Тёмный

자연재해를 막는 아이언맨의 콘크리트 돔 주택? 도시건축 QnA 

셜록현준
Подписаться 1,3 млн
Просмотров 126 тыс.
50% 1

#건축 #도시 #주택
00:29 자재비는 떨어져도 공사비는 오른다?
02:39 서울의 주거와 상업공간이 분리되어 있는 이유
06:55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의 돔 주택
08:10 맥라렌 테크놀로지 센터

Опубликовано:

 

5 июл 2024

Поделиться:

Ссылка:

Скачать:

Готовим ссылку...

Добавить в:

Мой плейлист
Посмотреть позже
Комментарии : 123   
@user-qn2kx1hz1b
@user-qn2kx1hz1b 24 дня назад
1번 질문은 금리상승의 영향이 훨씬 클거 같습니다. 한국에선 대부분의 건설자금을 부동산PF로 조달하는데 이자가 높으면 건설비가 크게 오를수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khalid-9045
@khalid-9045 23 дня назад
금리, 달러, 수입 원자재 가격.... ㅠㅠ
@user-gg2pm8xv9z
@user-gg2pm8xv9z 22 дня назад
좆문가인가? 레미콘 값이 안올라? 돌았냐? 레미콘 빼고 다 떨어졌는데, 레미콘이 올려치기해서 공사비 안떨어지는거야....
@hahaha980
@hahaha980 22 дня назад
건설사가 책임지는 자기자본이 3프로에 불과서해 타국 40프로에비해 금리인상비용이 더 많을수밖에 없음. 법을바꿔야함 40프로에 점진적으로 맞춰지도록
@mikimiki2838
@mikimiki2838 22 дня назад
​@@hahaha980와 3%면 레버리지 33배짜리 사업을 하는거네요
@user-io3ro7tc2f
@user-io3ro7tc2f 21 день назад
인건비 상승이 가장 크지요. 일반 주택은 표준화 모듈화 공법이 갈수록 강세를 보일 것으로 생각합니다. 옛날 자동차는 정말 볼트너트부터 조립해 나갔다면, 지금은 모듈화된 부품을 조립하면서 자동화하듯이. 건축도 그렇게 되지 않을까요? 현재는 1.3배정도 건축비용이 들어간다는데, 규모화가 되고 자동화가 되면 뛰어 넘을 것이라고 예상합니다.
@user-ww5qp5bk9z
@user-ww5qp5bk9z 24 дня назад
1:20 안전을 중시한다면서 정작 하자투성이 건물을 만드는 건설업계ㅎㅎ 4:45 원하는 사람은 보통 그 집이 내집이 아닌사람. 반대하는 사람은 그 집이 내집인 사람이겠죠. 아무리 관리를 잘해도 음식집에 냄새 소음 벌레는... 해결이 안됩니다.
@5hrigin
@5hrigin 24 дня назад
하자는 기술자의 대부분이 외노자로 대체되어 그렇습니다. 우리나라 청년들 전부 대학 나와서 고급인재랍시고 저런 몸쓰는 일들 아무도 안 하려고 하죠? 한국 청년들은 안할려고하니 건설업자는 노동자들을 해외에서 당겨와야 합니다. 그들이 아무리 일을 못해도 누군가는 해야하니깐. 일 할 사람이 없어서 어쩔 수 없이 사용합니다. ㅋㅋㅋㅋㅋ 그냥 나라가 망한거죠. 이제는 출산률까지 제로에 가까워서 한국 국적의 일꾼이 더는 창출되지 않는 상황이라 외노자 인건비도 ㅈㄴ게 오릅니다. 하자가 건설업계 때문에 발생한다는 순진한 생각이 그저 웃겨서 댓글 달아봅니다. 우리가 어릴 적부터 들어온 말이 뭔지 아십니까? 공부 안하면(몸쓰는 일을 하시는 분들을 가리키며) 커서 저런 일이나 한다?
