@JxHxxx8021 25 дней назад
보다에서는 과학을보다가 제일 재밌어요❤ 분위기도 그렇고 호기심 해결되는것도 그렇고 과학자분들이 너무 재밌게 설명해주세요 진짜 영상이 긴지 못 느낄정도로 너무 재밌어요!! 이번에 책도 출간했다길래 바로 보고 주문넣어놨어요! 잔뜩 기대중 역사도 관심있고 좋아하는데 뭔가 분위기가.. 왠지 보기 불편한 느낌이라 보다가 집중력도 떨어지고 잘 못보겠더라구요😂
@user-vt7tc6xs5g
@user-vt7tc6xs5g 25 дней назад
오늘꺼 짱재밋다 ㅋㅋㅋㅋ
@Fasi-lj7hz
@Fasi-lj7hz 8 дней назад
쉽고 재밌게 설명해주셔서 시간 순삭했습니다. 특히 김범준 교수님께서 반응해주시는 덕분에 내용이 더 몰입됩니다.
@hyeincho3732
@hyeincho3732 20 дней назад
지나가는 물리학도입니다~오늘 영상 특히 흥미롭고 재밌었어요! 다른 분야의 박사님들이 서로가 아는 것들에 대해 의견을 나누는것을 보는것이 저에게는 새로운 영감을 선사해주는 것 같습니다ㅎㅎ 감사합니다!
@kephas7772
@kephas7772 25 дней назад
70년대 맛있게 먹었던 바나나가 지금의 바나나와 다르다는 말을 들었어요..어렸을 때는 비싸서 먹기 어려워 어쩌다 먹어서 맛있는 줄 알았더니 모 유튭에서 보니 요즘 것은 옛날에 먹었던 그 종류가 아닌 개량종?인데 수입 지역과 상관없이 다 같은 종류라고 하더라고요...어릴 적 그 많던 사과 종류가 사라지고 두 세 가지로 개량 되었듯이 말이죠...
@user-ev5tn4cu5g
@user-ev5tn4cu5g 25 дней назад
교수님들이 재밋게 말씀해주셔서 머리에 쏙쏙 대학교에서도 인기가 많으실듯
@psh2710
@psh2710 25 дней назад
ㅋㅋㅋㅋㅋ 이대한 교수님 개그 완전 내스타일 ㅋㅋㅋㅋ
@paulskueche
@paulskueche 16 дней назад
잠 안자고 보는 사람 손🖐️
@user-cy9hi9ws3v
@user-cy9hi9ws3v 16 дней назад
@jh3778
@jh3778 10 дней назад
보다 이 채널은 한 주제로 어그로 끌고 그 주제는 한부분만 있는거 고쳐야 함. 그거 보려고 들렀다가 다 본다? 착각 자제요. 한두번 보고 이젠 안봄. 뭐 예능인이 하는말도 아니고 어그로 끈 주제 아니면 출연자들 별 재미도없고 보려던 주제를 굳이 재미없는 말 참고 계속 보고싶지 않음. 차라리 주제를 나눠서 올리면 될텐데. 굳이 어그로 끌어놓고 그 내용은 한참뒤에나오고 괜히 유식한분들 활용해서 왜 이리 하시는지 의문
@cyironman
@cyironman 8 дней назад
​@@jh3778ㄹㅇ 유튜브가 자극적인 제목과 썸네일로 어그러를 끌어야 살아남을 수 있는 생태계라지만 영상 속 전체적인 내용이랑은 좀 너무 거리가 먼 것 같음 ㅋㅋ
@뷝
@뷝 2 дня назад
​@@jh3778심지어 챕터도 나눠놈 진짜 아재들 능지
@user-iz3tm7ox7s
@user-iz3tm7ox7s День назад
주무세요 ㅜㅜ
@user-qo5oz2hm1s
@user-qo5oz2hm1s Месяц назад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제발 계속 해주세요 !
@DerekHong-ok9po
@DerekHong-ok9po Месяц назад
이멤버로 한주 더 보다니 신남😆
@haruharudambi
@haruharudambi 24 дня назад
35:54 지웅배님을 보는 사랑스러운 눈빛들
@youngjinkim9981
@youngjinkim9981 25 дней назад
잠이 엄청 중요하네요. 낮술하고 낮잠좀 때려야겠어요 유익한 영상이었습니다.
