Тёмный

영화는 알려주지 않는 공중전의 진실 

Movie RedMonster
Подписаться 875 тыс.
Просмотров 1,8 млн
50% 1

■ 영상 설명
영화처럼 실제 비행 중에 조종사가 마스크를 벗어도 괜찮을까요? 날아오는 미사일을 전투기가 피할 수 있을까요? 파일럿들이 실제 느끼는 G포스는 영화와 어떻게 다를까요? 오늘은 전투기와 공중전의 영화와 현실을 비교해봅니다.
※ 본 영상은 비행 전문가들의 분석 및 관련 인터넷 자료를 바탕으로 특정 소재에 대해서만 정리한 내용입니다 (조종사 마스크, 전투기와 미사일의 추격전, 중력가속도). 영화가 개봉한 시점의 장비와 기술 수준을 바탕으로 통상적인 수준에서 기술한 내용으로 일부 최신 장비의 경우 본 영상의 내용과 다를 수 있습니다.
■ 내용 정리에 참고한 영상
• US Navy Pilot Rates 10...
• Former Air Force Fight...
• US Navy Fighter Pilot ...
• Fighter Pilot Breaks D...
★ 영상에 등장하는 영화 (순서무관)
- 탑건 (1986)
- 탑건: 매버릭 (2022)
- 진주만 (2001)
- 아이언 이글 2 (1988)
- 인디펜던스 데이 (1996)
- 덩케르크 (2019)
- 에너미 라인스 (2001)
-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 (1968)
★ 영상 타임라인
00:00 인트로
00:40 조종사의 마스크
03:28 전투기와 미사일의 추격전
07:25 중력가속도

Кино

Опубликовано:

 

28 июн 2024

Поделиться:

Ссылка:

Скачать:

Готовим ссылку...

Добавить в:

Мой плейлист
Посмотреть позже
Комментарии : 1,4 тыс.   
@gembc69
@gembc69 Год назад
알투비영화는 정말 그당시 한국영화 수준을 보여줬던 부끄러운 영화임
@jokerpokerwinner
@jokerpokerwinner Год назад
진짜 알투비는 자료화면으로도 잠시라도 보고싶지 않는 대단한 영화이다.
@wonjanumber5
@wonjanumber5 4 месяца назад
@@user-xr3xn6vk9x그건 아닌듯 22분전
@user-bd9kc9wu4s
@user-bd9kc9wu4s Год назад
전직 f-15k 파일럿입니다 분명 찾는 자료의 질은 비슷할텐데 타 유튜버들에 비해서 괜찮은 내용이 많네요 잘 봤습니다
@pineapple_pizza
@pineapple_pizza Год назад
국가방위에 힘써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bd9kc9wu4s
@user-bd9kc9wu4s Год назад
@@pineapple_pizza 이제 민간인인데요 뭘...말씀 감사합니다
@user-bd9kc9wu4s
@user-bd9kc9wu4s Год назад
@이걸요? 제가요? 왜요? 그전에 나와서 잘 모르겠습니다만...기준만 충족 하면 상관 없었습니다 다른 기종들은 근데 기종마다 직책이랑 기준이 다 달라요
@HONEYSUSHI_TV
@HONEYSUSHI_TV 2 месяца назад
아빠가 전투기 조종사는 모든걸 다 잘해야 된다는데 대단하시네요!
@user-qh8yl2xv1w
@user-qh8yl2xv1w Год назад
진짜 이번에 탑건 너무 재밌었음
@WestYoon
@WestYoon Год назад
진짜 남자들이 열광하는 이유를 바로 알겠어요..😍
@user-jc1vq6nu4p
@user-jc1vq6nu4p Год назад
밀리터리 유튜버
@DD-ou4ep
@DD-ou4ep Год назад
영화보면서 울뻔한건 처음임...ㄹㅇ
@user-qh8yl2xv1w
@user-qh8yl2xv1w Год назад
영화관 가기전에 탑건1보고 가길 너무 잘한 선택이었다.. 알려줘 구스.. 크으ㅡ으
@Jerry0825
@Jerry0825 Год назад
다음주에 아이맥스 2회차갑니다 ㅎㅎ
@klausfeuermann3825
@klausfeuermann3825 Год назад
깨알같은 R2B 디스...감사합니다...정지훈이는 그냥 무대 위에 있어야 할 듯...
@madsoul0709
@madsoul0709 Год назад
정지훈은 전투기도 안돼, 자전거도안돼, 자동차도안돼, 배만 날려먹으면 끝ㅋㅋ
@darkkjw
@darkkjw Год назад
@@madsoul0709 7광구만 찍었어도 그랜드 슬램인데...
@kimttol
@kimttol Год назад
뭔가 타면 망함
@Rosen_Bridge
@Rosen_Bridge Год назад
​@@madsoul0709 수리검, 카타나, 사슬낫을 들고 깝쳤는데도 안됐을걸...?
@nihaoersansu8906
@nihaoersansu8906 2 месяца назад
ㅋㅋㅋㅋㅋㄹㅇ 개까이는걸 보니 고증이란걸 아예 안하고 영화 만든듯
@cy8911
@cy8911 Год назад
성공한 영화와 망한 영화의 극명한 차이 현실고증을 얼마나 잘 적용하면서 관객들에게 얼마나 설득력 있게 다가 갔느냐를 잘 보여준 영상이네요 :)
@CH_Sudal
@CH_Sudal Год назад
짭건이 망한 영화의 표본을 보여주러 곧 출격 합니다!
@kdyu178
@kdyu178 Год назад
현실 그대로 고증하면 스펙타클은 반감. 그런 의미에서 덩케르크 공중전은 실제 건캠 보는 것 같이 고증이 잘 되어있다고 봐요.
@TUNA_oi
@TUNA_oi Год назад
알투비는 진짜 개판이네... ㅋㅋㅋㅋ 비는 어떻게 저딴 영화만 골라찍지...
@user-wi4pj4hk4z
@user-wi4pj4hk4z Год назад
@@TUNA_oi 진짜 비가 고르는 영화는 거르는 게 답인건지...
@user-gl3qm6bq8c
@user-gl3qm6bq8c Год назад
@@TUNA_oi 망한 영화만 골라찍는다기보단 저놈이 나오면 망하는게 아닐까!!!
@jeongwooko2899
@jeongwooko2899 Год назад
잘만드셨네요. 자료화면도 잘 찾으시고. 여압은 여객기도있지만 전투기도 있습니다. 통상 8,000ft(백두산 높이)까지는 그냥 대기 기압과 같이 유지하다가, 그 이상 올라가면 여압을 합니다. 엔진에서 나오는 압축공기로 여압을 합니다. 여압을 해도 산소는 여전히 부족하므로 액체산소를 이용하여 호흡용 산소를 공급합니다. 고공에서는 이 압력차로 인해 비행기 칵핏이 풍선처럼 부풀기도합니다. F-5는 그 부풀음 때문에 칵핏 외부 기골(Longeron)이 금이가기도 합니다.
@upupup222
@upupup222 Год назад
아닙니다 여압은 전투기도 마찬가지로 됩니다. 그런데 마스크를 쓰는 이유는 급기동시에 공기도 한쪽으로 쏠리기때문이죠. 특히 산소분자가 상대적으로 무거워서 더 급기동시 중력가속도의 영향을 받게됩니다. 그래서 마스크를 쓰는것입니다. 산소가 부족해서 쓰는게 아닙니다
@W_H_Cho
@W_H_Cho Год назад
뭐야 다들 똑똑한 것 같아.... 뭐하시는 분이세요...?
