Тёмный

디글 :Diggle
Подписаться 3,6 млн
Просмотров 2,6 млн
50% 1

취향저격! 당신이 원하던 그 플레이리스트 [#디제이픽😎] #어쩌다어른
we’re :DIGGLE family

Развлечения

Опубликовано:

 

27 ноя 2022

Поделиться:

Ссылка:

Скачать:

Готовим ссылку...

Добавить в:

Мой плейлист
Посмотреть позже
Комментарии : 1,1 тыс.   
@lilylife7885
@lilylife7885 Год назад
내가 남보다 착해서 늘 손해본다 생각하시는 분들 많을꺼예요 저또한 그랬으니깐요 세월이 지나보니 이타적인 생각이 덕이 돼서 행운이 돼서 돌아 오더라구요 지금 당장 손해보더라도 노여워 할 필요가없는 마음에 근육이 생긴다 생각하세요 우리모두 서로를 위로해주며 따뜻한사회가 되길 기도해 봅니다
@user-db4ew6ni8d
@user-db4ew6ni8d Год назад
재미있게 듣다가 울컥하는 장면이 있습니다. 메뉴얼대로 하지 않는다. 메뉴얼대로.. 절대 하지 않는다. 100%가 아니라 150% 이상 쓰면서 살았다. 자기 마음도 자기 몸도 그렇게 했다. 그 장면에서 울컥합니다. 그렇게 몰아붙였기에 이런 발전이 가능했다 ㅠ ㅠ
@user-jv3db6tj7u
@user-jv3db6tj7u Год назад
우와~~ 진짜 그래요. 지인분이 하신 말씀이 생각나네요. 어떤분이 지속 밥값을 내서 기분 나쁘다고~ 지가 그렇게 잘났냐고 하던데... 그게 이해가되네요
@user-yf2ti8rj7p
@user-yf2ti8rj7p Год назад
맞아요~이 말씀 대목에서 우리들의 아버지 어머니 조부 조모님의 어르신 세대때 의 고생하셨던 것이 생각나면서 고맙기도하고 그분들이 불쌍했다는 생각에서 정말 울컥했어요
@chang-deoklee4468
@chang-deoklee4468 Год назад
@@user-jv3db6tj7u . , , ,,,,,,,,,,, .
@myrome777
@myrome777 Год назад
동감합니다… ㅠㅠ
@user-jg2ie6yn2j
@user-jg2ie6yn2j Год назад
그걸 똥팔육들이 망쳐놈
@chelubongan1889
@chelubongan1889 Год назад
잠든 자아가 확 일어나는 명 강의다. 자아가 깨어나는 시간을 만들어 주신 강사에게 박수를 보냅니다.
@user-ct7fe9gv8f
@user-ct7fe9gv8f Год назад
요즘 한류가 대세인만큼 한국인을 분석하는 강의가 많은데 그 중 탑입니다. 저는 일본에서 살아봐서 그런지 더 잘 와닿는 내용들이 많았습니다. 정말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user-jz4bb7om9s
@user-jz4bb7om9s Год назад
주체성 즉 자신의 선택을 쉽게 바꿀 수 있는 이유 중 하나가 바로 한국인들의 급한 성격이라고 생각합니다. 김치찌개 된장찌개 둘 중 김치찌개로 통일하면 빠르고 효율적이 되기 때문이죠. 즉 이건 내가 바로 지금은 된장찌개를 원하지만 김치찌개를 먹으면 안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좀 더 빠른 길을 선택하는 거죠. 하지만 만약 여기서 누군가가 신체적으로 김치찌개 거부반응이 있다면 이건 또 이야기가 달라집니다. 그 한 사람 때문에 통일할 순 없으니 여기서 또 김치와 된장 2개를 시킬 것인가 아니면 된장으로 통일할 것인가 타협을 보겠죠. 이건 우리 사회 전반의 성향이라고 봐도 될 겁니다. 매뉴얼을 정해 놨었는데 그 매뉴얼의 영역을 벗어나는 문제에 맞닥뜨리면 우리는 바로 회의를 열어 그것의 해결책에 대해 논의하죠. 하지만 일본은 매뉴얼을 따라가려는 성향이 강해 그 자리에서 바꾸는 결정을 싫어합니다. 반대로 서양은 서양대로 개인 특성이 강해 바로 해결이 쉽지 않습니다. 자신의 생각이 강하기에 그걸 또 여럿이 의견을 모으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죠. 이런 이유들로 인해서 예를 들어 관공서의 업무처리 시간이 우리는 매우 빠른데 비해 일본과 서양은 느립니다. 급한 성격, 급하면서도 그것을 제대로 처리해야 하는 성격이 우리나라 사람들이 독보적으로 높죠. 뭐든지 바로바로 해결이 되어야 직성이 풀리는 성격이 전반적인 사회의 성격을 바꾸지 않았나 생각됩니다.
@user-if7jb2bf8z
@user-if7jb2bf8z Год назад
맞는말이네요. 내아내가 일본사람인데 메뉴얼 그자체입니다. 메뉴얼이 없으면 일 못합니다. 메뉴얼 나올때까지
@transcontinental4664
@transcontinental4664 Год назад
고견!
@user-rk8in9uk5k
@user-rk8in9uk5k Год назад
집단주의 사라져야함.. 개인의 의견이 존중되어야하는데..
@user-nm1mc5om2b
@user-nm1mc5om2b Год назад
교수님 강의를 듣는데 눈물이 나네요. 내가 살아온 인생 얘기를 하시는 것 같아서... 개처럼 일한, 아니 미친개처럼 앞만 보고 달려왔는데.., 돈도 가정도 무엇보다도 건강도 다 무너져 있네요. 그래도 살아야 겠죠. 다시 일어나 달릴 수 있을까? 아니 꼭 달려야 하나? 혼란하고 힘듭니다.