@hl3095
@hl3095 24 дня назад
정권이 삼부토건이랑 친하잖아 아파트 하자도 봐주고 재건축비도 우리나라만 오를 수 있는거지 한잔해
@user-ww5qp5bk9z
@user-ww5qp5bk9z 24 дня назад
@@hl3095 꼭 이번정부만 그런건 아님. 그냥 양쪽이 골고루 유착관계겠죠. 정계+은행+건설사 화려한 PF로~
@hl3095
@hl3095 24 дня назад
@@user-ww5qp5bk9z ㅇㅇ 야당도 연결된 사쿠라들 많을듯 이런상황이라도 어디가 그나마(?) 청렴한지 통찰헤야 하는 입장이지 그나마 나은쪽으로 조금씩 조금씩이나마 나아가야하니까
@user-ww5qp5bk9z
@user-ww5qp5bk9z 24 дня назад
@@hl3095 어디가 청렴한지보단 누가 청렴한지 누가 일을 잘하는지 봐야할거같습니다. 사실 싹다 밀수있다면 다 밀어버리고 리셋시켜버리는게 제일 좋긴하지만요
@user-tj1ug9ik6f
@user-tj1ug9ik6f 24 дня назад
자율주행도로편 기대하고 있겠습니다 😊
@qoop_w
@qoop_w 24 дня назад
안전과 노동을 중시하지만 점점 부실공사가 늘어나는듯한 느낌은 .. 어쩔 수 없네요..ㅠ
@user-zg4xn3fw1l
@user-zg4xn3fw1l 23 дня назад
늘어 나는게 아니라 점점 발각이. 많이 되는거지요
@yosulHD
@yosulHD 22 дня назад
시스템/법만 바뀌고 사람은 그대로라서..
@user-io3ro7tc2f
@user-io3ro7tc2f 21 день назад
기술업, 노동업은 멈춰있으면 그냥 유지가 아니라 퇴보합니다. 숙련노동자의 노하우가 전수되고 있지 않는 것이 현실이지요. 좀 다른 사례지만, 의대정원 늘린다고 혼란상태인데, 5년쯤 지나면 분명히 진료시간은 길게 보는데, 병도 낫지 않고, 진단도 되지 않는 경험을 하게 될 겁니다. 그 외에도 조선업의 수많은 숙련노동자들이 구조조정 때 생계가 막막해지도록 조선소를 떠나갔지만 다시 사람을 뽑을려고 해도 인력을 구할 수가 없습니다. 현장의 위험을 재평가했고, 이미 구조조정으로 인구가 줄어드는 지역에 사람들이 갈 이유가 없고, 규정을 지켜가며 일해도 에러는 발생하는데, 노하우 부족으로 더 위험해졌으니까요.
@user-wh8kn5lc7u
@user-wh8kn5lc7u 16 дней назад
아이언맨 돔 댓글에 답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동아리 시간에 큰 도움이 됬어요!! 감사합니다!!
@유튜브잘하고싶어요
@유튜브잘하고싶어요 23 дня назад
대한민국에 정말 똑똑한 사람이 많은 것 같아요 설명 되게 잘하시네요
@nh180g-ss3vp
@nh180g-ss3vp 24 дня назад
뼈속까지 문과인데 오히려 그래서 이 채널에서 인사이트를 얻을 때가 많습니다. 감사합니다!
@hey__you
@hey__you 24 дня назад
사회과학 같은데 문과계열 아닌가용
@UZUGROOVE
@UZUGROOVE 24 дня назад
@@hey__you복합이죠 건축은
@HeraKang-st5dr
@HeraKang-st5dr 24 дня назад
참으로 유익하고 즐거운 시간이었어요 ~~^^👍 셔츠도 멋스럽게 보여서 잘 어울리세요~~~^^ 🤗👏👍
@green_dollar_sign
@green_dollar_sign 24 дня назад
마지막 질문에서 개인적으로 한가지 깨달음이 있네요. 건축도 결국 "문제 인식-해결책-구체화" 라는 일련의 과정에서 구체화부분만 제외한다면 프로그래밍, 글쓰기, 과학적 탐구, 심지어 문제풀이 등과 유사점을 보이는게 신기합니다. 이런관점에서 건축을 본다는것은 건축 분야 뿐이 아니라 다른 분야로 확장될 좋은 소스들을 경험하는것으로 해석할 수도 있겠습니다
@user-eg2xw2mm4j
@user-eg2xw2mm4j 24 дня назад
초고층 빌딩 철거에 대해서도 한번 다뤄주세요
@hayeonkim7838
@hayeonkim7838 24 дня назад
오늘도 언제나처럼 어김없이 정말 유익하고 흥미로운 영상 많이 감사합니다 ㅎㅎ
@Harnan75
@Harnan75 16 дней назад
매번 느끼는 점이지만 교수님은 목소리가 참 듣기 편안한 안정적인 목소리인 것 같다는 생각이.. 교수님의 관점 잘 보고 갑니다 굿굿
@user-hd2gs3ze5m
@user-hd2gs3ze5m 24 дня назад
한국 사람들이 유독 음식 냄새랑 소음에 민감해서 주상복합애 거부감이 있는 것 같기도 하네요. 오래전부터 1가구 1주택에 아궁이를 분리해서 써서 그런가 싶기도 하고요…
@5분책방
@5분책방 24 дня назад
답변이 정말 다 명쾌하시네요! 궁금증 해결 한방에 쏵😮
@user-rc3wk6ps6z
@user-rc3wk6ps6z 24 дня назад
인정인정
@user-st2lr5cj1g
@user-st2lr5cj1g 24 дня назад
교수님 말솜씨 너무 부러워요
@hahaha980
@hahaha980 22 дня назад
건설사가 책임지는 자기자본이 3프로에 불과서해 타국 40프로에비해 금리인상비용이 더 많을수밖에 없음. 그게 소비자한테 전가되는거고 법을바꿔야함 40프로에 점진적으로 맞춰지도록
@user-to8sl4nf9p
@user-to8sl4nf9p 23 дня назад
안전들 하는 업무 대부분이 사고를 방지하기보다는 사고났을때 면피하기위한 일들이 대부분인것같음. 안전 핑계로 공사지연에 공사비용은 올라가지만, 정작 정말 안전하게 현장이 바뀌는지는 잘 모르겠음.
