Тёмный

[알릴레오 북's 75회] 우리 말로써 살아가는 것 / 우리글 바로쓰기 - 이오덕 편 

사람사는세상노무현재단 RohMoohyunFoundation
Просмотров 82 тыс.
50% 1

※위 방송은 코로나19 안전 방역수칙을 준수해 촬영하였습니다※
- 이주영 어린이문화연대
0:00 - 오프닝
00:21 - 이오덕 선생의 생각이 담긴 『손바닥 헌법책』
05:01 - 말의 민주화란 무엇인가?
11:26 - 벼슬아치의 말과 글
16:34 - 강론 말
21:18 - 방송 말
22:49 - 사람가리킴 말
29:11 - 준말
33:46 - 제2장 말의 민주화2
38:02 - 제3장 글쓰기와 우리 말 살리기
46:29 - 교육자로서의 이오덕 선생
52:45 - 이오덕 선생을 기억해야 하는 이유?
54:06 - 클로징
--------------------------------------------------
◎75회 광고 도서
《한글의 탄생 (인간에게 문자란 무엇인가, 개정증보판) 》
저자 노마 히데키 | 번역 김진아 | 출판 돌베개
◎ 도서 구매 링크
*한글의 탄생 (인간에게 문자란 무엇인가, 개정증보판)
bit.ly/3fIrLOa
◎ 광고 문의
alileo@knowhow.or.kr
-------------------------------------------------
노무현재단은 후원 회원 한 분 한 분이 보내주시는
소중한 후원금으로 운영합니다.
여러분의 후원이 세상을 바꾸고,
대한민국의 미래를 만듭니다.
 
◎ 사람사는세상 노무현재단 공식 SNS
페이스북 / rmoohyun
인스타그램 / rohmoohyunf. .
유튜브 / 사람사는세상노무현재단
트위터 / rohfoundation
노무현사료관 archives.knowhow.or.kr
홈페이지 www.knowhow.or.kr
후원안내 1688-0523

Развлечения

Опубликовано:

 

7 июн 2024

Поделиться:

Ссылка:

Скачать:

Готовим ссылку...

Добавить в:

