Тёмный

원자력 발전소는 어떻게 작동할까? [2편] 원자력 발전소의 구조와 작동방식 

bRd 3D
Подписаться 359 тыс.
Просмотров 105 тыс.
50% 1

이 영상은 원자력 발전의 기본 원리와 이해를 위해 제작했으며
한국수력원자력의 제작 지원으로 만들었습니다.

Наука

Опубликовано:

 

29 июн 2023

Поделиться:

Ссылка:

Скачать:

Готовим ссылку...

Добавить в:

Мой плейлист
Посмотреть позже
Комментарии : 311   
@user-sw1hp8py6s
@user-sw1hp8py6s Год назад
APR1400근무하는 한수원 직원입니다.전문 교육자료를 써도 될만큼 퀄리티가 좋습니다 엔지니어로 현업 하시는 분이 만드셨다고 착각이 될만큼 깊이가 있습니다. 우리나라 소프트 기술발전에 큰 기여를 하시는 것 같아 늘 응원 하고 박수쳐드립니다.🎉
@user-rz8tj7ti9q
@user-rz8tj7ti9q Год назад
고생 많으십니다 덕분에 더운날 에어컨 잘 켜고 있습니다!
@Hyunjil98
@Hyunjil98 Год назад
한수원 지원으로 만든거일껄요
@wtj5723
@wtj5723 Год назад
어딜가든 기어나오는 현직 직원입니다 😂😂 진짜 팩트도 인증도 없고 나 현직 이런사람인데요 대단합니다 😅😅 그렇게 관심을 받고싶나 정신병자들😢😢
@user-mc8qn3om9z
@user-mc8qn3om9z Год назад
​@@Hyunjil98뇌피셜ㄴㄴ
@Hyunjil98
@Hyunjil98 Год назад
@@user-mc8qn3om9z 영상 설명란에 한수원 지원으로 만들었다라고 써 있음
@user-ud1id6kv7y
@user-ud1id6kv7y Год назад
감사합니다.너무 좋은 퀄리티의 영상입니다. 소소하지만 감사의 마음을 담아...
@Alderbridge
@Alderbridge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무지를 깨우칠때 정치적 싸움이 줄어들고 시간적 에너지적 낭비가 줄어들것입니다. 그런점에서 이런 영상의 가치는 대단합니다
@user-ie7yf1cy3y
@user-ie7yf1cy3y Год назад
현업에 종사하고 있는 사람입니다. 좋은 퀄리티의 영상을 만들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user-im1tw5iv2t
@user-im1tw5iv2t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ㅌ😊ㅡ😊ㅡ😊😊😊😊😊😊ㅡ😊😊😊😊ㅡ😊😊😊😊ㄷ😊😊😊😊ㅡ😊😊😊ㅡㅡ트ㅡㅡㅌ😊😊ㅡㅡ😊트😊ㄷ😊ㅡ😊뜨트ㅡㅡㅌ😊드ㅌ
@user-im1tw5iv2t
@user-im1tw5iv2t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ㄷㄷ
@limyh1982
@limyh1982 Год назад
이분은 뭐하시는 분일까...이분은 국가에서 지원좀 해줘서 이런 영상좀 많이 찍으라고 하고 싶다. 정말 대단하다
@kaneshin6650
@kaneshin6650 Год назад
현업에 종사하는 한수원직원입니다. 높은 퀄리티로 좋은영상 만들어 주셔서 늘 감사드립니다. 교육자료로 손색이 없습니다. 원자력발전소 원리를 쉽게 설명 잘하셨네요🎉 응원합니다.
@betrue4356
@betrue4356 Год назад
이분이 만드는 영상은 현업에서 종사하는 분들이 교재로 사용해야 한다고 매번 칭찬을 함. 한두번이 아님~ 쭉, 응원합니다.
@1.5ryu
@1.5ryu Год назад
항상 감사드립니다. 이런 자료 덕분에 우리나라 공학이 더욱 살아나길 바랍니다.