@wasun3419
@wasun3419 22 дня назад
역시 재미있고 알기쉽게 설명해주시는 교수님 감사합니다! 홍콩과 서울의 이야기가 나오는 질문에선 요즘 읽고있는 황두진 건축가의 책 ’가장 도시적인 삶‘과 맞닿은 얘기가 나와서 더 흥미로웠습니다! 날이 습하고 덥지만 시원한 곳에서 유익한 영상을 보니 이게 피서구나 싶네요😃
@odinban2146
@odinban2146 24 дня назад
근데 원자재값 핑계는 소주출고가 올랐다고 식당에서 거기에 인건비까지해서 소주값 팍팍 올리는거랑 같지않나요.. 국민이 가만히 있으니 후려치는거죠...
@Kim-ny9nv
@Kim-ny9nv 24 дня назад
QNA도 너무 흥미로운 채널 ㄹㅇㅋㅋ
@user-sj9ne2iu7q
@user-sj9ne2iu7q 24 дня назад
교수님이 꿈꾸시는 이상적인 유토피아 건축은 어떤것인지 궁금합니다!
@user-uq6oe4lr6z
@user-uq6oe4lr6z 24 дня назад
2:56 한국도 몇몇 지하철 역은 바로 아파트로 갈 수 있는 역이 있긴 함.. 4:14 한국에서 원룸/오피스텔 1층에 식당 있으면 무조건 걸러라!! 아주 높은 확률로 집에 바퀴가 돌아다닐거임... 냄새 정도의 문제가 아님..
@vnfma7
@vnfma7 24 дня назад
지방에서 왔다갔다할때 자율주행 전용도로를 만들어야한다고 하셨는데, 저는 반대인게 자율주행 기술의 진보 속도가 그 인프라를 건설하고 사용하면 오랜 시간동안 이 기술이 정체되어있어야한다는 가정이 필요합니다. 자율주행 전용도로를 따로 빼야한다고 생각하시는건 자율주행 차가 일반 차들과 도로에서 섞였을때 그 리스크가 있다고 생각하셔서 그런거같은데 자율주행 차들은 점진적으로 늘어날거고 그 기술진보도 빨라서 이미 고밀도 대도시들에 적용을 고려할정도로 발달하고있죠 물론 고밀도 도로일수록 인간의 막무가내 운전과 결합해 무수히 많은 변수를 생성해내니까 아무리 빠르게 E2E로 학습해도 그 변수들을 다 처리할수없다는 문제가있지만 관건은 결국 신뢰 문제입니다. 가까운 미래엔 이 위험한 운전을 사람이 직접했다고? 하고 놀라는 운전문화가 될거라 확신합니다. 이미 사람보다 더 안전한 기술은 나왔고 그게 10배더 안전해야하는지, 100배더 안전해야하는지 어디까지 안전해져야 사람들이 받아들일지의 문제일뿐이라서요 인간의 운전보다 100배정도만 더 안전해지면, 사고가 적게나고 책임도 기업이 질수있을겁니다. 같은 사고였을때도 사람이 크게 다치거나 사망하는 사고는 훨씬 더 많이 줄어들거고 사람들이 빠르게 받아들이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당장 자율주행이 활성화되면 사람들이 차를 소유하고 주차할 필요가없이 내가 호출한 위치로 바로 오고 내가 필요한 목적지 바로 앞으로 내려주니까 차량 소유의 문화도 바뀔거고 주차공간에 필요한 소요도 줄어들거고 도시구조에 있어서도 큰 변화가 필요하지 않나싶네요
@junmyungpark2074
@junmyungpark2074 24 дня назад
건축과93학번인데 학교다닐땐 디자인할때 컨셉잡구 매스스터디후에 프로그램을 만든 형태에 집어넣은 방식으로 배웠는데 실제로는 프로그램이 가장 중요한데 그건 졸업후에나 알게 되더라구요 ~. 형태는 기능을 따르면 좋은데 학교다닐땐 일단 형태가 이뻐야한다고 배우다보니 그런거같네요.
