Тёмный

이제 대학까지 소멸... 쏟아지는 폐교 위기, 기회로 바꾸는 방법은? 

셜록현준
Подписаться 1,3 млн
Просмотров 239 тыс.
50% 1

#폐교 #학교 #지방대학
이제 대학까지 소멸 위기..?
심각해지는 폐교 문제, 활용할 방안은?

Опубликовано:

 

28 фев 2024

Поделиться:

Ссылка:

Скачать:

Готовим ссылку...

Добавить в:

Мой плейлист
Посмотреть позже
Комментарии : 342   
@user-fx7dl5xu5w
@user-fx7dl5xu5w 3 месяца назад
진짜 이렇게 되기를 바랍니다. 정말 좋은 아이디어네요. 가까운곳에 공원ㆍ도서관ㆍ미술관 많이 생기면 좋겠어요
@july07231106
@july07231106 3 месяца назад
그러네요... 돈만 생각하고 천편일률적인 상가를 만들어 놓고 당연히 임대가 잘 될거라고 생각한다는게 참... 자영업자가 사고 싶은 상가 일하고 싶게 만드는 상가를 건축하는게 중요하다는 걸 깨닫게 됩니다.
@user-qz3iz6ek5z
@user-qz3iz6ek5z 3 месяца назад
무 계획의 허가 쓰레기 더미에 살게 하는 인-허가 문제 입니다
@AnsenTube
@AnsenTube 3 месяца назад
우리나라의 문제점이라고 생각하시는 몇가지를 애기해주신듯 하네요. 많이 공감합니다. 결국 인구는 줄게 되어있고 언제까지고 지금처럼 운영하긴 어려운 시기가 올거라고 봅니다. 미리 고민하여 대책을 마련해두는게 중요하겠죠
@ahyeongnam2948
@ahyeongnam2948 3 месяца назад
퍼즐의 비어있는 한 칸을 이렇게 설명하시다뇨… 감탄했습니다. 좋은 정보 배워가요!
@ten_nus_
@ten_nus_ 3 месяца назад
광화문 광장 세종문화회관 옆에 푸드존이라고 푸드트럭들이나 공예품들 판매하는 부스들이 있는 장소가 생겼는데, 전에 교수님이 말하셨던대로 이벤트의 수가 높아지는거 같아서 광화문 주변 주민으로서 기분이 좋네요
@user-wq7fw4lb2m
@user-wq7fw4lb2m 3 месяца назад
대신 아름답고 쾌적하게 장소를 관리하고 유지하는건 주변 상인들과 그곳을 이용하는 시만들의 몫이죠. 무질서한 간판,광고홍보물 널부러진 플라스틱 집기류등은 서로서로 자제 해야겠구요 유교수님 같은 건축가나 도시계획 전문가들 컨설팅을 받아 아름답고 계획있게 그림을 그려나갔음 좋겠어요
@user-ky3tr3qs7m
@user-ky3tr3qs7m 3 месяца назад
이 정도 위치에 계신 분들이 나서서 인구 소멸 국가 소멸을 아주 급박하게 받아들이고 지방일수록 더 살기 좋은 환경으로 바꿀 노력을 해야 하는데 ..... 골든 타임이 지나가고 있음...... 엄청난 토지 보상금이 평당 분양가 1억짜리 상가만 생기게 만들고 점점 그 상권에 가지 못하는 사람들만 생기게 만들고 ...건물 상가 많이 생기면 뭐하나.... 그 가게에 오는 사람들이 즐거운 표정으로 와서 즐겁게 돈을 쓰고 갈 수가 없는데........
@brandlee5089
@brandlee5089 3 месяца назад
(영상 시청 전) 인구 감소가 국내 많은 산업을 바꿀 시기가 얼마 남지 않아 보여요. 대학도 그 중 하나겠죠. 학생들이 많았던 시절에야 식당, 하숙(자취)방, 여가 등 운영하면서 돈을 벌겠지만 그 인원이 줄어들면 그 산업에 속한 사람들도 먹고 살기 힘들어지는 것도 사실이고요. 그래서 글로컬 대학을 통해 지원하면서 통합이나 새로운 교육을 만들어보라는 것도 있겠네요. 솔직히 대학도 병원이나 수익을 내는 시설이 있으면 운영하는데 큰 문제는 없지만 대체로 국가 지원 사업으로 운영하는 측면도 강하죠. 아니면 외국인 유학생 유치라던지... 결국 많이 세워진 대학을 하나씩 줄여나가야 좋겠죠. 막상 공부하려고 왔는데 학교 없어지면 그것도 비참하고요. 그래서 통합으로 많이 가긴하는데 그 사이에도 의견이 맞지 않는 것도 떠오르네요 ㅎㅎ 새벽녘에 생각이 많아서 ㅋㅋㅋ 주절거려봅니다 ㅎㅎ
@rayb1835
@rayb1835 3 месяца назад
4:24 합계출산율과 조출생률은 다른 개념인데 혼동해서 써놓으셨네요. 정의도 다르고, 인구학적 용도도 다른 두 용어를 이렇게 섞어놔도 되나요?