@revelykor8517
@revelykor8517 Год назад
@@upupup222 저분 말이 맞습니다 8000ft까지는 대기 기압을 유지하다가 이상으로는 대략 8000ft + 고도/2정도의 대기압을 유지하도록 설계되어있습니다. 또한 마스크는 10000ft 이상에서 저산소증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합니다. 산소마스크 관련되어 말씀하신 내용은 어디서 보신지 모르겠지만 중력가속도때문이 아니라 말씀드린 저산소증때문에 사용하거든요 실제로 g테스트하는 영상만 보셔도 마스크를 끼지 않은걸 보실수 있으십니다.
@user-pv3eo3mv1l
@user-pv3eo3mv1l Год назад
실제비행에서 급선회시 G포스도 회전 초기에 가장 강할걸로 생각됩니다. 초기를 지나면 항상성을 갖다가 줄어들겠조. 물론 속도와 상승이냐 수평회전이냐에 따라서 그값은 많이 달라지겠죠. 영화처럼 산을 넘기위해 상승하면서 G포스까지 상승할려면 계속 회전이 주어져야하는데, 초기 회전후에 상승만하니 G포스는 가속도에 영향을 받게 됩니다. 따라서 상승에 에프터버너를 쓴다고 하더라도 10G까지는 무리한 설정같아 보입니다. 뭐 이론적으로는 그렇지만 영화설정이니까 재미로 보셔도 될것 같습니다.
@kjj9178
@kjj9178 Год назад
​@@W_H_Cho 방구석 파일럿들
@aaron7609
@aaron7609 Год назад
G force(Gravitational force)란 건 결국 "가속"의 단위(1G=우리가 평소에 항상 느끼는 지구의 중력 "가속도")이죠. 직선운동의 경우에도 스포츠카같은거 탈 때 엑셀 확밟거나 급브레이크 밟는(직선방향의 마이너스 가속) 그 순간에도 느낄 수 있고, 엘리베이터가 올라가기 시작할 때, 내려가기 시작할 때 중력 가속도에 더해지거나 빼지는 "가속도의 변화"를 느낄 수 있습니다. 원운동의 경우 진행방향이 계속 바뀌는 운동이므로 구심"가속도"가 만들어 집니다. 속도가 빠르고 회전반경이 좁으면(급격하게 회전하면) 그 구심"가속도"가 커지게 됩니다. 원심분리기란게 이 원리입니다.
@kennycha-9691
@kennycha-9691 Год назад
제가 하고싶은 말이었...
@strv1030
@strv1030 Год назад
이분이 설명 정확하게 해주네
@Hyundai_Motors
@Hyundai_Motors Год назад
내말이 직선운동에서도 쓰로틀밸브 열어서속도를 올리는 “힘을”을 가하면 가속도는 올라가는데 잘못 설명함
@rephoenix3375
@rephoenix3375 Год назад
ㄹㅇ 직선으로 가속운동을 해도 중력가속도는 생김. 단지 전투기의 비행 상황에서 구심가속도보단 낮은편이고, 하체로 피가 몰리는 구심가속도와는 달리 직선가속도의 경우엔 피가 쏠리는 현상이 덜한 것일 뿐.
@user-lw2zt6me9f
@user-lw2zt6me9f Год назад
영상 내용의 오류를 잘 찾아낸 댓글이네요. 그리고 사람들은 온갖 매체에서 그냥 뿌려대는 말들에 익숙해져서 조종사가 느끼는 힘을 중력가속도라고 그냥 그렇게 알고있죠. 그런데. 중력과 중력가속도는 같은 듯 다른 말입니다. 고로 조종사가 느끼는 것은 중력이죠. 그럼 가속도는 무엇이냐? 중력에 의해 발생하는 속도를 의미하죠. 하늘에서 떨어지면 점점 속도가 빨라집니다. 그런걸 가속도라고하는 것이며, 중력에 의해 속도가 증가하는 것이므로 중력가속도라하는 것이죠. 그러므로 우주선이 하늘로 쏘아 올려질 때. 조종사는 지구 중력의 몇배의 힘을 받는다 표현하는데. 이를 잘못알고 몇배의 중력 가속도를 받는다라고 표현하기도 하는 것이죠. 우주선은 중력에 의해서 속도가 증가하는 가속도 상태가 아니라. 중력에 역행하여 로켓힘으로 날아가는 것이므로 중력 가속도라 하면 안되는 것. 중력을 역행하므로써 더큰 중력을 받는 것이므로 몇배의 중력을 받는다라고 표현해야 맞음.
@radioandheaven
@radioandheaven Год назад
이렇게 전문적일수가... 그냥 단순하고 일반적인 영화 리뷰어가 아니네요. 최고네요!!
@akkim2976
@akkim2976 Год назад
진짜 알투비는 공군의 수치임
@Awesome-im1sf
@Awesome-im1sf Год назад
비 저거 때문에 9g 버티는 훈련했던 것 같은데 ㅋㅋ..
@DELTA44444
@DELTA44444 Год назад
@@Awesome-im1sf 근데 9g까지 올라가는 경우는 종종 있을수 있어서 해야됨
@user-ku8qu8qv4i
@user-ku8qu8qv4i Год назад
@@Awesome-im1sf 왜 했데요??;; 현실성도, 고증도 다 무시하고 찍었는데 뭐하러 9g를 버틴건지 의문이네요ㅋㅋ
@St_Hooney
@St_Hooney Год назад
ㅈㄹㄴㅌ
@blues50542
@blues50542 Год назад
영화찍을라고 버틴게아니라 남자의 자격 컨텐츠였음
@chocobbang999
@chocobbang999 Год назад
참고로 알투비는 고증따윈 개나 줘버린 아주 대표적인 영화입니다
@Ovuvuevuevue_
@Ovuvuevuevue_ Год назад
제로노트 가즈아
@user-dj9wm9yb1s
@user-dj9wm9yb1s Год назад
@@user-zm2pi5hp9q 현직 50대 배우가 중력가속도를 견디며 F/A-18 슈퍼호넷 타는거 볼 사람!
@Supergolem12345
@Supergolem12345 Год назад
@@user-dj9wm9yb1s 저요!
@user-jq5ys7hf8m
@user-jq5ys7hf8m Год назад
@@user-dj9wm9yb1s 탑건..?
@user-dj9wm9yb1s
@user-dj9wm9yb1s Год назад
@@user-jq5ys7hf8m 양호
@johnmj1004
@johnmj1004 Год назад
오늘도 두들겨 맞는 알투비.. 비형... 왜 찍었다하면 알투비, UBD야?
@tufflghkd
@tufflghkd Год назад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killer_duck_9320
@killer_duck_9320 Год назад
ㅋㅋㅋㅋㅋㅋㅋㅋㅋ
@f5echa
@f5echa Год назад
전직 전투조종사 입니다. 1. 마스크 벗어도 됩니다. 현대 전투기는 민항기 처럼 대부분 여압이 됩니다. 대략 25000 ~ 30000피트 까지는 사람이 정상적으로 숨 쉴수 있는 고도 10000피트 이하의 압력으로 조종실은 여압이 됩니다. 마이크 부분은 설명해 주신 부분이 맞습니다. 2. 맞습니다. 지대공, 혹은 공대공 미사일은 한번 오버슈트 하면 다시 추적하기 위해서는 미사일 에너지 소모가 엄청나기 때문에 다시 재 추적 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3. 맞습니다. 부연 하면 가장 G가 많이 걸릴때는 급상승 할 때 입니다. 이때는 지구중력 1G가 더해지기 때문입니다.
@MJ-fg9vb
@MJ-fg9vb Год назад
진짜가 나타났다 ...