Мой плейлист
Посмотреть позже
Комментарии : 140   
@user-rm1eo1cc1x
@user-rm1eo1cc1x Год назад
~☆알릴레오북's...함께합니다♡~🌱😍☕
@user-pd1xr2op1n
@user-pd1xr2op1n Год назад
분노스럽고 절망적인 나라 망조가 들었네요?? 유시민 작가님, 조수진 변호사님 땜에 위로 받습니다. 👍🤩 민주 스승님 이오덕 선생님, 이주영 교수님 존경합니다. 🤩💙
@user-np6sf2vm1u
@user-np6sf2vm1u Год назад
마음 다스리는 시간입니다.
@pemon16
@pemon16 Год назад
아~~좋은 교양~~♡
@user-hb4bu3uu9h
@user-hb4bu3uu9h Год назад
알릴레오 유시민자각님 조수진 변호사님 감사합니다. 에너지 듬뿍넣으주시니 시청하는건만해도 너무좋아요. 늘응원합니다 최 알릴레오 최고유튜브입니다👍💯🙏🙏🙏👏
@user-eo3lh2uj2e
@user-eo3lh2uj2e Год назад
좋아요 수고 하십니다 항상 응원 합니다
@jindao600
@jindao600 Год назад
전국민 헌법 읽기 너무 좋다~~
@user-by2pi4kz1k
@user-by2pi4kz1k Год назад
80년대 후반 금융기관에 근무할 때 여직원은 ~양, miss 누구 이렇게 불려졌습니다 물론 같은해 입행한 동기 남자직원에게는 ~씨 라고 불렀지요 제가 근무하던 은행에서 여직원 몇몇이 모임을 갖고 여직원에게 ~씨 라고 불러 달라는 운동을 했고, 쉽진 않았지만 ~씨 로 부르게 됐습니다. 지금 보면 그게 뭐 대단하냐고 볼 지 모르나 무척 뿌듯하고 같이 운동한 동료들과 함께 큰 성취감을 느꼈었지요.
@user-nu7yr5wh5z
@user-nu7yr5wh5z Год назад
저번주 너무 유익햇어요. 오늘도 기대됩니다 ^^
@user-tm8lk4ps4m
@user-tm8lk4ps4m Год назад
아이들이 어릴때 이오덕선생님 글쓰기 책을 사서 읽었는데 그때는 전혀 이해를 못했다. 설명을 듣고 나니 조금은 마음에 와 닫는다. 역시 배움은 끝이 없는것 같다. 덕분에 잘 듣습니다. 감사드립니다.
@kimsikful
@kimsikful Год назад
우리말에 대해 소개해 줘서 감사합니다. 유시민 이오덕 아자!
@user-ln5qb3bk3e
@user-ln5qb3bk3e Год назад
오늘도 수고하셨습니다.
@yangkumchoi2640
@yangkumchoi2640 Год назад
우리말을 새롭게 배웁니다. 감사합니다.
@user-zd9st9wj2y
@user-zd9st9wj2y Год назад
대단히 감사합니다.ㅎ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에서 자행된 민족말살정책에서 고대 한국사에 더하여 언문철자법으로 인한 어떠한 소리도 표기 가능한 훈민정음에서 그 정음의 기능을 현재 국어수준으로 떨어뜨려 놓아 불구로 만들어 놓았죠. 불구된 정음을 고스란히 현 대학의 국문과에서 가르치고 있고 그 제자들이 일선 학교에서 널리 퍼뜨리고 있죠.
@user-rn1hm2wp4k
@user-rn1hm2wp4k Год назад
우리글 바로쓰기 이프로 계속 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오늘 많이 배웠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kw8on6bw2j
@user-kw8on6bw2j Год назад
답답하고 우울한 현시국에 저의 힐링타임 알북 타임 💛 유시민 작가님 김어준 총수님 보는 불금 행복합니당 ~💙💜
@skonoff
@skonoff Год назад
우리말 바로쓰기 한 권씩 사서 여유롭게 읽어 봐야겠어요.
@user-om2wg7qx8m
@user-om2wg7qx8m Год назад
'살아있는 글쓰기' 이건 초등학교에서 반드시 해야 할 교육입니다.🥰
@boyu_1903
@boyu_1903 Год назад
답글 하나 쓰는것에도 굉장히 어려움을 느낍니다! 글을 써서 내가 하고싶은말을 전달한다는게 얼마나 중요하고 필요한 일인지 많이 느끼지만 잘 안되어 답답할 때가 종종 있더라구요! 역시 배울점이 많고 깨달음도 주는 알릴레오북스입니다!! 유익한 방송 감사합니다!
@user-wk7rq5zw9u
@user-wk7rq5zw9u Год назад