@joohanq
@joohanq Год назад
아주 잘 만드셨는데 수정할 게 한 가지 있네요. 천연 우라늄을 사용하는 중수형 원자로에서 중수를 사용하는 이유는 중수가 경수보다 중성자를 덜 흡수하기 때문입니다. 중수소는 보통 수소 보다 중성자 감속 능력은 약합니다. 한편, 중수소는 그 원자핵이 양성자와 중성자 하나씩으로 이미 짝을 이루고 있기 중성자 흡수를 잘 안하려고 합니다. 반면 보통 수소핵은 중성자 하나를 흡수해서 짝을 이루어 안정해지려고 합니다. 그래서 보통 물은 중성자를 잘 흡수하는 물질이기도 합니다.
@mine695
@mine695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아마 이야기하면 길어져서 그렇게 간단하게 말씀하신걸지도요? 안그러면 감속능하고 감속비를 다 설명해야하니..
@user-me6nj5gc1x
@user-me6nj5gc1x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교수님 감사합니다.
@user-k06gh7fp9z
@user-k06gh7fp9z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이분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장에 서울대학교 교수이시네요. 성함 : 주한규 님
@heroes8143
@heroes8143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쉽게 말하면 영상에서는 중수의 역할을 질로 설명했지만 사실 양으로 반응성을 좋게만든다는 뜻인가
@noizel1990
@noizel1990 Год назад
원자력 발전소가 엄청 튼튼하게 지었다고 말만 들었지 저 정도로 무지막지하다 싶을 정도로 튼튼하게 지었을 줄은 상상도 못했습니다. 덕분에 오늘도 새로운 지식을 얻어갑니다. 우리나라 원자로에 더욱 신뢰가 생기네요.
@cringe6477
@cringe6477 Год назад
지난 영상들을 정주행하고 느낀 점.. 진짜 세상에는 굉장한 능력을 가진 분이 많구나.. 라는 점입니다. 뭐랄까.. 잡다한 군더더기 싹 빼고 핵심원리만 머리속에 강제로 입력당한 느낌? 시험 정답 답안지 몰래 봤을때 느낌 같네요. 영상 너무 좋아요~
@nickyoon956
@nickyoon956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이런거 정부기관에서 교육자료로 써주세요. 너무 이해하기 쉽게 잘 만들어주시네요.
@user-bq4pu8mj5v
@user-bq4pu8mj5v Год назад
영상 퀄리티도 대단한데 공학지식도 대단하시네요. 어려운 내용을 이렇게 쉽게 설명할 수 있다는건 물리학적 공학적으로 완벽하게 이해할 때 가능할겁니다..무슨일을 하셨는지 모르겠지만 대단한 두뇌를 가지신분인것 같네요.
