Тёмный

Will Korea Disappear by 2040? What if We Can't Solve the Low Birth Rate Problem? 

The Frog Outside the Well
Подписаться 150 тыс.
Просмотров 3,4 тыс.
50% 1

Professor Peterson held a "meet-up" with his subscribers -- before getting into the talk, he encouraged everyone to marry, and have lots of kids. He thinks Korean society has been brainwashed to think "have only two and raise them well" is still the answer. Everyone agrees that this is a serious problem, yet, people are not marrying, are marrying late, having no children, or having only one or two. All that needs to change!
Join this channel to get access to perks:
/ @thefrogoutsidethewell
Website: www.frogoutsidethewell.com
Facebook: / thefrogoutsidethewell
Instagram: / thefrogoutsidethewell
Chapters:
00:00:00 - Introduction to Korean Family Dynamics
00:00:53 - Joining the "Meet-Up" on Korean Societal Issues
00:01:14 - Advocating for Larger Families in Korea
00:01:36 - The Cultural Shift Towards Preferring Daughters
00:02:08 - Reflections on Korea's Poverty and Development
00:02:40 - The Historical Large Family System in Korea
00:03:09 - Changes in Family Dynamics from the 70s to the 90s
00:03:34 - The Technological Impact on Family Planning
00:03:59 - Current Preferences for Daughters Over Sons
00:04:27 - A Call to Address the Declining Birth Rate

Опубликовано:

 

28 июн 2024

Поделиться:

Ссылка:

Скачать:

Готовим ссылку...

Добавить в:

Мой плейлист
Посмотреть позже
Комментарии : 45   
@yesno9065
@yesno9065 4 месяца назад
박사님의 말씀대로 한국은 고정관념을 쉽게 고친 적이 많았습니다. 계몽이 먹히는 민족이라는 것이죠. 작금의 현실은 매우 암울하지만, 이 역시 한국인에게는 해결할 수 있다는 잠재력이 있다는 것을 믿습니다.
@user-cg8ys4gl3j
@user-cg8ys4gl3j 4 месяца назад
교수님 감사합니다 저번 한국에 오셨을때 영상보고 구독자 되었습니다 우리나라 대한민국 좋아해 주시는걸 보고 정말 감동이었습니다 좋은 말씀 많이 해주시길 부탁드림니다 🎉🎉🎉
@shingundon
@shingundon 4 месяца назад
할아버지 그것 때문에 안 낳는 거 아녜요. ㅠㅠ 이유는 매우 복합적입니다. 건강히 오래 사시길 바랍니다.
@user-bv9kl7ly8h
@user-bv9kl7ly8h 4 месяца назад
안녕하세요 마크 피터슨 교수님 항상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건강하세요
@user-zq9bx2lw1y
@user-zq9bx2lw1y 4 месяца назад
제가 제일 궁금햇던 주제인데 빨리 보고 싶네요.
@user-zq9bx2lw1y
@user-zq9bx2lw1y 4 месяца назад
교수님 한국 사람들 만날때마다 저출산 해결하자고 얘기해 주시욤.😊
@user-sd7rp7eh3g
@user-sd7rp7eh3g 4 месяца назад
교수님. 사랑합니다 ❤
@sunghyunkim2394
@sunghyunkim2394 4 месяца назад
교수님. 정말 좋은 말씀 감사드립니다.
@lycos888
@lycos888 4 месяца назад
작년 발간된 한국은행 보고서 보면 50년 후인 2073년에 합계 출산율 0.82(가장 낮을 경우라고 잡은 게 이 수치인데 이미 작년 출산율 0.7대 진입) 유지한다면 한국 인구가 3170만명에 46%가 65세 이상이라는데.. 근데 0.82 유지 되겠어요? 당장 내년에 0.6대로 떨어지고 정책 흐름상 앞으로도 수도권 집중이 가속화 된다고 보면 한국 전체 출산율은 점점 더 서울의 현재 출산율인 0.5에 수렴하고 그 선에서 유지된다면 한국 전체 인구가 2200만~2400만 되고 노동인구는 해방 직후보다 적습니다. 그리고 이민 조건 완화하면 이민자들 늘 것 같이 얘기하는 학자들도 있던데 한국은 이민 오기에 메리트가 있는 나라가 아닙니다. 외노자들에게 한국이 인기 있는 이유는 상대적으로 고임금을 받을 수 있는 한국에서 돈 벌어서 고향에 돌아갔을 때 큰 메리트가 있기 때문이죠. 현시점에 내전 등 정치경제적 이유로 가장 많은 난민이 발생하는 아프리카와 중동 난민들이 정착하기 희망하는 최선호 지역이 EU, 미국, 호주, 캐나다이고 최하순위 국가가 일본, 한국입니다. 중국은 이민을 아예 받지 않으니 빠져있고 일본보다 한국이 낮습니다. 난민들이 유럽 선호하는 건 유럽이 문화적 차이도 작고 이미 자국 출신 이민자들이 많아 커뮤니티가 형성 돼 있는 게 가장 큰 이유이긴 한데 찬밥더운밥 가릴 처지가 아닌 난민들도 한국 사회가 자기들이 정착해서 살기 힘들다는 거 알고 있다는 말이죠. 2023년 신생아수가22만, 올해 21만대, 내후년 20만 이하로 떨어지는데 아시안컵에서 우리와 4강에서 만난 요르단이 인구 1100만인데 2020년부터 인구 5100만인 우리보다 한해 태어나는 신생아수가 많습니다.. 현재 한국의 신생아수는 대부분의 인구 1000만대 국가들과 별 차이 없음. 참고로 인구학에서는 외부 유입 없다면 인구 유지 출산율이 2.1 그리고 초저출산율을 1.3로 정의합니다.
@TheFrogOutsidetheWell
@TheFrogOutsidetheWell 4 месяца назад
유식한 댓글 감사합니다.
@jwkim9060
@jwkim9060 4 месяца назад
🌟🌟🌟🌟🌟 🇺🇲🇰🇷 LA Carson U . S . A . Denniss Moon 입니다... 기대됩니다 ... 감사합니다... ❤💖🧡🌟🌍🌎🌏
@user-jc8el2tp8h
@user-jc8el2tp8h 2 месяца назад
피터슨교수님 존경합니다~~ 그리고 감사합니다~~
@TheFrogOutsidetheWell
@TheFrogOutsidetheWell 2 месяца назад
Thank you.🙏
@Jake-gy7qo
@Jake-gy7qo 4 месяца назад
Hello Professor, I believe there is no pragmatic way to stop Korea's declining birthrate. It has surpassed a level that is realistically reversible. Furthermore, low birthrates are not unique to Korea but a global trend. The United States, for instance, sees a continuous decline in its white population, and the same trend is observed in Western Europe and East Asia. Moreover, as the education level of the populace rises, traditional national policies for population control, as in the past, are no longer applicable. Therefore, I, for one, think it's more practical to shift focus towards discussing contingency plans rather than futile attempts to halt population decline. Some rough ideas I've considered include: 1. Increased implementation of automation systems in businesses and society. 2. Maximizing the efficiency of human resources through qualitative improvement in education. 3. Reutilization of the elderly workforce through education. 4. Transition from labor-intensive industries to technology-intensive industries. 5. Temporary measures such as sourcing labor from abroad through globalization (though I'm somewhat skeptical about this). Since the future is inevitably headed towards the era of AI and automation, and declining populations are an inescapable fate for all nations, regardless of their efforts, I believe that acknowledging the decline and preparing for it is the wise approach. Modern Korea has always survived by being one step ahead of others in adapting to changes, so acknowledging and preparing for population decline seems like a prudent choice. Thank you