@stellalee5967
@stellalee5967 Год назад
달리실 필요없어요. 달리셔도 되고 달리지 않으셔도 무방합니다. 괜찮습니다. 내 삶에 의미를 부여하는 것은 오로지 나 자신입니다. 이걸 정말로 느끼시는 순간 몸이 구름이 된듯이 가벼우실겁니다. 존재자체로 감사한 분입니다. 당신은. 이제까지 그랬듯이 앞으로도 영원히.
@ninakim2317
@ninakim2317 5 месяцев назад
괜찮아요 님 이제 어른이 된 내가 나를 지켜줄 수 있어요❤❤
@user-go8je4ii7g
@user-go8je4ii7g Год назад
진짜 좋은 내용이다. 현재 우리가 겪고있는 문제점을 제대로 집네요.
@Sarah-pp9zp
@Sarah-pp9zp Год назад
짚네요
@dr.k6544
@dr.k6544 Год назад
@@Sarah-pp9zp pick이라는 뜻으로 일부러 집는다고 쓴 게 아닐까요
@sunsun537
@sunsun537 Год назад
​@@dr.k6544 문제점을 단순히 집는 게 아니라 이리저리 따지고 설명하고 있기 때문에 짚는다라고 하죠
@user-kj4zf2xn8w
@user-kj4zf2xn8w Год назад
@@Sarah-pp9zp ㅓㅊㅊㅊㅊㅊ쳐려ㅛㅕㅛ
@ksh7011
@ksh7011 Год назад
휴가 기간에 우연히 유튜브 브라우싱 하다 만난 명강의 감동 이었습니다. 먼 이역에서 깊이 감사드립니다.
@sonsm4881
@sonsm4881 Год назад
주체적 관계성, 대한민국을 명확하게 설명하는 말이네요, 자기 주도적인데 그 가치를 남들을 통해서 인정받으려고 하니 삶이 힘들어지는 것입니다. 자기를 사랑하는 마음이 더 크면 남들의 시선의 스트레스가 줄어듭니다.
@user-iv9wq4cf3y
@user-iv9wq4cf3y Год назад
맞아요. 48살인데 아무것도 않 하면서 책상에 안자있고 낮잠자면 왜 죄책감이 드는지~~~
@user-lo3zi6zm3h
@user-lo3zi6zm3h Год назад
근데 나를 사랑하는게 제일 힘든거 같네요 시장을가도 남편과 아이의 옷과신발은 보이는데 내건 왜 눈에 안들어 오는지
@user-fx2qp8lf7b
@user-fx2qp8lf7b Год назад
@@user-lo3zi6zm3h 그 맘이 소중한 걸 언젠가 아시게 될 겁니다. 가족들도 그걸 알게 되길..
@fuga9
@fuga9 Год назад
지금 우리나라 국민들에게 꼭 필요한 강연이었습니다 가치가 무엇보다 중요한것이죠 기술도 뛰어넘는 의미부여하는 저마다의 가치를 지녀야 겠습니다 멋지네요 감사합니다
@user-zp2pd3dt2p
@user-zp2pd3dt2p Год назад
변태가 아닐까 싶을만큼 독창적인 강의네요. 정말 디테일하고 감동적인데 비유도 너무 적절하시고 대단한 통찰력으로 세상을 살아가시는 분 같네요. 우리나라 정치인들, 기업경영인들이 이런분 100명씩만 있어도 탈 지구급 살기좋은 올바른 국가로 거듭나지않을까 싶네요. 이런 명강의는 태어나서 처음 듣는것 같아요. 잘 들었습니다. 대기업에 제발 좀 강의 나가시길 부탁드립니다.
@user-wn8wx9gi8x
@user-wn8wx9gi8x Год назад
ㅋㅋㅋㅋㅋㅋㅋㅋ 그저 웃지요 ㅋㅋㅋㅋ 고부가가치를 만드는 사람한데, 입만나불대는 사람의 강연을 들어라….ㅋㅋㅋ그건마치 반도체 만드는 사람들 모아두고 달고나만들기 가르치는거랑 뭐가다르니? ㅋㅋㅋ
@svil0livs
@svil0livs Год назад
대기업에 많이 나가신다고 강의중간에..ㅎㅎ
@epsilon___
@epsilon___ Год назад
@@user-wn8wx9gi8x 너처럼 어설픈 논리에 강한 자부심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을 위해서라도 필요한 강연일듯.
@epsilon___
@epsilon___ Год назад
@@user-wn8wx9gi8x 일반인이 심리학자를 '그냥' 심리학자라고 아무런 근거도 없이 까내리는 게 더 이상하지 않을까. 궁금해서 물어보는 건데, 심리학-경제 반도체-달고나 이게 논리적인 비유가 맞다고 생각하는 건가?
@iecos
@iecos Год назад
@@user-wn8wx9gi8x 삐딱하십니다. 좀더 유해 지시기를...ㅎ
@hyunja_infrance
@hyunja_infrance Год назад
저는 해외에서 30년 가까이 오래 살다보니 강사님께서 말씀하신 내용들이 이미 오래전부터 보여서 정말 안타까웠습니다. 이렇게 이해하기 쉽게 정리해서 말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정말 제가 해주고 싶은 말들이었는데 아무도 귀기우려 들어주는 이가 없었어요. ㅠㅠ 강사님 명강의 감사합니다. 오늘부터 강사님 찐팬이 될것 같네요.
