Тёмный

동충하초는 개미의 뇌가 아닌, OO을 지배합니다!|좀비개미 곰팡이의 숨겨진 비밀과 진화사 

과학드림 [Science Dream]
Подписаться 1 млн
Просмотров 804 тыс.
50% 1

과학드림은 여러분의 소중한 후원으로 성장합니다.
멤버십 가입!▶ bitly.kr/ZDqKr1WUG
과학드림의 식구가 되어 주세요! :)
다른 후원 방법!▶toon.at/donate/sciencegive
=============================================
개미를 좀비로 만드는 곰팡이,
동충하초!
그간 이들은 개미의 뇌로 침투해
행동을 조종한다고 알려져 있었는데요.
정말 이게 사실일까요?
오늘은 새롭게 밝혀진
좀비개미 곰팡이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개미 #동충하초 #기생
=============================================
[참고 자료]
- en.wikipedia.org/wiki/Ophioco...
- 동충하초의 개미 감염과 관련된 기사 링크
(1) 내셔널지오그래픽 기사: url.kr/8h3key
(2) 사이언스 타임즈 기사(진화사 관련): url.kr/dpb765
(3) 나우 뉴스 기사(뇌가 아닌 근육): url.kr/o5dx64
- H. C. Evans, R. A. Samson. (1984). "Cordyceps Species and Their Anamorphs Pathogenic On Ants (Formicidae) In Tropical Forest Ecosystems."
- David P. Hughes et al., (2009). "The Life of a Dead Ant: The Expression of an Adaptive Extended Phenotype."
- David P Hughes et al., (2011). "Behavioral mechanisms and morphological symptoms of zombie ants dying from fungal infection."
- David P Hughes et al., (2010). "Ancient death-grip leaf scars reveal ant-fungal parasitism."
- George Poinar et al., (2021). "Allocordyceps baltica gen. et sp. nov. (Hypocreales: Clavicipitaceae), an ancient fungal parasite of an ant in Baltic amber."
- Gi-Ho Sung et al., (2008). "The oldest fossil evidence of animal parasitism by fungi supports a Cretaceous diversification of fungal-arthropod symbioses."
[사진 및 영상]
- 셔터스톡 외
[음악]
(1)Funny
(2)Noir
(3)Youth
(4)Music: [Celebration] by Alexander Nakarada (www.serpentsoundstudios.com)
Licensed under Creative Commons BY Attribution 4.0 License
creativecommons.org/licenses/b...

Наука

Опубликовано:

 

8 июн 2023

Поделиться:

Ссылка:

Скачать:

Готовим ссылку...

Добавить в:

Мой плейлист
Посмотреть позже
Комментарии : 729   
@ScienceDream
@ScienceDream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저의 2번째 책 이 출간되었습니다! 늘 잊지 않고 채널 찾아와 주셔서 감사합니다. 글과 만화가 잘 어우러져 있어 쉽게 읽힐 거예요. 그리고 아마 영상과는 또 다른 매력을 느끼실 거라 생각됩니다.😊 - 과드 올림 - 교보문고: gilbut.co/c/23107681td - 예스24: gilbut.co/c/23106761WL - 알라딘: gilbut.co/c/23105727Lw
@manhwa55
@manhwa55 8 месяцев назад
@user-qs2kf1yr1v
@user-qs2kf1yr1v Год назад
뇌는 살아있는데 몸만 조종하는 게 오히려 더 무서움ㄷㄷ
@user-jq8jc2yy9n
@user-jq8jc2yy9n Год назад
개미 입장에선 영문도 모른 채 몸이 멋대로 움직여서 서서히 굶어죽는 거니까...
@user-rp4co6hu8d
@user-rp4co6hu8d Год назад
ㄹㅇ 차라리 뇌를조종당하는게더나을거같음
@user-idontknow0
@user-idontknow0 Год назад
@Remember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go2deung-eo
@go2deung-eo Год назад
머리로는 운동해야지 공부해야지 하면서 몸은 놀고 있으니...
@yyyk45
@yyyk45 Год назад
​@@go2deung-eo반대로 생각했는데.. 머릿속으론 놀고싶다, 자유롭게 살고싶다 하지만 몸은 공부하고.. 일하고....
@user-no7nz4op3b
@user-no7nz4op3b Год назад
와 의식은 있는 상태에서 점점 몸이 뜻대로 움직이지 않게 되다니 ㄷㄷㄷ 뇌를 지배당하는 것보다 더 큰 공포네요
@user-zd1ny1zx2g
@user-zd1ny1zx2g Год назад
전신마비 되어서 뇌가 뚫리는 상황까지 생생히 느끼며 사망. 존나 소름
@smallsmithh
@smallsmithh Год назад
겟아웃 생각남
@hamagum
@hamagum 9 месяцев назад
파킨슨시병이나 뚜렛도 미칠지경일듯
@user-xr7ke8of2s
@user-xr7ke8of2s Месяц назад
​@@smallsmithh개미 로스 윌리엄스:개미는 이렇게 행동안해! 이건 동충하초가 개미를 입었다니까?!
