Тёмный

[최강1교시] Full ver. 떨림과 울림이 만드는 세상 I 물리학자 김상욱 

캐내네 스피치
Подписаться 441 тыс.
Просмотров 228 тыс.
50% 1

대한민국 최고의 강연 ‘최강1교시’
우리 사회 각 분야에서 전문적인 역량을 발휘하고 있는 인물, 자신만의 강연 테마로 대중들로부터 반향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사람을 강연자로 초대해 해당 분야의 주제에 대해 흥미로운 지식과 공감의 향연을 펼쳐본다.
또한 그들이 전하는 열정적이고 진솔한 삶의 이야기를 통해 인생의 지혜를 얻고 모두가 배움을 통해 성장하는 ‘성장수업’의 장(場)을 마련하고자 한다.
본 영상의 저작권은 KNN에 있습니다.
방청신청
www.knn.co.kr/category/tv/firs...

Опубликовано:

 

29 авг 2020

Поделиться:

Ссылка:

Скачать:

Готовим ссылку...

Добавить в:

Мой плейлист
Посмотреть позже
Комментарии : 133   
@user-fc9pv7kx7n
@user-fc9pv7kx7n 3 года назад
과학적 사고와 인문학전 사고를 균형있게 갖추신 분 같아 무척 존경스럽습니다. 하나여야할 학문을 둘로 쪼개어 반쪽짜리 학자를 양산하고 문과와 이과가 서로 배척하는 지금의 현실이라 더욱 그렇네요.
@user-handle-handle
@user-handle-handle 3 года назад
대학에서 전기를 전공하였으나 그 의미를 모른채로 배웠다고 생각하게 된 계기가 김상욱 교수님 강의를 처음 듣고나서 였습니다. 나이 마흔이 넘어 새로운 깨우침을 얻게 되었어요. 이제 거의 모든 강의를 중복으로 다 들은것같아 서운하던 차에 새로운 강의가 올라왔네요 ㅎㅎ 너무 감사합니다. 좋은 가르침. 언제 기회가되면 꼭 찾아뵙고 싶네요.
@user-by6rd9wg3d
@user-by6rd9wg3d 2 года назад
부럽습니다
@a-jin1309
@a-jin1309 3 года назад
듣는 이가 이토록 이해하기 쉽고, 흥미유발적인 설명을 하기까지 얼마나 노력하시고 연구하셨을지 짧게나마 짐작해봅니다. 너무나도 좋은 강의 감사히 잘 들었습니다.
@aneogirl
@aneogirl 3 года назад
김상욱 파도타기 중 입니다~~ ㅎㅎㅎ 물체의 이치, 울림과 떨림, 인공지능 등등 끝도 없군요~~~!! 늘 감사드립니다 ~~ 👍😄💜
@0-0a.
@0-0a. 3 года назад
문이과를 누가쪼갠거냐 .. 이런 교육과정을 만든 사람은 책임을 져야함 대한민귝의 수많은 사람들 뇌를 반쪽으로 만들었음
@user-gg6ki1fj3c
@user-gg6ki1fj3c Год назад
한국의 칼세이건 같은 김상욱 교수님 같은 분이 많아져서 사회가 좋은 사회, 착한 사회가 되길 빕니다. 최고의 강의 감사합니다. 이런 강의는 외국인들도 봤으면 합니다. 영어 자막 있으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user-zs5vq4fb3y
@user-zs5vq4fb3y 3 года назад
학생시절에 과학중에 물리 제일 싫어했었는데 이렇게 매료적인 분야 인지 몰랐어요 알면 알수록 더 알고 싶네요
@jsjsnnjssk9923
@jsjsnnjssk9923 3 года назад
김상욱 교수님 강연 너무 친절하고 대중에게 이해하기 쉽도록 설명을 너무 잘해주셔서 좋아요~! ㅠ 😄
@simple4403
@simple4403 3 года назад
김상욱 교수님 강의는 물리를 철학으로 듣는 느낌.. 교수님의 떨림이 문외한인 저에게도 울림으로 다가와 감동..