@user-xb8wb5ns5n
@user-xb8wb5ns5n Год назад
국민들이 한번씩 들었음 하는 강의네요 감사합니다
@enlightenmentlife39
@enlightenmentlife39 Год назад
좋은 강의 잘 들었습니다. 현재 사람들이 느끼는 어려움은 자기 존재감의 상실이라는 것에 공감하고요. 다만 그것을 실현하는 방향에 대해서는 조금 다르게 생각합니다. 우리나라를 비롯해서 세상이 크게 발전한 것은 분명하지만 상당부분 외형적인 것에 치우쳐있습니다. 불과 얼마전까지만 해도 모두가 누릴 수 있는 문명의 혜택이 부족했죠. 그 관성으로 아직도 성공이라고 하면 외적인 성취나 인기..명예등 인정을 생각한다고 보는군요. 다른 사람에게 인정을 받아야 한다고 하는데 1인 가구가 30%가 넘는 시대는 인간관계 단절의 문제가 크죠. 그래서 앞으로의 진정한 성공은 자기자신과 통하는 것을 바탕으로 한 충실한 삶의 성장이어야 합니다. 자기 전문분야나 관심사등 좁은 의미가 아니라 자신은 물론이고 다른 사람들의 삶의 성장을 돕고 세상의 여러분야에도 관심을 가지는. 즉 나만의 성공에서 많은 사람들과 세상을 위한 한차원 높은 삶이 되어야 한다고 보는군요. 이미 그러한 변화가 곳곳에서 이뤄지고 있습니다. 그냥 정적인 인간관계가 아니라 서로의 성장을 위해 도움이 되는 인간관계라는 것이죠. 그것을 위해 몸과 마음의 건강. 특히 정신건강에 대한 부분. 그리고 대다수가 이룰 수 있는 성공방법에 대한 노하우. 세상전체의 흐름을 바라보는 통찰력등이 필요하고 이것을 서로 교류하면서 사람과 세상의 발전을 위해 살아야 합니다. 즉 껍데기 성장이 아닌 내용물의 성장을 이루고 이 부분에 대해 이전에는 정치인탓, 세상탓이 아니라 모든 사람들이 동참해야 하고 또 누구나 할 수 있는 방향이죠. 모두가 정치인이고 교육자이며 건강 전문가이며 멘토가 될 수 있는 것입니다. 이 관심사는 또 모든 사람의 공통적인 관심사이기 때문에 서로 통하고 평생 함께 할 좋은 인간관계가 될 수 있으며 인간관계와 멘토링 기술이 늘어나며 더 많은 인간관계가 절로 생기게 됩니다. 방향의 전환, 가치관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보는군요. 누가 인정하지 않아도 스스로 가치를 찾을 수 있으며 끊임없이 성장시키고 세상발전의 비전을 가지게 될 것입니다.
@user-sr7ls2nt2x
@user-sr7ls2nt2x Год назад
홍익인간의 진리가보입니다
@urbancat00
@urbancat00 Год назад
교수님의 저서를 봐도 그렇고 이 유튜브를 보면서도 확실히 느낀건 애정입니다. 자신의 연구에 대한 애정, 연구 대상에 대한 애정. 단순히 연구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그 내용을 대중에게 잘 알리기 위해서 노력하는 모습이 인상깊네요. 두유노의 민족에게 어필할 수 있도록 ‘한국인의 특성’같은 워딩으로 뭉뚱거리면서도 구체적인 에피소드들로 하나하나 자세히 이야기 해주시는 모습, 날카로운 이야기는 반어법이나 유머를 써서 침투하는ㅎㅎㅎ 모습을 보면서 정말 이 내용을 알리고 싶어하신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유튜브에 지식인의 이름으로 지식이 아니라 자신을 알리고 싶어하는 사람들이 많이 보이는데, 이 분은 정말 이 지식을 널리 전달하기위해 듣는 사람을 고려하고 노력을 많이 하신 것 같습니다. 좋은 강의 감사해요!!
@user-fx2qp8lf7b
@user-fx2qp8lf7b Год назад
님의 분석이 너무 좋네요.!
@hyunja_infrance
@hyunja_infrance Год назад
위에 교수님 성함과 저서 알고 계시면 공유해주실수 있으세요?? 위에 강의 듣고 교수님 찐팬이 될것 같네요. ^^*
@user-td7fw4fl6i
@user-td7fw4fl6i Год назад
찐팬쯤 될꺼면 검색이라도 해보지 ㅋㅋㅋ
@user-td7fw4fl6i
@user-td7fw4fl6i Год назад
허태균이에요 핑프님
@user-ng2uy2zw2e
@user-ng2uy2zw2e Год назад
집단주의 나 개인주의가 문제가 아니라 이기적인 것이 문제이기도 합니다.
@an2756
@an2756 Год назад
보고 또 봐도 지루하지 않고 가슴에 와 닿는 명 강의입니다.
