Тёмный
No video :(

이게 왜 대박 결과인지 쉽고 정확한 설명 

12 Math
Подписаться 225 тыс.
Просмотров 344 тыс.
50% 1

1️⃣2️⃣ Math 구독하기 👍 : bit.ly/3Pw2NOG
1️⃣2️⃣ Math 회원가입 👍👍 : bit.ly/3kiw8BM
논문 링크 : arxiv.org/pdf/...

Опубликовано:

 

29 авг 2024

Поделиться:

Ссылка:

Скачать:

Готовим ссылку...

Добавить в:

Мой плейлист
Посмотреть позже
Комментарии : 251   
@user-zd8et5dt9x
@user-zd8et5dt9x Год назад
덕분에 불면증이 해결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duk6046
@duk6046 4 месяца назад
왜 대박인지 끝내 몰랐다고 한다...
@bunnybunnybottle3666
@bunnybunnybottle3666 Год назад
댓글보고 이해했습니다! 제가 이해하지못했다는걸..
@whitedream06
@whitedream06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이 영상은 정말로 '이게 왜 대박 결과인지'를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해주는데, 강의자의 설명이 매우 명확하고 포괄적입니다. 결과물에 대한 흥미로운 내용을 쉽게 전달해주면서, 왜 그것이 대박적인 결과인지를 알 수 있어 매우 유익했습니다. 감사합니다.
@billykim7179
@billykim7179 Год назад
도대체 이런건 어떻게 생각해내는 건지ㅋㅋㅋㅋ 수학의 세계란 놀라움의 연속이네요
@user-pz2ei3ox7j
@user-pz2ei3ox7j Год назад
저도 감탄했네요 어떻게 해야 저런 창의적인 생각이 나올까요 ㅋㅋㅋㅋ
@unarmed_civilian
@unarmed_civilian Год назад
놀라움에서 연속이니 수학의 세계는 일부 미분가능하겠군요
@Showo76
@Showo76 Год назад
@@unarmed_civilian 모든 점에서 연속이어도 모든 점에서 미분 불가능 하기도 합니다
@user-of4kp3gt2l
@user-of4kp3gt2l Год назад
​@@unarmed_civilian...
@user-of4kp3gt2l
@user-of4kp3gt2l Год назад
​@@Showo76 다들 미쳤어..
@jm7783
@jm7783 Год назад
너무 신기하고 재밌네요 무엇보다 이걸 이해하고 쉽게 풀어서 설명해주시는 능력이 정말 대단하십니다 잘 보고 갑니다 ㅎㅎ
@bururumuni
@bururumuni Год назад
결정성과 비결정성 물질의 장점만을 가진 물질을 만드는데 도움을 줄수있는 좋은 논문인듯 합니다.
@alcre8or
@alcre8or Год назад
증명법이 정말 어메이징 하네요. 13개 미만 찾고 싶네요! 굉장히 재밌게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lhuntr
@lhuntr Год назад
한 가지 더! 이번에 새로 발견된 이 타일은 아인슈타인이긴 하지만 타일을 뒤집는 것을 허용해야 합니다. 여기에서는 짙은 파란 타일이 뒤집힌 타일입니다. 타일을 뒤집지 않는 연결된 아인슈타인이 있을까요? 물론 아무도 모릅니다.
@Seo2cow
@Seo2cow Год назад
수학자들 단체 멘붕
@guny8462
@guny8462 Год назад
아몰랑
@0412kkc
@0412kkc Год назад
음…14:46 Tile(0,1) 이게 뒤집지 않는 연결된 아인슈타인 아닌가요?
@lhuntr
@lhuntr Год назад
@@0412kkc 맞습니다! 하지만 그 타일은 주기적 타일링도 가능하지요! 주기적 타일링이 불가능한 아인슈타인을 원하는 것입니다.
@user-kh4uw2rs4d
@user-kh4uw2rs4d Год назад
발견되었고 이번에 발견한 아인슈타인 타일과 거북이 모양의 중간 형태로 Spectre 이라고 불리는 것 같아요!
@Snowflake_tv
@Snowflake_tv Год назад
너무 신기하고, 다 이해 갔어요! 이해시켜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detshowkawachi6646
@detshowkawachi6646 Год назад
쏘련말인데 재밋어 ㄷㄷㄷ
@user-uy2kz2lw1m
@user-uy2kz2lw1m Год назад
목근육통때문에 잠이 잘 안왔는데 덕분에 꿀잠 잡니다 감사합니다
@ijegman
@ijegman Год назад
완벽히 이해했어!!!