@lkm
@lkm Год назад
와 나뭇잎 화석에 잇자국으로 연구하는 게 어떻게 연관 관계를 생각해낸 건지 ㄹㅇ 대단하네
@donut4393
@donut4393 Год назад
ㅇㅈ 거기서 감탄했음
@BlackEyesBear
@BlackEyesBear Год назад
다른 식물들도 그렇고 저 곰팡이는 어떻게 세상을 인지할수 있길래 개미의 행동을 자신에게 유리하게 설정을 가능케 하는지 신기하네요 눈도 없는게 개미의 턱이라는 존재도 알고 저 개미가 자신의 번식에 유리하다는것도 알고 신기합니다
@user-uc3oz3qk6g
@user-uc3oz3qk6g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우연의 일치
@user-fs7te4iv7v
@user-fs7te4iv7v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user-uc3oz3qk6g진화의 신비
@Demon_Hunter
@Demon_Hunter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곰팡이 : 저희는 생각을 강요하지 않습니다. 사상의 자유를 존중합니다.
@Demon_Hunter
@Demon_Hunter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제 추측으론, 1) 곰팡이 균사체는 주변 환경을 예민하게 감지 가능하고, 2) 특정 환경조건이 만족될 때까지 고통을 주는 물질을 끊임없이 분비해서 개미가 안절부절 못하게 만들고, 3) 동시에 나뭇잎 특정 부분의 냄새를 좋아하게끔 하는 물질을 같이 분비하는 것 아닌가 생각합니다. 그래서 그 나뭇잎을 물게끔 유도하는 것 아닌가 싶습니다. 동물은 고통에 예민합니다. 고통을 피하는 길도 잘 찾습니다. 단순합니다. 그렇게 해서 왠만한 개미들은 고통을 피해서 끌리는 성분의 냄새가 나오는 나뭇잎을 깨무는 것 아닌가 싶습니다.
@stanley6993
@stanley6993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Demon_Hunter곰팡이가 자신과 개미의 높이와 습도를 알아내는 건 설명이 안되는데요 ㄷㄷㄷㄷ
@LASERIAN
@LASERIAN Год назад
영화에서 좀비들이 "날 죽여줘...!" 하는게 뇌는 깨어있는데 몸이 바이러스에 조종당해서 그런거였구나
@user-jq8jc2yy9n
@user-jq8jc2yy9n Год назад
입만 살았나 ㅋㅋ
@user-xr7ke8of2s
@user-xr7ke8of2s Год назад
​​@@user-jq8jc2yy9n 아직 덜감염된나 보지 ㅋㅋ
@user-jq8jc2yy9n
@user-jq8jc2yy9n Год назад
눈은 뇌와 연결되어 있으니 눈으로 보는 것도 아닐 것 같은데 어떻게 개미를 조종하는 것인지 정말 신기하네요.
@DBD3D
@DBD3D Год назад
저도 이게 궁금함ㅋㅋㅋㅋㅋ 어떻게 주변을 인지하는거지?....
@babayeti
@babayeti Год назад
길찾기 AI들처럼 마구잡이로 움직이면서 온도습도가 적합한 환경인지 아닌지만 판단하는건 아닐까요? 적당한 환경이다 싶으면 턱으로 고정하도록 만들구요.
@user-dk3ng7rv7w
@user-dk3ng7rv7w Год назад
@@babayeti 기생 곰팡이 자체도 뇌가 없잖아요 근데 어떻게 전체적으로 움직이고 고정하고 그러는걸까요..? 어떻게 생각하세요??
@babayeti
@babayeti Год назад
@@user-dk3ng7rv7w 뇌가 없이도 움직이거나 활동이 가능한 동물들도 있더라구요. 방금 찾아보니 '황색망사점균'이라고 하는 균류도 뇌가 없이 살아가는 단세포 동물이라고 합니다. 식물들이 햇빛 방향으로 자라나듯, 본인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성장하거나 움직이도록 동작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
@Srin-
@Srin- Год назад
우리는 아직 모르지만 곰팡이균의 눈의 역할을 하는 부분이 생기는 것 아닐까요? 곤충도, 동물도 어쨌든 눈은 뇌와 함께 발현되니까 곰팡이균 그 자체가 마치 시냅스처럼 동작이 가능하다면 충분히 곰팡이균도 눈이나 습도를 센싱하는 무언가가 있을 수 있을듯..?
@user-ni6ig7bc1h
@user-ni6ig7bc1h Год назад
개미에게는 진짜 악몽이겠는데 하고 싶지 않는걸 억지로 해야함.
@hirugohangtabeta
@hirugohangtabeta Год назад
개미는 감염 안되도 조종당함.
@dongwk2662
@dongwk2662 Год назад
@@hirugohangtabeta 글킨 한데 일단 뭐 일반에서는 명령을 받지만 움직임은 자유대로 움직일수 있잔어
@whitenoise923
@whitenoise923 Год назад
앗.... 나도 출근해서 매일 하기 싫은 일 하는데...