@TheFrogOutsidetheWell
@TheFrogOutsidetheWell 4 месяца назад
Great insights and analysis. Thank you. So the question is will Korea again rise to the challenge, not by stopping the decline in population, but in dealing with it.
@Jake-gy7qo
@Jake-gy7qo 4 месяца назад
​@@TheFrogOutsidetheWell Thank you for your response, Professor. It's an honor. If Korea were a global economic powerhouse like the United States or China, population decline would indeed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its international influence. However, Korea is a mid-sized nation with a population of around 50 million. Even with considerable development, surpassing the influence of the United States or China would be nearly impossible. Therefore, I believe that Korea's population decline may not be as significant a shock as people think. There are many countries with smaller populations than Korea that are more developed. Of course, severe demographic imbalances across age groups will undoubtedly lead to other issues. For example: 1. Korea may struggle to adapt quickly to rapid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environment. 2. The significant incr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could have adverse effects on national governance. 3. Korea's pop culture may lose its influence to a greater extent. These various and emerging societal, economic, and cultural issues will pose another challenge to Korea, and it's important for the nation to confidently address them rather than avoid or ignore them. Ultimately, I personally believe that while efforts to slow down the decline in population are important, it is far more crucial to accept the decline and devise strategies to cope with it. Thank you, Professor, for always caring about and supporting Korea.
@AirInJuneSunnyK
@AirInJuneSunnyK 4 месяца назад
헛소리하지마세요 영어로 세뇌시키지말라잖아. 교육수준 높아지면 r&d 스타트업등 경제활동 개발등의 욕구가 커지고 대규모 소비 관광을 늘려야하는데 로봇이 어떻게 소비를해 통일이 정답
@pkim07
@pkim07 4 месяца назад
As always, circumstances will force Koreans to act, and Koreans have met the challenge many times before.
@user-eo6km6mc5o
@user-eo6km6mc5o 4 месяца назад
또 우리나라는 이걸 이겨내야죠!
@TheFrogOutsidetheWell
@TheFrogOutsidetheWell 4 месяца назад
저도 그렇게 생각해요.
@sara.cbc92
@sara.cbc92 3 месяца назад
I certainly hope so!
@k.joomihyun
@k.joomihyun 4 месяца назад
감사합니다
@thinking_about_you
@thinking_about_you 4 месяца назад
제 할머니께서는 6남매를 낳으셨어요. 한국전쟁 당시에 황해도에서 남으로 피난하셨는데 그나마 다행이었던 것이 할아버지께서 목수여서 집을 직접 지으셨다고 합니다. 제 어릴 때 기억은 너무 좋았는데 엄마는 혼자서 그 많은 식구들의 살림을 하느라 너무 힘드셨다고 하셨고 할머니도 돌아가시기 전에 저에게 결혼하지 말고 엄마랑 즐겁게 살라고 하셨어요. 그때는 몰랐지만 결혼을 하고보니 시월드는 제가 생각했던 것보다도 더 이해할 수 없는 일이 종종 있었습니다. 여성들이 고학력의 교육을 받으면서 불합리한 여건이나 제도에 불만이 있을 수 밖에 없고 결국 연애는 하지만 결혼은 기피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2자녀 낳기는 정부의 계획적인 인구조절을 위한 것이었습니다. 조금씩 변하고 있다지만 여전히 직업을 가진 주부는 수퍼우먼처럼 일과 육아 그리고 집안일까지 도맡아해야 하는 것이 당연한 것으로 여기는 시월드가 아직 많습니다. 여기까지는 저의 생각중에 일부분입니다. 박사님께서는 저출산의 원인을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user-ju6hx3gl7s