정말 중요한 내용이네요ᆢ언어 민주화 ᆢ학생들 만나는 입장에서 배우고 갑니다 ᆢ1편도 찾아 들어야겠어요 ~
@topoftopkim4067
@topoftopkim4067 Год назад
2주동안 정말 많이 배웠습니다 알릴레오 북스의 좋은점이 바로 이것이겠죠 보면서 즐겁고 새로 깨우치는 것도 많고... 다음주 맹자편도 꼭 시청할게요
@bw0121
@bw0121 Год назад
알릴레오 북s, 로 인해서 배우고 알아가는 기쁨이있습니다. 👋👋👋👋
@user-wq1hs5nx1m
@user-wq1hs5nx1m Год назад
연휴에 노무현 시민센터 다녀왔습니다! 유시민 작가님 계셔서 너무 든든합니다 ♡
@user-gg8cs9md6z
@user-gg8cs9md6z Год назад
한글날 즈음에 맞춰 아주 좋은 두 편의 영상 감사합니다. ^^ 우리말 우리글 쓸 때 참고하겠습니다.
@HJ-ri2ov
@HJ-ri2ov Год назад
유작가님 소개하신 아틀라스 한국사 책은 초등학생들 또는 누구나 많이 보았으면 합니다~^^
@user-om2wg7qx8m
@user-om2wg7qx8m Год назад
알릴레오 북스 반가워요. 유시민님, 조수진님, 어린이문화연대 이주영님 안녕하세요?🥰
@user-om2wg7qx8m
@user-om2wg7qx8m Год назад
오늘 다룰 책은 이오덕 편 - '우리글 바로 쓰기'네요. 잘 들을테니 열심히 설명해주세요.🥰
@boosfilm
@boosfilm Год назад
항상 유익하고 감사하게 보고 있습니다. 그리고 지난 시간 이게 뭐야 라고 분노?!하셨던 '사고 다발 구간' 내용을 보고 한없이 부끄러운 마음을 가졌습니다. 고속도로를 관리하는 도로공사 직원으로서 지금까지도 제가 근무하는 지사에서 사고 위험 구간 또는 도로전광판에 졸음, 빗길과속 사고 다발 구간이라는 문구를 홍보하고 있었습니다. 찾아보니 국립국어원 사이트 공공언어 개선 제보에 어린 아들이 사고 다발 구간 안내를 보고 아버지에게 꽃다발의 다발과 비슷한 의미냐고 물어봤다는 내용이 있었습니다. 작성 시기를 확인했더니 2018년10월9일 572돌 한글날이었습니다. 한번 더 부끄러웠습니다. 이번 주 근무 중인 지사에서 '사고 다발 구간' 홍보 문구를 '사고 잦은 구간'으로 수정하였습니다. 그리고 사망 발생 지점, 사망 발생 구간 표지판 문구도 공문을 찾아보니 '사고 위험 구간'으로 표지판을 홍보해오던 중에 사망사고건수가 급증했던 시기에 사고 위험성을 강조하기 위해 '사망 발생 지점', '사망 발생 구간'으로 표지판 문구를 수정한 내용을 확인했습니다. 고속도로에서 교통사고로 인해 사망자가 있을 경우 사고 예방 대책 중 한 가지로 사망사고안내표지판을 설치하고 있습니다. 이전에 일어나지 않은 위치에 사망사고가 난 경우 '사망 사고 잦은 곳'으로 표시하기는 상황이 맞지 않고 '사망 사고 지점' , '사고 위험 구간'으로 안내할 수 있으면 좋겠다는 개인적인 생각을 했습니다. 존경하는 유시민님께서 '사고 다발 구간' 표현에 분노하는 장면에서 학교 다닐 때 선생님께 혼나는 느낌이었습니다.. 생각이 많은 한 주였습니다. 이오덕 선생님편을 못보고 지나갔다면 퇴직때까지 잘못된 표현을 썼겠구나 하는 생각에 또 부끄러운 마음이 들었는데 지금이라도 제대로 알고 수정할 수 있어서 스스로 다행으로 생각하고 감사합니다. 다른 책에서 본 내용인데 '안다는 것은 도대체 무엇인가?', '안다는 것은 그로 인해 자신이 변하는 것이다' 라고 하더군요. 알고난 후 더 이상 과거 내 모습으로 돌아갈 수 없다는 의미일 것입니다. 영상 댓글을 이렇게 오래 생각하고 작성하는 것도 처음이네요. 한번 더 항상 유익한 내용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nycwa
@nycwa Год назад
소중한 체험 나눠주셔서 고맙습니다!!!
@user-fr1uo7bj6d
@user-fr1uo7bj6d Год назад
강연을 통해 배우고 생각하고 깨우치고 실천까지 이어지는 모습이 아름다우셔요. 저도 한 번 더 생각하고 생활 속 실천을 다짐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고맙습니다^^
@user-ss6nf7vx3n
@user-ss6nf7vx3n Год назад
답글 보고 감동 받았습니다~~ 옳다고 느낀 것을 곧장 행동으로 옮기는게 결코 쉬운게 아닌데요...멋진 분이시네요~짝짝짝 앞으로도 한자체 공공어를 자연스런 우리말로 고치는 데 앞장 서 주세요~~저도 시민으로서 우리말로 바꾸는 데 할 수 있는 행동을 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ph7pf7xe6d