@user-qd9lz9nq9k
@user-qd9lz9nq9k 4 месяца назад
아직은 깨져다는 말은 이른것 같아요 한국인 핏줄은 인성과 정이라는것을 물려받았고 그게 한국인입니다 세계에 이런 정을 나누는 유일한 한국인 ~~최고
@mayday430
@mayday430 Год назад
교수님 영상 마지막 말씀을 들으면서 문득 친구 한 놈이 생각났습니다. 참 신기하게 인연을 맺은 금수저 친구 한 명 있습니다. 그 녀석은 돈도 많은데 신기하게도 번쩍번쩍하고 화려하며 고급진 곳 보다 허름하고 정감있는 골목 맛집 찾았다면서 항상 그런 곳에서 소주 먹자고 하더라구요. 그 친구 녀석에게 얼마 전 옛 이야기 하며 그 이유를 슬쩍 물어봤더니 솔직히 그런 데는 너무 많이 가봐서 질렸고, 시끄러운 곳이 싫어졌다고 너랑 이야기하고 싶어서 술 한 잔 하는 건데 네 목소리도 안 들리고, 솔직히 이런 곳이 음식도 훨씬 맛있다고 막 웃더라구요. 궁핍한 사회 초년생 때는 그게 전혀 이해가 가지 않았는데 나이가 좀 더 먹은 이제는 이해가 갑니다. 부유한 집에서 부족하지 않은 생활과 엘리트 코스를 밟은 학력까지 물질과 지위를 얻었지만 정작 자신보다 똑똑하고 뛰어난 친형으로 인해 비교 당하며 자랐고, 여지껏 형이랑 술 한 잔 기울인 적이 없다고 하더군요. 그래서 금수저, 고학력자, 스펙쩌는 놈이 아니라 있는 그대로 자기를 봐주고 티키타카 하면 다 받아주고 투닥투닥하는 제가 오히려 제일 편한 형제 같답니다. 뭐 다 그렇지는 않겠지만 저 녀석을 보면 하나를 잃으면 하나를 얻는다는 말도 참 맞는 것 같아요. 그래서 마지막에 눈에 보이지 않는 것으로 착각 하면서 살 수 있어야 한다 라는 말 참 감명 깊었습니다. 저도 물질적인 것만 보고 직진 하는 것보다 남의 이야기를 잘 들어 줄 수 있는 사람으로 착각하면서 살아야겠어요 ㅎㅎ
@user-er4nz9gi7i
@user-er4nz9gi7i 2 месяца назад
강의를 재미있게, 의미를 담고,유쾌,상쾌,통쾌,명확하게 잘하시네요ᆢ 명강의 입니다ᆢ 교수님강의 잘들었읍니다ᆢ 꾸벅!
@user-fx8kd5tp8s
@user-fx8kd5tp8s Год назад
다시 한번 나를 돌아보고 생각할 수 있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user-so3zm7tq7t
@user-so3zm7tq7t Год назад
어릴적엔 이어령선생, 김동길교수님들로부터 이런 강의 들었었는데...다 가시고 이분한테 듣네 ㅠㅠ
@factcheck5923
@factcheck5923 Год назад
아직 20년밖에 살지는 않았지만 인생에서 얻는 게 있으면 잃는 게 무조건 따른다는 걸 깨달았는데 이 영상이 제 깨달음을 너무나도 잘 설명을 해주어서 재밌게 들었습니다. 세상에 공짜는 없다는 말이 괜히 있는 게 아니었네요. 행복도 누군가의 희생으로 인해 얻는 것처럼요
@dock5521
@dock5521 Год назад
실례지만 행복도 누군가의 희생으로 얻는거 설명.예 되나요?^^:
@user-kz8gf8un9p
@user-kz8gf8un9p 5 месяцев назад
불행한행복이네요
@kugmin0617
@kugmin0617 Месяц назад
오...20살...인데..깨달음이...건승하십시요
@user-wl9pc5rx8j
@user-wl9pc5rx8j Год назад
편견이 눈을 덮고 있으면 항상 이상한 것이 눈에 띌 수 밖에. 난 항상 모든 사람을 제로베이스에서 봄. 그 사람의 어떤 눈에 띄는 껍데기도 평가하지 않음. 그건 지나가는 과정일 뿐이니. 오직 그 사람이 하는 말, 행동, 이념 속에 진짜가 있는지만 판단하려 노력함.
@user-qx2fd9pm2w
@user-qx2fd9pm2w Год назад
우와 멋지십니다 그러기 쉽지 않을 텐데ᆢ
@panggal6636
@panggal6636 Год назад
자신의 자아보다 타인의 시선에 더 신경쓰는 사회 자신의 의견을 피력하면 손가락질 받는 사회 물흐르듯 사는게 편하다며 대세에 순응하며 사는 사회 결국 자유민주주의 대한민국은 자유보다 전체집단주의 성향이 강한건 부정할 수 없다
@user-ms9du5cd1t
@user-ms9du5cd1t Год назад
어쩌다 어른 본방때 이미 봤었는데 넘 재미있어서 또 봤네요~^^
@user-hr9id7fz4m
@user-hr9id7fz4m Год назад
아.. 어느 이야기 시작의 이유가 끝에 제대로 있는... 명강의입니다. 책도 참 술술 읽히게 쓰셨던데... 멋진 학자시네요.
@user-ro5lb8ly4w
@user-ro5lb8ly4w Год назад
누가 돈 낼 때 기분나뻐 하는 경우는 존심 쎈사람의 모임일 듯. 대부분은 조건 없이 쏘는 사람있으면 좋아하는 것 같음.
@hwww1538
@hwww1538 Год назад
다들 그랫다면 생색낸다는 말 자체가 없었을듯. 뭘사주는데 좀 거들먹거릴수도있는거잖아, 그런데 왜 생색내는갈 우리나라사람들은 안좋아할까? 교수님 말씀대로인듯
@hyeonji_yun
@hyeonji_yun Год назад
1:31:00 사람들은 TV가 가져다 줄 경험을 원했던 거지. 1:31:11 물건이 가져다 줄 경험이 필요한 거지. 새로운 시각으로 느껴지는 강의였고 감동적이었습니다. 저는 수업시간마다 늘 궁금한게 많았어요. 질문을 하면 상대방이 공격을 받는다고 느껴서 늘 고민을 많이 해보고 물어보는 편인데, 대학생 때 “왜?” 질문을 하자 강사님은 좋은 질문이지만 제가 정답을 알아오고 다음시간에 본인에게도 알려달라 하셨어요.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왜” 라는 질문을 생각하지 않았는지 어렸을 적부터 체득했던 것 같아요. 한국의 역사적 흐름에 따라 뼛 속까지 심어져온 패스트 팔로워이지만 퍼스트 무버가 되기 위한 개개인의 노력이 많이 필요해보이네요.