@eemsuhae
@eemsuhae Год назад
저도 기말과제 억지로 하는데 개미인가요
@jelly1225jelly
@jelly1225jelly Год назад
크아악 온몸이 거부함에도 불구하고 교수의 명령에 따라 공부를 해야만 해
@cuzin6260
@cuzin6260 Год назад
와 동충하초 연구로 많은게 밝혀졌지만 아직도 의문점이 남네요. 중추신경은 감염시키지 않고 근육등 조직과 말초신경만 지배해서 몸을 움직이는데 동충하초 균사체가 어떻게 25cm높이의 식물을 정확히 찾아내는걸까요? 이런 정교한 생활사를 가지는데 필요한 외부자극 정보를 얻는 방식도 연구해서 발표된다면 재밌을거 같네요
@cneogh1
@cneogh1 Год назад
사람 눈에는 잘 뵈지도 않는 크기에서 최소 수천만년간 저런식으로 번성을 한 곰팡이도 놀랍지만.... 그걸 알아내는 과학자들이 진정한 광기네......@.@
@user-wv3pu7qq4g
@user-wv3pu7qq4g Год назад
진짜
@user-fr1vl9gi7h
@user-fr1vl9gi7h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하나를 알아내면 더 궁금한게 더 많이 생기니 호기심의 동물인 인간이 계속 연구에 몰두하는듯요 ㅎ
@user-rk5pu9mm9y
@user-rk5pu9mm9y Год назад
와...형 전공자인가요??진짜 넓은 분야를 논문에 전문가까지 다 섭렵을....어떻게...ㄷㄷ
@vinniesalla8974
@vinniesalla8974 Год назад
과교과 출신에 과학잡지 기자 출신
@user-rk5pu9mm9y
@user-rk5pu9mm9y Год назад
@@vinniesalla8974 헉...진짜요??ㄷㄷ대단하다
@sjl8891
@sjl8891 Год назад
라스트오브어스의 모티브구나 뇌가 아니라 육체 자체를 조종 한다니 무섭군요 감염되면 얼마나 끔찍할까..
@shurrygp.4100
@shurrygp.4100 2 месяца назад
라오어는 그냥 중추신경감염 동충하초
@user-bl8kz1ip4k
@user-bl8kz1ip4k Год назад
곤충영상 많이 부탁드립니다! 잘보고있어요
@Jasper_Yun
@Jasper_Yun Год назад
오늘도 재미있는 이야기 잘 들었습니다.
@abcdefghi__li
@abcdefghi__li Год назад
오늘도 훌륭한 영상 감사합니다!! 진짜 유튜브 과학 채널 중에서 최애에요….
@user-rb3jd8go7z
@user-rb3jd8go7z Год назад
휴스박사의 주장은 새로운 실험에 의해 틀린 것으로 판명되었습니다. 곰팡이가 근육만을 조종해서는 스스로 특정식물의 일정한 높이까지 개미를 이동시키는 것이라면 개미의 감각기관을 제거하거나 뇌에 손상을 입혀도 근육만 온전하면 개미를 일정한 패턴으로 조종가능해야 하나 실험결과는 그렇지 못했습니다. 이것은 개미 뇌가 감각기관을 통제해야만 하고, 뇌는 곰팡이에 의해 오염되어야만 한다는 의미입니다. 곰팡이가 직접 침투하지 않더라도 곰팡이에 의한 어떤 물질에 의해 뇌가 오염된 결과라고 보여집니다. 결국 곰팡이가 뇌를 조종한다는 최초의 가설이 옳다는 것을 뒷받침하는 실험결과입니다.❤
@user-ic6mr2fc6r
@user-ic6mr2fc6r Год назад
오... 그게 또 그렇게 실험해서 입증할수가 있군요 아이디어 얻고갑니다
@five_domung2
@five_domung2 Год назад
뇌에 손상입히는건 숙주의 생명에 문제가 생겨서 그렇지 못할 수도 있는거 아닌가요??..
@InitialJKJ790
@InitialJKJ790 Год назад
​@@five_domung2운동신경만 손상시킬 수 있다면? 잘 모르지만 과학 논문은 동료 평가가 루행 되기 때문에 납득 가능한 방법이 있을지도 모르겠네요.
@jelly1225jelly
@jelly1225jelly Год назад
인간에게 전두엽 피질에 해당하는 부위만 개미에게 딱 조져놓는다면?
@oklu_
@oklu_ Год назад
오 이 논문은 몇년도인가요? 곰팡이가 직접 뇌에 들어가지는 못하지만 곰팡이가 분비한 물질이 충분히 들어갈 수 있겠습니다. 흥미롭네요.
@grooveheart
@grooveheart Год назад
곰팡이 진짜 무서움..우리가 곰팡이보다 좀 많이 커서 곤충들 처럼 잠식 안당하지만..인공눈물에 곰팡이핀거 잘못사용해서 눈이 곰팡이 잠식당해 실명한 사람들도 있고..무좀도 곰팡이균인데 처음엔 피부에서 놀지만...몇년 지난 지금 곰팡이균이 내 발톱을 잠식해서 발톱이 두껍고 구불구불하게 변하기 시작했어...
@BoPplle
@BoPplle 8 месяцев назад
ㅠㅠ
@user-me8xz1rx6w
@user-me8xz1rx6w Год назад
개미의 중추신경계보다 더 강력하게 근육에 전기적 신호를 보내야 가능한 일일진데... 대박이네요...이 균가체를 잘 연구하면... 소드아트 온라인도 가능한게 아닐까요? 중추신경이 몸을 조작하지 못하게 막는기술을 얻어낼 수 있는게 아닌지 ㅎㅎ
@user-zi2lm2zj1d
@user-zi2lm2zj1d Год назад
행동을 조종하는것도 신기하고, 위치를 찾아가는게 곰팡이가 지성이있다는건지도 궁금하고 세상엔 신기한게 참 많구나
@yjgo8296
@yjgo8296 Год назад
완전 재밌게 봤어요👍👍
@user-ut4jw4lx2h
@user-ut4jw4lx2h Год назад
라오어같은 동공하초 좀비물에 활용되면 엄청난 공포물이 나오겠군요 잘 보고 갑니다👍
@minkyulee1247
@minkyulee1247 Год назад
과학드림님 영상 재밌어요 ㅎㅎ 앞으로도 재밌는영상 많이만들어 주세요 ^^
@darkness-and-void
@darkness-and-void Год назад
곰팡이에 감염된 개미 입장에서는 "내 몸이 왜이래? 내 몸이 내 명령을 않듣잖아! 가고 싶지 않은데를 내가 왜 가는 거야?" 이렇게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GuriseeU
@GuriseeU Год назад
당연히 그렇게 생각하겠죠 ㅋㅋㅋ 그리고 않이 아니라 안이 맞음
@darkness-and-void
@darkness-and-void Год назад
@@GuriseeU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제가 '안'자와 '않'자를 더 열심히 익히고 노력해야겠습니다. ㅠㅠ 그리고 '안'이 맞다는 걸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km5hn7jr5i
@user-km5hn7jr5i Год назад
​@@dhdltnf118 ? 안 맞는데?