@user-sl8kh6lo8k
@user-sl8kh6lo8k Год назад
방구석 빠일럿이 아니네이분ㄷㄷ
@lll2770
@lll2770 Год назад
여압이 되더라도 10000피트 이하 기압고도가 쭉 유지되는게 아니고 선형적으로 올라가기 때문에 30000피트에서 산소마스크 벗고 있으면 저산소증 노출 위험이 있죠 아니라면 F-22에서 산소계통 이상으로 인한 몇건의 추락사고가 안 일어났겠죠?
@illililiililill3884
@illililiililill3884 Год назад
꼴값
@Crouzel
@Crouzel Год назад
밑에 마지막 답글 2개ㅋㅋ 😂
@kylim2506
@kylim2506 Год назад
영화의 내용을 인용하시면서 충분한 재미와 지식을 동시에 전달하셨습니다. 어찌보면 딱딱한 주제인데 재밌게 시간이 지나갔습니다.
@valardohaeris8260
@valardohaeris8260 Год назад
실제 비행에서의 g포스의 원인은 원심력이라기보단 직선운동에서 원운동으로 변환하는 벡터링전환과정에서의 관성 저항과 아래분이 말씀하신 구심 가속의 방향이 신체에 가해져서 측정되는 힘입니다 언뜻 보면 그게 원심력 아니냐 하실텐데 원심력의 힘의 근원은 그 원심(구심) ,토크 쉽게 말해 중심회전력입니다만 항공기 운동에너지의 근원은 원심이 아니라 엔진이라는 선형 벡터입니다 그래서 조종사들이 받는 힘을 토크라는 회전력을 나타내는 힘을 쓰지않고 직선형 힘을 나타는 직선형인 중력가속도를 쓰는거죠 중력가속도내성훈련을 하는 곤돌라는 회전운동아니냐 하실텐데 네 맞습니다 그건 중심축의 회전운동을 기반으로 하는 장치로 원심력을 유사 지포스화 하는 장치입니다 하지만 실제 전투기에서 발행하는 지포스는 위에서 언급하였듯 그 원인이 엄연히 다릅니다
@lincloe798
@lincloe798 Год назад
더불어 "중력"글자를 뺀 가속도로 인한 건 직선운동에서도 일어나죠. 앵간한 가속으로는 물론 8G 9G 급이 되진 않지만... 엄밀히 말해서 영상의 설명은 틀린건데... G가 변화가 없는건 등속이거나 가속도가 낮을 때...
@rushprint
@rushprint Год назад
틀린 설명이 많지만 뭐... 영화 리뷰어에게 큰걸 바라지는 않는다는..
@psycocoball
@psycocoball Год назад
이미 나와있는 진짜 전투기 조종사 영상만 찾아봐도 충분히 알 수 있는데 아쉽다
@user-jz3bp2tx8h
@user-jz3bp2tx8h Год назад
@@lincloe798 그쵸.. 직선운동에서 중력가속도가 올라가지 않는다면 우주비행사들의 중력가속도 훈련은 의미가 없다는건데 말이죠
@user-pj1wt4lk2y
@user-pj1wt4lk2y Год назад
우선 원심력의 근원은 토크가 아니고,,토크도 힘이 아닙니다
@user-ic9lb2pu2k
@user-ic9lb2pu2k Год назад
언제나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Secorita-
@-Secorita- Год назад
여러모로 탑건은 정말 대단한 영화네요 최대한 현실을 반영한 비행액션이라서 정말 재밌게 봤습니다
@GJ_Lee_1
@GJ_Lee_1 Год назад
조금 첨언하자면, 선회하거나 상승하는 상황에서 비행 방향이 바뀌어 가속도가 발생(원심력, 전향력)하므로 g force가 이때 주로 발생하는 것은 맞으나, 비행체에서 g force가 꼭 원심력과 전향력에 의한 것만은 아닙니다. 어떤 식으로든 가속도만 발생하면 되므로 직선 비행에서, 즉 출발할 때와 멈출 때, 즉 급가/감속을 할 때도 발생하죠. 다만 직선 비행에서는 앞선 두 상황에 비해 지속시간이 훨씬 짧으므로 기절하지는 않습니다. 참고로 인간은 0.1초라면 45g까지도 버틴다고 합니다.
@Salvatore_Leon
@Salvatore_Leon Год назад
ㄹㅇㄹㅇ 내가 잘못아는 줄 알았다
@GJ_Lee_1
@GJ_Lee_1 Год назад
@@min_100 다시 보니 맞는 말씀이긴 한데, 지금 그게 문제가 아니에요. 이게 영상이라 수정이 어려워서 그렇지, 블로그였으면 흔쾌이 수정하셨을듯. 아무튼 가속도 부분이 좀 아쉬워서 그렇지, 다른 부분에는 고마움을 느끼고 있습니다. 멸망전을 가고 싶지는 않네요.
@user-wu2ez5eb9u
@user-wu2ez5eb9u Год назад
가속도 방향의 차이 아닐까요? 급상승 하는 경우 가속도 방향이 조종사를 위에서 아래로 누르는 방향으로 작용하여 피가 아래쪽으로 쏠리면서 정신이 혼미해지는거고 급가속시에는 조종사의 정면 혹은 후면으로 가속도가 생기니까요 + 조종사의 위쪽 방향으로 생기는 가속도는 조종사가 버티기 힘들어서 급 하강할 때는 기체를 뒤집어 내려가는 걸로 알고있습니다
@Stay_sweet
@Stay_sweet Год назад
순간 그램인줄... G 대문자 쓰셔야 ㅎㅎ..
@user-mf4ll6in6g
@user-mf4ll6in6g Год назад
전투기는 기동 최대한계가 9G 정도지만 미사일은 40G 수준의 기동성에 근접폭발신관이 탑재된 경우도 많아서 사실상 회피기동 하나만으로 피하는건 영화에서나 가능한 이야기
@badpyungie
@badpyungie Год назад
미사일의 발사 방향 고도 거리도 고려하면 회피기동으로 피한다는건 아예 불가능하지는 않아요. 요즘 나오는 스텔스 전투기에도 기총을 달아서 나오는 이유가 있죠.
@user-ni5bo3nr5q
@user-ni5bo3nr5q Год назад
걸프전 당시 한 미군 조종사는 12G로 비행하면서 미사일 4발이나 쏜 다음 겨우 격추 시킨 기록도 있습니다만...ㅋ
@appi779
@appi779 Год назад
그냥 소소하게 DCS 하는 사람인데 멀리서 날아오는 SA-10이나 R-27 같은 레이더 미사일은 BEAM 기동을 하거나 상승 혹은 하강해서 뒤로 빠져주면 쉽게 피할수 있는데 열추적미사일은 눈치가 빨라야 피할수 있어가지고 열추적 미사일은 기동으로 피하는게 거의 불가능합니다.
@hanyoungpark643
@hanyoungpark643 Год назад
가속도(G)와 속도를 알고 있으니 선회 각속도를 계산할 수 있는데, (가속도/속도)* 180/pi = 초당 몇deg 마하3 정도에 40G면 '초당 20도' 정도의 선회 각속도가 나옵니다. 전투기도 500노트의 속도로 9G 선회를 하면 각속도가 비슷하게 나옵니다. (예, 400노트에서 7G 선회를 지속적으로 유지만 해도 초당 20도 수준)미사일의 경우 표적의 비행경로를 추적해야하기 때문에 리드(lead)를 추적하는데 이는 선회반경이 더 좁으므로 더 높은 운동에너지 손실이 발생하쥬... 그렇게해서 미사일의 속력을 떨어뜨리면 선회만으로 피하는게 물리적으로 완전히 불가능하지는 않아요. 다만 미사일이 발사된 직후 로켓모터가 추진 중인 수초 이내의 상황에서 선회전을 벌이면 피할 가망이 보통은 없을 것 같네요.. 마하2 정도에서 40G 기동을 벌이는 정도로 근접한 미사일이라면 못피하겠지만, 관성비행중인 미사일이 명중되기까지 4~5초 정도의 시간이 남을 정도로 거리가 조금 있는 상태이며, 미사일 로켓모터가 연소를 끝냈으면 고중력 회피기동을 적극적으로 하면 아주 가망 없는 상황은 아닐거에요. G가 높다는건 받음각이 높다는 뜻이고, 즉 항력도 그만큼 증가해서 속도 감소가 무지막지하다는 뜻. 미사일의 급격한 방향전환을 반복적으로 만들어야됨. 요는 미사일의 운동에너지를 1초라도 빨리 빼야한다는 것...