@ish20951
@ish20951 Год назад
항상 감사합니다. 정말이지 유익한 시각화 자료입니다. 고생 많으셨고, 앞으로도 응원하겠습니다. 😊
@user-jl3pl9sm6d
@user-jl3pl9sm6d Год назад
외람되지만, 5:20 의 중수가 사용되는 이유가 실제 이유와는 다릅니다. 중성자는 더 가벼운 물질과 부딪힐때 더욱 감속이 많이 됩니다. 당구공을 예시로 들 수 있는데요, 당구공1이 동일한 무게인 당구공2와 부딪히면, 탄성충돌을 통해 당구공1은 속력이 0이되고, 당구공 2는 당구공 1이 가졌던 속력을 가지게 되는 것이지요. 하지만 당구공1이 본인보다 훨씬 더 무거운 물체 (예를들면 벽) 과 부딪히면당구공의 속도는 감속되지 않고, 그대로 튕겨 나가는 것을 볼수 있습니다. 여기서 당구공1을 중성자, 당구공2는 경수, 벽은 중수로 대입할 수 있겠습니다. (실제로 중수는 경수에 비해 그정도로 무거운것은 절대 아니지만, 예시로 든 것입니다. 굳이 대입하자면 벽은 우라늄 238 정도가 맞겠습니다.) 중수로가 천연우라늄을 사용할 수 있는것은, 경수에 비해 중수의 중성자 흡수율이 월등히 낮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더 적은 중성자가 발생하는 천연우라늄을 사용하더라도, 중수에 흡수되는 중성자 수가 경수에 비해 매우 작기에 중수로에서 천연우라늄을 사용할 수 있는 것입니다 :)
@Alderbridge
@Alderbridge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하아 이렇게 훌륭한 설명을 저도 어서 이해해봐야겠습니다
@Myo227
@Myo227 3 месяца назад
맞습니다 경수가 중수보다 중성자 감속능(중성자 산란 고려) 이 좋고 중수를 사용하는 주요 이유는 감속비(중성자 흡수도 고려) 가 중수가 좋기때문입니다
@user-su5rt2dk8p
@user-su5rt2dk8p Год назад
꾸준한 영상 감사합니다.이런게 유튜브의 순기능이죠 굳이 알려고 하진 않았지만 알게되어 관심이 가고 찾아보게되는 과학의 세계란 ㄷㄷ
@bjlee3170
@bjlee3170 8 месяцев назад
UAE 현지 APR1400에서 근무했던 한전kps 직원입니다. 영상을 보면서 알고 있는 내용을 한번 더 총괄적으로 정리할 수 있었습니다. 저뿐만 아니라 많은 사람들이 원자력 발전소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졌을 거라고 확신합니다 감사합니다!
@user-vo1jd1zc8m
@user-vo1jd1zc8m Месяц назад
Skrr
@KyutaeJung-yo8ud
@KyutaeJung-yo8ud Год назад
매번 감탄 하고 있습니다. 존경합니다. 당신 같은 분이 세상을 바꾸는 핵심 인물이라고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더욱 더 많은 사람에게 전문 지식을 쉽고 재밌게 전달하셔서 세상을 바꿔주시길 바랍니다.ㅎㅎ
@user-bo6bg4jt5p
@user-bo6bg4jt5p Год назад
전에 원자력 원자로 RCP( reactor cooling pump) & 터빈 오버홀 일한 경험이 있음 , 1편과 더불어 애니메이션으로 거의 완벽한 설명입니다. SMR( salt moten reactor)이 상용화 되기를 기대합니다. 😍
@Teelddak
@Teelddak Год назад
RCP 정말 중요한 기기입니다. 개발도 어렵고 미국인들 개발해 놓은 것들 보면 속으로 감탄을 합니다.
@brandenjeong7058
@brandenjeong7058 Год назад
SMR은 Small Modular Reactor(소형모듈원자로)입니다. MSR(Molten Salt Reactor:용융염원자로)과 헷갈리셨나봅니다.
@user-wj9ln7ny2d
@user-wj9ln7ny2d Год назад
제목의 내용 말고도 원자력 발전소 사고 관련된 내용이나 미래에너지기술에 대한 내용까지 담겨있어서 너무나 알찬 영상입니다. 정말 훌륭합니다!
@user-dd3dp3uh2y
@user-dd3dp3uh2y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카이스트 학석박 졸업하고 원자력 연구원에서 선임연구원으로 있습니다. 저도 몰랐던 부분 배워갑니다... 대단하세요 정말
@DKKANG12
@DKKANG12 Год назад
항상 감사합니다 몸건강도 챙기시면서 작업하세요
@mostksh
@mostksh Год назад
너무나도 기다렸습니다! 늘 감사합니다!
@tv-yn5xx
@tv-yn5xx Год назад
이해하기 쉽게 잘만드시네요 영상 최고이니다
@dpk5036
@dpk5036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영상으로 이렇게 보니 이해하기 엄청 쉽네요 좋은 자료 너무 감사합니다!
