Тёмный

Speaking to the National Leadership of the Confucian Organization. 

The Frog Outside the Well
Подписаться 150 тыс.
Просмотров 3,6 тыс.
50% 1

I consider it a great honor to be asked to speak to the Seonggyun'gwan leadership from all over the country -- heads of Confucian organizations such as the hyanggyo and seowon. As a student I have visited many of these places, as a professor I taken textbook writers and students to visit these places. These are the hearts of the Confucian organization across the country. And at the center was the Seonggyun'gwan and the Yudo-hoe (Confucian Organization). I've visited the Sokcheonje ceremony several times, but here on this occasion, to be asked to give my opinions on how to say Confucianism in the 21st century was an honor, for me, beyond my imagination. Thank you.
Join this channel to get access to perks:
/ @thefrogoutsidethewell
Website: www.frogoutsidethewell.com
Facebook: / thefrogoutsidethewell
Instagram: / thefrogoutsidethewell

Опубликовано:

 

31 май 2024

Поделиться:

Ссылка:

Скачать:

Готовим ссылку...

Добавить в:

Мой плейлист
Посмотреть позже
Комментарии : 60   
@user-wl1jw1gy8v
@user-wl1jw1gy8v 26 дней назад
한국에 대해 한국인보다 해박하시고, 좋은 내용의 강의를 올려 주셔서 잘 배우고 있습니다. 진정 고마우신 선생님 늘 건강하시고 행복하시길 빕니다.♡♡♡
@blackbelt2000
@blackbelt2000 26 дней назад
구독자 150000명 달성을 축하드립니다!🎉 한국의 미래가 어떻게 되든 이 나라를 사랑해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ju4hb9vh7n
@user-ju4hb9vh7n 28 дней назад
세계최고 한국학 전문가이신 배도선 박사님의 유교 강의에 감사드리며.. 감사의 마음을 전통운율의 삼행시조 한수에 담아 드립니다~^♡^🎉 [배도선 삼행시조-김시성] 배-배도선 서유님은 위대한 유교학자 도-도골에 선풍이라 상남자 모델이요 선-선생님 덕분입니다 따 논 당상 노벨상 ☆ps : 한국최초 노벨문학상은 시조를 사랑하는 시조시인 중에서! 감사🎉합니다 ~^♡^
@TheFrogOutsidetheWell
@TheFrogOutsidetheWell 27 дней назад
대단히 감사합니다.
@user-by3wb1fi9s
@user-by3wb1fi9s 26 дней назад
잘보고갑니다~건강하세요~^^
@user-rh3uj5cd8p
@user-rh3uj5cd8p 26 дней назад
교수님 너무너무 감사합니다
@superforte1852
@superforte1852 26 дней назад
박사님 사랑합니다 한국인이라 더욱 사랑합니다 선생님
@user-ig8wl2hs8r
@user-ig8wl2hs8r 26 дней назад
언제나 뵈도 친근하면서도 존경스러운 교수님 감사 합니다,,❤성균관이 나이나 퍼먹었지 학문수준은.후져서😊
@TheFrogOutsidetheWell
@TheFrogOutsidetheWell 26 дней назад
그것 바로 포인트 입니다 -- 옥스포드 와 서양 학교도 원래 과학, 사회학, 수학, 경제학 등등 가르치지도 않았고 -- 다만 종교요! 서양에는 기독교, 동양세는 유교 -- 다른점보다 유사한점이 많고요. IMHO.
@user-ig8wl2hs8r
