Тёмный

[명작다큐🎖️몰아보기] 한국어의 탄생, 일본어 속 한국어의 흔적, 세계어로서 한국어까지.. 한국어의 모든 것! | 2004 KBS 특별기획 '위대한 여정, 한국어' 3부작 

KBS 다큐
Подписаться 2,2 млн
Просмотров 3,2 млн
50% 1

※ 2004 KBS 특별기획 [위대한 여정, 한국어] 3부작
■ 0:00 타이틀
■ 0:49 1부 : 말의 탄생, 산과 바다를 넘어
한국알타이어학회 회원들과 함께 몽골과 시베리아 오지에서 우리말의 기원을 찾아보고, 국내에 거주하는 유라시아 대륙 25개국 출신 외국인들을 모아 언어의 유사성 실험도 한다. 또한 한국어를 최초로 알타이어족에 포함시킨 핀란드 언어학자 람스테트의 한국어 자료들도 최초로 공개한다.
■ 57:06 2편 : 말은 민족을 낳고
일본어에서 한국어의 흔적을 찾는다. 2300여 년 전 일본 열도를 습격한 뒤 죠몬(繩文)인을 몰아내고 일본의 주인이 된 야요이(彌生)인. 그들은 쌀과 청동기 문화로 무장한 한반도 출신으로 한반도어를 사용했다. '말은 민족을 낳고'는 '야요이인의 열도 대 습격 사건' 등 한반도와 일본 열도, 삼국시대와 신라의 삼국통일 등 고대사의 극적인 사건을 통해 한국어와 일본어의 상관관계를 추적한다. 또한 일본 후쿠오카 규슈산업대 한국어 강사 박명미 씨와 전(前) 구마모토대 언어학과 교수 기요시 시미즈씨의 한국어와 일본어의 유사성에 대한 공동 연구결과를 토대로 일본어 속의 한국어의 흔적들을 찾는다.
■ 1:51:30 3부 : 말의 길 한국어의 선택
생성과 소멸, 발전을 거듭하는 언어의 특성을 알아보고 한국어를 배우기 위해 연세대로 유학온 일본 소녀 '아이짱'을 통해 세계어로서 한국어의 가능성을 모색해 본다. 또한 언어가 단순한 의사소통 수단을 넘어 경제적 가치까지 창출하고 있다는 점을 밝힌다.
#한글 #한국어 #우리말
✔KBS 다큐멘터리 | KBS 공식 유튜브 채널 [KBS 다큐]입니다
🔔구독 👍좋아요 ➡️ / @kbsdocumentary
📝문의: kbsdoculife@gmail.com
©️ KBS ALL RIGHTS RESERVED
∙영상 방송 시점에 따라 현 상황과 내용이 다소 다를 수 있습니다.
∙비방 및 악성 댓글은 출연자 보호를 위해 운영자가 삭제할 수 있습니다.

Развлечения

Опубликовано:

 

1 июн 2024

Поделиться:

Ссылка:

Скачать:

Готовим ссылку...

Добавить в:

Мой плейлист
Посмотреть позже
Комментарии : 1,1 тыс.   
@user-il3we4gd5o
@user-il3we4gd5o Год назад
"언어는 산업이다." 이 말에 동감합니다.
@user-hd3sx4pp7n
@user-hd3sx4pp7n Год назад
안타까운건 여진족등 만주족들이 청나라를 세워 중원을 통일했는데 아이러니하게 중국화 한족화 되면어 그들이 쓰던말이 사라진것이 안타까운 일이죠 중앙아시아 언어와 단절을 가져온 참으로 슬픈일입니다
@user-vb6yd3il9h
@user-vb6yd3il9h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你想学的话去北京还是有很多人会满语的.不过跟蒙古语更像.不像韩语
@asdhdy
@asdhdy Год назад
이거 방영된지 얼추 20년 가까이 되어 가는데 그 동안 관련 분야도 과학적으로 발전을 했을거고..같은 주제로 다시 한번 방영하면 어떨까요
@hope_opportunity
@hope_opportunity Год назад
요즘 지상파 다큐멘터리쪽 투자가 열악합니다. 제작은 힘들어보입니다. 웹툰 드라마 쪽에 투자가 몰렸어요 ㅎㅎ
@vemp8674
@vemp8674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수신료의 가치
@user-hx8do8oq7y
@user-hx8do8oq7y 4 месяца назад
퇴보했어요
@sinchon06
@sinchon06 4 месяца назад
구조가 문제죠 다들 텔레비전 대신 유튜브 보잖아요. 시청료 광고료가 예전처럼 안나와요~ 어떻게든 최신의 잘나가는 컨텐츠를 팔아야 입에 풀칠이라도 하는데 솔직히 이제는 유튜버들이 예능감도 뛰어나고 돈도 더 잘벌죠... 안타깝지만 예전의 영광은 다시 돌아오기 힘들듯 하네요....
@user-em3mc4hi8y
@user-em3mc4hi8y 4 месяца назад
​❤❤❤❤ ❤ ❤❤ㄲㅈ!1😊
@basilohwang
@basilohwang Год назад
아르헨티나에서 동포 2세 및 3세들에게 한글을 가르치는 선생으로 잘 보고 가네요.
@fairelection415
@fairelection415 3 месяца назад
정말 훌륭한 일을 하시네요. 감사합니다^^ 늘 강건하세요~
@user-vb8jq9iq5t
@user-vb8jq9iq5t 2 месяца назад
최신순 내글 참조
@user-tt5bh6li7l
@user-tt5bh6li7l Год назад
감사합니다.
@Kyh7220
@Kyh7220 Год назад
고맙습니다
@user-oi4bd6nr1x
@user-oi4bd6nr1x 2 месяца назад
감상 잘하였읍니다❤❤❤
@UyenNhuThuyTien
@UyenNhuThuyTien 17 дней назад
이야기가 너무 좋아요
@user-md8lt4ze6i
@user-md8lt4ze6i Год назад
감사합니다
@user-in9us9ng4t
@user-in9us9ng4t 2 месяца назад
보다가꿀잠잤어요 ㅎ 감사합니다
@user-oq3gs3jr5b
@user-oq3gs3jr5b 2 месяца назад
이 영상을 보고 다큐멘터리를 기록물로 적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좋은 기록물을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golden_radix4354
@golden_radix4354 Год назад
고퀄 다큐 잘봤습니다~ 이런 다큐 계속 제작해주세요~
@hee571
@hee571 Год назад
예전에 봤던 자료 유튜브에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vk8vw7tg6k
@user-vk8vw7tg6k Год назад
좋은 다큐네요
@user-tk2zm6re6p
@user-tk2zm6re6p 6 дней назад
오늘도 감사합니다 깊게 수련할수 있어 감사한 시간입니다❤
@jejudo_good
@jejudo_good 15 дней назад
1:50:14 여기 아이들 이야기 하는거 정말 좋네요~ ^^ 기분이 좋아져요~
@kkooddoo7364
@kkooddoo7364 3 месяца назад
이야 20년 다된 다큐인데 수준높네요
@user-sh8ye8qb8k
@user-sh8ye8qb8k 3 месяца назад
이때는 진짜 기자들과 PD들이 있었음 지금은 노조들이 장악중이라 쓰레기 영상만..
@user-mf2ei3pm1x
@user-mf2ei3pm1x 2 месяца назад
지금 방영 되는 것 보다 수준 높음
@modularsolarid2000
@modularsolarid2000 Месяц назад
국뽕젖어서 편협적인 시각으로 방영해대기 바빴던 시대인데 뭔 수준이 높아? ㅋㅋㅋㅋ
@user-vb8jq9iq5t
@user-vb8jq9iq5t Месяц назад
최신순 내글 참조
@user-ws2gi6kg1m
@user-ws2gi6kg1m 3 месяца назад
이런 기획 너무 좋아 시작부터 흥미진진 합니다^^
@Kyh7220
@Kyh7220 Год назад
늘ㆍ함께ㆍ
@user-ks4gm2ll9b
@user-ks4gm2ll9b Год назад
언어에 대해서 특별히 관심을 가져본적은 없었는데 이번 영상을 보면서 흥미가 생겼네요.
@user-us7tq9tw9e
@user-us7tq9tw9e Год назад
./ ㅈㅅ.1
@user-xx1un8fb5k
@user-xx1un8fb5k Год назад
,
@user-vb8jq9iq5t
@user-vb8jq9iq5t 2 месяца назад
최신순 내글 참조
@user-zx3cu2nh3y
@user-zx3cu2nh3y 2 месяца назад
😊😊😊😊😊😊😊😊😊😊😊😊😊😊😊😊😊😊😊😊😊
@ex_principle_view
@ex_principle_view Год назад
유익한 자료 감사합니다!!!
@yongarto3426
@yongarto3426 4 месяца назад
감사함니다^^
@user-mf2ei3pm1x
@user-mf2ei3pm1x 2 месяца назад
이게 배운값 하는거임 대단하세요 존경스럽습니다
@user-im5lc9jd4e
@user-im5lc9jd4e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수준높은 영상 감명깊게 잘 봤습니다. 언어가 가진 힘을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고맙습니다.