@nanyoungkim444
@nanyoungkim444 25 дней назад
항상 재미나요
@user-zq4el4kj1t
@user-zq4el4kj1t 15 дней назад
정영진님 진행능력과 위트에 감탄했습니다. 바로 구독
@user-ju8nr5dz8h
@user-ju8nr5dz8h 25 дней назад
동물 키우는 사람은 알지용😂😊자다가 찹찹찹찹 먹는 꿈꾸는지 눈알이리저리 돌아가며 먹는 시늉하고 자다가 눈알돌아가며 발 굴리며 달리는행동 하는뎈ㅋㅋㅋㅋㅋㅋ
@dada-hw7vg
@dada-hw7vg 6 часов назад
재밌고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mars.play.
@mars.play. Месяц назад
과학을보다2 가 나오는군요 🎉🎉🎉 예약뜨자마자 달려갑니다
@wlduddl32
@wlduddl32 5 дней назад
너무 재밌었습니다! 감사합니다
@chloris_1004
@chloris_1004 21 день назад
제가 평소 예능 프로그램류를 안 보는 편이고.. 문과 계열이었어서 이과쪽 지식이 약한데 과학을 보다는 정말 재밌게 시청하고 있어요. 유익하고 흥미로워요.
@user-tb7eo6mn8s
@user-tb7eo6mn8s 17 дней назад
너무 재밌었어요 ㅋㅋ
@parksh6911
@parksh6911 25 дней назад
그러니까요. 이래서 이대한 교수가 출연하면 즐겁습니다.
@htk4090
@htk4090 25 дней назад
멤버 거의 어벤져스 어셈블이다 ㅋㅋ 응빈교수님도 나오셨어야..!!
@rabbit4962
@rabbit4962 25 дней назад
야 ~ 김범준 교수님의 힘으로 많은 성균관대 교수님들이 출연 하시는군요 ! 미세먼지님도 다른 연대 교수님들 많이 델구 나오세요 ㅎㅎ
@user-jc3cf7pr6t
@user-jc3cf7pr6t 25 дней назад
오늘 산책하다 비둘기 걷는거 보고 든 생각인데요 새들이 걸을때 머리가 앞뒤로 흔들리는게 눈의 위치때문이라던데 혹시 공룡도 머리를 흔들면서 걸었나요? 궁금해요
@user-cl3oy5rh4i
@user-cl3oy5rh4i 25 дней назад
꿈에 대해서 궁금한게 있어요! 꿈을 꿀 때 이걸 꿈이라고 인지하지 못하는 상황과, 꿈이라고 인지하는 소위 루시드 드림을 꿀 때 뇌의 활성화에 무슨 차이같은게 있을까요? 뇌가 현실이라 인지하고 수면중 아데노신을 해독하지 못하기도 할까요?
@user-cu9eb4pi6h
@user-cu9eb4pi6h 25 дней назад
'무조건 반사'에 대해서 다루어주시면 꽤 재미있을 것 같아요. 자극이 뇌까지 갔다가 프로세싱을 거쳐 명령을 하고 반응을 하기까지 너무 시간이 걸리니까 신경 말단에서 바로 반응하도록 디자인 된 것이라고 알고 있는데요. 어떠한 원리로 이런 시스템이 생겼을지 토론해보면 좋지 않을까요?
@user-ef9ox3qi5c
@user-ef9ox3qi5c 22 дня назад
지도를 그리는게 많은 학문에서 공통된 이슈가 되었다는게 재밌네요 어쩌면 지도 그리기가 인간의 기본 특성중 하나일지도 모르겠습니다
@user-ct4ue2yb3z
@user-ct4ue2yb3z 25 дней назад
우충완 교수님 자페 아이를 키우는 아버지 입니다 혹시 그런 자페.아이들도 뇌사진을 찍어보면 혹시 무슨 문제점이 보일수 있나요??진짜너무너무 궁금합니다 ㅠㅠ 제발 과학을 보다로 알게된 우충완 교수님 궁금합니다.ㅠ 제발 도와 주세요
@user-vk4bz8xj4w
@user-vk4bz8xj4w 22 дня назад
김범준 교수님 팬이에요 순수한 호기심과 빵에 대한 애정..존중+존경합니다 물리뿐만 아니고 모든 분야에 관심을 가지신거 같아요 왕성한 호기심 부러워요
@secondov1
@secondov1 24 дня назад
다들 대단하십니다.
