Тёмный

이제 음식에도 할증? 일본 대표 서민 음식 규동에 불어닥친 심야 요금 |크랩 

크랩 KLAB
Подписаться 573 тыс.
Просмотров 126 тыс.
50% 1

#크랩 #일본 #규동 #kbs뉴스
24시간 김밥 집에 밤 10시부터 심야 할증이 붙는다면 어떨 거 같으세요?
일본에서는 비슷한 일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
일본의 서민음식이자 소비자 물가의 바로미터라고 불리는 ‘규동’에
밤 10시부터 다음날 오전 5시까지 7%의 추가요금을 받기로 한 건데요.
그것도 일본의 3대 규동 체인점이자 업계 1위로 불리는 식당 ‘스키야’에서 일어난 일이라고 합니다.
심야 요금 대체 왜 도입하게 된 걸까요?
일본 경제는 어떤 상황인 걸까요?
크랩이 자세히 알아봤습니다.

Опубликовано:

 

25 апр 2024

Поделиться:

Ссылка:

Скачать:

Готовим ссылку...

Добавить в:

Мой плейлист
Посмотреть позже
Комментарии : 510   
@user-sj4rw5bh4f
@user-sj4rw5bh4f Месяц назад
저건 진짜 가격이 낮아서 어쩔수없이 올리는건데 교촌발럼들은 수시로 쳐 올리지
@user-tu6fn4nc3y
@user-tu6fn4nc3y Месяц назад
안사먹는게 답. 교촌 솔까 ㅈㄴ 노맛 왜 먹는지 모르겠음
@wepo511.
@wepo511. 28 дней назад
​@@user-tu6fn4nc3y 교촌 3개먹으면질림
@wepo511.
@wepo511. 25 дней назад
@@user-ct9ke1ch1c 국어공부안햇노? 쌉소리여
@user-sj4rw5bh4f
@user-sj4rw5bh4f 25 дней назад
@@user-ct9ke1ch1c 난독증이니?
@user-cj7br4yh8w
@user-cj7br4yh8w 24 дня назад
난 솔직히 허니콤보 좋아하는데 1년 넘게 걍 안 먹음 비슷한 골드킹 시키던가 그래봤자 3대 치킨아닌가 싶을수 있지만 가격인상 주도하는 기업 하나가 먼저 망해야 나머지 애들도 정신차림.. 차라리 다른곳 시키자
@7Stars_1958
@7Stars_1958 Месяц назад
버티다 버티다 두 손 든겁니다 일본은 가격을 쉽게 못 올리니 양을 줄이는데 양을 더 이상 줄이면 욕을 먹으니 심야할증을 강행한 겁니다 20년 전이나 지금이나 규동 가격이 그게 그겁니다
@davidpark3602
@davidpark3602 Месяц назад
ㅋㅋ 일본은 거기서 음식양 더 줄이면 먹을게 없지 ㅋㅋ
@user-ub2ut5qu6h
@user-ub2ut5qu6h 28 дней назад
임금이 안올랐는데 물가가오르는게 이상하지 ㅋㅋ 라멘, 규동같은건 대표적인 서민음식이라 일정 마지노선 금액이 넘어가면 사람들이 외면하니깐 못올리는거야 ㅋㅋ 라멘 900-1000엔, 기본규동 500-600엔
@ppukderahoma
@ppukderahoma 21 день назад
이게 맞음
@jhh7933
@jhh7933 Месяц назад
20년 장기 불황에 따른 극단적인 저가 경쟁의 후유증임 특히 규동은 그 중에서도 최전선에 있는 품목이다 보니 이윤 마니노선을 워낙 타이트하게 잡아 놓고 사업하다보니 약간의 원가 상승 요인이 발생해도 가격 상승 요인으로 이어짐 특히 일본의 경우 초장기 디플레가 결과적으로 물가를 잡아 주면서 이런 가격 유지가 가능했는데 일본도 물가가 오르기 시작하고 절대로 오르지 않을 것 같았던 금리마저 오르게 되자 그동안 요지부동이던 인건비도 따라 오르기 시작하면서 가격 상승 요인으로 이어진 거
@senjingjoseon111
@senjingjoseon111 Месяц назад
맞는 말. 하지만 이게 나쁘다고 할 수는 없지. 정상경제로 돌아간다는 뜻
@0.157
@0.157 Месяц назад
@@senjingjoseon111 닉네임 레전드네 ㅋㅋ
@nopregnant
@nopregnant Месяц назад
말만 디플이지 거의 동결이엇죠 인하가 아니라. 디플은 말그대로 물가 인하각임
@SmithPole
@SmithPole Месяц назад
마지노선! 마니노선 오타인듯
@user-ib4zb4uq2x
@user-ib4zb4uq2x Месяц назад
금리보단 애너지지...일본도 에너지 수입 엄청난 국가임...