@zerocoke.zerodiabetes
@zerocoke.zerodiabetes 3 месяца назад
이거 꽤 큰 문제라 생각함. 일부의 정치이념적 이유로 인해 명백히 다른 지표, 용어가 혼용되고 혼동을 일으킴.
@ReRain5285
@ReRain5285 3 месяца назад
4:25 현재 간호학과생인데요. 평소에도 셜록현준님 즐겨 보고 있어요. 다만, 지역사회 인구학적 용어로 볼 때 출산율(합계출산율)이 맞는 표현이고, 출생률(조출생률)은 출산율과는 뜻이 다른 용어입니다. 요즘 부쩍 이상하게 출생률이라고 쓰는 언론, 뉴스, 유튜버들 보이시던데 제대로 조사하시고 쓰셨으면 좋겠습니다. 잘 모르시는 분들이 이상한 용어로 대치해서 부르는 게 별로 좋게 보이지 않습니다. OECD, 정부기관의 출산율 집계도 모두 합계출산율을 기준으로 하고 있어요. 출생률이 떨어졌다는 건 틀린 표현이고, 합계출산율이나 출산율이 정확한 용어입니다.
@user-nk1ib2xe2x
@user-nk1ib2xe2x 3 месяца назад
추천 누르고 갑니다. 요새 진짜 이상하고 멍청한 인간들이 지들 맘에 안든다고 그 단어의 뜻이고 나발이고 바꿔라 마라 아주 발광을 하고 있는데, 그딴 것들이 뭐라 짖든 무시하고 정확한 용어를 계속 쓰는 게 옳다고 생각합니다.
@zxcvzxcv287
@zxcvzxcv287 3 месяца назад
출산율이란 단어가 너무 여성에게 책임을 많이 지우는 단어라고 말하던 글을 본적이 있는데요 이 이유 때문에 일부러 출생률이라고 바꿔 부르는거 아닐까요?
@_UMZZ
@_UMZZ 2 месяца назад
이상하다 쓰지마라 그러지말고 그 두 단어가 뭐가 어떻게 다른 건지 설명이나 좀 해주세요 정부기관이 쓴다 이런게 전부는 아니죠?
@HIDEKILLER83
@HIDEKILLER83 3 месяца назад
아직 영상을 3분밖에 안봤는데 교수님말씀대로 지도에서 레미콘회사를 찾아보니까 진짜 많네요 처음 알았어요 레미콘회사가 동서남북 어디나 있어요 우리동네에 최근에 쿠팡물류센터도 많이 생기고 산업단지도 따로있고 이렇게 바로 찾아보니 흥미롭습니다 제가 국민학교1학년때 63번이었고 오전오후반이 있었거든요 그리고 5학년에 근처에 초등학교가 하나 지어지고 있었고 그 학교로 넘어가는 학생들이 생겼어요 다 교수님말씀대로네요 제가 마지막 국민학교세대입니다 제가 졸업하고 초등학교로 이름이 변경되었더라구요
@xxxxxmxx
@xxxxxmxx 3 месяца назад
13:27 진짜 공감하고 갑니다 부동산 중간중간 들어와 있고 사이는 다 공실 ㅋㅋ 심각한 문제인데 정말 해결되기 힘들어 보이네요..
@user-yp1ob8vp7p
@user-yp1ob8vp7p 3 месяца назад
교수님 말씀대로 하면 정말 도심속에 허파같은 공간으로 멋지게 재탄생할 거 같아 겁나 기대되네요 ~
@user-hj5pu6qe3q
@user-hj5pu6qe3q 3 месяца назад
요즘 정치병걸려서 떠드는 사람들 많은데 셜록님은 이미 일어난 변화에서 무엇을 할수있을까... 라는 시야로 보시는것 같아 배울게 많네요
@mondrian12341
@mondrian12341 3 месяца назад
와우 모든 컨텐츠가 어떻게 모두 다른데 동일하게 알찬 교양 수업같죠?! 방금 도시는 무엇으로 사는가 읽었습니다. 비전공자에게 보내는 편지..많은 생각을 하게 되네요. 다음 책도 기대됩니다!
@cornyevansbrown1658
@cornyevansbrown1658 3 месяца назад
많은생각을 하게되는 영상이었네요 감사합니다.
@itsjin_
@itsjin_ 3 месяца назад
아니 자기전에 이렇게 올려주시면... 감사할 따름입니다.