@solongos453
@solongos453 Год назад
한국사회가 불행한 이유는 관계가 다 깨졌기 때문이고 관계가 깨진 이유는 가정에서의 관계가 깨졌기 때문이고 가족들과의관계가 깨진 이유는 서로 말을 너무 함부로 했기 때문이다. 아무리 친한사이라도 말에 존중이 있어야 한다.
@user-oh1gu1mp7n
@user-oh1gu1mp7n Год назад
ㄷㄷㄷㄷㄷ9
@user-ec8it3ww7y
@user-ec8it3ww7y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맞는말이죠 그런데 저는 배려가 없어졌고 희생정신이 모자라졌구 나만 괜찮으면 오로지나만이여야 그리고 욕심이죠 특히부모재산 그걸로인해서 인성이나타난다는게 요즘 뉴스에서 사고나는거보면 알수있능...
@orengrin9578
@orengrin9578 5 месяцев назад
말도 그렇지만 개개인이 너무 이기적이 되었어요. 애낳기 싫어하는 이유가 희생하기 싫어서거든요 ㅠㅠ 사랑하면 희생은 희생으로 여겨지지않아요. 즉 부모가 사랑을 준다면서 자기욕심을 채웠기 때문입니다.
@user-pg8yueh7v
@user-pg8yueh7v 4 месяца назад
​​@@orengrin9578 힘든걸 하기싫어해요 너무 극단적으로..돈돈돈 그게 모든걸 다 해결해줄것이고 편할것이라 생각하기도
@user-jf7cr4lv7x
@user-jf7cr4lv7x 4 месяца назад
ㅈ​@@user-pg8yueh7v
@JungSungMock
@JungSungMock Год назад
이게 사실이든 아니든 진짜 강의실력은 대단하네요
@Rogie-yi9ii
@Rogie-yi9ii Год назад
사실 맞아요 일본에 살다 와 보세요
@hjson424
@hjson424 Год назад
강의력 인정.
@user-op2jy7bj9u
@user-op2jy7bj9u 7 месяцев назад
결론은 일본가서 보일러공을 하면 된다는거죠?
@hyonamkim6901
@hyonamkim6901 Год назад
정말 살아 있는 말씀... 극 공감합니다. 감사합니다.
@drq7258
@drq7258 Год назад
이런 특이하고 훌륭한 민족이 애들을 낳지 않는다 정말 큰일이다
@user-jz6vh6pm4k
@user-jz6vh6pm4k Год назад
맞아요
@sweetfan3250
@sweetfan3250 Год назад
젊은 사람들 돈이없어 다 포기상태고 부자만 부자 .부의 양극화 현상.법조계.의사만 돈잘벌고 나라공헌이 큰 기술자.과학자등은 돈안되니 지원안함.
@user-mm1rs6og3e
@user-mm1rs6og3e Год назад
그냥 간단히 혼술하고 영상보는데.. 참 내가 왜 부족한지 어디가 잘못됐는지 느끼게 되는 그런 강의네요 가의 잘들었습니다
@estherchoi2369
@estherchoi2369 Год назад
잠든 자아가 확 일어나는 명 강의 진짜 좋은 내용 현재 우리가 겪고있는 문제점을 제대로 집네요. 자아가 깨어나는 시간을 만들어 주신 강사에게 박수를 보냅니다. 보고 또 봐도 지루하지 않고 가슴에 와 닿는 명 강의입니다. 자아가 깨어나는 시간을 만들어 주신 강사님께에게 박수를 보냅니다
@user-sv1ho6zb1c
@user-sv1ho6zb1c Год назад
@m-slee5890
@m-slee5890 Год назад
많은것을 깨닿게하고 감동을 주는 강의입니다. 특히 “버려진 것들의 역습” 부분이 많은 생각을 하게 합니다. 앞으로 한국사회가 단순히 양적인 성장보다. 질적인 성장으로 바꿔가야하겠네요.
@user-uu4dk6nu2t
@user-uu4dk6nu2t Год назад
와~ 대박입니다. 지금까지 제가 알지 못했던 생각의 정답의 모든 것을 알았습니다. 우연히 클릭을 했는데 정말 보물 강의 들었습니다. 정말 대단하십니다. 존경합니다, 교수님 ♡♡♡ 정말 대한민국 최고의 상 드려야 될것 같습니다. 강의료 아끼지 마시고 팍팍 좀 쓰세요~ 잘난 님들
@user-fi2qu9ld5f
@user-fi2qu9ld5f Год назад
교수님 성함이름이 궁금합니다
@namu99995y
@namu99995y Год назад
와 정말 정말 좋은 강의입니다! 명강의 감사합니다!
@user-qe2yy1zt5r
@user-qe2yy1zt5r Год назад
상황에 맞게 상대에 맞게 장소에 맞게 시기에 맞게 현명하게 대응하는 민족이지요
@nupttics
@nupttics Год назад
진짜 좋은 강의입니다.
@user-ov3gr6ey1b
@user-ov3gr6ey1b Год назад
보일러공 이야기는 제가 겪은 바로는 우리 나라도 좀 비슷해요. 제가 겪었는데 대중목욕탕 탕내 문짝이 고장나고 수리하는 아저씨가 오셨어요. 처음엔 사우나에 다 숨어 있다가 정말 몇분도 안되서 못 참겠다 아저씨는 수리 하이소 하고 다 나와서 목욕 했어요. 물론 난 ㅜㅜ 못 나갔지만 ㅋㅋㅋ 주로 할머니랑 중년 여성들였지만 그때 겁나 쿨해 보였음 ㅋㅋㅋㅋ
@user-ej5py3po9r
@user-ej5py3po9r Год назад
나이 드실만큼 드신분들은 오히려 신경 안쓰거나 즐김 ㅋㅋㅋ
@sswc79
@sswc79 Год назад
수리하는 동안 숨어있다가 에라 모르겠다 하는 거랑 평상시랑 똑같이 목욕하고 있을 때 남자가 들어가서 수리하고 그걸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는 거랑 비슷해요?