@billykim7179
@billykim7179 Год назад
나도 완벽히 이해했어!!!(아님)
@CosmosFuzzy
@CosmosFuzzy Год назад
이야아! izegman님이 완벽히 이해했다는 사실을 완벽히 이해했어!!!(아님) 추신. 어어이 오마에! 이제그만 소꼬마데다. (요즈음 다나까상을 좀 봤더니만)
@OhucYYXuQdai
@OhucYYXuQdai Год назад
(이해 못했음)
@가시
@가시 Год назад
@@CosmosFuzzy 요즘 보기 힘든 이런 정통 씹덕체 만나면 괜히 반가움
@CosmosFuzzy
@CosmosFuzzy Год назад
@@가시 댓글에 가시가 돋았군요 뼈아픕니다
@user-cx5wc4oq4w
@user-cx5wc4oq4w 4 месяца назад
진짜 흥미롭네요 설명도 잘 해주시고 보조영상도 있어서 끝까지 잘 볼 수 있었습니다 감사합니다
@seongwookpark5596
@seongwookpark5596 Год назад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12math
@12math Год назад
감사합니다~
@Q_20
@Q_20 Год назад
정말 흥미롭습니다 감사합니다
@hsm4857
@hsm4857 Год назад
3차원 타일링 분야도 있나요? 기사를 읽어보니 결정구조에서 활용가능성이 높다고 되어 있어서 3차원으로 확장해서 생각해봐야할 것 같아서요!
@hyeonsseungsseungi
@hyeonsseungsseungi Год назад
물론 3차원 타일링도 있습니다!
@hhuhuh94
@hhuhuh94 Год назад
호오~~ 신기합니다~ quasicrystal 과 연결되는 tiliing 에 대한 내용이네요~ 보여주신 짤막한 영상과 그에 대한 diffraction pattern 의 변화도 궁금하네요 ㅎㅎ
@KARENCS-ix8mo
@KARENCS-ix8mo Год назад
qttR
@user-er9of3hg4w
@user-er9of3hg4w Год назад
오늘(today) 햄버거(hamburger) 먹었어용
@johnwu5908
@johnwu5908 Год назад
한글로 써도 못알아 볼거같으니까 영어로써도 ㄱㅊ
@doyoung9483
@doyoung9483 Год назад
​@@user-er9of3hg4w 일상어도 물론 그런 경우가 많지만 학술용어는 특히 적절한 번역이 힘든 경우가 많아요 게다가 일정 깊이 이상으로 깊은 내용들은 영어로 된 자료가 대부분이고 그 자료들을 보며 공부를 하다보니 해당 용어를 한국어로 뭐라고 부르는지 모르기도 하고요. 심지어 대한수학회에서조차 적절한 번역을 제공하지 않는 용어가 많아서 이런 부분은 어쩔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user-be4vj4rn8j
@user-be4vj4rn8j Год назад
학술 용어는 영어 원단어가 한국어 번역보다 훨씬 자연스럽고 정확한 뜻을 전달하는 경우가 너무너무 많아서... exotic matter 라든가 strange quark 라든가.. 애초에 영어권에서 만들어진 단어니까 당연한거죠
@dongyulee2095
@dongyulee2095 Год назад
감사합니다.
@12math
@12math Год назад
감사합니다~!
@user-ih9xl5kr2e
@user-ih9xl5kr2e Год назад
와 이 채널을 너무 사랑합니다~~~~
@JKook808
@JKook808 Год назад
감사용~
@dkfma9187
@dkfma9187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우와 이거 왜 대단한 건지 몰랐는데 이제야 이해가 됐어요. 구독하고 가끔 보겠습니다. 유익한 영상 감사드립니다!!
@방종방위대장작단
@방종방위대장작단 Год назад
뭔가 영상 퀄리티가 업그레드 된것같군요 ㅋㅋㅋㅋ 오늘도 흥미로운 영상 잘봤습니다
@jaekwanglim8610
@jaekwanglim8610 Месяц назад
잘 이해 못해서 찾아본 결과 조금 곁들이면 T(1,sqrt(3)) 이 주기적이면 T(0,1) 도 주기적이어야 되고 T(1,0)도 주기적이어야 하는데 T(1,0)이랑 T(0,1)이 각 타일간 거리 d 가 같은 d가 존재 하지 않아 T(1,sqrt(3))이 주기적이지 않아 비주기적이라는 설명임. 참고로 T(1,0)이랑 T(1,1)이랑 T(0,1)은 아인슈타인은 아니고 나머지 타일에 대해 아인슈타인이 성립함.
@hyki1297
@hyki1297 Год назад
chatGPT 에게 물어볼 질문이 늘었네요. 쉬운 설명 감사합니다.
@user-qc9os3jq6k
@user-qc9os3jq6k Год назад
마지막에서 연속적으로 변하는 타일링이 다 아인슈타인이라고 하셨는데 그럼 6각형인 Tile(0,1) 도 아인슈타인인 것 아닌가요??
@12math
@12math Год назад
좋은 질문입니다. 양쪽 극단에 있는 애들은 아인슈타인이 아니에요.