@kwh1871
@kwh1871 Месяц назад
어순에 얽매이지않고 또, 세밀하고 다양한 형용사와 의성어 의태어가 매우 발달해서 풍부한 감정으로 소통이 가능 한 점, 음성학적으로도 인류가 사용하는 언어 중에 가장 수준이 높은 언어인 한국어. 한국어를 모국어로 가지게 되어 감사하고 자랑스럽습니다
@SkySeoul
@SkySeoul Год назад
로스킹 교수님 한국말 잘하시네요
@ML-fq4uv
@ML-fq4uv Месяц назад
이렇게 좋은 다큐를 제작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런 좋은 다큐가 계속 꾸준히 제작되었으면 좋겠습니다~🙏
@user-yg4gp2km5o
@user-yg4gp2km5o Год назад
Good.
@coolangattawollongong5186
@coolangattawollongong5186 Год назад
로스 킹 교수님 한국어 완전 깜 놀입니다. 웬만한 한국사람보다 한국어 잘하는 건 뭔데요!😂😂😂😂😂
@user-rw9et3ow7o
@user-rw9et3ow7o Год назад
우리 아버지 할아버지 다 같이 말을 써왔으니 10대를 거슬러가도 말은 통합니다. 먹고 자고 앉고 서고 하는 기본 어휘들은 변하지 않아요. 아나운서들이 이해 못한 말은 함경도 같은 북쪽 사투리이니 당연히 이해가 안되지요. 북쪽에서 선교하던 선교사가 현지어를 적은 거에요. 슴메 어쩌고 하는 건 함경도어 거구요. 최소한 이런 전제를 정확히 해주고 이해도를 파악해야지 무슨 한양을 비롯한 전국에서 쓰인 말처럼 왜곡을 하면 어떡 합니까. 언어의 기본 속성도 이해를 못하는 아나운서들을 무슨 전문가라고~ 라틴어는 로마제국의 언어인데 이 라틴어가 지역별로 나뉘어 발전한 게 프랑스 스페인 이탈리아 포르트갈 루마니아어지만 2천년이 지난 지금도 프랑스 스페인 이탈리아어들은 사투리라고 해도 좋을 정도로 어휘의 유사성이나 어법적 특징이 동일성을 유지하고 있어요. 근데 그런 변천도 없던 130년 전 한국어가 저렇게 변한다고요? 프로그램 좀 잘 만들면 좋겠습니다. 모르는 사람들이 보면 130년 전 5,6대 조상 만나면 말도 안통할 줄 오해하겠자나요. 세종대의 언어도 저거보단 통하자나요. 나랏말 씀이 중국에 달라 서로 사맞지 아니하여 어린 백성이 이르고자 할 바 있어도 제 뜻을 실어 펴지 못할 놈이 하노라. 내 이를 위하야 어여삐 여겨 새로 스물 여덟자를 맹그노니...... 훈민정음 창제시의 언어에요. 표기는 조금 달라도 지금 우리가 이해 못할 말이 별로 없는데 이게 580년 전 언어라구요. 언어가 쉽게 변하는 거 같아도 그건 신조어들이지 기본 어휘들은 수천년을 이어갑니다. 왜냐, 할아비에서 아비로 아들로 이어지는 말들은 글자 이전에 존재하고 끊임없이 반복 사용됨으로써 생명을 유지하기 때문이죠. 다만 새로운 문물이 등장함에 따라 살고 죽는 언어들이 있을 뿐이죠.
@user-uw4ki5dl3x
@user-uw4ki5dl3x 6 месяцев назад
경상도 사투리로 두부를 조푸 조포 라고 하는데 이걸 얘기하면 50대도 못알아 먹음 예전에 쓰던 주리 라고 말하면 요즘 애들 뭔지도 모름
@koojoo3587
@koojoo3587 3 месяца назад
지금 사용ㅇ하는 언어는 신라언어로 통일됐다 고구려 백제 말과 다르다 임마 언@@user-uw4ki5dl3x
@user-sb4er9wc6u
@user-sb4er9wc6u 2 месяца назад
어순이 틀리다는것에서 찾아봐야지요 어순이 틀리는것은. 말을 하기전에 내가어떤말에 명확한 목적이 있는것과 없는것의 차이입니다
@wootaekjeong5027
@wootaekjeong5027 Год назад
이 방송이 있은지 18년이 지난 지금 한국어의 위상은 한국의 국제적 인지도의 급격한 상승과 함께 일본어를 능가하는 제2외국어로 인기를 누리는 나라들이 많죠.
@hiroono1
@hiroono1 Год назад
한국인은 역사에 무지한 데다가 날조를 거듭하고 있다. 날조는 부끄러운 일이다. 조선민족은 일본에 의해 소변으로 얼굴을 씻고 길에서 대변을 하는 습관을 멈췄지만, 부끄러움을 알기에는 병합의 35년간은 너무 짧았던 것 같다.
@moonp3890
@moonp3890 Год назад
일본에 대한 열등감 좀 버리세요 ㅉㅉ
@sedumits8231
@sedumits8231 Год назад
국뽕 이지랄 ㅋㅋㅋㅋㅋ 너 외국가본적은 있냐? 아직도 재피니즈 아님 차이니즈해 ㅋㅋㅋ 맨날 자화자찬 국내 미디어만 보니까 분수를 몰라요 ㅋㅋㅋ 외국애들은 우리가 어디있는지도 모르고 관심도 없어 ㅋㅋㅋ
@user-hm5cs8uw5u
@user-hm5cs8uw5u Год назад
@@moonp3890 ㅋㅋ 무슨 열등감요 대한민국 문맹률 ᆢ 0.02% ᆢ 중국 문맹률 64% 일본 문맹륭 30% ------------------------------------------------------------ 문자로 표기할 수 있는 소리의 갯수 1. 일본의 가나... 약 300개 2. 중국의 한자... 약 400개 3. 한국의 한글... 약 8800개
@user-hm5cs8uw5u
@user-hm5cs8uw5u Год назад
@@moonp3890 대한민국 문맹률 ᆢ 0.02% ᆢ 중국 문맹률 64% 일본 문맹륭 30% 문자로 표기할 수 있는 소리의 갯수 1. 일본의 가나... 약 300개 2. 중국의 한자... 약 400개 3. 한국의 한글... 약 8800개 중궈 한자 8만자의 음절갯수는 430여개인데, 실생활에서 쓰는 음절갯수는 300여개 뿐입니다. 한국어의 음절갯수는 2400여개이구, 기타 한글과같은 알파벳 언어권들은 대부분 2000개가 넘어요. 브리튼어도 마찬가지이구요. 중궈어가 짐승소리처럼 들이는 이유가 바로, 음절갯수가 300개 뿐이라서 그걸 5성조로 지지고 볶아서 괴랄하게 소리내기 때문입니다. 한자는 사악한 글자인데, 한자를 받아들이면 그 민족의 언어는 사라집니다. 왜냐면, 한자음절 430개로는 사람의 언어를 표기할 수 없기 때문인데, 그렇게 대륙의 수많은 민족들의 언어가 사라졌고, 다들 스스로 한족이라고 우기고 있죠. ㅎㅎㅎ
@ch.mjim.s3724
@ch.mjim.s3724 Год назад
한국에 오셔서 마음 고생도 많이 하셨는데요 얼마나 힘드셨겠어요 민주 언니님 조언도 잘 받으시면서 열심히 사시면 좋은 날이 꼭 오실겁니다
@ch.mjim.s3724
@ch.mjim.s3724 Год назад
다른 분들과 비슷비슷한 얘길 하기는 그렇구요 한국분들이 이민도 많이 가시고 외국인들과 결혼도 많이 하시잖아요 한국 국적이시니까 중국분과 결혼하셔서 중국에서 식당하시면서 사셔되 되실거 같구요 꼭 한국에서만 사실 필요도 없으실거 같은데요 유럽이던 동남아던 호주던 캐나던 자신에게 한국보다 잘 맞는거 같다는 생각이 들면 외국에서 살아보시는 것도 괜찮으실 거 같아요 외국이 안맞는다 싶으면 다시 한국으로 오시면 되는 거구요 물온 말처럼 쉬운건 아니지만 좀 더 넓게 생각해 보실 수도 있다는 것이구요 한국인들 사이에도 예전부터 사람은 심지가 강해야 한다 던가요 이런 말이 있었어요 누가 뭐라고 한다고 해서 흔들리시지 말고 뚝심있게 자신의 목표를 향해서 가라고 하는 말이 있었거든요 주변에서 뭐라고 하는 말에 흔들리면 안돼요 표현이 좀 그렇긴 한데요 너는 떠들어라 나는 내 갈길 간다 이런 다부진 마음으로 사셔야 됩니다
@gracechoi2650
@gracechoi2650 Год назад
지금은 사용하는 언어의 순위도 많이 바꼈겠죠? 아이를 영유보내야되나 고민도 하고 한국어교육학을 공부하면서 부족함도 느끼고.. 많은 생각을 하게하는 영상입니다. 20년후 지금은 으로 나왔으면 합니다
@maverick3399
@maverick3399 Год назад
인구절벽으로 매년 태어나는 신생아수는 전세계 압도적으로 마이너스 1위 갱신. 서양 전문가들이 예측하는 지구촌에서 가장 먼저 사라질 가능성이 있는 국가 1위로 선정된 한국. 이대로 가면 지금부터 70년 뒤면 젊은이들이 없어 국가가 소멸될수도 있다고 인류학자가 몇 년전 방송에 나와 경고했죠. 한국어의 미래는 과연 어떻게 될까요?