@mrjoo1983
@mrjoo1983 3 месяца назад
요즘 그린스마트미래학교 사업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kkomkkomssong
@kkomkkomssong 3 месяца назад
인구감소, 출산율에 대한 오래된 비판으로 연결되는 줄 알았는데, 위기를 기회로 만드는 새로운 시각을 전해주셔서 감동하고 갑니다❤❤
@user-uj4kk2yd2s
@user-uj4kk2yd2s 3 месяца назад
저 보자마자 예스24가서 주문하고 왔어용...나중에 교수님 만나 뵙고 친필싸인 받고싶어요...❤❤❤오늘밤은 오예입니당!🎉🎉🎉
@user-fo3pz4wy9d
@user-fo3pz4wy9d 3 месяца назад
150평에 150억... 그걸 희생해서라도 더 큰 가치를 추구할 수 있다면 좋겠지만... 누군들 쉽게 결정할 수 있을까요... 그럼에도 그런 결정에 좋은 선례를 남기는 회사가 어서 나왔으면 합니다. 요즘 거리를 지나다보면 넘쳐나는 공실에 임대딱지가 넘 맘아파요.
@seoulkorea.
@seoulkorea. 2 месяца назад
ㄹㅇ 강남 논현동 사는데 집 근처 신논현에도 공실 문의 넘 많음😢😢😢
@user-kr4sv4ki9x
@user-kr4sv4ki9x 3 месяца назад
셜록님 재밌게 말씀하셔서 지루하지 않게(옛날 이야기 듣는것 같이) 잘 듣고 있어요😊😊😊감사해요
@user-135yuiop
@user-135yuiop 3 месяца назад
좋은 영상 고맙습니다. 빈땅을 활용하기에 좋은 것을 좀 추가하자면, 노령인구수가를 참고하여, 만약 노인정을 만든다면 낮시간에 초등 저학년의 돌봄 시스템에도 노인분들이 참여할 수 있어 좋을듯싶고, 또 녹색 공간의 한부분으로 공유 텃밭을 만든다면 학생,어른,노인분들, 3대가 자연스레 함께 어울리는 도심 속 따뜻한 농장을 한번 상상해보았습니다만, 어떨까 싶네요!!
@myoungsicsong5443
@myoungsicsong5443 2 месяца назад
항상 재미있고 좋은 내용으로 영상 올려주셔서 고맙습니다. 언주 후배님. ㅎㅎ😊
@martha3521
@martha3521 3 месяца назад
동네마다 주차장이 가장 큰문제입니다 빌라 원룸촌 주변은 양방향 차들이 ~~밤화재시 소방차도 들어갈수 없는 동네가 전국적문제입니다. 지방대학은 일부를 큰 요양원이나 요양병원 으로 용도변경하는 방법밖에 공장을 지을수는없겠죠
@user-ci1ix6um1q
@user-ci1ix6um1q 3 месяца назад
퍼즐비유는 진짜 소름돋았습니다 늘 잘보고 있습니다😊
@emprins
@emprins 3 месяца назад
도심 내 부족한 건 공원보다는 그라운드형 운동시설인 것 같습니다. 사실 도심 내 녹지 공원들 보면 머물러 있는 사람 별로 없습니다. 도심 건물 내 gym 은 지나치게 많습니다. 아마추어 야구, 축구, 농구, 배드민턴 등 운동할 수 있는 곳으로 바꿨으면 좋겠습니다.
@user-hk6yi4fd2t
@user-hk6yi4fd2t 3 месяца назад
안녕하세요 교수님.저도 건축을 공부하면서 공간 디자인에 많은 생각과 궁금증을 고민하는 건축학과 학생입니다.다름이 아니라 대한민국에 저출산 문제가 아파트의 공간 구조와 관련이 있지 않을까 해서 질문을 드립니다.방 3개가 있는 평균적인 아파트 구조와 개인 프라이버시가 중요시 되는 사회에서 아파트 구조와 저출산이 어느정도 관계가 있다고 생각하는데 교수님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user-pe1le8tb1f
@user-pe1le8tb1f 3 месяца назад
격세지감입니다. 나때는 한반에 78명까지 있고 오전 오후반에 토요일은 학교 나무 밑에서 수업 했는데 폐교되는 학교가 늘어난다니.... 미래는 잘 모르겠고 요즘 참 살기 좋아졌습니다
@jsk9579
@jsk9579 3 месяца назад
아주 좋아하시는 메가시티에 상상력 시너지는 saturation되고 교통체증, 집값폭등 side-effect만 남은 것 같네요. 초메가시티를 만든다고 시너지가 무한정 나나요? 당장은 어렵더라도 다른 곳에 신생 메가시티들을 여럿 만들려는 노력을 했어야하는게 아닌가 싶네요.
@joobee2248
@joobee2248 3 месяца назад
교수님 이번영상 너무 좋은 아이디어가 많은것같습니다. 학교(폐교)라는 한조각의 퍼즐을 잘완성해서 자라는아이들이 좀더 아름다운 풍경과 환경에서 자라면좋겠습니다.
