Тёмный

[지식뉴스] 🇺🇸"한국김밥, 결국 일본 스시롤에 말렸다"...미국 마트에서 발견한 냉정한 현실 (ft.김한송 셰프) / 교양이를 부탁해 / 비디오머그 

VIDEOMUG
Подписаться 1,5 млн
Просмотров 426 тыс.
50% 1

"미국 사람들의 눈으로 봤을 때는 김밥이 마키즈시(巻き寿司)의 일종인 캘리포니아롤과 같아 보이는 겁니다. 캘리포니아롤 재료들하고 김밥 재료랑 굉장히 차이가 크지만 비슷하게 보는 것이 저도 좀 속상하긴 한데요. 미국 사회에서 캘리포니아롤은 김밥을 거꾸로 말아놓은 걸 말하는 거죠. 그 안에 참치가 조그맣게 한 줄만 들어만 가도 12불, 13불을 받습니다. 그러니까 일본이 브랜드파워를 가지고 있는 거고요. 어떤 문제가 발생되고 있냐면 김밥 대신 미국에 있는 캘리포니아나 아니면 플로리다에 있는 공장에서 냉동 캘리포니아롤을 만들어서 미국 대형마트에 납품을 하기 시작했습니다.“
”결국에는 이 싸움에서 승리하기 위해서는 물류를 쥐고 있어야 됩니다. 미국의 모든 일본 식당, 모든 마켓에 가면 간장은 기꼬만 간장입니다. 기꼬만은 일본간장이거든요. 지금 미국에 있는 한국 간장, 된장 브랜드들은 한국에서 대부분 다 생산해서 가는 편입니다. 근데 기꼬만 회사가 캘리포니아에 처음 공장을 지었어요. 거기서 간장 그리고 된장까지 다 생산을 해서 미국에 있는 모든 간장 시장을 휩쓸었습니다. 어느 마트를 가도 간장은 기꼬만 회사가 쥐고 있습니다. 핵심은 물류였던 거죠. 미국에서 식품 사업을 하기 위한 가장 첫 번째 싸움은 물류 싸움이 될 겁니다."
[김한송 셰프]
-Handsome Rice 대표
-미국 조리사 협회(ACF) 총주방장, 한국인 최연소 총주방장 심사위원
-SFC 서울프라이드치킨(SFC Seoul Fried Chicken) 대표
*자료: 카카오웹툰 '이태원클라쓰'
[제작진]
기획•연출: David / 작가: 윤단비 / 영상취재: 박영일•박진호 / 편집: 현승호 / 콘텐츠디자인: 김정연 / 인턴: 권도인
[비즈니스 문의]
교양이를 부탁해, 출연•협찬•콘텐츠 문의: davidhan@sbs.co.kr
✔신뢰할 수 있는 재미, 비디오머그 VIDEOMUG
#비디오머그 #냉동김밥 #뉴욕생존법 #치맥 #치킨 #미국 #교양이를부탁해
▶비디오머그 채널 구독하기 : n.sbs.co.kr/mugTube
▶Homepage : n.sbs.co.kr/videomug
▶Facebook : / videomug
▶Twitter : / videomug_sbs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Опубликовано:

 

25 апр 2024

Поделиться:

Ссылка:

Скачать:

Готовим ссылку...

Добавить в:

Мой плейлист
Посмотреть позже
Комментарии : 1,2 тыс.   
@videomug0
@videomug0 Месяц назад
⭐ 스브스프리미엄 오리지널 [교양이를 부탁해] 코너에서 이벤트를 진행합니다! 스프 커뮤니티에 글 남기면 랜덤 추첨을 통해 김한송 셰프의 ‘위대한 셰프의 생각법’ 책을 무료로 드립니다. 🎉 참여하기 ▶️premium.sbs.co.kr/board/6593b56983d4654513931f22
@user-ri8bm2kh8i
@user-ri8bm2kh8i Месяц назад
앞에서 청강하는 사람들은 누구인가요? SBS직원인가요?
@londoncalling7146
@londoncalling7146 Месяц назад
완전 엉망잔칭 한국식 분석이네요. 물류 덕분이 아니라 제품력 덕분입니다. 기꼬만이 처음부터 1위해서 장악한게 아니라 가장 맛있어서 수십년째 1위를 하는거에요. 냉동김밥보다 캘리포니아롤이 더 맛있어서 잘 팔리는 겁니다. 어디서 냉동김밥 따위 하나 들고와서 물류 때문 운운합니까? 정말 한심하네요. 일본의 미국 시장 도전의 역사는 피땀눈물이 담긴 반세기 고난의 역사에요. 제품력 노력도 제대로 안하고 함부로 물류 운운하지 마세요
@Edward90n2
@Edward90n2 Месяц назад
요리사들은 마트에서 판매하는 음식을 안좋아 합니다 🤣🤣🤣
@Edward90n2
@Edward90n2 Месяц назад
​@@londoncalling7146 워 워 왜 그리 핏대를 올리나 많이 아퍼 보이네 🤣🤣🤣
@Edward90n2
@Edward90n2 Месяц назад
요리사는 주방에서 요리사가 경영학 말하는건 오바
@user-nr3ln3jq9w
@user-nr3ln3jq9w Месяц назад
싸게 판다고 장기적으로 좋을게없어보이는게 조금만 비싸져도 안사는게 사람 심리임
@start33333
@start33333 Месяц назад
한국 김밥보다 사실은 일본의 스시라는 음식이 세계적으로 보급이 많이 되었던 것은 사실 입니다 K- 음식이 최근 각광을 받으면 두각을 낸 것도 한국의 문화와 더불어 저렴한 가격으로 어필된것도 사실입니다 하지만 일본의 세련된 음식문화는 무시 못하는 것이지요 더 고급스럽게 서양인 입맛에 맞춰 버리면 가격이 좀더 비싸더라도 눈길이 갈 수 밖에 없습니다 한복도 개량 한복이 현 시대를 반영 하듯 음식도 전통성을 표방한 퓨젼음식이 경쟁에서 살아살아나는 현실 입니다 전통방식만 고집한다면 원시시대 음식만 고집 합시다.
@djWjfkrhwkdsksclsi
@djWjfkrhwkdsksclsi Месяц назад
고부가 전략으로 팔게 아니라 저가 물량 공세나 할거면 걍 안 팔리는게 낫긴 함. 저런 시도 때문에 괜히 한국의 김 가격만 덩달아 오르고, 밥상 물가도 덩달아 오름.
@user-cq4qn9xj8l
@user-cq4qn9xj8l Месяц назад
그니까요 몰랏는데 너무싸게 팔앗네요 너무 한국식으로 생각한듯 요새는 한국내에서도 무턱대고 싸게 팔진않던데
@ayylmao02
@ayylmao02 Месяц назад
김밥뿐만 아니라 모든 분야에서 후발주자인 우리나라 기업들이 해외에서 승부하는 법이 저가판매죠. 현대 자동차나 삼성 스마트폰들이 해외에선 그런 이미지죠.
@user-ew6ps5sc2d
@user-ew6ps5sc2d Месяц назад
하지만 여심 사로 잡는 사치품 시장이라면?
@kyumsangishard
@kyumsangishard Месяц назад
이미 트레이더스조 김밥 얘기는 한인마트에서는 같은 가격에 같은 제조사에서 납품받아서 파는데도 안팔린다고 .. 유독 트레이더스조에서만 팔리는 이유는 그게 김밥이라서가 아니라 그 특유의 트레이더스조의 판매방식과 매장의 성격에 있다고 이 비디오머그에서 했던거 같은데
@klaymoon1
@klaymoon1 Месяц назад
People do not trust H-mart. People do not trust a frozen meat which is found in a frozen Kimbob in H-mart. I go hunt for Trader Joe Kimbob. I never - never - buy a frozen kimbob from H-mart. Yes you can trust Trader Joe. H-mart? I don't.