@krauq
@krauq Год назад
배열 자체는 반복하지 않는 타일링이지만 > 모양은 너무나도 쉽게 반복적인 타일링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반복하지 않는 타일링'만' 강제하는 도형은 아니죠
@sinback6064
@sinback6064 2 месяца назад
뭔가 똑똑이가 된 느낌이라 구독하고 갑니다.
@riricoria89
@riricoria89 Год назад
신기하넹... 수포자+셈포자인데 어케 내 알고리듬에 들어온거지ㅋㅋ 그럼에도 불구하고 쉬운설명 감사합니다. 덕분에 집중하고 영상을 봤어요😂
@movaisang
@movaisang Год назад
이해가 되니 다행입니다.
@hongcha3328
@hongcha3328 3 месяца назад
13:30 부터 이해가 안가요... 타일과 타일 사이의 거리가 왜 꼭지점까지의 거리로 표현이 되는지, 그리고 Tile(0,1) 의 그림에서 같은 모양의 두 타일이라도 놓여진 방향에 따라서 Tile(0,1) 에서 Tile(1,0)으로의 변환에 의해 꼭지점이 이동하는 방향이 달라서 거리는 무조건 달라지는거 아닌가요...
@FIzzlover
@FIzzlover Год назад
8:14 여기서 441..이라고 시작하는 사다리꼴의 수열은 1로 시작하지 않나요?
@12math
@12math Год назад
수업시간에 집중하셨군요!
@Zeddy27182
@Zeddy27182 Год назад
앗.한 발 늦었다!🤣
@user-lp8xy5ui2w
@user-lp8xy5ui2w Год назад
와 오늘은 진짜 어렵네요... 야무지게 생각하면서 다시 보겠습니다.
@user-zs8mt7kk8h
@user-zs8mt7kk8h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어릴적부터 지금까지도 타일이나 보도블록의 모양에 관심을 갖고 유심히 살펴본 사람입니다 수학적으로는 이해가 어렵지만 정말 흥미로운 내용입니다
@memo___ory
@memo___ory Год назад
저는 반복타일링 세상속에 살고 있는걸까요. 00:00부터 15:25 사이의 순간 중 어딘가로 이동되었을 때마다 정신을 차리기 어렵고 이동 전 지점과 이후 지점의 분간이 이려운걸보니 말이죠.
@피클모아태산
@피클모아태산 Год назад
논문을 대략 봤을때 얼마나 엄밀하게 서술된건지는 모르겠지만 수식보다는 직관?으로 써져있는거 같기도 하고요.. 설명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vp7to8ro1b
@user-vp7to8ro1b Год назад
이 내용 페르마의 마지막정리 책에서 본거 같은데 증명됬다고 하니까 신기하네요
@user-iw6pt2mx1c
@user-iw6pt2mx1c Год назад
이해가 안돼서 질문이용 정육각형은 안돼는건가요
@user-ip5jr5jx4z
@user-ip5jr5jx4z Год назад
이거 진짜재밌어요
@hsk8247
@hsk8247 Год назад
한가지 이해가 안가는 부분이 있는데요 저 모순을 통해 애니메이션의 모든 조각들이 다 아인슈타인 조각이 된다는게 증명됐다고 하셨는데 아무리 생각해도 14:44 의 Tile(0,1)의 경우에도 반복되는 타일로 만들 수 있어서 아인슈타인 조각이 아닌 것 같아요... 반복되지 않는 구조로 만들어졌다는게 절대 반복되는 구조로는 만들 수 없다는 의미는 아닐텐데 어떻게 전부 아인슈타인 조각이라는게 증명됐다는건지 잘 모르겠어요.
@12math
@12math Год назад
양쪽 극단은 아인슈타인이 아닙니다
@SwordBoard
@SwordBoard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설명 진짜 잘 하신다...
@korean_dude6036
@korean_dude6036 5 месяцев назад
멋있어요.
@user-tl4rs6mn1i
@user-tl4rs6mn1i Год назад
수포자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db63fhe
@db63fhe Год назад
욕실 타일을 이렇게 복잡하게 만들면 청소하기 힘들어집니다
@Mysteryp7
@Mysteryp7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아 단번에 이해 완료 ㄳㄳ
@user-cg4et3vp2b
@user-cg4et3vp2b Год назад
재밌네요.