@jameskim7044
@jameskim7044 Год назад
​@@dhdltnf118 않이 틀린겁니다
@Zere3
@Zere3 Год назад
'않'이 두 개 있는데 첫 번째 않은 안이 맞고 두 번째 않은 않이 맞아요
@user-we6wv2hk7u
@user-we6wv2hk7u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좀비개미를 만드는 곰팡이, 동충하초에 대한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뇌를 지배하는 것이 아니라 근육을 지배하는데, 그렇게 맘대로 조정할 수 있다니 신기하네요. 무섭지만 흥미롭게 잘 봤습니다.
@user-vp7tp2fj5q
@user-vp7tp2fj5q Год назад
곰팡이란게 참 신기해요 곰팡이 자체가 뇌가있는것도 아닌데 저렇게 개미를 제어한다는게 어떤 메커니즘 일까요?정말 신기하네요
@user-qr5sy8yd4o
@user-qr5sy8yd4o Год назад
곧 백만 이시네요 축하합니다
@water1236
@water1236 Год назад
게임에도 유저들의 뇌가 아니라 감정을 지배하는 닐 드럭만이 있죠. 그삼도 동충하초였군...
@user-ej5hy3zu5m
@user-ej5hy3zu5m Год назад
골프채...홀인원...윽 머리가
@로이스
@로이스 Год назад
골프의 황제 닐 드러그만...
@88bb43
@88bb43 Год назад
좁쌀만한 개미의 뇌를 연구하다니 대단하네요.
@naturetube5058
@naturetube5058 Год назад
4:58 ㅋㅋㅋㅋㅋㅋ 센스있으시다
@Woosae_Kim
@Woosae_Kim Год назад
해야할 일이 있지만 과학드림은 못참지! ㅋㅋㅋ 😂
@user-ot3dc7uj5n
@user-ot3dc7uj5n Год назад
이게 진짜 중요한 연구인 게, 우리가 그토록 다뤄왔던 좀비물의 정의를 다시 세워야 한다는 얘기가 된다. 흔히 영화, 게임 등에서 묘사되는 좀비는 감염되지 않은 다른 인간에게 공격적이고, 뇌를 파괴하면 활동을 멈춘다고 설명하지만, 개미동충하초처럼 뇌가 아니라 근육을 지배하는 좀비라면 숙주의 정신이 멀쩡히 깨어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사람들을 울면서 억지로 깨무는 형태인데, 머리를 깨부숴도 계속 활동할 것이고, 근육과 척추를 공략해도 숙주의 정신은 멀쩡한 인간의 정신으로서 그 고통을 온전히 받아 쇼크사할 것이기 때문에 한층 더 기괴한 좀비물이 탄생한다.
@user-gz6rq7el6y
@user-gz6rq7el6y Год назад
이럼 ㅈㄴ무서운게 좀비 바이러스가 생각을 한다고도 볼수있기 때문에 나중엔 지들끼리 커뮤니케이션 하거나 인간과 협상하는 좀비도 나올수 있다는거 ㄷㄷ
@five_domung2
@five_domung2 Год назад
근데 뇌를 지배하지못하면 눈은 어떻게..
@user-gz6rq7el6y
@user-gz6rq7el6y Год назад
@@five_domung2 뇌 빼고 모든 근육이니까 눈도 지배했을듯..?
@user-ot3dc7uj5n
@user-ot3dc7uj5n Год назад
@@five_domung2 그건 더 기괴합니다. 단순히 근육만 좀비화가 된다면 시신경은 살아 있을 거라 안구를 움직이는 근육을 조종 당하면서 눈이 생각지도 않은 곳을 마구 쳐다보게 될 것이고, 눈을 감고 싶어도 근육 조정이 안 되니 감지도 못하게 됩니다.
@five_domung2
@five_domung2 Год назад
@@user-ot3dc7uj5n 시신경이 멀쩡하게 보고있는걸 전달받으려면 뇌를 통해서 감각정보를 받아야하는거 아닌가요??.. 시각뿐만 아니라 촉각을 제외한 다른감각들도 받지 못할텐데 그럼 숙주는 어디로가는지 어디가 최적의 장소인지 모르고 몸만 움직일텐데요..
@user-soosookkang
@user-soosookkang Год назад
최소한 48,000,000년의 훨씬 이전부터 이 생활은 형성되어 이어져 오고 있었다. 진화의 힘에 미치는 시간의 힘이란... 대단하다. 4천8백만년이면 480년 하고 480년 하고 480년 하고 480년 하고 480년 하고 이렇게 480년이 도데체 몇 번이나 반복된 거야. 영겁의 세월이네.