@thom777
@thom777 Месяц назад
김밥 H mart에서 미국 전역에서 수십년간 판매하던거죠. SNS 인증 유행도 한목 한거죠. 잠깐 지나가는거라고 봅니다.
@klaymoon1
@klaymoon1 Месяц назад
H Mart does not have any where near the quality reputation of Trader Joe's. H Mart isn't bad, but it's not known for the quality. What's important is that Kimbab is now becoming one of the major foods in the U.S. I have a neighbor who buys 40 when she can find it at Trader Joe's because it's that hard to buy at the moment. K-pop and K-food isn't just a trend in the U.S. They are becoming one of the main streams.
@FairScale-tx1qv
@FairScale-tx1qv Месяц назад
Trader Joe's has high standards on the entire food line they sell. The owners of ALDI also own Trader Joe's. Meaning, Trader Joe's is German owned company.
@AvengerC
@AvengerC Месяц назад
와.. 진짜 중요한 이야기들이네요.. 한국 뉴스에서는 "김밥"에 포커스를 두고 연일 대단하다는 뉴스였는데. . 정작 미국의 시선으로 바라보면 "김밥"은 그렇게 까지 메인 이슈가 아닌거군요.. 좋은 이야기 잘 들었습니다..
@user-ev6qe5gh6n
@user-ev6qe5gh6n Месяц назад
근데 확실히 미묘한 변화는 있었으니 다행인거죠 미국 아이들이 한식을 좋아하기 시작했고 그 아이들이 커서 어른이 되면 또 찾게 될겁니다 그걸 노리는거죠
@brandonheet
@brandonheet Месяц назад
국뽕채널들 보면 답없음
@thunder5311
@thunder5311 Месяц назад
국뽕이죠 지금도 매스미디어 에서는 난리이지면 현지에서는 99%는 모르는 사실들이 많음
@AvengerC
@AvengerC Месяц назад
@@thunder5311 99%가 모르는데 맨날 품절날리는 없겠죠.. 억까도 적당히 하세요..
@-volvic-
@-volvic- Месяц назад
억까가 아니라 팩트임 kpop같은경우에도 정말 마이너한 장르라고 봐도 될정도임 학교에서 한국에서 jpop 심하게는 cpop듣는거랑 비슷한거 kpop 좋아한다하면 약간 씹덕의 이미지가 떠오르는게 현실임 참고로 난 독일살고 아이돌노래 듣고있으면 앵앵대는거 같다하고 발라드들으면 걍 극혐함 ㅋㅋ 한식도 비슷한 맥락으로 되게 한국에선 뉴스에서 먾이 다뤘는데 정작 현실은 뭐.. 애초에 백인들 사이에서 굳이? 싶음 나만 그런것도 아니고 다른 한인들도 대부분 그렇게 말하고 @@AvengerC
@andrewchung9589
@andrewchung9589 Месяц назад
김밥에 대한 빼놓고 이야기 한게 있는데 "트레이더조" 라는 마트 브랜드 이미지가 더 큽니다. 한인마트에서 파는 것도 개중에는 트조에 납품하는 같은 회사에 같은 비건제품인데 안팔려요. 예를 들면 특정신발 라인업이 한국 하청에서 만든게 히트했는데 그 브랜드가 나이키 였다. 이런 느낌입니다. 그리고 치킨 이야기하면서 한국에선 공장만 있지만 미국서 대박터진 본촌치킨에 대한 언급이 없다는 게 아쉽네요.
@drsnowmon
@drsnowmon Месяц назад
님 말대로 본촌치킨의 인기에 대한 말이 전혀 없는것도 그렇고, 이 사람 미국쪽 전문가 맞나 싶었음
@klaymoon1
@klaymoon1 Месяц назад
H-mart isn’t known for the quality. I have a hard time buying Trader Joe's Kimbab. But I won't dare buying one from H-mart.
@andrewchung9589
@andrewchung9589 Месяц назад
@@klaymoon1 dunno, Hmart is decent enough for me, relatively speaking. But I don't trust other Korean grocery chains like Zion. Sometimes they literally placed frozen items on the room temperature shelves.
@K2o900
@K2o900 Месяц назад
미국 교포입니다.. 요식업에 관심이 많은데 정말 재밌게 잘 들었습니다..
@user-ev6qe5gh6n
@user-ev6qe5gh6n Месяц назад
@@bobbycanna4137 아무도 그렇게 생각 안 하는데 본인들은 그렇게 생각 하나 봄 ㅎㅎㅎ
@bobbycanna4137
@bobbycanna4137 Месяц назад
@@user-ev6qe5gh6n 본인이 아무도가 아닌데 어떻게 대변할수있는거죠?
@okowoo9719
@okowoo9719 Месяц назад
한국인들 외국으로 이민가면 죄다 요식업만 창업한다고 하는데 , 진짜 그런가요?
@drsnowmon
@drsnowmon Месяц назад
@@okowoo9719 다 그렇지는 않죠, 요리는 아무나 하나요 그것도 기술인데
@FairScale-tx1qv
@FairScale-tx1qv Месяц назад
@@okowoo9719 You actually don't need to bring any of your money to the U.S. All you really need is a desire to work and take care of yourself and your family. You learn how to speak English with the local natives and other minorities properly and get a jot and start working. Do not expect your parents to give you money for anything. It's you who has to work hard and take care of your loved ones. Small Businesses including Food Businesses have really high risks due to competition with the Americans and other minorities launching their Food Businesses locally. You really need to do a thorough market research just like the Japanese and the Germans. Just get a job and start working. If the company you work for (big or small)lets you go, then find another job and continue working.
@popo-xx7kl
@popo-xx7kl Месяц назад
일식이 미국에 깊숙히 침투한건 다들 상식적으로 아는거고요.. 한식은 이제 시작이니까 멀긴했죠, 근데 지금 한식 세계화의 제일 큰 문제는 중국인들이 저질 사이비 한식 만들어서 파는 게 지금 제일 심각한 문제라고 보는데요
@sungjoohan1316
@sungjoohan1316 Месяц назад
요즘은 모르겠는데 10년전쯤 외국생활, 그리고 학원이나 이태원등지에서 외국인들을 만나보고 느낀건 한식이 외국인들 입맛에 맞는 것과 안 맞는 것들이 있더라고요 삼겹살이나 소고기 구이, 소주같은 건 대부분의 외국인들이 좋아했습니다 자신들이 먹는 스테이크나 BBQ와도 비슷하니까요 그런데 김치나 떡볶이같이 입맛에 맞지 않는 것들이 많더군요 외국인들 떡의 그 질퍽하고 쫄깃한 식감을 싫어하는 사람도 많고 한국인들은 왜 자꾸 매운것만 먹냐고 싫어하는 친구도 많았습니다
@jspark6046
@jspark6046 Месяц назад
@@sungjoohan1316 맞음 반면 일본음식은 서양인입장에서 특히 호불호가 전혀 없고 걍 호. 한국은 대부분 고추장, 고춧가루 매운거 베이스라 호불호 심함 국뽕 벗어던지고 생각하면 ㅇ불호 많음
@Grandesecole
@Grandesecole Месяц назад
근데 미국가보면 중국인들은 중식요리. 스시집은 놀랍게도 한국인. 한식은 한국인이 한답니다
@user-dm8yv6nu4k
@user-dm8yv6nu4k Месяц назад
@@jspark6046 세계의 모든 나라의 음식들은 호불호가 무조건 있어요;;; 일본음식이라고 호불호가 없다라는 인식은 어디서 온 겁니까?
@mimio12
@mimio12 Месяц назад
미국에서 스시집을 한국인이 하고 있어요… 한식집은 한국인or조선족중국인.. 일본에서 주는 인증 마크 받은 일본인 운영 하는 가게는 특히 비싸고 고급 느낌..