@Kimjeongtae
@Kimjeongtae Год назад
2021년 8월에 발표된 연구 결과를 다룬 기사입니다. 이 연구는 욕실 타일의 패턴에 대한 수학적인 문제를 다루었는데, 이 문제는 1966년에 제기된 "Danzer 문제"로 알려져 있었습니다. 이 문제는 평면 상에 여러 종류의 타일을 배치할 때, 모든 경우에 타일의 패턴을 만들어낼 수 있는 최소한의 타일 집합을 찾는 문제입니다. 이 문제는 최소 타일 집합의 존재 여부와 구성에 대한 질문으로 시작되었고, 그 이후에는 최소 타일 집합이 구성될 때 이 집합의 크기에 대한 문제로 변형되었습니다. 이번 연구에서는 Danzer 문제의 일종인 "Periodic Tiling 문제"에서의 해결 방법이 제시되었습니다. 이 연구 결과는 최소 타일 집합의 구성에 대한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Danzer 문제와 관련된 다른 수학적인 문제들에도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타일의 패턴과 구조에 대한 이해를 높일 뿐만 아니라, 재료과학이나 암호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Transactional
@Transactional Год назад
완벽하게 이해했어
@Naerumi
@Naerumi Год назад
정말 기발한 발상이네요. 맨 마지막에서 각도 60도짜리 격자가 왜 두 선분이 길이비로 sqrt 2를 허용하지 않는지 궁금하실 분들을 위해 간략한 증명을 첨부합니다. 먼저 제2 코사인법칙에 의해 격자 위의 선분의 길이는 정수 x, y에 대해 sqrt (x^2 + xy + y^2)으로 표현됩니다. 이제 귀류법을 이용하기 위해 격자상의 어떤 두 선분의 길이비가 sqrt 2라고 가정해봅시다. 이는 (모두 0은 아닌) 정수 x, y, z, w가 존재하여 x^2 + xy + y^2 = 2(z^2 + zw + w^2)을 만족함을 의미합니다. 여기서 x, y가 모두 홀수라면 좌변은 홀수, 우변은 짝수가 되므로 일반성을 잃지 않고 y가 짝수라고 할 수 있고, x' = x + y/2, y' = y/2로 치환하면 x'^2 + 3y'^2 = 2(z^2 + zw + w^2)을 얻습니다. 다시 z' = 2z + w, w' = w로 치환하고 양변에 2를 곱하면 준식은 2(x'^2 + 3y'^2) = z'^2 + 3w'^2이 됩니다. 이제 복소수의 절댓값이 곱과 나눗셈을 보존한다는 사실로부터 착안하여 우리는 |(z' + i sqrt 3 w')/(w' + i sqrt 3 y')| = sqrt 2를 얻습니다. 여기에서 유리수 a, b에 대해 (z' + i sqrt 3 w')/(w' + i sqrt 3 y') = a + i sqrt 3 b로 쓰면, |a + i sqrt 3 b| = sqrt 2, 즉 a^3 + 3b^2 = 2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 때 양변에 a, b의 공통분모를 곱함으로써 최종적으로 (모두 0은 아닌) 정수 m, n, k에 대해 m^2 + 3n^2 = 2k^2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제 이러한 방정식이 (0, 0, 0) 이외의 정수해를 가지지 않음을 보이면 증명이 끝납니다. 그렇지 않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일반성을 잃지 않고 m, n, k가 모두 짝수는 아니라고 할 수 있는데, 이는 만약 m' = m/2, n' = n/2, k' = k/2가 모두 정수일 경우 (m', n', k')이 주어진 방정식의 더 작은 정수해를 주기 때문입니다. 또한 좌변과 우변의 홀짝성을 고려하면 m과 n의 홀짝성 역시 같아야 합니다. 이 때 양변을 8로 나눈 나머지를 보면 좌변은 0 또는 4, 우변은 0 또는 2가 됩니다. 따라서 좌변과 우변은 반드시 8로 나누어떨어지며, 이것이 가능한 경우는 m, n, k가 모두 짝수일 때밖에 없으므로 모순입니다.
@user-ts1ng5op2q
@user-ts1ng5op2q Год назад
완벽히 이해했음
@user-xr1gf7ir7u
@user-xr1gf7ir7u Год назад
아오오니 5.2에서 달의 조각 얻을때 쓰는 색깔퍼즐을 설명하는 거 같기도 하네요
@bsh3311
@bsh3311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우주하마 박사님 잘봤습니다.
@lydimang
@lydimang Год назад
정말 안 뒤쳐지고 이해하려고 열심히 들었다 집중력 최고치 ㅋㅋㅋㅋㅋ 15분 집중 했더니 진 빠지넼ㅋㅋㅋㅋㅋㅋ 그래도 이해는 했지만 수학은 역시 어려워…
@시덕이
@시덕이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와ㅋㅋ 완죤 신기ㅋㅋ
@YounTori
@YounTori Год назад
재밌네용
@oceank9154
@oceank9154 Год назад
타일 산업이 매우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군요! ㅎㅎㅎㅎㅎ
@_KShrimpChip
@_KShrimpChip Год назад
변의 길이 비가 루트2 : 1 나올때부터 소름돋았네요...잘보고갑니다!
@dhkd1157
@dhkd1157 Год назад
이거 발견한 사람 천재네.. 저는 그냥 답을 내주면 그걸 열심히 갖다 쓰는 삶을 살아야겠습니다.
@hyunhochoi8705
@hyunhochoi8705 Год назад
오 신기하네요 작게 쪼개보면 정삼각형들의 나열인데 그걸 1/3로 쪼갠 사각형들을 가지고 요상한 도형을 만들어서 비주기적인 패턴까지
@abumpia
@abumpia Год назад
아! 화장실 타일 저런 패턴으로 해보고 싶다!