@Never_Gonna_Give_You_Up-NGGYU
@@user-jp3es8nm2b 하지만 씨커의 버그가.......
@gomkim3198
@gomkim3198 Год назад
r2b 볼 때 마다 다른 의미로 🙃가슴이 웅장해지네요
@replay43324
@replay43324 Год назад
이분 영상은 그냥 브이로그나 먹방 과는 차원이 다르다 ㅜ 정보력이 엄청 나시고 이거 정보랑 지식 조사하는데만 엄청 시간 걸리셨을듯.. 대단하시다 정말 이렇게 전문적일수가... 그냥 단순하고 일반적인 영화 리뷰어가 아니네요. 최고네요!!
@tjd3198
@tjd3198 Год назад
구독하는데 돈주고 구독해야될 것 같음 ㄹㅇ..티비에서하는 프로그램들 보다 유익함
@blaunova
@blaunova Год назад
3:08 2차대전 프로펠러 전투기들은 상대적으로 소음이 적어서 우리가 아는 일반적인 형태의 헤드폰으로도 무리없는 의사소통이 가능했습니다. 더군다나 자료화면의 영화 진주만에 등장하는 P-40조종사들은 성대의 떨림을 전달하는 넥 마이크를 착용하고 있으니 기내 소음과 더더욱 상관이 없는...
@user-rv9th2ln2q
@user-rv9th2ln2q Год назад
참된 공군 덕후다...Respect👍
@user-bv8if7jn8n
@user-bv8if7jn8n Год назад
노무현 처럼 아는덕은 나쁘죠
@user-rn2cy3bo7m
@user-rn2cy3bo7m Год назад
2차대전 프로펠러 전투기들은 급강하 하는게 아니면 초음속으로 갈수가없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소음이 많이 날수있는 속도까지 올라가진 못함
@koreaball7136
@koreaball7136 Год назад
노무현 : 옛날에 우리 F-15기 새로 사 가지고 성능좋다고 팍 올라갔다가 확 내려갔다가 했다가 중력이...중력 차이가 너무 빠르게 나니까 그만 정신을 잃어 뻐려가지고 바다밑으로 비행기가 들어가버렸지않습니까? - 노무현 대통령의 고인드립 ㄷㄷ
@A_RetaVII
@A_RetaVII Год назад
@@user-rn2cy3bo7m 2대전기 항공기는 날개 형상 때문에 음속 근처에도 가기 전에 날개 부서짐 Me 163이나 Me 262 아니면 BI는 가능하긴 할듯 그래도 기체가 굳어서 조종 불가함
@movi2talk
@movi2talk Год назад
주제가 참신하고 너무 흥미진진하네요ㅋㅋ비교를 직접적으로 다 보여주시니 넘 재밌게 보고 가요. 최고😊
@QQQKOR
@QQQKOR Год назад
자료 화면이 대박이네요.... 진짜 고퀄리티...
@siw5316
@siw5316 Год назад
이런 현실성 체크 콘텐츠 너무 재밌음ㅋㅋ
@FrontlineCashier
@FrontlineCashier Год назад
현실없는 현실성 체크
@user-my4um2pj5i
@user-my4um2pj5i Год назад
고증오류가 좀 많아서 댓글창필독ㅋㅋ
@user-uy3dw6xe2h
@user-uy3dw6xe2h Год назад
특히 조종사가 탑승한 비향기는 9g까지 급회전이 가능하지만 미사일은 사람이 없어서 더 높은 g 즉 더 급격한 선회가 가능합니다. 초기 미사일 일 때는 미사일 추적성능 미흡등으로 급기동에 의해 따돌린 사례가 있어도 지금은 단순히 급기동만으로는 거의 회피가 불가하죠.
@user-sr2gr5qu7g
@user-sr2gr5qu7g Год назад
@@user-lf7vk6jd8p 방구석 파일럿 ㄷㄷ
@arctic_white_fox
@arctic_white_fox Год назад
@@user-lf7vk6jd8p 아닙니다. 실제로는 미사일이 느렸으면 한 10~15G정도의 선회력을 가졌는데 굼벵이라고 놀림받던 피닉스(AIM-54)미사일도 카탈로그 스펙 상 최대 20G까지 선회가 가능하다고 합니다. 장거리 미사일은 처음엔 빠르지만 목표를 타격할 때 쯤은 더욱더 빨라지기 때문에 현대 미사일도 점점 개선되고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미사일은 추진기가 꺼지면 속도는 점점 줄어들기 때문에 자전거의 페달을 돌리다가 멈추는 것과 같은 것입니다. 플레어는 열을 발사하여 열추적 미사일을 피할 수 있어서 발사하는 것이고, 채프는 레이더 교란 장치로 한마디로 레이더 미사일 앞에 가상의 적을 만들어 교란하고 더 많은 적을 만들어 그들을 따라가게 합니다. 그러하여 당신은 틀렸습니다. 꼬우면 DCS하던가ㅋㅋㅋ
@3_one_alpha57
@3_one_alpha57 Год назад
@@user-lf7vk6jd8p 진짜 하나부터 열까지 다 틀린말씀만 하셨네요...
@sss-cw4ju
@sss-cw4ju Год назад
뭐여 ㅅㅂ 사람 없으면 걍 무한선회 가능한가 아님?? 미사일이 기절할 일은 없잖아
@changuncho6437
@changuncho6437 Год назад
@@sss-cw4ju 무한 선회하다 보면 중력가속도에 기체가 못 버티고 공중 분해 당할 가능성이 있음
@Am_SuperMan
@Am_SuperMan Год назад
좋은 정보 잘보고 갑니다.
@user-wn5be1st4u
@user-wn5be1st4u Год назад
빨간도깨비님 최고!!! 유트브 시청 7년동안 최초의 구독 채널!! 넘 좋아요!!!