@hcr9088
@hcr9088 Месяц назад
진짜 물류가 핵심인듯 아무리 유명한 상품이어도 찾는데 없으면 당연히 다른걸 찾게되지 ~
@bombchive6111
@bombchive6111 Месяц назад
@BernadetteLustberg 유튜브는 이딴거 안잡고 UI 바꾸기만 엄청 해대네
@1glory7
@1glory7 Месяц назад
우리 식품 수출도 중요하지만 국내 공급이 부족해서 가격만 치솟는 상황이 마냥 반가워해야 하는건지. 김 같은 경우는 공산품도 아니라 생산량도 한정적인데. 우리나라 모든 음식이 꼭 외국인들에게 인기 끌고 사랑 받아야할 필요성이 있는지 모르겠다. 그냥 대표적인 메뉴 몇가지만 상징적으로 퍼진다면 나쁠건 없겠지만. 한국 식품 모조리 수출대박 나봐야 우리나라 장바구니 물가만 올라가서 국민들만 살기 힘들지.
@user-sw1vh5gc4i
@user-sw1vh5gc4i Месяц назад
그래서 말하잖아 일본 캘리포니아 롤이 지금 한국 김밥 줘 패고 있다고. 다행이지 뭐
@1glory7
@1glory7 Месяц назад
@@user-sw1vh5gc4i 뭐래
@Aeong111
@Aeong111 Месяц назад
수요가 부족해서 가격이 오른다고요?
@user-lw3go4of4z
@user-lw3go4of4z Месяц назад
저 영상에서 말하는바는 명확합니다. 냉동김밥이 한국산이어서 유행한것이 아니며, 미국에서는 한국보다 일본의 브랜드파워가 더 크다는 점, 그런 연유로 미국인들은 캘리포니아스시롤을 김밥과 구분이 어렵다는 점 등입니다.
@blueusan
@blueusan Месяц назад
그 국내 수요가 부족하다는걸 해외수출로 채울 수 있다는거 아닙니까. 아니면 국내 공급이 부족하다는걸 잘못 입력하셨나요?
@yo-yo-yo
@yo-yo-yo Месяц назад
그 나라의 음식을 통해 그 나라의 문화를 배우는 시간이었습니다. 너무 재밌었어요.
@yunheebae6778
@yunheebae6778 Месяц назад
뉴욕거주자에요! 김 한송 쉐프님 이야기 귀에 쏙쏙! 공감합니다! 비유도 너무 재미있구요! 미국의 시장성을 재대로 설명해주셔서 속이 뻥 뚤리는 느낌👍🏼
@user-dq8mh2bc4m
@user-dq8mh2bc4m Месяц назад
뉴스에서 나오는 막연한 기대감과는 달리, 현지상황을 정확하게 분석하고 설명해주시네요. 셰프님 멋집니다!
@joypraythanks
@joypraythanks Месяц назад
글쎄요. 정확하게 분석함 것 아니고 주관적 인식이 많이 들어간 내용 같아요. 우리나라에서 피자가 막 들어와 유행할 때, 우리나라 사람들이 피자만 먹었나요? 그 땐 느끼하다고 싫다고 하는 사람도 많았고 여전히 노년층은 피자를 안 먹죠. 김밥도 자리 잡을 시간이 필요합니다. 지금이야 고물가와 비건, 트레이도스 조의 영향이 있지만 김밥 시작이 BTS 때문 아니었는지... 아무튼 전문가 의견도 한 가지 식견이므로 비판적으로 받아들이면서참고만 하면 되는 겁니다.
@dik6895
@dik6895 Месяц назад
@@joypraythanks 어디 집단가면 못 어울리고 헛도실거 같은데
@user-bs5ct6od6j
@user-bs5ct6od6j Месяц назад
잘봤습니다 감사합니다
@ClairJeong
@ClairJeong Месяц назад
뉴욕 살고 있는데 공감가는 얘기를 재미있게 풀어주셔서 진짜 시간 가는 줄 모르고 봤어요! 미국 얘기 또 들려주세요
@jakey2core
@jakey2core Месяц назад
설명을 참 쉽게 풀어 이해할 수 있게 딕션도 좋으시고 잘하시네요 예전 학교 다닐 때 어려운 과목인데 졸다가 들어도 이해할 정도로 강의 잘하시던 교수님이 생각나네요
@KJ-gm8kz
@KJ-gm8kz Месяц назад
국뽕을 빼야 현실을 재대로 볼수있다
@blesstum4783
@blesstum4783 Месяц назад
은근히 나라 디스하네. 중공 알바?
@user-no8hs5xn8n
@user-no8hs5xn8n Месяц назад
​@@blesstum4783이성적 으로 얘기 하면 이성적 으로 들으시길.
@mercs72
@mercs72 Месяц назад
케이팝도 한때의 유행으로 끝날 것임...
@user-cj4tf7cv6c
@user-cj4tf7cv6c Месяц назад
@@mercs72뭔 당연한 소릴 하고 있어. 영원한게 어딨냐 ㅉ 국뽕러들도 니들처럼은 생각안해
@user-cj4tf7cv6c
@user-cj4tf7cv6c Месяц назад
국뽕들은 현실을 제대로 못볼것 같냐? 나 국뽕러인데 니들보다 현실 제대로 보고 있다. 우리라고 뭔 세계가 놀라고 충격받은 어쩌구~ 이런 거 믿는줄 아냐 ㅋㅋㅋㅋ 걍 예전보다 인식이 좋아졌구나. 유명해졌구나. 이렇게 생각하고 마는 거지. 유투버들이 자극적으로 뽑은 제목과 소식에 호들갑 떠는 건 오히려 국까하는 니들임. 유튜버들이 퍼나르는 소식을 필터링 없이 "어머 재들 진짜 그렇게 생각하나봐. 재들 왜저래." 라고 보는 건 니들이라고 ㅋㅋㅋㅋ
@jhh7933
@jhh7933 Месяц назад
일식의 미국 진출 역사는 1960년대 초반 미국에서 오리엔탈 붐이 불던 시점부터 시작합니다 물론 그 이전에도 일본 교민들에 의해 일식이 보급되긴 했지만 그 이전까지의 일식은 어디까지나 현지 일본인들 중심의 문화였다면 1960년대에 불었던 오리엔탈 열풍은 현지 일본인들이 아닌 미국인들에 의해 자생적으로 불었던 붐이었죠 BTS 이전 동아시아 유일의 빌보드 1위곡이었던 사카모토 큐의 스키야키라는 노래가 빌보드 1위를 차지한 것도 바로 이 시기 입니다 그 만큼 당시 미국에서는 오리엔탈 열풍(더 정확히 발하면 일본열풍) 이 강하게 불었고 스시와 같은 일식도 이때부터 미국에 본격적으로 보급되기 시작했죠 반면 한국의 한식은 사실상 이제 막 미국 사회에 상륙을 했다고 봐도 과언이 아닙니다 당연히 브랜딩의 역사에서 엄청난 차이가 날수 밖에 없고요 이미 2세대 혹은 3세대 이상을 거치면서 미국사회에 뿌리 깊게 자리 잡은 일식과 대등한 대결은 애초에 말이 안되는 겁니다 따라서 뭐 지금 브랜드 파워가 약하다고 이를 아쉬워할 필요는 없고요 그나마 다행인 것은 한식에는 K 컨텐츠라는 강력한 우군이 있다는 것입니다 일식이 1960년대의 오리엔탈 붐을 타고 미국사회에 뿌리를 내린 것처럼 지금 K푸드도 비슷한 우군을 가지고 있는 샘이죠 따라서 일식에 브랜드가 밀린다고 아쉬워 하지 말고 지금부터 어떻게 하는 가가 중요한 것임
@GaleRianes
@GaleRianes Месяц назад
오리엔탈이 아니라 그 당시 그냥 일본 열풍이였음.