@JHJ510
@JHJ510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지식도 지식이나 프로그램으로 모든 영상제작까지 참으로 대단하신 ^___^
@user-cn7gt4es4s
@user-cn7gt4es4s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와 진짜 수준높은채널이네. 이 수준높은 주제를 쉽게 설명해주다니
@user-fu3rq1jg7w
@user-fu3rq1jg7w Месяц назад
우와~ 참잘만들었네요 ㅎ 원자력발전소가 항상궁금했는데 많은도움돼었네요 이런분들은 국가에서 키워줘야한다고봅니다 감단했읍니다 애니메이션으로보니이해도쏙쏙 다음영상은 무었일지 벌써부터 기대가엄청됩니다 감히 감사드립니다~
@jabgsuxba8w779
@jabgsuxba8w779 Год назад
너무 잘만들었네요 많은 분들이 보셨으면..
@gomdolri
@gomdolri Год назад
감사합니다 덕분에 원자력 발전소를 만들었습니다😊😊😊
@Vinus-0408
@Vinus-0408 Год назад
체르노빌이나 후쿠시마는 엄연히 안전불감증과 설계결함에 의한 인재이고 원전 자체는 매우 안전한 발전수단입니다 다만 사고가 나면 답이 없기 때문에 늘 조심하고, 관심을 가져야 하죠
@yongkim5826
@yongkim5826 Год назад
@@jeffkang3146 우주선을 싸게 만들지 않는한, 비싸게 돈주고 핵폐기물을 보내려는 국가는 없을 것 같네요. 원전은 결코 싼 값의 전기가 아닙니다. 진짜 비싼 전기입니다. 현재 우리가 모를뿐.
@passenger-bf9oj
@passenger-bf9oj Год назад
​@@yongkim5826원전이 가장 저렴하고요 발전원가에 거의 모든 비용이 포함되어 있어요
@지성주의
@지성주의 Год назад
​@@jeffkang3146그런 논리면 다른 방식의 모든 발전소도 똑같은 문제를 안고 있는데? 기체 형태로 통제가 안되는 대기 오염 vs 고체 형태로 통제가 돠는 핵폐기물 어느게 더 나을까?😂 마치 전기차 시대가 되면 폐전지 어떻게 하냐고 주장하는 꼴이네
@user-kx8fc1sz2o
@user-kx8fc1sz2o Год назад
⁠@@지성주의이분법으로 비교하기엔 사용후 폐기연료봉의 방사능 반감기가 만년단위입니다 또한 전력생산은 원자력발전소가 이상적이겠지만 사고발생시 손실비용이 측정불가라 일반 화력발전과 비교하기엔 어패가 있습니다
@skynet5271
@skynet5271 Год назад
@@user-kx8fc1sz2o 이걸 보면 폐연료 처리 기술 연구 하시는 분들이 힘빠지겠어요... ㅠㅠ 이미 핵무기가 있는 나라들은 재처리 기술을 사용하고 있고, 우리나라는 플루토늄 축적을 회피하기 위한 기술을 연구중이고 어느정도 성과도 있습니다.
@nocussingzone1686
@nocussingzone1686 Год назад
항상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감기여요
@감기여요 Год назад
1 개월만의 업로드.. 빨리 올라왔네요 감사합니다
@user-zl4qq7hv5o
@user-zl4qq7hv5o 8 месяцев назад
맨날 책에서 그림만 보다가 애니메이션 보니까 쏙쏙 들어오네요 1일 1회 정주행하면 전체계통 이해 금방 될 것 같아요 감사합니다
@Minkizero
@Minkizero Год назад
원자력 발전을 이해하는데 큰힘이 되었습니다
@morangooo
@morangooo Год назад
감사합니다. 항상 절하고 봅니다.