@user-ig8wl2hs8r 26 дней назад
@@TheFrogOutsidetheWell 교수님 언제나 건강하시고. 오래도록 한국사랑 해 주시리라 믿고 코멘트에 감사드립니다👍
@dfsafhyfscvjuf
@dfsafhyfscvjuf 26 дней назад
감사합니다 계속 올바른 강의 많이 부탁드립니다 요즘 젊은 사람들 하고 대화하기 너무 힘듭니다
@user-vw9bb1vw9p
@user-vw9bb1vw9p 26 дней назад
안녕하세요! 박사님이 쓰신 "우물 밖의 개구리가 보는 한국사" 너무 잘 읽었어요! 읽는 내내 그동안 제가 얼마나 갇힌 시선에서 한국사를 바라보고 있는지 느꼈어요.. 그리고 우리나라임에도 불구하고 자랑스러워하기 보단 희생의 나라라고 생각해왔던 제 자신이 부끄러워졌습니다. 이렇게 좋은 책을 써 주셔서 정말 감사해요! 책 속 프롤로그에서 유튜브에 댓글을 남기면 언젠가 꼭 읽어주실 거라는 말씀에 댓글 함 달아보아요! 구독도 했어요! 채널도 열심히 볼게요~!!
@TheFrogOutsidetheWell
@TheFrogOutsidetheWell 26 дней назад
대단히 감사합니다.
@poktan0728
@poktan0728 26 дней назад
교수님 건강하세요~!!! ㅎ
@nomadicn1494
@nomadicn1494 27 дней назад
교수님~ 검이불루 화이불치를 외국분들에게 딱 맞는 영어표현으로 설명하기가 어려워요. 적절한 표현을 도움받고 싶습니다.
@pintgillespie7401
@pintgillespie7401 26 дней назад
"검소하지만 초라하지 않고, 화려하지만 사치스럽지 않다" 그냥 직역해도 충분합니다. "Thrifty but not shabby, flashy but not extravagant" 검이불루 화이불치(儉而不陋 華而不侈) 의 '오묘한 의미?'를 서양인들은 이해하지 못할 것으로 생각하는 것은 오해입니다. 서구의 건축양식이나 미학에서 항상 고민했던 것이기도 합니다. '검소와 '화려'는 긍정적이고 '초라'와 '사치'는 부정적 의미로 사용하지만 기준이 시대에 따라 변하고 개인적인 차이도 있습니다. 누구에게는 검소, 화려하지만 또 누군가에게는 궁상맞거나 사치스럽다고 느낄 수도 있습니다. '검이불루 화이불치' 말은 그럴 듯 하지만 그냥 '과유불급'이랑 같은 의미입니다. '무엇이든지 오바하지 말라"는 것이죠. 영어로 과유불급'의미로는 ‘To go beyond is as wrong as to fall short’ 혹은 "You may go farther and fare worse"
@nomadicn1494
@nomadicn1494 26 дней назад
@@pintgillespie7401 네~ 답변 감사합니다^^
@kiheonlee1347
@kiheonlee1347 26 дней назад
국사를 학력고사시험까지 치뤘던 나도 몰랐던 족보와 재산상속 등 조선 중기까지의 제도를 외국인교수님한테 듣다니 이건 우리내부가 우리의 역사를 엄청 잘못 가르키고 있다는 얘기로 들립니다.
@TheFrogOutsidetheWell
@TheFrogOutsidetheWell 26 дней назад
이것이 바로 제가 재정적 손실을 있어도 이 RU-vid 채널을 운영하는 이유입니다. 왜냐하면 제가 메시지 있습니다 와 사명이 있기 때문에 한국에서 한국사 교육을 향상시키고 . 그것이 내가 이 일을 하는 이유이다. This is precisely why I am running this RU-vid channel -- at a financial loss -- because I have a message, I have a mission, to try to uplift and improve the teaching of Korean history in Korea. That's why I do this.
@bms98765
@bms98765 26 дней назад
@@TheFrogOutsidetheWell존경합니다. 어려운 일을 하고 계십니다.
@sosunzoo
@sosunzoo 24 дня назад
훌륭한 강의 잘 들었어요. 한국 사람들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순수 유교에 대한 말씀이 많이 와닿네요. 요즘 중용을 공부하는데 권력을 위해 도를 이용하려고 하는 것은 진정한 도가 아니란 것이 많이 느껴집니다.
@saecholong
@saecholong 26 дней назад