@user-ph7pf7xe6d Год назад
똑똑하고 따뜻한 조수진 변호사 사랑합니다. 이런 조수진을 선택한 유시민 작가 존경합니다. 그리고 제2의 이오덕 이주영 교수님 건강하십시오. 감사합니다.
@snowflakeperv
@snowflakeperv Год назад
한글은 정보를 전달하기위한 도구입니다. 딱히 정확히 쓰지 않더라도 의미를 정확하게 써야겠지요.. 외래어 이런것도 다 허용입니다. 그것조차 정보가 전달이 되거든요. 한글 날을 기념하고 싶으면 한글로된 책을 읽는것을 추천합니다. 이게바로 세종이 원하던 방식이니까요. 문자로 정보를 습득한다. 바른 한글을 기념하는 방법임.
@user-hz4tf2if4e
@user-hz4tf2if4e Год назад
이오덕 선생님이 남기신 아이들 글 모음책 보며 마음 따뜻한 나날을 보내는 요즘입니다. 이오덕 선생님을 소개시켜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uj5rw1xj9s
@user-uj5rw1xj9s Год назад
알릴레오가 있어 행복합니다
@user-zz3gk3wd1q
@user-zz3gk3wd1q Год назад
당장 보수동 책방골목에 가서 이 오덕 선생님의 책들을 구입하고 싶네요
@srakim7490
@srakim7490 Год назад
이 책은 교과서로 해도 될 만큼 정말 유용합니다.
@a91264290
@a91264290 Год назад
한주동안 시끄럽고 불쾌한 뉴스로 귀가 더러위 진거 같았는데 유시민 조수진 두사람의 좋은예길 들으니 귀가 깨끗해지는거 같음~ 알릴레오 이번주도 감사요~
@user-ss6nf7vx3n
@user-ss6nf7vx3n Год назад
오늘의 알북스도 재밌고 뜻깊은 시간이었습니다. 생각과 마음이 통하고 배움도 있는 알북스~ ♥사랑합니다 ♥알북스♥!! 「이오덕의 우리말 글쓰기」 예전에 빌렸다가 대충 보고 반납했는데~~그땐 문장 쓰기 작법을 가르쳐주는줄만 예상했다가 급한마음에 아니구나하고~ 이번에 빌려 읽으면 저번주와 이번주 알북스를 떠올리며 넘나 재밌게 읽을것 같아요. 여튼, 행복한 시간이었습니다.
@user-rh7ld8nt9b
@user-rh7ld8nt9b Год назад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hd1kk4ww9b
@user-hd1kk4ww9b Год назад
민주화 운동을 했던 세대들이 없었다면 지금 우리는 어디쯤 와있을까? 가끔 생각해 보면 소름이 스치기도 합니다. 물론 지금도 좀더 나은 세상을 위해 늘 고군분투하시는 분들도 국민들도 많지만. 또 지금 민주화 운동을 하고 있는 나라들의 끔찍한 소식들을 접하면서 상기하기도 하구요. 그래서 유시민 작가님의 삶을 좋아합니다. 존경스럽기도 하구요. 그래서 감사합니다!!! 감사를 받기 위해 살았던 삶이 아니란 것도 알지만 그래도 감사합니다.
@nycwa
@nycwa Год назад
2부가 더 재밌어요~ 이오덕 샘이 참 당시로도 다각도로 열린 분이셨네요!! 젊은층이 많이 쓰는 줄인말에 호통 치거나 혀 찰 필요도 없고, 언어는 진화하고 걸러지고 살아남는다고 생각함 편하네요!! 언어나 사회가 많이 변한 만큼, 또 다른 우리말 전문가가 업그레이드 버전 우리글 바로쓰기 새로 써 줬음 좋겠어요!!
@user-ik6fk3yg6l
@user-ik6fk3yg6l Год назад
이오덕의 우리글 바로쓰기를 예전에 읽은 적이 있습니다. "식자우환" 이라는 말이 실감나게 하는 책입니다. 세상의 모든 글이나 말들이 온통 엉터리로 보이는 부작용 때문에 정상적인 생활이 곤란할 정도로 혼란스러웠던 기억이 있습니다.
@Ohmin12
@Ohmin12 Год назад
지난 1부에 이어 2부에서도 읽고 알아차리기 쉬운 글을 쓰는데 필요한 이야기 나눠주셔서 감사합니다. 🙏🏻🙏🏻🙏🏻
@olivef3407
@olivef3407 Год назад
누구나 글을쓰고 말을하는 시대~이오덕 선생님을 꼭 기억해야갰습니다! 고맙습니다!!
@user-bj4eh8ow2t
@user-bj4eh8ow2t Год назад
글을 아름답게 쓰고 싶어서 혼자 읽고 써봤는데 잘 되지 않습니다. 그러던 중에 올라온 영상이라 너무 고맙네요.
@madeinhkim
@madeinhkim Год назад
이오덕 선생님을 처음 알게 되었지만 아주 유익한 시간이었습니다. 고맙습니다~