@user-wc8jc8ot1c
@user-wc8jc8ot1c 25 дней назад
정영진님 눈을 아주감고계시네요..ㅠㅠ 넘 안쓰럽습니다..😢
@_mino1se
@_mino1se 24 дня назад
평소 즐겁게 회사에서 땡땡이치며 보던 시청자입니다! 이번 영상과는 관련없는 이야기지만 예전부터 궁금하던게 있어서 교수님들께 여쭤보면 좋을 것 같아 댓글 남깁니다! 주제는 시간을 멈추는 능력에 대해서인데요, 시간을 멈추는 능력은 보편적으로 능력자를 제외한 모든 것의 시간이 멈추는 설정을 말하잖아요? 그러면 걸을 수 있도록 몸을 끌어 당겨주는 중력도 멈추고, 앞을 볼 수 있도록 사물에 반사되어 눈에 들어오던 빛의 반사도 멈추고, 들이마쉬었던 공기 또한 움직이지 않아 특정 공간이 진공상태가 될텐데, 이런 능력을 실제로 사용한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교수님들의 전문적인 지식을 토대로 이야기를 해주시면 재밌을 것 같아요 감사합니다
@june_joy
@june_joy 25 дней назад
뇌척수액으로 아데노신 제거하는거 신기~!
@sschni
@sschni 10 дней назад
너무 재미있어요.. 역시 천재들입니다.
@byjun8946
@byjun8946 24 дня назад
다섯분 모두 팔색조 매력을 갖추셔서 40분이 그냥 4분 처럼 순삭되네요
@topgon_mkj
@topgon_mkj 29 дней назад
와...역시.. 끝맺음.굿. 지도는 생각해보면...ㅎ 기준.축적.범례.,표식. 이거 쉽지 않음.
@user-sy4nq6ss3z
@user-sy4nq6ss3z 11 дней назад
끝없이 이어지는 과학의 세계 너무 유익하고 재미있습니다 특히 우주와 자연과학 생물학 뇌과학은 정말 신비의 세계인거 같습니다 들으면 들을수록 빠져들어가네요 김범준 교수님은 모든부분을 물리로 풀어주시고 계산해주시는 모습은 정말 신기하기만합니다 항상 빵을 맛있게 드시는 것을 보면서 빵을 많이 먹으면 머리가 좋아지는건가 하는 생각도 해봅니다 그런데 오늘은 전혀 드시지 않으셔서 오늘 준비한 빵이 맛이 없으신가 하는 생각을 했습니다 정영진 사회자님 순간 순간 재치있는 맨트로 분위기를 잘 끌어 주셔서 정말 재미있습니다 항상 유익하고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계속 들려주시길 기대합니다.
@yamorange6379
@yamorange6379 23 дня назад
넘 재미나요❤❤❤❤❤❤
@milk0107
@milk0107 25 дней назад
이 조합도 넘 재밋❤
@jiionniiy
@jiionniiy 24 дня назад
꿈 얘기 나오는 영상이라 오래전부터 궁금했던거 댓글 남겨봐요. 제가 꿈을 안 꾸는 편이에요. 잠들면 주변이 소란스러워도 잘 자고, 화장실 갔다온다고 깨도 다시 금방 잠들어요. 잠결에 화장실 가는건 생리현상을 해결하고 싶어서 움직인다 라고 의식을 하고 기억도 하고 있구요. 그 외에는 그냥 전원 내린것마냥 새카맣게 자다가 알람이 울리고 진동하는거 듣고 깨서 일어나거든요. 밤새 나 꿈을 꿨어 라고 기억하는건 1년에 서너번? 정도. 꿈 내용도 깼을때는 부분적으로 기억하지만 금방 잊어버리구요. 제 친구는 꿈을 안꾸는게 아니라 꾸더라도 깨면서 기억을 못하는거 라는데 제가 자는 순간에 기억하지 못하는 꿈을 꿀수 있는건가요?