@sunjayoo7374
@sunjayoo7374 12 дней назад
아름다운 우리말이 지금도 사라지고 있는현실이다 아파트 이름이 한글이 아닌 영어로만 표기되어 영어를모르면 읽을수조차 없는현실이 안타까울뿐이다
@daily-traveler
@daily-traveler 2 месяца назад
잘 봤어요.1:00:09
@all6669
@all6669 Год назад
20년전 인데 최근 학계 연구도 궁금 하네요 알타이어족과는 다르다는 주장도 궁금 합니다
@MrYou-wf1df
@MrYou-wf1df Год назад
지금 한국어는 알타이어가아닌 고립어라는게 정설입니다
@JY-sp8ff
@JY-sp8ff Год назад
@@MrYou-wf1df 저도 이거 쓰려고 했는데 써주셨네요. 저희 초등학생 때는 알타이 어족이라고 배웠지만 지금은 고립어로 본다더군요.
@user-vb8jq9iq5t
@user-vb8jq9iq5t 2 месяца назад
최신순 내글 참조
@kyoungsunchoi2380
@kyoungsunchoi2380 Год назад
요새는 이런 대작다큐른 못 만드는 이유가 뭘까?
@user-kt4co9tg7i
@user-kt4co9tg7i Год назад
방송국들이 특정 정치세력과 관련되다보니 방송고유의 기능보다 정치투쟁의 도구로 이용되는 느낌이 듭니다
@user-vl9ne1kz3l
@user-vl9ne1kz3l Год назад
연예인들 시시덕 거리는 것과 트로트에 미친것들 때문입니다
@korando00000
@korando00000 Год назад
제작비 시청률 정치성향
@user-fo4kv3rz8w
@user-fo4kv3rz8w Год назад
@@user-vl9ne1kz3l 맞소. 요즘 볼것이 없소.먹방 코메디언 들이 히히덕거리는것 질떨어져서 못보겠소
@3217hkj
@3217hkj Год назад
공중파 방송이 긍정적인 기능을 상실한지 이미 오래된 것 같습니다. 시창자의 교양을 함양할 수 있는 프로그램보다는 편향적이고 자극적인 내용이어야 시청율이 올라가는 모양입니다. 전 TV 안본지 오래되었습니다. 대안으로 이런 프로그램들을 빌굴해서 보려고 노력중입니다.
@user-nj7ez8km7x
@user-nj7ez8km7x Месяц назад
내가 20년전에 tv,로 봐는데 벌써 20년이 흘렸네 시간이 빠르네, 오 나의 20대여
@mw2245
@mw2245 3 месяца назад
일본어는 한국어와 같습니다 . 다만 기본어가 (예 가족관계 엄,아. 할엄, 할아 = 까.또.바.지.) 다르죠 이는 진출 시 남자가 대부분이 아니었나 추정합니다. 이런 단어는 엄마에 의해 전해 졌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가타가나의 숫자 만큼으로 발음이 축소 변형 되었고, 입을 아주 작게 벌려 받침을 발음 못하므로 동무들 > 도우 모우다찌, 我들 = 와다찌 이찌(ㄹ>ㅉ) 일, 미찌는 밀(물) 이죠 마을 마쯔, 죠즈 는 졸
@JYOUN-kr4qk
@JYOUN-kr4qk Год назад
예전 강상원 박사님 강의 내용보면 우리나라 사투리(경상도 전라도 제주 평안도 함경도 등) 자체가 범어라고 하셨는데 산스크리트어 가나다라와 한글의 가나다라 같다고 하심
@user-zs5ow1ml2t
@user-zs5ow1ml2t Год назад
강상원박사님은 천재입니다.👍
@user-tm9nd6wd1r
@user-tm9nd6wd1r Год назад
한국어는 대표적 고립어입니다. Language isolates are languages that cannot be classified into larger language families. Korean and Basque are two of the most commonly cited examples, although Korean is actually a member of the Koreanic language family.
@user-ug2rw2hy3n
@user-ug2rw2hy3n Год назад
유튜버 미얀마공주에 따르면 미얀마 문자가 인도 영향을 받았는데 한글체계와 거의 같다고 합니다. 아마도 산스크리트어를 영향을 받지 않았나 하고 한국어의 어원은 인도쪽 팔리어(빨리어). 산스크리트어에서 찾을 수가 있습니다. 강상원박사님 이야기대로 산스크리트어(문자 +언어)를 한글을 만들었다는 것이 간접적으로 미얀마 문자에서 답을 얻을 수 있습니다.
@user-vy1pw8ns3b
@user-vy1pw8ns3b Год назад
@@user-tm9nd6wd1r 잘 못 알고 계십니다. 중국어가 대표적인 고립어 입니다. 우리말의 어원은 만주를 포함한 중앙아시아와 일본과 같습니다.
@modularsolarid2000
@modularsolarid2000 Месяц назад
@@user-vy1pw8ns3b 언어학자들 사이에서 나온 결론인데 이걸 부정하고 앉았네 ㅋㅋㅋㅋ
@user-fe9iu1si2w
@user-fe9iu1si2w Год назад
나라사랑믜 길이 그 나라의 역사와 언어를 바르게 알고 지켜나가는데 있는 것 같습니다. 이호영교수님, 존경합니다. 저도 교수님처럼 소수민족의 사라져가는 언어 지켜주기와 우리 한글 보급운돔에 함께 참여하고픈 마음이 생깁니다. 개인적으론 소수민족언어는 물론이고 방송매체 강력한 힘에 의해 사라질 것 같은 우리나라 구수하고 매력 넘치는 사투리까지 잘 보존되길 빌어봅니다.
@heavenhaven7254
@heavenhaven7254 Год назад
보존할려면 본민족이 이세를 가르켜야 하는대 요줌에는 외국인들과 혼열들을나아 존상이 내려준 언어 역사 문화가 보존될지 걱정이내요..
@hiroono1
@hiroono1 Год назад
현재 한국어 어휘의 70%는 일본어 기원이다. 일본이 조선을 병합했을 때 조선의 대부분의 사람들은 문맹이었다. 조선은 한글을 저속한 문자로 버렸다. 일본은 앞선 문명의 개념을 한글로 번역해 조선 시민들에게 가르친 것이다. 최초의 한글 사전도 일본인이 편찬했다. 한국인은 일본에 감사해야 한다. 주의, 역사, 청원, 교통, 박사, 윤리, 상상, 문명, 예술, 고전, 강의, 의학, 위생, 봉건, 작용, 전형적, 추상, 철학, 회사, 부장, 사장 등 모두 일본어이다.
@fecu.n7574
@fecu.n7574 Год назад
​@@hiroono1 옛적부터 여러 선진문물을 전해준 은혜를 모르고, 학살, 위안부, 사람을 가지고 생체실험을 한 731부대의 만행, 강제징용, 너희들이 한 만행을 잊지말고 반성해라. 昔から色々な先進文物を伝えてくれた恩恵を知らず、虐殺、慰安婦、人を持って生体実験をした731部隊の蛮行、強制徴用、君たちがした蛮行を忘れずに反省しなさい。
@user-hm5cs8uw5u
@user-hm5cs8uw5u Год назад
@@hiroono1 대한민국 문맹률 ᆢ 0.02% ᆢ 중국 문맹률 64% 일본 문맹륭 30% 문자로 표기할 수 있는 소리의 갯수 1. 일본의 가나... 약 300개 2. 중국의 한자... 약 400개 3. 한국의 한글... 약 8800개 중궈 한자 8만자의 음절갯수는 430여개인데, 실생활에서 쓰는 음절갯수는 300여개 뿐입니다. 한국어의 음절갯수는 2400여개이구, 기타 한글과같은 알파벳 언어권들은 대부분 2000개가 넘어요. 브리튼어도 마찬가지이구요. 중궈어가 짐승소리처럼 들이는 이유가 바로, 음절갯수가 300개 뿐이라서 그걸 5성조로 지지고 볶아서 괴랄하게 소리내기 때문입니다. 한자는 사악한 글자인데, 한자를 받아들이면 그 민족의 언어는 사라집니다. 왜냐면, 한자음절 430개로는 사람의 언어를 표기할 수 없기 때문인데, 그렇게 대륙의 수많은 민족들의 언어가 사라졌고, 다들 스스로 한족이라고 우기고 있죠. ㅎㅎㅎ
@hiroono1
@hiroono1 8 месяцев назад
@@user-rr4vy6ix5r 그것은 조선인에 의한 거짓말이다. 한국인은 왜 거짓말을 하는가? 대답하십시오.
@user-bi5jw1yx3e
@user-bi5jw1yx3e Год назад
공감각
@gameoutsider6738
@gameoutsider6738 Год назад
2500년 전이면, 고작 기원 5세기 밖에 안되고, 그 시기에는 이미 거대 국가가 형성되고, 중국은 기원전 2세기에 대륙통일을 하는데 원시 움집 ? 목재나 흙벽을 사용한 본격적인 주거형태가 나와야 합니다 이집트에서는 기원전 3000년전에 이미 피라미드를 짓고, 중앙아시아에서는 4000년전에 가죽부츠를 신었는데 움집? 논농사와 수리시설까지 지을 정도의 문명을 가진 사람들이라고는 생각할 수 없죠
@user-wm6yt9zk4y
@user-wm6yt9zk4y Год назад
다큐는 재밌엉 ㅠㅠ
@ulcd1
@ulcd1 Год назад
일본어를 공부하고 싶지만 글자때문에 망설여 지는데.. 한국어는 한글이 쉬워서 접근이 용이 할것 같다. 물론 막상 배우기 시작하면 어려운것은 마찬가지겠지만.. 최소한 읽는데 스트레스를 받지 않으니 그것만 해도 좋을듯 하다.