@user-ed7hb5mv6t
@user-ed7hb5mv6t Год назад
이오덕선생님의 높은 뜻을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rosemary1227
@-rosemary1227 Год назад
2주간 이오덕 선생님 잘 만났습니다 글쓰기 참 어려워유..🤔
@user-vn2ky3xj9v
@user-vn2ky3xj9v Год назад
아주 좋은 프로그램!!! 알릴레오 북스~~
@user-sm6pj9zy4o
@user-sm6pj9zy4o Год назад
잘 들었습니다 ㆍ감사합니다 ㆍ
@user-zz3gk3wd1q
@user-zz3gk3wd1q Год назад
참 소중한 내용입니다
@user-ex5hd3zm3g
@user-ex5hd3zm3g Год назад
유시민 작가님 늘 응원합니다 💕
@user-wc4ws5ft2p
@user-wc4ws5ft2p Год назад
모두 모두 늘 감사해요 ~ 여기 계신 출연진들 그리고 독자님들 모두~
@user-yj8qy3gr5z
@user-yj8qy3gr5z Год назад
오래전에 사투리 말고 표준어를 많이 쓰자고 했습니다. 그런데, 정작 일본식 한자어를 우리말처럼 더 많이 씁니다. ... 좋은 방송입니다.
@user-jw4ej8ny5k
@user-jw4ej8ny5k Год назад
저도 이오덕선생님 우리글 바로쓰기 5권 모두 책꽂이에 있답니다. 2권까지만 읽었지만요ㅎㅎ 이 기회에 나머지 3권도 몽땅 읽어야겠네요. 알북은 저의 길잡이입니다~~~
@SDY7481
@SDY7481 Год назад
작가 유시민님, 변호사 조수진님! 덕분에 잘 보고있습니다. 칭찬하고 응원합니다.
@user-xj5yc7eu5s
@user-xj5yc7eu5s Год назад
지난 회와 이번 회를 보면서 많은 걸 배워갑니다. 감사합니다. 짧은 댓글을 쓰면서도 조심하게 되네요 ㅎㅎ...
@user-gl4wk1il5d
@user-gl4wk1il5d Год назад
🥰
@user-lx6ig4mk4v
@user-lx6ig4mk4v Год назад
지난6월 양쪽벽면 책장 중 한쪽을 모두 정리하면서도 결코 버리지 못했던 책!!!입니다 읽으면서 너무나 많은 문제들을 깨달으면서 내내 안타까워했던 책!!
@gksydney89
@gksydney89 Год назад
양자도 살짝 넣어 주시면... 😅
@handle1136
@handle1136 Год назад
난 이주영 대표님 응원해야지! 💕 물론 알릴레오를 만드신 모두 모두 좋은 영상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carolj7586
@carolj7586 Год назад
너무 유익한 시간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pi2op2db7g
@user-pi2op2db7g Год назад
유시민작가님이 계셔서 정말 좋아요
@sxxm2__2
@sxxm2__2 Год назад
줄임말 상당수는 암호로 스스로를 집단화 시키기 위해 쓰는거죠. 중요한건 줄임말 은어를 폭력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나온다는 거죠. 법전의 말을 일본식 한자어를 쓰면서 법조인 내부인들의 힘으로 이용하는것과 마찬가지로 줄임말이나 마침말에 어떤식으로 정해져서 쓰는게, 커뮤니티의 내부 결속과 집단 내부의 획일화로 이어져서 외부 커뮤니티와의 반목과 공격으로 이어지는 사례가 갈수록 많아진다는거는 문제에요.
@wjdcp9401
@wjdcp9401 Год назад
헌법을 수호하는 건 국민인데 헌법을 무력화 하는건 법관관 국회의원입니다
@HSKim-nd5mq
@HSKim-nd5mq Год назад
유시민 작가님 조수진 변호사님 ~~ 늘 감사 합니다!!!
@suddenly_what
@suddenly_what Год назад
농부로 살고싶던 교육자 이오덕 선생님을 알게 되어 기쁜 1시간이였습니다. 그리고 방송 마지막에 다음화에 다루는 책과 간략한 소개를 덧붙여 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si3yz8np3j
@user-si3yz8np3j Год назад
문통도 높임말 쓰셨는데
@user-ni4mr1sk4u
@user-ni4mr1sk4u Год назад