@joypraythanks
@joypraythanks Месяц назад
맞아요. 그리고 우리나라 김밥이 구지 김초밥의 자리를 잠식해야 할 이유가 있을까요? 우리도 참치 연어 소고기 넣고 김밥 만들면 되고 가격 단가 높일 수 있고. 이제 시작인데 무슨 전문가라는 사람이 한식의 미래와 가치를 폄하하고 있는지 모르겠어요.
@pno743
@pno743 Месяц назад
맞는 말이지만 추가로 일본 문화에 대한 붐은 1800년대부터 시작했습니다.
@noahs915
@noahs915 Месяц назад
아직 한식은 스타트고 일식은 수십년간 미국내에서 입지가 다져진거라 무리긴해 현실에 안주하지말고 더욱더 아이디어 짜내서 세계시장을 공략해보자 전세계 한국인들 화이팅!
@hannam63
@hannam63 Месяц назад
김밥은 애초에 일식입니다만;;
@loserchoi
@loserchoi Месяц назад
@@hannam63 김밥은 일본에서도 한식입니다.
@noahs915
@noahs915 Месяц назад
@@hannam63 오후사쯔요이 박사의 ‘바다 채소’라는 책에 따르면 일본은 18세기 초중반부터 먹었다고 본답니다. 일본인조차도 김밥은 한국이 원류라고 보는 시선이 많습니다. 우리나라는 삼국유사에서도 김을 먹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우리가 김밥의 원조로 보는 수많은 근거와 옛 기록중에 "복쌈"이라는 형태의 음식이 있었는데, 이게 현대 김밥의 초기버전?으로 본다고 합니다. 궁금하시면 검색해보시길 ㅇㅅㅇ
@vernazza6629
@vernazza6629 Месяц назад
@@loserchoi 김밥의 기원이 후토마키임
@qaz010zaq
@qaz010zaq Месяц назад
@@vernazza6629 김밥이 일식에서 온 건 맞는데 일본음식이라고 하기엔 어려움. 라면으로 예를 들면 라면의 기원은 라멘이고 라멘의 기원은 탕몐이며 탕몐의 기원을 타고 들어가면 중앙아시아까지 거슬러올라감. 이렇게 되면 라면은 중앙아시아 음식이 되버리는데 이게 말이 됨?
@minkyukim4366
@minkyukim4366 Месяц назад
좋은정보입니다. 잘봤어요 감사합니다!
@jeffreykim4682
@jeffreykim4682 Месяц назад
좋은 정보 잘 듣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더 많은 활동 부탁드립니다
@Moresmile3
@Moresmile3 Месяц назад
아니 집 앞에 한인마트 갈때마다 김밥 안팔려서 항상 꽉꽉 채워져 있던데 난 하도 맛있다길래 종류 여러개로 마니 사와서 하나씩 먹어봤는데 음… 그냥 돈 더 주고 푸드코트에서 파는 김밥 먹겠음 부실함. 생각보다 맛이 그저그러함
@klaymoon1
@klaymoon1 Месяц назад
Only Trader Joe's kimbab is popular. I would never buy anything from H-mart something I won't fully cook again.
@user-md9kb6ew3b
@user-md9kb6ew3b Месяц назад
대형 냉동 화물차기사. 입니다 저 김밥 지금도 아직도 많이 나갑니다 ! 한번씩 배송합니다
@jeongwonlee2565
@jeongwonlee2565 Месяц назад
뉴욕 사는데 이렇게 들으니까 완전 재밌네요~
@gunyoungkwon5032
@gunyoungkwon5032 Месяц назад
관심이 많이 가는분야인데 영상 잘 봤습니다.
@BuenoMinho
@BuenoMinho Месяц назад
트렌드에 굉장히 민감한 요식 /음식업계에서 변화는 필수!
@Wooyami
@Wooyami Месяц назад
잘봤습니다~ 조금이라도 한식이 인기가 있고 관심이 있을때 잘 자리잡혔으면 좋겠네요
@KoreaTravel1DXmark2
@KoreaTravel1DXmark2 Месяц назад
🈲♥🈲그 싼가격을 계속 유지시키려고 한국 김을 죄다 해외에 내다팔고, 정작 한국은 김값이 올라서 가성비 음식이 아니게 되어가는 중... 이게 맞나 싶다. 저 가격에 수출해서 내다 팔 바엔 걍 안팔았으면 좋겠음.🈲♥🈲
@Do-Joon
@Do-Joon 20 дней назад
10000% 공감 수출하는건 업자한테나 좋은거지 소비자 입장에서는 한식의 세계화가 그닥 좋은 것만은 아님
@user-wh3lx5wr3d
@user-wh3lx5wr3d Месяц назад
너무 멋있어요. 미국소식 많이 알려주세묘
@VirtuousDog
@VirtuousDog Месяц назад
미국에서 치맥 개념으로 가려면 식당이 아니라 바-그릴 (술-밥집) 개념으로 가야 합니다. 미국의 경우 Applebee's가 가장 대표적인 예가 되겠죠 ~
@maxism4274
@maxism4274 Месяц назад
미국 대기업에서 일하는 미국사는 교포인데 지난 10년간 한류가 심상치않게 성장했는데 한국산 김을 넘어 이젠 코슷호나 트레이트 조같은 마켓같은데서도 심심치않게 냉동김밥이 보이고 회사동료들도 불닭컵이나 신라면컵을 먹는 모습을 심상치않게 볼수있습니다. 김밥은 확실히 한국 아이덴티디가 부족한게 스시롤이라고 불리기도 하는데 한국음식으로서 좀 더 이미지 메이킹을 더 했음 싶네요.
@user-ww7mc4py5u
@user-ww7mc4py5u Месяц назад
한류니 뭐니 한국음식이 인기네 뭐네. 거기에 도취되어 현실을 못보고 더이상 발전이 없어짐. 비판보다는 칭찬만 하는 분야는 망하게 되있음. 언제부터 한류 한류 한국이 잘나가는 것처럼 결국 다른 국가들은 타켓을 삼고 더 분발하는데
@user-lq7kk7bt9j
@user-lq7kk7bt9j Месяц назад
너무 감사합니다 좋은 정보 주셔 고맙습니다
@user-zu7hr2qn4r
@user-zu7hr2qn4r Месяц назад
브랜드 파워라는 게 확실히 대단함을 느끼게 해주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user-lx5ql5zh5y
@user-lx5ql5zh5y Месяц назад
승부는 물류였군요. 저도 하나 배웠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user-ev6qe5gh6n
@user-ev6qe5gh6n Месяц назад
뭐든지 전파를 시키는 물류망이 중요함 한번 터졌을때 한번에 전국으로 쫙 뿌려주는 능력이 중요한데 지금은 캘리포니아 롤 회사들이 그동안 자신들이 오랫동안 구축한 망이 있으니 더 유리한거죠
@koolf1222
@koolf1222 Месяц назад
미국현지 상황과 국내 상황을 잘파악하고 계시네요. 미국진출을 위한분들에게 큰 도움이 될것 같은 이야기네요^^ 역시 통찰력이 넘치는 쉐프 김한송
@jinodoy2121
@jinodoy2121 Месяц назад
책 정말 잘 봤는데 이번 영상에서도 많은걸 배우고 갑니다. 자주 출연해 주세요!
@fundijo7862
@fundijo7862 Месяц назад
맞아요 기꼬만 간장은 탄자니아도 있어요😢
@user-lr9oc6kp5x
@user-lr9oc6kp5x Месяц назад
세계에서제일가는셰프로서 많은사람들의귀감이되고 앞으로 사업가로서무궁한 발전기원합니다
@user-qr9xv7rb2i
@user-qr9xv7rb2i Месяц назад
최고입니다!