@handle2244
@handle2244 Месяц назад
심야에 열어준다면 심야 요금 10%는 이해할 수 있는 수준. 24시간 가게 많이 없어져서 올빼미는 슬프다
@user-ln4od9ev8g
@user-ln4od9ev8g Месяц назад
임금상승으로 인한 어쩔 수 없는 결과지
@Amolang991
@Amolang991 Месяц назад
우리나라에서 심야요금 만든다고 하면 머라할거면서 사대주의 ㅋㅋㅋ
@hcaru6499
@hcaru6499 Месяц назад
​​@@Amolang991심야 가게 늘어난다면 심야요금 대환영임
@user-ng1df9mg4v
@user-ng1df9mg4v Месяц назад
고개 끄덕끄덕하면서 맞아맞아 하는 양반들은 50퍼 더 받아도 합리적인 가격이야 좋았어! 하고 먹을려나?
@user-ce1xp8zn9j
@user-ce1xp8zn9j Месяц назад
그래서 배달비는 괜찮다고 생각하냐?ㅋㅋㅋ
@yyhj5137
@yyhj5137 Месяц назад
밤에 일하면 돈 더 줘야하는데 사람구하기도 더힘들고 받을 만하다고 봄. 한국만 해도 휴일이 있는데도 주휴에 야간에 뭐에 다 수당이니 받는 입장에서 이것저것 따져서 다 받아낼려하듯이 그 만큼 가격 오르는건 감안해야한다고 봄
@user-hg2wl2ll1s
@user-hg2wl2ll1s Месяц назад
근데 그럼 굳이 식당에안갈듯 편의점에서 사먹지
@pathorder
@pathorder Месяц назад
매우 합리적이고 7%면 오히려 저렴하다
@user-zd6ip9bz9p
@user-zd6ip9bz9p Месяц назад
매우 바람직한 현상이고, 이걸 막으려고 들게 아니라 일본입장에서는 오히려 가격을 더 늘려야지 7퍼가 뭐냐? 인플레이션 경제로 회귀했는데 당연히 이렇게 되어야하는것.
@AjoC1828
@AjoC1828 Месяц назад
​@@user-hg2wl2ll1s그런 사람들을 위해서 편의점에서 도시락을 판매하는거고 당신에게 맞는 방식인거죠. 반대로 야간에라도 식당이 필요한사람이 갈테니 저기도 유지가 되는거구요.
@user-mi8uq7gj4y
@user-mi8uq7gj4y Месяц назад
@@user-hg2wl2ll1s 레트로트 맛없는 편의점보단 식당이더 좋죵
@user-ew4mi4go1k
@user-ew4mi4go1k Месяц назад
야간할증 붙는거처럼 붙는다면 나쁘진않을듯 그리고 최저임금 근로자들에게 그 혜택이 고루돌아간다면 더 할나위없을듯하고 야간일하는것이 쉬운일이아님
@Beastb52
@Beastb52 Месяц назад
어차피 최저임금 근로자들 야간 시급 더 받아감 저게 맞는거임
@jamjun
@jamjun Месяц назад
이웃나라 물가 걱정할게 아니라 우리나라나 좀 바로잡자... 일본에 좀 있다가 돌아와 보니까 점심값에 깜짝깜짝 놀라요
@user-zd4of8yi7g
@user-zd4of8yi7g Месяц назад
외식물가는 일본이 지금도 올라도 한국에 비해 엄청 저렴한데 ㅋㅋㅋ
@justspo
@justspo Месяц назад
4천원이면 소고기덮밥 한끼 우리나라는 야채김밥값
@user-jg5gq6qu3h
@user-jg5gq6qu3h Месяц назад
거의 들어가는 양 비슷함. 김밥 하나에 밥 한공기 들어가고 여러가지 들어가는 것과 규동에서 고기 조금 들어있는 것과 별로 다를건 없음.