@fixerchang2620
@fixerchang2620 Год назад
오 곧 30만🎉🎉 미리 축하드려요. 구독하고 봐요 우리😅
@shin7673
@shin7673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그냥 저 모든 과학과 공학기술들이 경이롭네요...영화나 소설속 마법보다 현실의 과학이 백배 더 신기해요. 이과최고
@hackpir
@hackpir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정말 상세히 잘만들어줘서 이해가잘되요
@o5-998
@o5-998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APR+ 구조 항상 궁금했는데 영상보니 쉽게 이해되네요
@dongsig1
@dongsig1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정말 엄청난 퀄리티의 영상이네요. 고등학교에서 모든 학생에게 보여줘야 합니다.
@Don_Hahm
@Don_Hahm Год назад
아이고 늘 너무 감사합니다~~😍
@kingstar8863
@kingstar8863 Год назад
대단한 내용이네요!!
@Shine-dn6us
@Shine-dn6us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너무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해요.
@eorkfl7777
@eorkfl7777 Год назад
넘 유익하네요🙃
@user-bv3wv3tz4p
@user-bv3wv3tz4p 4 месяца назад
사실 원자로의 출력제어는 제어봉이 아니라 원자로냉각수의 붕산농도로 제어합니다. 제어봉은 항상 100% 위로 올라가있고 중앙제어실에서 붕산의 농도를 계산및 투입하는 형식입니다. 또한 원자로 냉각수의 수질은 증류수보다 불순물이 없는 상태로 운용합니다. 원자로 냉각수에 불순물이 섞여있다면 배관의 손상이 일어날수있기에 증류수보다 더 순수해야하기때문입니다. 이를 위한 냉각수여과시설도 따로 부지안에 지어놓습니다.
@neurowhai
@neurowhai Год назад
유익한 영상 잘 봤습니다!
@LawJoon
@LawJoon Год назад
이 영상보고 소형원자로 만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iu5tc3gc8u
@user-iu5tc3gc8u Год назад
👧아~ 완벽히 이해했어!
@KBKim-jt6uj
@KBKim-jt6uj 9 месяцев назад
감사합니다 저희집에도 소형 원자로 만들수 있을만큼 쉬운 설명이네요
@hyunjushin3506
@hyunjushin3506 4 месяца назад
원자력발전소에 대해 좀 더 중립적인 시각을 갖는 데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이해하기 쉽게 제작해주셔서 너무 감사하네요. 하지만 아직 핵연료봉 처리가 해결되지 않은 숙제라...이 부분이 해결되기 전까지는 전기를 아끼고 또 아껴 쓰는 수밖에 다른 방법이 없지 않을까 싶어요.
@kbluepet
@kbluepet Год назад
고생하셨습니다😂
@user-mp5yk9cl3k
@user-mp5yk9cl3k Год назад
형 같은 사람이 진짜 멋쟁이야...
@user-lp8uw3hs6p
@user-lp8uw3hs6p 6 месяцев назад
이해가 잘 되네요🎉
@user-vm7cy1wf6x
@user-vm7cy1wf6x Год назад
오랜만입니다 감사합니다
@user-uo5os4ys7c
@user-uo5os4ys7c Год назад
이 동영상이 원자력 사업을 이해하는데요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소형 원자로 SMR에서는 핵연료봉을 어떻게 교체하는지 궁금합니다..
@user-lg9ft7dz3t
@user-lg9ft7dz3t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그냥 설명계의 goat
@alphago410
@alphago410 Год назад
smr은 원래 소듐이나 NaK 감속제를 사용하는데 한국식 smr은 기술장벽이 낮은 경수를 사용하여 부피가 크고 효율이 낮은데 수소 생산과 군사용등 다양하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소듐로 기술확보가 필수 입니다.
@PhD_Kim1991
@PhD_Kim1991 Год назад
언젠가 기회가 되시면 핵융합도 자세히 다뤄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jsjsnnjssk9923
@jsjsnnjssk9923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ㅠ❤
@logL3045
@logL3045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정말 잘 만들어주었네요. 짱~!😮. 근데 결국 핵발전소도 열에너지 -> 운동(터빈회전) -> 발전 하는식이군요.