@user-en3lb4ge1l
@user-en3lb4ge1l 3 года назад
1ㅣㅣ1ㅣㅣㅣㅣㅣㅣㅣㅣㅣㅣㅣㅣㅣㅣㅣㅣㅣㅣㅣㅣ1ㅣㅣㅣㅣㅣㅣㅣ1ㅣㅣ
@simple4403
@simple4403 3 года назад
@A 예.. 일단, 저는 수에 대한 개념이 아주 약하고. 어떤 문제를 분석하고 정의하는 사고가 부족합니다. 물리는 수와 공식등 저에게는 너무 어렵게 느껴졌었고, 그래서 수학자나 물리학자등을 엄청 경외합니다. 근데 이분 설명을 들으니 무슨 말씀을 하려는지 조금은 와 닿았고.. 제가 볼 때 철학은 '어떤것'에 대한 의문에 대한 답을 하는거라 생각했었는데.. 이 영상에서 '공명'에 대한 개녕을 조금은 이해해서 댓글 쓴 겁니다. 만약 운동에너지, 원자, 양자역학~ 어쩌고 했으면 전 또 머리가 하애졌을텐데, 떨림과 울림이라는 표현으로 거부감없이 설명해주셔서(
@simple4403
@simple4403 3 года назад
@A 아! 이 표현이 더 적당할것 같아요 저의 기준입니다 물리(지식, 학문, 어려움)를 철학(느낌, 인도(lead), 개념 정리는 못하지만 의도는 이해함)으로 받아들였어요. 이 영상을 전문가만 보라고 오픈한건 아니잖아요.. 그래서 문외한이라는 말도 덧붙인겁니다.
@skilove347
@skilove347 2 года назад
@@user-en3lb4ge1l 하지마라
@leesserotoncharacter7230
@leesserotoncharacter7230 2 года назад
@N 공명(공감)합니다. 김상욱 교수님의 강의가 보통 물리학을 주로 수학으로만 풀어내시는 분들의 강의 보다 일반인들이 알기쉽게 일상생활에 물리학을 접목시키려는 노력을 하시는 것은 사실입니다. 훌륭합니다. 하지만 철학까지 나아갔다고 보긴 어려울 것 같습니다. 상식수준이라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철학도 물리학 못지않은 학문입니다. 물리학자가 슥 건드리면서 "나 철학도 해요"라고 주장할만큼 그리 만만하거나 깊이가 얕은 학문은 아닙니다.
@freshmossk
@freshmossk Год назад
우주는 떨림이고 인간은 울림이다. 참으로 명언입니다. 좋은 강연 감사합니다
@user-fq9qv3pb6d
@user-fq9qv3pb6d 3 года назад
어려운 내용들을 너무도 쉽게 잘 설명해 주셔서 자꾸만 흥미가 생깁니다. 배움에 대한 욕구가 확 살아난답니다. 정말 감사드려요.
@jinyoungyim2643
@jinyoungyim2643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요즘 영성을 공부하다보면 주파수가 안맞느니 파동과 진동이 어떠니 하는 말이 많아서 생소했는데 교수님 강의듣고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양자물리학등의 현대물리학의 발전으로 정신세계에 대한 이해도 가능해지는 거같습니다
@susanakhkim4989
@susanakhkim4989 Год назад
FB 에 올리고 싶은데 ... 영어 subtitle 부탁합니다.........너무나도 중요한 강연입니다.....온 세상사람들이 배우워 야 하는 강의입니다!! 김 상욱 교수님~~ 정말 휼륭한 강연 고맙씁니다.
@Linaarigatou
@Linaarigatou 2 года назад
역시.. 학문적 논리 이론은 이렇게 교수님께 배우고 듣는게 최고네요. 과학관련으로 아무리 쫌 안다하는 유투버보다도 훨씬 머리속에 잘 들어오고 이해도 자연스럽게 됩니다.
@user-xc2cc7bq4q
@user-xc2cc7bq4q 3 года назад
자연과학과 인문학적 배경을 넘나들며 이해하기 쉬운 설명과 감동적인 마무리까지... 제가 들었던 강의 중에서 최고의 강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samarian007
@samarian007 2 года назад
이런 강의는 정치인,국회의원들의 필수 수강과목으로 해야한다.