@user-pk6sw9cf4d
@user-pk6sw9cf4d 24 дня назад
어제 경제신문보니 레미콘 재료비는 폭락했지만 요즘 건설 수요가 너무 안좋아서 가격을 내릴 수가 없다네요
@user-hn1ex8in8k
@user-hn1ex8in8k 24 дня назад
1번 질문의 답은 금리때문입니다 다른 나라는 대기업에서 자기자본비율 30퍼센트 정도로 시작하는데 유독 한국은 3퍼센트도 안 되는 돈으로 나머진 다 빌려서 진행되는데 금리가 오르니 부담이 큰거도 PF가 터지네마네 하는거예요 왜 그럴까요? 그래야 허가만 내주면 해먹기 좋으니까요 ㅋ
@user-gu9yn5wz9q
@user-gu9yn5wz9q 24 дня назад
여기에 기름 붓는격인 사전청약제도..피해는 오롯이 국민들 몫. 전세사기도 문제 정말 너무 많은데 전세제도폐지도 정말 논의해봤음 하고 문제많은 임대차3 법.. 어질어질 하네요 정말
@12sg65
@12sg65 23 дня назад
자기자본비용은 타인자본비용보다 더 비쌉니다. 자기자본을 더 태울수록 요구수익률은 더 비싸져서 분양가도 더 비싸야해요. 그리고 세계 어디에도 건설사업에 자기자본 수십퍼센트 태우는 선진국은 없습니다. 보통 금융이 발달하지 않은 저개발국가에서 어쩔수없이 그렇게하죠
@TV-tv1nr
@TV-tv1nr 23 дня назад
1번 대답은 건설사가 더 남겨먹기 위해서입니다. 그게 심하면 지하주차장 붕괴 같은 일이 벌어지는거고요...
@user-ow2zw2gv9d
@user-ow2zw2gv9d 23 дня назад
질문에 대한 정확한 해석과 해결점을 짚어 주시는 교수님의 지혜와 지식에 경의를 표합니다.
@yoongrl475
@yoongrl475 23 дня назад
인건비가 상승하면 그에 따른 건축물 퀄리티도 올라야하는데 요근래 아파트들은 왜 그렇게 아프고 어디가 비어있고..😂
@user-gz5iu7gz3n
@user-gz5iu7gz3n 24 дня назад
맞아요... 인건비의 상승으로 건축비가 올라갈수밖에 없습니다.
@200223101
@200223101 22 дня назад
인건비가 오르니 싼 값에 기술 없는 외노자를 쓸 수 밖에 없고 외노자라 의사소통도 잘 안 되니 현장관리는 엉망진창 악순환의 반복 ㅋ
@loveisalllll
@loveisalllll 24 дня назад
마지막 답변은 'Form Follows Function' 이란 말이 절로 생각나네요
@hoffelmond2247
@hoffelmond2247 23 дня назад
주상복합에 대해 인식이 좋지 않은 것은 한국에서 HVAC 같은 공조 시스템이 뒤떨어지기 때문 아닌가 합니다. 집합건물에 강제 환기가 의무화 된게 아직 30년이 안되었고, 많은 건물들이 아직도 창을 열어야 환기가 되는 상태다 보니 방음에 취약하죠. 주상 복합이어도 상가와 주거 사이를 필로티로 띄우는 공간적 접근도 가능하고, 음식점 환기구를 외부가 아니라 내부 굴뚝으로 연결하게 설계할 수도 있고, 아직 시장에서 이런 가치를 인식하지 않으니 건축주들이 굳이 신경을 안쓰는듯 합니다
@rolls_c
@rolls_c 23 дня назад
갑자기 궁금한게 생겼는데 저희가 모르는 한국의 과거의 건축가가 있을까요? 대표적으로 경복궁이나 성, 또 한양의 도시를 기획 했던 사람이요. 지금 생각하보니까 그런 것들을 대체적으로 왕이 설계를 했을까 하고 하지만 또 다른 흥미로운 이야기를 듣고 싶어요!