@iliwaba
@iliwaba 3 месяца назад
최근 전주천 난개발 사태와 관련해 도심속 생태 하천에 대해서 다루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KibuKim
@KibuKim 3 месяца назад
지방대학 공간이나 주변 건물들 전세계에서 신청 받아서 예술가들 레지던시 공간, 전시공간 그리고 좀 영역들을 확장한다면 K-Pop 연습실로 활용하면 어떨까요? 성수동 같은 카페나 대형 도서관, 마켓등으로 공간 개조해도 될 것 같고.. 오히려 지방대학 건물 각 공간마다 예술가들이 활동하는 공간으로 된다면 각 지역 특색에 맞춘 공예품 공방도 그렇고, 좀 재미있을 것 같은데.. 사람들도 다시 오게 되면 상권도 살게 되고, 하숙집이나 이런 곳도 예술가들 기거할 수 있는 공간으로 리노베이션 하면 어떨까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fc_ygt56
@fc_ygt56 3 месяца назад
"인문 건축 기행" 이 책도 꼭 사서 읽어 보겠습니다! 자려고 했더니 영상 업로드 되어있길래 보고 자야겠다
@user-nt9yc9zu4l
@user-nt9yc9zu4l 3 месяца назад
교수님 영상 잘 보겠습니다
@FlyFishingStory
@FlyFishingStory 2 месяца назад
정말 공감이가는 말씀이네요~ 문제를 문제로만 보지않고 문제 안에서 기회를 본다는 것이 인상 깊었습니다. 영상 잘 보고갑니다^^ ❤
@jason2876
@jason2876 3 месяца назад
너무좋은 아이디어입니다. ❤
@cholsoonim9144
@cholsoonim9144 3 месяца назад
초 중 고 학교가 폐교된 경우의 원인은 두 가지 입니다 하나는 주위에 거주하는 인구의 고령화이고 둘째는 거주 인구의 감소입니다 인구가 고령화되는 경우에는 고령화 인구의 니즈에 맞춰 공원을 만들던 편의 시설을 만들어 활용하면 되겠지만 인구 자체가 감소하는 경우에는 사용할 사람도 없는 건물이나 공원을 만드는 것이기 때문에 세금 낭비죠 보통 그런 곳은 서서히 슬럼화가 진행되더라구요
@black_bear_knight
@black_bear_knight 3 месяца назад
학교앞을 공원으로 만들고 건물을 월세형식으로 해서 카페나 식당등의 상가로 대여하는 전 어떨까요? 국가에서 운영하는 거니까 월세는 한번 지정되면 오르는 일이 없고, 학교시설이 어느정도 인프라가 설립된 장소에 설치되다보니 사람들 왕래도 잦은 편이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이런 경우는 주변에 인구수가 어느 정도 이상이여야만 된다고 생각합니다만, 서울이나 일부 경기지역은 학생수가 부족해서 학교가 통합식으로 폐교가 된 장소가 적당하다고 생각합니다.
@user-hi3lk3eq9n
@user-hi3lk3eq9n 3 месяца назад
저도 오래 방치 된 상가들 보면서 차라리 주거용으로 바꾸면 좋겠다는 생각 했었는데... 지방 대학 캠퍼스는 관광지 근처면 리조트로 리모델링 하는 수 밖에 없어 보여요.
@pineapplechicken
@pineapplechicken 3 месяца назад
폐교되는 학교의 대부분은 지방, 시골이라 공원으로 활용하기 어렵지 않을까 생각이 드네요. 공원이 필요한 서울은 폐교가 3군데 밖에 없고 그마저도 돈 되는 다른 용도로 쓰고자 할 것같은...ㅋㅋㅋㅋ
@user-nowhere
@user-nowhere 3 месяца назад
동감입니다. 개발업자며 동네 유지같은(이름모를 협회와 모임들, 조기운동회등등...) 사람들이 가만 놔둘까요...
@217gun2
@217gun2 3 месяца назад
좋은 말씀입니다. 단순 폐부지로 볼게 아니라 좋은 공터가 생기는거군요.
@shunamorl
@shunamorl 3 месяца назад
재미있게 보고가겠습니당❤
@user-ll6zh4yc1c
@user-ll6zh4yc1c 3 месяца назад
진짜 저출산도 해결해야하지만 인구수 하락에대해서도 준비를 해야할거같아여
@kimsophie3225
@kimsophie3225 3 месяца назад
이런 아이디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estherbok9541
@estherbok9541 3 месяца назад
지금 아이들 인구 준다고 학교 부지 용도변경 해서 쓰고, 다시 아동 인구가 늘어나면 그때는 대체 공간이 있나요?
@KanyeNorth-gt8yb
@KanyeNorth-gt8yb 3 месяца назад
영상을 통해 변화에 대응하는 공간의 미래를 생각하고, 동시에 어떻게 대응해야할지를 생각하는 시간을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교수님!