@kyung-sookcho4389
@kyung-sookcho4389 Год назад
❤그동안의 성과와 21세기 미래를 내다보면서 과거와 현재비교하면서 새롭게 제작된 방송을 보고싶네요. K가 붙은 문화와 경제등 좀 노력해 주세요!
@LEVELNEXT-zi1fq
@LEVELNEXT-zi1fq Месяц назад
프러그래밍 어떻게 공부하셨는지, 어떰언어 하셨는지궁금해요 ㅎ
@user-wm6rd5ok1h
@user-wm6rd5ok1h Год назад
아나운서가 다르다와 틀리다 를 구분못하고 쓰다니 놀랍다
@misawasu3792
@misawasu3792 Год назад
이 다큐.. 거의 20년 안팎 전에쯤 나온걸로 기억한다. 그말인즉슨, 현재 KBS의 시사교양방송 수준을 감안하면, 그때 이명박 이후로 완전히 명맥이 끊겨버렸다는 의미다.
@user-vr1hs2rz5g
@user-vr1hs2rz5g 3 месяца назад
20년이 지난 지금 느끼는바가 많네요.
@MaartsFeather
@MaartsFeather Год назад
안녕하쉐이~
@user-ht8qh3yd9z
@user-ht8qh3yd9z Год назад
2004년부터 미국교포들이 노력했구나 ♥
@user-eh9re8id7d
@user-eh9re8id7d Год назад
한국어가 언어의 뿌리인데요.~^^
@modularsolarid2000
@modularsolarid2000 Месяц назад
응, 아니야 ㅋㅋㅋ
@gangnaroo7835
@gangnaroo7835 Год назад
훈민정음 당시 있던 지금은 사용하지 않는 네글자를 사용하면 모든소리와 모든 언어들을 글자로 표현할수 있다.
@fury-of-pluto
@fury-of-pluto Год назад
학교에서 배운 건 백제의 시조 온조, 비류는 고구려에서 왔는데 그럼 고구려, 백제의 언어가 형제급이여야하는데 사촌인게 좀 신기하네
@islandtree7577
@islandtree7577 Год назад
그당시 나라들이 강력한 중앙집권제가 아닌 부족 연합체 같은 성격이라서 그런 것 아닐까요?.. 고구려, 백제는 그중 강한 부족이었고, 나머지 많은 수의 원주민 부족의 수장 쯤 으로 생각하면, 대다수 구성원들의 말을 따라서 지배층의 언어도 변했겠지요.
@willyfrancisco352
@willyfrancisco352 Год назад
왕이 온다고 말도 따라 오는 것은 아니죠. 이재명이 경기도 지사했다고 경기도가 전부 경상도 사투리로 바뀌었나요?
@koojoo3587
@koojoo3587 3 месяца назад
지금 사용하는 말이 경상도 언어다 임마 무식하면 아가리 다물어@@willyfrancisco352
@user-uz5fi1kp6w
@user-uz5fi1kp6w Год назад
우리나라가 자국력을 키울 수 있는데 한글이 없었다면 힘들었을겁니다. 세종대왕님 감사합니다.
@user-xi3jj3nm4m
@user-xi3jj3nm4m Год назад
0
@hiroono1
@hiroono1 Год назад
현재 한국어 어휘의 70%는 일본어 기원이다. 일본이 조선을 병합했을 때 조선의 대부분의 사람들은 문맹이었다. 조선은 한글을 저속한 문자로 버렸다. 일본은 앞선 문명의 개념을 한글로 번역해 조선 시민들에게 가르친 것이다. 최초의 한글 사전도 일본인이 편찬했다. 한국인은 일본에 감사해야 한다. 주의, 역사, 청원, 교통, 박사, 윤리, 상상, 문명, 예술, 고전, 강의, 의학, 위생, 봉건, 작용, 전형적, 추상, 철학, 회사, 부장, 사장 등 모두 일본어이다.
@hiroono1
@hiroono1 Год назад
현재 한국어 어휘의 70%는 일본어 기원이다. 일본이 조선을 병합했을 때 조선의 대부분의 사람들은 문맹이었다. 조선은 한글을 저속한 문자로 버렸다. 일본은 앞선 문명의 개념을 한글로 번역해 조선 시민들에게 가르친 것이다. 최초의 한글 사전도 일본인이 편찬했다. 한국인은 일본에 감사해야 한다. 주의, 역사, 청원, 교통, 박사, 윤리, 상상, 문명, 예술, 고전, 강의, 의학, 위생, 봉건, 작용, 전형적, 추상, 철학, 회사, 부장, 사장 등 모두 일본어이다.
@youto8160
@youto8160 Год назад
@@hiroono1 일본 할배 어여 땅속으로 가라
@choicefox
@choicefox Год назад
@@hiroono1 우쭈쭈~ 우쭈쭈~ 그래쪄욤? 손가락이 심심하면 번데기 주름이나 쪼물딱 거려라~ 😂
@keunjung5940
@keunjung5940 5 месяцев назад
Even though the new laguges is born the words are mostly came from amost English words writing to Korean pronunciation with a K-words...
@ofparasite
@ofparasite Год назад
1:37:15 와... 김윤지 아나 리즈 시절?? "잘레것넌" 이건 요즘도 쓰는 말인데...
@user-qz4tw1zf3i
@user-qz4tw1zf3i Год назад
문자가 없는 민족에게 가장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문자는 한글일수 밖에 없음. 발음하는데로 쓸수 있는 문자가 한글외에는 전무하고 한글 자체가 엄청나게 과학적이라 따라올 문자가 없음
@modularsolarid2000
@modularsolarid2000 3 месяца назад
응, 그래서 찌아찌아족 한글보급도 못하고 10년도 못가서 실패했구나? ㅋㅋㅋ
@sep4957
@sep4957 Год назад
다큐가 예전에 촬영된거라 그런지 최신 학설이랑은 조금 다른 부분이 있네요.. 터키 괴테클리 유적 같은 경우를 보면 인간은 농사가 시작되고 신석기 문명을 가지기 훨씬 전부터 종교를 가지고 집단 생활을 했다고 추정됩니다.. 언어도 종교도 인류 특유의 사회성도 신석기 이후 농업혁명으로 바뀐게 아니라 그 이전부터 있던 인류의 본능인거죠..
@hiroono1
@hiroono1 Год назад
현재 한국어 어휘의 70%는 일본어이다. 일본은 앞선 문명의 개념을 한글로 번역해 조선 시민들에게 가르친 것이다. 최초의 한글 사전도 일본인이 편찬했다. 주의, 역사, 청원, 교통, 박사, 윤리, 상상, 문명, 예술, 고전, 강의, 의학, 위생, 봉건, 작용, 전형적, 추상, 철학, 회사, 부장, 사장 등 모두 일본어이다. 한국인이 이 사실을 좋아하지 않는다면 이 말을 쓰지 말라.
@arkady-mongoo-taeridogsand7338
ㅋㅅ
@fecu.n7574
@fecu.n7574 Год назад
​@@hiroono1 일본어 좋아하네, 한자어의 영향받은거지 ㅋㅋ , 예전 백제인을 비롯해 한반도에서 일본으로 건너가 많이 계몽시켜주었지. 도자기기술도 그렇고
@fecu.n7574
@fecu.n7574 Год назад
​@@hiroono1 옛적부터 여러 선진문물을 전해준 은혜를 모르고, 학살, 위안부, 사람을 가지고 생체실험을 한 731부대의 만행, 강제징용, 너희들이 한 만행을 잊지말고 반성해라. 昔から色々な先進文物を伝えてくれた恩恵を知らず、虐殺、慰安婦、人を持って生体実験をした731部隊の蛮行、強制徴用、君たちがした蛮行を忘れずに反省しなさい。
@hiroono1
@hiroono1 Год назад
@@fecu.n7574 최초의 한글 사전은 일본이 편찬했다. 최근 조사에 따르면 철기와 청동기는 조선보다 먼저 중국 대륙에서 일본 열도로 전해진 것으로 밝혀졌다. 토기는 일본의 아오모리가 최초로, 수천년 후에 한반도에 전해졌다. 불교와 한자는 일본의 속국인 백제를 경유하여 중국 대륙에서 일본으로 전해졌지만, 그들은 조선이 만든 것은 아니다. 덧붙여 한반도의 백제왕족은 신라에 의해 전원 죽었으므로, 백제는 일본인의 조상의 일부이지만, 현재의 한국인의 조상은 아니다. 고구려도 마찬가지다. 따라서 한국인의 조상이 일본에 문화적 영향을 준 사실은 전혀 없다.
@LOVE-bs2nc
@LOVE-bs2nc 2 месяца назад
20년전 다큐이네요, 지금은 아프리카 기원설도 밀려났는데 현시점에는 또 다른 내용으로 다시 만들어야 할 것 같습니다.
@user-id8dy6yp9c
@user-id8dy6yp9c 4 месяца назад
In my opio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and japanese is like the influence of latine language to english, German, French etc . In summary in this day and age english is world langue and western people are not difficult to learn english conversely to ural altai language
@user-lr2jk2su4m
@user-lr2jk2su4m Год назад
주어+목적어+서술어.....절대강자는 한국어 주어+서술어+목적어.....절대강자는 영어. 단어는 바뀌고 대체될 수 있지만....어순은 절대 안바뀜....어순은 생각하는 순서이기 때문. 그러니 걱정하지 말기바람...언어 자체가 사라지지만 않으면 어순은 영원함. 모르는 현지단어는 배우면 그만이고....그게 로마가면 로마법에 따르는 것임.
@NoName-rn5og
@NoName-rn5og Год назад
서술어-주어-목적어 의 절대강자인 아랍어도있음 대충 이 세가지가 말의 어원이 아닐까 생각 합니다.