@user-zw9uq2kz8o
@user-zw9uq2kz8o 3 года назад
좋은강연 감사합니다 책 주문하고 아직 도착 전인데 짧은 강연만으로도 벌써 울림이 큽니다
@user-sf2tl5rz3q
@user-sf2tl5rz3q Год назад
교수님 강의 잘 들었습니다. 떨림과 울림이라는것이 건전하게 지속될수 있도록 resillience를 잃지 않는 자연계와 인간계,…가 되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습니다.
@user-ge8ll2we2g
@user-ge8ll2we2g 3 года назад
우와 세상을 바로 볼수있게 하네요 고맙습니다
@user-ge8ll2we2g
@user-ge8ll2we2g 3 года назад
책을 알라딘에서 구입했습니다 저도 울림을 느끼고 싶습니다
@sunnyseong816
@sunnyseong816 3 года назад
최고의강연 고맙습니다.🤩🤩🤩🤩🤩
@user-ow2en1ox2r
@user-ow2en1ox2r 2 года назад
재생에너지 절약이답이다 좋은명언입니다 항상절약하는정신으로 생활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pg2ii7dp8u
@user-pg2ii7dp8u 2 года назад
정말 너무나 멋지고 가치 있는 강연 이었습니다 공짜로 듣기에 죄송할 정도에요 너무나 감사합니다^^
@user-uy3dw6xe2h
@user-uy3dw6xe2h 3 года назад
참으로 좋은 강의 입니다
@kujuiced134
@kujuiced134 3 года назад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user-gr5mj3cn9o
@user-gr5mj3cn9o Год назад
대학교 교수 중에 이런 방편으로 지식을 전달하니 참 희귀하고 대단하다. 아마도 외눈박이 서울대 출신이 아니라서 원근감과 다정한 능력이 그 까닭 아닌가 싶다.
@sea777
@sea777 3 года назад
김교수님의 설명이 너무 흥미롭고 재미있어서 푹 빠져들어요. 너무 팬입니다
@user-ve7hx5gu4i
@user-ve7hx5gu4i 3 года назад
감사히 강의들었습니다 고맙습니다
@user-ho4ls7ut4i
@user-ho4ls7ut4i 2 года назад
멋진 강연이네요~~ 김상욱 교수님 화이팅^^
@user-ii2jl1dt7t
@user-ii2jl1dt7t 2 года назад
존경합니다.
@user-ib1hy8pk2f
@user-ib1hy8pk2f 2 года назад
수면영상으로 틀어놨는데 잠이 안와...ㅜㅜ
@chitdei
@chitdei 3 года назад
고맙습니다 ~
@jh3329an
@jh3329an 2 года назад
학교에선 왜 이렇게 가르쳐주지 않았을까요..이렇게 가르쳐 주셨다면 공부가 정말 재밌어서 열심히 했을 것 같은데! 결국 공부는 세상을 가르쳐 주는 것이었어야 하는데..우리는 너무 진학과 등수를 위한 이해못할 공식만 죽어라 외우다가 포기한 자와 끝까지 발버둥 친 자로 나뉘는 것만 배운 것 같습니다.
@sylee2872
@sylee2872 2 года назад
쉽고도 어려운 물리학 고딩 물리쌤도 이렇게 설명해주셨었음 그렇게 무서운 과목으로 생각안했을걸~ㅎ
@jelodie1431
@jelodie1431 2 года назад
울기 시작했다요 😍 땡쓰
@jungkwon5179
@jungkwon5179 Год назад
Jaw-dropping lecture!
@eran140
@eran140 3 года назад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mirieun0617
@mirieun0617 2 года назад
ㅜㅜ 다시 대학가서 공부하고싶어요. 교수님 제자로ㅜㅜ 공부를 싫어하는 줄 알았는데 실은 배움에는 목 말라했던것 같아요. 50넘어 이런 기분이 들 줄이야
@tomo5866
@tomo5866 3 года назад
책 구매해서 읽고있어요 😄
@user-rq2gr6zg9c
@user-rq2gr6zg9c 6 месяцев назад
대한민국 너무 화가 나서 갈려고 합니다 박사님 김학명
@my1ife
@my1ife 2 года назад
물리학을 배워야 하는 이유
@ljs91389142
@ljs91389142 3 года назад
강의 잘듣고갑니다^^👍👍👍
@parkdonghyun1037
@parkdonghyun1037 3 года назад
이분의 최대의 매력은 따듯한 인간미뫄 연민. 물론 훌룽한 학자이시다.