@Cinus-pl3fu
@Cinus-pl3fu Год назад
영화에선 극적인 연출을 위해 SAM 이 있는 공역에 단순 전투기편대 하나만 접근하는식으로 연출하지만,실제론 스트라이크 패키지를 구성해 전자전기,SEAD(방공망제압),실질적인 타격편대등을 구성하여 날아가게 됩니다.즉,열추적 미사일이 아니라면 저런 SAM 이 날아올 상황은 거의 없다고 보면 되지요.더군다나 현대에서는 GPS,INS 를 이용한 JDAM,레이저를 이용한 LGB를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영화처럼 저고도로 침투해서 목표물을 타격할 상황이 거의 없습니다.열추적미사일은 추적 할 수 자체가 없겠죠. 그리고 현실에선 미사일을 피하는게 아니라,미사일이 추적하지 못하게 하는경우가 많습니다.흔히 이런걸 영화에선 저고도 침투로 연출하는 경우가 많지만,펄스 도플러현상을 사용하는 레이더 특성을 이용해 노칭(레이더의 추적방향과 항공기의 진행방향을 수직이 되게하는 기동)을 실시하면 전자전기의 도움 없이도 레이더의 추적을 따돌릴 수 있습니다.다만 공역 진입을 위해선 이런 방공망 자체가 없어져야 하기에 타격전에 SEAD(방공망제압)편대가 들어가 레이더 전파를 추적하는 미사일,즉 대레이더 미사일로 1차적으로 방공망을 무력화 한뒤에 들어가게 됩니다. 추가적으로 R2B 에서 나온 열추적 미사일을 엔진을 꺼서 회피하는 경우를 얘기해보자면,일단 그런 열이 빨리 식지 않는것도 맞습니다.그리고 또한 생각해야될게 전투기가 아무리 공기역학적으로 설계되었다 하더라도 공기와의 마찰은 피할 수 없습니다.즉 빠른속도로 공기와 부딪히니 항공기의 모든곳에 일정 수준 이상의 열이 생길 수 밖에 없겠죠.초기형 열추적 미사일의 경우는 이런 열을 추적하지 못해 항공기 후방만 추적할 수 있었지만,현대의 열추적 미사일은 대부분 항공기의 전방위에 대한 추적이 가능합니다. 번외로,R2B에서 이런기동을 엔진을 끄고 하강한 뒤에 엔진에 재시동을 걸어서 날아가는것처럼 연출하고 있는데,불가능합니다.일단 엔진이 꺼지면 항공기 유압계통도 나가리가 되기 때문에 항공기의 조종 자체가 불가능해집니다.물론 APU(보조시동장치)를 하강중에 키면 가능성이 있으나...APU를 켜는듯한 연출도 없으니까 말이죠. 엔진을 다시 키는것조차 말이 안되는게,항공기 엔진은 제트엔진 특성상 필요 RPM 까지 올라가는데에 굉장한 시간이 걸립니다.빨라도 10초는 걸리죠.영화처럼 떨어지다 엔진걸고 떠오른다?추락하는 거죠.이외에도 R2B 가 정말 기본적인 항공상식을 말아먹고 만든영화입니다 정말.....
@daskmoon71
@daskmoon71 Год назад
R2B가 육군으로 치면 탄창 교환없이 하루 종일 총쏘는 영화 같은 거군요.
@user-us1wv1dk6c
@user-us1wv1dk6c Год назад
기관포에 날게에 구멍 뚫리고 마는 것도 참...
@user-fu2in9tt8e
@user-fu2in9tt8e Год назад
제일 어이없는게 그 사격대회에서 AIM-9사이드와인더 지상표적에 쓰는거임ㅋㅋ 물론 제한적 공대지 타격이 가능한건 맞는데 그것도 열원이 있어야 가능하지 열원하나 없는 종이타겟이 그거 쓰면 선두기를 잡아죽일건데 잘 날아가서 종이타겟 맞추는거 진짜 욕나옴
@--CENSORED--
@--CENSORED-- 8 месяцев назад
​@@daskmoon71그정도를 넘어서 무반공포를 쐈더니 그게 유도돼서 항공기를 맞추는 수준에 가까워보이지만요
@bluesky4478
@bluesky4478 Год назад
R2B는 진짜 다른 의미로 레전드다..
@carvingPark
@carvingPark Год назад
항상 잘 보고 있어요~~긋~~!!!
@user-ew6et9zc1k
@user-ew6et9zc1k Год назад
감사합니다 영상 관심있게 잘 봤습니다
@SJLee-qi9kc
@SJLee-qi9kc Год назад
해당 훈련을 받은 공군 비행군의관 전역자입니다. 롤링 하면 어지럽긴한데 정신은 안 잃습니다. 지포스는 정말 어질어질하고, AGMS로 대비를 잘 하면 자기가 정신을 잃는 블렉아웃이 생기기 전에 시야가 회색으로 변하는 그레이아웃이 오니까 그때 조종간의 각도를 조절해서 회전각도에 여유를 주고 지포스를 낮출수 있습니다.
@avito-_
@avito-_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AGSM
@user-ln9hz1ui7p
@user-ln9hz1ui7p Год назад
매버릭 3번이상봄 진짜 최고의영화
@user-vt1iu7jp5k
@user-vt1iu7jp5k Год назад
도깨비님 영상 좀 자주 올려주세요! 자주 보고싶습니다.
@user-yt5ye5tf7c
@user-yt5ye5tf7c Год назад
좋은정보 고마워요
@royalfrigern5297
@royalfrigern5297 Год назад
실제로 항공기를 요격할때에는 회피가 힘든상황, 거리에서 2발이상의 미사일이 날라오는 경우가 많으니(미공군같은 경우 교전시 한표적에 2발을 쏘는 경우가 많았음) 실제론 왠만치 낡은 미사일이 아닌이상 회피가 불가능하겠죠 영상엔 안나왔지만 지대공미사일이 공대공미사일보다 무서운 이유는 파편량이 지대공쪽이 압도적으로 크고 많아서 살상범위가 넓고, 공대공미사일이 대부분 날개플랫을 움직이거나 매우 짧은시간동안만 TVC추력편향 노즐을 써서 기동을 해서 기동력이 떨어지지만 지대공미사일은 측면에 추력기를 통해 더 높은 기동성까지 가지기에 항공기에겐 지대공미사일이야 말로 그야말로 사신이죠
@user-mi5pz8wl9v
@user-mi5pz8wl9v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웬만
@kdyu178
@kdyu178 Год назад
놀이동산에서 바이킹이 정점에서 내려오는 순간 느끼는 매스껍거나 현기증이 나는 이상한 기분은 -G 로 가기 직전에 체액과 장기가 일시적으로 공중에 뜨는 것과 같은 무중력 상태를 경험하기 때문.. 그래서 급강하기에 -G를 상쇄하기 위해 배면비행(기체 뒤집기) 상태에서 기수 올리면 하강을 하게 되고 파일럿의 몸은 (실제는 -G가 걸린 상황이지만) +G처럼 느껴서 상쇄가 되는 호과가 있음.
@user-ym2rw9ey5q
@user-ym2rw9ey5q Год назад
-G로 가기 직전이 아니고 그게 -G예요 ㅋㅋㅋ
@jypark6644
@jypark6644 Год назад
돌아온 밀리터리 영상 전문가 좋아요~ ^^
@jh729
@jh729 Год назад
흥미진진 재밌네요
@sunilee8251
@sunilee8251 Год назад
알투비투는 애니를 좋아하는 애니덕후 군미필 감독이 애니를 현실로 착각해서 만든 영화 같아요
@user-sd8vt3jr5c
@user-sd8vt3jr5c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전세계 모든 전투기 파일럿들이 진심으로 존경스러워진다
@ArgentUnicorn
@ArgentUnicorn Год назад
빨강도깨비님은 정보 제공을 하는 유튜버의 롤 모델입니다. 정말 잘 봤습니다.
@hcShin-rk4sv
@hcShin-rk4sv Год назад
와우~ 리뷰 디테일 지렸음요^^
@user-dq3oc8hn1n
@user-dq3oc8hn1n Год назад
러시아제 지대공미사일같은경우에 먼거리에서 레이더로 포착후 미사일을 쏘는게 기본적인 메커니즘이긴한데 버전에따라서 지대공미사일앞에 IR추적 seeker를 다는 미사일도있습니다 이는 레이더 미사일로 먼거리를 가는걸 마지막에는 seeker가 보정하면서 타겟을 추적하는 버전up입니다.
@user-ds9ds1xn7x
@user-ds9ds1xn7x Год назад
미슬이 다가오면(샘이든 뭐든) 채프랑 플레어 같이 뿌리고 회피기동 합니다. 다가 오는 미슬이 어떤 종류인지도 알수 없고, 영화 장면상 바늘같은 채프는 보이지 않지만 플레어는 시각적 효과가 좋으니 영화라서 플레어만 부각되게 보여지는 장면을 연출하나 봅니다.