@user-us3rs2uu6k
@user-us3rs2uu6k Месяц назад
한국 음식 세계화에 김한송 셰프가 큰 역할을 하고 있네요! 게다가 상황의 정확한 분석과 해결책 등이 돋보이네요!
@starqb-fd7xc
@starqb-fd7xc Месяц назад
미국에서 한식을 바라보는 관점과 그러한 관점의 차이가 발생한 이유, 그리고 최신 트렌드를 너무나도 쉽고 재미있게 말씀해주셨네요. 한류 콘텐츠로 인하여 시작된 이 유행이 반짝하지 않기 위해서는 전략적으로 접근이 이뤄졌어야 할텐데,,, '김밥'의 트렌드도.. 전략적으로 시작된 것이 아니라 준비되지 않았기에,, 한송셰프님께서 말씀하신 것처럼 재주는 곰(한국)이 부리고 돈은 왕서방(일본)이 가져가는 상황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미국에서의 치킨이야기도 정말 재미있게 잘 들었습니다! ^_^ 다음번에도 좋은 이야기 부탁드립니다.
@jisunu7914
@jisunu7914 Месяц назад
한가지 놓치신게 있습니다. 김밥 인기는 트레이더조이기 떄문인 이유가 큽니다. 트레이더조는 대형마켓과는 조금 다른 느낌입니다. 한국으로 치면 이마트같은 대형마트가 아닌 올리브영같은 특화된 제품을 판매하는 느낌의 마켓입니다. 그래서 트레이더조에서 신상뜨면 몇몇 인플루언서들 영상을 통해 퍼져서 인기가 되기도 합니다. 그중에 하나가 김밥이었습니다. 싸다 & 비건 식품이기이전에 트레이더조에서 판매 + 틱톡같은 인플런서 조합이 더 큰 영향을 줬습니다. 동일 김밥을 다른 마켓에서 팔아도 유독 트레이더조에서만 잘 판매되기도 하죠.
@user-co9lm9jw4h
@user-co9lm9jw4h Месяц назад
😮😮😊😊
@user-ky2um9oh9c
@user-ky2um9oh9c Месяц назад
김한송셰프가 미국에서 케이푸드에 대해 알려줘서참좋아요 책도 잘 봤어요
@CutSoo
@CutSoo Месяц назад
수출 많이 해봐야 국내 김 가격만 올라가고 국내 소비자만 고통받음.
@user-qh5eu3wt8c
@user-qh5eu3wt8c Месяц назад
물류가 여기서도 나오는구나....
@jhpark1980
@jhpark1980 Месяц назад
캘리포니아에 살고 있는데 여기는 한국인들이 매우 많기도 하고 한인마트나 한인 식당이 많아서 그런지 현지인들이 김밥과 캘리포니아롤의 차이도 이해하고 먹는 것 같아요. 더욱더 한국음식의 인지도도 멀리 퍼지고 알려질 수 있게 될 거라고생각합니다. :)
@kihashin4681
@kihashin4681 Месяц назад
켈리포니아는 미국에서 다른주와 상당히 다릅니다..
@user-em2ny5es3u
@user-em2ny5es3u Месяц назад
한국 여자들이 백인 남자에게 벌리러 많이 가니까ㅋ
@kim29538
@kim29538 Месяц назад
김밥의 근본자체가 일본식 마끼류에서 파생된건데 김밥을 한식이라고 파는것도 웃기지 김밥은 한국식 일식인데 ㅋㅋㅋㅋㅋ 그런식이면 일본식 김치도 인정해줘라
@user-vu6ko9lf7b
@user-vu6ko9lf7b Месяц назад
@@kim29538 찐따
@HealingAi
@HealingAi Месяц назад
@@kim29538 아니예요 김의 원조가 한국이고 김과 밥에 반찬을 싸먹는건 한국이 먼저예요
@james-lo5yh
@james-lo5yh Месяц назад
김셰프님의 사이다 강의. 늘 잘 보고 있습니다.
@user-qr9xv7rb2i
@user-qr9xv7rb2i Месяц назад
응원합니다!
@sheshe8866
@sheshe8866 Месяц назад
셰프님 뉴욕과 미국의 현실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june1nine5
@june1nine5 Месяц назад
이제 시작입니다. 첫술에 배부를수 없어요.
@user-nm6ns3yf9m
@user-nm6ns3yf9m Месяц назад
울나라 국뽕은 세계 최고인 듯!ㅋ
@user-ud4ff8wu4g
@user-ud4ff8wu4g Месяц назад
시작이긴하죠 자살율 출산율 모두 1등이니.. 도화선을 얼마나 잘 늘릴지
@user-ce4lz4jj1d
@user-ce4lz4jj1d Месяц назад
​@@user-nm6ns3yf9m택시 자동문은 잊었나보네
@user-kb6df1yf8k
@user-kb6df1yf8k Месяц назад
​@@user-nm6ns3yf9m일본 국뽕을 보면 그런 소리 못 하는데
@user-xj6ql1kx7b
@user-xj6ql1kx7b Месяц назад
@@user-nm6ns3yf9m 일본 국뽕은 치사량으로 지구 넘버1인데 일뽕만 그걸 인정 안하지
@yullak4377
@yullak4377 Месяц назад
Kikoman 간장 모회사가 미국에 JFC 라는 식품관련도매업 자회사를 내면서 미국내에 일식당뿐 아니라 식재료를 필요로 하는 곳곳에 쌀, 사케, 간장 (물론 기꼬망), 김 (일본 스시김) 등등 판매합니다. 미국 전국에 퍼져있어요. 물류인프라는 수십년전에 깔았네요.
@user-sz5li9wm3z
@user-sz5li9wm3z Месяц назад
한국음식이라 궁금하고 먹어보고 싶다. 이런 트렌드가 마련됬을 때 셰프님의 거시적 시각으로 알려주신 방법으로 한식을 더욱더 널리널리 알려지길 바랍니다.
@spacepersonhoho4982
@spacepersonhoho4982 Месяц назад
김밥은 지금부터 시작입니다. 김밥은 비건식하는 미국인들이 많이 찾아요. 그러니 비건식 요리를 많이 개발해서 미국에 판매하세요.
@Createachannel-kb7uz
@Createachannel-kb7uz Месяц назад
미국인들은 뭔나라 음식이던 상관도 안하도 입맛에 맞으면 먹더라...
@TV-wx5rw
@TV-wx5rw Месяц назад
인터넷으로 국뽕만 보던 사람들이 이런 프로그램을 많이 봐야 한다고 생각함...해외 나가면 아직 우리는 K팝이나 K드라마가 넉살잡고 케리하면서 간신히 끌올하는 분위기고 다른 문화는 적극적으로 알려야 하는 상황임....많이 늘어난거지 아직 중국,일본에 비하면 브랜드 파워 한참 떨어지는데 유튜브에서는 마치 일본을 앞지른거처럼 일본은 완전 나락에 떨어진것처럼 거짓 선동,국뽕에만 열올림....아직 한국에 와보고 싶은 외국인 보다 일본에 가고 싶어하는 외국인들이 훨씬 많다는 사실...
@kim-oi8ye
@kim-oi8ye Месяц назад
백성들이 이 열악한 나라를 버리지 않게 할려믄 정신마약이 많이 필요 하니까요. 특히 일본, 한국이 젤 심함.
@user-vh5sd1ge3l
@user-vh5sd1ge3l Месяц назад
사실 여기까지 온것만 해도 저는 감사하다고 생각합니다 일제시대 거치고 전쟁까지 난 뒤에 그나마 여기까지 온것만으로도 만족합니다
@yk-wn5iq
@yk-wn5iq Месяц назад
그런데 사실 터키나 중동쪽에서는 한류가 뜨는건 맞아요. 한국서 왔다고 하면 음악이나 드라마 혹은 음식얘기를 하며 반가워 하는 편이예요.