반성했어요 말귀 못 알아듣는다고 씩씩거렸던 제 자신을요 소통의 문제는 상대방이 아니라 제 자신임을 뼈져리게 느끼며 언어의 민주화에 힘쓰겠습니다
@user-zd9st9wj2y
@user-zd9st9wj2y Год назад
언제 기회되시면 어떠한 소리도 문자로 표기 가능케한 훈민정음이 일제강점기때 어떠한 만행으로 오늘날 국어처럼 절름발이가 되었는지, 그리고 현 대한민국 대학의 국문과는 왜 황국사관을 추종하는 사학과와 전혀 다를바가 없는지를 밝혀주세요.
@JumeoniArt
@JumeoniArt Год назад
처음 5분 좀 지루 하겠는데 … 싶었다 근데 1.2부 다 들음 너무 유익하고 재미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
@jbrigitta4214
@jbrigitta4214 Год назад
최고입니다
@user-bk4yf1zw1c
@user-bk4yf1zw1c Год назад
감사합니다.
@user-bv5ut7tn8c
@user-bv5ut7tn8c Год назад
유시민 시대에 느낌이 물씬물씬 나네..
@user-yg4gp2km5o
@user-yg4gp2km5o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Good.
@sheep-followme
@sheep-followme Год назад
어려운 책은 말씀하셧듯이 살짝 맛만 봅니다 그러나 내내 남는건 초반 미니 헌법책은 참 기발합니다만 아........ 이제는 ... 우리가 저것까지 알아야돼나 싶기도하고..... 못난 대통땜에 많은것을 배워야되고 참......... 어렵습니다 그냥 하소연
@gtpark1466
@gtpark1466 Год назад
우리말 바로쓰기 - 이오덕.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전 몰랐거든요. ㅋㅋ. 꼭 읽어야 할 책이란 생각이 듭니다. 고맙습니다.
@Jay..o_o
@Jay..o_o Год назад
저도 우리나라 언어와 문화 참 좋아하지만.. 언어 자체에 존대가 있고 나이를 중히 여기는 문화가 있어버리니 거기에서 나오는 폐습은 바뀌기 어려운 거 같아요. 그게 더 강화되고 악화되지 않도록 경계하고 교육하는 수밖에.. 서로 존칭을 쓴다고 영어의 격의 없음의 그것을 쉬 따라갈 순 없어 보입니다. 말씀대로 법으로 정해 놓거나 하지 않는 이상.ㅋ 그런 강제성이 들어가면 그 언어는 이미 다른 언어려나.. 밴쿠버에서 좀 살았었는데, 종종 우스개로 서양을 가리켜 '부모한테도 너 라고 하는 애들' 이라고 하잖아요. 그런데 제가 느끼기에 'you' 는 그저 우리 말로 옮긴 '당신, 너' 가 아니더라고요. 일단 나와 너는, 혹은 너와 나는 동등 할 수 있다는 함의가 들어가 있달까요. 그래서 그런 문화가 만들어져 그런지 나이를 궁금해 하고 물어볼 이유가 딱히 없더라고요. 정말 친해져서 가족 이야기나 하면 모를까. 그런 경향의 연장선에서 직업에 대해서도 딱히 백안시하는 게 없는 것 같고.. 그런데 또 평생 그런 문화에서 산 서양 친구도 한국에 와서 한국어로 대화할 때 반말이 섞이거나 형이라고 안 부르면 꽤나 기분나빠 하는 걸 보게 되고.ㅋ 언어가 문화에 미치는 영향이란 참 크고 오묘한 것 같습니다.
@jae-yupjung2470
@jae-yupjung2470 Год назад
너무 좋은책인것 같아요. 한글, 우리말의 중요한 포인트를 알게됬어요. 항상 매주 좋은 방송 감사해요💙
@HaewonHwang
@HaewonHwang Год назад
우리글 바로쓰기!
@hoya1715
@hoya1715 Год назад
2주 동안 방송하시면서 북's라는 표현을 책방 혹은 서점 정도로 바꿀 생각은 없으신가요?ㅎ
@user-fr1uo7bj6d
@user-fr1uo7bj6d Год назад
오호 그렇네요 알릴레오 책방^^ 좋은데요!
@suddenly_what
@suddenly_what Год назад
말의 민주화를 언급하셔서 같이 보고싶은 영상이 떠올랐는데 스브스뉴스 평어 라고 검색하면 나오는 영상이 있어요. 경희대에서 열리는 강의를 살짝 소개한 영상인데 그 수업에선 반말 아닌 평어를 사용해요. 위아래 구분없는 말이 의사소통을 더 명확하게 해주는데 그것이 참 좋아보였어요.
@user-rh7ld8nt9b
@user-rh7ld8nt9b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cj3dj7zc6w
@user-cj3dj7zc6w Год назад