@user-bae-----bae
@user-bae-----bae 17 дней назад
문재인정부때 안전과 친환경관련 법을강화했고 한편으로는 좋아진부분도 있지만 예전에도 있던법에 옥상옥개념으로 비용이 많이 늘어난부분도 있습니다. 그러다보니 건설업체입장에서는 보이는부분은 별차이없는데 부대비용이 거의 30%이상 늘어났죠
@martha3521
@martha3521 11 дней назад
맞습니다 비요미 정확해졌어요 40년전 저의 친정 집짓는 건설할 때는 인부들이 아침 일찍 부터 일을 한다고 인찍 감독 나가시는 모습 보았는데 요즘 은 시간 딱 지켜 8시간이상 안합니다 안전문제비용도 몇배는 늘었다고 봅니다 궁금한건 옛날 지은빌라들 50년씩 도 사용하는데 요즘 기술도 좋아졌을텐데 대형건설사가 아파트건물 꺽어지는걸 보면 갸우둥
@zaldos-z5i
@zaldos-z5i 23 дня назад
1:20 말 같지도 않은 거짓말을 하네요. 건설업계에서 일하고 있는 사람으로서 그 래미콘 사장님하고 얘기를 해보고 싶군요. 진심으로 그렇게 생각하느냐고.
@user-ix6gj4yu7f
@user-ix6gj4yu7f 23 дня назад
체육교사입니다. 올림픽을 앞두고 스타디움에 대해 이야기를 들려주셨으면 합니다. 개인적으로 선수촌처럼 사후에 어떻게 설계 계획하고 활용됐는지 궁금합니다.
@romantic_tiger7
@romantic_tiger7 15 дней назад
홍콩이 좋아 보인다니..... 성향 차이 같네요! 저는 주거지 즉 집과 일터 쇼핑은 분리가 되어야 집이란 공간이 휴식공간이며 안전한 공간으로 인지된다 생각 합니다. 그래서 저에게 복잡한 홍콩은 단순한 소비도시 입니다. 또한 홍콩에서 제가 원하는 주거 공간은 어마오마한 부자만 가능 합니다. 즉 홍콩서 사는 사람도 주거지는 안전하고 조용하고 편안한 공간을 꿈꾸지만 돈이 없어 그러지 못하기에 서울보다 살기에는 나쁘다 생각 합니다.
@ji__ee8975
@ji__ee8975 24 дня назад
상업건물 1개 옆에 주거공간 한개~ 아니면... 아파트단지옆에 상업공간있고....ㅎㅎㅎ 그럼좋겠는데 말이죠....ㅎㅎ
@ISOY-nq9sl
@ISOY-nq9sl 24 дня назад
오늘도 일용할 양식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교수님
@cyprincipe
@cyprincipe 24 дня назад
교수님께서는 공간과 인간의 문제에 대한 관심이 많으신 것 같아, 저도 질문을 하나 드려볼까 합니다. 대한민국은 현재 출산율이 낮아 국가소멸까지 거론이 되는 정도인데, 이 낮은 출산율이 현재 사람들이 주로 거주하는 도시의 거주공간 면적과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접해, 이에 대해 교수님의 고견을 여쭤보고 싶습니다. 1960년대 본격적인 이촌향도와 국가 주도의 가족계획이 실시되기전까지는, 농촌지역의 출산율이 높았고, 그래도 별 문제되는 경우가 별로 없었는데, 당시 농촌지역은 거주공간으로 삼을만한 토지가 비교적 저렴하고 여유공간이 충분했기 때문에, 아이가 많아 출생한다 하더라고 그 보육, 성장 공간과 공동육아 체제가 부족하지 않게 제공되었기 때문이라고 분석할 수 있을까요? 하지만, 그 당시에도 서울을 비롯한 도시의 출산율은 농촌지역에 비해 낮았는데, 집값을 비롯한 거주비용이 높아 아이들을 제한없이 낳는다는 것 자체가 어려웠고, 그렇게 하는 가정은 그만큼 인구과밀에 따른 불편함이 배가되었기 때문에, 그러한 심리적, 경제적인 요인이 작용하여 도시의 출산율은 항상 농촌보다는 낮았던 것일까요? 다시, 현재로 돌아와서, 지금은 대부분의 국민들이 도시에 살고 있으며, 위에 말한 원인으로 도시에 넉넉한 거주공간을 마련하고 아이를 낳아 기르는 것은 상당한 심리적, 경제적 부담이 되기에, 이러한 요인이 출산율을 낮추는데 어느 정도로 작용을 하고 있을지, 교수님께서 건축적인 시각에서 이 문제를 살펴보시고, 이를 다소나마 해소할 방도를 제시해 주실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답변이 가능하시다면, 다음번 QNA나 디른 주제의 방송에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Rudy-ip4je
@Rudy-ip4je 23 дня назад
안녕하십니까 교수님~ 양질의 영상에 항상 진심으로 감사한 마음으로 시청하고 있습니다. 기후변화 관련 교수님의 생각이 궁금합니다. 최근 지구 온난화에 의해 빙하가 빠르게 녹고 있다는 뉴스들을 접합니다. 이로 인해 해수면이 상승되고 바닷물이 차올라 육지가 줄어드는 현상이 미국 인도네시아 등 다른 나라에서 목격되곤 하는데요 (바닷가 근처에 집을 지었는데 집이 반쯤 잠겨버리는 상황) 이러한 변화가 미래에 어떤 상황을 초래할 수도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인데 이런 부분에 대해서 대비가 되어있는가요? 인천의 청라나 송도 같은 경우 매립을 통해 지어진 도시로 알고 있는데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피해를 볼 수 있는 지역이 아닐까요?