@user-sz3bl1jr3y
@user-sz3bl1jr3y Месяц назад
@@user-akdkdnenakdkdks일본에서도 한국음식 비씸 원래 우리 음식 아니면 프리미엄 붙음
@butasuki
@butasuki Месяц назад
@@user-akdkdnenakdkdks여권 좀 만드셈ㅋㅋㅋㅋ 안타깝네
@J-rw1yc
@J-rw1yc Месяц назад
@@user-akdkdnenakdkdks 일본 미국서 한국음식 졸라 비싼데? ㅋㅋ 해외 안나가봤지
@Yomanghangeot
@Yomanghangeot Месяц назад
@RadamesManthegg 얘는 뭐임?
@user-fh7bq2fb4s
@user-fh7bq2fb4s Месяц назад
요시노야는 인건비가 다른 곳보다 많이 주고 공휴일, 주말, 야간 알바는 알바비가 거의 배 정도였던 걸로 기억합니다. 요시노야는 진짜 서민음식이라 우에농공원점에서 20년도 전에 알바했는데 사람들이 끝도 없이 오는 곳이고 새벽에는 근처 술집에 종사하는 사람들과 호스트들이 해장하러 와서 깜짝 놀랐던 기억이 나네요. 근데 우리나라도 음주가 너무 활성화되어 있어 야간 활증을 적용해도 좋을 듯
@Yangpa2
@Yangpa2 Месяц назад
그 기억은 잘못되신 기억입니다... ㅋㅋ 아니면 지금이랑 달랐던가요. 일본 10년차 사는데 다른 요식업이랑 시급 비슷하고 심야알바는 1.25배 칼같이 줍니다.
@sdhde2537
@sdhde2537 Месяц назад
요시노야 후쿠시마산 먹어서 응원하자 공식 후원사 실제로 후쿠시마산 고기 사용
@user-us3kt3lt5v
@user-us3kt3lt5v Месяц назад
심야에 비용이 더 드니까 더 비싸게 받아서 유지가 가능하다면 차라리 그게 맛다 아예 문닫아버리는것 보단.
@user-ln4od9ev8g
@user-ln4od9ev8g Месяц назад
한국에 식당들 직원들이 야간임금 지불해달라는 직원들 때문에 임금난에 시달려 문 닫은 자영업이 한두군데 아님
@user-ld8ee2kx6r
@user-ld8ee2kx6r Месяц назад
일본 술집(이자카야) 오토시=자리 요금(차림비) 밤 10이후 "와리마시"(요금 할증=총 금액의 7%정도) 원래 있었음.그리고 새벽까지 운영하는 술집이 할증 받으니 어이 터짐 그리고 줄 서는 이자카야는 연말요금+주말요금 받는데도 있음.
@TI.ME.
@TI.ME. Месяц назад
한국은 낮에도 심야요금제받는 수준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coingoblin
@coingoblin Месяц назад
응 심야에는 그거에 추가로 더 받을꺼니깐 걱정 말아요~
@user-jk8wd5oy1h
@user-jk8wd5oy1h Месяц назад
ㅇㄱㄹㅇ ㅋㅋㅋ
@user-od4dr1qb5v
@user-od4dr1qb5v Месяц назад
그지임?
@salmonwanteat
@salmonwanteat Месяц назад
저렇게 생각하는건 밥도 못사먹을정도로 돈 번다는거잖아 … 안타깝다 무능력해서 돈을 많이 못벌다니
@exampp
@exampp Месяц назад
그런 사람 국내에는 많아요. 월드비전 광고만 보면 알 수 있는데 ㅠㅠㅜㅠ​@@salmonwanteat
@user-qq1hw3qg7u
@user-qq1hw3qg7u Месяц назад
코로나때문에 24시거의없어져서 슬프다..
@williamkim7723
@williamkim7723 Месяц назад
솔직히 우리나라에서 식당들 24시간 하는 대신 심야에 10%정도 더 받겠다고 하면 난 기꺼이 이용할 생각 있음. 코로나 시기 지나면서 원래 24시간 영업 하던 집들도 영업시간 단축해서 요즘 심야영업 하는 식당 찾아보기 힘들던데, 빡쎄게 야근하고 지친 몸 이끌고 퇴근하는 길에 사먹던 야식이 너무 그리움.....
@incyphe
@incyphe Месяц назад
양극화내요. 심야에 이용하는 사람들은 소득이 더 낮을 텐데. 7% 인상이면 수요가 확 떨어질꺼고, 결국엔 심야 영업 중단은 시간 문제네요.