@kihongkim1824
@kihongkim1824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오 이런 종류의 원하는 해답은 발전된 AI가 쉽게 찾을 수 있을 것 같고, 곧 그런 시대가 되면 참으로 흥미진진한 탐구거리가 많아질 것같다는 기대가 샘솟네요.
@ttkk9040
@ttkk9040 Год назад
완벽히 이해했어!
@user-7jf78kc2b5ilo
@user-7jf78kc2b5ilo Год назад
첨에 예를 든 사다리꼴도 einsten이 아닌가요? 그렇다면 면 13개 미만의 연결된 einsten 아닌가요? 첨에 예를 든 사다리꼴과 뒤에 13개면 einsten 차이가 뭔지 모르겠네요. /대칭 비대칭이라는 차이점인가요?
@cookiepoky
@cookiepoky Год назад
einstein은 반복하지 않는 타일링만 허용하는 조각을 의미하지 않나요? 사다리꼴은 반복하는 타일링과 반복하지 않는 타일링을 모두 만들 수 있으니까 einstein이 아닌것같네요.
@doge8144
@doge8144 Год назад
아~완벽히 이해했어
@Snowflake_tv
@Snowflake_tv Год назад
회원전용 동영상은 공개동영상과는 어떻게 다른가요?
@jamesdakrn
@jamesdakrn 4 месяца назад
이거 발견한분도 전문적인 수학자가 아닌데 찾아냈다는게 신기함. 이 "모양"을 인식하는 능력과 그 직관이 뛰어난 분 같음
@user-hr5gu1qb7p
@user-hr5gu1qb7p Месяц назад
제가 아는 비주기는 로켓단 두목이었는데, 덕분에 다른 비주기도 알고 갑니다.
@sickowhale6861
@sickowhale6861 Год назад
미치겠다..ㅋㅋㅋ 이걸 진짜 사람이 순수히 머리로 구상했을수가 있나요?? 컴퓨터같은 시뮬레이션 기계가 없었어도 찾아낼 수 있었을까요?? 진짜 천재들은 어느정도인지 미치겠네요 ㅋㅋㅋ
@leechanghyun
@leechanghyun Год назад
이거 진짜 신기하네요 ㅋㅋㅋㅋㅋㅋ 아니 어떻게 상상한거야 ㅋㅋㅋ
@jamelcjri8358
@jamelcjri8358 Год назад
길이의 비율 변화에 따른 두 타일의 상대적 거리는 불변인데 변화에 따라 구성할 수 있는 거리의 치역 집합이 서로 다르기에 모순이 발생한다 라고 생각해야하는건가
@hyeonsseungsseungi
@hyeonsseungsseungi Год назад
타일 문제는 언제나 신기하지요!
@Snowflake_tv
@Snowflake_tv Год назад
10:26 근데 "밀도를 바꾸지 않고"가 정확히 여기선 무슨 뜻인가요? 밀도요?
@blankjo9113
@blankjo9113 Год назад
영어 Density 즉 분포도를 오역한것 같음
@jslee0133
@jslee0133 Год назад
똑같은 공간 상에 조각이 몇 개 들어가 있냐가 밀도죠
@Snowflake_tv
@Snowflake_tv Год назад
@@jslee0133 아하! 말 되네여.
@hyeonsseungsseungi
@hyeonsseungsseungi Год назад
같은 면적에 들어가는 타일의 갯수가 변하지 않는 것입니다. 뒤집어 이야기하면 타일의 면적이 변하지 않는 것이죠...
@春奈ルナ
@春奈ルナ Год назад
도대체 어떤 카라크리로 이해도 어려운 한국어로 이해도 어려운 도형학의 논문을 보게 된 것일까… RU-vid의 알고리즘은 이해할 수 없습니다 ...
@user-fg6jm6mz2o
@user-fg6jm6mz2o Год назад
14:34 음.. 사실 영상을 잘 이해하지 못 했어요 연속적으로 변하는 조각들이 모두 아인슈타인이라 하셨는데 그럼 거리비교할때 쓴 변 6개짜리 정삼각형 4개로 이루어진 조각과 정삼각형 8개로 이루어진 조각도 아인슈타인 이란 말인가요?.. 만약 그렇다면 마지막 질문을 할 의도가 없었을테니 아닌것같긴한데.. 아마 '연속적으로 변하는' 을 이해하지 못한것같아요 혹시 부가설명이 가능하다면 감사할 것 같아요 이전 본 영상들은 가벼운 퀴즈 느낌이거나 예전에 생각해본거랑 연관있어서 이해가 어렵진 않았는데 이번건 뭔가 흥미롭긴한 주제인데 이해가 너무 잘못되고 있는것 같네요
@12math
@12math Год назад
양쪽 극단이 있는 애들은 아인슈타인이 아닙니다
@user-gu4sk1yn5v
@user-gu4sk1yn5v Год назад
설명듣고 저 도형을 저렇게 배치했을 때 반복되지 않는다는 건 이해가 됐는데, 왜 저 도형이 반복되는 패턴을 허용하지 않는지 잘 모르겠어요.. 사다리꼴 예시처럼 다르게 배치했을 때 반복되는 경우가 존재할 수도 있지 않나요? 아니면 저 구조가 저 도형으로 만들수 있는 유일한 타일링인가요??