@wowjdbbdkeowsbs
@wowjdbbdkeowsbs 28 дней назад
00:00 인트로 01:23 오늘의 추리: 폐교와 공실 01:30 Point1: 문을 닫는 학교들 06:06 Point2: 빈 학교를 이용할 방법 08:58 제가 어렸을 때 가지고 놀던 장난감이 있었는데 09:53 Point3: 폐교하는 대학 캠퍼스들 12:19 Point4: 상가, 오피스텔 공실은 어떻게 해야할까
@jaeminki
@jaeminki Месяц назад
역시 믿고 보는 교수님 ! 감사합니다
@listeria_922
@listeria_922 3 месяца назад
친구랑 항상 얘기하는거.. 이일대에 중학교가 셀수없이 많은데 이젠 통폐합 좀 하고 그 자리에 주차타워 등 주차장을 지어야 불법 주정차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ruwk144com
@ruwk144com 3 месяца назад
다소 암울할 수 있는 주제이지만 위기를 기회로 만드는 명쾌한 해답이네요.
@user-bt4bb8cp6z
@user-bt4bb8cp6z 3 месяца назад
정말정말 유현준교수님 아니였더라면 이렇게 유익한내용들을 평생 모르고 죽을 뻔 했겠다싶군요 건축이라는게 단순히 건물을 짓는 일을 떠나서 이렇게 파생적인 얘기가 많을줄을, 우선 참 재밌습니다
@simahmad-gt7nl
@simahmad-gt7nl 3 месяца назад
정말 재밌어요
@k.joomihyun
@k.joomihyun 3 месяца назад
증학교때 70명씩 공부했던 기억이 나네요. 감사합니다
@paranthewave
@paranthewave 2 месяца назад
교수님 질문이 있습니다! 이번에 시카고 여행하면서 한 생각인데 교수님이 마침 언급하셔서 댓글을 남겨봅니다. 시카고의 건물들은 입면도 엄청 넓고 큰 면적을 가졌는데 보통 상가가 1층에 하나씩 혹은 많아야 둘씩밖에는 없었습니다. 반면 우리나라는 1층에 상가가 쪼개질 수 있을 만큼 많이 들어있고요. 그런데 시카고 땅값이 서울 땅값보다 쌀 것 같지는 않는데 왜 이런 현상이 생기는 건가요?? 나중에라도 답변해주시면 좋겠어요!
@user-yp1ob8vp7p
@user-yp1ob8vp7p 3 месяца назад
역시 ~굿아이디어~
@jungwonyoon5922
@jungwonyoon5922 3 месяца назад
탁재훈인줄 알고 들어왔다가 좋은 내용에 구독!
@JD-md3qk
@JD-md3qk 3 месяца назад
좋은 아이디어. 비었다고 괴로워말고 새로운 아이디어로 좋게 만들 기회로 삼자.
@Jamureable
@Jamureable 3 месяца назад
예전 선조들을 생각 해 보면 여백의 미를 잘 활용했던 거 같은 데, 교수님이 설명하신 바가 그 지점과 '일맥상통' 하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제가 꾸준히 관심 가지고 있는 것이 '지방 소멸' 과 그리고 개인적인 꿈이 고향에 종합예술대학을 설립하는 것이 꿈입니다.(후자는 먼 미래의 일이겠죠.) 지방 소멸은 제 지역인 충북을 예로 들어 설명하자면 충북 북부 지방인 제천과 단양이 예전에는 시멘트 공장이 활발하게 돌아갈 때는 문제시 되지 않았지만, 현재는 '지방 소멸' 을 걱정해야 된다는 점이에요. 제가 그 예방책으로 지자체와 주민간의 협의를 통해서 나아가야 겠지만 '이케아' 라는 기업을 들여오는(쉽지 않겠지만 기업 특성을 고려하면 가능 하지 않을까 싶지 않나 싶습니다.) 방안을 과감히 추진해 보는 게 어떤 가 하는 것 이 에여. 이를 안정화 시킨다면 성공사례의 좋은 예로 자리잡을 수 있을 듯 합니다. 실질적으로
@user-zf9fk3we7g
@user-zf9fk3we7g 3 месяца назад
지방캠퍼스 기숙사는 한달살기 저렴한 가격으로 지자체에서 공급하면 좋을거같아요 솔직히 지방은 일자리에 없기 때문에 관광 농업 아니면 유지하기 어려우리라 생각합니다
@byungunyoo8885
@byungunyoo8885 3 месяца назад
주차장 만드는거 정말 좋은 아이디어네요!
@WOOA10
@WOOA10 3 месяца назад
재미있게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alexkim969
@alexkim969 3 месяца назад
타국에서 잘보고있습니다~~~
@dacsurlap
@dacsurlap 3 месяца назад
폐교를 화가같은 예술종사하는 사람들을 위한 작업공간으로 만들면 어떨까싶네요. 문화중심으로 만들면 사람들도 좀 모이지않을까...
@seoul_meatking
@seoul_meatking 3 месяца назад
@4:42 혹시 개림중학교 일까요?? 모교같이 생긴 곳이 나와서 반갑네요 ㅎㅎ
@ahn1607
@ahn1607 3 месяца назад
저출산으로 인해 학교 공실 활용에 대해 언급해주실 때 저출산으로 인한 위기가 매우 시급하고 중요하다는 것을 짚어주셨으면 더 좋았을 것 같습니다. 저출산에 대한 문제는 이 채널에서 다루는 주제가 아니기 때문에 당장 나타나는 현상을 기회로 활용할 수 있는 점에 집중하겠다는 식으로 말이죠. 저출산이 회복 불가능한 수준으로 가파르게 감소하고 있는데 국민적 공감대 혹은 위기의식이 총선이 다가오는 이 시점에서 너무나 흐릿하다고 생각해서 걱정이 됩니다. 좋은 영상 잘 봤습니다.