@procrastination1871
@procrastination1871 Месяц назад
인건비 추가수당 때문에 저게 맞는거 같기도 하면서 아닌거 같기도 하네;;
@user-xs4jf1ev3z
@user-xs4jf1ev3z Месяц назад
어느 국가나 인권비가 원인이 아니라 임대료가 문제죠.한국은 임대료,권리금, 수수료가 엄청나기때문에 자영업자들이 버티기 힘들어하지만(제 지인 2명도 임대료 때문에 장사 접었어요.) 일본은 도쿄 이런데 빼고는 권리금도 없고 임대료 인상도 거의 없대요.근데 작년 후반~올 초에 대대적인 임대료와 인권비 인상 이루워졌다고 하더라고요. 일본이 이번에 충격인게 주택이나 점포들 임대료 인상이 거의 없다시피하고 거의 바닥 권리금이라 장사하기 환경이 좋았대요. 심야금액을 받기로 한게 일본은 특이하게 물가와 연동되는 구조가 아니라서 임대료가 오르지 않지만 작년 후반기부터 주요도시 중점으로 10년만에 최고로 임대료가 오르면서 심야금액을 받기로 한거래요. 이건 시스템보면 한국은 부동산 시스템이 괴기하다는 외국인들말이 맞아요.임대료때문에 자영업자들 감당이 안되는거에요.우리나라는 작은 건물만이라도 가지면 진짜 신이죠.
@donghyeonkim9958
@donghyeonkim9958 Месяц назад
​@@user-xs4jf1ev3z 인건비도 문제지 뭐가 문제가 아님? 시급 1000원만 올라도 24시간 영업한다고 치면 24000원이 오르는거구만 한달로치면 얼마일까? 그리고 직원을 한명만 씀? 꼭 좌파들이 문재인 시급 과도하게 올린거 쉴드칠때 저 소리하더라.
@nemobin
@nemobin Месяц назад
인권비(x) 인건비.. 임대료가 문제라면 왜 야간에만 가격을 올리는지?
@user-oj9ex4vl2d
@user-oj9ex4vl2d Месяц назад
이성적으로는 맞지 근데 내돈나간다고 생각하면 반대하는거지 원래 인간은 이기적이니 어쩔수없지
@user-sz3bl1jr3y
@user-sz3bl1jr3y Месяц назад
맞는거임
@user-nm1ph1bz5p
@user-nm1ph1bz5p Месяц назад
마츠야 이런데서 주문해서 거의 일주일에 2~3번먹었는데 싼데는 다이유있다고 그냥 잡고기 볶은거 그냥 통에담아두고 주문나올때만 대펴서 파는거임 관광가면 한번먹으면 맛있지만 유학하거나 취업하면 그냥 배고파서먹는거 ㅋㅋㅋㅋ
@arc891005
@arc891005 Месяц назад
근데 야근인데 추가하는게 맞을지도...하긴 포괄임금제의 나라에서는 이해못할지도
@seungjunlee3792
@seungjunlee3792 Месяц назад
우리나라는 소비인구가 점점 줄어들고 있어서 심야 영업 안하는 추세인데 당장 지방에만 가도 밤에 문닫는 편의점 많음
@userganada
@userganada Месяц назад
지방얘기는 하는게 아닙니다 도시얘기지 ㅎㅎ
@seungjunlee3792
@seungjunlee3792 Месяц назад
@@userganada 쓸데없는 우월감 가지고 계신가? 지방얘기는 하면 안되는 법이라도 있나? 고령화 저출산이 지방만의 이야기인줄 아는가보네
@minpark3667
@minpark3667 Месяц назад
인건비 비싼나라 특히 북유럽 같은데는 점심 저녁 요금이 다름 똑같은 메뉴도 점심이 2만원이면 저녁은 3-4만원함
@empty_k8695
@empty_k8695 Месяц назад
스키야는 가성비가 좋아서 올려도 부담없음
@HumanIskitsune
@HumanIskitsune Месяц назад
현재 요시노야 도쿄에서 야간알바중인데 시급이 1500엔임 야간수당붙어서 스키야가 할증제 되고나서 요시노야 손님이 확실히 늘었음 여기서 일본 경제가 날로 안좋다고 하는데 그것도 아님 최근들어 해외 기업이 일본 투자도 늘고 인플레이션 임금상승도 되면서 정상경제 가는게 맞음 다만 달레 강세랑 엔저 현상 뜯어고치면 경제 재도약은 예견된거라고 함
@BurnningApple
@BurnningApple Месяц назад
참고로 저 스키야 라는 곳은 직원들을 말도 안되게 쥐어짜서..... 저가를 유지하는 집... 그런집도 가격올리는거보면 저기도 쉽지 않군요
@icn.1456
@icn.1456 Месяц назад
요시노야 마츠야 스키야.. 일본 워홀이나 유학다녀온사람들은 인정한다.. 300~400엔에 따듯하고 영양가 넘치는 규동 한그릇.. 진짜 맛있었습니다..