@modularsolarid2000
@modularsolarid2000 Месяц назад
딱봐도 한국어, 영어밖에 모르는 전형적인 우물안 개구리 수준의 댓글 ㅋㅋㅋㅋ
@user-lr2jk2su4m
@user-lr2jk2su4m Месяц назад
@@modularsolarid2000 니.....몇개국어 할줄 아나?
@modularsolarid2000
@modularsolarid2000 Месяц назад
@@user-lr2jk2su4m 언어 몇 개 할 줄 아는 게 중요한 거임 이게? ㅋㅋㅋㅋ 언어들마다 각각의 특징이 있고, 그렇기에 우열 자체가 있을 수 없는데, 절대강자니 뭐니 ㅇㅈㄹ ㅋㅋㅋㅋㅋㅋ
@user-lr2jk2su4m
@user-lr2jk2su4m Месяц назад
@@modularsolarid2000 절대강자가 대표라는 뜻으로 말한건데.... 이해가 안되나? 두 어순의 대표....세계화. 대중성.... 그쯤으로 이해해라.
@Jomalone.
@Jomalone. Год назад
어르신들하고 요즘 젊은 세대 사용하는 말이 다르듯이 세월이 흐를수록 조금씩 변해가는듯 하다.. 지금이야 방송 인터넷 등으로 대부분 다 같이 공유해가지만 .. 지방 사투리 등 다른 지역사람이 가서 들으면 알아듣지 못하는 단어가 종종있다.. 특히 제주도.. 이렇게 아주 먼 과거부터 서로 변해가고 어느시점에는 아예 서로 알아듣지 못할정도로 차이가 생긴게 아닐까 ...?
@user-vi2ms8qi6m
@user-vi2ms8qi6m Год назад
헐버트님 대한민국 후손으로 감사드립니다 명복을 빕니다
@kauhh.s.2871
@kauhh.s.2871 Год назад
"한국어와 일본어는 어떤 관계는?" → 한국어와 일본어의 관계는?아니면 → 한국어와 일본어는 어떤 관계? 로 수정 해주실 수 없으신지?
@user-vg7yu7rr2e
@user-vg7yu7rr2e Год назад
한글은 쉬운데 말이 어려워요
@user-km6pu8gm7u
@user-km6pu8gm7u Год назад
어렵다기 보단 표현력이 우수 한거죠. 자유 자재로 표현이 가능한, 그런데 그 표현을 이해하지 못하는 분들( 대부분 외국인) 에겐 어렵게 느껴질 수 밖에요. 얼마전 한 국제커플의 영상 중에 외국인 아내분이 사용한 말....,"날랐다,나르자" ㅎㅎ 빠르게 도망갔다.는 의미로 사용하더군요. 제가 놀랐습니다. 한글, 한국어는 너무 표현력이 좋은 언어 이기에 하나의 집단, 공동체에서는 문제가 없겠지만 다른 집단에서 새롭게 적응 해 오시는분들에겐 기존 집단에서 사용하던 부분 (?)까지 습득해야하니 어렵기도 하겠죠
@RP-qm5hm
@RP-qm5hm 3 месяца назад
@@user-km6pu8gm7u한국인들의 감정은 너무나 복잡하고 어디로 튈지 예측이 어렵습니다. 감정이란 간결하게 이성적으로 정돈되어야하고 필요할때는 숨겨져서 악감정으로 키워지지 않아야합니다. 장구한 노비제도에서 해방된게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습니다. 허지만 폐해에 대한 고착된 악습은 공론이 없었기에 치유가 유보되어 있습니다. 이는 지역차별 지역감정 이전에 학술적으로 먼저 접근해야할 문제 입니다.
@modularsolarid2000
@modularsolarid2000 Месяц назад
@@user-km6pu8gm7u 표현력이 우수하다고 하는 게 결코 우수한 게 아닌데? ㅋㅋㅋ
@gameoutsider6738
@gameoutsider6738 Год назад
동아시아 지역에서 쌀농사는 사람이 아니라 경작법이 이동했다는 이 영상 이후의 네이쳐 논문이 있습니다 그 이전에는 조농사를 지었는데, 조농사는 사람이 이동하는 형태를 보입니다
@gameoutsider6738
@gameoutsider6738 Год назад
그리고 난생신화라고 해봤자 삼국의 건국신화에서나 나올 정도고 2천년 수준으로 짧아요 무슨 기원전 6천년 1만년 얘기가 아니란 말이죠 난생이든 천손이든 이미 쌀농사 다 퍼지고 섞이고 수 천년 이후에나 나오는 개념들입니다 이미 고대국가가 생기던 시절엔 난생이고 천생이고 모두 쌀농사 지은지 수 천년에서 1만년은 지났단 말이죠
@Ambsdr723
@Ambsdr723 Год назад
헝가리어 (머저르어)는 시베리아 언어예요. (북아시아) 핀-우고르 어족 (우랄어족) 우그리그 어파 = 만시어 + 한티어 + 머저르어 페름 어파 코미어 + 우드무르트어 + 모르드빈어 그 다음 핀 어파 핀란드어 + 에스토니아어+ 카렐리아어 ...등~ 핀 언어들 우리 현대어와 가깝지 많습니다. 헝가리어와 가장 가까운 언어 순서는 1 만시어 2 한티어 3 우드무르트어 4 코미어 5 모르드빈 핀 + 에스토니아 는 8번째 와 9번째이다. 한국사람들은 터키 역사를 잘 아는 만큼 우랄 역사에도 관심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hiroono1
@hiroono1 Год назад
현재 한국어 어휘의 70%는 일본어 기원이다. 일본이 조선을 병합했을 때 조선의 대부분의 사람들은 문맹이었다. 조선은 한글을 저속한 문자로 버렸다. 일본은 앞선 문명의 개념을 한글로 번역해 조선 시민들에게 가르친 것이다. 최초의 한글 사전도 일본인이 편찬했다. 한국인은 일본에 감사해야 한다. 주의, 역사, 청원, 교통, 박사, 윤리, 상상, 문명, 예술, 고전, 강의, 의학, 위생, 봉건, 작용, 전형적, 추상, 철학, 회사, 부장, 사장 등 모두 일본어이다.
@chj8164
@chj8164 Год назад
외국인이 쓴 글이군요
@Ambsdr723
@Ambsdr723 Год назад
@@chj8164 저 한국사람 아닙니다 네.
@user-ri8tx6vo1n
@user-ri8tx6vo1n 3 месяца назад
1:41:38삽입 음악은!???
@user-tm9nd6wd1r
@user-tm9nd6wd1r Год назад
이 프로그램의 주제는 한글이 아니라 한국어... 문자와 언어를 구분합시다.
@GaleRianes
@GaleRianes Год назад
이거 구분 못하는자들 부지기수
@user-zt1xi7we9f
@user-zt1xi7we9f Год назад
P
@user-zr4rp8wy5g
@user-zr4rp8wy5g Год назад
@@GaleRianes ddvddccfcc
@VitorJKhan
@VitorJKhan Год назад
그렇지요.