@user-vt3fz5yw7p
@user-vt3fz5yw7p 2 года назад
증말 재밌네용 잠이 다 달아남
@user-fk8le3cb9h
@user-fk8le3cb9h Год назад
우와 신기해
@user-rs6or5ih2b
@user-rs6or5ih2b 3 месяца назад
뇌가 부정적이고 주장하는것을 받아들이면 용량이 적어집니다. 보이지 않는 중성미자의 영역은 엄청난것이며 우주의 어떤물질 보다 안정적인 진공상태를 유지시키고 있는 것입니다. 인간관계가 중성자 중성미자로 돌아가는 것이며 관계망을 촘촘이 붙잡고 있습니다. 주장이 없어 보이지 않지만 우주의 에너지 80 90프로가 블랙에너지라 목화토금수 행성 별 위성을 잡고 사람도 잡고 모두를 잡고 있을것입니다. 중력입니다. 사람의 마음을 잡아주는것도 중도입니다. 가장 중요하며 인생의 전부라고 해도 될것입니다. 주장함이 없으면 에너지 흐름이 자연스러우며 생활이 유연하며 피가 원활하며 피부가 노화가 늦게될 것입니다.
@user-ld5yw2ts8k
@user-ld5yw2ts8k 3 года назад
감사합니다 정보
@DARIKING
@DARIKING Год назад
19:30 34:30 46:54
@user-uk1bo9hz1v
@user-uk1bo9hz1v 2 года назад
김상욱강의
@ejay3280
@ejay3280 3 года назад
배경음악이 집중에 방해가 되는데 확인 부탁드립니다.
@hyemin5896
@hyemin5896 3 года назад
bgm 머선129...
@parkdonghyun1037
@parkdonghyun1037 3 года назад
강의중 기후위기의 언급은 아주 적절했습니다.
@heejehkim3650
@heejehkim3650 3 года назад
👏👏👏
@user-id2cc9bf4s
@user-id2cc9bf4s 3 года назад
아니.. 다 좋은데 특정 부분에서 두가지 다른 음악을 섞어서 강의에 집중이 안되게 하네요
@user-ye6db9zm4e
@user-ye6db9zm4e 2 года назад
👏👏👏👏👏👏👏
@user-um1mu2qm4h
@user-um1mu2qm4h 2 года назад
목소리만 듣고싶은데 음악이나오네요
@user-ki9ui9iz3b
@user-ki9ui9iz3b Год назад
당연한것이 당연하지않다는 것은 성경과는 다르구나
@user-db1df5yp1k
@user-db1df5yp1k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9:26
@user-qi8nh9ky9w
@user-qi8nh9ky9w 3 года назад
과학은 인간의 시각으로 바라보는 관점일 뿐입니다. 그리고 모두 맞는 말도 아닙니다. 과학자들이 살아가는 방식일뿐이죠. 과거 어느 시대에도 절대적 과학적 지식이 있었지만 그건 시대가 지나면 참이 아닌 것으로 밝혀지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현대 과학도 시간이 지나면 거짓으로 바뀔 게 많습니다. 그걸 진보라고 명명하면서 변명을 하죠. 인간은 차원에 대해 이해할 수 없습니다. 그런데 이러니저러니 이론들을 내세웁니다. 지면에 붙어 사는 존재는 나무 그림자를 보고 평면의 나무를 나무라고 하겠죠. 그런데 나무는 입체로 생겼습니다. 지면에 붙어사는 존재는 나무의 실체를 알 수 없습니다. 인간도 마찬가지입니다. 과학은 재밌고 신기하지만 세상을 불완전하게 바라보는 하나의 방법일 뿐입니다.
@anbayo1
@anbayo1 3 года назад
잘못된 관점을 갖고 계시네요.