@user-oe3gn8jp9i
@user-oe3gn8jp9i Год назад
남화장실청소아줌마 신경안씀
@shpark8871
@shpark8871 Год назад
비슷하진 않죠. 신경을 안쓰는거랑 신경쓰이는데 어쩔수 없는거랑은 엄연히 다릅니다
@FGFGD629
@FGFGD629 Год назад
100%랑 60%의 차이라는거죠 말의 문맥을 파악합시다
@user-ed9hg8cw9g
@user-ed9hg8cw9g Год назад
명강의 잘 들었습니다. 당당한 내가 자랑스럽스러워요
@user-xg1tj3ew5j
@user-xg1tj3ew5j Год назад
한참정신없이 잘들었읍니다 명강의 감사합니다 건강하세요
@user-xy1fo3xg6m
@user-xy1fo3xg6m Год назад
강의를 많이 듣고 연구하고있지만 정말 디데일하고 세세하게 짚어주는 강의가 별로 없었는데 집단이냐 개인주의는 서구의 특징인데 무엇보다 건강을 으뜸으로 한 것이 인상적이었습니다.
@user-sf3mp8rn2t
@user-sf3mp8rn2t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user-sf3mp8rn2t
@user-sf3mp8rn2t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1
@user-sf3mp8rn2t
@user-sf3mp8rn2t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user-sf3mp8rn2t
@user-sf3mp8rn2t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
@user-sf3mp8rn2t
@user-sf3mp8rn2t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
@generalhero815
@generalhero815 Год назад
1:04:40 와........ 이거 진짜 겁나 맞는 말이네..... 제대로 팩트를 후려쳤다 ㄷㄷ 여유를 갖자는 말을 저런 짬짜면의 음식으로 비유를 하다니 대단하다;;
@cho-mp7hi
@cho-mp7hi Год назад
편하고 좋은것이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키는것이 문화이고 가치이다.. 스티브잡스는 단순히 기술력에만 중심을 두지않고 다른경험을 하게 하고 싶었다, 패스트 팔로우어와 퍼스트무버의 차이, 너무나 감동적인 강의입니다
@rlwjddms9126
@rlwjddms9126 Год назад
한턱 쏜다.. 진짜 공감하는게... 저도 그렇고 주변에도 그렇고 5만원 복권만 당첨되어도 커피한잔이라도 쏘더군요 ㅋㅋ
@KST7777TR
@KST7777TR Год назад
와 잼있네 ㅋㅋ강의가 귀에 쏙쏙 들어오네요~ ㅋㅋㅋ 자기를 한번 돌아보게 되네요~
@SYW2
@SYW2 Год назад
공감합니다. 왜 우리가 불행하다고 생각하는지 알고는 있어야 겠습니다. 안다고 한순간 바뀌지는 않겠지만.... 알면 개선의 여지라도 있으니까요.
@user-cc5pc5mx3r
@user-cc5pc5mx3r Год назад
이태원참사로 슬퍼하는 국민과 젊은청년들의 조그만 위로가 월드컵16강진출인것 같다 광화문에 응원하는 젊은이들 또는 이땅에 젊은이들 새로운 희망으로 앞으로 나아가세요 대한민국 화이팅
@c-as12cy86
@c-as12cy86 Год назад
ㅂㅅㅇ가 참사하고. 16강하고. 뭔상관인데. 신천지가? 십알단이가? 친일파가?
@user-yh9ix3vd8h
@user-yh9ix3vd8h Год назад
겁나서 사람많은데 못감 축구를 좋아하는건가 그새 사람많은곳에서 사고가 났다는걸 잊은건가
@user-xk2cw9gy9v
@user-xk2cw9gy9v Год назад
바다 상어 들을때 이태원참사가 딱 떠오르는 이유는 몰까?
@Sunny-xu1cu
@Sunny-xu1cu 4 месяца назад
어린시절의 경험들이 평생감 공감과 배려, 격려, 칭찬들…
@ysh3558
@ysh3558 Год назад
다시봐도 정말 유익하고 재미있는 명강의!
@qrdthh
@qrdthh Год назад
이건 진짜 외울때까지 몇번이고 봐야겠다
@user-nu6gs6ei1m
@user-nu6gs6ei1m Год назад
🙂많은 생각을 하게해주는 유용한 내용이었습니다 항상 감사하며 시청하고 있습니다😄**
@user-wr7qr7ou2n
@user-wr7qr7ou2n 2 месяца назад
훌륭한 강의 감사합니다.