@user-hb4ub2gi7x
@user-hb4ub2gi7x Год назад
우리나라는 극단적이고 아다르고 어다른거 구분못하는 사람이 많아요 비슷하면 대충 써버리고 그런점이 대한민국에 고통을 주는 핵심요소죠 정치에도 반영되기에
@kangkang7404
@kangkang7404 Год назад
한글날 우리가 한 번쯤 생각해보아야 할 내용의 글이 있어서 함께 공유합니다.♥ 우리 발음이 안좋았던 이유?! 오늘은 576돌이 되는 한글날이다. 그래도 이렇게 한글날이 있어 한글을 발명한 세종대왕에 대한 고마움을 한번 생각해 보게 되는것 같다. 최근에 한 잡지에서 일본 우경화 뿌리를 추적하는 기사를 봤는데 일본 제국주의(일제)가 조선 발전에 이바지한 그들의 주장들이 정리되어 있었고 그 속내도 다 알고 있는 내용이었는데 이중에 '복잡한 한글을 표준화 시켜 문맹율을 퇴치했다'라는 주장은 선뜻 이해가 가지 않았다. '일본인들이 한글을 얼마나 알아서 표준화를 시켰을까?' 이런 일본 극우의 주장은 좀 황당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다 우연히 순천향대 이덕일 교수가 진행하는 '이덕일 역사 TV' 유튜브 채널을 보게 되었다. 마침 '훈민정음을 난도질한 일본인'이란 주제의 강좌였고 이를 통해 그 이유를 알게 되었다. 오늘 한글날이고 해서 그 강좌의 주요내용 그리고 관련된 자료를 몇 개 더 찾아 아래와 같이 다시 정리해 본다. 보통학교용 언문 철자법(普通學校用諺文綴字法)은 1912년에 조선총독부의 통역관 출신 고쿠부 쇼타로(国分象太郎) 주도로 정한 한국어 맞춤법으로 일본어와 비슷한 발음을 하도록 의도된 제정안이다. 이 제정안에 따르면 1) 아래아(•) 폐지 2) 한 글자 받침 'ㄱ, ㄴ, ㄹ, ㅁ, ㅂ, ㅅ, ㅇ' 3) 두 글자 받침 'ㄺ, ㄻ, ㄼ' 열가지만 인정 4) 설음 자모 'ㄷ, ㅌ’ 등과 ‘ㅑ, ㅕ, ㅛ, ㅠ'의 결합 불인정 즉, 한글 표기 단순화는 일본어의 발음에 맞게 퇴보시켜 창제 정신과 창제원리를 말살한 일제의 잔재이다. 그런데 이 잔재는 현재 한글 맞춤법 통일안에도 그대로 녹아들어 영어 알파벳 26 중 10 이상의 발음을 구분 못하게 되었다. 한글의 사용설명서 격인 훈민정음 해례본 서문을 보면 "정음을 만든데... 단지 그 소리를 따라 그 이치를 따름이다"라고 적혀 있는데 이는 모든 소리를 적을 수 있는 게 한글을 창제 했다는 세종대왕의 유지인 것이다. 일제에 의해 파괴된 한글은 연서와 병서만 복원해도 전 세계 모든 발음이 가능하다고 한글 전문가는 얘기한다. 병서는 한글에서 두 개 이상의 자음 또는 모음을 가로로 병기해 새로운 글자를 만드는 것이고 연서는 순음자 밑에 ‘ㅇ’을 이어 쓰는 것으로 ‘ㅱ’, ‘ㅸ’, ‘ㆄ’, ‘ㅹ’ 등이 있다. 예를 들어 병서를 사용하면 L과 R 발음을 구분할 수 있다. Lane 레인, Rain ㄹ레인(또는 ㅇ레인)과 같이 표기하고 발음을 할 수 있다. 또 연서를 사용하면 B와 V 그리고 F와 P의 발음을 구분 할 수 있다. 즉 B는 ㅂ로 V는 ㅸ로 쓰고 발음하면 되고 마찬가지로 F는 ㅍ로 P는 ㆄ로 쓰고 발음하면 된다. 일제에 의해 시작된 단순화된 한글 표기와 맞춤법 그 틀에서 벗어나지 못한 현재의 한글 맞춤법도 폐지하지 않으면 한글 창제원리에서 벗어나 한글은 점점 퇴보가 되어 'McDonalds'도 '매끄도나르드' 쓰고 발음하게 될날이 오게 될 수도 있다. 이제라도 우리가 한글 창제 원리대로 유지하고 발전시킨다면 우리가 말하는 외국어는 보다 풍부한 발음 가능하리라 본다. 그간 내 안돌아가는 혀와 입만 탓했네🤣 원문: 훈민정음을 난도질한 일본인 이덕일 역사TV 2022.09.29 참고 글: ‘보통학교용 언문철자법(1912)’의 제정 의도와 표기사적 문제점, 국어사학회(국민대학교 김주필) 2017 훈민정음 창제 당시 변신글자 ‘ㅷ, ㅸ’, 뉴시스 2019.10.22 일제가 왜곡한 한글 맞춤법, 동아일보 2017.10.09 모든 소리 표현, 한글 과학성에 세계가 감탄, 동대신문 2009.09.06 우리 발음이 안좋았던 이유?! 오늘은 576돌이 되는 한글날이다. 그래도 이렇게 한글날이 있어 한글을 발명한 세종대왕에 대한 고마움을 한번 생각해 보게 되는것 같다. 최근에 한 잡지에서 일본 우경화 뿌리를 추적하는 기사를 봤는데 일본 제국주의(일제)가 조선 발전에 이바지한 그들의 주장들이 정리되어 있었고 그 속내도 다 알고 있는 내용이었는데 이중에 '복잡한 한글을 표준화 시켜 문맹율을 퇴치했다'라는 주장은 선뜻 이해가 가지 않았다. '일본인들이 한글을 얼마나 알아서 표준화를 시켰을까?' 이런 일본 극우의 주장은 좀 황당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다 우연히 순천향대 이덕일 교수가 진행하는 '이덕일 역사 TV' 유튜브 채널을 보게 되었다. 마침 '훈민정음을 난도질한 일본인'이란 주제의 강좌였고 이를 통해 그 이유를 알게 되었다. 오늘 한글날이고 해서 그 강좌의 주요내용 그리고 관련된 자료를 몇 개 더 찾아 아래와 같이 다시 정리해 본다. 보통학교용 언문 철자법(普通學校用諺文綴字法)은 1912년에 조선총독부의 통역관 출신 고쿠부 쇼타로(国分象太郎) 주도로 정한 한국어 맞춤법으로 일본어와 비슷한 발음을 하도록 의도된 제정안이다. 이 제정안에 따르면 1) 아래아(•) 폐지 2) 한 글자 받침 'ㄱ, ㄴ, ㄹ, ㅁ, ㅂ, ㅅ, ㅇ' 3) 두 글자 받침 'ㄺ, ㄻ, ㄼ' 열가지만 인정 4) 설음 자모 'ㄷ, ㅌ’ 등과 ‘ㅑ, ㅕ, ㅛ, ㅠ'의 결합 불인정 즉, 한글 표기 단순화는 일본어의 발음에 맞게 퇴보시켜 창제 정신과 창제원리를 말살한 일제의 잔재이다. 그런데 이 잔재는 현재 한글 맞춤법 통일안에도 그대로 녹아들어 영어 알파벳 26 중 10 이상의 발음을 구분 못하게 되었다. 한글의 사용설명서 격인 훈민정음 해례본 서문을 보면 "정음을 만든데... 단지 그 소리를 따라 그 이치를 따름이다"라고 적혀 있는데 이는 모든 소리를 적을 수 있는 게 한글을 창제 했다는 세종대왕의 유지인 것이다. 일제에 의해 파괴된 한글은 연서와 병서만 복원해도 전 세계 모든 발음이 가능하다고 한글 전문가는 얘기한다. 병서는 한글에서 두 개 이상의 자음 또는 모음을 가로로 병기해 새로운 글자를 만드는 것이고 연서는 순음자 밑에 ‘ㅇ’을 이어 쓰는 것으로 ‘ㅱ’, ‘ㅸ’, ‘ㆄ’, ‘ㅹ’ 등이 있다. 예를 들어 병서를 사용하면 L과 R 발음을 구분할 수 있다. Lane 레인, Rain ㄹ레인(또는 ㅇ레인)과 같이 표기하고 발음을 할 수 있다. 또 연서를 사용하면 B와 V 그리고 F와 P의 발음을 구분 할 수 있다. 즉 B는 ㅂ로 V는 ㅸ로 쓰고 발음하면 되고 마찬가지로 F는 ㅍ로 P는 ㆄ로 쓰고 발음하면 된다. 일제에 의해 시작된 단순화된 한글 표기와 맞춤법 그 틀에서 벗어나지 못한 현재의 한글 맞춤법도 폐지하지 않으면 한글 창제원리에서 벗어나 한글은 점점 퇴보가 되어 'McDonalds'도 '매끄도나르드' 쓰고 발음하게 될날이 오게 될 수도 있다. 이제라도 우리가 한글 창제 원리대로 유지하고 발전시킨다면 우리가 말하는 외국어는 보다 풍부한 발음 가능하리라 본다. 그간 내 안돌아가는 혀와 입만 탓했네🤣 원문: 훈민정음을 난도질한 일본인 이덕일 역사TV 2022.09.29 참고 글: ‘보통학교용 언문철자법(1912)’의 제정 의도와 표기사적 문제점, 국어사학회(국민대학교 김주필) 2017 훈민정음 창제 당시 변신글자 ‘ㅷ, ㅸ’, 뉴시스 2019.10.22 일제가 왜곡한 한글 맞춤법, 동아일보 2017.10.09 모든 소리 표현, 한글 과학성에 세계가 감탄, 동대신문 2009.09.06
@LKLAAADPLIOI
@LKLAAADPLIOI Год назад
없어진 글자는 이미 발음에서 유믜미한 차이가 별로 없어져서 그런걸로 압니다 지금 'ㅐ'와 'ㅔ'처럼요
@user-yi4rz3nf1j
@user-yi4rz3nf1j Год назад
​@@LKLAAADPLIOI 없어진 말과 글자는 자연소멸 하거나 진화 변형된게 아니라 일본놈들이 강제로 우리말과 글을 못쓰게 하면서 강제로 도태된 것이오~ 그래서 불과 100년전 우리말도 못알아듣게 된거요,
@jimchoi8750
@jimchoi8750 Год назад
일본 덕분에 중국 한자 전용에서 탈피 했고 , 양반 상놈 신분제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일본이 강제로 신분제 폐지 안 했으면 , 과연 양반들이 자발적으로 신분제를 폐지 했을까? 아직까지도 21세기까지도 신분제가 남아 있었을 것이다
@jimchoi8750
@jimchoi8750 Год назад
@@user-yi4rz3nf1j 조선족은 한국말 쓰지마라
@tigerdns96
@tigerdns96 Год назад
아무도 매끄도나르드 라고 발음허지 않음
@user-oj6pg1lg1k
@user-oj6pg1lg1k Год назад
우리나라에 존재하는 고인돌이 유형이 남방계와 북방계가 존재하는데... 아마 고대에는 남방에서 이동해온 민족들과 북방에서 이동해온 민족들이 모였던 장소 같음... 그래서 한국어는 어디 한군데서 유래되어 온게 아니라 여러민족이 섞인것 같음... 섞여있다보니 다른 언어에 비해 발음할수 있는게 유독 많은 것일수도 있고 심지어는 부산쪽인가 거기에는 신석기 유럽인의 유해도 발굴되었다니... 세계적 만남의 장소이지 않을까 싶은 생각까지 듦
@mschoi2383
@mschoi2383 Год назад
38분까지 봄... 이어서 다음에...