@user-ff5ny5mo7i
@user-ff5ny5mo7i Месяц назад
감사합니다.
@bellwhite1975
@bellwhite1975 Год назад
멋지네요
@user-zw3mv1fx9k
@user-zw3mv1fx9k Год назад
교수님 항상감사드립니다 복잔한내용이지만 이해하기가 쉬워서 잘배우고있어요. 소형원전이랑 대형원전이랑 같은연료넣고 같은효율의 에너지 발전을할수있는지도 궁금하군요 하지만 소형원전을 산에다가 건설할수있기때문에 도시 인근에 지으면 송전비용을 많이 줄일수있것을 고려하면 대형원전에서 소형원전으로 바꿀만큼 더좋은건가요? 핵폐기물은 계속나오고 처리할곳이 없기때문에 에너지효율 생각이 들더군요
@yongkim5826
@yongkim5826 Год назад
많은 도움이 되었네요. SMR이 잘 만들어져서 꼭 국방에 사용될 수 있으면 좋겠네요. 해군에선 항모나 잠수함에 혹은 구축함에. 육군은 레이져부대에.
@user-jp1mg1qf7r
@user-jp1mg1qf7r Год назад
어? 그럼 미국 핵잠은 이미 SMR이 들어가 있었던거네
@IR0NMAN
@IR0NMAN Год назад
캬~
@sunhongpsh
@sunhongpsh Год назад
핵융합 발전에 대한 원리와 현 기술단계가 어느정도 인지도 다뤄 주시면 좋겠습니다
@Phs.JD.y
@Phs.JD.y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형님 고마워요
@user-ib5qh4ui3s
@user-ib5qh4ui3s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ㅋㅋㅋ 아니 진짜 말이 안되는데 한수원 사우 아니십니까 어떻게 안전설비들까지 ㅎㅎㅎ 진짜 존경까지 하게 됩니다 얼마나 공부하셨을지 ㄷㄷㄷㄷ 진짜 한수원 홍보부는 사보나 라디오 줄이고 이런 유튜브 광고비 두둑히 주고 연락취해야됨 ㄹㅇ
@ojayu
@ojayu Год назад
WOW ! GREAT ! THANK YOU !
@wallaby3935
@wallaby3935 Год назад
터빈엔진의 원리도 만들어주세요~
@hayansiro
@hayansiro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우와 매우 안전하네요. 한강에도 짓고 해서 발전소 늘립시다~~
@sashimi_taco7934
@sashimi_taco7934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영상 잘 봤습니다 smr이 많이 보급됐으면 좋겠네요
@wjk6028
@wjk6028 Месяц назад
쯔양같은 유툽보다 조회수나 구독자가 많아야 할것 같은데 이해가 안돼고 안타깝네요. 중요한 분야에 이바지 해주시길 바라구요, 항상 응원합니다.
@user-jx2od4mz5h
@user-jx2od4mz5h 8 месяцев назад
감사합니다
@kwangcheolkang207
@kwangcheolkang207 Год назад
수업에 자료로 사용할께요..
@2mincheol
@2mincheol Год назад
와우 원자력발전이 생각보다 매우안전한것 같네요
@youngmin1986
@youngmin1986 Год назад
터지면 답이 없긴 하지만... 실제로도 매우 안전하고 튼튼하게 짓습니다. 체르노빌 사태의 경우에는, 원전 관리담당자들이 억지로 폭파시키려고 한 수준의 사고구요, 현대의 원자력 발전소들은 기능 조작만으로는 절대 터뜨릴 수 없을 정도로 대비를 해놓는 편입니다. 후쿠시마의 경우에는, 천지재해(쓰나미)와 인재(부적절한 대응)가 겹쳐서 일어난 사고구요.