@safefranchiseson1246
@safefranchiseson1246 Год назад
오늘도 시작과 동시에 좋아요 댓글 !
@user-k06gh7fp9z
@user-k06gh7fp9z Год назад
아따~ 영상 좋구마이!
@nanajh0209
@nanajh0209 Год назад
이분 영상은 그냥 브이로그나 먹방 과는 차원이 다르다 ㅜ 정보력이 엄청 나시고 이거 정보랑 지식 조사하는데만 엄청 시간 걸리셨을듯.. 대단하시다 정말
@meditateredfox
@meditateredfox Год назад
항상 올려주시는 영상 감사하게 잘 보고 있습니다. 마이크 부분에서 영화 진주만의 주인공들은 넥마이크라는 목에 두르는 마이크를 사용했습니다. 프로펠러기이기에 제트기처럼 높은 고도를 올라갈수도 없으니 산소마스크도 사용하지 않았었죠. 단, 넥마이크를 사용할때는 PPT버튼을 누르고 말을해야 하는데 버튼을 누르는 장면은 제 기억에는 못본것 같네요.^^; 그냥 오지랖이었습니다~~~ㅎㅎ
@user-uu8ey9po8r
@user-uu8ey9po8r Год назад
2편도 만들어주세여! 체프랑 도그파이트 기총 관련으로!
@p.cooper3396
@p.cooper3396 Год назад
돌아왔구나 밀리터리도깨비!!! 기다리고 있었다구!! ㅜㅜ
@의지의자막러
@의지의자막러 Год назад
워썬더에는 9G, 10G까지 올라갈때 파일럿이 G-LOC으로 기절하는 디테일이 있습니다. 제트엔진 단엽기나 선회가 쉬운 복엽기에서도 잘 나타나는 상황이죠.
@KSF_Foundation
@KSF_Foundation Год назад
복엽기는 애초에 시속 400이상 안올라가서 많아봤자 6G까지 밖에 안가더라고요..
@mccoyspeener
@mccoyspeener Год назад
3:06 에 나오는 마스크 없이 대화하는 장면은 목에 감고있는 마이크로 통신하는 겁니다. 마스크 없이 대화하는 황당한 장면이 아니구요.
@user-pw4zi8ze7u
@user-pw4zi8ze7u Год назад
와…조사 많이 하셨네요…대단해요.
@diesel-engine
@diesel-engine Год назад
영화는 알려주지 않는 해상전 이야기도 해주세요!!!
@GoldenMuke
@GoldenMuke Год назад
영상 외에도, 기본무장(기관포)을 이용한 전투씬에서 총탄이 날개에 맞을 때, 마치 수박씨 붙인 것마냥 구멍이 송송 나면서, 약간의 기체 손상으로 마무리 되는 경우가 많은데, 실제 현실에서 날개쪽에 기관총탄의 궤적이 스쳐 지나가면 대부분 날개 하나가 박살 납니다. 조종이 불편할 정도로 끝나는 게 아닌 기체 자체가 파괴될 정도의 위력이죠. 1~2차 세계대전에서 사용하던 기관포로 생각하면 오산~
@pdwplag6133
@pdwplag6133 Год назад
그리고 그때나 지금이나 기관포 탄띠에 고폭탄을 잔뜩 집어넣습니다
@lrh99k
@lrh99k Год назад
심지어 러시아는 소이탄까지 집어넣고 쏘죠
@user-is6yx5tg4t
@user-is6yx5tg4t Год назад
그리고 현대 전투기의 기관포는 타다다다다 이렇게 나가지 않고 부아아아아앙 하고 1초에 100발 가량 발사합니다
@RX---ec5rv
@RX---ec5rv Год назад
@@user-is6yx5tg4t 영화나 다른 매체에서 보이는 예광탄 사이에 안보이는 탄들이 최소 4발 이상씩은 껴있다는 얘기
@user-js4to2um8f
@user-js4to2um8f Год назад
p-47 썬볼이 7.92mm 백여발 처맞고 20mm 미넨게쇼스 맞고도 귀환 했다는 기록이 있긴함...물론 걸레짝 된채로...
@caprabit
@caprabit Год назад
다시한번 다른 공중전 영화에 비해 탑건이 얼마나 잘 만들어진 영화인지 새삼 깨닫게 되는군요.
@user-jb2ht8jm8t
@user-jb2ht8jm8t Год назад
비행기 넘 좋아 대리만족 하고 갑니다
@user-ti1bu4qj7k
@user-ti1bu4qj7k 4 месяца назад
진짜 개운한 설명....
@hikinitt3768
@hikinitt3768 Год назад
요즘 열추적미사일들은 플레어 뿌려도 피하기 어려운게 IRCCM이라고 복수 적외선 감지시스템이 다 있어서 미사일의 에너지가 전부 빠지지않는 이상 회피가 정말 힘듬니다 60G이상의 기동은 덤이고요
@user-ts3kw5zw1e
@user-ts3kw5zw1e Год назад
영화 A특공대에서도 열추적 미사일에 대한 오류도 나옵니다. 다음 영상에서는 영화속 스파이의 현실 비교도 만들어주었으면 좋겠습니다.
@songtp50
@songtp50 2 месяца назад
G포스에 대한 설명 감시합니다
@user-ls7yp5no1m
@user-ls7yp5no1m Год назад
이런게 재미있네요
@Jungermadsen
@Jungermadsen Год назад
R2B는 정말 최고의(?) 영화다 ㅎㅎ 빨리 2편 제작좀... 2편에서는 진짜 어떤 참신한 연출을 해줄지 넘나 궁금하당 ㅋㅋㅋㅋㅋㅋㅋ
@user-qo9my7ov5o
@user-qo9my7ov5o Год назад
탑건2에 나온 시험비행기(마하 10까지 가는)가 북한군 메인빌런, 5세대 전투기들이 북한군 일반 빌런으로 나와도 되겠네요 ㅎㅎㅎ
@Lilycole.Supermodel
@Lilycole.Supermodel Год назад
6:50 너무 기가막히다 자동차 운전만 할줄알아도 엔진바로꺼도 뜨거운걸 알텐데
@cool-yp9eq
@cool-yp9eq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정보전달력쩌네!
@yun-sikjeong5635
@yun-sikjeong5635 Год назад
영화 유튜버분들 점점 과학을 하고 계십니다.
@mission609
@mission609 Год назад
알투비도 영화냐고
@mission609
@mission609 Год назад
레이더 유도 미사일이 날아오는데 플레어, 연료탱크 폭발로 따돌린다는게 킬포 ㅋㅋㅋ
@user-hh5ib6uy6z
@user-hh5ib6uy6z Год назад
영화 속 등장하는 지대공 미사일의 정체는 9k35 스트렐라-10M이며 작동 방식은 레이더가 아닌 적외선 방식으로 작동하는 미사일이라 플레어와 연료탱크 폭발로 대응한다는 점은 문제는 없지만 이 외의 오랫동안 꼬리를 물며 회피기동을 한다는 점은 고증이 엄청 문제가 많죠.
@mission609
@mission609 Год назад
@@user-hh5ib6uy6z 우와 👍👍👍 근데 영화에서 보면 미사일의 탄두부분이 적외선 센서가 있는게 아니라 레이더 추적 미사일처럼 뾰족하게 생겼음요 ㅋㅋ
@user-fs1om2vm1h
@user-fs1om2vm1h Год назад
형은 최고야!