@user-bm3cj5oe6j
@user-bm3cj5oe6j Год назад
카자흐스탄 고려인의 말이 방언도 아닌 외국어라니 충격적이네요..뿌리가 같아도 100년만 지나면 다른말이 된다는 건데.. 일본어와 한국어가 각자 1000년 넘게 변했으니 같을 수가 없겠지요. 요즘 우리나라가 아이를 안 낳으니 조만 간에 한국어도 사라질 운명인데.. 그래도 한글은 누군가 쓰지 않을까 싶습니다. 버리기는 너무 아까운 글자이니...ㅠ
@hiroono1
@hiroono1 Год назад
현재 한국어 어휘의 70%는 일본어 기원이다. 일본이 조선을 병합했을 때 조선의 대부분의 사람들은 문맹이었다. 조선은 한글을 저속한 문자로 버렸다. 일본은 앞선 문명의 개념을 한글로 번역해 조선 시민들에게 가르친 것이다. 최초의 한글 사전도 일본인이 편찬했다. 한국인은 일본에 감사해야 한다. 주의, 역사, 청원, 교통, 박사, 윤리, 상상, 문명, 예술, 고전, 강의, 의학, 위생, 봉건, 작용, 전형적, 추상, 철학, 회사, 부장, 사장 등 모두 일본어이다.
@JKugane
@JKugane Год назад
@@hiroono1 메이지때 일본이 서양 어휘를 한자로 번역한 자유, 민주주의, 건강 이런 일본식 한자어들이 중국, 대만, 한국에 역수입되어 쓰이고 널리 쓰이고 있죠. 비한자어 순일본말은 좀 사정이 다릅니다. 쓰메키리, 타마네기등은 쓰였지만 2020년대에는 순수 한국어휘와 영어로 대체되었습니다
@hiroono1
@hiroono1 Год назад
@@JKugane 현대 한국어 어휘의 70%는 일본어 유래인 것은 사실이다. 한국인은 일본에 감사해야 한다.
@fecu.n7574
@fecu.n7574 Год назад
한국어는 한자의 영향을 받은거다. 옛적부터 여러 선진문물을 전해준 은혜를 모르고, 학살, 위안부, 사람을 가지고 생체실험을 한 731부대의 만행, 강제징용, 너희들이 한 만행을 잊지말고 반성해라. 韓国語は漢字語の影響を受けたものだ。 昔から色々な先進文物を伝えてくれた恩恵を知らず、虐殺、慰安婦、人を持って生体実験をした731部隊の蛮行、強制徴用、君たちがした蛮行を忘れずに反省しろ。
@hiroono1
@hiroono1 Год назад
@@fecu.n7574 최초의 한글 사전은 일본이 편찬했다. 최근 조사에 따르면 철기와 청동기는 조선보다 먼저 중국 대륙에서 일본 열도로 전해진 것으로 밝혀졌다. 토기는 일본의 아오모리가 최초로, 수천년 후에 한반도에 전해졌다. 불교와 한자는 일본의 속국인 백제를 경유하여 중국 대륙에서 일본으로 전해졌지만, 그들은 조선이 만든 것은 아니다. 덧붙여 한반도의 백제왕족은 신라에 의해 전원 죽었으므로, 백제는 일본인의 조상의 일부이지만, 현재의 한국인의 조상은 아니다. 고구려도 마찬가지다. 따라서 한국인의 조상이 일본에 문화적 영향을 준 사실은 전혀 없다.
@user-yd6lu4it1f
@user-yd6lu4it1f Год назад
반대로 생각하면 한국어의 근본과 뿌리는 바로 한반도에 있으며 우리민족이 지나오며 남겨둔 민족들의 흩어진 흔적을 찾아가는것이 맞다고 생각되네요.
@hakunamatatatatatata
@hakunamatatatatatata 2 месяца назад
2:46:58 난 여기가 너무 좋아.. 이게 한글이다.
@user-yi4en2rq6k
@user-yi4en2rq6k Год назад
언어는 사회적 약속이고 규칙이다. 고려인들이 사용하는 고려어, 중국 조선족들이 사용하는 조선어, 북한어 등을 현대 한국어와 비교하면 그 갈래의 첫머리가 대한제국말기와 일본제국주의침략초기를 거치면서 현대한국어의 규칙과 약속이 정해진 전과후로 구분된다. 북한어가 평양을중심으로 하는 문화어라고 하고 남한어가 서울을중심으로 하는 교양어를 표준어라고 하게 되는데... 중앙아시아 고련인들의 고려어의 특성은 현대 한국어의 규칙과 약속이 정해지는 시기에 간도와 만주로 이주했던 대한제국인들이 강제로 중앙아시아로 이주하게 되면서 고립된 언어로 존재하게 되었을 때 소련이 붕괴되기전까지는 북한어의 영향을 다소나마 받게 되었고 소련붕괴후에는점차로 남한어의 영향을 강하게 받게 되는 세대별 동일 언어에대한 다층적 표현방식을 가진 언어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중국 조선족이 사용하는 조선어의 특성은 중국 개방전까지는 비교적 북한어의 영향을 강하에 받고 있었으며 개방후에는 남한어의 영향을 강하게 받게 되면서 점차로 서울 표준어쪽으로 변화해가는 현상을나타내고 있다.
@user-bv3tt9lv4k
@user-bv3tt9lv4k Год назад
세상이 너무 혼란 스럽다. ㅋㅋ !!!
@RedAnt79
@RedAnt79 Год назад
우리말 특징이 사실 어순에 구애받지 않으므로 초급자는 대충 단어만 나열해도 한국사람은 종특인 눈치로 다알아듣는다는 자신감을 먼저 심어주는 교육도필요하다봄. 문법 어순위주로 가르치다보면 정말 난이도가높은 언어이긴함
@woondaepaek6374
@woondaepaek6374 Год назад
yes
@user-pl1xp2do7l
@user-pl1xp2do7l 6 месяцев назад
한글은 문자녹음기 모든소리를문자화,하여 기록으로 남겨놓을 수 있는 결과 이러한기계가 있는지 Hangul is a text recorder. Is there such a machine that converts all sounds into letters and records them?
@user-zt7mu9oo3w
@user-zt7mu9oo3w Год назад
이프로를 보면서 많은 생각을 하게되네요 우리것에대한 생각을 너무들 아니하게 생각하고 있는게 아닐까 하고 상점의 이름들을 모두 영어로 써야 멋지다고 하면서 모든 간판들를 영어로 쓰고있으니 답답하네요 한글도 멋지게 작품화해서 상호들을 바꾸면 좋겠네요 ㅡ프랑스의 언어 법 우리정부도 생각해볼 문제인것같네요 남북간에 언어차이가 슬프게 하네요 좋은방송 감사합니다
@moonp3890
@moonp3890 Год назад
영어 : 알파벳 = 한국어 : 한글 멍청하네
@chef.4726
@chef.4726 Месяц назад
아니x 안이o
@user-vm5vg7pv3l
@user-vm5vg7pv3l Год назад
실론이나 스리랑커 역시 실과 관련이 있음,따라서 오만족으로 방직에 관련된 일을 하였음.
@lifeisshort99
@lifeisshort99 6 месяцев назад
줄줄히 맞는 말씀입니다. 저역시 하시는 말씀대로 살다 더일할수있지만 50대 중반에 경제적 자유를 얻고 은퇴한 64세 입니다. 50대 되니 회사에서 연봉이 많으니까 눈치도 보여서 아래서 치고 올라오니 자존심도 나고요. 남들은 제가 돈을 잘벌어 쉽게 은퇴한줄 아는데 평생 노력한 결과 입니다. 아끼며 살았더니 근면이 몸에 배여서 막상 은퇴하고 연금 받으니 많은 돈은 필요하지 않네요. 직장살때와 비슷하게 경제적으로 살고요. 죽기전 일부를 사회에 반환할 계획입니다.
@Kyh7220
@Kyh7220 Год назад
보여주는 역사ㆍ
@kuzemo
@kuzemo Год назад
캄보디아 크메르어와 한국어가 의외로 비슷한게 많더라구요 단어도 단어지만... 뭐랄까...의태어? 쭈루룩... 떨어지다..이런게 비슷하더라구요..제아내가장 캄보디아 인이라...^^
@keunjung5940
@keunjung5940 5 месяцев назад
So you have to kerp always with Enlish Korean dictionary with you all...
@jsj0113k
@jsj0113k 4 месяца назад
20년전거라 지금은 좀 다를수 있슴
@user-mw5vg1zh4r
@user-mw5vg1zh4r Год назад
대한민국에서는 한국어 100% 쓰기로 하자!
@manfish6135
@manfish6135 4 месяца назад
그럽시다 우물안 개구리 처럼
@modularsolarid2000
@modularsolarid2000 3 месяца назад
그럼 니 댓글에 달아놓은 %도 없애야지. 한글 아니잖어 ㅋㅋㅋ
@user-tz4zf7ct3p
@user-tz4zf7ct3p Год назад
히말라야 마고성을 가야 찾지요~ 그리고 산스크리트어 사전과 우리 전국 사투리 그리고 동국정운을 보면 다 나와있음~머 라틴어까지 찾아보면 더 좋구요~
@hiroono1
@hiroono1 Год назад
현재 한국어 어휘의 70%는 일본어 기원이다. 일본이 조선을 병합했을 때 조선의 대부분의 사람들은 문맹이었다. 조선은 한글을 저속한 문자로 버렸다. 일본은 앞선 문명의 개념을 한글로 번역해 조선 시민들에게 가르친 것이다. 최초의 한글 사전도 일본인이 편찬했다. 한국인은 일본에 감사해야 한다. 주의, 역사, 청원, 교통, 박사, 윤리, 상상, 문명, 예술, 고전, 강의, 의학, 위생, 봉건, 작용, 전형적, 추상, 철학, 회사, 부장, 사장 등 모두 일본어이다.