잘 들었습니당 ㅎㅎㅎ 강의가 정말 뛰어나네요! 그리고 질문하시는 분들의 열의도 느껴집니다. 금요일 홍대에서 피터슨 교수님을(아니면 닮으신 분일수도?) 지나가다 뵈었는데 개인 시간 가지시는것 같아 마음으로만 인사했습니다. 건강하세요!
@TheFrogOutsidetheWell
@TheFrogOutsidetheWell 26 дней назад
네, 금요일 오후에는 홍대 근처에 있었어요 -- 인사 하시지!!!
@user-ll4hd8rh6q
@user-ll4hd8rh6q 26 дней назад
정말 많이 배웠고, 감동까지 받은 유익한 수업이었습니다.🥺🩵 감사드립니다!
@jskim7044
@jskim7044 25 дней назад
'팔고조도' 학회 가입 하고 싶어요!!! 늘 건강 하세요~~
@TheFrogOutsidetheWell
@TheFrogOutsidetheWell 25 дней назад
Go to FaceBook -- facebook.com/groups/1026879745532130
@user-xe5he7dk9h
@user-xe5he7dk9h 26 дней назад
중국식 유교사상은 민주사회의 영향으로 자연스레 사라질것이라고 봅니다.. 이미 제사는 없어지고 고조부는 누군지도 모르고 묘없이 장례를 치르는 등 이제는 신유교사회가 되었다고 봐도 무방하겠죠
@kim-pi4yq
@kim-pi4yq 26 дней назад
마크 피터슨
@user-uq6oe4lr6z
@user-uq6oe4lr6z 25 дней назад
출산율을 다루는 가장 큰 문제점은 그냥 본인들이 원하는 걸 출산율이라는 키워드에 끼워맞춥니다. 경제? 부동산? 미래? 복지? 출산율이랑 별 상관없습니다. (유럽이나 미국도 저출산) 저출산이 일어난 이유는 가벼운 관계만 할 뿐 결혼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대가족의 시대가 끝나고 핵가족의 시대도 끝나고 각자도생의 시대가 되었기 때문입니다. (미국도 유럽도 마찬가지...) 저출산은 문화적 요인에 기인합니다.
@TheFrogOutsidetheWell
@TheFrogOutsidetheWell 24 дня назад
I'm afraid you are right. I don't want to thing so -- I don't want to give up on traditional values, but you might be right. There's no hope!!!
@jonathanz9283
@jonathanz9283 26 дней назад
(what a crowd… sigh)
@2000_years_of_history
@2000_years_of_history 26 дней назад
개인적인 생각으로 성균관의 역사는 통일신라 시대로 거슬러 오른다고 생각합니다.(통일신라 경주 국학 ➡ 고려 개성 국자감 ➡ 조선 한양 성균관) 신라의 31대 임금이자 통일신라의 두 번째 임금인 신문왕은 682년에 고등교육기관인 국학을 설치하고 이곳에서 유교 교육을 실시하면서 유학을 중심으로 한 많은 인재를 등용했고 이 국학이 훗날 38대 임금 열조 원성왕이 만든 한반도 초기 과거시험인 독서삼품과와 함께 실시되면서 이러한 과정이 이후 고려와 조선으로 천년 넘게 이어진 “교육과 시험을 통해 실무능력을 갖춘 인재를 등용하는 전통“의 원조라고 할 수 있기 때문에(고려와 조선이 통일신라의 이러한 제도를 계승했기에) 성균관의 역사는 통일신라 시대까지 포함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TheFrogOutsidetheWell
@TheFrogOutsidetheWell 26 дней назад
저도 동감해요. 다만 제고 "성균관" 명칭 보았는데, 그러나 선생님의 말은 학교의 뿌리는 더 깊지요. 댓글 감사합니다.
@aaa-757
@aaa-757 26 дней назад
인의예지신....문제점도 가르쳐야 합니다.... 인이 강하면 - 잘못한 사람에게 쓴소리, 강한 처벌을 못하고 약해지고 의가 강하면 - 자기 고집에 융통성 없고 뻣뻣해 지고 예가 강하면 - 비굴하고 아첨을하게 되고 지가 강하면 - 상대를 속이고 거짓말을 많이 하게 되고 신이 강하면 - 잘 속고 호구 취급 당해서 손해를 본다
@bms98765
@bms98765 26 дней назад
균형이 필요하군요.
@kimsspark
@kimsspark 21 день назад
유교는 종교의 아류이지 종교가 아닙니다 인간사의 도의도덕 예의범절을 가르치는 학문이나 철학이지요 그런 의미라면 신을 믿고 섬기는 기독교도 유교를 수용할수 있으니까요