@user-ud7be2eh6k
@user-ud7be2eh6k Год назад
이번 편은 알투비 까는 영상인가 ㅎㅎ 잘보고 갑니다. 탑건은 영화관에서 보시길 권장합니다. ㅎ
@joonswarps1680
@joonswarps1680 Год назад
이번엔 자료조사 잘하셨네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빠진 사항이 있습니다 현대 지대공 공대공 미사일은 이중센서로 플레어탄을 걸러내면서 본체를 추적합니다 국내개발완료 무기에도 당연히 적용되어있습니다
@joonswarps1680
@joonswarps1680 Год назад
@역정개구리 탈출이 제일 높은확률로 살겠죠
@aquina8718
@aquina8718 Год назад
​​ 채프라고 쉽게말하면 교란용철가루뿌리는게 있습니다 미사일쐈을때 무조건 탈출해야하면 어느국가에서 전투기를 운용하나요 ㅋㅋ;
@kidoinspector7846
@kidoinspector7846 Год назад
요즘은 최신플레어도 적외선 3파장대 이상 나옴
@joonswarps1680
@joonswarps1680 Год назад
@@aquina8718 체프탄은 열추적미사일 대용이 아닙니다
@mission609
@mission609 Год назад
선회를 하지않더라도 가속, 감속시에도 G포스를 받습니다, 이부분에 오류가 있네요
@user-yh7ho9iw1q
@user-yh7ho9iw1q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적절한 설명 입니다.. 영화를 보거나 실제 비행 상황에서 전투기가 폭격이나 회피등을 할 때 기체를 뒤집어서 배면 비행으로 강하 하는 모습들을 보실 겁니다... 이 이유는 G 포스에 의해 피가 머리로 쏠리는 레드 아웃 상태를 방지하기 위함 입니다... 피가 머리로 쏠리게 되면 하체로 쏠리는 경우보다 훨씬 더 고통스럽습니다.. 피가 급격히 하체로 쏠리면 시야가 검어지며 심한 경우 블랙아웃으로 정신을 잃게 되는데 반대로 피가 머리로 쏠리면 시야가 발갛게 변하는 현상이 발생하며 심하면 정신을 잃는 레드 아웃 상황에 처하게 됩니다 이 레드 아웃이 훨씬더 고통스럽고 위험합니다.
@user-rg8gp5wm6k
@user-rg8gp5wm6k Год назад
음.. 잘봤습니다 항공쪽 전공으로 g포스 설명 하실때 중력을 견딜수 있는 보조장치 g슈트도 추가 해주셨으면 했습니다.^^
@kingcat10000
@kingcat10000 Год назад
g포스는 현재의 운동방향과 속도가 달라지면 변화하는거아닌가요? 직선이라도 가속하거나 감속하면 g포스가 변합니다. 제자리 롤링같은것도 g포스가 변하지만 중심축과 매우가까운 회전이라 상대적으로 버티는거구요
@tainlessolivine5782
@tainlessolivine5782 Год назад
R2B는 그냥 고증은 개나줘버린 설정때문에 욕을 엄청나게 얻어먹죠 탑건도 영화적인 허용으로 비고증인 부분이 있었지만 R2B는 그경우가 너무 심했죠 다만 엔진 끄는걸로 열추적을 피할 수 있냐 이거는 기만체가 있을 경우 가능은 할 수 있습니다 당장 R2B영상을 보면 바로 옆에 태양이 있고 전투기 엔진의 냉각속도는 생각보다 빠른 편입니다 그거 감안해도 좀 과장된 설정이지만 아예 불가능 수준은 아닙니다 북한군의 미사일에 IRCCM이라는 기만체 대응이 없다면 가능할 수 도 있습니다 다만 그거에 대한 아무런 설명 없이 엔진끄면 피할 수 있어~ 이거는 누가봐도 개소리죠 차라리 열추적 미사일 들고 훈련할때 자꾸 태양에 락온된다고 떡밥 좀 뿌리다가 저장면에서 그걸 이용해서 피하는게 나았음... 염병할 제로노트같은거 하지말고
@user-tk3yu5xd9e
@user-tk3yu5xd9e Год назад
한국인 정서에 딱 맞는 영상ㅎㅎ
@MoNaPle_DDanKKo
@MoNaPle_DDanKKo Год назад
탑건 매버릭 정말 명화입니다.. 정말 재밌게 봤습니다.
@I_miss_my_dream
@I_miss_my_dream Год назад
내가 여러 영화 유튜버를 봤지만, 확실이 이 집이 맛집으로 인정할 만하다.......단순 스토리나 인물평에 멈추는 게 아니라, 현실과 영화의 대비를 보여주는.......구독할 수밖에 없다........참고로 지무비 구독중......
@virtuosokim805
@virtuosokim805 Год назад
미사일 회피 장면 영상에도 잠시 나왔던 [에너미 라인스]가 최고...재밌었지만 솔직히 미사일의 전투기 추적장면으로도 본전 뽑았다고 생각함
@investa2
@investa2 Год назад
굿
@정인성
@정인성 Год назад
탑건은 진짜 인생영화에요ㅠㅠ 남자라면 열광할 수 밖에 없는 낭만 그 자체
@Nirvana-Nevergone
@Nirvana-Nevergone Год назад
2방공여단 발사 출신입니다 자료화면에 나온 미사일은 1983년부터 작년까지 운용했던 HAWK 중거리유도미사일이며, 레이더 추적 방식이기 때문에 엔진을 끈 정지훈은 뒤따라온 미사일 탄두의 파편에 의해 사망했을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Takamiya_Mio
@Takamiya_Mio Год назад
탑건 매버릭에서 발사된 SAM은 액티브 레이더 시커를 가지고 있었지만, 사실 호넷의 경우 플레어를 '채프'와 함께 뿌리기 때문에 고증적으로 문제되는 장면은 아니였죠 ㅋㅋ 톰캣의 경우 채프와 플레어를 따로 뿌릴 수 있게 되어있는데, 당연히 톰캣같은 '틀딱'을 알리 없는 루스터는 '한번에 뿌리는걸' 마음껏 눌러댔으므로...ㅋㅋㅋㅋㅋ
@ept_schna782
@ept_schna782 Год назад
채프 플레어 다 따로 투하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접근하는 미사일이 레이더 미사일인지 열추적 미사일인지 구분이 불분명할수도 있고 미사일이 보통 그거 하나만 쏘진 않기 때문에 여러개 섞어서 뿌릴 뿐이죠.
@h-sell9230
@h-sell9230 Год назад
캬..
@user-ul5zn7rt1q
@user-ul5zn7rt1q Год назад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미슬을 미사일이라고 했다고 동기급 중위가 알려줬던 기억이 있네요, 매거진도 잡지가 아니라 무기고로 쓰인다는 것도요
@NeoRageXYZ
@NeoRageXYZ Год назад
매거진은 탄창이죠
@user-bn4qd9ry8j
@user-bn4qd9ry8j Год назад
역시 놀란 영화 ㅋㅋㅋㅋ 현실성 지리네 ㅋㅋㅋㅋ
@spot5005
@spot5005 Год назад
혹시 덩케르크 장면이 어디 나오나요?
@Canducky
@Canducky Год назад
@@spot5005 교신 할때마다 마스크 한번씩 착용해주는 부분 말하는듯요?
@user-bn4qd9ry8j
@user-bn4qd9ry8j Год назад
@@Canducky 맞습니당
@chip9178
@chip9178 Год назад
사실 요즘 전투기는 플레어말고 레이더미사일 교란에 좋은 채프(섬유,금속가루)를 뿌리는데 영화에선 플레어가 더 멋있어서 나오는거같네요
@user-of9xh3wz8i
@user-of9xh3wz8i Год назад
에너미라인스 이영화는 지금봐도 짱이죠
@somA-db2uy
@somA-db2uy Год назад
감사...