@nangyukan6628
@nangyukan6628 Месяц назад
마츠야만 가는데 며칠전에도 밥하기 귀찮아서 와이프랑 먹으러갔는데 점점 가격이 오르는게 보임
@tonyha4300
@tonyha4300 Месяц назад
심야 운영으로 심야에 가는 사람은 돈 더 내고 주간에 갈 때는 안 오른 가격으로 이용하는게 합리적이라고 봅니다 그 추가 비용 때문에 가격 자체가 오른거보다는 낫죠
@gsp_gamsung
@gsp_gamsung Месяц назад
심야에 원오페(1인근무) 돌리다가 문제 생기는걸 보면 차라리 할증 받고 알바생 더 고용하는게 나아보임
@user-je1jw3mw9i
@user-je1jw3mw9i 17 дней назад
규동 이야기는 적용 된지 꽤 된 이야기를 가지고 와서 풀고 있네
@azurite6789
@azurite6789 Месяц назад
심야요금 있을 수도 있지...우리나라에도 점심때, 저녁때 요금 다른 경우 많이 있지 않나...뷔페식은 기본이고
@ryu2687
@ryu2687 Месяц назад
사실 심야요금 상승 이론상은 맞긴한듯. 인건비가 오르는데 밤에 가게도 열어놔야하고 손님은 줄고 .
@tv-zb2hp
@tv-zb2hp 27 дней назад
기타 서비스업들이나 약국, 병원 진료비등 시간에 따른 차등을 두긴 하니, 음식점도 가능하다고 봅니다. 타당한 이유가 있다면 얼마든지 수용할 수 있겠죠
@sanyushkaryu
@sanyushkaryu Месяц назад
일본 임금 상승은 대부분 대기업만 하는 거잖음.. 압도적 다수의 중소기업 다니는 소비자들은 자기 임금은 안 올랐는데 물가만 비싸지는 거임 비슷한 구조인 우리나라도 남일이 아님
@user-nj8zh1je8s
@user-nj8zh1je8s Месяц назад
맞지 야간근로가 1.5배니 이런것도 심야요금 받는게 맞는듯함
@THkil-yn8kj
@THkil-yn8kj Месяц назад
밤에도 먹을수있다니!!
@kosmos4751
@kosmos4751 Месяц назад
극히 드물기는 하지만 배달 어플보면 심야에 추가 요금 받는 곳이 있음
@leemr3219
@leemr3219 Месяц назад
도쿄 일부 술집에선 22시 ~24시 이후부터 할증 10% 붙어요
@MwM0033
@MwM0033 Месяц назад
하타카역 스키야 자주갔는데 갑자기 규동땡기네 ㅋ
@user-lc6vs1xs3v
@user-lc6vs1xs3v Месяц назад
규동은 마츠야가 최고 후쿠시마산 수산물안쓰는 가게라하고 스키야는 후쿠시마수산물 쓴다는 풍문이 있던데 맛은 마츠야가 최고
@maso4153
@maso4153 Месяц назад
버거킹은 예전부터 했었던거 던데 인제는 다른곳도 심야요금 받는 쪽으로 넘어가나 보군요
@user-iz3bx3bn6l
@user-iz3bx3bn6l Месяц назад
야간에 할증료는 합당하다 생각
@user-js4wn3eo7w
@user-js4wn3eo7w 28 дней назад
가만 보면 어디든 고객의 관심과 품질을 올리기보다, 교묘하게 가격 조정하는 것들이 많음.
@EDKUN-Daydreamer
@EDKUN-Daydreamer Месяц назад
어쩔 수 없지 뭐...
@onyx2649
@onyx2649 Месяц назад
우리나라는 코로나 이후로 24시간 영업하는데 없을건데요...
@user-wf5tp2ly9h
@user-wf5tp2ly9h Месяц назад
인건비를 야간에 더 주는데 음식값도 심야 주말 할증 해도되는거 아님?