@jdh0394
@jdh0394 3 года назад
Bgm 누가 넣었어 대체 확 짜증나네
@user-vl2ju5dn7x
@user-vl2ju5dn7x 3 года назад
관심을가지게됏어요
@jyoon3024
@jyoon3024 Год назад
다 좋은데 배경음악이 묘하게 집중을 방해하네요
@ChaN-ms7fe
@ChaN-ms7fe Год назад
6:00
@highwind261
@highwind261 Год назад
현대는 세슘의 원자의 진동을 시간의 척도로 사용 할 만큼의 머신을 만들 정도는 되었지만 공간과 시간과 온도의 의미를 인간의 언어로 이해 하지 못할 꺼 같네요. 교수님이 괴테에 고전에 나오는 메피스토펠리스에게라도 조언을 얻었으면 좋겠다는 농담도 하셨던 걸로 아는데. 인간의 기술에 인간이 겪었던 악마적인 사건 때문일지도요. 그래도 계속 발전하겠지요.
@luckyc9813
@luckyc9813 3 года назад
bgm좀 꺼 ㅡㅡ
@user-ug1sp2lc7d
@user-ug1sp2lc7d 2 года назад
Killing point 20:50 39:18
@igwain
@igwain 2 года назад
음악이 너무 방해를 한다는 생각.. KNN PD들아.. 성의없게 하지마,, 편집을,, 이 아름다운 이야기들을 갖다가,,되도않는 음악으로 버무리려 하다니..하여튼 방송국 PD들 다짤라버려야지 원..
@user-jk4mm6kh3y
@user-jk4mm6kh3y 3 года назад
48:33
@user-sm6fv6kw7h
@user-sm6fv6kw7h Год назад
쉬원쉬원한 강의 감사드립니다. 그런데 산소는 그러면 죽은 것인가요? 전자 8개와 양성자 중성자가 모여 산소가 탄생하고 일단 탄생한 산소는 스스로를 유지하려하며(의식의 존재) 에너지 상태가 높을 때 또 다른 산소를 낳으며 (자기복제와 superposition) 환경에 따라 해체됩니다(죽음). 우리는생명에 대한 관점이 너무 편협한 것 아닌가요?
@jakeoh3648
@jakeoh3648 3 года назад
강의 말씀 중에 배경음악 넣으니깐 집중에 방해됩니다
@Meunuaru
@Meunuaru 3 года назад
BGM 쓸데없이 집어넣고 강연소리랑 겹치게 하는 거 너무 불편하네요...
@user-he8jz6or2n
@user-he8jz6or2n 2 года назад
+
@user-nq8rm9qq6w
@user-nq8rm9qq6w 3 года назад
과학과 창조는 맞닿아 있다
@fullaccesscode
@fullaccesscode 3 года назад
떨림과 울림으로부터 세상이 비롯된 것이 아니고, 우주의 운동, 우주의 진행이 떨림과 운동으로 표현됩니다. 우리 인류가 함께 사는 것도 떨림과 운동입니다. 각종 법률들로 우리 인류의 떨림과 운동들ㅇ을 제한하여 하지만, 인류가 우주를 지배할 수 없습니다.
@user-ry4my1yw6t
@user-ry4my1yw6t 3 года назад
아가야 원자들이 진동해서 그 파장으로 물질을 이룬다고... 이해력이 딸리면 그렇구나해...
@user-ry4my1yw6t
@user-ry4my1yw6t 3 года назад
떨림이 고유진동수이며 울림이 그 파동이야 초등학교 야간 나왔냐? 지식에 너의 개똥철학을 첨가시키지마라 진리는 단순하기에 너같은 오류로 인해 진리는 쉽게 왜곡되는거야
@user-ry4my1yw6t
@user-ry4my1yw6t 3 года назад
우주랑 인류가 별개로 생각할 수 있는 이유는 인류에게 있는 자유의지 와 지적생명체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너같은 오류가 발생하는거고 각종 법률들과 도덕과 철학이 너를 짐승과 다르게 제한해주고 구별해준다. 지배같은 앞뒤 안맞는 개.소리하지마라 함께 산다면서 먼 지배? 우주는 상호협조야
@user-ry4my1yw6t
@user-ry4my1yw6t 3 года назад
암튼 이런 쌍.노무세기들이 많아지면 일단 중국같은 나라 아니 인구집단이 형성되고 그런넘들이 조금 배우면 파시즘이 되지... 그래서 지배,잘못된 지식 등 이딴 사상을 갖고 처 사는거야
@user-bk8dy2rs4j
@user-bk8dy2rs4j 3 года назад
@@user-ry4my1yw6t 내가 하고싶은말을 말해줘서 고맙다. 하지만 난 자유의지에대해선 동의하지 않는다. 난 인간의 자유의지는 없다고 생각한다.