@lasercho4338
@lasercho4338 24 дня назад
한 5년 전에 이슈였던 [건산법 개정안-건자재 원산지 표시제] 어떻게 생각하세요?
@dlrjswo777
@dlrjswo777 22 дня назад
UP영화 모티브가 된 주택건축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싶어요
@user-rx7co3re2o
@user-rx7co3re2o 24 дня назад
돔형태로 집을 만들때 왜 단층만 되나요? 지하로 팔 수 있지 않나요? 제가 단층이라는 말의 의미를 잘 모르는걸까요?
@Gotuber126
@Gotuber126 24 дня назад
정확히는 제조업 중심 국가라 자동차 산업이 안 클수가 없는듯 사실 직주근접이 잘되는 편인 유럽이 전 세계에서 차 산업이 제일 큰 편인데
@Korea_MongDol
@Korea_MongDol 6 дней назад
우리나라의 수도를 다른 지역으로 옮긴다면 어떤지 궁금합니다! 2트!
@user-gu9yn5wz9q
@user-gu9yn5wz9q 24 дня назад
자율주행차 제발 하루빨리 현실화 됐음 합니다. 며칠전 고령운전자 사고로 아홉명이 목숨을 잃는사고가 난 후에도 하루가 머다하고 비슷한 사고가 계속 이어지고있는게 정말 불안합니다.
@user-kw4tl5ni8h
@user-kw4tl5ni8h 24 дня назад
남겨 먹는게 너무 많은 것 같아요. 인건비 문제다? 맞는 말이지만...
@Ruy_Lopez
@Ruy_Lopez 24 дня назад
아자부다이힐즈도 입체적으로 설계한 경우에 해당하겠네요 앞으로 한국도 도시 전체가 입체적인 공간이 되어야 효율이 높아질 수 있을 것 같습니다
@sjwjwj2jje
@sjwjwj2jje 22 дня назад
마지막 답변에 랄부를 탁! 칩니다ㄷㄷ
@roks0308
@roks0308 17 дней назад
안전 노동 규제는 다지키라면서 가격은 오르지 않기를 바라는 욕심
@user-ug9js9tr2c
@user-ug9js9tr2c 24 дня назад
인건비 상승은 지난 개발독재시대 부터 노동자를 최소한의 대우도 안해주고 비정상적인 노동조건, 대우로 후려치면서 가격경쟁력을 가져 온 것이 원인이겠죠. 이제 그걸 정상 수준으로 끌어올리려니 그 갭차이 때문에 기업 입장에서는 인건비 압박이 몇배로 클수밖예요.
@jiugchung7635
@jiugchung7635 24 дня назад
본인 월급은 올려달라고 불평하면서 자기가 사는 물건에 값 인상에 대해서는 이해를 안하죠.. 건설현장 사고나면 득달같이 달려들어서 비난세례를 퍼부으며 중처법 같은 벼룩잡다 초가삼간 태울것 같은 무분별한 입법을 부축여 과거에 지었던 똑같은건물을 같은비용으로는 꿈도 못 꾸게 되고있는거죠.. 선진국으로가는 성장통이라고 생각합니다 ..
@p201moondust
@p201moondust 15 дней назад
사람 갈아 넣어 싸게 지으면 뭐 합니까?
@user-km5xv9bk4f
@user-km5xv9bk4f 24 дня назад
미래건축 좀 소개해주세요 하이테크로 신기술로
@jaewooshin7986
@jaewooshin7986 22 дня назад
교수님께 질문하고 싶은데 어디에 적어야 하는지요? 아무 댓글부분에 달면 되는 것인지 아니면 질문용 게시판이 있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user-nb4zn7oi2e
@user-nb4zn7oi2e 24 дня назад
대프리카의 더위를 극복할 만한 교수님의 방법이 있나요?