@babbitt11
@babbitt11 Год назад
적절한 비유와 예시 정말 훌륭한 강의입니다. 귀에 쏙쏙
@user-nm1en2jz1y
@user-nm1en2jz1y Год назад
새해에 좋은 강의를 들어서 참 다행~좋은 경험을 했습니다.최고
@jambread848
@jambread848 Год назад
와..... 저 평생 단 한번도 짬짜면 안 시켜 본 사람이여요! 맞아요 저는 내일 짬뽕 못 먹을까봐 걱정한 적이 없어요. 도대체 왜 남들이 짬짜면 같은 걸 시키나 자주 생각했어요 ㅋㅎㅎ
@user-by3yh4oo8p
@user-by3yh4oo8p Год назад
남이 먹는게 중요한게 아닙니다 본인이 중요한거죠 짬짜면이 나쁜게 아니라 짬짜면으로 어느 하나 제대로 못먹었다는 인식을 가지면 불행한거죠 제대로 먹는다의 양과 질은 개인마다 차이가 있기 때문이죠 느끼한걸 많이 못먹어서 먹을땐 맛있지만 많이 못먹는 경우는 진짜 좋은 메뉴 행복을 정의를 다른 사람에게서 찾지 마시길 다른 사람에 의해 내 정의와 행복은 바뀌는 겁니다 여기서 정의는 무엇에 대한 나의 판단
@elle_lee
@elle_lee Год назад
짜장시켰눈데 옆에서 짬뽕시키면 짬뽕먹고싶고 내가 짬뽕시켰는데 옆에서 짜장시키면 짜장먹고싶거덩요
@user-by3yh4oo8p
@user-by3yh4oo8p Год назад
취향은 다양하니까요
@user-xy5mq3hf3b
@user-xy5mq3hf3b Год назад
멋진 명강의네요,
@dongwolyang4627
@dongwolyang4627 Год назад
유머있고. 명강의다~~숨죽이고 봤네요~~
@user-ro5lb8ly4w
@user-ro5lb8ly4w Год назад
법을 잘 지키고 안지키고는 국민 고유의 특성이 아니라, 상황(적발 확율, 적발시의 벌칙)이라고 보아야 할듯. 벌금 몇 번 쎄게 내면 금방 바뀜.
@HaHa-ng4vk
@HaHa-ng4vk Год назад
금방은 안바뀔걸 이런건 국민성 즉 교육과 사회분위기가 얼마나 빠르게 변하나가 제일 큰거같음
@user-mz3do7qd8m
@user-mz3do7qd8m Год назад
사실상 사회 분위기임
@sjn7694
@sjn7694 Год назад
@@HaHa-ng4vk 교육이라 하면 우리나라는 법을 잘지키는나라 다섯손가락에 들어야 맞지 않을까요?
@user-jo9kp4vw8s
@user-jo9kp4vw8s Год назад
금방 바뀌는데 또 금방 잊음.
@msdigital7065
@msdigital7065 Год назад
억지로 따르겠지. 그러나, 그 심성이 어디가나 억울해 죽지. 불행해 질 뿐이다. 강연 내용처럼. 중요한건 그러고 있는 우리를 인식하는 것이다. 그래서 억울한 마음을 갖지않도록 마음을 바꾸는거다.
@dwilliams6305
@dwilliams6305 Год назад
영국에서 이 강의를 들어면서 이 강의 중요성을 보태고 싶습니다
@user-jo9kp4vw8s
@user-jo9kp4vw8s Год назад
좋다ᆢ변화의 시대에 필요한 생존전략. 소프트웨어 가치ᆢ한사람의 사회문화와 인간에 대한 통찰력이 누군가의 삶에 등불이 되어주는군요ᆢ이것이 공부해야하는 이유겠지요.
@user-vj8sw2wu2f
@user-vj8sw2wu2f Год назад
지금 시대에서도 주체성을 가지고, 사회적 관계에서도 인정을 받으며, 스스로의 존재감을 느낄수 있는 방법은 옛날이나 지금이나 오직 소질을 개발하는 것 뿐입니다.
@user-cq1ep7sm4c
@user-cq1ep7sm4c Год назад
넘재밋고 구체적으로 분석하니 좋읍니다!
@user-wz3pq5gt7e
@user-wz3pq5gt7e Год назад
감사합니다 저는 60대후반 입니다 반성하고 남은시간은 소통하면서 살겠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user-bo6cd1qn5u
@user-bo6cd1qn5u Год назад
오랫만에 우리를 돌아볼 시간이었습니다.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user-ep7xn5dy3n
@user-ep7xn5dy3n Год назад
56:03 복합유연성 ; 순환적이고 복잡한 복합적인 관계로 인식 1:10:53 선택에 따른 리스크 감수 사실을 모르면서 억울해 한다. 1:12:10 공정한 사회 1:13:14 세상에 공짜는 없다
@user-iq7mm2sl3y
@user-iq7mm2sl3y 8 месяцев назад
허태균 교수님 강의 재미있고 의미깊게 들었습니다.
@Ikmujn
@Ikmujn Год назад
중간 중간 화두에 맞춰 배경음악이 바뀌는데.. 배경 효과음 위력에 실감. 몰입도 긴장감 집중도 배가되는 것 같음.
@myungimsuh4654
@myungimsuh4654 Год назад
많은 걸 생각하게 하는 유익한 시간이었습니다. 강사님께 감사드립니다.
@myungimsuh4654
@myungimsuh4654 Год назад
허태균 교수님, 많은 점에 공감합니다.
@user-dv7ri8zz7y
@user-dv7ri8zz7y Год назад
마지막 부분에서 가슴에 먼가가 훅~들어오네요^^ 명강의 감사합니다
@user-pt9tv1ni2i
@user-pt9tv1ni2i 7 месяцев назад
감동적인 강의. 이제부터라도 좀 천천히 가더라도 소중한 것들을 챙기면서 갑시다
@user-cb5th1tm9s
@user-cb5th1tm9s Год назад
내가 좋아하는게 없는게 아니라~사회적 맥락에 따라 다양한좋아하는 거를 준비해 놨어요~ 무릎팍 탁
@seonmokim
@seonmokim Год назад
상대방의 질문에 기준해 긍정 부정이 바뀌는 우리나라 언어 형태는 상대의 주장이나 질문에 부정할때 사실을 묘사하는게 아니라 상대의 주장 자체를 부정하는 형태이므로 우리 사회가 특히 토론을 어려워하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부부싸움도 잦은거겠죠... 자꾸 말꼬리 잡고, 사소한 뉘앙스에 감정이 상해버리거든요
@user-ek8eo5ii9j
@user-ek8eo5ii9j 5 месяцев назад
맞는 말씀인것 같습니다 이런 원리를 알아 차리고 교모한 언변으로 정치 경제 분야에 자기 이익만 취하는 인간이 많은것 같습니다 언어가 인간 소프트웨어의 최고 중요한 요소인데 우리나라는 아주 어려운 언어로 프로그래밍 할려니 작동이 쉽게 되지 않고 오류가 빈번한 사회로 되었는것 같습니다.