@Naerumi
@Naerumi Год назад
영상에서는 암묵적으로 귀류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주어진 tile로 만든 '임의의' tiling에 대해서 영상 속의 논증을 적용할 수 있고, 따라서 언제나 그것이 aperiodic하다는 결론을 얻게 됩니다.
@kkukuku62
@kkukuku62 Год назад
근데여 반복하지 않는 타일링 예시 마름모꼴 타일은 회전시키면 어떻게 구별해요? 그니까 처음 있었던 장소랑 다음에 장소랑 번호는 다르게 붙겠지만 회전해서 다시 붙이면 같은 번호를 가지는 위치에 있을 수 있자나여
@user-sv6yv6zg6o
@user-sv6yv6zg6o Год назад
선생님 안녕하세요! 영상너무잘봤습니다~ 다름이아니오라 늦은나이에 수학에 관심이생겨서 질문관련해서 궁금한거 여쭤볼려구 메일드렸는데 혹시 확인한번 해주실수있으신가요??
@42_cloud
@42_cloud Год назад
요즘 폼 미쳤다... 최근 영상들 다 깨달았을 때 소름돋는 영상들이었음
@iilililiiilliillilililil
@iilililiiilliillilililil Год назад
영상 끝 부분에 정리하는 내용에서, 삼각형 4개로 이루어진 도형과 삼각형 8개로 이루어진 각각의 도형에서 격자점의 거리에 대한 경우의 수가 교집합이 없다라고 해서 이게 아인슈타인이다 하는데 서로 다른 도형의 격자점까지의 거리의 집합이 교집합이 없다는 이유로 그 도형이 아인슈타인이 된다라는 건 어떤 연관성이 있는거죠? 다른 관점에서 질문해보면 하나의 도형이 반복되지 않는다라는 것을 증명하려고 하는데 왜 서로 다른 형태의 두 도형의 격자점간의 거리의 교집합이 있냐 없냐로 판단할 수 있는거에요?
@Naerumi
@Naerumi Год назад
본래의 tiling이 periodic하다고 가정하면 양 극단의 degenerate tiling들도 periodic해야 하고, 특히 같은 period를 가져야 합니다(이는 변환 과정 내내 유지되는 불변량입니다). 그러나 sqrt 2배 차이가 나는 정삼각형을 기본으로 하는 두 tiling은 결코 같은 period를 가질 수 없다는 것이 이 귀류법 논증의 골자입니다.
@gcgc6755
@gcgc6755 Год назад
이 문제의 3차원 이상 버전도 있나요?
@apple2.ap.847
@apple2.ap.847 Год назад
증명 1에서 크게보던 작게보던 같은 구조를 유지하는게 프랙털 구조와 유사하게 느껴지네요. 맞게 본걸까요?
@55abb
@55abb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제시된 타일이 반복하지 않는 타일링을 만든다는 것 까지는 이해했습니다. 그런데, 저 타일이 반복되지 않는 타일링만을 만드는지는 어떻게 증명하나요? 제가 이해를 못 한 거려나요..?
@user-if6nk7cg8i
@user-if6nk7cg8i Год назад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그런데 마지막 질문은 이미 Tile(0,1)과 Tile(1,0)에서 변의 개수가 더 적어 해결된 것이 아닌가요? 제가 잘못 이해했다면 답글 부탁드립니다 ~
@user-if6nk7cg8i
@user-if6nk7cg8i Год назад
아! 이제 이해했습니다. 양쪽의 둘은 규칙적인 타일링도 가능하군요. 그렇다면 완벽한 증명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번에 찾은 것은 규칙적인 타일링이 없다는 것도 알아야 하는거죠? 다르게 조립할 가능성이 전혀 없다면 될텐데 잘 모르겠네요...