@tntchizuru
@tntchizuru 3 года назад
판곡업
@user-sq9xh2rb7e
@user-sq9xh2rb7e 2 года назад
우주가 얼마나 넓은지도 알았고 물질을 쪼개고 쪼개면 원자의 세계라는 것도 알았다. 그래서? 나는 누구고 너는 누구냐 세상은 왜 존재하지? 죽음 후의 세계는 있는가 보이지 않는세게
@user-rz3nr6jy4l
@user-rz3nr6jy4l 2 года назад
반딧불이의 공진현상 설명하실때 요런 생각 들었는데.. 학교다닐때 쉬는시간 다같이 떠들고 놀다가 갑자기 급 싸해지면서 조용~해지는 거... 나만 경험했낭
@kangiron6451
@kangiron6451 Год назад
명강의에 잡소리는 왜 넣는지..
@user-vl2ju5dn7x
@user-vl2ju5dn7x 3 года назад
반딧불로단어를끊어도되는데용
@freedom_2699
@freedom_2699 3 года назад
"세상의 모든것은 움직이고 변한다!" -김개똥- 아낌없이 주는 나무가 항상 제자리에 있었다구요? 아버지 차 백밀러에 항상 걸려있던 목주는 항상 차안에 있었지만 항상 같은 도시에 있지는 않았죠. 지구라는 자동차에 심어져있는 나무는 우주에서 한번도 같은 위치에 있던적이 없죠.. 잘 모르지만 끄적여 봅니다~ㅋ
@yhkim4320
@yhkim4320 2 года назад
더 크게 보면 모든것이 존재하는 것도 당연하지 않다? 그럼 어떠한 목적에 따라 만들어졌다는 것인데... ~~;
@user-zt8my4jf9c
@user-zt8my4jf9c 2 года назад
공진설명하실때 배경음악이 너무커 강의집중이 어려웠습니다;
@user-sq9xh2rb7e
@user-sq9xh2rb7e 2 года назад
그럼로 원래대로 마무 것도 없던 처음으로 돌아가겠군
@oldtree376
@oldtree376 2 года назад
최민수도 떨고 있는데..
@user-ot3ct4rb6l
@user-ot3ct4rb6l 3 года назад
사회학과의 매칭은 논리적비약으로 흘러
@baaksungjune7834
@baaksungjune7834 2 года назад
음악 왜 이러지 ㅠ 피디님이 과학 싫어하시나..
@user-sq9xh2rb7e
@user-sq9xh2rb7e 2 года назад
과학이란 아무리 잘 포장해도 그냥 보이는 세계를 관찰하는 것일 뿐. 그러나 현존하는 인간에겐 중요하긴 하지
@ppang-san
@ppang-san 2 года назад
ㅇㅅㅇ
@user-us9tm7yu6f
@user-us9tm7yu6f 2 года назад
밥만 쳐먹고 똥만 싸는 놈들은 지구가 멈춰 있고, 평면이라고 할 수밖에 없는 원시인들임. 밥과 똥이 전부인 놈들은 그냥 보고, 과학자들은 골깨지도록 계산한 결과를 확증할 목적으로 관찰기구를 사용해 보는거임. 흔해빠진 원시인들과는 완전히 다름.
@user-qjsub162gav
@user-qjsub162gav 2 года назад
ㅁㅁ
@kimteksu
@kimteksu 2 года назад
도저히 듣다듣다 짜증나서 댓글 남겨요... 아니 뭔넘에 배경음악을 이리 정신없게 넣습니까? 볼륨이라도 낮으면 몰라... 정말... 스트레스를 주는 브금이네요. 다시는 이런식의 편집을 하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Pedro-zq8fr
@Pedro-zq8fr 2 года назад
배경음악 왜케 거슬리냐. 좋은 강의 다 망치네.