@user-li5jq8cx7g
@user-li5jq8cx7g Месяц назад
일본한테 앞질른다는 영상 거의없는데???
@shin_md1
@shin_md1 Месяц назад
재밌어요!!
@Ganaon
@Ganaon Месяц назад
뾰족하신 인사이트 너무 좋네요. 우리나라 중소기업 브랜드 브랜딩 잘 해서 수출 마니 댓으면 좋겟습니다. 유투브에서 이런 좋은 정보 얻을 때 마다 넘 감사하네요
@user-ls1kv1mk7x
@user-ls1kv1mk7x Месяц назад
한송셰프님은 항상 쉽고 재미있게 말씀주시는 거 같습니다. 미국에서의 김밥과 치킨에 대한 이야기 듣느라 시간가는 줄 몰랐네요. 😊 다음번에도 멋진 이야기 부탁드리겠습니다. ❤❤❤
@MrSindonghyuk
@MrSindonghyuk Месяц назад
기무치엔 발작하면서... 김밥은 원래 일본음식이 맞죠. 우리나라식으로 모디파이된거지
@user-nz8tx9zb7s
@user-nz8tx9zb7s Месяц назад
일본사람이 기무치라고하면 김치야 김치 버럭 화를내면서 김치라고!!!
@user-mn5nt5qm8e
@user-mn5nt5qm8e Месяц назад
전 트레드조에서 김밥 사먹는 걸 좋아해요 냉동했다가 먹는데 정말 맛있어요 캘롤은 냉동했다가 먹었을 때 이런 맛이 날까요? 김밥은 따뜻하게 먹어도 좋지만 캘롤은 차가와야 하쟎아요? 추구하는 맛이 달라요
@dobedobedo94
@dobedobedo94 Месяц назад
냉동김밥 미국 코스트코에 납품한다는 식품회사 주식 샀다가 실적 나올때까지 참고 기다렸건만 어쩔수없이 손절한 아픈 기억이… 이런 미국의 현실을 모르고 한국식품이 이제부터 붐을 타는 건줄 ㅜㅜ 그때 삼양식품을 한주라도 샀었어야 했는데 ㅠㅠ
@zicka21
@zicka21 Месяц назад
누드김밥이라고 해서 오렌지 애들 돌아올때와 엘에이 아즈매들이 선호한다는 캘리포니아롤이 유통기한이 굉장히 짧은걸로 아는데 이게 특별한 공정없이 상온에서 유통이 되거나 해동과정이 필요없다고? 30분만 지나도 엘에이 날씨에 쉬어터질텐데? 그리고 우린 김밥이고 재들은 일식의 에피타이저 개념이라 접근방법이 다름
@antbeyoon
@antbeyoon Месяц назад
한식의 미국내 현실은 일식당 내에서 일식 메뉴 사이에 끼워 파는 정도. 정통(?) 한식당은 미국내 아시안에게만 인기가 있는 정도, 한식이라 내걸고 미슐렝 스타를 받거나 파인 다이닝을 하는 곳은 말 만 한식이지, 조리법은 모두 서양식이거나 일식과 퓨전이 많습니다. 일례로 샌프란시스코에 한인이 만든 한국식 고기집 프렌차이즈가 있는데 그 프렌차이즈의 이름은 '야끼니꾸' 입니다...가게 이름, 브랜드 이름은 일본식 고기구이인 야끼니꾸라 지어놓고 부대 설명에는 Korean BBQ라고 써 놓는 현실...이게 미국내 한식 또는 한국의 현실입니다
@user-kr5tz5uc7s
@user-kr5tz5uc7s Месяц назад
아 이건 좀 슬프다
@user-iu8wk2y
@user-iu8wk2y Месяц назад
ㅋ 하나는 알고 둘은 모르네요. 오마카세도 유럽 파인다이닝 보고 만든 퓨전인데 그리고 한식에 파인다이닝 도입해서 고급화하는건 다양성 차원에서 적극 권장해야 함 잘못된게 아님 현재 일식이라는게 일본이 원조가 얼마나 있다고 대부분 퓨전이고만 ㅋㅋ
@user-iu8wk2y
@user-iu8wk2y Месяц назад
야키니쿠는 제일 교포가 일본에서 불고기 장사할려고 하다가 일본인들이 불고기 발음이 안돼서 야키니쿠라 이름지어 시작된게 일본 야키니쿠임 ㅋ
@ravell193992
@ravell193992 Месяц назад
신기하네요. 동부는 Korean-BBQ라고 내건 고깃집들 인기가 어마어마하게 많습니다. KPOT, Hungry Pot 등 체인부터 개인이 하는 곳까지 다 한국식 비비큐라는 이름 걸고 장사합니다.
@Createachannel-kb7uz
@Createachannel-kb7uz Месяц назад
@@ravell193992 근데 먹어보면 정체불명 국적불명의 이도저도 아닌 괴팍한 맛 ㅋㅋ
@user-ym8bc2gu1y
@user-ym8bc2gu1y Месяц назад
트레이더 조 김밥 맛났던 기억이 나네요, 이동 시 간단하게 식사 대용으로 좋아요.
@intaj.6267
@intaj.6267 Месяц назад
국뽕보다는 일단 김밥을 수출해서 동난다는것. 비싸든 싸든 동 날정도로 팔린다는건 일단 맛에서 가격에서 밀리지 않는다는게 중요하죠. 왜 음식문화를 파고 든다는게 쉽지는 않는다는겁니다. 근데 우리 음식이 일부든 가격이 하든 동날정도로 팔린다는것 결국 맛이 있기때문에 팔리는것이죠. 다시말해 우리음식 제품이 시장에서 뚫기 시작했다는겁니다. 초창기니 작지만 점점 키워가는게 중요하죠. 어떻게 하루 아침에 크게 되겠는가. 라면도 일본의 라멘이 1위를 차지하고 있었는데 지금은 역전이 된거죠. 알려진지 오래되지 않은 한국문화음식이 시간을 걸쳐 미국식으로 연구를 해서 팔면 점점 점유률이 높이지겠죠. 어떻게 한숟가락에 배부르겠어요. 이제막시작인데. 이정도면 출발이 좋은겁니다. 맛이 따라주닌간 성공을 하는 것이죠. 없는 시장을 개척해서 성공 한다는게 결코 쉬운건 아니죠. 근데 그 출발하는 시점이 성공적이고 먹힌다는점에서 중요한겁니다. 이건 국뽕해도 되는겁니다. 쇄는 시장이 생겼고 동이날정도닌간. 달러를 벌어 들이고 있고 또 더 커질 확률도 높죠. 그리니 국뽕 하는겁니다. 국뽕한다고 무조건 최고라고 생각지는 않죠. 이걸 오해하는듯.
@quuu213
@quuu213 Месяц назад
솔직히 먹힐만한걸 밀어야지 예상했던 결과임. 애초에 먹던 롤스시류가 있고 실제로도 엄청 비슷한데 한국인들이야 다르다고 생각할테지만 스시롤류에 익숙한 외국인들이 김밥보고 롤스시를 떠올리지 명확한 기준도 없이 김밥은 김밥이다라고 하겠냐고ㅋㅋㅋ 내가 외국인이었어도 그냥 재료가 다른 스시롤인데? 라고 생각할 것 같음.
@user-so7qp2nu3o
@user-so7qp2nu3o Месяц назад
😊4
@younyou-xy1mn
@younyou-xy1mn Месяц назад
현지 전문가의 디테일한 분석이네요 👍🏻
@user-op4ti3lo5m
@user-op4ti3lo5m Месяц назад
김한송 셰프님 파이팅!