@user-mk7jk1xk2f
@user-mk7jk1xk2f Год назад
이번 영상은 퀄리티가 더욱 높네요! 잘봤습니다!
@user-jd7kz4ig1
@user-jd7kz4ig1 Год назад
더 무섭다 뇌는 그대로 살아있는데 몸이 내맘대로 안움직이다 서서이 죽어간다니
@traveler_to_the_world
@traveler_to_the_world Год назад
아마 생각만 할뿐 뭔갈 느낀다거나 그런건 힘들듯.그 균이 가장 먼저해야할껀 몸의 조종권을 빼앗는거니까 신경같은건 다 끊어 놓지 않을까?
@FlexiCalymene
@FlexiCalymene Год назад
진짜 신기하네요. 뇌를 조종하는게 아니라 근육을 조정한다니…
@handle1136
@handle1136 Год назад
잘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stevehi3456
@stevehi3456 Год назад
근육을 장악해서 운동성을 확보했더라도 어떻게 뇌와 중추신경계 연결고리 없이 데이터를 얻어내는지 넘나 궁금하다. 그것도 정확히 25cm 나뭇잎만 골라서. 마치 AI와 센서 없는 테슬러 차량이 정확히 목적지에 도착하는 경이로움처럼 느껴짐.
@11_Gaius_Julius_Caesar
@11_Gaius_Julius_Caesar Год назад
식물의 뇌에 해당하는 연구는 전혀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에 ... 아무것도 모릅니다. 특히 곰팡이에 대한 뇌에 해당하는 부분이 있을 텐데 생김세로는 구별할 수 없을 것 입니다. 이 연구는 전혀 이뤄진적이 없어요. 소설에만 개념이 있을 정도죠. 에서 슬라임의 몸이 운동세포이자 뇌 세포도 겸한다고 하는데 딱 그짝 같지 않습니까? 운동세포이자 뇌세포 겸하는 것 같은데 식물이나 곰팡이에 대한 뇌 신경 관련 연구는 아무도 시작하지 않아서 어떻게 이게 가능한지 아직은 아무도 모릅니다.
@user-adgsfh0408
@user-adgsfh0408 Год назад
@@11_Gaius_Julius_Caesar 곰팡이는 뇌가 없어요... 곰팡이 균들끼리 뭉쳐서 뇌와 같은 새로운 기관구조를 생성해버린거죠
@Wook867
@Wook867 Год назад
듣고보니, 그러네요.
@11_Gaius_Julius_Caesar
@11_Gaius_Julius_Caesar Год назад
@@user-adgsfh0408 연구 조차 안했는데 뇌가 없다고 어떻게 단정할 수 있습니까? 인간의 오만함으로 "곰팡이나 식물은 인간보다 하등하니깐 뇌가 없을 것!" 이라는 뇌피셜 논리를 정말 과학 이론이라고 믿는 건 아니겠죠?
@user-xi7wn4tr2s
@user-xi7wn4tr2s Год назад
@@11_Gaius_Julius_Caesar 동충하초는 식물이 아닙니다
@Dinga_
@Dinga_ Год назад
진화,생물은 사례를 보면 볼수록 경이롭네요..
@REA__chan
@REA__chan Год назад
매울 걸 알면서도 불닭볶음면을 끓이게 되는 저는 사실 불닭볶음면 균사체에게 조종당한 거였군요. ㅋㅋㅋㅋ
@JE-oj4tv
@JE-oj4tv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와.. 4800만년전 속씨식물의 화석을 보고 특정 흔적을 캐치해 그게 개미가 꽉문것이라는ㅡ 그리고 그게 지금의 동충하초에 감염된 개미와 같은 부분이라는걸 알아낸것도 대박인듯..
@JJ-wt7vq
@JJ-wt7vq Год назад
출근길에 본거 같아요 뇌는 출근하기 싫어하는데 몸은 회사로...
@noumahn2855
@noumahn2855 Месяц назад
세상에 너무 훌륭한 영상이네요
@sowoonyoun4801
@sowoonyoun4801 Год назад
너무 신기해요! 뇌보다 근육을 조종하는게 더 유리한가봐요
@user-ci8ns6tf3q
@user-ci8ns6tf3q Год назад
동숭하초에 숨겨진 놀라운 일이~🙏🙆‍♂️🙋‍♂️💕💕
@yongjunchang5435
@yongjunchang5435 Год назад
고작 곰팡이들이 중추신경계를 건들지 않고도 개미의 움직임을 정교하게 조종할 수가 있어요? 뇌에 침입해서 행동양상을 변화시키는 건 쉽지만, 근육 하나하나를 조종해서 움직이게 하려면 개미 해부학의 대가가 되어서 여섯 개의 다리에 각각 흩어져 있는 근육을 타이밍에 맞춰 순서대로 정확하게 수축/이완해야 할 텐데 고작 세균뭉치들이 모여서 그게 어떻게 가능한지 되게 궁금합니다 ㅇ_ㅇ
@user-adgsfh0408
@user-adgsfh0408 Год назад
이게 궁금했는데 위 댓글 보니 틀린 실험으로 결론 났다고하네요
@jelly1225jelly
@jelly1225jelly Год назад
ㄹㅇ 이게 너무 정교함 고작 균류 따위놈의 미개한 것들이 할 수 있는게 아님
@jelly1225jelly
@jelly1225jelly Год назад
소뇌가 있는것도 아니고 몸 움직이는게 사실 진짜 겁나 세밀한건데 다리를 얼만큼, 어느 정도의 각도로, 앞에 장애물과 길의 경사에 따라 다 다르게 움직일 수가 없어 그게 아니면 동충하초쉑 지능가지고는 걍 우당탕탕 갓 태어난 얼룩말 마냥 엎어지면서 갈 수 밖에 없음
@genzyok
@genzyok Год назад
기작이란 단어를 처음 들었네요. 배우고 갑니다. 기작 : 생물의 생리적인 작용을 일으키는 기본 원리
@Preciouskim9595
@Preciouskim9595 Месяц назад
기작=메커니즘
@kor_cinnamon
@kor_cinnamon 6 месяцев назад
“곰팡이가 주변 환경을 인지하고 생존에 불리한 상황에서는 개미에게 고통을 주는 물질을 분비한다” 하나만으로 개미의 행동 양식을 조절 할 수 있을 듯. 댓글의 많은 사람들이 얘기하듯 곰팡이가 그 자체로 지성을 갖는다고 보기는 어려움.