@user-fo4kv3rz8w
@user-fo4kv3rz8w Год назад
@@hiroono1 이보세요. 거참 똑바로 알고 말하시오. 일본찬양자 이거나 친일파 이거나 일본인이 신가? 어이가 없소
@user-eg7fq7pb5e
@user-eg7fq7pb5e Год назад
홋카이도 주인은 18세기 까지 이누이족이 주류인데 석기 이동경로가 일본이 주장하는 경로네요. 홋가이도에서 일본본토로 간게아님니다.1900년대 일본이 일본의 위대함을 보여준다고 동물처럼 전시한 인류가 한국인. 이누이족. 류큐족인데.
@hiroono1
@hiroono1 Год назад
@@user-eg7fq7pb5e 영국인 여성 이사벨라 버드는 일본에 의한 원조 전인 1894년 방문시 서울에 관하여 다음과 같이 썼다. 집에서 나온 오물에 의해 악취가 심해 서울이 세상에서 가장 불결한 마을이다. 수도로서는, 그 엉성함은 형용하기 어렵다. 도로라고 해도, 짐승이나 인간의 통행으로 아무래도 식별 가능한 정도에 붙은 통로에 지나지 않는다. 뚜껑이 없는 넓은 수로를 어둡고 어두운 물이, 한때는 자갈이었던 강바닥에 퇴적한 배설물이나 쓰레기 사이를 악취를 감돌게 하면서 천천히 흘러 간다. 서울에는 예술품은 전혀 없고, 고대의 유적도 작고, 공원도 없으면, 보아야 할 이벤트도 극장도 없고, 구적도 도서관도 문헌도 없고, 종교에 대략 무관심했기 때문에 사원도 없고, 미신이 영향력을 가지기 때문에 묘지도 없다. 공자묘와 비를 제외하면 공인의 사원이 하나도 없고, 성내에 스님이 들어가면 사형에 처할 수 있기 때문에, 청국이나 일본이라면 어떤 초라한 마을에도 있는 당당한 종교 건축물이 주는 박력이 서울 에는 없다.
@hiroono1
@hiroono1 Год назад
@@user-eg7fq7pb5e 서유럽에서 본 일본은 민도가 높은 아름다운 1등 국가였지만 조선은 민도가 낮은 더럽고 냄새가 나는 3등국이었다. 일본은 그것을 1등국 수준으로 끌어올리려고 노력한 것이다. 그래서 조선인이 보면 '차별'과 '괴롭힘'이 발생했다. 일본에서 보면 '교육' 혹은 '징계'이다. 예를 들어, 조선인에게는 소변으로 얼굴을 씻고 길가에서 배설물을 하는 것은 보통의 습관이었지만, 일본에서는 징계의 대상이었기 때문에 그것을 지킬 수 없는 조선인이 징벌을 받는 것은 당연하다. 그리고 관동대지진에 있어서의 조선인 린치의 주인은 신문의 오보이지만, 다른 원인의 하나로, 일본에 조선인 갱이 많았던 것을 들 수 있다. 평소부터 매너가 좋았던 대만인은 거의 피해를 받지 않았다. 김석원 등 일본군 조선인 장교는 그것을 잘 이해하고 조선인 민도를 1등 국가에 걸맞는 수준으로 끌어올리려고 노력했다. 한편 이승만은 특권을 박탈당해 일본에 원한을 갖고 있던 양반 출신이었기 때문에 일본의 징계문화를 괴롭힘으로 해석하고 역사를 날조해 국민을 교육했다. 길거리에서 탈출하는 사람이 여러분의 나라에 많이 오면 어떻게 해야 합니까? 그래도 일본은 조선인에게 직업을 주었습니다. 그것을 잘 생각하십시오.
@Makeitgreat-zk8ex
@Makeitgreat-zk8ex 12 дней назад
내용도 멋지고 시각도 멋지다. 최근의 언론이 그저 클릭을 위해서 국수주의만을 이용하고 편가르기 하는 졸렬한 태도에 비해 연구적인 시각과 객관적인 시각을 잘 지킨 작품인듯하다. 그때는 이런 다큐를 떠나서 문화적으로 조차도 한국이던 중국이던 다른 나라의 문화에 대해서도 정말로 기쁜맘으로 받아들이고 공통점과 차이점이라는 의미로 받아드렸던거 같다. 문화가 성장하고 있던 시절이다. 지금도 이런 문화의 다양성과 포용성을 좀 더 가지면 오히려 한국의 발전이 좀 더 지속되지 않을지 싶다.
@joyonghisumswida
@joyonghisumswida 2 месяца назад
언어를 성능 때문에 선택하는 국가는 없습니다. 대부분 오랜 과거부터 써왔거나 침략자들의 강요로 어쩔 수 없이 배운 것입니다. 즉, 사용자의 선택은 없었다는 것입니다. 다만 한글은 문자표기의 방법으로 문자가 없는 민족이나 국가에게 배포되고 있을뿐... 우리 말이 다른 언어에 비해 표현력이 좋다고들 하죠. 그런 점이 마음에 든다면 기존 언어 말고 더 배울 수도 있으나... 현재 영어의 위치를 한국어가 차지하기에는 아직 이릅니다. 좀더 한국과 연관되는 흐름이 강력해져야 가능할 것으로 봅니다.
@JS-gogo
@JS-gogo Год назад
제목 수정 좀..
@user-xp3lj9mc8k
@user-xp3lj9mc8k Год назад
산스크리트어 발음과 내용이 우리말 사투리와 많은 연관성이 있다는것을 연구한 분이 있는데 여기서는 전혀 그런 내용이 없내요 강상원박사입니다 유튜브에도 많이 올라와 있습니다 전라도, 경상도, 평안도 사투리가 소름끼칠 정도로 그대로 산스크리트어에 있습니다
@user-dv8gv3hu4t
@user-dv8gv3hu4t 6 месяцев назад
이해관계에 따라 이해가 다르다,
@m.fatihyilmaz
@m.fatihyilmaz Год назад
merhaba:)
@user-jz6lz3rb7w
@user-jz6lz3rb7w Год назад
문자와 언어를 구분하지만 문자가 언어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것도 생각을 해야함 한국어가 표현이 풍부해진 이유도 모든 발음을 기록할 수 있는 한글의 도움을 받았다는 것
@hiroono1
@hiroono1 Год назад
현재 한국어 어휘의 70%는 일본어 기원이다. 일본이 조선을 병합했을 때 조선의 대부분의 사람들은 문맹이었다. 조선은 한글을 저속한 문자로 버렸다. 일본은 앞선 문명의 개념을 한글로 번역해 조선 시민들에게 가르친 것이다. 최초의 한글 사전도 일본인이 편찬했다. 한국인은 일본에 감사해야 한다. 주의, 역사, 청원, 교통, 박사, 윤리, 상상, 문명, 예술, 고전, 강의, 의학, 위생, 봉건, 작용, 전형적, 추상, 철학, 회사, 부장, 사장 등 모두 일본어이다.
@user-jz6lz3rb7w
@user-jz6lz3rb7w Год назад
@@hiroono1 일본의 거짓은 본인도 속이고, 일본전체를속인다는 것 모든 고대 유물의연대가 한반도가 맢서는데 꼴랑 미국의 함포로 근대화가 빨랐다는 것 하나로 과거의 열등감을 지금의 거짓으로 표현하는것 일왕만 해도 한반도가 그 기원임을 여러 문서로 알 수 있다 그냥 거짓으로 자기 만족하면서 살다가 지진과 화산 폭발로 열도와같이 사라지는 것이 인류에게 득이 되는 일이다
@user-kan525
@user-kan525 Год назад
@@hiroono1 ,
@hiroono1
@hiroono1 Год назад
@@user-kan525 조선의 간청을 받아들여 병합한 일본의 판단은 실패였다. 일본이 병합하지 않으면 조선은 러시아 식민지가 되었다. 조선민족은 시베리아로 보내져 멸종하고 있었다. 그렇게 하면 북한이 미사일을 쏘는 일은 없었고, 한국인이 일본에 불평하는 일도 없었다.
@fecu.n7574
@fecu.n7574 Год назад
​@@hiroono1 옛적부터 여러 선진문물을 전해준 은혜를 모르고, 학살, 위안부, 사람을 가지고 생체실험을 한 731부대의 만행, 강제징용, 너희들이 한 만행을 잊지말고 반성해라. 昔から色々な先進文物を伝えてくれた恩恵を知らず、虐殺、慰安婦、人を持って生体実験をした731部隊の蛮行、強制徴用、君たちがした蛮行を忘れずに反省しなさい。
@mosesmin1257
@mosesmin1257 Год назад
조금 덧붙여도 될까요? 예를 들어본다면, " 날씨가 (되게) 화창하더라구요. ( 외국어의 남발) " 모잘트 경연대회에 나가서 잘해라 대신, (파이팅 !) " 이 33끼야, 니나 잘해라 " 그 운동선수는 무척 피지컬( 뭔 뜻인지)이라구요." 그밖에도 (왕창 많겠지만) 이만 줄입니다. ㅋㅋ
Далее
Backstage or result?😈🔥 @milanaroller
00:12
Просмотров 7 млн
천년의 역사 탐라국 (KBS_2000.02.19.방송)
55:28
How many pencils can hold me up?
0:40
Просмотров 18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