좋은 강연 제공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user-xu9gk3hx3x
@user-xu9gk3hx3x Год назад
이오덕 선생님께로 한 사람 전도 하셨습니다 ㅋㅋㅋ 감사합니다
@user-rm7ev2dq9h
@user-rm7ev2dq9h Год назад
우와~ 많이 배웁니다^^ 몹시 감솨감솨^^
@user-zc1fl2ys4j
@user-zc1fl2ys4j Год назад
이오덕선생님을 다시 생각합니다.
@kyungshinlim8261
@kyungshinlim8261 Год назад
직업상 문자 보내는 일이 많은데 정말 유익한 시간이었습니다 여러번 다시 보고 바른 글쓰기 당장 실천하겠습니다 😄
@eq9007
@eq9007 Год назад
시민에게는 유시민이 있어야 참된 시민들이 많아진다. 유시민은 우리나라의 보배다. 민주주의의 희망.
@user-yo5dg6rv7y
@user-yo5dg6rv7y Год назад
감사합니다
@user-lv5wt1ti2e
@user-lv5wt1ti2e Год назад
좋다!
@user-hv2cb3qv7i
@user-hv2cb3qv7i Год назад
바로 읽어보겠습니다
@user-mg4yu1yo1m
@user-mg4yu1yo1m Год назад
‘우리말로 살려놓은 헌법’ 절판이던데 재판할 수는 없을까요? ‘손바닥 헌법책’은 어디에서 구할 수 있을까요? 한글날에 이오덕 선생님 등불 밝혀주셔서고맙습니다~^^
@user-rt6pj9vi9f
@user-rt6pj9vi9f Год назад
대법 판결문을 비법조인이 읽기 정말 힘들더군요. 지적 옳습니다. 한글날을 맞이한 2부작, 재밌게 봤습니다. 고맙습니다
@makalu3200
@makalu3200 Год назад
나는 국민학교때 박정희에겐 국방성금 냈다...전두환에겐 평화의 댐 성금 냈다...콧흘리게에게 까지 돈을 착취한 암울한 시대였다...
@samko9986
@samko9986 Год назад
😊
@user-wr5iw5hg2f
@user-wr5iw5hg2f Год назад
우리 말과 글을 살려 쓰고 노래 짓는 분들도 초대해 이야기 나누면 좋겠습니다. 백창우님 만나고 싶어요
@user-ne3bt8in6c
@user-ne3bt8in6c Год назад
예아~
@user-hb4ub2gi7x
@user-hb4ub2gi7x Год назад
굥처럼 새ㄱㄱㅣ 라고 부름 평등해지고 좋겠네요
@paulatreides9554
@paulatreides9554 Год назад
좀 늦었지만 이제라도 너무나도 잘 들었습니다..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MZ세대란 용어를 사용하시는것에 대해 의문점이 들었습니다. 제가 알기로는 그렇게 근본있는 용어는 아닌걸로 알고 있습니다. 해외논문에 근거한거지만 우리나라 경제지에서 사용하기 시작해서 우리나라에서만 주로 사용되는 용어로 알고 있고, 그냥 우리나라말로 바꾸면 요즘 젊은이들은 정도라고 생각되는 용어로 알고 있습니다. 실제로 그 연령대도 너무 넓어서 학술적으로도 의미가 없고, 기껏 갈라치기에 적합한 용어로만 제 개인적으로 생각하고 있었는데, 혹시 제가 가진 생각이 잘못된것이라면, 좀 알려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언제나 감사드리고, 주변에도 알리곤 있지만, 아무래도 요즘 애들은 책도 잘 안읽고, 그렇습니다. 환절기 건강조심하셔요.
@user-uw6cv7gk5r
@user-uw6cv7gk5r Год назад
받들어총 세대 ㅜㅜ. 저도 교련을 하긴했는데
@myeongje34
@myeongje34 Год назад
판례 중에 가끔 보이던데 이중부정 문장 절대 안쓰면 좋겠음. 멋져보이지도 않고 이해하기도 힘듦. 예를 들면 "허가하지 아니할 권리가 있지 아니하다." 읽자마자 짜증부터 나는 글인데 판례중에 이런 구성이 꽤 있습니다.
Далее
Super gymnastics 😍🫣
00:15
Просмотров 27 млн
1 класс vs 11 класс  (игрушка)
00:30
Просмотров 1,7 млн
[오늘도 읽음] 유시민 1편
20:45
Просмотров 395 тыс.
Форчан ищет Флаг (Финал) 🍀
0:46
Умная кошка
0:20
Просмотров 7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