@Fat7ance
@Fat7ance Год назад
@@youngmin1986 드라마 '체르노빌'을 보시면 꽤나 상세한 고증을 반영한 배경을 알 수 있는데요. '제논'이라는 존재에 대해서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았던 시기이기 때문에 예견된 사고였던 것이지 억지로 폭파시키려고 한 짓은 아니였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Coronavirusoriginal
@Coronavirusoriginal Год назад
@@youngmin1986전투기가 수직으로 꼴아박아도 돔이 끄덕없을 만큼 튼튼하다 하네욬ㅋㅋㅋㅋ
@jhjh39
@jhjh39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이분은 진짜 한번 만나보고싶다...
@hsc3469
@hsc3469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잘봤어요
@user-qk4cl4nl8k
@user-qk4cl4nl8k 2 месяца назад
이걸 보니 원자력 발전이 효율 좋은 에너지 발전인게 신기하네... 터빈 돌리는데만 에너지를 쓰는게 아니고 다른 여러곳에 에너지를 분산해서 쓰는데도 효율이 나오다니
@user-hp8hl5gb2v
@user-hp8hl5gb2v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좋네요
@cji0608
@cji0608 Год назад
미친 퀄리티ㅎ 시각화 자료덕에 초등수준까지는 이해하겠네요 감사합니다
@youngjukim8547
@youngjukim8547 2 месяца назад
와.. 진짜대단하시네
@user-lp8uw3hs6p
@user-lp8uw3hs6p 6 месяцев назад
좋아요😊
@khkwon258
@khkwon258 2 месяца назад
의견 하나! 20분정도에 SMR이 대형원전보다 건설비용이 많이 드는 것 처럼 설명이 되었는데, 재확인 필요합니다. 아마 총액측면에서는 SMR 비용이 적게들지만, 출력량 대비 대형원전보다는 아직 많이 든다는 게 맞을 듯 하네요.
@user-dx5ov9jn5w
@user-dx5ov9jn5w Год назад
진행파원자로인가 빌게이츠가 개발한다고 뉴스에 나오던게 영상 중에 나오던 SMR인가요?
@ninesoeo
@ninesoeo 9 месяцев назад
핵잠수함이 저런 소형 발전기를 쓸 것 같네요
@user-yd7bo4px9h
@user-yd7bo4px9h 3 месяца назад
1.여러가지 많은 내용을 새롭게 배울 수 있었습니다. 고맙습니다 2.근데 궁금한 점이 몇가지 생겼습 니다. 3.우라늄을 세라믹으로 밀봉하여 펠럿을 만들고 연로봉으로 감싼다 하였는데, 그럼 중성자를 어떤 방법 으로 펠럿 내부로 침투시키지요? 4.감속제인 경수는 펠럿을 감싼 원 료봉 밖으로 돌아댕길 것인데, 펠럿 내부에서 돌아댕길 중성자 의 속도를 어떻게 줄일 수 있나요?
@user-vz8gu8ge7q
@user-vz8gu8ge7q Месяц назад
세라믹도 결국은 분자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구조물입니다. 사람 눈에 안 보일 정도의 사이즈로 결합이 되어있을뿐, 그들보다 훨씬 작은 중성자는 언제든지 통과가 가능할 정도의 간격을 가지고 결합이 되어있는거죠. 그래서 중성자는 세라믹 구조를 뚫고 펠렛 밖으로 나올 수 있습니다. 그렇게 튀어나온 중성자는 물에 의해 감속이 되고 또 다른 펠렛을 뚫고 들어가 그 안에 있는 우라늄과 반응하여 핵분열이 발생합니다.