@user-lc8dd3lt6u
@user-lc8dd3lt6u Месяц назад
김한송셰프! 멋집니다요. 한국음식 대사로 임명함.^^
@northbynorthwest999
@northbynorthwest999 Месяц назад
정확히 말하면 캘리포니아롤은 캐나다 혹은 미국 음식입니다(서로 자기꺼라고 싸우고 있는중). 일본 마끼와는 많이 다릅니다. 어찌되었건 일식당에서 팔고 사람들이 일식이라 생각하니 일본음식이라 볼수 있습니다. 미국음식인 제네럴 짜오 치킨을 중식이라 하는것 처럼요. K-food 열풍은 한국 뉴스나 유투브에서나 봤지 현지에서 느껴본적은 없습니다. 동(남)아시아 음식은 중식, 일식, 태국식, 베트남 정도만 인기입니다. 한식은 거의 현지화가 되지 않은 음식입니다. 맛은 한국보다도 맛있습니다. 양도 맛고 재료를 아끼지 않고 듬뿍듬뿍 넣습니다. 하지만 미국인들이 먹기에는 매우 이질적인 음식입니다. 미국인들의 맘을 사로잡으려면 현지화 퓨전화가 필요해 보입니다. 하지만 그렇게 하면 한식 주고객인 한국손님들이 찾지 않습니다. 그게 한식당의 딜레마 입니다.
@bulbob100
@bulbob100 Месяц назад
일본 스시롤이 훨씬 맛일을수 밖에 없음 밥 에 초밥을 넣고 그 안에 크림 치즈에 연어 새우튀김 이런거 넣어주는데 맛으로 김밥이 스시롤에 상대가 되겠음?
@yj-wt2zc
@yj-wt2zc Месяц назад
재밌네요 ㅎㅎㅎ
@manojoli6667
@manojoli6667 Месяц назад
It's very good
@vfxartist466
@vfxartist466 Месяц назад
그냥 맛 없으면 안 팔림
@user-to6mh8hh5e
@user-to6mh8hh5e Месяц назад
일본 음식은 90년대부터 유명했음 ㅋㅋㅋ우린 이제 시작
@user-co4vu2jb2i
@user-co4vu2jb2i Месяц назад
제가 미국 유학을 했을 당시 대부분의 미국 애들은 회 절대 안먹음. 유명하진 안았음. 그냥 한국으로 따지면 90년대 수제 햄버거 정도.
@mimio12
@mimio12 Месяц назад
@@user-co4vu2jb2i지금 미국인들 스시 즐기는 사람 엄청 많아요.. 그리고 일식=고급,팬시 푸드 라는 인식이 있는 느낌
@thelezard3378
@thelezard3378 Месяц назад
@@user-co4vu2jb2i 80년대에도 미국에서 스시는 상당히 고급음식이었습니다. 못먹어봐서 익숙할수는 있어도 고급음식이라 접근성이 떨어졌죠. 지금은 뭐..미국애들도 없어서 못먹어요. 여기 텍사스는 더비싸고..그나마 캘리는 의외로 회는 좀 낫던데..
@jxjdjjs
@jxjdjjs Месяц назад
뭔 90년대야? 80년대부터 유행했었음
@user-co4vu2jb2i
@user-co4vu2jb2i Месяц назад
@@mimio12 그건 지금이죠 ㅋㅋㅋㅋ. 제가1999년에 미국에 갔음. 스시집은 도시에 있었고 서브어반 지역은 재패니스 스테이크 하우스만 쫌 유행했지 스시집은 많아야 하나 있었음. 즉 먹는 사람만 먹고 대중화는 안됐음. 그리고 제가 기숙사 학교를 다녔는데 회를 대부분 백인들은 라 피쉬? 하면서 회를 왜 먹냐고 이해 못하겠다고 하던 시절임.
@Meister19
@Meister19 Месяц назад
맛, 퀄리티, 청결 모든게 장사하는 입장에서는 당연한 것입니다. 여러가지 조건이 있지만 모든것이 다 동등하다고 할때 소비자들의 선택을 결정하는 것은 가격. 문화, 음식, 마케팅 모든것이 다 영향을 끼치겠지만 결국은 얼마나 싸고 품질이 좋은 물건을 시장에 공급하는가? 라는 것으로 귀결되겠다고 생각되네요.
@lhj06251
@lhj06251 Месяц назад
맞아요 미국은 치킨은 부위별, 조각별 판매하는 시스템을 가져가야 합니다. 미국 사람들 개인마다 취향이 확고하게 틀려서 자기가 좋아하는 치킨 부위가 딱 정해져 있어요. 그런데 한국식 치킨이 인기는 있으나 얼마나 자주 먹을 수 있느냐가 관건입니다. 한마리 치킨보다는 부위별 치킨 판매가 더 매출 증가에 도움이 될겁니다. 그리고 패밀리 콤보처럼 아이들까지 즐길 수 있는 메뉴가 꼭 있어야 합니다. 미국은 피자를 맥주랑 먹는 문화인데 치킨과 맥주가 살짝 어색하다는 생각을 많이해요.
@jgd824
@jgd824 Месяц назад
간단하게 와패니즈라고도 함. 분하지만 꽤 오랜 역사에서부터 서양에서 동양미 하면 재팬이라는 이미지가 콕 박힌지 오래임
@user-lv7xv6fc2u
@user-lv7xv6fc2u Месяц назад
500년 넘게 스스로 쇄국을 했는데 분할 게 있나요? ㅎㅎ 개항도 일본에 의해서 강제로 된 건데 ㅎㅎ
@user-cz4hf2ki7n
@user-cz4hf2ki7n Месяц назад
김치도 ?
@user-zf6yc8lk1u
@user-zf6yc8lk1u Месяц назад
일본이 그냥 자기들 힘이 쎄서 열강시대 때 강대국들이랑 나란히 역사 써내리며 난장판 피우며 아직도 경제대국 유지하고 있는데 분할게 뭐가 있지..??
@user-cz4hf2ki7n
@user-cz4hf2ki7n Месяц назад
@@user-zf6yc8lk1u ㅡㅡ일본이 경제대국 ?
@Mapoman
@Mapoman Месяц назад
@@user-cz4hf2ki7n이걸 물음표 까지 처 찍으면서 경제대국? 이러고 자빠졌네 어려서 모르는거임 못배운거임?
@user-fe9if9un5g
@user-fe9if9un5g Месяц назад
캐나다 사는데 요즘 한국음식이 힙한 거 맞음
@Jun51253
@Jun51253 Месяц назад
캐나다사는데 전혀아님 한인타운에서나 인기있을듯
@user-ud4ff8wu4g
@user-ud4ff8wu4g Месяц назад
@xanderbogurtsoㅋㅋㅋㅋㅋㅋㅋ그만해 아파
@user-lm8nx8gu9v
@user-lm8nx8gu9v Месяц назад
내가 캐나다 살다 미국살고 있는데 힙한정도는 아님. 한인들 모여있는 교회만 다니면 한국음식이 힙해보임. 한국이 최고로 보임. 교포들의 기장 문제가 자신들은 외국에 왔으니 한국본토에 있는 사람들은 무시한다는거. 그래서 난 교포들 멀리함.
@user-el1vp8yx5m
@user-el1vp8yx5m Месяц назад
스시가 더 힙함.. 스시는 뭔가 고급적이다? 라는 이미지가 큰듯
@davelee4114
@davelee4114 Месяц назад
@@Jun51253촌동네 살면서 그런말 하지마라 요즘들어 부쩍 한국음식에 관심 있고 많이 안다
@Mmeg0
@Mmeg0 Месяц назад
2010 뉴욕시티 한인타운에 작은 김밥 집 할라피뇨 김밥..! 10n년 전에도 비싸다고 생각했지만 먹는 사람은 먹었어요. 저도 갓 성인이 되서(태어나서 자라난 나라 한국) 이런 가게가 너무 고마웠고 비싼 걸 알지만 진짜 진짜 먹고 싶을 때 한번 씩 먹었어요.(한식이 너무 먹고싶은 날이 있었어요..) 수익은 모르겠지만 저는 너무 감사했습니다. 사장님 정말 감사 했습나다
@churchunni
@churchunni Месяц назад
트죠에서 냉동김밥 팔기전에 이미 알디나 다른 마트에서 냉동 캘리포니아롤 팔고 있었습니다! 수정 요구해요!