@Boramae.Joseph-Aviation
@Boramae.Joseph-Aviation Год назад
7:18 편---안 요즘 전투는 BVR(서로 안 보이는 먼 거리에서 미사일로 싸우는 것)이 주류인데 박진감을 위해 WVR(가까운 거리에서 급기동하며 싸우는 것, 즉 도그파이팅)이 주류로 나오는 것도 들어갔다면 좋았을텐데 조금 아쉽네요ㅎㅎ;
@N.A665
@N.A665 Год назад
공군 출신 입니다. 미슬은 뒤에있는 로켓모터 고체연료의 연소시간이 존재 합니다. 전투기를 쫓아오는 동안 계속 로켓모터가 연소하는게 아니라 출발시부터 수십초간만 연소하고 나머지는 관성으로 쫓아오는 것입니다. 때문에 미슬 속도가 마하 4라고해도 계속 마하4를 유지하는것이 아니고 로켓모터 연소후에는 점차 속도가 느려지고 급기동시는 더 느려집니다. 또한 시간제한도 있어서 제한시간내 적 전투기를 맞추지 못할경우 지상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자폭합니다. 미슬이 전투기를 추격할때는 비례항법으로 쫓아갑니다. 즉 전투기 방향이 아닌 미래의 전투기 방향으로 쫓아갑니다. 때문에 적전투기와 거리가 있을때는 급기동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미사일 추적방식은 열추적 방식과 레이더 추적 방식이 있습니다. 자체 레이다로 추적하는 미슬도 있고 자체 레이다 없이 모기가 유도해주는 대로 추적하는 미슬도 있습니다. \ 열추적 방식의 경우 대응은 플레어로 합니다. 전투기 열원과 비슷한 열원을 투하하여 미슬을 속이거나 또는 태양을 향해 비행해서 속이기도 합니다. 미슬도 플레어에 기만당하지 않기 위해 계속 발전하고 있습니다. 플레어 외에 DIRCM (지향성적외선방해) 장비도 있어서 적외선 레이저를 미사일에 쏴서 미슬을 무력화 하기도 합니다. 레이다 추적미사일의 경우 대응을 채프로 합니다. 채프는 금속조각으로 만든 레이더 방해장비인데 공중에 살포해 레이더파를 산란시켜 전투기 추적을 어렵게 만듭니다. 산소마스크는 고도 3000~4000 미터 이하에서는 벗어도 상관 없습니다. 미해군 에어쇼팀 블루엔젤스는 실제로 산소마스크를 쓰지 않고 급상승 급하강 비행을 전부 다 소화 합니다. ru-vid.com/video/%D0%B2%D0%B8%D0%B4%D0%B5%D0%BE-u4D0yx4DvBk.html
@taeyeon_ailesor9902
@taeyeon_ailesor9902 Год назад
@박강호 원심력 맞음
@skyeye8519
@skyeye8519 Год назад
@박강호 원심력 자체는 그 현상을 설명하기위한 개념이고 본질적으로는 관성이 맞습니다. 일단 둘이 떼놓고 이야기할수는 없어서 둘이 다른거다! 할수는 없습니다. 뭐 둘다 맞지요. 일례로 차량 충돌실험이나 로켓 썰매같은 급 가감속 실험 이런데서 가속도계를 설치해서 관측하는데 단위가 G이지요...
@Team-Manager_Kim
@Team-Manager_Kim Год назад
아 ㅋㅋ 생각지도 못했다가 마지막 멀미 드립에 빵터졌네 ㅋㅋㅋㅋ 😆
@leakwanwoo
@leakwanwoo Год назад
이런 영상 내취향
@user-hs3gq7vi7c
@user-hs3gq7vi7c Год назад
뉴턴역학에서 원심력은 가속의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가짜힘 이지만 중력은 질량을 가진 두 물체가 당기는 진짜힘 이었죠. 하지만, 아인슈타인은 중력도 역시 원심력이나 관성력과 같은 가짜힘이라고 이야기 합니다. 즉, 중력은 근본적으로 관성력과 같아 구별할 수 없기 때문 입니다. 이걸 등가 원리라고 하고 여기서 나온 이론이 일반상대성 이론 이지요.
@user-bc4ym9le5r
@user-bc4ym9le5r Год назад
진짜 역사상 최고의 천재가 아닐 수 없음
@user-xu7jp1mw8q
@user-xu7jp1mw8q Год назад
원심력은 원의 중심으로 향하는 힘입니다. 가속의 방향은 힘의 방향과 같으며, 원심력에 대한 힘의 방향은 원의 중심이기때문에, 가속의 방향도 원의 중심이 됩니다. 가속의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가짜힘이라고 언급하신 힘은 관성력을 언급하신 것 같습니다. 8:39 에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물체는 바깥으로 향하는 원심력이 작용하게 되죠"에서 언급하신 원심력은 원심력이 아니라 관성력입니다.
@user-hs3gq7vi7c
@user-hs3gq7vi7c Год назад
@@user-xu7jp1mw8q 원의 중심을 향하는 힘은 구심력 이구요 원심력은 관성력의 일종으로 원의 바깥쪽을 향해 나타납니다. 뭐 이름 붙이기 나름인데 아무튼 실제 가속방향과 반대로 ''느껴지는'' 가짜힘 입니다. 태풍이 고위도에서 꺾여 보이는 코릴로스 힘도 관성력의 일종으로 가짜힘 이구요.
@user-hs3gq7vi7c
@user-hs3gq7vi7c Год назад
수정..코릴로스가 아니라 코리올리 입니다.
@user-hs3gq7vi7c
@user-hs3gq7vi7c Год назад
@@trlaodn 어디가 틀렸는지 ...?
@user-pl5rr3yt6w
@user-pl5rr3yt6w Год назад
사실 이번 탑건2도 공중전 고증면애서 틀린부분이 상당히 많았죠...
@kimkimkimbap
@kimkimkimbap Год назад
탑건에 나오는 고증 오류는 다 알면서 하는거임..감독과 도움을 준 조종사가 고증을 신경쓰면 조종사들만 좋아하는 다큐가 된다고 영화의 재미를 위한 영화적 허용이라고했음 그거때문에 감독과 고문에 의견충돌도 있었고 에초에 톰크루즈가 탑건은 오락영화라고한거보면
@user-pl5rr3yt6w
@user-pl5rr3yt6w Год назад
@@kimkimkimbap 본인도 뭐 고증 틀린부분 보이긴 했지만 영화적 허용이지~~하고 걍 넘겼음 영화보는데 너무 고증따지는것도 골치아프지;;
@aeggon4268
@aeggon4268 Год назад
탑건2 고증은 다시보면 다시 볼수록 장난 아님. 다만 스토리 전개를 위해 일부러 현실성에서 어긋난 것들이 있을 뿐이지. ㅎㅎ
@wjwnqkedmfwldjek
@wjwnqkedmfwldjek Год назад
5세대 미사일부터는 레이더의 발달과 전자전 장비의 향상으로 미티어 같은 차세대 미사일의 추가적 능력으로 피하기가 거의 불가능해질걸로 보입니다 지금도 플레어를 무력화 시키고 표적을 명중 시키는 단계까지 와있는데 회피기동한다고 될일일까요...
@brok3nnn
@brok3nnn Год назад
마이너스G가 발생하는것도 설명해주셨으면 좋았을듯해요
Далее
영화와는 다른 헬기의 실상
12:06
Просмотров 1,2 млн
🎤Пою РЕТРО Песни ✧˖°
3:04:48
Просмотров 1,7 млн
АСЛАН, АВИ, АНЯ
00:12
Просмотров 1,1 млн
это самое вкусное блюдо
00:12
Просмотров 2,1 млн
핵발사에 대한 의외의 극비사항
10:27
Просмотров 1,2 млн
영화속 탱크와 현실 비교
12:43
Просмотров 621 тыс.
영화속 대통령 경호의 심각한 오류들
10:19
영화가 심어놓은 스나이퍼에 대한 환상
1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