@user-le3ql5wu2g
@user-le3ql5wu2g Месяц назад
일본은 내국인 또는 외국인 전용 요금 도입도 검토중.... 관광객에 의한 외식 물가 상승 때문에...
@user-mj6ki8tt8b
@user-mj6ki8tt8b Месяц назад
그렇게 되면 일본도 제2의 제주도꼴이 날 수도 있겠네요. 일본가는게 그냥 깔끔하고 싸서 가는건데
@user-le3ql5wu2g
@user-le3ql5wu2g Месяц назад
@@user-mj6ki8tt8b 물론 전국적이 아니라 유명 관광지 위주로 추진 중이라고 하더라고요.
@user-qd8wd7pr2n
@user-qd8wd7pr2n Месяц назад
20년 전부터 체인식당(가스토).걔인식당 등에 있었습니다,
@maybrian1629
@maybrian1629 Месяц назад
사실 지금까지의 일본 물가가 너무 쌌어서 저래도 납득이 가긴 함 근데 그것도 또 내가 저기서 살고 있진 않아서 이리 쉽게 말하는 거겠지
@user-ee7zz6xe2h
@user-ee7zz6xe2h Месяц назад
오호라~ 그럼 국내도 곧 도입되겠군요!
@user-yj5gq8gx8z
@user-yj5gq8gx8z 27 дней назад
심야에 일하는 분들한테는 괜찬다 생각한다 근데 이걸 한국에 하면 배달앱들은 배달비 같이 눈치 봐가면서 존나 올리고 그돈은 직원한테 가는게 아니라 배달앱업체들이 더 배부르게 만들꺼 같은데
@user-lv1zw2ki4h
@user-lv1zw2ki4h Месяц назад
ㄱㅊ다 스키야 요시노야 마츠야는 진짜 상상외로 엄청싸다 그리고 일본은 원래 패밀리레스토랑10시인가9시부터 추가요금은 원래붙음10프로인가 법적으로되있는걸로알음
@user-lt2hu8lq2q
@user-lt2hu8lq2q 28 дней назад
요시노야는 후쿠시마 쌀 쓰는걸로 알려져있어서 안가는게 좋음
@user-rf3kx3rr9b
@user-rf3kx3rr9b Месяц назад
솔직히 지역마다 최저임금이 다른게 맞긴 한거 같아. 지역마다 경제가 다른데 어떻게 최저임금을 같게 할 수 있음? 최저임금을 다 같게 하면 얻는 장점이 뭔지 모르겠어
@Yangpa2
@Yangpa2 Месяц назад
제품 본가격을 올리기 힘드니 울며 겨자먹기로 저런식으로 심야요금 붙이는거지. 우리나라랑 마찬가지로 일본도 심야알바는 시급 자체가 높아지는데 가격반영을 하기 힘드니까 심야요금 받으면 다행이지 요새 맥도날드랑 패밀리 레스토랑은 이제 24시간 운영 안하는데가 태반임. 12시쯤 문닫음. 적어도 우리동네는 24시간 파미레스 차로 20~30분 이내 갈 수 있는곳은 한군데도 없음
@Juju-cx7jx
@Juju-cx7jx 16 дней назад
24시간인거 처음알았네요
@user-wh5gj7jt5z
@user-wh5gj7jt5z Месяц назад
인건비 때문에 우리나라는 24시 영업이 점점 사라지는데, 심야에도 식당에 가고 싶어 하는 사람들 한테나 조금 더 비싸지만 편해서 좋겠지
@Onto921
@Onto921 Месяц назад
근데 규동 가격보면 진짜 싸긴함.... 이가격이 가능한가 싶을정도
@YWNhaku
@YWNhaku Месяц назад
헉...심야요금! 할지 모르는데 규동 가격 보면 납득감ㅋㅋ 400엔 언저리임
@user-gc9wm2ud2b
@user-gc9wm2ud2b Месяц назад
인건비는 더 받으면서 돈은 안내고싶은 뭐 그런건가요?
@pokarelim281
@pokarelim281 Месяц назад
나쁘지 않네요. 모든것이 그렇듯이 처음에는 좀 반발이 있겠지만 곧 익숙해지겠지요.