@ljy2502
@ljy2502 3 года назад
징하게어렵네
@user-xn4mj1wl5r
@user-xn4mj1wl5r 2 года назад
Fm들이 하는 개소리들이 문제가 있다는 건 알고 계시는구나. 에휴. 팁핑 포인트를 벗어날까봐 화가 나는 거죠. 아니 이미 벗어낫죠. 경찰의 성비를 억지로 맞추려는 노력이 말이나 되나요.
@user-yc6xw4ek2p
@user-yc6xw4ek2p 2 года назад
고유진동수 란 ㅋㅋㅋ ㅋㅋㅋ 너 양아다 ㅋㅋㅋㅋㅋ
@drkess9427
@drkess9427 3 года назад
흠.... 인간으 ㅣ생체 시간은 계산 안하시네 ㅎㅎㅎ 인간의 생체시간은 어느 행성 어느 별을 가든 똑같습니다.
@user-yi7zw3pz7y
@user-yi7zw3pz7y 3 года назад
아무 것도 없는 방안에 시계도 없이 님이나 사람들 가둔 다음에 시간이 어떻게되가는지 물어보라. 1년 이상 기준으로! 다 시간이 다를 것이다 ^.^ 생체시간의 기준은 무엇인지가 중요 할 듯
@user-nq6ld3db9j
@user-nq6ld3db9j 3 года назад
물리학자가 인문학을 이야기할 때에 조심해야 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 예를 보여준 것 같아 안타깝습니다. "사회는 복원력이 있다" (ex, 양성평등) 이것을 물리학을 이야기하며 슬쩍 끼어서 이야기하사면, 마치 사회의 복원력을 어떤 법칙인 것처럼 오해하기 쉽습니다. 사회가 복원력이 없어 깨어지고, 파국을 맞은 역사의 예가 얼마나 많은데 저런 말씀을 하시는지요. 물론, 감동을 불러올 수 있는 한 예는 될 수 있겠지만, 그것이 결코 사회의 복원력이 물질의 복원력과 어떤 상관관계가 있다는 듯이 말씀하시면 그것은 사회과학자들에게는 너무나 황당한 이야기가 됩니다. 이 외에도 들으면서 순간순간 '저건 좀 위험한 이야기인데...'하는 부분이 너무 많았습니다. 존경하는 물리학자 이시지만, 인문학이나 사회과학의 영역에 대해 말씀하실 때에는 조금 더 조심스럽게 접근하셨으면 좋겠습니다.
@anonymous-wh8sf
@anonymous-wh8sf 2 года назад
노무 지루하다 뭔소린지
@nijuma2794
@nijuma2794 2 года назад
강의 내용이 서울을 향하는지 평양을 향하는지ㅡ 차암 어렵게도 돌아가네요!
@user-yc6xw4ek2p
@user-yc6xw4ek2p 2 года назад
천문학자는 참 시간의 쌈인거 ㅋㅋㅋㅋ첨
@jiyongpark8284
@jiyongpark8284 2 месяца назад
물리법칙으로 사회현상을 억지로 설명하려고 하는것은 궤변같소만..
@user-ml6ds6wt8i
@user-ml6ds6wt8i 3 года назад
김상욱교수님은 물리학자입니까? 아니면 물현상학자 또는 사회학자입니까? 당신은 물리를 말하지 않고 물현상만 말하고 있지 않습니까? 도데체 당신은 물리를 알기나 합니까?
@user-ji7jf7fx7j
@user-ji7jf7fx7j 3 года назад
;;
@kilsunseo5224
@kilsunseo5224 3 года назад
데가 아니라 대
@anbayo1
@anbayo1 3 года назад
대중강연듣고 뭔 헛발질하는거야. 불만족스러우면 가서 논문찾아 읽던가
@junglim3322
@junglim3322 3 года назад
도대체 당신은 명상을 알기나 합니까?
@user-vs9io8wv9p
@user-vs9io8wv9p 2 года назад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yc6xw4ek2p
@user-yc6xw4ek2p 2 года назад
참 턴문학에서 기준점이란거 알면서 ㅋㅋㅋㅋ 니네 나라가 기준점 ㅋㅋㅋㅋ참
Далее
How the hell is this done#joker #shorts
00:14
Просмотров 1,9 млн
Как выжить на 1000 рублей?
13:01
Просмотров 544 ты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