@user-pl5pu6it5x
@user-pl5pu6it5x 22 дня назад
강의 잘 들었습니다 :) 제가 알고있기로는 기독교도이신거로 알고 있었는데, 유교를 공부하셔도 충돌이 없으신가요?
@TheFrogOutsidetheWell
@TheFrogOutsidetheWell 22 дня назад
나는 "배타적인" 기독교인이 아니라 "포용적인" 기독교인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나는 나처럼 믿지 않는 사람들을 비난하거나 배제하는 것을 믿지 않습니다. 그래서 나는 다른 신앙 체계의 교리를 좋아합니다. 공자의 기본 가르침을 좋아합니다. 나는 그가 신의 영감을 받은 위대한 스승이었고, 그의 가르침이 나와 충돌하기보다는 나와 일치하는 것이 더 많다고 믿습니다. I guess one could say I am an "inclusive" Christion, not an "exclusive" -- I don't believe in condemning or excluding people that do not believe as I do. And thus, I like doctrines from other belief systems -- I like the basic teachings of Confucius. i believe he was a great master inspired by God, and that there are more of his teachings that coincide with mine than conflict with mine.
@user-pl5pu6it5x
@user-pl5pu6it5x 22 дня назад
@@TheFrogOutsidetheWell 답글 감사합니다! 저는 불자지만 저도 다른 종교의 가르침을 좋아합니다. 그들 모두에게 배울점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
@TheFrogOutsidetheWell
@TheFrogOutsidetheWell 22 дня назад
저도 불교는 좋다고요. 사찰에 밤 도 자고 몇번 (한 20 이나) 경험있습니다.
@user-pl5pu6it5x
@user-pl5pu6it5x 22 дня назад
@@TheFrogOutsidetheWell 같은 생각을 가지셔서 기분이 좋네요! ☺️
@kimsspark
@kimsspark 21 день назад
유교는 종교가 아닙니다 인간사의 도의도덕 예의범절을 가르치는 학문이나 철학이지요 그런 의미라면 신을 믿고 섬기는 기독교는 유교를 수용할수 있으니까요
@user-zu2dz7di3e
@user-zu2dz7di3e 24 дня назад
유교의 가르침은 오륜이은 맞지만 삼강은 아니다. 삼강은 후대에 공자의 뜻이라며 만들어진 정치 이념이다. 군위신강? 맹자가 말했다. 군왕이 옳지 못하면 바로 잡아야 한다고.
@kimsspark
@kimsspark 21 день назад
종(宗)이 할아버지 종이라고? 마루 종으로 근본, 으뜸을 뜻하는거죠 교(敎)는 가르칠 교로 인간사의 근본을 가르친다는게 종교입니다
@TheFrogOutsidetheWell
@TheFrogOutsidetheWell 21 день назад
Naver 한자 사전에 종(宗) 6. 선조(先祖) 중의 덕망(德望)이 있는 조상(祖上) 7. 시조(始祖)의 적장자(嫡長子) 또한 왕은 조(祖) 나 종(宗) 하는것이 바로 나라의 조상이다.
@kimsspark
@kimsspark 21 день назад
남자며느리 여자사위가 되겠다고 동성애를 주창하는 차별금지법에 대해서 한마디도 못하는 성균관 향교가 무슨 종교라고 하는지....
@user-gy3iu4gl8q
@user-gy3iu4gl8q 26 дней назад
유교부활? 흘러간 물보고 물레방아 돌리라고?
@asdfasdf8916
@asdfasdf8916 26 дней назад
유교가 뭐가 좋다고.... 개인적으로 유교를 철저히 파괴해야 한다고 봄. 영남 만인소 만들어서 200년 전에 망해버린 명나라를 주인님으로 받들어 모셔야 하는 나라로 스스로 소중화를 외치며 노예가 되고싶어 안달하는 게 유교인데 왜 유교를 긍정적으로 보는가?
Далее
Он тоже из IKEA 🙀
00:10
Просмотров 383 тыс.
한국에서 한국어가 어려웠던 기억
9:06
Просмотров 5 ты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