@user-wd2ls3sj5u
@user-wd2ls3sj5u Месяц назад
비싸다 비싸다 하지만 물, 화잔실, 밑반찬, 자리세 , 심야요금 같은 없는 우리나라능 다 따져보면 저렴한 편임 일본인들도 가격만 보면 비싸다고 생각하는데 막상 양, 밑반찬 다른 추가적인 요금이 없으니까 막상 싸다싸다함 그런 점에서 한국인들이 일본 갔다와서 싸다고 하는거 보면 어이없긴 함 옛날에 비교하면 우리 물가가 많이 올라온 건 맞음
@user-zy6if9ij4c
@user-zy6if9ij4c Месяц назад
실제로 일본이 더 쌈. 편의점 식당 다 쌈. 식당, 이자카야 술값만 한국보다 좀 더 비싸지, 안주는 더 싸고
@HolickLuna
@HolickLuna Месяц назад
먹는것만 비교해도 일본이 싸긴 함. 인플레이션 대비 및 관리 잘하는게 일본 장점중에 하나임. 우리나라는 그걸 못해서 일본과 완전 역전됐음.
@dykim2412
@dykim2412 27 дней назад
밤 늦게 일하면 돈 더받는게 당연하죠. 실제 야간수당도 있고.
@user-jv7br7ee5r
@user-jv7br7ee5r Месяц назад
물가는 올라가는대 가격을 못올리까 저 방법이 등장했네 옛날에는 가격을 못 올리니 양을 줄여버리는 방법으로 했는대 지금은 어떤 방법도 보이지 않으니까 이방법으로 물가 대응을 한걸로 보이네요
@hongsidog
@hongsidog Месяц назад
월급은 그대로 물가는 상승 후..
@coreaTop
@coreaTop Месяц назад
우리나라는 아예 심야가 사라지고 있음. 돈없어서 사용안함
@user-wi5zw3rk1k
@user-wi5zw3rk1k Месяц назад
3:58 일본사무실 책상칸막이 없는거 실화냐
@user-jw2ll6oj6g
@user-jw2ll6oj6g Месяц назад
원래 야간인권비가 더 쎄긴함... 이해가 가는부분 우리나라도 곧 도입될듯한데...
@shin6276
@shin6276 25 дней назад
3:13 나고야…
@suddenly_what
@suddenly_what Месяц назад
미국에 얼토당토않게 포장하는거에 팁을 매긴다거나, 키오스크 뭐 무인점포에 심야요금 매기면 말이안되지만 이경우는 옳지. 2:58
@user-ib1so8wp5c
@user-ib1so8wp5c Месяц назад
뭐 야간 알바가 시급이 더 나가니....
@terter3394
@terter3394 Месяц назад
야근수당으로 인건비 더 드는 거라면 그럴 수도 있지 않나?
@sgm117
@sgm117 Месяц назад
놀러간다면 낮에 놀고 밤 10시 전에 들어가서 쉬든 2치 하면 될듯
@Outcurious
@Outcurious Месяц назад
2006년에 일본여행 처음 갔을때 규동 가격이 330엔 이었음. 부타동이 250엔인가 280엔 이었는데.. 18년 정도 지난 지금 마츠야의 규동 가격은 400엔. 심지어 소비세가 오른게 반영된거 까지 생각하면 심하게 안오르긴 한듯. 우리나라야 몇개월 상간으로 올라대니 별로 이제 감흥도 없지만 일본에선 특히 규동은 직장인들이 대부분의 주 고객인데 믿고있던 식당 가격이 오르면 좀 배신감 느낄거 같긴함. 물론 이것도 시간이 지나면 익숙해지겠지만.. 그래도 올리고 싶어도 올리기가 힘드니까 심야요금 형태로 수익보전을 하려고 하는거 같음.
@NewMoon777
@NewMoon777 Месяц назад
우리나라와 다른환경 심야수당 자체가 없음
@Silver_Bell.618
@Silver_Bell.618 Месяц назад
한국이랑 다르게 밤에 배달 시키는 곳이 없어서 밤에 배달식당들이 생길거 같음. 팁 ㅇㅈㄹ 하는거 보다 밤에 할증생기는 거는 이해함.
@user-jf1lu2kb1m
@user-jf1lu2kb1m Месяц назад
아따 입으로는 싫다면서 누구보다 좋아하는 조선이 이런거는 또 기가막히게 잘 따라하는디~ ㅋㅋ 걱정이다 증말~
@user-investing_life
@user-investing_life Месяц назад
애초에 가격이 저렴하니 이해가 되는데 우리나라는 마진 이빠이 남겨먹는 비싼음식들부터 적용될듯 ㅋㅋ
@user-pk4fo4gh7e
@user-pk4fo4gh7e Месяц назад
작년 오사카에서 알바하며 지냈었는데 최저시급이 1070엔이었음 근데 세금을 너무 많이 떼가서 남는 건 별로 없었다는;
@gjstn94
@gjstn94 Месяц назад
4:08 저임금, 고물가 시대 O
@user-ey4im5tf2e
@user-ey4im5tf2e Месяц назад
근데 우리나라도 야식집 같은거 돈 더 받으니까 괜찮은건가...?