@woojinpark8994
@woojinpark8994 3 месяца назад
정말.. 돈 생각 안하고 멋진 건물들이 많이 지어지면 얼마나 좋을까요!! 건축가와 시행사 및 시공사는 시각이 너무 다르죠 ㅋㅋ
@src3099
@src3099 3 месяца назад
4:28 틀렸습니다. 출산율: 가임기(15~49세) 여성 1명이 일생 동안 낳는 자녀의 수 출생률(조출생률): 인구 1천명 당 출생아 수 두 용어는 완전히 다른 개념이고 공식도 다릅니다. 일각에서 출산이라는 말이 아이를 낳는 여성에게 부담을 지우는 것이라서 출생이란 말을 사용하자고 하니까 출생률이라고 하신 거 같은데 출산율 수치를 출생률로 말하는 건 틀린 겁니다. 더불어 출생률은 산정 방식에서도 알 수 있듯이 고령 인구가 줄어들면 아이가 태어나지 않아도 보합하거나 증가합니다. 따라서 아이가 얼마나 태어나는 지 나타내려면 출생과 출생률보다 출산과 출산율을 사용하는 게 적절합니다. 괜찮은 영상인데 오개념으로 수준이 확 떨어져 보입니다. 이데올로기에 따른 용어 변경을 비판 없이 수용하지 마세요.
@itssheldonlee
@itssheldonlee 3 месяца назад
진짜 제멋대로 용어 수정해서 쓰는 건 언어의 사회성을 무시하는 꼴 밖에 안 되는데.....
@kiky_witch
@kiky_witch 3 месяца назад
출산이란 말이 왜 여성에게 부담을 주냐 그럼 남자 징집과 징병 입대도 부담주니깐 다른 용어로 바꾸지? 그들의 여성은 어디 하나 나사빠진 다른 종족인가?
@dlekdma
@dlekdma 2 месяца назад
아~ 출산율이란 단어엔 별 샹각 없었는데 덕분에 주의하게됐네요 ㅎㅎ 가능하면 아예 안 쓰는 방향으로!
@sescfabio264
@sescfabio264 3 дня назад
이런새끼는 도대체 왜 사는거냐?
@Minton500
@Minton500 3 месяца назад
출산율 감소 해결책에 대한 교수님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user-korean8
@user-korean8 3 месяца назад
이 시간에 좋은 이야기를.. 감사히 보겠습니다. ㅎㅎ
@user-fp6lx6wf7l
@user-fp6lx6wf7l 3 месяца назад
저희 동네에 딱 그런 공원이 있네요. 딱히 뭐 대단한게 있는건 아닌데 학교부지정도의 사이즈에 지상은 그냥 나무 있고 벤치 있는 공원이고 애들 놀이터 같은거 하나있고 정자 하나 있고... 구름산책로라고 2층으로 한 반바퀴정도 돌 수 있는 길이 있고 공용화장실하고 수돗물 나오는 곳 있고 옆에 GS편의점 있고 공원 밑에는 지하 3층까지 주차장으로 되어 있는데 작아도 도심에서는 근처 거주민들에게는 충분히 좋은 장소죠. 아이들하고 어르신들도 많이 보여요. 강아지 산책시키는 사람들도 많고.
@shin9074
@shin9074 3 месяца назад
도심 주차난 해결을 위해서 지하주차장을 많이 만들면 좋겠어요 지상은 공원이나 도서관 영화관 등 문화시설로 하구요
@sophiewon52
@sophiewon52 3 месяца назад
너무 멋진 생각이에요. 꼭 국가에 제안하셔서 한국에 필요한 공원과 주차장, 혹은 공립 도서관들이 생기면 좋을것 같아요!!! 안되면 상가와 주차장:)
@seoulkorea.
@seoulkorea. 2 месяца назад
초고령 사회라는 점을 고려하여 건물을 버리지 말고 노인정이나 노인들을 위한 재교육공간 또는 공원으로 써도 된다고 봄 도시 속 녹지 ㅇㅇ
@sayno8888
@sayno8888 3 месяца назад
구구절절 옳으신 말씀이십니다.