@kor_cinnamon
@kor_cinnamon 6 месяцев назад
곰팡이의 생존의 유리한 환경 예컨대 습도 같은 것은 중추신경계의 개입 없이 단일 세포 수준에서도 인지할 수 있을 것 같음
@user-yv5ht6zo8w
@user-yv5ht6zo8w 5 месяцев назад
동충하초가 원하는 환경이 아니면 개미에게 고통을 주는 방식은 아닐까요?? 동충하초에 뇌가 있는 건 아닐테니 직접 조종하는 건 어려울 것 같고, 최적의 습도, 그늘막, 온도 등이 갖춰지지 않으면, 개미의 몸에서 수분을 빨아들이거나 신경에 영향을 주는 물질을 뿜어내거나 하는 식으로요. 개미는 자연스럽게 동충하초에게 이상적인 환경에서 가장 편안함을 느끼게 되고, 그곳에서 꼼짝않고 있다가 동충하초 분비물 때문에 점점 근육을 앙다물게 되는거죠.
@ultra-devilsparrow2917
@ultra-devilsparrow2917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생물학과 91학번입니다. 전공 수업중에 기생충학이 있었죠. 다만, 거기서 다룬 건 흡충류였고 영상과는 좀 다른 분야이긴 했지만 옛날 생각도 났고 즐겁게 감상했습니다.
@jorde8333
@jorde8333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인간에게도 기생곰팡이가 득실거리죠... 티눈. 무좀. 이런 곰팡이류는 표면에 묻어있는게 아니라 조직을 침투해서 거기를 뿌리를내려서 영양분을 뽑아먹으면서 위로 자라죠. 몸에 난 사마귀가 동충하초같은 놈이죠. 근데 인간이 크기가커서 근육과 신경의 제어권을 포기한쪽으로 진화한거겠죠
@dmddo7890
@dmddo7890 Год назад
우연으로 발현된 형질이 생존에 유리했기에 자연선택되었다.. 진화론을 부정하는건 아니지만 우연이라고 하기엔 믿기 어려울정도임 생명은 경이롭운듯
@iamright_youwrong
@iamright_youwrong Год назад
오.. 마인드컨트롤.. 뇌는 멀쩡하지만 몸을 나의 ..것을 원하는군..!
@Nirong
@Nirong Год назад
진화는 정말 봐도봐도 재밌넹 ㅎ
@_Hallowin_
@_Hallowin_ Год назад
저녁 밥반찬 제공 감사합니다
@hyeoungjae2894
@hyeoungjae2894 4 месяца назад
정신과 육체는 서로 영향을 주어 육체에 부담을주면 정신은 행복을 추구 불편한 상태를 벗어날 때까지 행동반복
@user-mg7gj5uu8y
@user-mg7gj5uu8y Год назад
필승! 복어의 독에 중독된 상태와 비슷한 상태인 것 같습니다!
@xmfnth
@xmfnth Год назад
혹시 트로오돈 에 관한 영상도 만들어주실수 있으신가요?
@ltk108
@ltk108 Год назад
뇌에서는 집단을 벗어나면 안되!! 나무 아래로 가면 안되는데... 안되는데... 이러는데 근육을 장악한 곰팡이에 의해서 원치 않는 것으로 가게 한다니... 생각해보니 무섭네요...ㅎㄷㄷ 그래서 영화 에이리언에서 인간의 갈비 뼈를 뚫고, 체스트버스터가 피칠갑을 한채 튀어나오는 장면의 충격이 괜히 나온게 아니네요...
@jelly1225jelly
@jelly1225jelly Год назад
안돼 안돼 나무 아래로 가면 안돼 으안돼 올라가고 있어 으아악 아악 턱이 나뭇잎을 물고있아 아악
@newsky_1227
@newsky_1227 Год назад
제가 저번 주말에 시화호에 가서 코리아케라톱스에 대해 알게 됐는데 혹시 과학드림님이 더 자세히 설명해 주실 수 있나용?
@user-mx9jf3pv9i
@user-mx9jf3pv9i Год назад
나 과학다큐 정말 좋아하는데 첨듣는 얘기다 굿😊
@sangminlee4416
@sangminlee4416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각각의 근육에 있는 곰팡이가 네트워크를 가져서 서로 소통이 가능 한가 부네요 ...
@eugenedelacroix5081
@eugenedelacroix5081 Год назад
여름에 어울리는 섬뜩한 주제로군요
@maldini1838
@maldini1838 Год назад
참으로 신비하고도 섬뜻합니다!!!