@knownun5030
@knownun5030 22 дня назад
주거와 상업시설이 분리되도 배달문화가 있으니까 괞찮지 않을까요?
@user-be2qk2ne6k
@user-be2qk2ne6k 20 дней назад
미국 건축 재료는 원래 비싸요. 코라나19 전일지라도 비쌉니다.
@user-op9yo1yk8i
@user-op9yo1yk8i 21 день назад
안녕하세요 저도 장사 하면서. 평균적 인건비 노조연합 법적용 일. 2~3시간에 마무될 일을 하루 종일 시키는 일만 ... 🙏 차라리 월급 받으며 일하는게. 좋다라는. 노조연합 나라발전에 족쇄 퇴보 조율합시다
@lillyholy6261
@lillyholy6261 22 дня назад
5:10 미국은 땅이 크죠. 그런곳의 규칙을 한국같은 작은곳에 대면 잘 될리가
@danielkang4545
@danielkang4545 24 дня назад
다큐온 프로그램서봤는데 패시브하우스에 대해서도 다뤄주심 감사하겠습니다!😊
@kimhae79
@kimhae79 22 дня назад
세금으로 부동산 pf설거지한다고 달러오름 > 수입자재값 상승 ㅇㅇ + 땅값 개거품. 부동산 주도성장의 말로지뭐. 인건비? ㅋㅋ 물가에 비해서 아직도 싸다.
@user-ku9nf7cg2j
@user-ku9nf7cg2j 24 дня назад
우리 사회가 얼마나 근로자를 쥐어짜고 안전을 무시해가며 건축을 해왔는지 보여주네요. 태종대 가는 해안도로에 이 길은 무슨 공병대가 공사했고 공사하면서 **명이 죽었네 하는 추모비가 있었어요. 이게 정상화되려 하니 비용은 계속 올라가야하고
@user-hu4sj5zd1i
@user-hu4sj5zd1i 24 дня назад
이해안되는게 지방에 84 6억~ 재건축 6억 하는게 당연하지 않나요
@grx1988
@grx1988 23 дня назад
엥? 땅은요?ㅋㅋㅋ
@user-nd4ku2ed7q
@user-nd4ku2ed7q 24 дня назад
건설비는 무진장 오르고 건설노동자들 처우도 무지 좋아졌는데 정작 외국인 노동자들 득세에 완성된 건물들은 온갖 부실덩어리들....
@BADA_ra
@BADA_ra 22 дня назад
10:08 설계과정..매스스터디
@seowonwoo612
@seowonwoo612 24 дня назад
자재를 생산하게 하는 원재료는 떨어지고 있는데 공사 단가가 계속 오르는 이유는 인건비가 제일 큽니다.
@hl3095
@hl3095 24 дня назад
지킬거 다 지켜서 인건비가 늘었는데 왜 아파트들 하자가 갈수록 심해질까요?
@user-gu9yn5wz9q
@user-gu9yn5wz9q 24 дня назад
분양가 상한제 때문이 아닐까요? 거기다 하청에하청을주는 산업구조랑 그 실무자들은 또 다 죄다 외국인... 들리는 말로는 요샌 중국인들은 고급인력이라고 하던데요 동남아쪽 외노자들은 더 책임감 없이 일한다고요
@kim-present
@kim-present 24 дня назад
0:29 뒤에 퇴근하시남 ?
@ijjijjijjijjijjijjijj
@ijjijjijjijjijjijjijj 23 дня назад
감사합니다.
@somblanket
@somblanket 24 дня назад
맥라렌? 노리스 처럼 달려와야지
@sund8569
@sund8569 22 дня назад
모든 주거시설 아래층에 상점화 하면 '녹지/공원/놀이터/휴식공간' 포기 하라는거죠.....; 그것이 아무리 보행 친화적이라고 말할 순 있어도, 절대 주거 친화적이지 못하다고 생각합니다.
@user-ww8cp3kq6r
@user-ww8cp3kq6r 23 дня назад
우리나라 주상복합은 가격이 떨어지게 되어 있습니다! 당신이 주상복합 사고 나서 집값이 20%30%계속 빠지는데 살기편하다고 계속 사시겟어요???