@APR1400
@APR1400 Год назад
대한민국 원자력발전소는 안전하고 훌륭하다. ❤
@Teelddak
@Teelddak Год назад
원자력 발전 분야에 종사하신 여러분들이 많이 계시는군요. 참고로 한국 표준 원자력 발전소 주기기인 터빈, 발전기는 미국 G.E사, 핵반응로는 미국 Westinghouse에서 설계한 것을 표준으로 사용하고 있지요. G.E사의 Steam Turbine 설계자동화 시스템 개발 참여하고 온 것이 거의 30년이나 되었는데 이제는 100% 독자설계 기술을 가지고 있는지 궁금하군요. RCP국산화 하는 팀이 옆에 있었는데 많이 헤메다가 못하고 해산된 기억이 있습니다. SMR개발쪽에는 가장 큰 문제가 운전 정지가 되면 그 즉시 모든 기기나 파이프들이 완전 염류로 꽉 찬 상태에서 고화가 되기 때문에 그걸 어떻게 해결하냐가 관건입니다. * 원자력이든 뭐든 미국 기술이 넘사벽이라는 것을 30년전에 확실히 체험 했으며 한국기술은 미국의 30년 기술근처도 못가니 열심히 기술을 배우고 익히고 공학 하는 사람들이 대우받는 시대가 오길 막연한 기대를 해 봅니다.
@berndengel2741
@berndengel2741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안전하니까 서울 강남 한복판에 하나씩 지으면 좋겠어요~
@S_TRA
@S_TRA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물은 한강에서 퍼다쓰고?
@user-bt2xh8ob7i
@user-bt2xh8ob7i Год назад
와씨 뭔소리인지 모르겠지만 쩌는건 확실하다
@Alderbridge
@Alderbridge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하하 저도 같은 심정입니다
@user-vn1cu1gp6l
@user-vn1cu1gp6l Год назад
혹시 어떤 3D프로그램을 사용하시는지 알 수 있을까요?
@neokim1492
@neokim1492 3 месяца назад
그냥 bRd 3D님은 신 이요!!!
@sdfdds11
@sdfdds11 6 месяцев назад
가압수로형 원자로는 원자로 물보충을 어떻게 하는 걸까요? 그 방사능 많은 곳을 직접 열어서 물을 보충하나요? 아무리 폐쇄구조라고해도 물이 손실이 있을 것 같은데요??
@prantl75
@prantl75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중수는 경수보다 감속 효율은 더 안좋습니다. 그러나 중성자를 흡수하는 흡수율이 더 낮아서 경수보다 좋은 감속재로 쓰입니다. 감속은 중성자와 질량이 비슷할 수록 효율이 좋습니다. 따라서 감속만큼은 수소가 최고입니다.
@RRR-xl3ir
@RRR-xl3ir Год назад
복수기에서 증기발생기로 가기전이 7단계 걸쳐서 가열 시킨다고 그러는데 그럼 가열원은 뭔가요? 전기히터 쓰나요?
@jojojo1922
@jojojo1922 Год назад
7단계에 걸친 히터를 '급수가열기' 라고 합니다. 고압터빈과 저압터빈으로 들어가는 증기 일부를 우회시켜 급수가열기의 열원으로 사용합니다.
@vjjutje5vtbht391
@vjjutje5vtbht391 7 месяцев назад
5:20 감속효과는 수소가 더 뛰어나지 않나요?중수는 제기억으론 수소보다 중성자흡수확률이 낮아서 썻던거 같은데
@curious_Question00
@curious_Question00 Год назад
물로 연료의 효율을 올리고 그 물로 물을 데우고 천재적인 발상이야
@alpha8242
@alpha8242 Год назад
이분 교수 하시면 수강신청 되게 어려울듯
@fixerchang2620
@fixerchang2620 Год назад
현웃ㅋㅋㅋㅋㅋㅋㅋㅋ😂
@user-zw3mv1fx9k
@user-zw3mv1fx9k Год назад
교수하시면 서울대 교수하실텐데 서울대가는것부터가 되게 어려울듯
Далее
드론은 어떻게 작동할까?
8:54
Просмотров 172 тыс.
건전지의 원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1:21
화력발전소의 작동 방식은?
7:12
Просмотров 68 тыс.
Развод с OZON - ноутбук за 2875₽
17:48
ИГРОВОВЫЙ НОУТ ASUS ЗА 57 тысяч
25: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