@acrylicshrimp
@acrylicshrimp Год назад
곰팡이 자실체 네트워크로 컴퓨팅이 가능할 수도 있겠군여
@user-ss1nn9fg1s
@user-ss1nn9fg1s Год назад
오 그렇다면 동충하초에 감염된 개미의 경우 페로몬은 자유롭게 낼 수 있는 걸까요? 그럼 감염된 개미가 페로몬으로 자신이 감염된 것 같다고 동료들에게 알릴 수도 있겠네요
@user-gj8ee9bm6c
@user-gj8ee9bm6c Год назад
곤충을 지배하는것을 보면 누구나 연가시도 떠올리게 되죠.연가시도 어떻게 곤충을 지배하는지 자세히 알려주시면 조회수도 대박날것 같습니다.
@user-rg9sd1xu7d
@user-rg9sd1xu7d Год назад
새끼 거북이를 보면 앞발을 등딱지에 올려놓고 뒷발만을 이용하여 수영을 하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궁금합니다!!
@하드
@하드 Год назад
어렸을때 무리수 기자님으로 과학소년에서 봤었는데 여기 계셨군요ㅋㅋㅋㅋ
@lucky_bok
@lucky_bok Год назад
최적의 장소 찾는것두 신기하네 ㅋㅋ 위에서 찾는게 아니라 아래서 찾아다니는데 곰팡이가 눈이 있는것도 아니구 ㅋㅋ
@wavering8554
@wavering8554 Год назад
자연은 늘 신비롭다 우리의 상상을 초월한다!🎉🎉
@user-nj9mg1pf2f
@user-nj9mg1pf2f Год назад
과학 정말 어마무시하네요
@mankad6574
@mankad6574 Год назад
기다렸다아아아아
@user-pb1he6wr3v
@user-pb1he6wr3v Год назад
빨리 또 만들어줘ㅜ요~~~
@user-gz6rq7el6y
@user-gz6rq7el6y Год назад
와 이게 ㅈㄴ 무서운게 개미의 뇌가 아닌 곰팡이의 의지만으로 저렇게 한다는건데 그건 곰팡이 즉 균류가 생각 비슷한걸 한다는거임 ㄷㄷ
@South.Korean
@South.Korean Год назад
생각 까지는 아니고 프로그램 같은게 있다는거죠
@user-wt7ut4xj5r
@user-wt7ut4xj5r Год назад
빛 센서랑 모터만 있어도 빛 따라가는 로봇 만들 수 있습니다 생각이 있다고 단정하는 건 너무 많이 갔어요
@user-ww7vd2kz1s
@user-ww7vd2kz1s Год назад
머신러닝 같은 개념이죠 생각이라기 보단 강화학습같은것 같은데여
@user-wt7ut4xj5r
@user-wt7ut4xj5r Год назад
@@user-ww7vd2kz1s 강화학습도 아니에요 코어 프로세서가 아예 없습니다 half adder조차 없어도 먹이 찾아가는 로봇을 만들 수 있어요
@oklu_
@oklu_ Год назад
25cm 정말 기괴하고 신기하네요. 눈도 없는데 어떻게 알까요. 예전에 한 재활의학과 교수님께서 몸-마음 관계를 논할 때 본인은 마음은 근육에 있는 것 같다고 말씀하셨을 때 그 말씀이 뇌리에 강하게 박혔었는데, 동충하초가 근육을 조종한다고 하니 또 많은 생각이 듭니다.
@user-bw8im2je6x
@user-bw8im2je6x Год назад
더 끔찍하네요. 멀쩡하게 의식이 있는 상태에서 서서히 죽어가다니 ㅜ
@user-cy1nx9us6l
@user-cy1nx9us6l Год назад
이거 보니깐 과학소년이 생각나네요~
@user-zw4ws1vu1t
@user-zw4ws1vu1t Месяц назад
사람에게도 이런 현상이 있지 않을까 싶다. 퀘어... 등
@user-uc9tl1ek9i
@user-uc9tl1ek9i Год назад
과학드림의 뇌를 갖고 싶다면 개추 일단 나부터
@user-ee5kn3ug8o
@user-ee5kn3ug8o Год назад
ㄱㅊ
@user-degonlangomucat
@user-degonlangomucat Год назад
​@@user-ee5kn3ug8o 고추
@richardphillipsfeynman8851
@richardphillipsfeynman8851 Год назад
ㄱㅊ
@user-ee2nm1rf6m
@user-ee2nm1rf6m Год назад
고추
@user-io6cz4um8e
@user-io6cz4um8e Год назад
ㄱㅊ
@cookiemaniac7552
@cookiemaniac7552 Год назад
너무 궁금한게 균사는 단일체인가요? 뇌를 조종하지 않는다면 여섯다리가 움직여 줄기를 오르고 잎맥을 무는 정교한 움직임을 어떻게 구현하는지 신기해요. 가령 개에게 신발만 신겨도 우스꽝 스럽게 허우적거릴정도로 걷고 움직인다는게 정말 고도의 신체협업인데 말이죠. 제가 균사에 대해 잘 몰라서 그러는데 아무리 진화의 신비라고 해도 이 경우는 잘 와닿지를 않네요 ㅜㅜ
@june8602
@june8602 Месяц назад
뉴런,시냅스 같은 원리가 아닐까요? 무수히 많은 뇌세포가 존재하지만 신경의 연결을 통해 동일 명령이 집행되는것 처럼요
@user-mw9fr5mx6s
@user-mw9fr5mx6s Год назад
와.. 근데 이게 어쩌다보니 습하고 낮은 저런 환경으로 가게끔 근섬유들을 제어한다는 사실이.. 진짜 신기하다 대충 진화론적 관점에서 신기하단 뜻
@user-kk4hn7qk1b
@user-kk4hn7qk1b Год назад
와 뇌가 깨어있으면 내가 무얼하고있는지 다 인식하고 이러면 안된다는 것도 알고있다는건데 엄청 괴롭겠네요..ㄷㄷ무섭
@user-ur5rj1gr7f
@user-ur5rj1gr7f Год назад
캬 먹던 라면, 비위 상해서 내려놨지만 흥미진진하게 시청함 넘 신기행!