@zmotmooz
@zmotmooz 3 месяца назад
오피스텔 상가가 비싼게 당연하다고 생각했는데 공실률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었군요 반포 재건축 상가 편의점 가면 좁아 터져서 이걸 상가로 쓰라는건지도 모르겠습니다
@yourangtv
@yourangtv 3 месяца назад
코로나 이후 결혼도 감소하고 물가도 오르고 육아부담 커지고 출산율이 떨어지고 눈에 띄게 인구 감소가 체감되고 있습니다 산업 전반에 많은 변화가 오겠군요
@user-mm3dl2gs3t
@user-mm3dl2gs3t 3 месяца назад
감사합니다 선생님
@CoreanEarthSpace
@CoreanEarthSpace 3 месяца назад
재밌는 주제에요
@user-oy2zx1mt6m
@user-oy2zx1mt6m 3 месяца назад
학교가 우리가 생활 속에서 접근하기 편리한 곳에 위치하기 때문에 폐교를 잘 변신시키면 정말 유용하겠네요. 그런데 대체로 폐교는 인구 감소 지역에서 많이 발생할 것 같아서, 비용과 효용을 잘 따져봐야할 것 같네요...
@user-dx4ym9wy4h
@user-dx4ym9wy4h 3 месяца назад
그래도 뭐라도 활용할 가능성이 있는 초중고교랑 오피스텔이나 상가랑 다르게 대학교는 뾰족한 수가 없어서 문제네요.
@euphorim
@euphorim 3 месяца назад
맞습니다. 인구감소에 대한 대책보다 비어가는 공간을 잘 활용해서 기존의 인구가 잘 살도록 하는 것이 더 빠르고 효과적인 대책일지도 모릅니다.
@seoulkorea.
@seoulkorea. 2 месяца назад
ㄹㅇ 그래야 다시 인구가 증가할지도 모름 물론 이민도 많이 받고
@user-um7ph2kj1t
@user-um7ph2kj1t 3 месяца назад
저도 늘 생각해왔던거네요. 제주도에 갔더니 폐교를 너무나 잘 활용했더라구요. 오래된 교사는 뼈대만 남기고 헐어서 실내 게이트볼장을 만들었고 운동장은 운동장 그대로 두어 마을 사람들이 운동하고 (옆 마을에서도 오고) 마을 행사도 합니다. 그 운동장 때문에 그 마을에서 살고싶어졌더랬어요.
@cutysi
@cutysi 3 месяца назад
학교 운동장에 지하주차장 이런건 학생 수가 줄어드는 문제랑 상관없이 지금도 충분히 할 수 있었던 방안같은데 나랏일 하시는 분들이 이런 아이디어를 잘 이용하면 좋겠네요!
@RC-bm9mf
@RC-bm9mf 3 месяца назад
퍼즐 맞추기. 너무 부족한 공원을 폐교로 맞춘다는 생각을 정부에서 들으셨으면 좋겠어요.
@user-sz1sn1jl1n
@user-sz1sn1jl1n 3 месяца назад
재건축 아파트 상가는 진짜 공실률 문제 엄청 큰거 같아요 동네 아파트 새로 완공된게 4년차인데 2층은 전멸 1층은 이빨빠진게 강북이라도 서울인데 이정도인게 무서울 정도네요 지방 재건축 아파트들은 더할태니 시한 폭탄이 째깍째각하는거 같아요
@stellately
@stellately 3 месяца назад
대안들을 말씀해주시니 참 좋습니다 ❤
@user-wu1rr9bb6y
@user-wu1rr9bb6y 3 месяца назад
모든 발전에는 장단점이 있는것 같아요 IT의 발전으로 먼거리에서 거래,소통 같은 이런 네트워크가 만들어지며 이걸로 수익화를 할수있는데 문제는 전국 사람들의 돈을 한곳으로 모이다 보니. 이 IT 기술이 없으면 안되고 계속 했다간 지방 사람들의 돈을 갈취하는 현상이 발생하는것같아요. 그럼 적어도 지방의 물가는 내려가야정상인데 물가도 수도권,지방 똑같이 받는다는거죠
@Daily-life
@Daily-life 3 месяца назад
도심에서는 좋은 방법일 수 있겠지만 정작 폐교가 문제가 되는 곳은 시골이라... 그렇다고 시골에 자원을 투입하기도 애매한 것이 생산인구가 도시에 비해 빈약하니 투자해도 남는게 없는 경우가 많고, 오히려 관리소요만 들어나는 경우가 참 많던데... 그렇다고 생산인구를 지방으로 분산시킬 좋은 방법도 없음... 직장도 공공서비스도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고 클러스터로 형성되는 산업구조 상 물리적으로 떼어내기도 쉽지 않고... 한국은 이미 소멸이라는 사건의 지평선을 넘어버린 것 같음...
@dannyl.4109
@dannyl.4109 3 месяца назад
우리나라 도시설계의 고질적인 문제를 잘 지적해주신거 같아요. 돈 안내고 앉아서 쉴 곳이 없죠.