@raphaza
@raphaza 24 дня назад
돈내고 봐야할거 같다ㅋㅋ
@user-tu3dz8dl7k
@user-tu3dz8dl7k 24 дня назад
배기범 닮았어요
@Aldehydic
@Aldehydic 23 дня назад
너무알차요
@vnfma7
@vnfma7 24 дня назад
한국의 주택문화는 내로남불 꿀빨려고 사람 막쓰고 빨리빨리 표준으로 최적화된 구조여서 조금씩 그 문화를 개선하려고 할때마다 많은 비용이 체감됨
@user-lg9gh8rr4o
@user-lg9gh8rr4o 24 дня назад
1
@mihailson6894
@mihailson6894 22 дня назад
1번 질문은 너무 순수하다ㅋㅋ... 전세계 그 어디도 부동산PF로 이만큼 퍼주는 나라 없음 금리가 오르면 그만큼의 비용을 소비자한테 다 떠넘기는거임 이걸 대놓고 말 못하니 건설자재가 어쩌고ㅋㅋ
@user-gb2dp6sr2k
@user-gb2dp6sr2k 24 дня назад
탁재훈 닮으셨다..
@sound9577
@sound9577 24 дня назад
와 1분 전
@Sffhjjngtggb
@Sffhjjngtggb 24 дня назад
나메이크성이네 ㅋ
@yujoeingan
@yujoeingan 24 дня назад
1:18 안전을 중요시한다 = 철근을 설계대로 넣는다 인가요?
@user-qp3cb5gu9t
@user-qp3cb5gu9t 24 дня назад
분양팔이 김칫국 때문이죠 2억짜리를 10억에 팝니다 ㅋㅋㅋㅋ
@sgjludk
@sgjludk 22 дня назад
04:40 아 저도 주상복합 사는데 음식점 있으면 담배가 진짜 빡칩니다. 건물 입구 앞에서 담배피고 바닥에 다 버리고 가요. 그리고 제가 홍대 앞에서는 담배연기때매 빡쳤던적이 없었던지라 생각해보니 네모나고 큰 주상복합 줄줄이 있는 사람들이 숨을 곳이 없으니까 걍 길에서 피더라고요. 홍대처럼 건물 복잡한 곳이면 알아서들 골목 구석 들어가서 숨어피는데. 교수님은 길빵 방지 방안에 대한 아이디어가 있으신지 궁금합니다
@user-hc5mf7yo3z
@user-hc5mf7yo3z 24 дня назад
첫번째 질문은 이 질문하고 비슷하다.. 제 차가격은 계속 기하학 적으로 떨어지는데.. 왜 제가 차를 살 땐 중고차든.. 새차든 이렇게 비싼 가요?:
@user-zd7ve2xd7c
@user-zd7ve2xd7c 23 дня назад
두번째 질문은 좋은 질문이 아니라 그냥 경쟁사회에서 비교질이나 당하는 삶을 살던 사람이 대충 당일치기 해외여행 처음 가보고 그동네 대충 둘러 보고서 막연한 사대주의에 빠져서 자기 인생처럼 비교질이나 하면서 우열 제단질하는 멍청한 질문같네요. 심지어 더 낫다고 생각하는 동네가 불빛과 소음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장난없는 홍콩이라는건 뭐 숙박조차 못해봤나?
@daveu6999
@daveu6999 22 дня назад
시방서를 보면 건축자재부분이 비싼게 맞는데 안전등 인건비 명목은 핑계인듯 하네요
@user-ey8gs4ku3w
@user-ey8gs4ku3w 22 дня назад
인건비가 올라서 건축비가 비싸다는건ㄷ 개소리고 중장비 업체가 강력한 조합 노조로 가격을 동결하고 그 이하로는 떨어뜨리지 않음 레미콘 덤프 크레인 한번에 얼마인줄아나?ㅋㅋㅋㅋㅋㅋ
@user-op9yo1yk8i
@user-op9yo1yk8i 21 день назад
결국엔 노조연합 기득권 으로
@user-ey8gs4ku3w
@user-ey8gs4ku3w 22 дня назад
최저 임금은 폐지가 답임
@user-ru3xm8pj6e
@user-ru3xm8pj6e 22 дня назад
회장넘 손절하셔야할듯. 죄다 핑계 헛소리네.
@gone2island819
@gone2island819 24 дня назад
인고비 정말 크죠. 근데 그 비싼 돈 주는데 현장 애들 실력은 바닥입니다. ㅎㅎㅎ
@grx1988
@grx1988 23 дня назад
건축비 바닥수준인데 정상적인집 원하는게 현실감각 없는겁니다;;;
Далее
#kikakim
00:31
Просмотров 8 млн
세계무역센터의 붕괴 | 완벽한 물리학
17:24
건축가의 집 중 최고의 집을 뽑는다면
2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