@ShrimpRoyalNewRoyal
@ShrimpRoyalNewRoyal Год назад
뇌가 아니라 신경을 장악하는 줄 알았는데 근육이라니 근육이라니!!
@hwisokim5413
@hwisokim5413 Год назад
라오어 좀비들은 전부 의식이 있었구나 ㄷㄷㄷㄷ
@hwang9807
@hwang9807 Год назад
개미:어어 와이라노... 내 몸 이거 와이라노
@user-qg8mb5tp4h
@user-qg8mb5tp4h Год назад
균사체들간의 정보를 취합하고 각부분에 적절한 움직임을 지시하는건 어디서 하는거죠? 그럴만한게 개미의 뇌밖에 없는데...?
@user-gl9do2rx5k
@user-gl9do2rx5k Год назад
굥과 그 일당이야기군😂
@fav0909
@fav0909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습도를 감지하는 것이야 곰팡이들 원래 하는 일이니 그렇다고 쳐도...계통이 완전히 다른 생물의 몸 구조를 이해해 조종하는 능력, 25cm라는 높이를 정확히 감지하는 능력은 어떻게 갖추게 된 건지 정말 궁금하네요
@mingling1130
@mingling1130 7 месяцев назад
너무나 끔찍하고 너무나 흥미롭다
@guardiannana6825
@guardiannana6825 3 месяца назад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저런 것이 나오고... 그리고 그게 또 신비롭다니.. ㅋㅋㅋ 설계자가 있다는 것이 더 맞는 설명아닐까?
@user-fs8sc2el6o
@user-fs8sc2el6o Год назад
이런게 진짜 존잼이지
@davidkim3443
@davidkim3443 Год назад
와..... 진짜 재미있네요!!!! 이걸 모티브로 [라스트오브어스]가 탄생한 거로군요;;;;
@netiian
@netiian Год назад
이런 동충하초를 보약으로 먹는 인간도 대단합니다.
@American-drone
@American-drone Год назад
근데 확실히 누에 동충하초로 담근 약술 드신 분들이 하루 한잔 정도 드신지 얼마안되어서 피로회복 효과를 봤다고 하시더군요.
@lowlanz
@lowlanz 3 месяца назад
인간에게 옮을라 안먹었으면
@N.A665
@N.A665 Год назад
개미가 걷기 위해서는 정교한 근육조작이 필요한데.. 그걸 곰팡이가 해낸다고 하면 곰팡이가 신경을 대신한다는 의미 인가요? 게다가 25cm 기어올라 걌는데, 그 행동을 개미가 아닌 곰팡이가 했다면 곰팡이가 개미의 뇌까지 대체 했다는 소린데.. 곰팡이가 신경을 대체할수가 있는건가요?
@jun____young
@jun____young Год назад
와 개미도 곰팡이도 너무신기하다 곰팡이주제에...
@joyvlog9
@joyvlog9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와 의식은 멀쩡한데 몸은 의지랑 상관없이 움직이는 거 아냐.. 알면서도 어쩔 수 없이 죽으러 가는 거네.. 무섭다
@ZeckDamien
@ZeckDamien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아니 뇌를 조정해서 자기가 번식하기 좋은 장소로 가는게 아니라 근육을 조정해서 가는게 더 신기한데?! 그럼 균 자체가 스스로의 지각능력으로 근육을 조정해서 간다는 이야기인데 그게 더 소름 ㄷㄷㄷ
@yoonhochoi5261
@yoonhochoi5261 Год назад
후쿠시마 오염수도 좀 다루어주세요 민감한주제인건 알지만 과학적오 설명좀요 ㅠㅠ
@jiktong
@jiktong Год назад
이런 정교함이 올램덤 자연선택만으로만 이루어진다니 납득이 잘안됨...
@user-cz5cy1ud1k
@user-cz5cy1ud1k Год назад
개체수가 님이 생각한 것보다 훨씬 많으니까요 우연의 확률조차 수 백조 수 천조 수 경에 이를정도가 되면 못 할 이유가 없죠
@gongdori_b7194
@gongdori_b7194 Год назад
개미굴 내부에서 자라던 곰팡이, 밖에서 자라던 곰팡이, 높이 0cm, 10cm, 높이 30cm, 높이 40cm 등 여러 높이에서 자라는 곰팡이, 건조한 환경에서 자라는 곰팡이, 더 낮은 온도에서 자라는 곰팡이 등등 수 많은 환경에서 자라는 곰팡이들이 있었고, 그 중에서도 개미굴 밖에서 & 높이 25cm & 적합한 습도, 온도에서 자라는 곰팡이가 번식에 유리해서 저런 특성을 갖게 된거임
Далее
The Problem with Wind Energy
16:47
Просмотров 114 тыс.
#miniphone
0:16
Просмотров 3,6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