@user-hu7xm3hr3d
@user-hu7xm3hr3d Месяц назад
밀린게 아니라 애초에 저렇게 생긴 건 전부 스시 롤로 생각함
@ajvcrjksojhbjv
@ajvcrjksojhbjv Месяц назад
국뽕은 위험해
@seonjongbaek1247
@seonjongbaek1247 Месяц назад
김한송 셰프님의 알아 듣기 쉬운 설명에 감사합니다. 물류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되네요
@h.j4225
@h.j4225 Месяц назад
의외로 김의 입에 달라 붙는 식감을 안 좋아하는 사람들이 꽤 많습니다. 꼭 전통 식이 아니고 캘리포니아 롤 식으로 김을 안쪽으로, 또 밥에 간을 많이 하지 않고 스시처럼 간장 소스( 물과 희석한 간장에 청양 고추를 아주 약간 , 거의 고추 향만 나는 수준이고 절대 짜거나 맵게 해서는 안되고요)에 찍어 먹는 것을 좋아하기도 합니다.
@user-pf8lw4lj9q
@user-pf8lw4lj9q Месяц назад
미국에서 한식당하다가 폐업한사람 중 하나입니다... 솔직히 분에 넘치는 돈 벌고 다 깔끔하게 털고 한국왔습니다... 4년동안 85억정도 벌고 한국 귀환했으니 ...폐업 했어도 아쉽진 않습니다.
@user-ym9jh4wx2x
@user-ym9jh4wx2x Месяц назад
85억 벌 정도로 잘됐는데 어쩌다 폐업하신건가요? 장사가 안된게 아니라 매각 하신건가요?
@user-hu7xm3hr3d
@user-hu7xm3hr3d Месяц назад
@@user-ym9jh4wx2x 총 매출은 그정도 나올수 있어도 실제 제할거 다 제하고 손에 쥐는 순수익은 저렇게 안나옴니다 ㅋㅋ
@user-bd9gx6nx9p
@user-bd9gx6nx9p Месяц назад
40년도 아니고 4년이면 대박이네요😂
@user-uo3pl9wp7p
@user-uo3pl9wp7p Месяц назад
@@user-hu7xm3hr3d 너 바보냐? 85억 벌었다는 말 뜻모르는듯..
@user-xu3wq5zm4y
@user-xu3wq5zm4y Месяц назад
큰뼉따귀하나던져놓고 잠잠 누가 달라고할까봐?
@space_rabbit
@space_rabbit Месяц назад
수출통관이 까다롭겠지만, 미국내에서 켈리포니아롤의 파이를 가지고와서 김밥시장으로 만들러면 미국에 공장 만드는거 말고는 해결법 없음 국내에서 만들어도 아무리 빠른 항공편으로 수출해도 특수냉장장치 달아도 꼬박 하루는 걸리고 미국내에서 식품통관하는데 하루걸린다치면 이미 마트에 풀릴때는 사흘정도내지 나흘지난 오래된 김밥임 편의점 조차도 오픈형냉장고 또는 여닫이냉장고에 FF식품으로 김밥류 넣어도 24시간 지나면 변질우려로 폐기처분하게 하는마당이니 (바코드 자체가 안찍힘 찍혀도 폐기대상이라고 안내창이나옴) 냉장김밥으로 승부를 해야되고 그럴러면 미국내에서 공장만들고 거기서 만들어서 생산하는게 답임 물론 배송도 기업이 직접해야되고 미국문류시스템이 느리다고 하니 (워낙 땅 덩어리가 크다보니, 마트나 이런데서 한번에 많은양을 매입했다 연말에 제고털이로 할인하는게 블랙프라이데이임, 그렇게 해서 제고를 털어내서 창고를 비워야 다음해 신규제품들을 받을수 있으니)
@CRO-arts
@CRO-arts Месяц назад
다행이다.. 김 수출량이 줄어들어야 자국민이 먹죠 가뜩이나 비싸지는데😊
@tyt1638
@tyt1638 Месяц назад
치맥을 유행시키기 어려운 이유가 의외로 간단했네요
@hder9
@hder9 Месяц назад
걍 좋으면 먹고 아니면 말게 냅둬
@user-gf8ds5fm5f
@user-gf8ds5fm5f Месяц назад
이게맞지 뭘 그렇게 해외인기에 집착하는지
@jaynine0519
@jaynine0519 Месяц назад
칙필에이 서부에 별로 있지도 않고 그렇게 핫한게 아닌데 꼭 트렌드인것처럼 전달하시네요. 동부 한정으로 봐야하고, 페리카나도 BBQ도 교촌도 전부다 이미 오래전부터 부위별로 팔고있는데요.
@younkibom
@younkibom Месяц назад
유행을 타다가 금방 식기마련..
@user-hm9kp9te2x
@user-hm9kp9te2x Месяц назад
김밥같은건 세계에 안 알려져도 된다. 한국사람들이나 싸게 오래 즐기자
@assss55
@assss55 Месяц назад
켈리포니아롤 유래 찾아보세요. 일식이 아닌 미국에서 만들어진음식임 예전에 미국인들이 생선을 잘 못먹어서 맛살과 아보카도만 넣은거임
@user-hq6qu9ze4l
@user-hq6qu9ze4l Месяц назад
그것도 일본인이 뱅쿠버에서 처음 자기 일식당에서 만든거임.
@user-lg6lj6rm9x
@user-lg6lj6rm9x Месяц назад
미국애들은 그것보다는 롤에 뿌리는 소스 때문에 먹는거임
@krauskim7662
@krauskim7662 Месяц назад
@@user-lg6lj6rm9x 동감 소스 맛으로 먹는거지 뭔 재료차이 어쩌고 웃기지도 않음
@kyumsangishard
@kyumsangishard Месяц назад
적어도 다른나라의 음식이 먹고 싶으려면 그 음식의 맛에 대해서 모를때는 그 나라의 이미지가 먹는 사람에게 매력적이어야 가능하다.. 예를 들어 방글라데시에 한식하고 비슷한 음식이 있다고 하더라도 그걸 먹고 싶은 사람이 있을까? 문화도 음식도 패션도 다 같은 맥락이지 않을까 싶다
@user-zu3ch7go4e
@user-zu3ch7go4e Месяц назад
Chef 김한송님의 분석 맘에 쏙 듭니다
@minjoonkim3066
@minjoonkim3066 Месяц назад
K-푸드에 대한 현실적인 시각과 앞으로의 방향성까지 제시해 주신 김한송 세프님의 방송 너무 잘 봤습니다.
@pepzingichelated2755
@pepzingichelated2755 Месяц назад
안 팔려도 된다. 기업만 좋지. 우리 먹을 김 값만 비싸진다.
@hyounkim8815
@hyounkim8815 Месяц назад
우리동네 에는 대형 미국인 대형 식품점에는 일본인 스시 점이 다있어요
@johnnyjung3
@johnnyjung3 Месяц назад
트레이더스조에서 파는 김밥을 사는 이유는 주변에 한식당이 없는 곳이 많아서 그렇게 보이는거고, 한인마트가 있는 곳은 이미 한식당, 김밥가게가 있기 때문에 굳이 냉동김밥을 5-6불 주고 먹을 필요가 없지요.
@jhha6984
@jhha6984 Месяц назад
스시가 맛나긴함
Дале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