@lalalalww133
@lalalalww133 13 дней назад
부럽네요....저는 기면증 환자라 10초만 졸아도 꿈을 꿉니다..ㅠㅠ 현실과 많이 헷갈려요
@user-si6lx6od3r
@user-si6lx6od3r 25 дней назад
20:25 요즘 바닐라카페라떼만 먹는데 커피 성분이 거의 없는것 같더군요. 그런데도 그것만 먹어요. 그리고 어떨땐 보리차물 먹을때 오히려 커피맛이 나더라구요.
@cobitt_puba
@cobitt_puba 16 дней назад
웹툰배경을 만들 때 항상 제가 그 자리 그 장소에 있다고 상상하면서 만들고 있습니다. 이것도 상상을 통한 공감일수도 있겠네요. 오호 재밌어요
@user-br5dr2kt6v
@user-br5dr2kt6v Месяц назад
꿈 이야기 듣다보니까 저는 같은 꿈을 여러번꾸기도 하고~ 하루하루 지날때 꿈이 연결되는 내용일때가 많아요! 연재되는것처럼.. 그런분은 없나용? 가끔 이게뭘까~~ 싶기도하고, 예지몽도 가끔꿔요! 꿈에서본걸 몇주지나서 현실에서 어? 할때도있어요
@muchoNehir
@muchoNehir 24 дня назад
저도 꿈을 이어꿀때가 많아요 보통 한번더 꾸고 싶어서 바로 잠들려고 해요
@user-si6lx6od3r
@user-si6lx6od3r 25 дней назад
나무는 물을 빨아들이는것도 뿌리에서 미는것도 아닙니다. 흡수하는 원리로 꼭데기까지 물을 보냅니다. 그래서100m높이까지도 가능한거 8:46
@junsukim351
@junsukim351 21 день назад
에휴
@jeehyeon
@jeehyeon 25 дней назад
네분조합 최애❤
@jhshin9413
@jhshin9413 25 дней назад
개가 자다가 갑자기 놀라서 몸을 일으켜서 흔드는 일도 있는 것을 보면 동물들도 꿈이라는 것이 있는 것 같네요.
@doublej5891
@doublej5891 Месяц назад
저는 귀신꿈을꾸면 정말 무서운데도 뒷 상황이 궁금해서 꿈인걸인지하고 꿈속에서 안깨야지안깨야지 하는편인데 혹시 저랑비슷하신분있나요 영화 인셉션처럼 꿈속에서 또 다른 꿈꾼적도있구요 엄청무언가 많은 줄거리의꿈을꾼거같은데 이중꿈에서 깨니 시간은 얼마안가있어서 진짜신기했어용
@de-bak
@de-bak 25 дней назад
인간의 수명이 길어질수록 진화속도도 늦어지나요? 반대로 수명이 짧았더라면 지금보다 진화가 더 발전 됐을까요??
@hsg9934
@hsg9934 22 дня назад
"지도를 만드는 것은 세상에 질서를 부여하는 것이다" ..정말 멋지네요..
@user-ww1hq5bd8i
@user-ww1hq5bd8i 19 дней назад
지금까지의 보다중 가장 재밌었어요
@845marine845
@845marine845 24 дня назад
지도를 그리는 것이 질서를 부여하는 것이다. 뭔가를 공부하는데 필요한 개념.
@wuneee
@wuneee 25 дней назад
오늘 밥먹으러 갔다 우주먼지님을 뵈었는데 얼굴만 봤을땐 긴가민가했는데 안경줄때문에 맞구나 했어요 😂
@spring-spring
@spring-spring 24 дня назад
마케팅의 지도로 귀결되는 정프로의 큰그림..빅픽쳐bb
Далее
THEY WANTED TO TAKE ALL HIS GOODIES 🍫🥤🍟😂
00:17
TYLA DANCE TREND😭 | #shorts #emilydobson
00:12
Просмотров 2,8 млн
Игровой Комп с Авито за 4500р
01:00
부유했던 베네수엘라는 어쩌다 망했을까?
28:38
🍁 СЭР ДА СЭР
0:11
Просмотров 8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