@user-ju6hx3gl7s 4 месяца назад
슈퍼컴퓨터가 계산한 인류멸망 시기는 10년마다 갱신을 함에도 불구하고 2040년 전후로 바뀌지 않고 있습니다. 전세계가 힘을 모아 오존층파괴는 막았으나 지구온난화 해결책에는 협력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2차세계대전이후 극우가 사라질것 같았지만, 경제불황은 정치적으로 또다시 극우를 활개치게 만들었습니다. 다만, 기후변화와 극우정치로 인한 전쟁으로 인류가 멸망하지 않는다면, 한국은 방법을 찾으리라 믿습니다.
@pkim07
@pkim07 4 месяца назад
One suggestion is to allow people to work remotely so that they can live in a cheaper and less stressful area in the provinces. In addition to possibly raising the birth rate, this proposal could also stem the problem of dying places in the sticks and the bad concentration of HALF the population in the Greater Seoul area.
@user-wy7ph6mm6b
@user-wy7ph6mm6b 4 месяца назад
@kuelee9968
@kuelee9968 3 месяца назад
6.25전쟁통때도 지금보다 많이 낳았는데 어쩌다 대한민국이 멸종의 길로 걷고 있는건지 참 통탄스럽습니다
@SoyoungRo
@SoyoungRo 2 месяца назад
Korean Peninsula makes people stronger no matter what the gene is. Whoever survives in there, will become TRUE Korean Citizens cuz that means that person is entitled to live in there. Honestly, I failed living in my own country I was born. I studied English, I did my homework, I escaped from there. Korean Peninsula is real a tough one. But whoever survive there, that person will be thriving for a long time.
@jambrota304
@jambrota304 4 месяца назад
👍👍👍👍👍🤍🤍🤍🤍🤍
@dal5796
@dal5796 4 месяца назад
지금대로라면 두세대면 사라집니다. 어려운 계산도 아니고 간단히 계산기 지수함수 써서 두드려보면 수학적으로 자명
@_chris__lee
@_chris__lee 3 месяца назад
두세대까지 갈까요? 0.4~0.5프로까지만 가도 북한이 쳐들어올거 같은데 ㅋㅋ
@leonardodicaprio4561
@leonardodicaprio4561 2 месяца назад
Feminism + Materialism + Consumerlism
@abeuwillans6051
@abeuwillans6051 2 месяца назад
"Promo SM"
@johnyu2532
@johnyu2532 4 месяца назад
인구가 줄어도 나라 안 망합니다. 인구가 계속 줄다가 10~20년 사이에 다시 바닥찍고 인구가 증가할 거라고 봅니다. 그리고 로봇과 인공지능으로 노동력이 대체될테고 한국 사회가 이미 그것을 가장 빠르게 받아들이고 있죠. 과거처럼 인구가 국력인 시대가 더이상 아닙니다. 인구는 많지만 국민이 비참하게 사는 국가보다, 인구는 적어도 개개인이 행복한 사회로 가는 게 바람직한 방향입니다.
@_chris__lee
@_chris__lee 3 месяца назад
이건 또 뭔 신박한 개소리를 장황하게 늘어놓은거지.. 일반적인 상황에서야 그럴 수 있겠는데 우리나라는 휴전국가임. 기회를 틈틈히 보고 있는 북한 입장에서 출산률 떨어지면 국방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기회를 노려 쳐들어올 가능성 매우 높음. 그럼 그 잘난 AI 들먹이면서 군사목적으로 개발하면 되지 않냐고 반문하겠지. 이쪽 공부해서 아는데, AI 훈련과 테스트 데이터들 수집은 사람노동력과 시간 때려박아야 하는 일 아닌가? 수많은 시행착오 끝에 훈련 모델이 생성되는건데 그 시간과 인력과 비용은 누가 감당함?
@_chris__lee
@_chris__lee 3 месяца назад
이유는 사실 다중복합적이라고 봅니다.. 지금 2030 세대가 베이비부머들의 자식들이라 연령 분포가 이쪽에 꽤 쏠렸는데, 아무래도 박터지는 교육 경쟁 속에서 살았던 세대다보니 아무런 생각 없이 애를 낳았던 세대와는 좀 다릅니다. 아이를 어떻게 키울지에 대한 비전 설계와 그에 대한 비용 충당도 만만치 않지요. 과연 내가 아이 앞에서 떳떳한 부모가 될 수 있을지와, 아이에게 내가 살았던 과도한 부담 속에서 살게 할 수 있을 지를 고민할 수밖에 없는 거죠. 페미니즘 사상도 한 몫 했지요. 좌파 정치인들이 이걸 이용해먹으려고(여자 투표 몰아 받겠다고) 남녀 갈라치기를 해버렸지요. 2030 남자들은 그 사상에 질려버려 한국을 떠나겠다거나, 외국여자를 만나겠다는 사람들이 늘고 있습니다. 2022년 자료를 보면 국제결혼을 한 사례가 25프로나 된다고 하더라구요. 디씨인사이드 주식 갤러리 보시면 남자들이 얼마나 화나있는지, 여자들을 잘못 만나 물어뜯기고 털린 사례를 통한 이론들을 보실 수 있습니다..
@Dspellmagic
@Dspellmagic 4 месяца назад
한국은 사라지지 않아요.
@user-vz1ku1sz9w
@user-vz1ku1sz9w 3 месяца назад
황소개구리 아니야ㅎㅎ
@user-cm1xn2vf5z
@user-cm1xn2vf5z 4 месяца назад
제 생각에는 북진통일하는 방법밖에 없을거라 생각합니다
@user-ni5xx5mw6n
@user-ni5xx5mw6n 4 месяца назад
대한민국 희망은 오르지 허경영 33정책 올4월 국가 혁명당 비례대표 한표 행사하면 위대한 국민이 되는겁니다 여러분 대한민국 모든문제 해결됨니다
Далее
LISA - ROCKSTAR (Official Music Video)
02:48
Просмотров 31 млн
The Hopeful Message Korean History Offers
12:34
Просмотров 6 тыс.
Asking Japanese Muslims Why They Converted To Islam
16: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