@Naerumi
@Naerumi Год назад
실제로 Tile(0, 1)과 Tile(1, 0) 사이의 모든 tile들은 전부 einstein임을 보일 수 있습니다만, 변의 개수는 여전히 13개입니다. 그리고 두 번째 댓글에 대해 말씀드리면 이 영상의 골자가 바로 임의의 (1, sqrt 3)-tiling이 aperiodic하다는 것입니다. 첫 번째 관찰은 Tile(1, sqrt 3)으로 *어떻게* tiling을 하든 연속적인 변환을 통해서 (1, 0)-, (0, 1)-tiling으로 만들어줄 수 있으며 만약 처음의 tiling이 d-periodic했다면 이렇게 얻은 (1, 0)- 및 (0, 1)-tiling 역시 d-periodic하다는 사실입니다. 두 번째 관찰은 (1, 0)- 및 (0, 1)-tiling이 각각 정삼각형을 기본 조각으로 하고 있으며 두 tiling에서의 기본 정삼각형 크기 차이가 sqrt 2배라는 사실입니다. 그러나 이는 모순이 되는데요, sqrt 2는 각도 60도짜리 격자에서 두 선분의 길이비로 표현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애초에 (1, sqrt 3)-tiling이 periodic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습니다.
@user-jf7lk5fk1v
@user-jf7lk5fk1v Год назад
와 결정학과제로 교수가 내줬던게 펜로즈타일링을 직접해보란거였구나 어쩐지..
@Dingo3
@Dingo3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완벽히 이ㅎ...
@user-cw9bi9tb1r
@user-cw9bi9tb1r 7 месяцев назад
6분에 나오는 그 사다리꼴 반복안되는 타일링... 1234 말고 0123으로 수열의 정의역을 만들고 앞에 0.을 붙여주면 0과 1사이의 실수의 4진법 표기와 일대일대응하는건가요??? 저 타일의 개수가 비가산이 되는건가요??
@user-zi2fw9hn1j
@user-zi2fw9hn1j 5 месяцев назад
헐...이거슨 엄청난 거임. 같은 모양이지만 반복되지 않는다면, 동질한 입자라고 하더라도 다른 형태로 보일수 있다. 다른 성질을 가질 수 있다.
@mhu1370
@mhu1370 Год назад
타일하는사람인데 잘붙이고 매지넣으면 다됩니다
@Mintsoda_15
@Mintsoda_15 Год назад
5:53 육각형 모양으로 반복될 줄 알았는데, 육각형을 지나가는 선의 모양이 반복되지 않네요.
@junehyukjung
@junehyukjung Год назад
와 우리집 화장실 타일 이걸로 깔고 싶다...
@pillowcroco3922
@pillowcroco3922 Год назад
오늘 거는 이해가 어렵네요 ㅠ
@reverse_engineering
@reverse_engineering Год назад
그냥 타일 반복해서 쓰면 되지..왜 반복되지 않는 타일을 찾는거에요?
@hyeonsseungsseungi
@hyeonsseungsseungi Год назад
그게 게임의 규칙인 겁니다.
@user-be4vj4rn8j
@user-be4vj4rn8j Год назад
궁금해서..
@Snowflake_tv
@Snowflake_tv Год назад
9:45 각 타일들의 수열이라기 보단, 뭔가 좌표값 같네요.
@user-cz7xe1xg5d
@user-cz7xe1xg5d Год назад
다들 욕실 타일을 고민하고 있었구니
@4D-HUMAN
@4D-HUMAN Год назад
이건 다차원에 대한 설명과도 겹치는군요. 인류의 수준을 한차원 끌어 올려주면.. 우리는 어느덧 가까워집니다.
@user-co4rr3wx2l
@user-co4rr3wx2l Год назад
그럼 혹시.. tile(1,0) 과 tile(0,1) 사이의 모든 타일들이 아인슈타인 인가요?? 13:20 부분에서 제가 이해하기로는 동일한 면적을 가진 도형을 연속적으로 위와같이 변형했을때, 반복한다고 가정한 도형A,B의 무게중심을 각각 (x1,y1),(x2,y2) 라고 잡고 변형 후의 두 무게중심의 x,y축 변위를 각각 a,b라고 가정한다면 변형 후 도형 A,B의 무게중심은 (x1+a,y1+b),(x2+a,y2+b)가 되어야해서 라고 생각했습니다. 제가 이해한 방법이 맞다면 tile(1,0)부터 타일(0,1)로 변할때 그 사이의 모든 도형들이 아인슈타인이어야 할 듯한데 언뜻 보기에 tile(1,0)과 (0,1)은 아인슈타인이 아닌것(?)같아 보여서요
@12math
@12math Год назад
양 극단은 아인슈타인이 아닙니다
@Naerumi
@Naerumi Год назад
(1, 0)과 (0, 1) 사이의 tile들은 einstein이 맞습니다. 다만 댓글에 적으신 부분은 수학적으로 유의미한 논점은 아니구요. Key lemma는 결국 임의의 (a,b)-tiling이 연속적 변환을 통해 (1,0), (0,1) tiling이 될 수 있다는 것이거든요. 이는 오직 a, b가 0보다 클 때에만 보장이 됩니다. 변의 degenaracy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여서 perturbation을 주어도 tiling property를 잃지 않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1, 0)-tiling이 주어지면 거기에서 small perturbation을 주어 (1, e)-tile들로 교체했들 때 여전히 그것이 tiling이 된다는 보장이 없습니다. 실제로 (1, 0)-tile로 periodic tiling을 해버리면 perturbation을 할 때 tiling property가 깨지게 됩니다.