@edwardkim3314
@edwardkim3314 Месяц назад
스키야 어차피 먹어서응원하자 참가 업체 아닌가? 요금올리던 말던 저기 갈일은 없을듯
@nsanto0082
@nsanto0082 Месяц назад
일본이 걱정 이냐 한국이 더 심란한데. 물가상승은 아시아 최고수준일듯하고 출산률 저하는 세계최고수준.
@user-cw5px2cm2t
@user-cw5px2cm2t Месяц назад
솔직히 야간 알바는 최저임금보다 1.5배? 더 받으니 저게 맞는거 같아요 우리나라 같은경우는 반발만 더 할듯
@MacaronCoffee
@MacaronCoffee Месяц назад
심야시간에 열어주는것만 해도 감사해야함
@zerocool4u86
@zerocool4u86 Месяц назад
후쿠시마 쌀을 사용하지 않는 마츠야가 최고. 가격이 올랐다지만 390엔에 규동+미소국 이면 개혜자지. 한국돈으로 3500원밖에 안 함
@allofmoney340
@allofmoney340 Месяц назад
지극히 정상. 배달로 시켜먹어도 심야할증이 있는데 매장은 뭐 말할것도 없을듯.
@ds1puu
@ds1puu Месяц назад
동대구역 앞 돼지국밥집은 야간조와 주간조 아주머니 분들의 양이 다름....
@KoreaTravelVlog
@KoreaTravelVlog Месяц назад
24시 할매국밥요? ㅋㅋㅋ 일 땜에 가끔 가는 데 국물 맛있더라구요...
@asmr3022
@asmr3022 Месяц назад
낮은 인건비와 원재료비로 누리던 혜택을 고물가와 높은 최저시급과 함께 누린다면 그거야말로 넌센스지
@power-ky3oi
@power-ky3oi Месяц назад
우리나라는 심야50프로 더주는데 25프로네
@cf7373
@cf7373 Месяц назад
이건 맞는듯… 야간에 일하는게 보통 일이아님… 더줘야함
@mirsonkang3518
@mirsonkang3518 Месяц назад
아무리 경제가 어렵다 해도 반찬도 추가 반찬 먹으려면 돈 내라부터 알아봤어야 미국의 팁문화 저리 가라네😅
@bonobonojeong7355
@bonobonojeong7355 Месяц назад
심야 알바가 25% 추가급여를 받는거면 당연히 심야할증요금을 받아야 되겠네요
@user-tc4yt1nf1k
@user-tc4yt1nf1k Месяц назад
24시간 주유소도 저녁엔 리터당 200원씩만 올리자
@moonragon8580
@moonragon8580 Месяц назад
디플레이션에 인플레이션이 겹쳤으니...
@COYS-xy5wc
@COYS-xy5wc Месяц назад
김밥천국에서 김밥 하나 라면 하나 시켰는데 만원이 나왔어요.. 고추 들어간 김밥 5천원 치즈 라면 5천원
@user-wi1xd6ug2r
@user-wi1xd6ug2r Месяц назад
이해됨
@user-ff1il3ur3c
@user-ff1il3ur3c 28 дней назад
가격을 봐라......... 가격상승해도 저렇게 저렴한데..
@fjdjddd429
@fjdjddd429 Месяц назад
400~500엔인데 양심적으로 심야요금 해야지
@kimdk154
@kimdk154 Месяц назад
최근이 아니라 원래 그런데 무슨...
@boramskyhan
@boramskyhan Месяц назад
인건비 총체적인걸 더하면 맞는 애기인데 진짜 우리나라도 저렇게하면 큰일나는데요 ㅡㅡ
@speedshangus
@speedshangus Месяц назад
스트롱철구 교수님ㅋㅋ
Далее
수수료가 절반? 휴게소 음식 비싼 이유
18:41
호주, 고양이와 전쟁 선포
21:49
Просмотров 1,1 млн
130-year-old teppanyaki udon restaurant in japan
2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