@user-db1cu4ic2f
@user-db1cu4ic2f Год назад
한국인의 정서는 단지, 예스, 노, 로 설명할수없는 무언가가있다~
@86yimhj
@86yimhj Год назад
정신적인 가치를 우선하고 배우고 가르쳐야 할때가 왔군요..양적 성장으로 어른은 됐는데 질적성장을 못해 정신이 아직도 어린 대한민국
@user-hz1bh9tt1k
@user-hz1bh9tt1k Год назад
정말선생님은 우리나라명강의를 하십니다 무식한제가들어도 머리에쏙쏙 들어옵니다 고등학교 대학교에서 강의를 많이해주시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우리학생들이 한번강의 롤 들어보면 머리가확트일걸로 생각되네요
@MyoungSKim-jc6hv
@MyoungSKim-jc6hv Год назад
정말 좋은 내용입니다. 모드 것에는 반드시 과보(결과)가 따른다는 시다르타의 깨달음을 우리 사회의 현실에 비춰 설명하고 설득하심이 놀랍습니다. 이 분 성함 혹시 아시나요? 어는 대학에 계신지요?
@user-sk3vr9fq4r
@user-sk3vr9fq4r Год назад
감사합니다 혼돈의 세상 위로가 됩니다..
@user-em2sx5iu5x
@user-em2sx5iu5x Год назад
몇 번을 봐도 지루하지도 않고, 볼 때마다 놀랍습니다~
@partysolo5861
@partysolo5861 6 месяцев назад
41:46 아.. 너무 감동적이다 진짜 역사적으로 봐도 가슴아픈 역사들밖에 없으니까 이렇게 기를 쓰고 관계성과 주체성에 집착하는 한국인들의 특성이 아닌가 싶어요
@connieyoung278
@connieyoung278 Год назад
What a insightful and inspirational speech!
@user-xv2wd6tc8y
@user-xv2wd6tc8y Год назад
교수님 강의를 3번째 다시 보고 있습니다 다시 봐도 가슴이 찡합니다 감사합니다
@user-ur5ft6tg6n
@user-ur5ft6tg6n 5 месяцев назад
가치관이 선진화되어 오천만이 모두 승자가 되고 행복한 사회가 바람직..
@zzamieya
@zzamieya Год назад
진짜 명강의 감사하다는 말밖에 드릴수 없네요
@user-xw2wu7kx7r
@user-xw2wu7kx7r Год назад
와 강의 멋있다.........................
@user-co2gg7hh7l
@user-co2gg7hh7l Год назад
많은걸 반성하고 많은걸 느끼고 많은걸 얻어갑니다 ~~
@Giggle958
@Giggle958 Год назад
반대로 얘기하면 관계주의적 성격에서 끝나지 않고 실리주의를 끌어왔기 때문에 더 가치있는것을 추구하는거네요. 이런 것처럼 저는 어느 사회 문화든지 적절함 조화를 같이 지키려는 태도를 갖춰가는게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luluk7905
@luluk7905 Год назад
좋은강의 감사합니다.
@jeichina76
@jeichina76 Год назад
중산층 기준을 보면.. 서양기준 또한 경제적 여유가 있어야 생각하고 돌아볼수 있는 것들이네요. 결국 같은 겁니다.
@user-yt9de9we8f
@user-yt9de9we8f Год назад
허 교수님 잘들었습니다 시간나면 다시 들어야겠네요
@mulgoosul
@mulgoosul Год назад
너무 좋은강의 였어요 잘들었습니다!!♡♡♡
@user-mb7nc9ln5u
@user-mb7nc9ln5u Год назад
너무 너무 콕콕 찝어 몰랐던 나를 발견하는듯한 강의...다시 들어도 명강
@user-xx5uu1hh9v
@user-xx5uu1hh9v Год назад
참 명강의네 메시지가 있는...
@user-bv9xi9dv4d
@user-bv9xi9dv4d Год назад
참현명하시고 사람냄새가 나는분입니다 좀더적게가지면어떻고 내가 좀느리면 어때요 내자신의 보이지않는 걸사랑하며 우리가족 과 사랑하면서 살겠읍니다 너무나 유쾌한 시간이였읍니다 오래만에 맡내요 사람냄새
@user-fq6rd2ql4f
@user-fq6rd2ql4f Год назад
재미있게 잘 풀어주시니 귀에 쏙쏙 박힙니다.
@gnl1346
@gnl1346 Год назад
진짜 동감되고 그럴듯하다.
@yoa-k2664
@yoa-k2664 Год назад
교수님 강의~ 100% 동감입니다
@user-ck4ut1bc1b
@user-ck4ut1bc1b Год назад
들으면 들을수록 공감되는 명강의 이시네요
@user-my7us6uu1m
@user-my7us6uu1m Год назад
배움의 시간 이었습니다.감사합니다
Далее
an unusual culture that exists only in Korea
30:41
Просмотров 2,1 млн
#фильм #кино #фильмы
0:50
Просмотров 3,7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