@skykogkog337
@skykogkog337 3 месяца назад
전문가는 아니지만 요즘 인구소멸로 아파트 같은 부동산이 공실이 될것이다, 재개발 안된다 이런 얘기 많이 들리던데 그런 건물들을 스마트팜 같은 걸로 구조변경하면 좋지 않을까 생각했거든요 학교도 그렇네요 멋진 아이디어예요 - 저는 광역시에 살고 나름 아이가 많은 곳에 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 아이 학년 학급수는 4반까지입니다..한 반에 20명정도구요 급격하게 줄고 있어요 빨리 대책들을 세워서 도시가, 우리 사회가 황폐해지지않길 바래봅니다
@user-fp6dk9mu4w
@user-fp6dk9mu4w 3 месяца назад
와, 오랫동안 방송이며 강연, 유투브를 찾아 듣는 팬이었는데 오늘 알았네요. 전 언주중 3회 졸업생이예요. ㅎㅎㅎ. 건축, 인테리어에 관심이 많아 뒤늦게 시카고에서 학교도 다녔는데 지금은 꿈으로 만족하네요. 어쨌든 늘 제기하시는 문제나 의견에 진심으로 공감하고 응원해요. 우리나라 이젠 좀 변했으면 좋겠어요.
@user-wq7fw4lb2m
@user-wq7fw4lb2m 3 месяца назад
좋은 아이디어 입니다😊 학교부지를 시민 들한테 되돌려주는 방식, 찬성입니다 지친 사람들의 몸과 마음을 쉴수있는 공원이나 도서관 또는 미술관등이 있음 한결 살기촣은 도시가 되겠죠^~
@common3021
@common3021 3 месяца назад
역시 전문가는 다르다 ㅋㅋㅋㅋ 진짜 좋은 아이디어에요.
@sil4886
@sil4886 3 месяца назад
쏘 서윗~
@blueite
@blueite 3 месяца назад
8:25 단독주택 지역에 거주하신 경험이 어느정도 되실지 모르겠습니다만, 보통 거주자 주차구역이 설정된 골목 쪽이 주차 질서가 낫습니다. 차라리 한 줄로 깔끔하게 차를 세워놓게 하는 편이 환경으로 보나 안전으로 보나 낫다고 생각합니다. (다른 대안으로는 보통 5~7m 폭이 되는 이면도로를 펜스같은 걸 쳐서 단선도로로 바꾸는 게 있는데 이것도 슬그머니 한쪽에 주차가 되어 있기 일쑤더군요. 골목에 차단기둥 세워놓는 거 좋아하실 것 같지도 않고)
@sunus2424k
@sunus2424k 3 месяца назад
폐교를 저녁엔 지역 주민을 위한 공용주차장으로 활용하고, 낮에는 상업시설로 운영하면 좋을 것 같네요
@declinedtosignonstagnant5402
@declinedtosignonstagnant5402 3 месяца назад
다 좋은 말씀인데 교수님도 아실 거에요. 우리나라 지방행정으로 이런 기획과 실행이 많이 힘들다는 것을;; 물론 그런 시도는 있겠지만 분명 직원 한두명에게 시키면서 티스푼으로 국비 지원 받으면 찔끔찔끔 개발하다 이도저도 아닌 게 될 것 같네요. 지금 지자체들 폐교 많이 구입하고 있는데 지켜보죠 ㅎ
@BTEF
@BTEF 3 месяца назад
정답 ㅎㅎ 부산 대전 빼고 지방 균형 발전 성공사례가 있기는 한가?
@user-fj9nz8oc4j
@user-fj9nz8oc4j 3 месяца назад
아주 멋진 생각을 알려주셧네요ㅡ 언제나 좋은 영상 감사히 잘 봅니다.
@travelacrossthesea.7365
@travelacrossthesea.7365 3 месяца назад
제가 나온 학교가 서울에 있는 초등학교 인데도 현재 전교생 500명 수준이더군요 80년 초만 해도 전교생이 5천명 가량 됬었는데 지금은 1/10 수준으로 줄어 버렸네요
@user-himcha
@user-himcha 3 месяца назад
셜록현준님 의견엔 계속 주거+녹지환경 조성인데, 최근 만들어지는 주거시설은 어떻게든 사람 한명이라도 잡아넣을려고 녹지환경은커녕 빈공간조차 없어보여요. 중요한 건 말씀하신대로 그 퍼즐 속 빈 한 칸인 것 같은데 퍼즐이 완성이 안되네요..
@user-ev8cc4wd3g
@user-ev8cc4wd3g 3 месяца назад
한 칸이 비어져 있음으로 인해 유기적으로 변할 수 있는 힘이 생기는 비유가 정말 좋네요…
@s.p2483
@s.p2483 3 месяца назад
폐교는 연화장으로 활용하는 거시 가장 적합할 듯 싶습니다. 노인은 늘어나고 따라서 화장해야 할 인구도 늘어나니까요.
Далее
이상적인 도시를 만드는 현실적인 방법
19:05
Surprise 😲🤣 #demariki
00:18
Просмотров 1,4 млн
셜록현준 교수님의 '도시의 발명' 특강
1:01:50
장항준 감독이 살았던 인생 최고의 집은?
18:39
나는 중산층이다 (연봉 1억을 받으며..)
19:58
돈과 꿈에 대하여 : 상담소 A/S
13:29
Просмотров 642 тыс.