@user-co4rr3wx2l
@user-co4rr3wx2l Год назад
@@Naerumi 감사합니다. 대충 이해한듯 합니다. 결국 (1,0)과 (0,1) 사이의 타일들은 연속적으로 변환되는 와중에 tiling property가 유지되고 양 극단에서만 깨지게 되는데 (1,0)과 (0,1) 두 극단에서의 tiling property가 달라진다는 점이 중요한 것이라고 이해하면 될까요?
@Naerumi
@Naerumi Год назад
@@user-co4rr3wx2l 네, 요지를 제대로 파악하신 것 같아요. 참고로 이런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는 중간에 낀 tile들은 tiling하는 방식에 제약이 생기는데(서로 길이가 다른 두 종류의 변들이 존재해서 같은 길이의 변들끼리 맞물려야 함) (1, 0)- 또는 (0, 1)- tile들은 tiling의 자유도가 높아서 예를 들어 (1, epsilon)-tile로의 small perturbation을 주었을 때 여전히 tiling이 된다는 보장이 없어요.
@user-co4rr3wx2l
@user-co4rr3wx2l Год назад
@@Naerumi 감사합니다. 너무 재밌었네용😃
@SiriusJay
@SiriusJay Год назад
타일링과 3색혹은 4색문제와는 차이가있나요? 혹시 타일링 + 다색문제 이런것도 있을까요?
@Naerumi
@Naerumi Год назад
당연하지만 직접적인 연관은 없습니다. 다만 tiling에서 인접한 두 tile이 항상 색이 다르도록 하려면 몇 가지가 필요하겠는가 하는 질문을 할 수 있겠군요. 임의의 connected tile로 구성된 tiling에 대해 그것의 adjacency graph가 planar이므로 사색문제에 의해 4-colorability가 보장되는데, 과연 더 적은 수로도 칠할 수 있을지 등의 질문이 일단 떠오르네요.
@iLsilvers12
@iLsilvers12 Год назад
갑자기 생각난건데 한변의 길이가 x인 정 n각형이 있다고 할 때 정(n-1)각형과 정(n+1)각형 중 어느것이 더 정n각형에 가까울까요? 약간 이상한 질문일 수도 있다는 생각은 듭니다만 한번 알고 싶습니다 안해주셔도 괜찮습니다 항상 영상은 잘 보고있습니다~
@user-rn5lr7tv5h
@user-rn5lr7tv5h Год назад
n+1과의 차이가 더 작습니다
@iLsilvers12
@iLsilvers12 Год назад
제가 그렇게 똑똑하지는 않은지라 이유를 알 수 있을까요?
@iiii-fv8zu
@iiii-fv8zu Год назад
​@@iLsilvers12 증명까지는 귀찮고 간단한 사고실험을 해보시면 이해가 되실거에요 가장 극단적인 예시로 사각형을 기준으로 삼각형과 오각형을 비교해보시면 넓이와 형태가 n-1보다 n+1이 n에 더 가까워 보이네요 질문이 무엇을 기준으로 n에 가깝냐고 판단하는지 기준이 없어서 명확하게 정의내리기는 힘들지만요 😢
@sookim5337
@sookim5337 Год назад
360/x를 생각해보면 아래로 볼록하니까 n+1과 더 가깝다고 할 수 있지 않을까요
@H_Kim
@H_Kim Год назад
가깝다는거의 정의를 어떻게하느냐에따라 기준이되는n이 달라질듯
@Sirorok
@Sirorok Год назад
와 같은 모양이면서 같은 구조가 아니라니 너무 신비하네요
@user-xu2bx9ry6c
@user-xu2bx9ry6c Год назад
타일과 타일사이의 정확히 거리가 어떻게 정의되나요?
@jjo0427
@jjo0427 Год назад
경계를 포함하는 도형 A와 B 사이의 거리는 보통 도형 A 위의 어떤 점과 도형 B 위의 어떤 점 사이의 거리에 해당하는 값들을 모아놓고, 그 중 최솟값을 찾는 식으로 정의됩니다
@lyjdf
@lyjdf Год назад
어 석사과정 전공이네요 반갑네요 ㅎㅎ
Далее
당신이 미처 몰랐던 확률 개념
12:50
Просмотров 215 тыс.
Useful gadget for styling hair 💖🤩
00:20
Просмотров 1,8 млн
I Took a LUNCHBAR OFF A Poster 🤯 #shorts
00:17
Просмотров 10 млн
모르면 일단 봐보세요.
12:48
Просмотров 184 тыс.
[지식in] 엄청 큰 수의 표기법
15:02
Просмотров 45 тыс.
Simulation universe found in quantum physics
16:45
Просмотров 1,3 млн
ChatGPT쓰고서 안 썼다고 뻥칠 수 있을까?
1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